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20B1 -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20B1
KR101911020B1 KR1020170094712A KR20170094712A KR101911020B1 KR 101911020 B1 KR101911020 B1 KR 101911020B1 KR 1020170094712 A KR1020170094712 A KR 1020170094712A KR 20170094712 A KR20170094712 A KR 20170094712A KR 101911020 B1 KR101911020 B1 KR 10191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seq
gene
nucleotide sequenc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재
신수정
임선영
이문근
이경균
배남호
이석재
정규열
나정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9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1/0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 C12Q2531/1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being amplify/increase the copy number of target nucleic acid
    • C12Q2531/113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16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of nucleic acids, e.g. impedance, conductivity o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60Detection means characterised by use of a special device
    • C12Q2565/629Detection means characterised by use of a special device being a microfluid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fferentiation chip and a prim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fferentiation chip and a primer to accurately and quickly differentiate ge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gene differentiation chip and the primer comprises: a) a step of extracting a gene to be analyzed; b) a step of injecting a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the gene differentiation chip; c) a step of amplifying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at least one primer pai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imers including the base sequences of SEQ ID NO: 1 to 26; d) a step of mixing the amplified gene and a signaling material to form a mixed material; e) a step of measuring a current amount of the mixed material; and f) a step of analyzing the measured current amount to differentiate the gene.

Description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chip and a primer,

본 발명은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기 위한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for accurately and quickly discriminating genes.

1인 가구의 증가, 맞벌이 가정의 증가 추세에 따라 가공 식품 소비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외식산업의 발달 및 학교 급식 등 단체 급식이 보편화 되는 실정이다. 특히, 단체 급식소 확대로 인해, 식중독 사고도 종종 크게 일어난다. 또한, 2012년 한미 FTA가 발효됨에 따라 유통되는 음식물이 글로벌화 되고 있어, 식품 안전성 확보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 식중독 발생 건수는 2003년부터 매년 5천 건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다양한 식중독균으로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인해 발생되고 있다. 식중독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 비용은 2005년에만 1조 6천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때문에 식품 생산단계, 처리, 가공, 유통 및 최종 소비단계에 이르는 식품 단계 과정마다 다양한 잠재적 위험 요인이 존재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식중독균을 현장에서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and the number of dual-earner households increases, processed food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school meals are becoming commonplace. Particularly, due to the expansion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stations, food poisoning accidents often occur. In addition, as the FTA with Korea takes effect in 2012, the foodstuffs distributed are becoming globalized, and food safe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number of food poisoning incidents has been more than 5,000 per year since 2003, and is caused by ingestion of food contaminated with various food poisoning bacteria every year. The cost of socioeconomic loss due to food poisoning is estimated to be 1.6 trillion won in 2005. Therefore, there are various potential risk factors for each stage of foodstuffs ranging from food production stage, processing, processing, distribution, and final consumption stages. In order to minimize this, it is required to detect food poisoning bacteria quickly and accurately in the field.

한편, 요즈음 대상체의 유전자나 단백질 및 세포 등 나노단위의 생체분자 거동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나노-바이오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나노-바이오 기술은 질병을 진단하거나, 대상체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최근 적용되는 산업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researches on nano-biotechnology capable of directly confirming and manipulating the biomolecule behavior of nano unit such as genes, proteins and cells of a subject are actively conducted. Such nano-biotechnology can be used to diagnose a disease or to determine the type of a target object, and thus the recent industrial field is being expanded.

특히, 최근에는 랩온어칩(Lap-on-a-chip)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랩온어칩이란 바이오 칩의 일종으로, 작은 크기의 칩 하나로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랩온어칩은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해 나노미터(㎚) 이하의 미세 채널을 만들고, 이를 통해 극미량의 샘플이나 시료만으로 기존의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실험이나 연구 과정을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든 칩이다. 이러한 실용성으로 인해 랩온어칩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a lab-on-a-chip has been actively performed. A lab-on-a-chip is a type of biochip that allows a small chip to perform research that can be done in a laboratory. Specifically, the lab-on-a-chip is made of plastic, glass, silicon, etc. to create microchannels of nanometer (nm) or less. Through this, labs and researches that can be done in existing laboratories It is a chip made to replace. Because of this practicality, lab-on-a-chip is constantly being developed and used.

종래의 유전자 판별장치는 대형이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며, 유전자를 판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프로브(Probe) 타입의 랩온어칩의 경우, 유전자를 판별하려면 판별하고자 하는 유전자와 쌍을 이루는 프로브를 판별부 내의 검출기판에 미리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Conventional gene discrimination apparatuses are so large that they are inconvenient to carry and have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discriminate genes, which is not practical. In the case of a probe-type lab-on-a-chip, there is a need to fix a probe that pairs with a gene to be discriminated in advance on a detection substrate in a discriminating part in order to discriminate a gene.

즉, 종래에는 유전자 판별장치를 휴대하기 어렵고, 유전자를 판별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신속한 식중독균 검출에 대한 실용성이 떨어지고, 준비 과정도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conventionally,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gene discrimination device, and the time required to identify the gene is long, so that the practicality for rapid detec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is low and the preparation process is complicated.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식중독균을 분석하는 공식적인 방법은 미생물 선택배지를 활용하여 특정 식중독균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시료에서 검출까지 1 - 3 일 이상 수일 정도 소요되며, 검출 과정에 증균 과정이 12 - 48시간으로 대부분 차지하므로, 식중독균의 신속 검출에 걸림돌이 되는 실정이다. 또한 각각의 균주에 대해 실험을 진행해야 하므로, 다중 검출이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 식중독균을 검출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official method of analyzing food poisoning bacteria internationally is a method of detecting a specific food poisoning bacteria by using a microorganism selective medium, and it takes about 1-3 days or more from the sample to detection, and the enrichment process is performed for 12 to 48 hours , And thus it is an obstacle to the rapid detec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addition, since each strain must be tested, it is difficult to detect multiple strains. Therefore, more time is required to detect various causative pathogen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1098호(2014.07.14)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21098 (Jul. 14, 2014)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독하기 위한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for accurately and quickly reading a gen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각 식중독균 내에 존재하는 종 특이적 유전자에 대해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쌍을 각각 디자인하여, 다른 식중독균 genomic DNA (gDNA)에 대해 교차-혼성화 (cross-hybridization) 없이 타겟 식중독균을 증폭 및 검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 forward primer and a reverse primer pair for a species-specific gene existing in each food poisoning bacterium, and to identify a target gene without any cross-hybridization against other food poisoning genomic DNA (gDNA) And to amplify and detect food poisoning bacteri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분석 대상의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시료에 포함된 상기 유전자가 증폭유로를 통과하되, 상기 증폭유로 양측에 형성된 열확산차단홈에 의하여 상기 증폭유로에 공급되는 열이 예정되지 않은 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열전달로 인한 시료 변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급된 열이 주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의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증폭되는 단계; d) 상기 증폭된 유전자와 신호물질은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을 통과하되, 상기 제3 및 제4 믹서채널필름 사이에 부착되며 서로 다른 모양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와류를 유도하는 복수의 믹싱홀이 형성된 믹싱홀필름을 통과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혼합물질이 형성되는 단계; d-1) 상기 혼합물질은 필터부착필름 및 소수성 소재의 에어필터를 통과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착필름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유전자 판별 효율을 높이고, 상기 에어필터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이송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미리 예정된 양의 상기 혼합물질을 자동적으로 판별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f) 측정된 상기 전류량을 분석하여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버 쌍,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중 어느 하나의 식중독균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xtracting a target gene, b) injecting a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a gene discriminating chip; c)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passes through the amplification channel, and the heat supplied to the amplification channel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unexpected part by the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Amplification while preventing the degrada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o that the supplied heat is not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d) The amplified gene and the signal material are pass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and are attach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mixer channel films and formed into holes of different shapes to form a plurality of Forming a mixed material so as to mix and mix while passing through a mixing hole formed with a mixing hole to improve mixing efficiency; d-1) The mixed material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a filter-attached film and an air filter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to remove bubbles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by the filter-attached film to increase gene discrimination efficiency, Mo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ixed material automatically to the discrimination unit even if the air pressure is not precisely controlled by discharging the air carrying the mixed substance to the outside; e)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And f) identifying the amplified gene by analyzing the measured amount of current, and detecting the pathogen-causing bacteria using the gene-identifying chip and the primer,
The primer pair comprising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5,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0,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1,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4,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nd a primer pai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Using a primer, and at least one primer pai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ir of primers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E. coli (Escherichia coli O157: H7),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bbe ut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ct food poisoning bacteria of any one of Salmonella enteritidis , Listeria monocytogenes , Yersinia enterocolitica and Bacillus cereus . And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prim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증폭된 유전자와 상기 신호물질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d), the amplified gene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and the signal material may be mutually comb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작업전극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e2) 상대전극이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 및 e3) 상기 작업전극이 상기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상기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e) includes the steps of: e1) applying an applied voltage to the working electrode; e2) exchanging electrons derived from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through the redox reaction with the working electrode; And e3) continuously measuring the current through the amount of electrons exchanged with the counter electrode by the working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에서, 상기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 신호물질에 따라 고유한 전압 값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e1), the applied voltage is a voltage for generating a redox reaction of the signal material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and may be a unique voltage value depending on the signal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3) 단계 이후에, e4) 상기 인가전압과 상기 기준전극의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표시전압을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e3),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4) displaying a display voltage which is a sum of the appli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증폭된 타겟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증폭된 타겟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f),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mplified target gene is less than a reference amount.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 target gen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amou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은 식중독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전자 판별칩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며, 시료주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몸체를 형성하며, 주입된 시료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바디채널필름의 상부에 부착되는 바디상부커버필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이 수행되는 증폭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며,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유전자 판별 효율을 높이도록 마련된 필터부착필름 및 혼합물질을 이송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미리 예정된 양의 상기 혼합물질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에어필터를 갖는 믹서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믹서부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유전자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에는, 상기 증폭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증폭유로 및 상기 증폭유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열확산차단홈이 마련되고, 상기 열확산차단홈은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는 열이 예정되지 않은 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열전달로 인한 시료 변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급된 열이 주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믹서부는,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을 통과하되, 상기 제3 및 제4 믹서채널필름 사이에 부착되며 서로 다른 모양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와류를 유도하는 복수의 믹싱홀이 형성된 믹싱홀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버 쌍,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중 어느 하나의 식중독균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ene discrimination chip use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comprising: a frame part having an outer shape and having a sample inlet and an outlet;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upper cover film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to form a body and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hannel film on which a plurality of channels are formed so that the injected sample can be moved; An amplification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performing PCR on the sample; A filter attachment film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to form a mixed material by mixing the sample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part with a signal material and to remove bubbles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to increase gene discrimination efficiency, A mixer unit having an air filter arranged to automatically mov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ixed material without precisely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by discharging the air carrying the mixed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 discrimina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measuring a current amount of the mixed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er unit to discriminate a gene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And a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wherein the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heat supplied to the amplifying unit is not schedul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ample due to excessive heat transfer and to prevent the supplied heat from being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so as to improve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rough the fourth mixer channel film, wherein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and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are attached to each other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mixer channel film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ixing hole film having a plurality of mixing holes that result in the vortex,
The primer pair comprising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5,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0,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1,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4,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nd a primer pai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Using a primer, and at least one primer pai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ir of primers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E. coli (Escherichia coli O157: H7),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bbe ut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ct food poisoning bacteria of any one of Salmonella enteritidis , Listeria monocytogenes , Yersinia enterocolitica and Bacillus cereus . .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유전자 판별칩은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편리하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is compact and portable.

