KR101913469B1 -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469B1
KR101913469B1 KR1020160135869A KR20160135869A KR101913469B1 KR 101913469 B1 KR101913469 B1 KR 101913469B1 KR 1020160135869 A KR1020160135869 A KR 1020160135869A KR 20160135869 A KR20160135869 A KR 20160135869A KR 101913469 B1 KR101913469 B1 KR 10191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frequency
frequency
radio
signal
propagation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054A (ko
Inventor
정진섭
김태훈
주정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3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4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2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lt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6Antenna boresight
    • G01S7/4034Antenna boresight in elevation, i.e. in the vertical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5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by simulation of echoes
    • G01S7/406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by simulation of echoes using internally generated reference signals, e.g. via delay line, via RF or IF signal injection or via integrated reference reflector or transponder
    • G01S7/4065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by simulation of echoes using internally generated reference signals, e.g. via delay line, via RF or IF signal injection or via integrated reference reflector or transponder involving a delay line
    • G01S2007/4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고도계 점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수급이 편리한 전파 지연 장치를 활용하고 새로운 장비에 사용하는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하여 상/하향 변환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하나의 전파지연장치로 2종의 전파고도계를 모두 점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radio altimeter with different 2 species operating frequency}
본 발명은 전파 고도계 점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파 고도계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신하고 그 전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항공기 등에서 고도를 측정하는 장비이다. 이런 전파 고도계를 점검하기 위해서 전파 지연장치 등을 사용하여 고도를 모의하여 점검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파 고도계를 안테나를 포함해서 점검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각각 전파 송신용/수신용 픽업(pick-up) 안테나를 가진 전파 차폐기(2조로 구성됨)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일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100)은, A 대역 전파 지연 장비(110), 제 1 전파 차폐기(120), 테스트 유닛(130), 제 2 전파 차폐기(140)등으로 구성된다. 물론, 테스트 유닛(130) 내에는 A대역 전파 고도계(133), 수신안테나(131-1), 송신안테나(135-1) 등이 구성된다. 또한, 제 1 전파 차폐기(120)에는 송신용 픽업 안테나(131-2)가 구성되고, 제 2 전파 차폐기(140)에는 수신용 픽업 안테나(135-2)가 구성된다. 부연하면, 전파 지연 장비(110)를 사용하고 전파 고도계(133)의 송신 신호를 전파 지연 장치(110)를 거쳐 전파 고도계(133)의 수신 안테나(131-1)로 송신하는 개념도이다. 이때 전파 송수신 간에 1:1 전달을 위해 전파 차폐기(120,140)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점검 시스템에 따르면, 운용 주파수가 다른 새로운 전파 고도계를 점검하고자 할 때는 새로운 점검 장비를 개발하여야 하나, 새로운 운용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파 지연 장치가 상용화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급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의 전파 고도계를 함께 사용하면서 점검하고자 할 때는 장비를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 비용과 공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69682호(발명의 명칭: 전파고도계 시험장치)
1. 노진입외, "유도무기용 전파고도계 주파수변환기 및 Ku-대역 안테나 개발"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6권 제6호 통권 제67호 (2013년 12월) pp.833-840 2. 홍현욱외, "무인항공기에 장착되는 전파고도계의 통합시험 방안"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1년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전파 지연 장치로 2종의 전파 고도계를 모두 점검할 수 있는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전파 지연 장치로 2종의 전파 고도계를 모두 점검할 수 있는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은,
제 1 운용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 1 전파 고도계와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다른 제 2 운용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 2 전파 고도계를 갖는 테스트 유닛;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다른 제 2 운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운용 주파수를 제 2 운용 주파수로 하향 또는 상향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 및
