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894B1 -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 Google Patents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894B1
KR101911894B1 KR1020170034830A KR20170034830A KR101911894B1 KR 101911894 B1 KR101911894 B1 KR 101911894B1 KR 1020170034830 A KR1020170034830 A KR 1020170034830A KR 20170034830 A KR20170034830 A KR 20170034830A KR 101911894 B1 KR101911894 B1 KR 10191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timulus
contact
detection unit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6470A (en
Inventor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17003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894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미디어 재생기기에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귀 또는 다른 인체 부위에 전기 자극의 인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11); 착용 부재(11)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각각의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극 전극(21a, 21b); 이어폰(12a, 12b)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S1); 및 착용 부재(11)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n electric stimulation apply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timulation applying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ear or other body parts by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edia reproducing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a hearing device. A hearing device having an electric stimulation applying structure includes: a wear member (11) having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At least one earphone (12a, 12b) coupled with the wearer (11)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generating one stimulus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Stimulating electrodes (21a, 21b)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earphones (12a, 12b)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human body; An operation detection unit (S1) for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earphones (12a, 12b); And an electric stimulus generator dispos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wearing member (11).

Description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n electric stimulation applic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미디어 재생기기에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귀 또는 다른 인체 부위에 전기 자극의 인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n electric stimulation apply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timulation applying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ear or other body parts by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edia reproducing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a hearing device.

인체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자극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저주파 자극, 온열 자극, 진동 자극 또는 전기 자극과 같은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자극은 자극 발생 회로를 가진 장치에 의하여 발생하고, 자극이 인체에 전달되도록 장치가 별도로 작동되어야 한다. 이로 의하여 자극 발생 장치에 대한 접근성이 감소되고, 장치가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설치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Various forms of stimulation known to be useful to the human body are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low frequency stimulation, thermal stimulation,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lly, such a stimulus is generated by a device having a stimulus generating circuit, and the device must be operated separately so that the stimulus is delivered to the human body.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accessibility to the stimulus generator is reduced and the device must be made independent and installed.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37592호는 귀 부위에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한 미세전류 자극용 이어폰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252452호는 미세전류 조절기에 의하여 각 단자 사이의 스위칭이 조절되면서 정해진 부위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에 대하여 개시한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37592 discloses an earphone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capable of applying a minute current to the ear area.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2452 discloses an earphone for inducing a flow of a minute current to apply a minute current to a predetermined portion while switching between the terminals is controlled by a minute current controller.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이어폰은 제한된 구조에서 자극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을 가진다. 귀에 착용되어 소리를 전달하는 청력 기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청력 기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전기 자극이 인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The earphone disclosed in the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 of generating a stimulus in a limited structure. The audiovisual device which transmits sound worn on the ear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be appropri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diovisual device.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such a structure.

본 발명은 공지된 또는 선행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known or prior arts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37592호(이영순, 2013년04월16일 공개) 미세전류 자극용 이어폰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7592 (published by Yongsoon Lee, Apr. 16, 2013) Micro earphone for earphone stimulation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252452호(박천정, 2013년04월16일 공고)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Prior Art 2: Patent Registration No. 10-1252452 (Published by Park Chun Jung, April 16, 2013) Earphone for inducing flow of micro current

