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799B1 - Cap opener - Google Patents

Cap ope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799B1
KR101911799B1 KR1020167020982A KR20167020982A KR101911799B1 KR 101911799 B1 KR101911799 B1 KR 101911799B1 KR 1020167020982 A KR1020167020982 A KR 1020167020982A KR 20167020982 A KR20167020982 A KR 20167020982A KR 101911799 B1 KR101911799 B1 KR 10191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ap
cap
ring
head
imm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6265A (en
Inventor
히로미츠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4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ightly-fitting lids or covers, e.g. of shoe-polish tins, by gripping and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링을 주위에 가지는 나사뚜껑을 분리할 때, 효율적으로 나사뚜껑과 링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캡 오프너를 제공한다.
용기(C1)의 입구부에 장착된 나사뚜껑(C2)과, 나사뚜껑(C2)의 주위에 부착되어 수동에 의한 나사뚜껑(C2)의 개방을 방지하는 링(A)을 분리하는 캡 오프너에 있어서, 나사뚜껑(C2)에 씌워질 수 있는 헤드(B1)와, 헤드(B1)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암(B2)을 구비하고 있으며, 헤드(B1)는,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에 압접 가능한 당접부(2)와, 나사뚜껑(C2)의 정면부(C21)에 대향하는 정면대향부(3)와, 정면대향부(3)에 설치되어 나사뚜껑(C2)의 정면부(C21)를 관통 가능한 침부(6)와, 링(A)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8)를 구비하여, 한 쌍의 암(B2)을 닫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에 당접부(2)가 압접하는 동시에, 계합부(8)가 링(A)과 계합하여, 나사뚜껑(C2)과 링(A)를 동시에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Provided is a cap opener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a screw cap and a ring when removing a screw cap having a ring around it.
A screw cap C2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C1 and a cap opener for separating the ring A which is attached around the screw cap C2 to prevent the screw cap C2 from being manually opened And includes a head B1 which can be covered by a screw cap C2 and a pair of arms B2 extending from the head B1. The head B1 is fixed to the main surface of the screw cap C2, A front facing portion 3 facing the front surface portion C21 of the screw cap C2 and a front surface facing portion 3 facing the front surface facing portion 3 and having a screw cap C2, And the engaging portion 8 engageable with the ring A. When the pair of arms B2 are oper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screw lid C2 The engaging portion 2 is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of the engaging portion 8 and the engaging portion 8 is engaged with the ring A so that the screw cap C2 and the ring A can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

Description

캡 오프너{Cap opener} Cap opener {Cap opener}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된 나사뚜껑과, 이 나사뚜껑에 부착되어 수동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봉을 방지하는 링을 분리하기 위한 캡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w cap mounted on an inlet portion of a container and a cap opener for attaching to the screw cap and separating the ring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screw cap manually.

이러한 캡 오프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캡 오프너로 개봉하는 용기는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이나, 이러한 커피 원두는, 탄산가스를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를 보관용의 용기에 충전하면, 탄산가스에 의해 내압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용기의 입구부는 나사뚜껑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나사뚜껑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푸는 데는 상당한 악력, 완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전용의 도구인 캡 오프너를 사용하여 나사뚜껑을 열도록 하고 있다. 이 캡 오프너는, 침(針)부를 가지고 있으며, 뚜껑을 열기 전에 침부를 찔러 내압을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As such a cap opener, a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is known. The container opened with the cap opener is a coffee bean that has been roasted, and such a coffee bean has a property of emitting carbon dioxide gas. Therefore, when the roasted coffee beans are filled in a container for storage,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by carbon dioxide gas. Therefore,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firmly fixed by the screw cap to increase the tightness. This screw cap requires considerable grip and force to be manually released by the user. Therefore, the cap lid is opened by using a cap opener which is a dedicated tool. The cap opener has a needle portion, and the cap is pierced to open the internal pressure before opening the cap.

상기와 같이, 나사뚜껑은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전용의 캡 오프너에 의해 여는 것이나, 완력이 있으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여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렇다면, 내압이 외압보다 높은 상태로 나사뚜껑을 열게 되어, 내용물이 분출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나사뚜껑의 주위에 링을 부착하여, 잘못하여 수동으로 열리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도 캡 오프너를 이용하여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lid is firmly fixed, and it is possible to open it by a dedicated cap opener, or to manually open the user if there is a force. Then, the screw lid is opened with the internal pressure high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so that the contents are ejected. Thus,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 ring is attached around the screw cap so that it is not accidentally opened manually. The ring is also separated using a cap opener.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캡 오프너의 사용방법은 대개 다음과 같다. 캡 오프너는 나사뚜껑에 씌워지는 헤드와, 한 쌍의 암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암을 손으로 잡고 닫힘 조작하는 것으로 헤드의 당접부를 나사뚜껑에 압접시킨다. 그 후, 캡 오프너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나사뚜껑이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링은 입구부에 장착된 채로 있다. 여기서, 캡 오프너를 재차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하고, 헤드에 설치된 계지부를 조작하여, 계지부를 링에 계지시키고, 링을 입구부로부터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a method of using the cap opener is generally as follows. The cap opener is provided with a head covering the screw cap and a pair of arms. By holding this arm by hand and closing it, the contact part of the head is pressed against the screw cap. Thereafter, the screw cap is separated from the inlet portion of the container by rotating the cap opener. At this time, the ring remains attached to the inlet portion. Here, the cap opener is mounted again on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is operated to lock the locking portion to the ring, thereby separating the ring from the opening.

