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390B1 -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 Google Patents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390B1
KR101913390B1 KR1020160147892A KR20160147892A KR101913390B1 KR 101913390 B1 KR101913390 B1 KR 101913390B1 KR 1020160147892 A KR1020160147892 A KR 1020160147892A KR 20160147892 A KR20160147892 A KR 20160147892A KR 101913390 B1 KR101913390 B1 KR 10191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olar
balloon
ground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052A (ko
Inventor
최군환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4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3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75PV cell arrays made by cells in a planar, e.g. repetitive, configuration on a single semiconductor substrate; PV cell micro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n airbourn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ind Moto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던 태양광발전기와 풍력발전기를 지상에서 일정 높이의 공중으로 띄워서 넓은 토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태양광 및 풍력에 의해서 전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받아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개의 태양전지(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태양광모듈(2)을 이루도록 수개의 태양전지(1)가 부착되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플렉시블시트(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개의 태양광모듈(2)이 격자형태로 태양광어레이(3)를 이룰 때 이웃하는 태양광모듈(2)이 상호 플렉시블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된 플렉시블조인트(5)와,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수소가스와 헬륨가스가 내입되며 지면에 고정된 지지로프(61)에 연결되어 태양광어레이(3)를 공중으로 지면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띄워지게 설치된 베이스벌룬(6)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태양광발전기 및 풍력발전기를 지상이나 해상이 아닌 벌룬에 의해 공중으로 띄워서 많은 면적의 땅을 소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토지의 구매비를 절감 및 토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빛 반사에 의한 피해를 주지 않으므로 설치장소의 제약성 없이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중부양타입 발전기{Levitation type generator}
본 발명은 공중부양타입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상에 설치되던 태양광발전기와 풍력발전기를 지상에서 일정 높이의 공중으로 띄워서 넓은 토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태양광 및 풍력에 의해서 전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공중부양타입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solar cell)에 빛에너지(광자)가 쪼이면 전지에서 전자가 흐르면서 전기가 생산되어 태양광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발전은 태양전지를 얼마나 많이 연결하는가에 따라 휴대용 계산기 등의 소규모 발전부터 수천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대규모의 발전까지 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다수 연결해서 만든 태양전지판(모듈:module)을 다시 여러 개 연결하면 가정에서 사용가능할 만큼 많은 양의 전기가 생산되는 것이며, 태양광발전기는 고장이 거의 없고 수명이 수십 년 이상이며, 이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과 함께 고갈되지 않고 어디에나 존재하는 빛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풍력발전은 수십 와트 규모의 초소형부터 수백만 와트급의 초대형까지 다양한 풍력발전기가 개발되어 전기생산에 이용되고 있고, 1990년대부터 덴마크와 독일 등지에서 급속히 발전하여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으며, 소형은 건물 지붕에도 설치되지만 대형은 바람이 강한 평야와 구릉 그리고 바다에 세워지고 있는 실정이며, 풍력발전기는 날개의 회전축이 놓인 방향에 따라 수평축 발전기와 수직축 발전기로 나뉘며, 수직축 발전기는 변환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 설치되는 풍력발전기는 대부분 수평축 발전기이며, 이러한 수평축 발전기는 수평축 좌우에 날개와 발전기가 붙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바람이 불면 날개가 회전되면서 이 회전력은 축을 통해 발전기를 돌림으로써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며, 풍력발전의 발전량은 바람 세기의 세제곱에 비례하는 것이며, 바람은 지표면으로부터 높이 올라갈수록 강해지기 때문에 발전기의 높이가 커질수록 발전량도 증가하며, 태풍 등으로 바람이 너무 강하면 날개의 회전이 빨라져서 발전기에 손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이때는 발전기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태양광발전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1870호(2006년 11월 27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주로 지상에 설치되고, 풍력발전기는 지상뿐 만아니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년 제51931호(2002년 6월 29일자 공개)과 해상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태양광발전기와 풍력발전기를 지상에 설치할 시 넓은 설치장소와 더불어 주위로 높은 건축물이나 조형물 및 나무 등이 없어야 채광 및 통풍이 원활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주위가 트여 있으면서 넓은 토지를 구하려면 구매비가 많이 소요되며, 야산 등에 설치 시 숲의 많은 나무를 베어야 하므로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태양전지판의 빛 반사로 인하여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았던 것이다.