상기 하향 변환 또는 상향 변환후 전파 지연을 주는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상향 또는 하향 변환 시 위상차를 상쇄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1종으로 공통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유닛은, 상기 제 1 전파 고도계 및 제 2 전파 고도계를 안테나 결합 상태로 점검하기 위해 송/수신용 전파 차폐기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파차폐기 내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 및 제 2 운용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송신용 픽업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제 1 조합 또는 수신용 픽업 안테나 및 송신용 안테나의 제 2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 및 제 2 운용 주파수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기;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블록; 및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와 전파 지연된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변환 블록은, 송신 신호를 감쇄하는 감쇄 조절기; 감쇄된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와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제 1 혼합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믹서; 상기 제 1 혼합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증폭기; 및 상기 증폭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 2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변환 블록은, 전파 지연된 제 1 운용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 3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전파 지연된 제 1 운용 주파수를 증폭하여 제 2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증폭기; 상기 제 2 증폭 신호와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제 2 혼합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믹서; 상기 제 2 혼합 신호를 증폭하여 제 3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증폭기; 및 상기 제 3 증폭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 4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가 제 1 운용 주파수 또는 제 2 운용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다른 제 2 운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를 제 2 운용 주파수로 하향 또는 상향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전파 지연 장비가 상기 하향 변환 또는 상향 변환후 전파 지연을 주는 단계; 및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 또는 제 2 운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테스트 유닛의 제 1 전파 고도계 또는 제 2 전파 고도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수급이 편리한 전파 지연 장치를 활용하고 새로운 장비에 사용하는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하여 상/하향 변환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하나의 전파지연장치로 2종의 전파고도계를 모두 점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주파수 변환기에서 임의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용화된 대역의 운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파 고도계의 경우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하여 해당 대역의 전파 고도계 점검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1종의 전파 지연 장비로 2종의 전파 고도계를 점검하므로 비용 절감 및/또는 장비 중복 투자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기존 사용하는 단일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2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변환기(250)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종 전파 고도계를 이용한 점검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200)은,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110), 테스트 유닛(230), 주파수 변환기(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테스트 유닛(230)은 제 1 전파 고도계(233), 제 2 전파 고도계(237)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파 고도계(233)는 운용 주파수인 A대역 주파수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제 2 전파 고도계(273)는 운용 주파수인 A대역 주파수와 이종인 B대역 주파수를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유닛(230)은 제 1 및 제 2 전파 고도계(233,273)를 안테나 결합 상태로 점검하기 위해 제 1 전파 차폐기(220) 및 제 2 전파 차폐기(240)를 밀착시켜 점검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전파 차폐기(220)에는 2종의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221-2)가 구성되고, 제 2 전파 차폐기(240)에는 2종의 수신용 픽업 안테나(241-2,235-2)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파차폐기 내 2종의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221-2)와 2종의 수신용 픽업 안테나(241-2,235-2)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역할을 나눈 것에 불과하고, 모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송수신 픽업 안테나이다.
또한, 2조로 구성되는 제 1 전파 차폐기(220) 및 제 2 전파 차폐기(24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편의상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 1 전파 차폐기(220) 및 제 2 전파 차폐기(240)는 각각 제 1-1 및 제 1-2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221-2)와 제 1-1 및 제 1-2 수신 안테나(231-1,221-1)의 제 1 조합, 제 2-1 및 제 2-2 수신용 픽업 안테나(241-2,235-2)와 제 2-1 및 제 2-2 송신 안테나(241-1,235-1)의 제 2 조합을 내부에 갖는다. 즉, 제 1 및 제 2 전파 차폐기(220,240)에는 A 대역과 B 대역에 해당하는 송수신용 픽업(pick-up) 안테나를 모두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송수신용 픽업 안테나(231-1,221-2,241-2,235-2)는 각각 특정 대역 주파수를 수신한다. 부연하면, 제 1-1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 및 제 2-2 수신용 픽업 안테나(235-2)는 A대역 주파수를 수신하고, 제 1-2 송신용 픽업 안테나(221-2) 및 제 2-1 수신용 픽업 안테나(241-2)는 B대역 주파수를 수신한다.
또한, 전파 지연 장비(110)는 2종의 전파 고도계(233,237) 중 한 가지 대역에 맞추어 수급된 장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편의상 A대역으로 가정한다.
주파수 변환기(250)는 A대역과 B 대역간 주파수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A대역 주파수에서 B대역 주파수로 변환하거나 B대역 주파수에서 A대역 주파수로 변환한다.
부연하면, A 대역에 대해 제 1 전파 고도계(233)를 점검 할 때는 주파수 변환기(250)를 연결하지 않고 A 대역을 위해 제 1-1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 및 제 2-2 수신용 픽업(pick-up) 안테나(235-2)와 전파 지연 장비(110)를 연결하여 점검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B 대역에 대해 제 2 전파 고도계(237)를 점검 할 때는 전파 지연 장비(110)를 주파수 변환기(250)와 연결하고 B대역을 위해 제 1-2 송신용 픽업 안테나(221-2) 및 제 2-1 수신용 픽업(pick-up) 안테나(241-2)가 주파수 변환기(250)와 연결이 된다.