본 발명의 목적은 히어링 디바이스에 결합된 이어폰에 전기 자극을 형성하고,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서로 다른 자극 전극을 통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ic stimulus in an earphone coupled to a hearing device and applying an electric stimulus through different stimulation electrodes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And to provide a hearing device having a stimulus applying structur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 착용 부재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각각의 이어폰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자극 전극, 복수의 자극 전극과 인체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접촉 탐지 유닛, 이어폰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 착용 부재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 복수의 자극 전극과 전기 자극 발생기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배분 모듈 및 접촉 탐지 유닛으로부터의 접속 상태 및 작동 탐지 유닛으로부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배분 모듈이 스위치 유닛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며 전기 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자극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of the electric stimulation applying structure comprises a wear member having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at least one member having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generating one stimulus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A contact detection unit for check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electrodes and the human body, an ope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arphone, A distribution module including a switch modu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imulating electrodes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generator, and a connection state from the contact detection unit and an operation state from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module se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witch unit, And a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ed by the stimulation generator.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히어링 디바이스는 각각의 자극 전극에 인가되는 자극에 따른 자극 결과를 탐지하여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자극 탐지 유닛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comprises a stimulus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t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timulus applied to each stimulation electrod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히어링 디바이스는 제어 모듈로부터 자극 결과를 전송받아 자극 결과를 저장하고 자극 결과를 배분 모듈로 전송하는 배분 탐지 유닛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comprises a distribution detection unit which receives the stimulation result from the control module, stores the stimul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stimulation result to the allocation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자극 전극은 인체의 접촉 위치 또는 자극 인가 형태에 따라 다수 개의 자극 그룹으로 분류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timulating electrode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timulation groups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human body or the stimulation application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극 그룹으로의 자극 인가의 순서, 인가되는 자극의 형태, 시간 또는 크기는 자극 회전 테이블에 의하여 결정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stimulation to the stimulation group, the type, time or size of stimulation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stimulus rotation table.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둘레 면에 자극 전극을 형성하면서 이어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자극 전극을 통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 자극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전기 자극이 주기적으로 정해진 부위에 배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ect of the electric stimulation by apply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hrough various stimulation electrod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arphone while forming the stimulation electrode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phone. In addition, the he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lectric stimulation to be distributed periodically at predetermined portions,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he stimul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 설치된 자극 전극 그룹에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in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o a stimulation electrode group provided at different parts of the human body.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 stimulus is applied by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히어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11); 착용 부재(11)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각각의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극 전극(21a, 21b); 이어폰(12a, 12b)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S1, S2); 및 착용 부재(11)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earing device comprises a wear member 11 having at least one contact area; At least one earphone (12a, 12b) coupled with the wearer (11)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generating one stimulus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Stimulating electrodes (21a, 21b)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earphones (12a, 12b)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human body; An operation detection unit (S1, S2)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arphones (12a, 12b); And an electric stimulus generator dispos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wearing member (11).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목, 귀, 손목 또는 허리와 같은 부위에 착용되도록 하는 착용 모듈 및 귓속 또는 귀 부위에 삽입 또는 접촉되어 소리가 귓속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소리 전달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모듈은 목 부위의 착용을 위한 착용 부재(11)를 포함하고, 소리 전달 모듈은 착용 부재(11)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어폰(12a, 12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ring device 10 may comprise a wear module to be worn on, for example, a neck, an ear, a wrist or a waist, and a sound transmission module for inserting or contacting the ear or ears to allow sound to be delivered to the ear. The wearing module includes a wearing member 11 for wearing the neck portion and the sound transmitting module may include earphones 12a and 12b connected to the wearing member 11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목 부위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착용 부재(11)는 인체에 접촉 가능한 위생 수준으로 처리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는 속이 빈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선 배치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는 둘레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목 부위 접촉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earing member 11 having a wearable structure on the neck can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treated to a sanitary level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human body. The wearing member 11 may be made in a hollow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so that wiring can be arranged inside. The wearing member 11 may include at least one neck region contact area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착용 부재(11)의 양쪽 끝 부분에 수용 공간(V1, V2)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 공간(V1, V2)의 내부에 전기 자극 발생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칩(14); 배터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또는 배선 분배 유닛(112a, 112b)과 같은 것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 공간(V1, V2)의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은 착용 부재(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배선에 의하여 작동 탐지 유닛(S1, S2) 또는 자극 전극(21a, 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V1, V2)의 외부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무선 통신을 위한 패턴 안테나(AN1, AN2)가 형성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외부 음의 유입을 위한 마이크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 