또한,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은 검출하고자 하는 식중독균 유전자와 상기 유전자와 상응하는 프로브를 미리 판별부에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식중독균 유전자 판별을 준비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since the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and the primer does not need to fix the food-borne bacteria gene to be detected and the probe corresponding to the gene in advance in the discriminating part,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food poisoning gene is shortened, Can be determined.

또한, 유전자 판별칩은 휴대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is convenient to carry and can quickly identify the gene, it is practical in that it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el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식중독균 6종,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대장균 (Escherichia coliEscherichia coli O157:H7),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프라이머를 디자인함으로써, 교차-혼성화 (cross-hybridization) 없이 PCR 방법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해당 식중독균을 증폭 및 검출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ikjungdokgyun 6 species, Listeria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Escherichia coliEscherichia coli O157: H7),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bbe utility disk (Salmonella enteritidis), Yersinia Enterococcus coli urticae (Yersinia enterocolitica and Bacillus cereus primers can be amplified and detected on a PCR method basis without cross-hybridization effectivel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믹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의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도 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사시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대장균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서열번호 1 및 2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15는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서열번호 3 및 4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16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서열번호 5 및 6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17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서열번호 7 및 8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18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서열번호 9 및 10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19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서열번호 11 및 12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0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서열번호 13 및 14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1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서열번호 15 및 16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2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서열번호 17 및 18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3은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한 서열번호 19 및 20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4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한 서열번호 21 및 22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5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한 서열번호 23 및 24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26은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에 대한 서열번호 25 및 26의 프라이머 세트의 반응 특이성을 확인한 것이다.
1 is a top plan view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mplification unit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xer unit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riminating unit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op view of the discriminating unit of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 step of measuring a current amount of a mixed substance in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11 and 12 are photographs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graph coli O157: H7) of the primers set forth in SEQ ID NOS: 1 and 2, respectively.
Figure 15 shows the reaction specificity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3 and 4 for Staphylococcus aureus .
Figure 16 shows the reaction specificity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5 and 6 for Salmonella enteritidis .
Figure 17 shows the reaction specificity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7 and 8 for Salmonella enteritidis .
18 shows the reaction specificity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9 and 10 for Salmonella enteritidis .
19 is a Listeria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11 and 12.
20 is a Listeria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Listeria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15 and 16.
22 is a Listeria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 of the primer set of SEQ ID NOS: 17 and 18.
23 is a graph showing the activity of Yersinia < RTI ID = 0.0 > SEQ ID NOS: 19 and 20 for enterocolitica ).
Figure 24 is a graph showing the activity of Yersinia < RTI ID = 0.0 > 21 and 22 for Enterococcus species .
2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Yersinia < RTI ID = 0.0 > 23 and 24 for enterocolitica ).
Figure 26 shows the reaction specificity of the primer sets of SEQ ID NOS: 25 and 26 for Bacillus cereus .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top plan view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유전자 판별칩(1000)은 프레임부(100), 바디부(200), 증폭부(300), 믹서부(400) 및 판별부(5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includes a frame unit 100, a body unit 200, an amplification unit 300, a mixer unit 400, and a discrimination unit 500.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시료주입구(111) 및 배출구(121)를 갖고,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The frame unit 10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and includes a sample injection port 111 and an exhaust port 121 and includes an upper frame 110 and a lower frame 120.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바디부(2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시료주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시료주입구(111)는 식중독균 유무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유전자와 증폭 버퍼(PCR버퍼)가 혼합된 시료가 주입되는 통로이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타측에는 신호물질주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와 결합되는 신호물질이 주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00 and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is formed on one side.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is a path through which a sample mixed with an amplification buffer (PCR buffer) is injected,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A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110.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is a path through which a signal material to be coupled with a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is injected and may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number to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에 마련되며, 타측에 상기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21)는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를 통과한 이후에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혼합물질은 상기 시료주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신호물질을 혼합한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The lower frame 1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200 and the outlet 121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 outlet (121)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ixed material passes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riminating part (500). Here, the mixed material may refer to a material mixed with a sample introduced through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and a signal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상기 프레임부(10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1000. The frame part 10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the material of the frame part 100 is not limited thereto.

이처럼 마련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 마련되는 상기 바디부(200), 상기 증폭부(300), 상기 믹서부(400) 및 상기 판별부(5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frame part 10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body part 200, the amplification part 300, the mixer part 400 and the discrimination part 500 provided inside the frame part 1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protected.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복수의 정렬홀(11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상기 정렬홀(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기둥(122)이 형성된다. 상기 정렬기둥(122)은 상기 정렬홀(1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홀(113)과 상기 정렬기둥(122)은 외곽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형성 위치를 도시된 위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마련된, 정렬홀(113)과 정렬기둥(122)의 효과는 상기 바디부(200)에 마련되는 정렬홀(205)에 대해 설명할 때 기술하도록 한다.A plurality of alignment holes 113 are formed in the upper frame 110 and alignment pillars 122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1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lignment holes 113. The alignment pillar 122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alignment hole 113. The alignment holes 113 and the alignment pillars 122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but the positions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positions. The effect of the alignment holes 113 and the aligning columns 122 is described when the alignment holes 205 provided in the body 200 are described.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공기배출구(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은 공기압에 의해 주입된다. 상기 공기배출구(114)는 상기 믹서부(400)에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되어 혼합물질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Further, the upper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n air outlet 114. Specifically, th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injected through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and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are injected by air pressure. The air outlet 114 is formed by mixing th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in the mixer unit 400 to form a mixed material, and before the mixed material is moved to the discriminating unit 500, air To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시료주입구(111)를 통해 주입된 상기 시료가 이동 가능하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200)는 바디채널필름(210), 바디상부커버필름(220) 및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을 포함한다.3, the body part 200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part 100 to form a body, and a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sample injected through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can be moved. The body part 200 includes a body channel film 210, a body upper cover film 220, and a body lower cover film 230.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은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에는 상기 시료주입구(111)부터 상기 배출구(121)까지 시료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개수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에 형성되는 유로의 형상은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body channel film 210 has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ody channel film 210 is form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move from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to the discharge port 121. The number of the channel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hannel formed in the body channel film 2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and can be changed. The body channel film 210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시료주입홀(221) 및 시료주입필름(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시료주입홀(221)을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외부로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료가 정해진 유로를 벗어나 외부로 누출될 경우, 상기 시료로 인한 오염 및 외부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누출된 상기 시료는 기계적인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가 감소하여 유전자 판별 검사에 오류가 발생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상기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유전자 판별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CT380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마련된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단차를 맞추기 위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hannel film 210 and has a sample injection hole 221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pass and a sample injection hole (222) may be formed. The sample injection film 222 can prevent the sample passing through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and the sample injection hole 22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 If the sample leaks outside the predetermined flow path, contamination due to the sample and external infection may occur. In addition, the leaked sample may cause mechanical failure, and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may be reduced to cause an error in the gene discrimination test. Therefore, the sample injection film 222 preventing the sample from leaking can prevent the above problems from occurring, thereby improv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gene discrimination test. The sample injection film 222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one embodiment, a CT380 tape may be used. The sample injection film 222 made of such a material may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in order to align the steps.