[선행기술문헌] [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보 제5859551호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859551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캡 오프너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나사뚜껑을 분리하는 조작을 행한 다음, 다시 링을 분리하는 조작이 필요하여, 조작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Problems of the cap opener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f separating the screw lid and then detaching the ring again, which requires a long time for th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링을 주위에 가지는 나사뚜껑을 분리할 때, 효율적으로 나사뚜껑과 링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캡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 opener which is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a screw cap and a ring when a screw cap having a ring around it is separat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캡 오프너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된 나사뚜껑과, 이 나사뚜껑의 주위에 장착되어 수동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을 방지하는 링을 분리하기 위한 캡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나사뚜껑에 씌워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암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周面部)에 압접 또는 계합 가능한 당접부와, 상기 나사뚜껑의 정면부에 대향하는 정면대향부와, 이 정면대향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뚜껑의 정면부를 관통 가능한 침부(針部)와, 상기 링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을 닫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상기 당접부가 압접 또는 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계합부가 상기 링과 계합하여, 상기 나사뚜껑과 상기 링을 동시에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ap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crew cap mounted on an inlet portion of a container; a cap mounted around the screw cap for separating a ring for preventing opening of the screw cap manually; The opener includes a head covering the screw cap and a pair of arms extending from the head, the head including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being pressed or engaged with a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A front portion opposed to a front portion of the screw lid; a needle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facing portion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portion of the screw lid; and an engaging portion engageable with the ring, When the arm is oper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is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or engagemen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and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ring, and the screw cap and the ring are simultaneously separated And the like.

상기 헤드, 상기 암, 상기 계합부는, 수지(樹脂)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head, the arm,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resin.

상기 정면대향부는, 상기 침부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침고정부와, 이 침고정부를 지지하는 침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침고정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침고정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기 침부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침고정부의 상기 관통공에 통해 있으며, 상기 침지지부는 상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front facing portion includes a sinking portion for supporting an upper end portion of the acupuncture portion and an immersion portion for supporting the immersion portion, wherein a penetrating hole is formed in the immersion portion, the penetrating hole penetrates the immersion portion vertically, The needle portion is formed of a tubular member, the internal space of the needle por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ink portion, and the sink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상기 헤드는 상면(上面)에서 보아 C자 형상으로 형성된 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 쌍의 암을 조작하는 것으로 C자의 열린 부분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 상기 당접부를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압접 또는 계합 가능하고, 상기 C자의 열린 부분과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침지지부와 상기 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d is provided with a frame portion formed in a C shape as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The head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closing direc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C-shaped open portion by operating the pair of arms, and the contact portion is fixed to the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Wherein the impregnated support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side facing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member.

상기 침지지부는, 상면에서 보아 원 형상이며, 상기 한 쌍의 암의 닫힘 조작을 행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침지지부와 상기 틀부의 사이에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is circular in shape a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an arc-shape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in the state before the pair of arms is closed.

상기 침고정부는, 상기 침지지부에 씌울 수 있는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acupuncture unit is formed in a cap shape that can be put on the immersion support unit.

본 발명에 따른 캡 오프너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된 나사뚜껑과, 이 나사뚜껑의 주위에 장착되어 수동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을 방지하는 링을 분리하기 위한 캡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나사뚜껑에 씌워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암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周面部)에 압접 또는 계합 가능한 당접부와, 상기 나사뚜껑의 정면부에 대향하는 정면대향부와, 이 정면대향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뚜껑의 정면부를 관통 가능한 침부(針部)와, 상기 링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을 닫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상기 당접부가 압접 또는 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계합부가 상기 링과 계합하여, 상기 나사뚜껑과 상기 링을 동시에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cap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 opener for separating a screw cap mounted on an inlet portion of a container and a ring mounted around the screw cap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screw cap manually, And a pair of arms extending from the head, wherein the head has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or engageable with a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A needle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the front facing portion and can pass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screw lid and an engaging portion which is engageable with the ring, and the pair of arms is oper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engaging portion engages with the ring, and the screw cap and the ring can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It is to be gong.

이러한 구성에 의한 캡 오프너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캡 오프너는 헤드와 한 쌍의 암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는 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침부는 나사뚜껑의 정면부를 관통시키는 것으로 용기 내의 내압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있어, 한 쌍의 암을 닫힘 조작하는 것으로 당접부를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압접 또는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침부에 의해 내압을 개방한 후에 나사뚜껑을 열 수 있다. 또한, 헤드는 링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계합부는, 당접부가 나사뚜껑에 압접 또는 계합하는 동시에, 링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뚜껑의 분리와 동시에 링도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효율적으로 나사뚜껑과 링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캡 오프너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cap opener with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ap opener has a head and a pair of arms. The head is provided with an acupressure part, which can op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y penetrating the front part of the screw lid. The head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can be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or engagement with the main 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by closing the pair of arms. Therefore, the screw cap can be opened after the internal pressure is released by the pinching. Further, the head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engageable with the ring. The engaging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abutting portion is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or engaged with the screw lid and engages with the ring. Therefore, the ring can be removed at the same time as the screw cap is remo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p opener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the screw cap and the r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 상기 암, 상기 계합부는, 수지(樹脂)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the arm,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resin (resin).

이들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부품 개수를 줄이고, 코스트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암, 계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암을 조작하는 것으로 헤드의 당접부와 계합부가 동시에 동작한다. 따라서, 나사뚜껑과 링을 동시에 분리하기 위한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By integrally forming these par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contribute to cost reduction. Further, since the head, the arm, and the engagemen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head operate simultaneously by operating the arm. Therefore, a configuration for simultaneously separating the screw cap and the ring can be easily realiz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면대향부는, 상기 침부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침고정부와, 이 침고정부를 지지하는 침지지부를 구비하며, The front fa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king portion for supporting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ink portion and an immersion portion for supporting the sink portion,

상기 침고정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침고정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The penetration hole is formed in the immersion section, the penetration hole penetrates the immersion section vertically,

상기 침부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침고정부의 상기 관통공에 통해 있으며, Wherein the needle portion is made of a tubular member, the internal space of the needle portion i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inking portion,

상기 침지지부는 상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ead.

헤드에 설치되는 정면대향부는, 침고정부와 침지지부를 가진다. 침고정부에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침부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침부가 나사뚜껑의 정면부를 관통하는 것으로, 내압을 침부를 통하여 외부로 해방할 수 있다. 또한, 침고정부는 침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침지지부는 헤드에 일체로 형성된다.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부품 코스트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The front facing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has a soaking portion and an immersion portion. The needle part made of the tubular member is fixed to the immersion part. As a result, the needle portion passes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screw cap, and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edle portion. Further, the acupuncture fix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and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ea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the component cos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면(上面)에서 보아 C자 형상으로 형성된 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 쌍의 암을 조작하는 것으로 C자의 열린 부분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 상기 당접부를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압접 또는 계합 가능하고, 상기 C자의 열린 부분과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침지지부와 상기 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has a frame portion formed in a C shape a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upper surface), and elastically deforms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opening by operating the pair of arms to elastically deform the contact portion in the clos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regnated holding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side opposite to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member.