마이크(15)를 포함할 수 있다. Accommodating spaces V1 and V2 can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earing member 11 and Bluetooth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s V1 and V2 through an electric stimulus generator such as a smart phone A communication chip 14; battery; Such as a circuit board or wiring distribution unit 112a, 112b that includes a microprocessor. The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s V1 and V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detecting units S1 and S2 or the stimulating electrodes 21a and 21b by the wiring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earing member 11 have. Pattern antennas AN1 and AN2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m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s V1 and V2 or at other appropriate positions. The hearing device 10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external sound or a call microphone 15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to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이어폰(12a, 12b)은 착용 부재(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신호 전송 배선과 연결될 수 있고, 착용 부재(11)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또는 스마트 폰의 재생 음 또는 통화음은 패턴 안테나(AN1, AN2)를 통하여 수신되어 이어폰(12a, 12b)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폰(12a, 12b)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조절 유닛(13a, 13b)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The earphones 12a and 12b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wiring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earer 11 and may be coupled to the wearer 11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Playback sounds or voice signals of the external multimedia player or the smartphone can be received via the pattern antennas AN1 and AN2 and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12a and 12b. The signals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12a and 12b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ment units 13a and 13b.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한 자극 전극(21a, 21b)이 형성될 수 있다. 자극 전극(21a, 21b)은 수용 공간(V1, V2)에 배치된 전기 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자극을 인체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가 인체에 접촉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경우 착용 부재(11)의 인체 접촉 부위에 자극 전극(21c)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자극은 예를 들어 자극은 진동 자극(VR), 1 내지 1,000 ㎂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자극(ME), 저주파 자극을 발생시키는 저주파 자극(LF), 경피 신경 자극(TE) 또는 압력 자극(PR)과 같은 다양한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자극(VR)은 전기 진동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하여 압전 소자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전류 자극(ME)은 1 내지 1,000 ㎂의 크기를 가지는 인체에 유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류가 인체로 흐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주파 자극(LF)은 인체에 접촉하는 유전체 박막에 다수 개의 코팅 또는 인쇄 형태의 전극을 배치하고 예를 들어 10 내지 100 Hz의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인체 내부로 저주파가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경피 신경 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은 예를 들어 1 내지 100 pps(pulse per second)의 주파수로 비대칭적으로 서로 다른 위상, 삼각파 또는 톱니파와 같은 것을 1 내지 10 V 및 0.01 내지 10 mA의 전류 조건으로 예를 들어 통증 부위 또는 경혈과 같은 부위에서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압력 자극(PR)은 예를 들어 자극 유닛을 열 수축 필름과 열 저항 소재로 형성하여 전류의 흐름에 따라 열 저항 소재의 열의 발생에 의하여 열 수축 필름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열 수축 필름은 튜브 형상이 될 수 있고, 압력 자극(PR)은 열 자극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자극이 다양한 부위에 형성된 자극 유닛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자극을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자극 유닛 중 하나의 자극 유닛 또는 서로 다른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 유닛 중 하나의 자극 유닛은 작동 자극 유닛이 될 수 있다. 작동 자극 유닛은 자극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자극(PR)이 작동 자극이 될 수 있다. 압력 자극(PR)이 작동 자극으로 선택되면 압력 자극은 간헐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자극은 1분 내지 2분 사이의 시간 간격을 가지도록 임의로 선택되어 발생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작동 자극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지는 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작동 자극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pole electrodes 21a and 21b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phones 12a and 12b to be able to contact the human body. The stimulating electrodes 21a and 21b may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lectric stimulus generated by the electric stimulus generator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s V1 and V2 to the human body. When the wearable member 11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stimulating electrode 21c may be formed at the human body contact portion of the wearable member 11. [ The electrical stimul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stimulation with a vibrating stimulus (VR), a microcurrent stimulus (ME) generating a microcurrent of 1 to 1,000 ㎂, a low frequency stimulus (LF) generating a low frequency stimulus, And may include various stimuli such as stimulation (PR). The vibrating stimulus (VR) may be such as an electrical vibr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piezoelectric element by voltage or current. Micro current stimulation (ME) means that a current known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human body having a size of 1 to 1,000 占 흐 flows into the human body. The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LF) refers to arranging a plurality of coated or printed electrodes on a dielectric thin film in contact with a human body, and inducing a low frequency into the human body by applying an alternating current of 10 to 100 Hz, for examp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 may be performed as an asymmetrically different phase, such as triphasic or sawtooth, at a frequency of 1 to 100 pps (pulse per second), such as 1 to 10 V and 0.01 to 10 mA For example, at a site such as a pain site or menstrual blood. The pressure stimulus PR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in such a manner that the stimulating unit is formed of a heat shrinkable film and a heat resistant material so that the heat shrinkable film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generation of heat of the heat resistant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flow . The heat shrinkable film may be in a tube shape, and the pressure stimulus PR may be applied as a thermal stimulus. Various types of stimulation can be generated in the stimulation unit formed at various sites. One of the plurality of stimulating units for generating one stimulation or one of the stimulating units for generating different stimulation may be an operation stimulating unit. The operation stimulating unit can function to recognize that the stimulation is occurring to the user. For example, a pressure stimulus (PR) can be an action stimulus. If the pressure stimulus PR is selected as the working stimulus, the pressure stimulus may be generated intermittently or discontinuously. For example, the pressure stimulus may be generated randomly so as to have a time interval between 1 minute and 2 minutes. Alternatively, the working stimulus can be generated in a manner that applies a stimulus having a relatively large enough magnitude. Operational stimulation may be generated in a variety of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자극 전극(21a, 21b, 21c)에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상태가 조절 유닛(13a, 13b)에 표시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조절 유닛(13a, 13b)에 소리 신호 전달 상태와 전기 자극 인가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린 및 상태 표시 조절을 위한 조절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ng electrodes 21a, 21b and 21c can be displayed on the adjusting units 13a and 13b and the state of the sound signal transmission and the state of the electric stimulation are supplied to the adjusting units 13a and 13b And an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status display may be provided.