이에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년 제101078호(2007년 10월 16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애드벌륜륜풍선 내부에 헬륨가스를 채우고 외부에는 태양광발전셀을 붙여서 태양광발전기를 애드벌륜으로 공중에 띄운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약한 바람에도 애드벌륜풍선이 극심하게 움직여서 안정성이 떨어지며 애드벌륜풍선과 애드벌륜 고정줄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과 함께 구(球)형태의 애드벌륜풍선 외측에 태양광발전셀을 붙이기 어려워서 제작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애드벌륜풍선의 하측으로 붙은 태양광발전셀로는 태양광이 잘 비춰지지 않아서 태양광발전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0431870 Y1 2006. 11. 27. KR 10-2002-0051931 A 2002. 6. 29. KR 10-2007-0101078 A 2007. 10. 1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어 넓은 설치장소를 필요로 해서 주거지, 주거지 및 임야 등의 토지를 대거 잠식함으로써, 토지의 활용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태양광발전기의 태양전지판에 의한 빛의 반사로 인한 피해 및 풍력발전기의 소음으로 인한 피해 등을 없애기 위해 태양광발전기와 소형의 풍력발전기를 수소(hydrogen)와 헬륨(helium)이 주입된 벌룬(balloon)에 의해 지상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된 공중으로 부양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를 제공코자 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는 태양광을 받아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개의 태양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태양광모듈을 이루도록 수개의 태양전지가 부착되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플렉시블시트가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개의 태양광모듈이 격자형태로 태양광어레이를 이룰 때 이웃하는 태양광모듈이 상호 플렉시블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된 플렉시블조인트가 구비되며, 태양광어레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수소가스와 헬륨가스가 내입되며 지면에 고정된 지지로프에 연결되어 태양광어레이를 공중으로 지면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띄워지게 설치된 베이스벌룬이 구비되도록 해서 태양광발전기 및 풍력발전기를 지상이나 해상이 아닌 공중으로 부양되어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는 다음과 같이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첫째,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해상에 설치되던 태양광발전기와 풍력발전기를 벌룬에 의해서 공중으로 띄워서 많은 면적의 땅을 소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토지(경작지와 주거지 등)의 구매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많은 토지가 소요되지 않으므로 벌목한 산림, 경작지, 주거지 등이 대거 잠식되지 않으므로 토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셋째, 태양광발전기의 태양전지판에 의해서 주거지, 경작지, 양식장 등으로 빛의 반사가 없어서 빛 반사에 의한 피해를 주지 않으므로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장소의 제약이 없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넷째, 지면에서 이격된 공중에 설치되어 있어서 주위에 태양광을 가리지 않고, 바람이 강하게 불어 태양광발전량이나 풍력발전량이 향상되면서 4계절 모두 사용 가능하여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 중 소형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태양광모듈의 연결을 보인 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태양광모듈 사이로 탄소섬유봉이 개재된 일 예시도
본 발명은 태양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기와 바람의 풍력에 의해서 블레이드를 회전시켜서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발전기를 종래와 같이 지상이나 해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공중으로 띄워서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킨 공중부양타입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는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발전을 위한 수개의 태양전지(1)(solar cell)가 부착된 태양광모듈(2)(solar module) 수개가 연결 구성되어 이루어진 태양전지(1)판 전체인 태양광어레이(3)(solar array)를 수개의 벌룬(balloon)을 사용하여 지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띄워서 설치하되, 이에 소형풍력발전기(1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벌룬을 도 3에 도시된 입체도에서와 같이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지상에 고정된 지지로프(61)에 의해서 지지되게 설치하여 태양광어레이(3)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한 수개의 베이스벌룬(6)과 수개의 베이스벌룬(6)의 상부에 연계로프(71)로 연결되어 태양광어레이(3)를 보다 잘 띄울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베이스벌룬(6)을 상부로 지지토록 하는 기능을 하는 탑벌룬(7)으로 구분하여 베이스벌룬(6)만 설치하거나 베이스벌룬(6)과 탑벌룬(7)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벌룬(6)이나 탑벌룬(7)의 내부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수소와 헬륨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주입시켜서 공기 중의 벌룬 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개의 태양전지(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이루어진 태양광모듈(2)을 구성할 시 종래 수개의 태양전지(1)가 부착되던 금속판 대신 탄소섬유(carbon fiber)로 이루어져서 플렉시블한 플렉시블시트(4)에 태양광을 받으면 전자와 정공의 전하들이 발생되어 각각 P극과 N극으로 