헤드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된 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C자 형상의 열린 부분을 한 쌍의 암에 의해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 닫힘 조작을 하는 것으로 당접부가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압접 또는 계합하므로, 나사뚜껑을 여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침지지부는 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C자의 열린 부분과 대향하는 측에 대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측은, 암의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하지 않는 부분이다. 따라서, 암의 개폐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침지지부를 틀부에 연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The head has a frame portion formed in a C-shape, and the C-shaped open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arms. Since the contact portion is pressed or engaged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lid by the closing operation, the screw lid can be oper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Further,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portion, but is connec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portion. These sides are portions that are not elastically de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arm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without aff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ar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지지부는, 상면에서 보아 원 형상이며, 상기 한 쌍의 암의 닫힘 조작을 행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침지지부와 상기 틀부의 사이에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has a circ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an arcuat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in the state before the pair of arms is closed desirabl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호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암을 탄성 변형시키기 쉬워지고, 조작성이 향상한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by forming the arc-shaped groove, the arm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and operability is improv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고정부는, 상기 침지지부에 씌울 수 있는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upuncture portion is formed in a cap shape that can be put on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침부가 고정된 캡 상의 침고정부를 침지지부에 씌우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only by placing the sinking portion on the cap-fixed portion on the immersion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오프너 및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링의 사시도, 도 2(b)는 링의 상면도, 도 2(c)는 도 2(b)의 W-W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오프너를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오프너를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헤드를 상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헤드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헤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암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헤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암에 따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캡 오프너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캡 오프너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캡 오프너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캡 오프너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캡 오프너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opener and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ng, Fig. 2 (b) is a top view of the ring, and Fig. 2 (c) is a WW line sectional view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opener viewed from abov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opener viewed from below.
5 is a plan view of the head viewed from the top.
6 is a plan view of the head viewed from below.
7 is a cross-sectional view (a cross-sectional view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m)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ead.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ead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long the arm).
9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crew cap by the cap opener.
10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crew cap by the cap opener.
11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crew cap by the cap opener.
12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crew cap by the cap opener.
13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crew cap by the cap opener.

본 발명에 따른 캡 오프너의 적절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캡 오프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뚜껑(C2)을 분리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캡 오프너는, 나사뚜껑(C2)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사뚜껑(C2)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나사뚜껑(C2)의 주위에 장착되는 링(A)을 나사뚜껑(C2)과 함께 분리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p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cap opener is used for separating the screw cap C2 as shown in Fig. The cap opener can separate the screw cap C2 by applying a rotational torque to the screw cap C2. Further, the ring A mounted around the screw cap C2 can be removed together with the screw cap C2.

<용기 및 나사뚜껑> <Container and screw cap>

용기(C1) 및 나사뚜껑(C2)은,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0.35MPa 이상의 내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C1)에는,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가 충전되어 있다. 커피 원두로부터 방출된 탄산가스에 의해, 용기(C1)의 내압은 0.25 ~ 0.35MPa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The container (C1) and the screw cap (C2) are made of aluminum alloy and are formed so as to withstand an internal pressure of 0.35 MPa or more. The container (C1) is filled with a roasted coffee be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C1 may reach 0.25 to 0.35 MPa due to the carbon dioxide gas emitted from the coffee beans.

용기(C1)의 입구부는 원통형을 나타내고 있고, 입구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뚜껑(C2)은 용기(C1)를 밀봉하는 것이다. 나사뚜껑(C2)은, 원판 형상의 정면부(C21)와 정면부(C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주면부(C22)를 구비하고 있어, 덮개가 있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주면부(C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뚜껑(C2)은 용기(C1)에 커피 원두를 충전한 후에 용기(C1)의 입구부에 장착된다. The inlet portion of the container C1 shows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The screw cap C2 is to seal the container C1. The screw cap C2 has a cylindrical front face portion C21 and a cylindrical main face portion C22 formed at the edges of the front face portion C21 and show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i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The screw cap C2 is mounted on the inlet of the container C1 after the container C1 is filled with the coffee beans.

<링> <Ring>

링(A)은, 캡 오프너(B) 이외의 수단(예를 들면, 다른 공구나 사람의 손 등)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장애물이며, 로스팅 공장에 있어 용기(C1)의 입구부에 장착된다. 링(A)은, 용기(C1)의 입구부 및 나사뚜껑(C2)에 대하여 회전 자재이며, 사용자가 링(A)을 회전시켰다고 해도 회전 토크가 나사뚜껑(C2)에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덧붙여 커피 원두 들이 용기(C1)는, 그 입구부에 링(A)이 장착된 상태에서 시장을 유통하여 소비자에게 도착된다. The ring A is an obstacle for preventing the opening by the means other than the cap opener B (for example, another tool or a human hand, etc.) and is mounted in the inlet of the container C1 in the roasting factory do. The ring A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let portion of the container C1 and the screw cap C2 and does not act on the screw cap C2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ring A. [ In addition, the container (C1) of the coffee beans is circulated in the market with the ring (A) mounted on the inlet thereof, and arrives at the consumer.

링(A)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본체(A1)와, 링 본체(A1)로부터 기립하는 복수의 가이드부(A2)와, 링 본체(A1)로부터 그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A3)를 구비하고 있다. 링(A)은, 합성수지제이다. 2 (a), the ring A includes a ring body A1,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A2 rising from the ring body A1,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A2 extending from the ring body A1 in the radially inward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3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The ring A is made of synthetic resin.