자극 전극(21a, 21b, 21c)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어폰(12a, 12b)의 외부 표면(121)을 전도성 잉크로 코팅을 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외부 표면(121)에서 이어폰(12a, 12b)이 귀에 삽입된 상태에 인체에 접촉되는 부분에 기초하여 외부 표면(121)을 둘러싸는 다수 개의 고리 전극(211 내지 21K)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 전극(211 내지 21K)은 이어폰(12a, 12b)의 전송 배선(123)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극 전도 와이어와 연결되는 커넥터(122)에 접촉 전극(12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고리 전극(211 내지 21K)은 띠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극(221, 2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timulating electrodes 21a, 21b and 21c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and can be made in the form of coating the outer surface 121 of the earphones 12a and 12b with conductive ink. Or a plurality of annular electrodes 211 to 21K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21 based on a portion where the earphones 12a and 12b ar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ear. The ring electrodes 211 to 21K may be connected by a contact electrode 125 to a connector 122 that is connected to a stimulation conductive wire disposed inside the transmission line 123 of the earphones 12a and 12b. Also, the ring electrodes 211 to 21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t least one connection electrode 221 and 222 formed in a strip shape.

자극 전극(21a, 21b)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timulating electrodes 21a and 21b can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in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배분 모듈(23)에 의하여 착용 부재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이어폰 또는 착용 부재에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인체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인체에 대한 접촉 상태는 접촉 탐지 유닛(25)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5)은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특정 형상을 가지는 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접촉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접촉 압력을 탐지하여 접촉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5)에 의하여 탐지된 접촉 상태가 배분 모듈(23)로 전송될 수 있다. 배분 모듈(23)은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을 전기 자극 발생기(24)와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5)은 주기적으로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접촉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인가되는 자극의 크기가 배분 모듈(23)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stimulation generator 24 disposed on the wear member by the dispensing module 23.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the earphone or the wearing member, and each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contact state of each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to the human body can be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ng unit 25. [ The contact detection unit 25 can detect the contact state of each of the magnetic pole electrodes 231 to 23N by applying a pulse current having a specific shape to each of the magnetic pole electrodes 231 to 23N. Or the contact pressure of each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may be detected to detect the contact state. The contact state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25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tribution module 23. [ The distribution module 23 may include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each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with the electric stimulus generator 24. [ The contact detection unit 25 can periodically check the contact state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stimulus applied to each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is determined by the dispensing module 23 .

배분 모듈(23)은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고,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각각의 인체 부위의 접촉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module 23 can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in various ways and the stimulating electrodes 231 to 23N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ntact state of each human body part have.

도 3은 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 설치된 자극 전극 그룹에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o a stimulation electrode group provided at different parts of the human body.