또한,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인접하게,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상부압력지지필름(223)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상기 시료가 주입될 때,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시료주입홀(221)은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이 휘어지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주입홀(221)과 시료를 주입하는 장치와 어긋나서 시료가 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압력지지필름(223)은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에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상기 시료가 주입될 때,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n upper pressure supporting film 22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djacent to the sample injection hole 221. Specifically, when the sample is injected into the sample injection hole 221,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At this time,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may be bent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ample injection hole 221, and the sample injection hole 221 may be bent Can occur. Therefore, the upper pressure supporting film 223 is provided to prevent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from being bent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ample injection hole 221, so that the sample injection holes 221 The leakage of the sample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일측에는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되는 위치에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증폭유로(2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폭유로(224)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시료주입구(111)로 유입된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증폭유로(224)의 양측(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폭 방향)에는 열확산차단홈(2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확산차단홈(225)은 상기 증폭부(300)에 공급되는 열이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된 위치의 나머지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열확산차단홈(225)은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된 위치에서만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유동하는 상기 시료는 과도한 열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확산차단홈(225)은 상기 증폭부(300)에 공급된 열이 주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속도 및 증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amplification channel 22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t a position where the amplification unit 300 is attached . 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channel 224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sample injection ports 111, and a channel is formed so that the sample introduced into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can pass therethrough. The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s 225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224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The heat dissipation cut-off groove 225 may prevent the heat supplied to the amplification unit 3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rest of the position where the amplification unit 300 is attached. The heat dissipation cut-off groove 225 provided in this way can cause a PCR reaction only at a position where the amplification part 300 is attached, and the sample flowing in the part where the amplification part 300 is not attach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due to excessive heat.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cut-off groove 225 prevents the heat supplied to the amplification unit 300 from being scattered around, thereby improving the speed and amplification efficiency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또한, 상기 증폭유로(224)의 양측(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길이 방향)에는 복수의 압력조절홀(22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부(300)에서 상기 시료가 증폭될 때,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증폭부(300) 내부의 부피가 팽창하여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홀(226)은 상기 증폭부(300)의 내부에 기체를 배출시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중합효소연쇄반응의 증폭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A plurality of pressure control holes 226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224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Specifically, when the sample is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300, the volume of the amplification unit 300 expands and the pressure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temperature. Therefore, the pressure adjusting hole 226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gas inside the amplification unit 300 and to control the pressure, thereby improving amplification efficiency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또한,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에는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신호물질주입필름(227)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주입필름(227)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신호물질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물질 주입필름(227)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CT380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gnal material injection film 227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film 227 can prevent the signal material flowing into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from leaking.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film 227 may be stacked as a plurality of layers to control the height. In one embodiment, the CT380 tape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에는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로부터 유입된 상기 신호물질과 상기 시료가 혼합된 상기 혼합물질에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착필름(228)과 에어필터(229)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is provided with a filter attachment film 228 for removing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mixed material mixed with the signal material introduced from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and the sample, (229)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필터부착필름(228) 및 상기 에어필터(229)는 후술할 상기 믹서부(400)에 의해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되면서 상기 혼합물질에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29)는 소수성(hydrophobic) 소재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e ethylene, PTF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혼합물질은 단백질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혼합물질은 물에 하나 이상의 친수성 액체가 혼합된 액체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필터(229)는 물과 친수성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기체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필터(229)는 소수성 성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기체만 분리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29)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마련되는 상기 에어필터(229)는 자동으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에 주입되는 것을 멈추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했듯이, 상기 혼합물질은 공기압에 의해서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에어필터(229)의 위치를 모두 통과한 경우에는, 공기압이 모두 에어필터(229)를 통해 빠져나가기 때문에,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양 이상으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로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attachment film 228 and the air filter 229 are provided to remove bubbles generated in the mixed material by mixing th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by the mixer unit 400 described later. The air filter 229 may be a hydrophob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vinyl chloride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ecifically, the mixed material flowing along the flow path may include protein particles, and the mixed material may be a liquid in which one or more hydrophilic liquids are mixed with water. Accordingly, the air filter 229 can be provided with a function of passing gas without passing water and a hydrophilic liquid. Accordingly, the air filter 229 can perform a function of separating and removing only the gas using a hydrophobic material.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229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14. In addition, the air filter 229 thus provided may automatically stop injecting the mixed substance into the discriminating part 500. [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mixed material is moved by air pressure. Accordingly, when the mixed material passes all the positions of the air filter 229, all of the air pressure escapes through the air filter 229, so that even if the air pressure is not precisely controlled, It can be automatically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determination unit 500.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과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과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ody lower cover film 23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hannel film 210. The body lower cover film 230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20.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nd the body lower cover film 230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 However, the material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nd the body lower cover film 2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또한, 상기 바디부(200)에는 상기 정렬홀(20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채널필름(210),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된 상기 정렬홀(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정렬홀(11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기 정렬홀(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정렬홀(113), 정렬기둥(122) 및 정렬홀(205)은 상호 결합되며, 프레임부(100)와 바디부(200)가 결합시 별도의 정렬을 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바디부(200)에 마련된 필름들이 적층되면서 형성하는 유로가 어긋나지 않도록 정확하고 쉽게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00 has the alignment hole 205 formed therein. Specifically, the body channel film 210,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nd the body lower cover film 230 are provided with the alignment holes 113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lignment holes 113 formed in the upper frame 110, The alignment holes 205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holes 113 may be formed. The alignment holes 113, the alignment pillars 122 and the alignment holes 205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ame portion 100 and the body portion 200 do not need to be separately aligned when they are combined. That is, it is convenient in that the channels formed by lamination of the films provided in the body part 200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aligned and fixed so as not to be shif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mplification unit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증폭부(300)는 상기 바디부(20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밸브필름(310) 및 더미챔버필름(320)을 포함한다.4, the amplification unit 3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00 and can perform a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the sample. The valve film 310 and the dummy chamber film (320).

상기 밸브필름(310)은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더미챔버필름(320)은 상기 밸브필름(310)의 상부에 부착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필름(310) 및 상기 더미챔버필름(320)은 복수의 필름이 적층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증폭부(300)는 상기 시료주입구(111)로부터 유입된 상기 시료가 통과하면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해 유전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valve film 31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200 and the dummy chamber film 320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valve film 310. The valve film 310 and the dummy chamber film 320 may b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ilms are stacked to form a flow path. The amplifica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number of genes is amplified exponentially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hile the sample introduced from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passes through the amplification unit 300.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필름(310)은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증폭유로(2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증폭유로(224)와 동일한 형상의 증폭유로(313)가 형성된 밸브채널필름(311)을 포함한다. 상기 증폭유로(313)는 상기 시료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증폭유로(313)에는 가열 및 냉각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증폭유로(313)를 통과하는 상기 시료에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alve film 310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nd an amplification channel 313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mplification channel 2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mplification channel 224, And a valve channel film 311 formed with the valve channel film 311. The amplification channel 313 form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ample passes and the amplification channel 313 is continuously heated and cooled so that a polymerase chain reaction occurs in the sample pas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channel 313. [ can do.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의 양측(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길이 방향)에는 날개필름(312)이 연장되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날개필름(312)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보다 얇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날개필름(312)에는 복수의 밸브홀(314,315)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홀(314,315)은 상기 압력조절홀(2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증폭부(300)에 의해 상기 시료가 증폭될 때, 기체를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주입구(111) 측에 위치한 상기 밸브홀(314)을 통해서는 상기 시료가 유입되며, 반대측에 위치한 상기 밸브홀(315)을 통해 증폭이 수행된 상기 시료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채널필름(311)과 상기 날개필름(312)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 wing film 312 is extended on both sides of the valve channel film 311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At this time, the blade film 312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valve channel film 311 to form a step. A plurality of valve holes 314 and 315 are formed in the blade film 312. The valve holes 314 and 315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djusting holes 226, When the sample is amplified, the pressure can be controlled by discharging the gas. In addition, the sample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valve hole 314 located on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side, and the amplified sampl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hole 315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 addition, the valve channel film 311 and the blade film 312 may be formed of polyimide material,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날개필름(312)의 상부에는 날개필름커버(316)가 부착된다.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는 상기 CT380테이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필름(312)에 형성된 상기 밸브홀(314,315)의 상측을 덮어 액체가 밸브홀(314,315)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는 상기 날개필름(312)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의 높이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두께가 형성될 수 있다.A wing film cover 316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film 312. The blade film cover 316 may be formed of the CT380 tape material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valve holes 314 and 315 formed in the blade film 312 to prevent the liq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valve holes 314 and 315 can do. The wing film cover 316 may have a thickness such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ing film cover 316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channel film 311 when attached to the wing film 312.

또한, 상기 날개필름커버(316)의 상측에는 상기 밸브홀(314,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리프트필름(317)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필름(317)은 외부 장비와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를 부착시키며,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리프트필름(317)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밸브홀(314,315)이 완전히 닫혀 상기 증폭부(3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료가 일정 시간동안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비가 상승하면, 상기 리프트필름(317)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날개필름커버(316)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밸브홀(314,315)이 개방되고, 상기 시료가 믹서부(4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A lift film 317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film cover 31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alve holes 314 and 315. The lift film 317 attaches external equipment and the wing film cover 316. When the external equipment applies pressure to the lift film 317, the valve holes 314 and 315 are completely closed, The amplification can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external equipment is lifted up, the wing film cover 316 is lift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lift film 317, so that the valve holes 314 and 315 are opened, and the sample is fed to the mixer unit 400 Lt; / RTI >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밸브필름(310)의 상부에는 더미챔버필름(320)이 부착되며, 상기 더미챔버필름(320)은 먼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밸브채널필름(311)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된 증폭챔버필름(321)을 포함한다.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를 누르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증폭챔버필름(321)과 상기 날개필름커버(316)의 경계면에서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는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에 형성된 상기 증폭유로(313)와 대응되는 형상과 위치에 형성되는 증폭유로(322)를 갖는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의 두께는 적정한 용량의 시료가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넓히기 위해 조절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이 더 적층되어 유로를 넓혀 증폭되는 상기 시료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유전자 시료의 증폭목적에 따라 시료양의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A dummy chamber film 32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film 310. The dummy chamber film 320 is first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channel film 311 and the valve channel film 311 And an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Since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valve channel film 311 so that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press the wing film cover 31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mple from leaking at the interface of the first electrode 316.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has an amplification channel 322 formed in a shape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mplification channel 313 formed in the valve channel film 311. The thickness of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may be adjusted to widen the channel so as to amplify the amplified chamber film 321. If necessary,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may be further laminated, Since the amount of the sample can be increas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amp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mplification of the gene sample. In addition,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또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의 상부에는 증폭커버필름(323)이 부착된다.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은 상기 증폭유로(224, 313, 322)들을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소재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n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1.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may serve as a cover for preventing the sample pas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channels 224, 313, and 322 from leaking.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의 상부에는 더미테잎(324)과 더미필름(325)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더미테잎(324)과 상기 더미필름(325)에는 상기 증폭유로(322)와 동일한 형상 및 대응되는 위치에 더미유로(326)가 형성된다. 이처럼 마련된 더미유로(326)는 상기 증폭유로(224, 313, 322)의 내부에 온도 증가로 인해 부피가 팽창할 때,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부풀어오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더미유로(326)는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순간적으로 부피가 팽창하였을 때,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손상되어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테잎(324)과 상기 더미필름(325)은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두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추가로 더 적층될 수도 있다.Further, a dummy tape 324 and a dummy film 325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A dummy channel 326 is formed in the dummy tape 324 and the dummy film 325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322. The dummy channel 326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can swell when the volume of the amplification channels 224, 313, and 322 increases due to temperature increase. That is, the dummy flow path 326 provides a space for expanding when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instantaneously bulges, thereby preventing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from being damaged and leaking out can do. Therefore, the dummy tape 324 and the dummy film 325 may be provided to have a thickness sufficient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amplification cover film 323 can expand, and if necessary, It is possible.