이동하여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광기전력)가 발생해서 연결된 부하로 전류가 생성되는 태양전지(1) 수개가 부착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수개의 태양전지(1)가 플렉시블시트(4)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태양광모듈(2)은 수개가 격자형태로 연결되어 태양광어레이(3)를 이루며,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서 베이스벌룬(6)이 설치된 위치 외의 위치나 필요에 따라서는 태양광모듈(2)의 사이에 소형풍력발전기(10)가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서 블레이드(11)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발생토록 구성되며, 이러한 소형풍력발전기(10)는 그 외에도 태양광모듈(2)의 플렉시블시트(4)의 상부나 하부 또는 후술할 플렉시블조인트(5)와 연계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이웃하는 태양광모듈(2)이 상호 플렉시블하게 연결되도록 플렉시블조인트(5)가 이웃하는 태양광모듈(2)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조인트(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태양광모듈(2)의 각 플렉시블시트(4)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고리, 와이어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연결되는 이웃하는 태양광모듈(2)이 플렉시블하게 유동되도록 연결되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연결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웃하는 수개의 태양광모듈(2) 사이에는 태양광모듈(2)이 연결 구성된 태양광어레이(3)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섬유봉(8)이 개재되게 설치되며, 이때 상기 플렉시블조인트(5)로 탄소섬유봉(8)을 태양광모듈(2)에 플렉시블하게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태양광모듈(2)의 플렉시블시트(4)에는 태양전지(1)가 부착된 위치 외의 위치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수개의 통풍공(41)이 형성되어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바람이 통풍공(41)을 통과해서 나가므로 바람의 저항을 줄여서 이 역시 태양광모듈(2) 및 태양광어레이(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벌룬(6) 또는 탑벌룬(7)에는 소형풍력발전기(10)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서 전열이 발산되는 전열선(9)이 배선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전열선(9)은 베이스벌룬(6) 또는 탑벌룬(7)의 내측 또는 외측 등에 다양한 형태로 배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중부양타입 발전기는 수개의 태양전지(1)를 탄소섬유로 된 플렉시블시트(4)에 부착 구성한 태양광모듈(2) 수개를 플렉시블조인트(5)를 이용해서 연결해 태양광어레이(3)를 구성하며, 이에 의해서 전체가 가볍고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수소와 헬륨이 주입되어 공중 부력이 우수한 베이스벌룬(6)이나 이에 탑벌룬(7)을 더하여 지상이나 해상이 아닌 지면에서 100~150m 정도의 소정 간격을 갖도록 공중에 부양시켜서 태양광발전을 공중에서 일어나도록 하며,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나 태양광모듈(2) 사이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소형풍력발전기(10)에 의해서 풍력발전도 함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장소가 많이 필요하여 구매비가 상승하면서 설치 위치에 따라서 주위 빌딩이나 산 또는 숲 등에 의하여 태양광이 가리던 지상에 설치되거나 파도 등에 견디도록 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던 해상에 설치되는 종래 발전기보다 베이스벌룬(6)이나 탑벌룬(7)에 의해서 공중에 부양시킨 본 발명은 많은 설치장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토지 구매비가 현저히 절감되면서 지지 구조물이 필요 없어서 설치비가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하면서 공중에 태양광을 가리는 것이 없어서 발전효율이 훨씬 높으며, 이에 소형풍력발전기(10)까지 있어서 발전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태양광어레이(3)를 베이스벌룬(6)이나 이에 더하여 탑벌룬(7)에 의해서 공중으로 띄울 시 태양광어레이(3)를 이루는 태양광모듈(2)을 탄소섬유로 된 플렉시블시트(4)에 수개의 태양전지(1)가 부착되도록 하여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플렉시블시트(4)와 플렉시블조인트(5)에 의해서 바람에 저항을 줄이면서 공중부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플렉시블시트(4)에 통풍공(41)을 형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서, 태양광어레이(3)를 공중부양타입으로 하기에 최적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태양전지, 2:태양광모듈, 3:태양광어레이, 4:플렉시블시트, 41:통풍공, 5:플렉시블조인트, 6:베이스벌룬, 61:지지로프, 7:탑벌룬, 71:연계로프, 8:탄소섬유봉, 9:전열선, 10:소형풍력발전기, 11:블레이드(11)

Claims (6)

  1. 태양광을 받아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개의 태양전지(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태양광모듈(2)을 이루도록 수개의 태양전지(1)가 부착되는 자체적으로 플렉시블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플렉시블시트(4);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개의 태양광모듈(2)이 격자형태로 태양광어레이(3)를 이룰 때 이웃하는 태양광모듈(2)이 상호 플렉시블하게 연결되도록 수개의 태양전지(1)가 부착된 이웃하는 플렉시블시트(4)를 관통하게 연결 설치된 플렉시블조인트(5);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 수개가 고정되면서 내부에 수소가스와 헬륨가스가 내입되며 지면에 고정된 지지로프(61)에 연결되어 태양광어레이(3)를 공중으로 지면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띄워지게 설치된 베이스벌룬(6);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 또는 수개의 태양광모듈(2) 사이에 각각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11)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발생토록 