링 본체(A1)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A11)와, 원통부(A11)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A12)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A12)는 원통부(A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본체(A1)는 나사뚜껑(C2)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성형되어 있고, 링 본체(A1)의 내주면은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의 하반(下半) 부분에 대향한다. The ring body A1 has a cylindrical portion A11 and a flange portion A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11 as shown in Fig. 2 (b). The flange portion A12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11. 9, the ring main body A1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cap C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main body A1 is connected to the lower half of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of the screw cap C2 Lower half) portion.

복수의 가이드부(A2)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곡판(曲板) 형상이며, 링 본체(A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A2)는 플랜지부(A12)의 외연(外緣)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A2)를 위에서 본 형상은 원호 형상이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이드부(A2)는 플랜지부(A12)의 상면에서 위쪽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기립해 있다. 또한, 가이드부(A2)를 정면에서 본 형상은 구형(矩形) 형상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A2)는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가이드부(A2)의 내주면은 주면부(C22)의 상반(上半) 부분에 대향한다. As shown in Fig. 2 (a), the plurality of guide portions A2 are all in the shape of a curved plate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ng body A1. As shown in Fig. 2 (b), the guide portion A2 is dispos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A12. The shape of each guide portion A2 viewed from above is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2 (c), each guide portion A2 stands up substantially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12 upward. The shape of the guide portion A2 viewed from the front is a rectangular shape. The guide portion A2 is located away from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of the screw cap C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A2 is located on the upper half portion of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Respectively.

돌출부(A3)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A11)의 하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A3)는 평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A3)를 위에서 본 형상은 구형 형상이다. 돌출부(A3)는 원통부(A1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A3)의 첨단은 용기(C1)의 입구부의 근원에 당접 또는 근접하고, 용기(C2)를 운반 등을 하고 있을 때 링(A)이 입구부로부터 빠지려고 할 때에는, 용기(C1)의 나사산이나 나사뚜껑(C2)의 하단에 계합한다. 돌출부(A3)를 설치해 두면 링(A)이 벗어나기 어려워지므로, 링(A)이 의도치 않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용기(C2)의 입구부에 플랜지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랜지 등에 돌출부(A3)의 첨단을 계합시켜도 좋다. As shown in Fig. 2 (a), the projecting portion A3 protrudes in a cantilevered manner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A11. The projecting portion A3 has a flat plate shape, and as shown in Fig. 2 (b), the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A3 viewed from above is a spherical shape. A plurality of projections A3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A11. 10, the tip of the projection A3 comes into contact with or comes close to the root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C1, and when the container C2 is being transported or the like, the ring A tries to escape from the inlet , It is engaged with the thread of the container (C1) or the lower end of the screw cap (C2). If the protruding portion A3 is provided, the ring A becomes difficult to escape, so that the ring A can be prevented from unintentionally falling off. Although the illustration is omitted, when the flange or step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C2, the tip of the projecting portion A3 may be engaged with the flange.

<캡 오프너> <Cap Opener>

캡 오프너(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뚜껑(C2)에 씌워질 수 있는 헤드(B1)와, 헤드(B1)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암(B2, B2)을 구비하고 있다. 캡 오프너(B)는 용기(C1)의 내압을 감압하는 기능, 나사뚜껑(C2)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기능 및 링(A)을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1, the cap opener B includes a head B1 which can be covered by the screw cap C2 and a pair of arms B2 and B2 extending from the head B1 . The cap opener B has a function of reducing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C1, a function of imparting a rotational torque to the screw cap C2, and a function of removing the ring A. [

도 1은 캡 오프너(B)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오프너(B)를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오프너(B)를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헤드(B1)를 상면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6은 헤드(B1)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 opener B viewed from abov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opener B viewed from abov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opener B viewed from below. Fig. 5 is a plan view of the head B1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head B1 as viewed from below.

헤드(B1)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C자 형상의 틀부(1)와,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에 압접하는 당접부(2)와, 나사뚜껑(C2)의 정면부(C21)에 대향하는 정면대향부(3)와, 정면부(C21)에 관입(貫入) 가능한 침부(4)와, 링(A)의 외주에 괘지(掛止) 가능한 괘지부(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B1)의 하면에는, 링(A)의 가이드부(A2)를 삽입 가능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head B1 has a C-shaped frame 1 as viewed from above, a contact portion 2 to be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C22 of the screw cap C2, A hook portion 4 capable of penetrating into the front face portion C21 and a hook portion 8 capable of hang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A are provided . 4,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ortion A2 of the ring A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1.

암(B2)은, 간격을 두어 병렬되어 있다. 한쪽의 암(B2)은 틀부(1)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쪽의 암(B2)은 틀부(1)의 다른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즉, 각 암(B2)은, 틀부(1)로부터 외팔보 형상(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암(B2) 중, 손잡이(쥠)가 되는 부분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가 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rms B2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an interval. One arm B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ame 1 and the other arm B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ame 1. [ That is, each arm B2 extends from the frame portion 1 into a cantilever shape (cantilever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n the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arm B2 which becomes the handle (slip).

양 암(B2)의 이간 거리는, 틀부(1)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감(漸減)하고, 기단부(틀부(1)에 인접하는 부위)에 대하여 최소가 된다. 양 암(B2)을 꽉 쥐어 양자를 근접시키면, 틀부(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접근량이 커지는 결과, 양 암(B2)의 이간 거리는 틀부(1)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증(漸增)하여, 기단부에 대하여 최대가 된다. 또한, 암(B2)의 기단부에 있어서 이간 거리는, 양 암(B2)을 근접시켰을 경우가 근접시키지 않는 경우보다 작아진다. 아울러, 암(B2)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고,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arms B2 gradually decreases as they approach the frame 1 and becomes minimum relative to the proximal end portio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frame portion 1).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arms B2 gradually increases as they approach the frame 1. As a result, the amount of approaching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rame portion 1 increase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Further, at the base end portion of the arm B2, the spacing distance becomes smaller than the case where the both arms B2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rm B2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헤드(B1)의 틀부(1)와 한 쌍의 암(B2)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수지 소재(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틀부(1)에 둘러싸여,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의 공간(V1)이 형성되고, 틀부(1)의 양단부 사이에 끼워진 공간(V2)이 형성된다. 공간(V2)의 개구 폭은 공간(V1)의 직경보다 작아진다. 공간(V1) 위에 덮이도록 침지지부(30)가 설치된다. The frame 1 of the head B1 and the pair of arms B2 are made of,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polypropylene or the like) and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circular space V1 is formed when viewed from below and a space V2 sandwiched between both end portions of the frame portion 1 is formed. The opening width of the space V2 become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ace V1.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30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space V1.