또한, 하기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실시예로 상기 더미테잎(324)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더미필름(325)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dummy tape 324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and the dummy film 325 may be formed of a polypropylene material.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믹서부의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xer unit of a gene discrimination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믹서부(400)는 상기 바디부(200)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증폭부(300)에 의해 증폭된 상기 유전자와 상기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믹서부(400)는 믹서하부커버필름(410), 제1 믹서채널필름(420), 제2 믹서채널필름(430), 제3 믹서채널필름(440), 제4 믹서채널필름(450), 믹서연결홀필름(460), 믹싱홀필름(470) 및 상부커버필름(480)을 포함한다.5, the mixer unit 4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00 and mixes the signal material with the gene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300 to form the mixed material can do. The mixer unit 400 includes a mixer lower cover film 410, a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a second mixer channel film 430, a third mixer channel film 440, a fourth mixer channel film 450, a mixer connection hole film 460, a mixing hole film 470, and an upper cover film 480.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은 상기 바디부(20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은 상기 바디부(200)의 바디하부커버필름(230)과 일체화되어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증폭부(300)와 상기 에어필터(229)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mixer lower cover film 41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0. The mixer lower cover film 4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lower cover film 230 of the body part 20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mplification part 300 and the air filter 229. [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은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에는 유로를 형성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와류 현상에 의해 혼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은 홀의 형상을 변경하면 유로가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에 형성된 홀의 크기, 길이, 위치, 방향, 모양 등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를 통과하는 시료 및 신호물질의 흐름과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혼합 농도, 또는 혼합량 등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420, 430, 440 and 450 may be sequential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ixer lower cover film 410 and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420, 430, 440, and 450 to form a flow path, and the flow path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are mixed by vortexing. In addition, 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420, 430, 440, and 450 may be formed to change the channel when the shape of the holes is changed. That is, various types of channels can be formed by freely setting the size, length, position, direction, shape, etc. of holes formed in 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420, 430, 440, ,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and velocity of the sample and signal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thereby easily controlling the mixing concentration, mixing amount, and the like.

특히,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과 일체화되어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의 상면에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을 따라 이송된 상기 시료와, 상기 판별부(500)로 이송되는 상기 혼합물질의 유입 및 유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channel film 210 an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xer lower cover film 410. Accordingly,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may form the inlet and outlet passages of the sample conveyed along the body channel film 210 and the mixed material conveyed to the discriminating unit 500.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은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과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 사이, 및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과 상기 제3 믹서채널필름(440) 사이에 각각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은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과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과 상기 제3 믹서채널필름(44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과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은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과 일체화되어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The mixer connection hole film 46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and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430 and between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430 and the third mixer channel film 440, Respectively. The mixer connection hole film 460 connects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and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430 and connects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430 and the third mixer channel film 430 440 are interconnected. The mixer connection hole film 46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and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4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upper cover film 220, The first mixer channel film 420 and the second mixer channel film 42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상기 믹싱홀필름(470)은 상기 제3 믹서채널필름(440)과 상기 제4 믹서채널필름(450)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믹싱홀필름(470)은 상기 혼합물질이 혼합되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과 상기 믹싱홀필름(470)에는 서로 다른 모양의 홀 형태의 믹싱홀(461,471)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믹싱홀(461,471)은 서로 다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믹싱홀(461,471)을 통과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골고루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즉,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ixing hole film 470 may be attached between the third mixer channel film 440 and the fourth mixer channel film 450. The mixing hole film 470 may be formed with a hole for forming a vortex so that the mixed material is mixed. More specifically, the mixing hole film 460 and the mixing hole film 47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 holes 461 and 471 of different shapes. The mixing holes 461 and 471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so that the sample passing through the mixing holes 461 and 471 and the signal material are uniformly mixed. That is, the mix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상부커버필름(480)은 상기 제4 믹서채널필름(45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film 48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mixer channel film 450.

또한,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 상기 믹싱홀필름(470), 상기 상부커버필름(48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소재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ixer connection hole film 460, the mixing hole film 470, and the upper cover film 480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It does not.

이처럼 마련된 상기 믹서부(400)는 일측에는 상기 증폭부(300)를 통과한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통로 및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로 주입된 상기 신호물질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 및 상기 신호물질은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하면서 와류에 의해 혼합되어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한다.The mixer unit 400 may include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ampl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mplification unit 300 flows and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ignal material injected into the signal material inlet 112 flows. Th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pass through the mixer unit 400 and are mixed by vortex to form the mixed material.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상면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riminating unit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top view of a discriminating unit of a gene discriminating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판별부(500)는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별부(500)는 상기 혼합물질의 산화환원에 의한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으며, 전극유닛(510), 판별기판유닛(520), 판별필름유닛(530) 및 배출필름유닛(540)을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discrimination unit 5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200, and can discriminate a gene included in the mixed substan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xer part 400 have. The discrimination unit 500 can discriminate the gene b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due to the oxidation and reduction of the mixed material. The discrimination unit 500 includes the electrode unit 510, the discrimination substrate unit 520, the discrimination film unit 530, A film unit 540, and the like.

상기 전극유닛(510)은 백금, 금, 카본, 구리, 니켈, 은 등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질의 산화환원에 의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작업전극(511), 상대전극(512), 기준전극(513)을 포함한다.The electrode unit 5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tinum, gold, carbon, copper, nickel, or silver. The electrode unit 510 can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due to the redox reaction of the mixed material, A reference electrode 512, and a reference electrode 513.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혼합물질의 산화환원에 의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질은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는 연쇄효소중합반응을 통해 증폭된 경우에만 상기 신호물질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유전자가 연쇄효소중합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신호물질은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못한 상태로 상기 혼합물질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작업전극(511)은 이처럼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신호물질에 전압을 인가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발생된 전자를 통해전기적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전극(511)이 측정하는 전류량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신호물질의 양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The working electrode 511 can measure an amount of current due to redox of the mixed material. Specifically, the mixed material is a mixture of th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and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is combined with the signal material only when amplified through a sequential enzyme polymerization reaction. When the gene is not subjected to the sequential enzymatic polymerization reaction, the signal substance remains in the mixed substance in a state where it is not bound to the gene. The working electrode 511 can measure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electrons genera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signal material that is not coupled in this way and induce a redox reaction. Therefore, the amount of current measured by the working electrode 51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signal material that is not coupled.

상기 상대전극(512)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511)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대전극(512)은 상기 혼합물질의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511)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상대전극(512)과 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The counter electrode 512 may exchange electrons derived from the redox reaction of the signal material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with the working electrode 511. Specifically, the counter electrode 512 may exchange electrons derived from the signal material not associated with the gene of the mixed material through the redox reaction with the working electrode 511. The working electrode 511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by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ons exchanged with the counter electrode 512

상기 기준전극(513)은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되어야 할 전압의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전극(513)은 각각의 상기 혼합물질에 대한 기준전압을 갖고,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기준전극(513)의 기준전압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작업전극(511)이 상기 혼합물질에 대해 상대적으로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ference electrode 513 may be a reference for a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working electrode 511. Specifically, the reference electrode 513 has a reference voltage for each of the mixed materials, and the working electrode 511 is adapted to apply a voltage according to a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513, (511) can maintain a constant voltage relative to the mixed material at all times.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각각의 신호물질에 따라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고유한 전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상기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이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전압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전극(513)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The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working electrode 511 may be a unique voltage value for causing a redox reaction depending on each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In particular, the applied voltage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electrode 513 so that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has a voltage value at which a redox reaction can occur.

또한, 표시전압은 기준전압과 인가전압을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전극(513)의 기준전압이 0.2V이고,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되어야 하는 인가전압이 0.5V일 경우, 상기 작업전극(511)의 표시전압은 기준전압 0.2V와 인가전압 0.5V를 합한 값인 0.7V일 수 있다.The display voltage may be a sum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applied voltage.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513 is 0.2 V and the applied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working electrode 511 is 0.5 V, the display voltage of the working electrode 511 is 0.2 V And an applied voltage of 0.5V.

한편, 상기 전극유닛(510)의 상기 전극들(511, 512, 513)은 상기 혼합물질과 접촉되는 반응부(514), 및 상기 반응부(5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접지되는 접지부(515)로 구분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electrodes 511, 512, and 513 of the electrode unit 510 include a reaction unit 514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ixed material and a ground unit 515 that is extended from the reaction unit 514 and is grounded ). ≪ / RTI >

상기 반응부(514)는 상기 작업전극(511), 상기 상대전극(512) 및 상기 기준전극(513)이 상기 혼합물질과 접촉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응부(514)의 상부에는 후술할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의 반응챔버(534)가 마련되고, 상기 혼합물질은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하면서 상기 반응부(514)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유닛(510)과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action unit 514 may refer to a portion where the working electrode 511, the counter electrode 512, and the reference electrode 513 are in contact with the mixed material. A reaction chamber 534 of the discrimination film unit 53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action part 514 and the reaction part 514 is formed by passing the mixed substance through the reaction chamber 534,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with the electrode unit 510 can be performed.