구성된 소형풍력발전기(10);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태양광어레이(3)의 가장자리에 고정된 각각의 베이스벌룬(6)과 동시에 연계로프(71)로 연결 설치되어 부력을 향상시키면서 각각의 베이스벌룬(6)을 상부로 지지되게 구성된 탑벌룬(7);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수개의 태양광모듈(2)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되어 플렉시블조인트(5)로 연결 구성되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섬유봉(8);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태양광모듈(2)의 플렉시블시트(4)에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관통 형성된 수개의 통풍공(41);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소형풍력발전기(10)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서 전열이 발산되도록 베이스벌룬(6)에 배선되게 설치된 전열선(9);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KR1020160147892A 2016-11-08 2016-11-08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KR10191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92A KR101913390B1 (ko) 2016-11-08 2016-11-08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92A KR101913390B1 (ko) 2016-11-08 2016-11-08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52A KR20180051052A (ko) 2018-05-16
KR101913390B1 true KR101913390B1 (ko) 2018-10-30

Family

ID=6245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892A KR101913390B1 (ko) 2016-11-08 2016-11-08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33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레즐러 공중부양식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6006B (zh) * 2023-09-05 2023-12-15 长春市分子天空能源发展有限公司 悬浮发电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31B1 (ko) 2010-11-25 2011-06-29 윙쉽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상공 부상형 신재생에너지 발전 장치
KR101275883B1 (ko) * 2011-12-27 2013-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날개 구조
KR101490694B1 (ko) * 2013-11-22 2015-02-06 주식회사 선반도체 집광식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집광식 태양전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31B1 (ko) 2010-11-25 2011-06-29 윙쉽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상공 부상형 신재생에너지 발전 장치
KR101275883B1 (ko) * 2011-12-27 2013-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날개 구조
KR101490694B1 (ko) * 2013-11-22 2015-02-06 주식회사 선반도체 집광식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집광식 태양전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33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레즐러 공중부양식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KR102471513B1 (ko) 2020-04-02 2022-11-28 주식회사 레즐러 공중부양식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52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946B2 (en) Modular wind-solar energy converting assembly
US20090218823A1 (en) Wind turbin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peller-type rotors
KR101595912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력구조물
US8546971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wind power
KR101630366B1 (ko) 풍력발전기의 회전 블레이드겸용 태양광 발전 솔라 패널 에레이장치
US20120119692A1 (en) Power generator of hybrid type
KR101272968B1 (ko) 원형 및 다면각 분할 태양광 및 풍력 융합 발전시스템
KR101037326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태양전지판
CN114128134A (zh) 具有至少一个光伏元件的柱子及光伏元件在柱子上的用途
KR101913390B1 (ko) 공중부양타입 발전기
JP4141935B2 (ja) 太陽光発電装置と風力発電装置を兼ね備えた建築物
KR101309542B1 (ko)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시행에 따른 발전부지가 필요없는 한국전력공사 네트워크 전력망 전주 주상공간을 활용한 차세대 분산형 스마트에너지 발전 공급 대량 시스템용 태양광 풍력 다방면 추적 융합발전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20109889A (ko) 건물형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 발전장치
CN101265875A (zh) 球状浮空垂直轴风力机
KR20130063210A (ko) 굴뚝형 풍력발전기
KR10177095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4478536B2 (ja) 自然エネルギー利用照明灯
US20070001465A1 (en) Windmill funnel and method of increasing windmill output
JP2014105701A (ja) 風力発電機能付太陽光発電装置
JP2005083327A (ja) 複合発電装置
EP2693046A2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array of vertical-axis wind turbines
KR20060106353A (ko) 바람 집진용 풍력발전기
KR102471513B1 (ko) 공중부양식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US20230024478A1 (en) Wind Energ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