당접부(2)는, 미끄럼방지 고무(20)와, 이 미끄럼방지 고무(20)가 장착되는 고무부착부(21)에 의해 구성된다. 미끄럼방지 고무(20)는,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에 압접 가능하게 배치된다. 미끄럼방지 고무(20)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미끄럼방지 고무(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C자 형상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계합돌기(20a)가 형성되고, 양단부에도 L자 형상의 계합돌기(20b)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부착부(21)에도, 이들 계합돌기(20a, 20b)가 계합되는 계합홈(21a, 21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미끄럼방지 고무(2)의 둘레면에는 요철부(20c)가 형성되어 있어, 고무부착부(21)에 형성된 요철부(21c)에 꼭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미끄럼방지 고무(20)의 고무부착부(21)에의 설치는, 상기한 계합기구만으로도 좋으나, 접착 등을 병용하는 것으로 더욱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abutting portion 2 is constituted by a non-slip rubber 20 and a rubber attaching portion 21 on which the non-slip rubber 20 is mounted. The anti-slip rubber 20 is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press-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of the screw cap C2. The anti-slip rubber 20 is formed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silicone rubber. The anti-slip rubber 20 has a C-shape in plan view. As shown in Fig. 6, an engaging projection 20a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n L-shaped engaging projection 20b is formed at both ends. The engaging grooves 21a and 21b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20a and 20b are formed in the rubber attaching portion 21, respectively. The peripheral edge of the non-slip rubber 2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20c so as to fit tightly with the recessed portion 21c formed in the rubber attaching portion 21. [ The provision of the non-slip rubber 20 on the rubber attaching portion 21 may be achieved only by the above-described engaging mechanism, but can be firmly combined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헤드(B1)의 하면에는, 링(A)의 가이드부(A2)를 삽입 가능한 가이드홈(1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0)은 2개 형성되어 있어 3개의 가이드부(A2) 중 2개의 가이드부(A2)가 삽입 가능하다. 가이드홈(10)은 약 90도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고, 원주방향의 길이는 가이드부(A2)의 길이보다 조금 길고, 홈 폭은 가이드부(A2)의 폭보다 조금 크다. 가이드홈(10)은 계합돌기(20a)와 계합부(8)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A guide groove 10 into which a guide portion A2 of the ring A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ead B1. Two guide grooves 10 are formed, and two guide portions A2 of the three guide portions A2 can be inserted. The guide groove 10 is formed in an arc of about 90 degrees and the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portion A2 and the groove widt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A2. The guide groove 10 is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20a and the engaging portion 8.

정면대향부(3)는 침지지부(30)를 가지고 있으며, 틀부(1)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틀부(1)는 암(B2)과도 일체로 형성된다. 침지지부(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침지지부(30)는 틀부(1)와 연결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부(31)는, 침지지부(30)의 좌측, 즉, 암(B2)과 반대측에 위치한다. 각도로 약 90도의 범위에서 침지지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틀부(1)와의 사이에 원호 형상의 홈(32)이 형성된다. 이 홈(32)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암(B2)이 탄성 변형하기 쉬워져, 닫힘 방향으로 조작하기 쉬워진다. The front facing portion 3 has an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30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portion 1. [ Further, the frame part 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rm B2.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3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1) by a connection portion (31). As shown in Fig. 5, the communicating portion 3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30,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rm B2. The immersion branch 30 is connected in the range of about 90 degrees at an angle. As a result, an arc-shaped groove 32 is formed between itself and the frame portion 1. By forming the groove 32, the pair of arms B2 are easily deformed elastically, and it becomes easy to operate in the closing directio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지지부(30)는, 중앙에 원통부(33)을 가지고, 원통부(33)의 원주면에 계합돌기(34)가 3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돌기(34)는 캡(7)(침고정부에 해당)을 결합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침지지부(30)의 가장 외주에는 입벽부(立壁部)(35)가 형성되어 있다. 3,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30 has a cylindrical portion 33 at the center, and three engagement protrusions 34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3.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projection 34 is provided to engage the cap 7 (corresponding to the sinking portion). In addition, a mouth wall portion (35) is formed on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30).

침부(6)는 관형상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침부(6)는 스텐레스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침부(6)는, 선단부(先端部)(60)는 예리하게 절단되어 있어, 나사뚜껑(C2)의 정면부(C21)에 찔러넣기 쉬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침부(6)의 선단부(先端部)(60)의 반대측은 고정부(61)이며, 캡(7)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부(6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溝)이 형성되어 있다. The needle portion 6 is formed of a tubular member,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herein. The needle portion 6 is formed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tip portion 60 of the needle portion 6 is sharply cut and has a shape that is easy to pierce into the front portion C21 of the screw cap C2. The opposite side of the distal end portion 60 of the needle portion 6 is a fixed portion 61 and is a portion fixed to the cap 7. [ Grooves ar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6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침커버(4)는 침부(6)의 선단에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침부(6)를 커버하는 것이다. 침커버(4)에는 중앙부에 침부(6)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구멍(40)이 형성된다. 침커버(4)는 전체적으로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침지지부(30)의 원통부(33) 내를 침커버(4)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원통부(33)의 단부에는 빠짐방지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33)의 내경보다도 빠짐방지부(36)의 내경이 조금 작게 이루어져 있다. 침커버(4)의 플랜지부(41)의 외경은 빠짐방지부(36)의 내경보다 크므로, 이 빠짐방지부(36)에 의해 침커버(4)의 아래쪽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The needle cover (4) covers the needle portion (6) so that the user does not inadverten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tip of the needle portion (6). The needle cover (4)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40) for guiding the needle portion (6)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needle cover 4 is formed in a cap shape as a whole, and a flange portion 41 is formed. The needle cover 4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3 of the immersion holder 30 so as to be vertically slidable. A stopper 3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33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topper 36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33.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41 of the needle cover 4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opout preventing portion 36, the dropout prevention portion 36 prevents the fall of the needle cover 4 downward.