상기 접지부(515)는 상기 전극유닛(510)에 포함된 상기 전극들(511, 512, 513)이 접지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부(5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515)는 상기 혼합물질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에 의해 상기 반응부(514)와 구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grounding unit 515 may refer to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s 511, 512 and 513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510 are grounded and may extend from the reaction unit 514. The grounding unit 515 may be separated from the reaction unit 514 by the discriminating film unit 530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mixed substance.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은 상부에 복수의 상기 전극유닛(510)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소재는 유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전극유닛(51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소재는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에 부착되는 전극유닛(510)의 개수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electrode units 51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substrate unit 520. Specifically, the material of the identification substrate unit 520 may be glass, and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units 51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substrate unit 5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identification substrate unit 520 is not limited to glass, and the number of the electrode units 510 attached to the identification substrate unit 520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sample injection ports 111 .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혼합물질이 통과하는 반응챔버(53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마련된 상기 전극유닛(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상기 반응챔버(534)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챔버(534)는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한 혼합물질이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유닛(510)과 반응한 뒤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의 폭은 상기 전극유닛(510)의 상기 반응부(514)와 상기 접지부(515)가 구분되어 있어, 상기 접지부(515)와 상기 혼합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iscriminating film unit 53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riminating substrate unit 520 and a reaction chamber 534 through which the mixed substance passes may be formed.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film unit 530 may be provided to form the reaction chambers 534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510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dentification substrate unit 520 have. The reaction chamber 534 may b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mixed material having passed through the mixer unit 400 flows into one side, reacts with the electrode unit 510, an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The width of the discriminating film unit 530 is divided into the reaction unit 514 and the ground unit 515 of the electrode unit 510 so that the ground unit 515 and the mixed material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

또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판별필름(531), 상기 제1 판별필름(531)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판별필름(532), 및 상기 제2 판별필름(532)의 상부 및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3 판별필름(5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필름들(531, 532, 533)은 상기 반응부(5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반응챔버(534)를 갖고, 상기 판별필름들(531, 532, 533)은 상기 반응부(514)와 상기 접지부(515)를 구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필름들(531, 532, 533)을 적층함으로써, 상기 반응챔버(534)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반응챔버(534)의 부피를 조절하여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하는 상기 혼합물질의 양을 제어할수 있도록, 적층되는 판별필름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판별필름(532)은 상기 CT380테이프 재질로 마련되어,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판별필름(531)과 상기 제3 판별필름(533)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discriminating film unit 530 includes a first discriminating film 531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riminating substrate unit 520, a second discriminating film 532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iscriminating film 531, And a third discriminating film 533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iscriminating film 532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200. The discrimination films 531, 532 and 533 have the reaction chamber 534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ction section 514 and the discrimination films 531, (514) and the ground portion (515). In addition, the discrimination film unit 530 can control the volume of the reaction chamber 534 by stacking the discrimination films 531, 532, and 533. More specifically, the discrimination film unit 530 can change the number of the discriminating films stacked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mixed substance passing through the reaction chamber 534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reaction chamber 534 have. The second discriminating film 532 may be formed of the CT380 tape material to control the thickness thereof and the first discriminating film 531 and the third discriminating film 533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은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배출구(121)에 의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배출홀(543)이 마련된 제1 배출필름(541) 및 제2 배출필름(5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CT380테이프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discharge film unit 540 may guide the mixed material having passed through the reaction chamber 534 to be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ort 121 and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film 541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543, And a second exhaust film 542. Here,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may be formed of a CT380 tape material, and the second discharge film 542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상기 배출구(121)의 상부에 부착되며, 누수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상기 배출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혼합물질을 안내하는 상기 배출홀(543)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배출구(121)가 아닌 틈으로 새어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film 541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21 and may be provided to prevent leakage. Specifically,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may be provided with the discharge hole 543 for guiding the mixed substan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121. Also,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can prevent the mixed substanc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from leaking into a gap other than the discharge port 121 and flowing out.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은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의 상부 및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배출필름(542)에는 상기 제1 배출필름(541)에 마련된 상기 배출홀(543)과 동일한 배출홀(5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은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의 높이가 상기 반응챔버(534)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필름(541) 및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의 두께는 상기 혼합물질이 누수되지 않고 상기 배출구(121)로 배출되도록 상기 반응챔버(534)의 유로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의 상부에 제3 배출필름(543)을 적층하여 상기 혼합물질이 배출되는 상기 반응챔버(534)의 유로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은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이 누수되지 않고,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film 542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0. The second discharge film 542 may have the same discharge hole 543 as the discharge hole 543 provided in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The second discharge film 54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so that the height of the discharge film unit 540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reaction chamber 534.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charge film 541 and the second discharge film 542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hannel of the reaction chamber 534 so that the mixed material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1 without leaking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third discharge film 543 may be laminated on the second discharge film 542, and the discharge film unit 540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flow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534 through which the mixed substance is discharged. . The discharge film unit 540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mixed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action chamber 534 through the discharge film unit 540 without being leaked.

이처럼 마련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은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은 휴대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또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는 유전자와 대응되는 프로브를 미리 상기 판별부(500)에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전자 판별을 준비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thus prepared is compact and portable. Since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is convenient to carry and can quickly identify a gene,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is practical in that it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eld. In addition, since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1000 does not need to fix the probe corresponding to the gene to the discriminating unit 500 in advance, the preparation time for gene discrimination is shortened, and the gene can be discriminated quickly.

이처럼 마련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는 식중독균 판별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가 적용된 식중독균 판별기는 식품 등에서 식중독 균을 채취 및 추출한 다음,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주입함으로써, 식중독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를 식중독균 판별기에 적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를 어종 판별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thus prepared is applicable to the food poisoning bacteria discriminator. That is, the food-borne pathogen discriminator to which the gene-discriminating chip 1000 is applied can determine whether food poisoning is dangerous by collecting and extracting food-borne bacteria from food or the like and then injecting the food-borne bacteria into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10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1000 is applied to the food poisoning bacteria discriminating device. For example,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may be applied to a fish species discriminator.

이하,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1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의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FIG. 8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a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cting a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p of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본 발명은, 각 식중독균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정방향 프라이머와 역방향 프라이머로 구성된 프라이머 쌍 정보 및 이를 이용하는 식중독균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imer pair information composed of a forward primer and a reverse primer capable of amplifying a gene region specifically present in each food poisoning bacterium, and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primer pair informa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은 먼저,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에서 분석 대상에 대한 유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석 대상이 되는 다양한 시료, 예컨대 식품, 토양, 인체 또는 동물체의 조직, 대변 등으로부터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genomic DNA(gDNA)를 추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in the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the primer, a gene extracting step (S610) may be performed first. Specifically, in step S610 of extracting the gene, a gene for an analyte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genes, preferably genomic DNA (gDNA),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samples to be analyzed, such as foods, soil, tissues of a human body or animals, faeces, and the like.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 이후에는,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가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는 상기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주입할 수 있다. 이처럼 시료주입구(111)에 주입된 상기 시료는 상기 바디부(20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After the step of extracting the gene (S610), a step of injecting the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S620)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step of injecting the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S620) may include injecting a sample containing the gene extracted in the extracting step (S610) of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into the sample inlet 111). The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jection port 111 moves along the flow path formed in the body part 200.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 이후에는,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가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는, 상기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에서, 유입된 상기 시료가 상기 증폭부(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전자의 수를 증폭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유전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에서, 추출되는 상기 유전자의 수는 극소량이기 때문에, 추출한 상기 유전자만으로는 정확한 판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이처럼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여 상기 유전자의 수를 증가시키면 판별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injecting the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S620), a step of amplifying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S630) may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amplifying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S630) may include injecting the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S620), passing the sample through the amplifying unit 300 And amplifying the number of genes. Here, the gene can b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Generally,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gene (S610), since the number of extracted genes is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perform accurate discrimination with only the extracted gene. However, if the number of genes is increased by amplifying the gene as described above, the discriminating opera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가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유전자 증폭에 사용되는 프라이머(primer)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검출용 프라이버 쌍, 서열번호 7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6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2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검출용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4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검출용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25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검출용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일 수 있다.When the step of amplifying the gene is carried out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 primer used for gene amplification comprises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Containing Escherichia < RTI ID = 0.0 > coli O157: H7) primer,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3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4,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Staphylococcus aureus , And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6,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7,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8,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9,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0, and a pair of Salmonella enteritidis ( Salmonella enteritidis ) detecting prime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Entebbe utility disk (Salmonella enteritidis) for detecting A base sequence described in the primer pair, the primers and SEQ ID NO: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12 L.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SEQ ID NO: 13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11 L.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14 and a primer comprising monocytogenes ) detection primer,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5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6, a primer pair for detecting Listeria monocytogenes ,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described above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8 ( Listeria monocytogenes monocytogenes ),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9, and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Yersinia enterocolitica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20, a primer pair consisting of SEQ ID NO: 21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22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Yersinia < RTI ID = 0.0 > enterocolitica detection primer,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23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24, and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Yersinia enterocolitica , And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Bacillus cereus comprising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26 and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Bacillus cereus .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의 eaeA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nucA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의 sefA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의 sefA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의 sefA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hly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hly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hly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iap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은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의 yst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및 서열번호 22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의 yst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24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의 ail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의 groEL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쌍이다.Specifically, SEQ ID NO: 1 and SEQ ID NO: 2 correspond to Escherichia coli O157: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the eaeA genes H7), SEQ ID NO: 3 and SEQ ID NO: 4 is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the nucA gene from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EQ ID NO: 5 and SEQ ID NO: 6 is a Salmonella Entebbe Priority display a pair of primers, SEQ ID NO: 7 and SEQ ID NO: 8 Salmonella Entebbe utility discharge primers, SEQ ID NO: 9 and SEQ ID NO: 10 for detecting the sefA genes (Salmonella enteritidis) for detecting the sefA genes (Salmonella enteritidis) is Salmonella Entebbe utility discharge primers, SEQ ID NO: 11 and SEQ ID NO: 12 for detecting the gene of sefA (Salmonella enteritidis) is L.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the hly genes monocytogenes), SEQ ID NO: 13 and SEQ ID NO: 14 is the primer pair SEQ ID NO: 15 and SEQ ID NO: 16 for detecting the hly gene of L.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is a Listeria monocytogenes Listeria monocytogenes ), SEQ ID NO: 17 and SEQ ID NO: 18 are primer pairs for detecting the iap gene of Listeria monocytogenes , SEQ ID NO: 19 and SEQ ID NO: 20 are primers for detecting the hly gene of Yersinia Enterococci ( Yersinia enterocolitica ), SEQ ID NO: 21 and SEQ ID NO: 22 are primer pairs for detecting the yst gene of Yersinia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the yst gene of enterocolitica), SEQ ID NO: 23 and SEQ ID NO: 24 is a Yersinia Enterococcus coli urticae (primer pair SEQ ID NO: 25 and SEQ ID NO: 26 for detecting the ail gene of Yersinia enterocolitica) is Bacillus celebrity It is a pair of primers for detecting the groEL gene of Bacillus cereus .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은 장 점막 상피세포에 달라붙는 부착 인자가 있어, 해당 독소와 관련된 관련된 유전자 eaeA를 통해 검출이 가능하다. Nuc A 유전자는 이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데 쓰이는 유전자 영역이다. SefA 유전자는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독성에 대한 유전자로, 해당 식중독균에 대한 특이적 검출이 가능하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독성을 가진 유전자로, 해당 식중독균을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데 대부분 hly 유전자, iap 유전자를 사용하고 있다. Yst 유전자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를 특이적으로 검출 가능하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GroEL 유전자는 housekeeping 유전자로, 이미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검출하는 데 쓰이는 유전자이다. Escherichia coli O157: H7) has an attachment factor that sticks to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is detectable through the related gene eaeA associated with the toxin. The Nuc A gene is a gene region that is already used to effectively detect Staphylococcus aureus . The SefA gene is a gene for toxicity specific to Salmonella enteritidis ,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specifically for the pathogenic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es ( Listeria monocytogenes ) is a gene with toxicity. Most of the hly and iap genes are used to specifically detect the pathogenic bacteria.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Yst gene is specifically detectable for Yersinia enterocolitica . The GroEL gene is a housekeeping gene that is already used to detect Bacillus cereus.