도 3을 참조하면, 자극 전극은 한쪽 귀에 접촉되는 1 귀 자극 유닛(331); 다른 귀에 접촉되는 2 자극 유닛(332) 및 착용 부재에 배치되어 목 부위에 접촉되는 목 자극 유닛(3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은 각각 스위치 유닛(SW1, SW2, SW3)에 의하여 자극 발생 모듈(32)과 연결될 수 있다. 자극 발생 모듈(32)은 위에서 설명된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 유닛(SW1, SW2, SW3)은 배분 모듈(23)에 포함될 수 있다. 자극 발생 모듈(32)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자극은 제어 모듈(3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에서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이어폰과 2 이어폰의 작동 상태가 작동 탐지 유닛(SE)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탐지 유닛(SE)에 의하여 각각의 이어폰의 작동 상태가 탐지 될 수 있고, 접촉 탐지 유닛(25)에 의하여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 전극의 인체에 대한 접촉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31)은 작동 탐지 유닛(SE) 및 접촉 탐지 유닛(25)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배분 모듈(23)로 전송하여 각각의 스위치 유닛(SW1, SW2, SW3)의 연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에 포함된 자극 전극의 수에 따라 각각의 스위치 유닛(SW1, SW2, SW3)은 다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timulating electrode includes one ear-stimulating unit 331 which contacts one ear; A two-pole unit 33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ar, and a neck-pole unit 333 that is disposed in the wearer and contacts the neck. Each of the stimulating units 331, 332, and 333 may be connected to the stimulation generating module 32 by the switch units SW1, SW2, and SW3, respectively. The stimulus generation module 32 may include the electric stimulation generator described above, and each of the switch units SW1, SW2, and SW3 may be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module 23. [ Each stimulus generated in the stimulus generation module 32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31 and the magnitude of the micro current generated in each stimulation unit 331, 332, 333 can be adjusted, for example, have. For example, the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can be detected by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SE. The operating state of each earphone can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SE and the contact detection unit 25 can detect the state of operation of at least one stimulation electrode included in each of the stimulation units 331, 332, The contact state can be confirmed. The control module 31 then transmit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SE and the contact detection unit 25 to the distribution module 23 to set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of the switch units SW1, SW2, SW3 have. Each of the switch units SW1, SW2, and SW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magnetic pole electrodes included in each of the magnetic pole units 331, 332, and 333.

각각의 자극 전극(331, 332, 333)은 다수 개의 자극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자극 전극은 이어폰(12a, 12b)의 일부를 형성하는 흡음 탄성 층(341); 및 흡음 탄성 층(341)의 위쪽에 형성되는 전도 층(3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음 탄성 층(341)은 이어폰의 외부 둘레 면 전체 또는 자극 전극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흡음 탄성 층(341)에 의하여 자극 전극이 인체에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다. 흡음 탄성 층(341)의 위쪽에 전도 층(342)이 배치되고, 접착 층(343)에 의하여 각각의 고리 전극(211 내지 21L)의 전도 층(342)에 접촉된 상태로 이어폰의 둘레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자극 전극이 안정적으로 인체에 접촉될 수 있다. Each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331, 332, 3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imulating electrodes, and each stimulating electrode may include a sound absorbing elastic layer 341 forming part of the earphones 12a, 12b; And a conductive layer 34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und absorbing elastic layer 341. The sound absorbing elastic layer 341 can be disposed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phone or on the portion where the stimulating electrode is formed and the stimulating electrode can be closely contacted to the human body by the sound absorbing elastic layer 341. The conductive layer 342 is disposed above the sound absorbing elastic layer 341 and the conductive layer 342 of the ring electrode 211 to 21L is contacted with the conductive layer 342 of the earphone by the adhesive layer 343 And can be stably fixed. With this structure, the stimulation electrode can be stably contacted to the human body.