캡(7)의 중앙부에는, 제 1 관통공(70)과 제 2 관통공(71)이 형성된다. 제 1 관통공(70)의 내경은 제 2 관통공(71)의 내경보다 크다. 제 1 관통공(70)에 침부(6)의 고정부(61)가 압입되는 것으로 제 1 관통공(70)에 침부(6)가 고정된다. 지름이 다른 제 1 관통공(70)과 제 2 관통공(71)을 형성하는 것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침부(6)을 눌러 압입할 때의 스토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A first through hole (70) and a second through hole (71)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7).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7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71). The fixing portion 61 of the needle portion 6 is press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70 so that the needle portion 6 is fixed to the first through hole 70. A step is formed by forming the first through hole 7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71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can function as a stopper when press-fitting the needle portion 6.

침커버 반환용수철(5)은 압축 코일용수철이며, 침커버(4)를 상시 돌출하는 방향, 즉, 침부(6)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침커버 반환용수철(5)의 일단부는 침커버(4)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용수철 설치단부(37)에 장착된다. The needle cover return spring 5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which exerts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cover 4 always protrudes, that is, a direction covering the needle portion 6. [ One end of the needle cover return spring 5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needle cover 4,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spring mounting end 37.

캡(7)은, 천면부(天面部)(72)와 주면부(73)를 가진다. 천면부(72)의 중앙에 제 2 관통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주면부(73)보다 아래쪽에서 내경 측에 감합입벽부(74)가 형성된다. 이 감합입벽부(嵌合立壁部)(74)는, 침지지부(30)의 입벽부(35)의 내경 측에 감합된다. The cap (7) has a top surface portion (72) and a main surface portion (73). A second through hole 7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face portion 72. And an engagement wall portion 74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ide below the main surface portion 73. [ The fitting wall portion (fitting vertical wall portion) 74 is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35 of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30.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7)의 내측에는 계합편(係合片)(75)이 3군데 형성되어 있다. 계합편(75)은 캡(7)의 천면부(72)의 이면(裏面)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 박편이며, 탄성 변형하기 쉽게 형성된다. 각각의 계합편(75)에는 계합공(75a)이 형성되어, 침지지부(30)의 계합돌기(34)에 계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캡(7)이 침지지부(30)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ree engaging pieces (engaging pieces) 75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p 7. The engagement piece 75 is a thin pie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top surface portion 72 of the cap 7 and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An engaging hole 75a is formed in each engaging piece 75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34 of the immersion holder 30. [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cap 7 is configured not to fall off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30. [

틀부(1)의 이면 측에는 계합부(8)가 2군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8)는 계합돌기(80)를 가지고, 링(A)의 플랜지부(A12)의 하부에 들어갈 수 있다. 한 쌍의 암(B2)을 닫힘 조작하는 것으로, 한 쌍의 계합부(8)도 내측으로 이동하여 링(A)의 플랜지부(A12)의 하부에 들어간다. On the back side of the frame part (1), two engagement parts (8) are integrally formed. The engaging portion 8 has an engaging projection 80 and can enter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12 of the ring A. [ The pair of engagement portions 8 also move inward and enter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12 of the ring A by closing the pair of arms B2.

<캡 오프너의 사용방법> <Usage of Cap Opener>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캡 오프너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캡 오프너(B)(도 1 등 참조)의 사용자가 나사뚜껑(C2)을 분리할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헤드(B1)를 링(A) 및 나사뚜껑(C2)의 위에 배치한다. Next, a method of using the cap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of the cap opener B (see Fig. 1, etc.) separates the screw cap C2, the head B1 is first mounted on the ring A and the screw cap C2 .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A2)와 캡(C2) 사이의 공간(V3)에 당접부(2)의 하단부를 삽입한다. 당접부(2)가 공간(V3)에 들어가면, 침부(6)의 선단부(60)가 나사뚜껑(C2)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헤드(B1)의 횡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아울러, 당접부(2)는 침부(6)와 침커버(4)로 커버된 상태이다. 또한, 당접부(2)는 공간(V3)의 도중까지 들어간 상태이다. 또, 링(A)의 3개의 가이드부(A2) 중 2개의 가이드부(A2)의 상단부가, 헤드(B1)에 형성된 가이드홈(10)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부(A2)의 상단부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된 틀부(1)의 열린 부분에 있는 공간(V2)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0,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space V3 between the guide portion A2 and the cap C2. When the contact portion 2 enters the space V3, the tip end portion 60 of the needle portion 6 is positioned 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crew cap C2 and the state in whic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head B1 is restricted do. The contact portion 2 is covered with the needle portion 6 and the needle cover 4. The contact portion 2 is in the middle of the space V3. The upper ends of the two guide portions A2 of the three guide portions A2 of the ring A ar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0 formed in the head B1. And the upper end of the remaining one guide portion A2 enters the space V2 in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frame portion 1. [

이어서, 사용자는 헤드(B1)에 대하여 아래를 향한 힘을 부가한다. 사용자가 헤드(B1)에 아래를 향한 힘을 가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부(6)의 선단부(60)가 정면부(C21)를 관통하고, 헤드(B1)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헤드(B1)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당접부(2)는 가이드부(A2)와 나사뚜껑(C2)의 사이에 들어간 상태가 되고, 가이드부(A2)는 그 대부분이 가이드홈(10)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때, 침커버(4)는 침커버 반환용수철(5)의 힘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이동하고, 원통부(33)의 내경 측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Then, the user adds a downward force to the head B1. When the user applies a downward force to the head B1, as shown in Fig. 11, the distal end portion 60 of the needle portion 6 passes through the front portion C21 and the head B1 moves downward do. When the user moves the head B1 downward, the abutment portion 2 enters between the guide portion A2 and the screw cap C2, and most of the guide portion A2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A2 10). At this time, the needle cover 4 moves upward against the force of the needle cover return spring 5, and is housed i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3.