본 발명에서 검출하는 6종의 식중독균은 전세계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식품 유래의 병원성 미생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가 있다.The six types of food poisoning bacteria det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athogenic microorganisms originating from major foodstuffs causing food poisoning worldwide, and Escherichia coli O157: H7), Salmonella Entebbe utility disk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L.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monocytogenes , Yersinia enterocolitica , and Bacillus cereus .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 이후에는, 증폭된 유전자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640)가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된 유전자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640)에서, 상기 증폭부(300)를 통과한 상기 증폭된 유전자 시료는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신호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유전자와 상기 신호물질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물질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주입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amplifying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S630), a step S640 of forming a mixed material by mixing the amplified gen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in step S640, the amplified gene sample,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amplification unit 300, is mixed with the amplified gen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through the mixer unit 400, Can be mixed with the signal material. The gene and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may be mutually combined. At this time, the signal material may be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signal material injection port 112 continuously.

상기 증폭된 유전자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640) 이후에는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는 작업전극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S651), 상대전극이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S652) 및 작업전극이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S653)를 포함한다.After the amplified gene sample and the signal material are mixed to form a mixed material (S640), a step S650 of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may be performed. The step S650 of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may include applying an applied voltage to the working electrode in operation S651, converting the electrons derived from the redox reaction of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into the working electrode, And a step S653 of continuousl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amount of electrons that the working electrode exchanges with the counter electrode.

먼저, 상기 작업전극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S651)는,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각각의 신호물질에 따라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고유한 전압 값을 의미한다. 즉, 상기 기준전극(513)의 기준전압을 고려하여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에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First, a step S651 of applying an applied voltage to the working electrode is a step of applying an applied voltage to the working electrode 511. Here, the applied voltage means a unique voltage value for causing a redox reaction depending on each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That is, by applying the applied voltage to the working electrode 511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513, the redox reaction can be performed on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상기 상대전극이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S652)에서, 상기 상대전극(512)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511)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대전극이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S652)에서,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는 상기 신호물질은 유전자의 결합되지 못한 신호물질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에서 증폭된 유전자의 양에 따라 상기 신호물질의 결합 양이 결정되며, 상기 증폭된 유전자와 결합되지 못한 상기 신호물질은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전자가 도출되어 상기 작업전극(511)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In the step S652 of exchanging the electrons derived from the redox reaction of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with the working electrode, the counter electrode 512 may oxidize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Electrons derived through the reduction reac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working electrode 511. At this time, in the step of exchanging the electrons derived through the redox reaction of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with the working electrode (S652), the signal material causing the redox reaction is a signal material Quot; Specifically, the binding amount of the signal substa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amplified gene in the step of amplifying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S630), and the signal substance not binding with the amplified gene is subjected to the redox reaction So that an electric signal is provided to the working electrode 511.

그리고, 상기 작업전극이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S653)에서,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상대전극(512)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전극이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S653)에서는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못한 상기 신호물질의 양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되는 것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ep S653 of continuousl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amount of electrons exchanged with the counter electrode, the working electrode 511 sequentially changes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amount of electrons exchanged with the counter electrode 512 . That is, in the step S653 of continuousl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amount of electrons exchanged with the counter electrode by the working electrode, it is possible to successively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signal material that is not coupled with the gene .

그리고,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는 인가전압과 기준전극의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표시전압을 보여주는 단계(S6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가전압과 기준전극의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표시전압을 보여주는 단계(S654)는 상기 인가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상기 표시전압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전압을 통해,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에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인가전압이 가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 step S650 of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step S654 of displaying a display voltage which is a sum of an applied voltage and a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Step S654 of displaying the display voltage, which is a sum of the appli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may display the display voltage, which is a sum of the appli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n a separate display unit .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an applied voltage that can cause a redox reaction is applied to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through the display voltage.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 이후에는, 측정된 전류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660)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된 전류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660)는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650 of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step S660 of discriminating the gene by analyzing the measured amount of current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in the step S660 of determining the gene by analyzing the measured amount of curr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gene is less than the reference amount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 gen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amount.

일 예로, 본 발명인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판별 방법을 적용한 식중독균 판별기의 경우,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식중독을 유발하는 원인균의 유전자가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식품이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식중독을 유발하는 원인균 유전자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식품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ood-borne pathogen discriminator using the method for distinguishing food-borne bacteria using the gene discrimination chip and the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judged that the gene causing the food-borne pathogen is small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It can be judged. Conversely, if the amount of current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that there are many causative genes causing food poisoning, and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risk of food poisoning if the food is consumed.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판별 방법은 식중독균 판별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 방법은 어종 판별기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method of discriminating using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is not limited to the food poisoning bacteria discriminating machine. As an example, the method of gene discrimination using a gene discrimination chip can be applied to a fish species discriminator.

<실시예 1> 검출 대상이 되는 식중독균 배양 및 gDNA 추출Example 1 Culture of food poisonous bacteria to be detected and gDNA extraction

실험에서 사용한 총 6종의 식중독균 strain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대장균 (Escherichia coli O157:H7),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를 포함한 호기성 박테리아는 4 ㎖의 TSB (Trypton Soy Broth)에 접종하여 37 ℃, 16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The strains of six food poisoning bacteria used in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Escherichia coli O157: H7), Salmonella Entebbe utility disk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L. monocytogenes to Ness (Listeria aerobic bacteria including monocytogenes , Yersinia enterocolitica , and Bacillus cereus were inoculated into 4 ml of TSB (Trypton Soy Broth) and cultured at 37 ° C for 16 hours.

상기 식중독균은 배양 후, GeneAll ExgeneTM Cell SV 키트를 이용하여 미생물 g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gDNA의 농도는 스펙트로미터 (UV-1601 Spectrophotometer Shimadzu사, 일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After the incubation, the microorganism gDNA was extracted using GeneAll Exgene Cell SV kit. The concentration of extracted gDNA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UV-1601 Spectrophotometer, Shimadzu Corp., Japan).

식중독균Food poisoning bacteria StrainStrain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Listeria monocytogenes
( Listeria monocytogenes )
ATCC 19111ATCC 19111
대장균
(Escherichia coli O157:H7)
E. coli
( Escherichia coli O157: H7)
ATCC 43894ATCC 43894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aureus )
ATCC 29213ATCC 29213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enteritidis
( Salmonella enteritidis )
ATCC 13076ATCC 13076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
Yersinia enterrocolitica
( Yersinia enterocolitica )
ATCC 23715ATCC 23715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Bacillus cereus
( Bacillus cereus )
ATCC 21768ATCC 21768

<실시예 2> 식중독균 검출용 프라이머 디자인Example 2: Primer design for detec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식중독균 6종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디자인 조건은 GC%는 35 - 60 %, Tm 값은 58 - 61℃로 각 식중독균의 특이적 유전자에 대해 Primer 3를 통해 디자인하였다. Primer design conditions for the detection of 6 species of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35 - 60% for GC% and 58 - 61 ℃ for Tm, and Primer 3 was used for the specific genes of each pathogenic bacterium.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에 의뢰하여 합성하였고, 합성한 프라이머가 증폭하는 타겟 식중독균의 종 특이적 유전자 및 증폭된 산물의 길이는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Table 1 summarizes the species specific genes and amplified products of target food poisoning bacteria amplified by the synthesized primers.