자극 전극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timulating electrode can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 stimulus is applied by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자극 탐지 유닛(411, 412, 41S)에서 탐지된 정보가 제어 모듈(31)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자극 탐지 유닛(411, 412, 41S)은 각각의 자극 전극 또는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자극에 따른 결과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 자극 그룹(441)에 특정 파형 및 크기를 가지는 미세 전류가 인가되고, 인체에 인가되는 형태가 탐지될 수 있다. 자극 탐지 유닛(411, 412, 41S)은 각각의 자극 전극 또는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다양한 자극 결과를 주기적으로 탐지하여 제어 모듈(31)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 모듈(31)은 전송된 정보를 배분 모듈(23) 및 배분 탐지 유닛(4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배분 탐지 유닛(42)은 각각의 자극 전극 또는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의한 자극 인가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현재 자극 인가 결과를 저장하여 배분 모듈(2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자극 전극은 인체의 접촉 위치 또는 자극 인가 형태에 따라 다수 개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자극 탐지 유닛(411 내지 41S)에서 탐지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자극 그룹(441 내지 44M)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 개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이 분류되면 전기 자극은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 자극 그룹(441)으로 M 자극 그룹(44M)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 자극은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고, 각각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자극의 크기 및 시간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자극이 인가되는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대한 자극 인가의 순서, 인가되는 자극의 형태, 시간 또는 크기가 자극 회전 테이블(43)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배분 모듈(23)은 자극 회전 테이블(43)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자극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information detected in each of the stimulus detection units 411, 412, and 41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31. FIG. Each of the stimulus detection units 411, 412, and 41S may have a function of detecting a result according to a stimulus applied to each stimulation electrode or stimulus group 441 to 44M. For example, a microcurrent having a specific waveform and magnitude may be applied to the one-pole group 441, and the shape applied to the human body may be detected. The stimulation detection units 411, 412 and 41S may periodically detect and transmit various stimulation results to the stimulation electrodes or stimulation groups 441 to 44M to the control module 31, And may transmit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module 23 and the distribution detection unit 42. [ The distribution detection unit 42 may store data on the results of stimulation by each stimulation electrode or stimulus group 441 to 44M and may store and transmit the current stimulation results to the dispensing module 23. The plurality of stimulating electrodes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timulating groups 441 to 44M depending o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human body or the type of stimulation applied. Or may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stimulus groups 441 to 44M according to the results detected in the stimulus detection units 411 to 41S. If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groups 441 to 44M are classified in this manner, the electric stimulation can be sequentially applied, for example, the stimulation can be sequentially applied to the one stimulation group 441 from the M stimulation group 44M have. The stimulus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pulse, and the magnitude and time of the stimulus applied to each of the stimulus groups 441 to 44M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eriod in which the stimulus is applied to the entire stimulus groups 441 to 44M can be determined. Thus, the order of application of stimulation to each of the stimulation groups 441 to 44M, the type, time, or size of the applied stimulus can be stored in the stimulus rotation table 43. [ And the distribution module 23 can determine the stimulus structure applied to each of the stimulus groups 441 to 44M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stimulus rotation table 43. [

자극 인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timulation can be done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둘레 면에 자극 전극을 형성하면서 이어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자극 전극을 통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 자극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전기 자극이 주기적으로 정해진 부위에 배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ect of the electric stimulation by applying the electric stimulation through various stimulation electrod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earphone while forming the stimulation electrode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phone. In addition, the he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lectric stimulation to be distributed periodically at predetermined portions,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he stimulation.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히어링 디바이스 11: 착용 부재
12a, 12b: 이어폰 13a, 13b: 조절 유닛
14: 통신 칩 15: 통화 마이크
21a, 21b, 21c: 자극 전극 23: 배분 모듈
24: 전기 자극 발생기 25: 접촉 탐지 유닛
31: 제어 모듈 32: 자극 발생 모듈
42: 배분 탐지 유닛 43: 자극 회전 테이블
112a, 112b: 배선 분배 유닛 121: 외부 표면
122: 커넥터 123: 전송 배선
125: 접촉 전극 211, 212, 21K, 21L: 고리 전극
221, 222: 연결 전극 231, 232, 233, 23N: 자극 전극
331: 1 귀 자극 유닛 332: 2 자극 유닛
333: 목 자극 유닛 341: 흡음 탄성 층
342: 전도 층 343: 접착 층
411, 412, 41S: 자극 탐지 유닛 441, 442, 443, 44M: 자극 그룹
AN1, AN2: 패턴 안테나 S1, S2: 작동 탐지 유닛
SE: 작동 탐지 유닛 SW1, SW2, SW3: 스위치 유닛
V1, V2: 수용 공간
10: herring device 11: wearing member
12a, 12b: earphone 13a, 13b:
14: communication chip 15: call microphone
21a, 21b, 21c: stimulating electrode 23: distribution module
24: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or 25: contact detection unit
31: control module 32: stimulus generating module
42: distribution detection unit 43: stimulus rotation table
112a, 112b: wiring distribution unit 121: outer surface
122: connector 123: transmission wiring
125: contact electrode 211, 212, 21K, 21L: ring electrode
221, 222: connection electrodes 231, 232, 233, 23N:
331: 1 ear-stimulating unit 332: two-stimulating unit
333: a neck stimulation unit 341: a sound absorbing elastic layer
342: conductive layer 343: adhesive layer
411, 412, 41S: Stimulus detection unit 441, 442, 443, 44M: Stimulation group
AN1, AN2: Pattern antenna S1, S2: Operation detection unit
SE: Operation detection unit SW1, SW2, SW3: Switch unit
V1, V2: accommodation space

