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069A -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 Google Patents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069A
KR20240061069A KR1020220142306A KR20220142306A KR20240061069A KR 20240061069 A KR20240061069 A KR 20240061069A KR 1020220142306 A KR1020220142306 A KR 1020220142306A KR 20220142306 A KR20220142306 A KR 20220142306A KR 20240061069 A KR20240061069 A KR 2024006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or
user
vagus nerve
electrod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병종
홍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to KR102022014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069A/en
Publication of KR2024006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0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53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vag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주신경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자극기와 상기 자극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기는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전극과 사용자의 이갑개정(Cymba concha)에 접촉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극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극기와 분리된 제어기가 표시부와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자극기 안전하게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폰형 자극기를 구비함으로써, 전극이 사용자의 귀에 잘 접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which includes a stimulator that is worn on the user's head and includes electrodes that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by contacting the user's skin,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timulator, and the stimulator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that contacts the user's cymba concha, and the controller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mounting unit that can hold the stimul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separate from the stimulator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and a mounting unit, so that the device is easy to use and the stimulator can be safely mount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Additionally, by providing a headphone-type stimulator, there is an effect in that the electrodes can be easily contacted to the user's ears.

Description

미주신경 자극 장치{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본 발명은 미주신경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람의 귀를 통해서 미주신경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that applie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vagus nerve through the human ear.

미주신경은 뇌신경들 중의 하나로서 10번째 뇌신경에 해당된다. 미주신경은 뇌로부터 나와서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서 분포하고,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신경으로서 심장, 폐, 소화관 등에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한다. 12쌍의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를 모두 포함한다.The vagus nerve is one of the cranial nerves and corresponds to the 10th cranial nerve. The vagus nerve emerges from the brain and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face, chest, and abdomen. It is a mixed nerve containing parasympathetic nerve fibers and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parasympathetic nerves that act on the heart, lungs, and digestive tract. It is the longest and most complex of the 12 pairs of cranial nerves, and contains both sensory and motor nerve fibers.

간질 치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장치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공인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목에 위치하는 경부 가지를 자극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미주신경의 경부가지 전기자극술은 피부에 직접 절개를 가하고 미주신경 경부 가지를 노출하여 그 외부에 전기소체인 코일을 감고 마이크로칩을 장착하는 시술을 수행하여 일반인에 의한 자가 치료의 영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It is known that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and depression have been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nd they target the cervical branch located in the neck. However, thi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ervical branch of the vagus nerve involves making a direct incision in the skin, exposing the cervical branch of the vagus nerve, wrapping an electric coil around the outside, and installing a microchip, so it cannot be used in the area of self-treatment by the general public. I can't.

간질 치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장치는 뇌로 들어가는 신경 신호를 제어하여 뇌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뉴로모듈레이션(Neuromodulation)에 기반을 둔 장치이다. 뉴로모듈레이션은 주어진 뉴런이 하나 이상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뉴런 집단을 조절하는 생리적 과정이며, 하나의 특정 파트너 뉴런의 빠른 작용 수용체를 겨냥하여 축삭 말단에서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하는 시냅스 전달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뉴로모듈레이션을 이용하여 신경계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만성적인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신경계에 전기 자극 또는 화학적인 자극을 가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미주신경자극 장치와 심부뇌자극 장치는 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장치를 인체 내부의 신경에 직접 부착하기 때문에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and depression affects the brain by controlling nerve signals entering the brain, and is a device based on neuromodulation. Neuromodulation is the physiological process by which a given neuron uses one or more chemicals to modulate a diverse population of neurons, and differs from synaptic transmission in which neurotransmitters are released from axon terminals by targeting fast-acting receptors on one specific partner neuron. there is. Methods of applying electrical or chemical stimulation to the nervous system are being studied as a method to improve nervous system function or reduce chronic pain using neuromodulation. 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nd deep brain stimulation device discussed earlier have very limited applications because the device that applie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nerves is directly attached to the nerves inside the human body.

한편, 사람의 귀는 미주신경이 지나가는 주요 경로이고, 미주 신경이 피부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기자극을 가하여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는 신체부위로 여겨진다. 동양의학에서는 귀에 대한 침술을 통해서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귀는 미주신경의 이개가지가 분포하는 곳으로서 미주신경에 대한 자극을 치료에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침을 이용하는 것은 일반인들이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human ear is the main path through which the vagus nerve passes, and because the vagus nerve is located close to the skin, it is considered a body part wher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can be applied from the outside. In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on the ear is used to treat diseases. The ear is where the auricular branch of the vagus nerve is distributed, so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can be seen as being used for treatm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using acupuncture that the general public cannot apply it.