침부(6)가 정면부(C21)를 관통하면, 용기(C1) 내의 가스가 침부(6)의 내부 및 제 2 관통공(71)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용기(C1)의 내압이 감소한다. When the needle portion 6 penetrates the front portion C21, the gas in the container C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needle portion 6 and the second through hole 71,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C1 is reduced do.

용기(C1)의 내압이 해방되면, 사용자는, 도 1에 나타낸 한 쌍의 암(B2)을 꽉 쥐어 양자를 근접시키고, 틀부(1)를 수축시킨다(縮徑)(화살표 D). 사용자의 악력으로 틀부(1)를 수축시키면, 틀부(1)의 수축에 연동하여 당접부(2)가 수축하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접부(2)의 미끄럼방지 고무(20)의 표면이 나사뚜껑(C2)의 주면부(C22)에 압접하게 된다.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C1 is released, the user grasps the pair of arms B2 shown in Fig. 1 to bring them close to each other and contracts the frame 1 (arrow D). When the frame portion 1 is contracted by the user's gripping force, the contact portion 2 shrinks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action of the frame portion 1, and as shown in Fig. 11, the contact portion 2 of the non-slip rubber 20 And the surface thereof is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of the screw cap C2.

또한, 계합부(8)가 설치되어 있는 틀부(1)도 수축한다(도 11의 화살표 E). 따라서 계합부(8)의 계합돌기(80)가 링(A)의 원주부(A11)에 가까워지는 동시에, 플랜지(A12)의 하측으로 더 들어간다. Also, the frame portion 1 provided with the engaging portion 8 contracts (arrow E in Fig. 11). The engaging projection 80 of the engaging portion 8 is closer to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11 of the ring A and further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A12.

그 후, 사용자는, 당접부(2)가 주면부(C22)에 압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사뚜껑(C2)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암(B2)을 선회시키고, 당접부(2)를 통하여 나사뚜껑(C2)에 회전 토크를 부가한다. 또한, 당접부(2)가 주면부(C22)에 압접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 1에 나타낸 한 쌍의 암(B2)을 계속하여 꽉 쥔다. 또는, 한 쌍의 암(B2)을 근접시킨 상태로 계지시키는 잠금부재(미도시)를 이용하면 보다 조작성이 향상한다. The user then rotates the pair of arms B2 around the screw cap C2 while keeping the contact portion 2 in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To the screw cap C2.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2 is held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the user continues to tightly grip the pair of arms B2 shown in Fig. Alternatively, use of a lock member (not shown) for locking the pair of arms B2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each other improves operability.

나사뚜껑(C2)에 대하여 소정치 이상의 회전 토크가 부여되면, 나사뚜껑(C2)의 조임이 느슨해지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나사뚜껑(C2)을 용기(C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계합돌기(80)가 링(A)을 계지한 상태로 회전 토크가 부여되므로, 나사뚜껑(C2)과 함께 링(A)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1회의 조작으로 나사뚜껑(C2)과 링(A)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The tightening of the screw cap C2 is loosened if a rotational torqu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screw cap C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screw cap C2 from the container C1 Can be separated. Since the engaging projection 8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torque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A is engaged, the ring A can be separated together with the screw cap C2.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separate the screw cap (C2) and the ring (A) at the same time by one operation.

<다른 실시형태> <Other Embodiments>

당접부(2)의 구성으로서, 미끄럼방지 고무(20)를 설치한 구성을 설명했으나, 미끄럼방지 고무(20)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미끄럼방지 고무(20)를 설치하는 이외에, 표면을 요철로 하거나, 미끄럼방지의 표면처리를 행하는 등으로 하여도 좋다.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nti-slip rubber 20 is provide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ortion 2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anti-slip rubber 20 may not necessaril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provision of the anti-slip rubber 20, the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or a surface treatment for preventing slipping may be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당접부(2)가 나사뚜껑(C2)에 압접하는 구성을 설명했으나, 계합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면부(C22)에 형성된 나사산의 요철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당접부(2)에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2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crew cap C2 has been described, but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2 is engaged with the screw cap C2 may be employed. For example, an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unevenness of the thread formed in the main surface portion C22 can be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2. [

A. 링 A1. 링 본체
A11. 원통부 A12. 플랜지부
B. 캡 오프너 B1. 헤드
B2. 암 C1. 용기
C2. 나사뚜껑 C21. 정면부
C22. 주면부 1. 틀
2. 당접부 3. 정면대향부
4. 침커버 5. 침커버 반환용수철
6. 침부 7. 캡(침고정부)
8. 계합부 10. 가이드홈
20. 미끄럼방지 고무 21. 고무부착부
30. 침지지부 31. 연결부
32. 홈 33. 원통부
34. 계합돌기 60. 첨단부
61. 고정부
A. Ring A1. Ring body
A11. Cylindrical section A12. Flange portion
B. Cap Opener B1. head
B2. Cancer C1. Vessel
C2. Screw cap C21. Frontal part
C22. Sections 1. Frame
2. Face to face 3. Face to face
4. Spit cover 5. Spit cover return spring
6. Depression 7. Cap (Depression government)
8. Engagement part 10. Guide groove
20. Non-slip rubber 21. Rubber attachment
30. Dipping section 31. Connection section
32. Groove 33. Cylinder section
34. Engagement projection 60. Lead tip
61. Fixed Government