Claims (5)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
착용 부재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각각의 이어폰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자극 전극;
복수의 자극 전극과 인체 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접촉 탐지 유닛;
이어폰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
착용 부재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
복수의 자극 전극과 전기 자극 발생기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배분 모듈 및;
접촉 탐지 유닛으로부터의 접속 상태 및 작동 탐지 유닛으로부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배분 모듈이 스위치 유닛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며 전기 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자극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A wearer having at least one contact area;
At least one earphone having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generating one stimulus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n combination with the wear member;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electrod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earphone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human body;
A contact detection unit for confirming a contact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electrodes and the human body;
An ope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arphone;
An electric stimulus generator dispos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wearer;
A distribution module including a switch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stimulation electrodes and an electric stimulation generator;
And a control module for sett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from the contact detection unit and the operation state from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stimulus generat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generator Hearing device with electric stimulation applied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히어링 디바이스는 각각의 자극 전극에 인가되는 자극에 따른 자극 결과를 탐지하여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자극 탐지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ring device comprises a stimul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t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timulus applied to each stimulation electrode and for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control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히어링 디바이스는 제어 모듈로부터 자극 결과를 전송받아 자극 결과를 저장하고 자극 결과를 배분 모듈로 전송하는 배분 탐지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ring device comprises a distribution detection unit that receives the stimulation result from the control module, stores the stimul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stimulation result to the allocation module.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극 전극은 인체의 접촉 위치 또는 자극 인가 형태에 따라 다수 개의 자극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timulating electrode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timulation groups according to a contact position of the human body or a stimulation application mode.
제 4 항에 있어서,
자극 그룹으로의 자극 인가의 순서, 인가되는 자극의 형태, 시간 또는 크기는 자극 회전 테이블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rder of stimulation to the stimulation group, the type, time or size of stimulation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stimulus rotation table.
KR1020170034830A 2017-03-20 2017-03-20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KR1019118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0A KR101911894B1 (en) 2017-03-20 2017-03-20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0A KR101911894B1 (en) 2017-03-20 2017-03-20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70A KR20180106470A (en) 2018-10-01
KR101911894B1 true KR101911894B1 (en) 2018-10-29

Family

ID=6387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30A KR101911894B1 (en) 2017-03-20 2017-03-20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8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52B1 (en) * 2021-12-01 2023-05-08 김봉석 Portable stereo sound system with low frequency therapy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52B1 (en) * 2011-12-23 2013-04-16 박천정 Earphone capable of inducing flow of micro-current
KR101318989B1 (en) * 2013-02-18 2013-10-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Neck-wearable microcurrent/low-frequency cure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52B1 (en) * 2011-12-23 2013-04-16 박천정 Earphone capable of inducing flow of micro-current
KR101318989B1 (en) * 2013-02-18 2013-10-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Neck-wearable microcurrent/low-frequency cu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70A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11364380B2 (en) Nerve stimulation system, subsystem, headset, and earpiece
KR101802454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 Electrical Stimulus
US10130809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EP3154626B1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US1153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CN105457158B (en) Wearable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or
EP3741426A1 (en) Nerve stimulator
JP2018526134A5 (en)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GVS) device
JP7087346B2 (en) Electrotherapy device, control method, and treatment system
KR101911894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KR101252452B1 (en) Earphone capable of inducing flow of micro-current
CN107925803B (en) Sound transmission device and sound transmission system
CN111182831A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tation enhancement
WO2023068437A1 (en) Wireless earphone having vagus nerve stimulation function
US6843765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KR20160040960A (en) System for reproducing sound
JP6988252B2 (en) Low frequency treatment device
KR101793025B1 (en) A Beauty Device for Improving a Skin by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us
KR101931123B1 (en) An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Controlled by a Smart Device
KR20220141559A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a Scalp with a Micro Current
AU2016277603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KR20240061069A (en)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CA2488563C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