이에 귀에 전극을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가하려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전극을 귀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착용이 어렵거나 착용감이 낮은 형태로 제작되고,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기를 동작시키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by contacting electrodes to the ear,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wear or manufactured in a form that is not comfortable to wear in order to contact the electrodes to the ear, and making it inconvenient to operate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6540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59654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8300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9-008830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6540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59654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에 위치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이 편리한 미주신경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is configured to easily stimulate the vagus nerve located in the e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주신경 자극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자극기와 상기 자극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기는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전극과 사용자의 이갑개정(Cymba concha)에 접촉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극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timulator that is worn on the user's head and includes an electrode that contacts the user's skin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timulator, The stimulator includes a first electrode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d a second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user's cymba concha, and the controller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holder on which the stimulator can be mounted.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자극기와 상기 제어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imulator and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상기 자극기는 전극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쪽에 위치되는 2개의 바디와 2개의 바디를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헤드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stimulator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headphone that includes two bodies located near the user's ears, i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and an elastic connector connecting the two bodies.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을 상기 바디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is detachable from the body.

상기 표시부는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표시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unit is preferably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자극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can control the stimulator through a touch screen.

상기 거치부는 거치된 자극부의 전극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may include an ultraviolet lamp capable of perform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on the electrodes of the mounted stimulation unit.

상기 거치부는 거치된 자극부를 충전하는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may perform a charging function of charging the mounted magnetic pole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극기와 분리된 제어기가 표시부와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자극기 안전하게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separate from the stimulator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and a mounting unit, so that the device is easy to use and the stimulator can be safely mount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또한, 헤드폰형 자극기를 구비함으로써, 전극이 사용자의 귀에 잘 접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by providing a headphone-type stimulator, there is an effect in that the electrodes can be easily contacted to the user's ea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신경 자극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의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symbol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r be provided with other components. .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주신경 자극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의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미주신경 자극 장치는 자극기(100)와 제어기(2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consists of a stimulator 100 and a controller 200.

자극기(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귀에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전극(120)과 사용자의 이갑개정(Cymba concha)에 접촉하는 제2전극(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imulator 100 is worn on the user's head and includes electrodes that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by contacting the user's ears.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20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d a second electrode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cymba concha.

본 실시예에서 자극기(100)는 사용 편의를 위하여 헤드폰 형상으로 제작된다. 헤드폰 형상은 양쪽 귀에 위치하는 2개의 바디와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연결체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전극(120)과 사용자의 이갑개정에 접촉하는 제2전극(110)은 2개의 바디 각각에 형성되고, 연결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2개의 바디가 양쪽 귀에 밀착되면서 제1전극(120)은 외이도에 삽입되고 제2전극(110)은 이갑개정에 접촉된다. 자극기(100)는 소리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이도에 삽입된 제1전극(120)에 소리 전달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timulator 100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headphone for convenience of use. The headphone shape includes two bodies located on both ears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bodies, and the connector generally has elasticity. The first electrode 120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d the second electrode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concha are formed on each of the two bodies, and the two bodies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ear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body, and the first electrode (120)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d the second electrode (110) is in contact with the concha concha. The stimulator 100 may include a sound generating unit, and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for sound transmission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120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바디에서 전극이 형성되는 부분을 탄성 재질로 구성하면, 제1전극(120)과 제2전극(110)의 위치가 미세하게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귀 형상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에 자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f the part of the body where the electrodes are forme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10 can be slightly moved and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ears.

이때, 제1전극(120) 및/또는 제2전극(110)을 바디에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전극을 탈부착할 수 있는 경우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전극 부품을 구비하고, 이들을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귀모양에 따라서 적절한 전극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탈부착할 수 있는 경우에, 전극을 분리하여 세척과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귀에 접촉하는 전극의 특성상 내구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전극만을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자극기(100)를 교체하는 것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irst electrode 120 and/or the second electrode 11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de is detachable, electrode par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provided and used interchangeably, so that an appropriate electrode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ear. Additionally, when the electrodes are detach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leaning and disinfection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electrodes. Furthermore, durability may be a problem due to the nature of the electrodes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s, but by replacing only the electrodes, the service life can be increased at a lower cost compared to replacing the entire stimulator 100.