StrainStrain genegene Product size
(bp)
Product size
(bp)
PrimerPrimer Sequences (5' - 3')Sequences (5 '- 3')
Escherichia coli O157:H7 Escherichia coli O157: H7 eaeAeaeA 384384 EO157-FEO157-F GACCCGGCACAAGCATAAGC (서열번호 1)GACCCGGCACAAGCATAAGC (SEQ ID NO: 1) EO157-REO157-R CCACCTGCAGCAACAAGAGG (서열번호 2)CCACCTGCAGCAACAAGAGG (SEQ ID NO: 2) Staphylococcus aureusStaphylococcus aureus nucAnucA 400400 STAU-FSTAU-F AAAGCGATTGATGGTGATACTGT (서열번호 3)AAAGCGATTGATGGTGATACTGT (SEQ ID NO: 3) STAU-RSTAU-R GACCTGAATCAGCGTTGTCTTCG (서열번호 4)GACCTGAATCAGCGTTGTCTTCG (SEQ ID NO: 4) Salmonella enteritidisSalmonella enteritidis sefAsefa 498498 SAEN1-FSAEN1-F CAAAGCAGTGGTTCAGGCAG
(서열번호 5)
CAAAGCAGTGGTTCAGGCAG
(SEQ ID NO: 5)
SAEN1-RSAEN1-R TGCTGAACGTAGAAGGTCGC
(서열번호 6)
TGCTGAACGTAGAAGGTCGC
(SEQ ID NO: 6)
404404 SAEN2-FSAEN2-F GGTAACAAAGCAGTGGTTCAGG (서열번호 7)GGTAACAAAGCAGTGGTTCAGG (SEQ ID NO: 7) SAEN2-RSAEN2-R ACGTAGAAGGTCGCAGTGAA
(서열번호 8)
ACGTAGAAGGTCGCAGTGAA
(SEQ ID NO: 8)
402402 SAEN3-FSAEN3-F GGTTCAGGCAGCGGTTACTA
(서열번호 9)
GGTTCAGGCAGCGGTTACTA
(SEQ ID NO: 9)
SAEN3-RSAEN3-R TGATACTGCTGAACGTAGAAGGT (서열번호 10)TGATACTGCTGAACGTAGAAGGT (SEQ ID NO: 10) ListeriaListeria monocytogenes monocytogenes hlyhly 479479 LIMO1-FLIMO1-F CCGAACTGCATGCCGAATTT
(서열번호 11)
CCGAACTGCATGCCGAATTT
(SEQ ID NO: 11)
LIMO1-RLIMO1-R GCAGCGCTCTCTATACCAGG
(서열번호 12)
GCAGCGCTCTCTATACCAGG
(SEQ ID NO: 12)
410410 LIMO2-FLIMO2-F CATCGACGGTAACCTCGGAG
(서열번호 13)
CATCGACGGTAACCTCGGAG
(SEQ ID NO: 13)
LIMO2-RLIMO2-R CCGTTCTCCACCATTCCCAA
(서열번호 14)
CCGTTCTCCACCATTCCCAA
(SEQ ID NO: 14)
432432 LIMO3-FLIMO3-F CTTCGGCGCAATCAGTGAAG
(서열번호 15)
CTTCGGCGCAATCAGTGAAG
(SEQ ID NO: 15)
LIMO3-RLIMO3-R TCCCGGTTAAAAGTAGCACCT (서열번호 16)TCCCGGTTAAAAGTAGCACCT (SEQ ID NO: 16) iapiap 499499 LIMO4-FLIMO4-F AGTGGCGCTGGTGTTGATAA
(서열번호 17)
AGTGGCGCTGGTGTTGATAA
(SEQ ID NO: 17)
LIMO4-RLIMO4-R CCGTTTTCACTTCTGCTTTTGGA (서열번호 18)CCGTTTTCACTTCTGCTTTTGGA (SEQ ID NO: 18) YersiniaYersinia enterocolitica enterocolitica ystyst 498498 YEEN1-FYEEN1-F ACCACCAATAGTCGTGCCTG
(서열번호 19)
ACCACCAATAGTCGTGCCTG
(SEQ ID NO: 19)
YEEN1-RYEEN1-R GGGCCACCTTAAGATGACCC
(서열번호 20)
GGGCCACCTTAAGATGACCC
(SEQ ID NO: 20)
373373 YEEN2-FYEEN2-F TTGAAATAACTAGGCTGGGTCGA (서열번호 21)TTGAAATAACTAGGCTGGGTCGA (SEQ ID NO: 21) YEEN2-RYEEN2-R CGACGGAGGATCACAAGCTT
(서열번호 22)
CGACGGAGGATCACAAGCTT
(SEQ ID NO: 22)
ailfamily 454454 YEEN3-FYEEN3-F TGTACGCTGCGAGTGAAAGT
(서열번호 23)
TGTACGCTGCGAGTGAAAGT
(SEQ ID NO: 23)
YEEN3-RYEEN3-R AGCATCCAGGTGCCAACTTT
(서열번호 24)
AGCATCCAGGTGCCAACTTT
(SEQ ID NO: 24)
Bacillus Bacillus cereuscereus groELgroEL 443443 BACE-FBACE-F GCTGGTGCGAACCCAATG
(서열번호 25)
GCTGGTGCGAACCCAATG
(SEQ ID NO: 25)
BACE-RBACE-R TCGCCTTCTACATCTTCAGCA
(서열번호 26)
TCGCCTTCTACATCTTCAGCA
(SEQ ID NO: 26)

<실시예 3> 식중독균 검출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수행<Example 3> PCR was carried out using a primer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식중독균 DNA는 상기 표 2에 기재된 식중독균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GoTaq DNA Polymerase (Promega, Madison, Wisconsin, 미국)와 2720 Thermal Cycl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미국)을 사용하여 증폭하였다. PCR을 위한 반응 용액의 조성은 식중독균 gDNA 20 ng, 20 pmol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역방향 프라이머, GoTaq DNA polymerase 1.25 U, 0.2 mM의 각 dNTP, 1X GoTaq 버퍼를 포함한 25 ㎕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은 95℃에서 5분간 주형 DNA를 전변성시킨 후, 95℃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를 30 싸이클로 반복 수행한 후, 마지막으로 72℃에서 5분간 반응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에는 대조군으로 식중독균 DNA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 혼합믈을 사용하였다.  The DNA of the food poisoning bacteria was amplified using the GoTaq DNA Polymerase (Promega, Madison, Wisconsin, USA) and 2720 Thermal Cycl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PCR was carried out using 20 ng of gDNA, 20 pmol of forward primer and 25 μl of reverse primer, GoTaq DNA polymerase 1.25 U, 0.2 mM each dNTP, and 1 × GoTaq buffer. The PCR reaction was carried out by pre-denaturing the template DNA at 95 ° C for 5 minutes, then at 95 ° C for 30 seconds; 30 seconds at 60 占 폚; Followed by 30 cycles at 72 ° C for 30 seconds, and finally at 72 ° C for 5 minutes. For all experiments, a reaction mixture without food poisoning DNA was used as a control.

상기 DNA 증폭 후, PCR 산물은 2.5% (w/v) 아가로즈 젤을 이용하여 TAE 버퍼 내에서 젤 전기영동을 수행하였고, 자외선 하에서 EtBr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PCR 산물을 확인하였다. After the DNA amplification, the PCR product was subjected to gel electrophoresis in TAE buffer using 2.5% (w / v) agarose gel, and the PCR product stained with EtBr (Ethidium bromide) was observed under ultraviolet light.

즉, 도1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도 14, 도 15,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도 25, 도 26에서 레인 1은 대장균 gDNA 20 ng, 레인 2는 황색포도상구균 gDNA 20 ng, 레인 3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gDNA 20 ng, 레인 4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gDNA 20 ng, 레인 5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gDNA 20 ng, 레인 6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gDNA 20 ng을 넣어 PCR을 수행하였고, 레인 7은 대조군으로 식중독균 DNA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 혼합믈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한 것이다. 14 to 26, in lanes 1, 20 ng of Escherichia coli gDNA, 20 ng of lane 1, and 20 ng of Escherichia coli gDNA in lanes 1, 2, 3, 4, 20 ng of Staphylococcus aureus gDNA, 20 ng Salmonella enteritidis gDNA, 20 ng Salmonella entericidis gDNA, 20 ng of lycoricin enterocolitica gDNA, 20 ng of bacillus cereus gDNA, lane 6 listeria monocytogenes PCR was performed with 20 ng of ness gDNA, and lane 7 was used as a control and PCR was performed using a reaction mixture without addition of food poisoning DNA.

도 16, 도 17, 도 18에서 레인 1은 대장균 gDNA 20 ng, 레인 2는 황색포도상구균 gDNA 20 ng, 레인 3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gDNA 20 ng, 레인 4는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gDNA 20 ng, 레인 5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gDNA 20 ng을 넣어 PCR을 수행하였고, 레인 6은 대조군으로 식중독균 DNA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 혼합믈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한 것이다. 도 16, 도17, 도 18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의 sefA 유전자에 대한 서열번호 5번과 서열번호 6번 대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번과 서열번호 8번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번과 서열번호 10번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전기영동 결과로, 해당 프라이머 세트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식중독균 검출에 적절하다. In Fig. 16, Fig. 17 and Fig. 18, 20 ng of Escherichia coli gDNA, 20 ng of Staphylococcus aureus gDNA, 20 ng of Salmonella enteritidis gDNA, 20 ng of lane 3, 20 ng of lycoric acid enterocolitica gDNA, , Lane 5 was performed by adding 20 ng of gDNA to listeria monocytogenes, and lane 6 was subjected to PCR using a reaction mixture without the addition of food poisoning DNA as a control. 16, 17 and 18 show primer sets for the sefA gene of Salmonella enteritidis , SEQ ID NO: 5 and SEQ ID NO: 6, primer sets for SEQ ID NO: 7 and SEQ ID NO: 8, As a result of electrophoresis on the primer set of No. 9 and 10, the corresponding primer set is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except for Bacillus cereus .

도 14 내지 도26의 실험을 통해, 교차-혼성화 (cross-hybridization) 없이 6종의 타겟 식중독균만 신속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experiments of FIG. 14 to FIG. 26,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six kinds of target food poisoning bacteria can be detected quickly without cross-hybridiz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유전자 판별칩 100: 프레임부
110: 상부프레임 111: 시료주입구
112: 신호물질주입구 113: 정렬홀
114: 공기배출구 120: 하부프레임
121: 배출구 122: 정렬기둥
200: 바디부 205: 정렬홀
210: 바디채널필름 220: 바디상부커버필름
221: 시료주입홀 222: 시료주입필름
223: 상부압력지지필름 224: 증폭유로
225: 열확산차단홈 226: 압력조절홀
227: 신호물질주입필름 228: 필터부착필름
229: 에어필터 230: 바디하부커버필름
300: 증폭부 310: 밸브필름
311: 밸브채널필름 312: 날개필름
313: 증폭유로 314: 밸브홀
315: 밸브홀 316: 날개필름커버
317: 리프트필름 320: 더미챔버필름
321: 증폭챔버필름 322: 증폭유로
323: 증폭커버필름 324: 더미테잎
325: 더미필름 326: 더미유로
400: 믹서부 410: 믹서하부커버필름
420: 제1 믹서채널필름 430: 제2 믹서채널필름
440: 제3 믹서채널필름 450: 제4 믹서채널필름
460: 믹서연결홀필름 461: 믹싱홀
470: 믹싱홀필름 471: 믹싱홀
480: 상부커버필름 500: 판별부
510: 전극유닛 511: 작업전극
512: 상대전극 513: 기준전극
514: 반응부 515: 접지부
520: 판별기판유닛 530: 판별필름유닛
531: 제1 판별필름 532: 제2 판별필름
533: 제3 판별필름 534: 반응챔버
540: 배출필름유닛 541: 제1 배출필름
542: 제2 배출필름 543: 배출홀
1000: gene discrimination chip 100:
110: upper frame 111: sample inlet
112: signal material inlet 113: alignment hole
114: air outlet 120: lower frame
121: outlet 122: alignment post
200: body part 205: alignment hole
210: Body channel film 220: Body upper cover film
221: sample injection hole 222: sample injection film
223: upper pressure supporting film 224: amplification channel
225: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 226: pressure adjusting hole
227: signal material injection film 228: filter attachment film
229: Air filter 230: Body lower cover film
300: amplification part 310: valve film
311: valve channel film 312: wing film
313: Amplification flow path 314: Valve hole
315: valve hole 316: wing film cover
317: lift film 320: dummy chamber film
321: Amplification chamber film 322: Amplification channel
323: amplification cover film 324: dummy tape
325: dummy film 326:
400: mixer part 410: mixer lower cover film
420: first mixer channel film 430: second mixer channel film
440: third mixer channel film 450: fourth mixer channel film
460: Mixer connection hole film 461: Mixing hole
470: mixing hole film 471: mixing hole
480: upper cover film 500:
510: electrode unit 511: working electrode
512: counter electrode 513: reference electrode
514: Reactor 515:
520: Identification board unit 530: Identification film unit
531: first discrimination film 532: second discrimination film
533: third discrimination film 534: reaction chamber
540: discharge film unit 541: first discharge film
542: second discharge film 543: discharge hole