Claims (6)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된 나사뚜껑과, 상기 나사뚜껑의 주위에 장착되어 수동에 의한 나사뚜껑의 개방을 방지하는 링을 분리하기 위한 캡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나사뚜껑에 씌워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암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周面部)에 압접 또는 계합 가능한 당접부와,
상기 나사뚜껑의 정면부에 대향하는 정면대향부와,
상기 정면대향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뚜껑의 정면부를 관통 가능한 침부(針部)와,
상기 링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을 닫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상기 당접부가 압접 또는 계합하는 동시에, 상기 계합부가 상기 링과 계합하여, 상기 나사뚜껑과 상기 링을 동시에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헤드, 상기 암, 상기 계합부는, 수지(樹脂)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계합부는 계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링은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원통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합부 및 상기 계합부와 상기 암과의 연결 부위의 높이가 상기 링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합부의 상기 계합돌기는 상기 링의 플랜지부 하단에 들어갈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오프너.
A cap opener for detaching a ring mounted on the periphery of the screw cap and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screw cap by manual operation,
A head covering the screw cap,
And a pair of arms extending from the head,
The head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or engageable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A front facing portion opposed to a front portion of the screw cap,
A needle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facing portion and capable of penetra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screw cap,
And an engaging portion engageable with the ring,
When the pair of arms is oper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abutting portion is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or engagement with the main surface portion of the screw cap, and the engaging portion engages with the ring, so that the screw cap and the ring can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And,
Wherein the head, the arm,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resin (resi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has an engaging projection,
Wherein the ring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 height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arm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height of the ring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at a height that can enter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ring Cap open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대향부는,
상기 침부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침고정부와, 상기 침고정부를 지지하는 침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침고정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침고정부를 상하에 관통하고,
상기 침부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침고정부의 상기 관통공에 통하여 있고,
상기 침지지부는 상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An immersion part for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acupressure part, and an immersion part for supporting the immersion part,
The penetration hole is formed in the immersion section, and the penetration hole penetrates the immersion section vertically,
Wherein the needle portion is made of a tubular member, the internal space of the needle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ink portion,
Wherein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ea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면(上面)에서 볼 때 C자 형상으로 형성된 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암을 조작하는 것으로 C자의 열린 부분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당접부를 상기 나사뚜껑의 주면부에 압접 또는 계합 가능하며, 상기 C자의 열린 분분과 대향하는 측에 대하여, 상기 침지지부와 상기 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d is provided with a frame portion formed in a C shape when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portion by operating the pair of arms to elastically deform the contact portion in a closing direction, And the cap hold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mmersion supporting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integrally with each other so as to be opposed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C-shaped open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지부는,
상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이며, 상기 한 쌍의 암의 닫힘 조작을 행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침지지부와 상기 틀부의 사이에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오프너.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Wherein an arc-shape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impregnated holding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in a state befo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pair of arms is perform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침고정부는,
상기 침지지부에 씌워질 수 있는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오프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eedle-
Wherein the cap opening is formed in a cap shape that can be covered by the immersion support portion.
KR1020167020982A 2016-06-03 2016-06-03 Cap opener KR1019117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6665 WO2017208460A1 (en) 2016-06-03 2016-06-03 Cap op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265A KR20180006265A (en) 2018-01-17
KR101911799B1 true KR101911799B1 (en) 2018-10-25

Family

ID=5712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982A KR101911799B1 (en) 2016-06-03 2016-06-03 Cap open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05896B1 (en)
KR (1) KR101911799B1 (en)
CN (1) CN107690417B (en)
HK (1) HK1243694A1 (en)
TW (1) TWI609835B (en)
WO (1) WO201720846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9551B2 (en) * 2011-09-09 2016-02-10 日本軽金属株式会社 Opening tool set and cap ope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490A (en) * 1995-12-28 1997-07-15 Kawashima Kogyo Kk Screw-cap opener
JP3069857U (en) * 1999-12-21 2000-07-04 株式会社 ティ・アンド・エス日森 Lid with screw lid and lid with pull top
TW543655U (en) * 2002-11-28 2003-07-21 Shiue-Chin Jang Improved structure of piercing and flow-guiding device for sealed can
JP4407951B2 (en) * 2005-07-29 2010-02-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Threaded lid opening device
JP2007091272A (en) * 2005-09-28 2007-04-12 Yoshino Kogyosho Co Ltd Cap opener
JP2011102149A (en) * 2009-11-10 2011-05-26 Imaizumi:Kk Pet bottle straw hole boring jig
WO2015134002A1 (en) * 2014-03-04 2015-09-11 Eldessouky Ali W Clamping ratchet wrench
TWM400472U (en) * 2010-10-14 2011-03-21 Guan-Lin Chen Multi-opener device
WO2013025195A1 (en) * 2011-08-15 2013-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ffic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9551B2 (en) * 2011-09-09 2016-02-10 日本軽金属株式会社 Opening tool set and cap op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90417A (en) 2018-02-13
TWI609835B (en) 2018-01-01
HK1243694A1 (en) 2018-07-20
CN107690417B (en) 2020-06-19
KR20180006265A (en) 2018-01-17
JP6005896B1 (en) 2016-10-12
JPWO2017208460A1 (en) 2018-06-14
TW201742818A (en) 2017-12-16
WO2017208460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107B1 (en) Cap opening tool set and cap opener
JP4852418B2 (en) Chemical container with needle protection housing
JP5138598B2 (en) Attachment cover for syringe or cartridge
EP1800561A1 (en) Cosmetic container
EA010196B1 (en) Injection device
KR101861460B1 (en) Rigid needle shield gripping cap assembly
KR102015834B1 (en) One touch cap for cosmetic container
US20180151275A1 (en) Liquid-Tight Strain Relief
JP2011519700A (en) Hypodermic needle protector
US20120177432A1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system
KR101911799B1 (en) Cap opener
CN109562870A (en) Container with the lid with guiding snap close piece
US20200206433A1 (en) Intradermal needle, packaged article, and injection device
KR200487891Y1 (en) Stainless steel airtight container having elastic stopper
US11155386B2 (en) Container
KR200389430Y1 (en) Dressing case for a cover having sub cover
JP4133261B2 (en) Water bottle with drinking mouth
US20180116365A1 (en) Applicator-equipped aerosol container
FR2978738A1 (en) CONDITIONING DEVICE PROVIDED WITH A SEALING MEANS
JP2003292004A (en) Injection cap
KR101321680B1 (en) A cap for vial and opener for the same that
JP2920509B2 (en) Holder for injection needle cap
CN214208105U (en) Clamp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KR200396092Y1 (en) Safety plug and receptacle of structure
JP6449705B2 (en) Caps and containers with c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