자극기(100)는 유선과 무선으로 모두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선 연결을 위한 전선은 필요시에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timulator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operate both wired and wirelessly, and wires for wired connection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used only when necessary.

제어기(200)는 자극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표시부(210)와 거치부(220)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20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imulator 100 and includes a display unit 210 and a mounting unit 220.

표시부(210)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거치부(220)는 자극기(1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221)이 형성된다. 표시부(210)는 거치부(220)에 연결부(212)를 통해서 연결되며, 연결부(212)는 표시부(210)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information and shows it to the user, and the mounting unit 220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221 on which the stimulator 100 can be mounted. The display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220 through a connection unit 212, and the connection unit 2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hang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210.

표시부(210)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명상을 위한 영상이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0 can display a video, and can display images or shapes for meditation.

표시부(21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표시부(210)를 직접 터치하여 자극기(100)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stimulator 100 by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unit 210.

거치부(220)는 자극기(100)의 외형에 맞춘 거치홈(221)이 형성되어 자극기(100)를 쉽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드폰 형상인 자극기(100)의 바디가 위치하는 부분에 살균램프(222)를 설치하여 바디 및 전극에 대한 자외선 살균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극기(100)가 거치부(220)에 거치되면 살균램프(222)가 자동으로 동작하며, 살균램프(222)는 소정 시간 동작한 뒤에 자동으로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have a mounting groove 221 that matches the external shape of the stimulator 100 so that the stimulator 100 can be mounted easily and stably.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terilizing lamp 222 in the portion where the body of the headphone-shaped stimulator 100 is located to perform ultraviolet sterilization of the body and electrodes. When the stimulator 1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20, the sterilizing lamp 222 operates automatically, and the sterilizing lamp 222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urn off after operat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자극기(100)와 제어기(2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stimulator 100 and the controller 200 are connected wirelessly, they may be connected using Bluetooth.

자극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1전극(120)과 제2전극(110)이 피부에 접촉한 상태를 평가하는 착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설명에 따라서 착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제1전극(120)과 제2전극(110)으로 전기자극을 인가하여 전극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착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20)의 경우에는 소리 테스트를 통해서 외이도에의 밀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전극(120)이 외이도에 밀착되면 제1전극(120)의 관통공을 통해서 귀속으로 발신되는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자극기(100)에서 음파 신호를 발신하는 상태에서 자극기(100) 또는 제어기(200)에 설치된 마이크에서 음파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제1전극(0의 착용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While wearing the stimulator 100, a wearing test can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10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A wearing tes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and a wearing test can be performed to check the contact state of the electrodes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10.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electrode 120, adhesion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can be confirmed through a sound test.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when the first electrod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e sound transmitted into the ea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electrode 120 does not leak out, the stimulator 100 transmits a sound wave signal. A wearing test of the first electrode (0) can be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a sound wav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nstalled in the stimulator 100 or the controller 200.

자극기(100)에 별도의 충전지가 내장되는 경우, 자극기(100)가 거치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자극기(100) 및/또는 제어기(200)에서 자극기(100)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LED 가 설치될 수 있고, 표시부(210)에서 자극기(100)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충전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자극기(100)와 제어기(200) 각각에 형성된 충전 단자의 접촉에 의해서 충전이 수행될 수도 있고, 단자 없이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이 진행될 수도 있다. 자극기(100)가 충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알림음이나 알림표시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반대로 자극기(100)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 자극기(100)가 거치되었으나 충전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알림음이나 알림표시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f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is built into the stimulator 100, charging can be performed while the stimulator 100 is mounted on the holder 220. An LED that displays the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stimulato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stimulator 100 and/or the controller 200, and the display unit 210 may display the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stimulator 100. The charg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harging may be performed by contacting charging terminals formed on each of the stimulator 100 and the controller 200, or charging may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without a terminal.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the stimulator 100 is mounted in a rechargeable state through a notification sound or a notification display. Conversely, a separate sensor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stimulator 100 is mounted, so that when the stimulator 100 is mounted but is not in a rechargeable state, th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warn the user through an alarm sound or a notification display.