A/B 대역간 주파수 변환을 위한 주파수 변환기(250)는 A대역과 B대역간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이용하여 믹서(Mixer)를 통해 주파수의 상/하향 변환을 수행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101509883-pat00001
Figure 112016101509883-pat00002
여기서, fA는 A대역 주파수, fB는 B대역 주파수, fLO는 국부 발진 주파수, t는 시간, θ는 위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기(250)는 전파 경로에 따라 상향 변환 또는 하향 변환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변환기(250)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파수 변환기(250)는 크게 국부 발진기(340), 국부 발진기(340)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A대역 주파수 또는 B대역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블록 및 제 2 변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변환 블록은 감쇄 조절기(310), 제 1 대역 통과 필터(320-1), 제 1 믹서(330-1), 제 1 증폭기(350-1), 제 2 대역 통과 필터(320-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변환 블록은 제 3 대역 통과 필터(320-3), 제 2 증폭기(350-2), 제 2 믹서(330-2), 제 3 증폭기(350-3), 제 4 대역 통과 필터(32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대역 송신 전파가 주파수 변환기(250)로 입력되면, 우선 감쇄 조절기(Attenuator)(310)와 B대역 주파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320-1)를 거쳐 제 1 믹서(Mixer)(330-1)로 전달된다. 제 1 믹서(330-1)에서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320-1)로부터의 B대역 주파수 신호와 국부 발진기(340)로부터의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신호를 혼합하여 제 1 증폭기(350-1) 및 제 2 대역 통과 필터(320-2)를 통해 A대역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제 2 통과 대역 필터(320-2)는 제 1 믹서(330-1)를 통과한
Figure 112016101509883-pat00003
Figure 112016101509883-pat00004
두 가지 주파수 신호 중에서 A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필터를 사용한다. 제 2 통과 대역 필터(320-2)를 거쳐 주파수 변환기(250)를 나간 A대역 신호는 고도모사를 위한 전파 지연 장비(110)를 거친 후 제 3 대역 통과 필터(320-3)를 통해서 다시 주파수 변환기(250)로 들어오게 된다.
제 3 대역 통과 필터(320-3)는 전파 지연을 거친 신호를 다시 혼합하기 위해 A대역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 2 증폭기(350-2) 및 제 2 믹서(330-2)를 통과한다. 이후 제 3 증폭기(350-3)를 통해 증폭하고, 제 4 대역 통과 필터(320-4)를 통해
Figure 112016101509883-pat00005
Figure 112016101509883-pat00006
의 두 가지 신호 중 B대역 신호만 통과시킨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기(250)를 나갈 때는 전파 지연된 B대역 신호가 제 2 전파 고도계(도 2의 237)로 전달되는 구성이다.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340)는 전파 고도계(도 2의 233,237)의 신호와 위상차(θ) 상쇄를 위해 상/하향 변환용 믹서에 동일한 1종의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종 전파 고도계를 이용한 점검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대역의 제 1 전파 고도계(도 2의 233)를 점검할 때는 전파 지연 장비(110)를 A대역을 위한 제 1-1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로 직접 연결한다(단계 S410,S420). 제 1-1 송신용 픽업 안테나(231-2)가 연결되면 A대역 전파고도계의 점검을 수행한다(단계 S430).
이와 달리, 단계 S410에서, A대역 전파 고도계 점검이 아닌 경우, B대역의 제 2 전파 고도계(도 2의 237)를 점검할 때는 전파 지연 장비(110)는 주파수 변환기(도 2의 250)의 A대역 전파 연결단으로 송/수신에 맞추어 각각 연결한다(단계 S440). 이후, 주파수 변환기(250)에서 B대역으로 변환된 전파경로에 따라 송/수신에 맞추어 제 1-2 송신용 픽업 안테나(221-2) 및 제2-1 수신용 픽업 안테나(241-2)로 연결한다(단계 S450).
이후, 주파수 변환기(도 2의 250)에 전원을 인가하고 주파수 상향/하향 변환을 수행하고, B대역의 제 2 전파 고도계(237)의 점검을 수행한다(단계 S460,S470).
단 이때 주파수 변환기(도 2의 110)의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도 3의 340)는 위상차(θ) 상쇄를 위해 상/하향 변환용 믹서에 1종의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사용한다.
따라서, A대역의 제 1 전파 고도계(233)와 B대역의 전파 고도계(237)를 점검 대상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의 점검이 가능하다.