Claims (7)

a) 분석 대상의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시료에 포함된 상기 유전자가 증폭유로를 통과하되, 상기 증폭유로 양측에 형성된 열확산차단홈에 의하여 상기 증폭유로에 공급되는 열이 예정되지 않은 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열전달로 인한 시료 변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급된 열이 주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의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증폭되는 단계;
d) 상기 증폭된 유전자와 신호물질은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을 통과하되, 상기 제3 및 제4 믹서채널필름 사이에 부착되며 서로 다른 모양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와류를 유도하는 복수의 믹싱홀이 형성된 믹싱홀필름을 통과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혼합물질이 형성되는 단계;
d-1) 상기 혼합물질은 필터부착필름 및 소수성 소재의 에어필터를 통과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착필름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유전자 판별 효율을 높이고, 상기 에어필터에 의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이송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미리 예정된 양의 상기 혼합물질을 자동적으로 판별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f) 측정된 상기 전류량을 분석하여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버 쌍,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중 어느 하나의 식중독균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
a) extracting a gene to be analyzed;
b) injecting a sample containing the gene into a gene discriminating chip;
c) the gene contained in the sample passes through the amplification channel, and the heat supplied to the amplification channel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unexpected part by the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Amplification while preventing the degrada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o that the supplied heat is not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d) The amplified gene and the signal material are pass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and are attach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mixer channel films and formed into holes of different shapes to form a plurality of Forming a mixed material so as to mix and mix while passing through a mixing hole formed with a mixing hole to improve mixing efficiency;
d-1) The mixed material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a filter-attached film and an air filter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to remove bubbles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by the filter-attached film to increase gene discrimination efficiency, Mo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ixed material automatically to the discrimination unit even if the air pressure is not precisely controlled by discharging the air carrying the mixed substance to the outside;
e)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And
f) determining the amplified gene by analyzing the measured amount of current, and detecting the pathogen from the gene chip and the primer,
The primer pair comprising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5,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0,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1,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4,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nd a primer pai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Using a primer, and at least one primer pai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ir of primers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E. coli (Escherichia coli O157: H7),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bbe ut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ct food poisoning bacteria of any one of Salmonella enteritidis , Listeria monocytogenes , Yersinia enterocolitica and Bacillus cereus . And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pri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증폭된 유전자와 상기 신호물질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d)
Wherein the amplified gene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and the signal substance are mutually bound to each other, and the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the pri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작업전극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e2) 상대전극이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 및
e3) 상기 작업전극이 상기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상기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e)
e1) applying an applied voltage to the working electrode;
e2) exchanging electrons derived from the signal material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through the redox reaction with the working electrode; And
and e3) continuousl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an amount of electrons exchanged with the counter electrode by the working electrode. The method of detecting a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a gene discriminating chip and a prim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에서,
상기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각각의 신호물질에 따라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고유한 전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e1) step,
Wherein the applied voltage is a unique voltage value for generating a redox reaction depending on each signal substance included in the mixed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3) 단계 이후에,
e4) 상기 인가전압과 기준전극의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표시전압을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fter the step e3)
e4) displaying the display voltage as a sum of the appli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증폭된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증폭된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및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중독균 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f)
Determining that the amplified gene is less than the reference amount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at the amplified gen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amount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metho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the primer.
식중독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전자 판별칩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며, 시료주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몸체를 형성하며, 주입된 시료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바디채널필름의 상부에 부착되는 바디상부커버필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이 수행되는 증폭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며,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유전자 판별 효율을 높이도록 마련된 필터부착필름 및 혼합물질을 이송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미리 예정된 양의 상기 혼합물질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에어필터를 갖는 믹서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믹서부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유전자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에는, 상기 증폭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증폭유로 및 상기 증폭유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열확산차단홈이 마련되고, 상기 열확산차단홈은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는 열이 예정되지 않은 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열전달로 인한 시료 변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급된 열이 주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믹서부는,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을 통과하되, 상기 제3 및 제4 믹서채널필름 사이에 부착되며 서로 다른 모양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와류를 유도하는 복수의 믹싱홀이 형성된 믹싱홀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버 쌍,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O157:H7),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중 어느 하나의 식중독균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칩.
A gene discrimination chip used for detecting food poisoning bacteria,
A frame part forming an outer shape and having a sample inlet and an outlet;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upper cover film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to form a body and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hannel film on which a plurality of channels are formed so that the injected sample can be moved;
An amplification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performing PCR on the sample;
A filter attachment film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to form a mixed material by mixing the sample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part with a signal material and to remove bubbles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to increase gene discrimination efficiency, A mixer unit having an air filter arranged to automatically mov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ixed material without precisely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by discharging the air carrying the mixed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nd a discrimina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mixed material having passed through the mixer unit to discriminate a gene contained in the mixed material,
The body top cover film is provided with an amplification channel provided at a position to be coupled with the amplification unit to form a channel for allowing a sample to pass therethrough and a thermal diffusion blocking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mplification chann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supplied to the amplification un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nscheduled portion and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ample due to excessive heat transfer and to prevent the supplied heat from being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 &Lt; / RTI &gt;
The mixer unit may include a m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mixer channel films and attached to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mixer channel films to form a plurality of mixing holes for inducing a vortex,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lm,
The primer pair comprising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5,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 pair of primers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0,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1, A primer pair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4, a prime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base sequence of SEQ ID NO: 16,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and a primer pai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 primer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And a primer pai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Using a primer, and at least one primer pai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ir of primers consisting of a primer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E. coli (Escherichia coli O157: H7),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bbe ut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ct food poisoning bacteria of any one of Salmonella enteritidis , Listeria monocytogenes , Yersinia enterocolitica and Bacillus cereus . .
KR1020170094712A 2017-07-26 2017-07-26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KR101911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12A KR101911020B1 (en) 2017-07-26 2017-07-26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12A KR101911020B1 (en) 2017-07-26 2017-07-26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20B1 true KR101911020B1 (en) 2018-12-31

Family

ID=6495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12A KR101911020B1 (en) 2017-07-26 2017-07-26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2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30B1 (en) 2019-04-30 2020-04-14 김태균 The food poisoning prevention system through analysis of bio particle
CN111013674A (en) * 2019-12-09 2020-04-17 重庆大学 Bacterium sensing chip for rapid enrichment and in-situ det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CN113290365A (en) * 2021-07-08 2021-08-24 苏州鼎纳自动化技术有限公司 Hybridization membrane equipment of assembling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Ramesh et al., Molecular and Cellular Probes, 16, p.307-314, 2002.
K. H. Seo et al., Journal of Food Protection, 67(5), p.864-869, 2004.
Tzu-Ming Pan et al., J. Formos. Med. Assoc., 101, p.661-664, 200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30B1 (en) 2019-04-30 2020-04-14 김태균 The food poisoning prevention system through analysis of bio particle
CN111013674A (en) * 2019-12-09 2020-04-17 重庆大学 Bacterium sensing chip for rapid enrichment and in-situ det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CN113290365A (en) * 2021-07-08 2021-08-24 苏州鼎纳自动化技术有限公司 Hybridization membrane equipment of assembling
CN113290365B (en) * 2021-07-08 2021-09-28 苏州鼎纳自动化技术有限公司 Hybridization membrane equipment of assemb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szewski et al.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by modern analytical techniques
KR101911020B1 (en)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s using gene reading chip and primer
Englen et al.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the identific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ang et al. Development of a self-priming PDMS/paper hybrid microfluidic chip using mixed-dye-loade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for multiplex foodborne pathogens detection
Yang et al. High sensitivity PCR assay in plastic micro reactors
Naravaneni et al. Rapid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by using molecular techniques
Park et al. Advances in microfluidic PCR for point-of-care infectious disease diagnostics
EP279530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pid detection of infectious microorganisms
Cai et al. An integrated microfluidic device utilizing dielectrophoresis and multiplex array PCR for point-of-care detection of pathogens
Jha et al. An integrated PCR microfluidic chip incorporating aseptic electrochemical cell lysis and capillary electrophoresis amperometric DNA detection for rapid and quantitative genetic analysis
Zhang et al. Simultaneous detection of three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food samples by microchip capillary electrophoresis in combination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KR102026683B1 (en) Method for concentrating microorganism or extracting nucleic acid using DTBP
EP1192007A1 (en) Microchip matrix device for duplicating and characterizing nucleic acids
Amal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agalactiae strains isolated from fishes in Malaysia
Hidaka et al. Multiplex real‐time PCR for exhaustive detection of diarrhoeagenic Escherichia coli
Geissler et al. Centrifugal microfluidic lab-on-a-chip system with automated sample lysis, DNA amplification and microarray hybridization for identifica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culture isolates
Jin et al. Multiplexed bead-based mesofluidic system for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R101456646B1 (en)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bacteria
KR20140116339A (en) PCR device for detecting food-borne bacteria, and and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bacteria using the same
US2024006805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microbial infections
Asano et al. PCR analysis methods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beer-spoilage lactic acid bacteria
WO2021218006A1 (en) Rpa pri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El-Sharoud et al. A real-time PCR-based microfluidics platform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sakazakii in reconstituted milks
EP2163880A1 (en) Method and use for the separation of biological material from a sample fluid
KR101811026B1 (en) Gene reading c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