자극기(100)가 거치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자극기(100)의 전원을 차단하고, 자극기(100)가 거치부(220)에서 분리됨 자극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자극기(100)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미리 알림음이나 알림표시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 When the stimulator 100 is mounted on the holder 220, the power to the stimulator 100 is cut off, and the stimulator 10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20. Energy is saved by configuring the power to be applied to the stimulator 100. You can save. If the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stimulator 100 is low, the user can be warned through a warning sound or notification display and encouraged to charge.

제어기(200)는 제품 사용 설명서를 저장하고, 표시부(210)를 통해서 제품 사용 설명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can store the product instruction manual and display the product instruction manual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제어기(200)를 통해서 사용자가 전기자극의 세기나 음향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고, 음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좌측과 우측에서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나 음향의 볼륨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자극과 음향에 대한 개별적인 조절을 수행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복수의 치료 코스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치료 코스는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서 추가될 수 있다.Through the controller 200, the user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or the volume of the sound and select a sound source. Additionally, the intensity of electrical stimulation or the volume of sound appli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reatment courses without individually adjust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and sound. These treatment courses may be added through continuous updates.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not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자극기
110: 제2전극
120: 제1전극
200: 제어기
210: 표시부
212: 연결부
220: 거치부
221: 거치홈
222: 살균램프
100: Stimulator
110: second electrode
120: first electrode
200: controller
210: display unit
212: connection part
220: Holder
221: Holding home
222: Sterilization lamp

Claims (7)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제1전극과 사용자의 이갑개정(Cymba concha)에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자극기;
상기 자극기를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극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A stimulator worn on the user's head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that is inserted into the user's external auditory canal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and a second electrode that contacts the user's cymba concha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timulator and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mounting unit that can hold the stimul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기와 상기 제어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In claim 1,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wherein the stimulator and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기는 전극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쪽에 위치되는 2개의 바디와 2개의 바디를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헤드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In claim 1,
The stimulator is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adphone including two bodies located near the user's ears with electrodes and an elastic connector connecting the two bodi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중에 하나 이상을 상기 바디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In claim 3,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etachable from th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표시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In claim 1,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unit is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In claim 1,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wherein the display unit consists of a touch scr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거치된 자극부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 자극 장치.
In claim 1,
A vagus nerve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unit can charge the mounted stimulation unit.
KR1020220142306A 2022-10-31 2022-10-31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KR202400610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306A KR20240061069A (en) 2022-10-31 2022-10-31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306A KR20240061069A (en) 2022-10-31 2022-10-31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069A true KR20240061069A (en) 2024-05-08

Family

ID=9107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306A KR20240061069A (en) 2022-10-31 2022-10-31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06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40B1 (en) 2004-11-03 2006-07-06 정종필 Apparatus for stimulate a vagus nerve using electric pulses
KR20190088300A (en)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Nerve stimu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40B1 (en) 2004-11-03 2006-07-06 정종필 Apparatus for stimulate a vagus nerve using electric pulses
KR20190088300A (en)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Nerve stimul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4380B2 (en) Nerve stimulation system, subsystem, headset, and earpiece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20170027812A1 (en) Nerve stimulation system and related controller
EP3154626B1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US20200345970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US20190046794A1 (en) Multi-factor control of ear stimulation
US10039928B2 (en) Ear stimulation with neural feedback sensing
JP4961016B2 (en) Device for applying a stimulus percutaneously or detecting a parameter percutaneously
RU2393884C2 (en) Device for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of human body
US1153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20200338348A1 (en) Multimodal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f Treatment, Feedback Collection and Remote Therapist Control
CA2981044A1 (en) Ear stimulation method and system
US10512783B2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ear stimulation
US10398902B2 (en) Neural stimulation method and system with audio output
US10589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ar stimulation
KR20090040342A (en) System for the transcutaneous stimulation of a nerve of the human body
US10857360B2 (en)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or
CN117462844A (en) Headset f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TDC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40061069A (en)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US20220062622A1 (en) Vagal nerve stimulation therapy
JPH04317663A (en) Stimulating device for effective spot for treatment
US20230364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nerve stimulation
US20220323745A1 (en) Nerve stimulation therapy for maintaining telomere lengths
WO201419551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KR20230128637A (en) Non-invasive stimul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