110: 전파 지연 장비
200: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220: 제 1 전파 차폐기
230: 테스트 유닛
233: 제 1 전파 고도계 237: 제 2 전파 고도계
231-1: 제 1-1 수신 안테나 221-1: 제 1-2 수신 안테나
231-2: 제 1-1 송신용 픽업 안테나 221-2: 제 1-2 송신용 픽업 안테나
241-1: 제 2-1 송신 안테나 235-1: 2-2 송신 안테나
241-2: 제 2-1 수신용 픽업 안테나 235-2: 제 2-2 수신용 픽업 안테나
250: 주파수 변환기
310: 감쇄 조절기
320-1,320-2,320-3: 제 1 내지 제 3 대역 통과 필터
330-1,330-2: 제 1 및 제 2 믹서
340: 국부 발진기
350-1,350-2,350-3: 제 1 내지 제 3 증폭기

Claims (9)

  1. 제 1 운용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 1 전파 고도계와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다른 제 2 운용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 2 전파 고도계를 점검하는 테스트 유닛;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다른 제 2 운용 주파수를 점검하는 경우 제 1 운용 주파수를 제 2 운용 주파수로 하향 또는 상향 변환하여 대역을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 및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의 전파지연을 주는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제 2 운용 주파수간 주파수 차이를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통해 변환하며,
    상기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만에 고정되어 있는 장비로서, 상기 제 1 전파 고도계 및 제 2 전파 고도계는 상기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로 점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유닛은, 상기 제 1 전파 고도계 및 제 2 전파 고도계를 안테나 결합 상태로 점검하기 위해 송/수신용 전파 차폐기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차폐기 내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 및 제 2 운용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송신용 픽업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제 1 조합 또는 수신용 픽업 안테나 및 송신용 안테나의 제 2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기;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블록; 및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와 전파 지연된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 블록은,
    송신 신호를 감쇄하는 감쇄 조절기;
    감쇄된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와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제 1 혼합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믹서;
    상기 제 1 혼합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증폭기; 및
    상기 증폭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 2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 블록은,
    전파 지연된 제 1 운용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 3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전파 지연된 제 1 운용 주파수를 증폭하여 제 2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증폭기;
    상기 제 2 증폭 신호와 상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제 2 혼합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믹서;
    상기 제 2 혼합 신호를 증폭하여 제 3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증폭기; 및
    상기 제 3 증폭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운용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 4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9.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가 제 1 운용 주파수의 전파지연을 주는 단계;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다른 제 2 운용 주파수를 점검하는 경우 제 1 운용 주파수를 제 2 운용 주파수로 하향 또는 상향 변환하여 대역을 변환하는 단계; 및
    테스트 유닛이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 또는 제 2 운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 1 전파 고도계 또는 제 2 전파 고도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와 제 2 운용 주파수간 주파수 차이를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통해 변환하며,
    상기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는 상기 제 1 운용 주파수만에 고정되어 있는 장비로서, 상기 제 1 전파 고도계 및 제 2 전파 고도계는 상기 단일의 전파 지연 장비로 점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방법.
KR1020160135869A 2016-10-19 2016-10-19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91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69A KR101913469B1 (ko) 2016-10-19 2016-10-19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69A KR101913469B1 (ko) 2016-10-19 2016-10-19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54A KR20180043054A (ko) 2018-04-27
KR101913469B1 true KR101913469B1 (ko) 2018-10-30

Family

ID=6208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69A KR101913469B1 (ko) 2016-10-19 2016-10-19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4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990B1 (ko) * 2011-03-15 2011-06-16 (주)미래시스템 레이더 모의표적장치의 도플러 주파수 구현방법
KR101292064B1 (ko) * 2012-11-13 2013-08-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가변 고도 모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764A (ko) * 2001-11-14 2003-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JP4293840B2 (ja) * 2003-06-06 2009-07-08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990B1 (ko) * 2011-03-15 2011-06-16 (주)미래시스템 레이더 모의표적장치의 도플러 주파수 구현방법
KR101292064B1 (ko) * 2012-11-13 2013-08-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가변 고도 모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54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7623B2 (en) Optically enhanc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8593330B2 (en) Multichannel, multimode, multifunction L-band radio transceiver
CN107124233B (zh) 一种采用电桥结合滤波器实现宽带无源互调测量的装置及方法
CN103119845A (zh) 用于定位通信网络中的故障的方法和设备
US20100216413A1 (en) Leakage suppressing circuit
WO2018121111A1 (zh) 消除本振泄漏的装置及方法
CN106330241B (zh) 放大集成电路
CN109462414A (zh) 一种18-30GHz前端接收组件
WO2023207252A1 (zh) 矢量网络分析系统
US8036627B2 (en) Bidirectional frequency mixer, radiofrequency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such a mixer
US11303366B2 (en) Passive harmonic test system and method
KR101913469B1 (ko) 운용 주파수가 다른 2종 전파 고도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05577294A (zh) 多功能手持式无源互调分析仪
US3070747A (en) Image rejection systems
Baskar et al. A software defined radar platform for waveform adaptive MIMO radar research
US201502075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Transceiver
CN113381779B (zh) 超宽带接收机
US9419774B2 (en) Hybrid diplexer and circulator frontend for GPS receiver and satcom modem sharing common antenna
CN210123969U (zh) 一种超大动态上变频器
US3593139A (en) Transponder
CN106788478B (zh) 一种射频前端
US20080113638A1 (en) Controlled signal-to-noise ratio generator circuit
CN212111771U (zh) 基于角反射器的雷达测试装置
Parker et 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applications
SU311324A1 (ru) Антенна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