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939B1 -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 Google Patents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939B1
KR101910939B1 KR1020170110944A KR20170110944A KR101910939B1 KR 101910939 B1 KR101910939 B1 KR 101910939B1 KR 1020170110944 A KR1020170110944 A KR 1020170110944A KR 20170110944 A KR20170110944 A KR 20170110944A KR 101910939 B1 KR101910939 B1 KR 10191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led module
module mounting
main body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일
Original Assignee
정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일 filed Critical 정영일
Priority to KR102017011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터널 조건, 현실적인 악조건 또는 이론상 최악 조건에 따라 조도와, 이 조도에 따른 경계부 1단계 필요한 부가 조명수에 따른 터널등기구 최대 사이즈를 호환(교환) 가능하게 조립 분해될 뿐만 아니라 LED 모듈의 교체가 쉬워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compatible type LED tunnel lamp and method of exchang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터널 조건, 현실적인 악조건 또는 이론상 최악 조건에 따라 조도와, 이 조도에 따른 경계부 1단계 필요한 부가 조명수에 따른 터널등기구 최대 사이즈를 호환(교환) 가능하게 조립 분해될 뿐만 아니라 LED 모듈의 교체가 쉬워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이디 터널등기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부품이 탑재되며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전장실(210)과, 상기 하면을 개폐하는 덮개(230)를 포함하는 전장부(200); 상기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엘이디 모듈(500); 상기 전장실(2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 모듈(500) 각각이 장착되는 엘이디 장착부(300); 상기 전장실(210)의 상면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도 14 또는 도 15와 같이 1줄 배열 또는 2줄 배열로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터널의 벽면에 고정된 케이블 트레이 상에 브래킷을 통해 설치 지지되는데, 이때 엘이디 모듈(500)을 교체하기 위해 위쪽으로 빼내야하는데 케이블 트레이가 막고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다.
또한, 전장부품의 유지보수 시에도 덮개를 열고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가서 위를 쳐다보면서 수직방향으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엘이디 모듈(5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종래의 엘이디 투과등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엘이디 투광등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20)가 내설되기 위한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방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12)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교체 가능한 복수개의 독립형 LED 모듈(31)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10)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 또는 양측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장착부(30a,30b)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장착부(30a,30b)는, 상기 복수개의 LED 모듈(31)과,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또는 타측 양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32)과, 상기 LED 모듈(31)이 상기 베이스프레임(32)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하여 빛이 발광되도록 상기 LED 모듈(31)이 내측으로 배열 장착되는 장착커버(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커버(3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고정부재(122)를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타측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듈장착부(30a,30b)가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탈부착수단(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탈부착수단(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2)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결부(41)와, 상기 연결부(41)의 말단부 내측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기(42)와, 상기 본체(11)의 후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42)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삽입 끼움되도록 상기 본체(11)의 양측 각각의 양단부에서 소정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홈(43)과, 상기 슬라이딩돌기(42)가 상기 가이드홈(43)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41)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구(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와 무관하게 터널 내부 쪽으로 열리기 때문에 엘이디 모듈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그러나, 전원부(20)가 본체(11) 내에서 있어, 전원부(20)의 유지 보수 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머리를 위로 본 채 수직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2의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도 15와 같이 2줄로 배열 설치되면 1줄 배열로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설치되는 것보다 모든 면에서 2배 이상의 시간과 비용, 유지보수가 들게 된다.
이러한 악조건에서도 1줄 배열로도 원하는 조도를 충분히 얻기 위해 설치되는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특허문헌 3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악조건이란 경계부 노면 휘도가 일반 터널 조건에 비해 크고 경계부 1단계 필요 부가 조명수가 일반 터널 조건에 비해 많기 때문에 조명기구 최대 사이즈가 일반 터널 조건에 비해 2.5배 줄어들어야 한다. 따라서, 조명 사이즈(터널 길이방향을 따르는 좌우방향)가 큰(예컨대 본체 양쪽 날개 형태로 엘이디 모듈이 배치 설치되는 상황) 특허문헌 1,2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로 동일 노면 휘도를 얻기 힘들어서 2줄 배열로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2줄 배열의 엘이디 터널등기구와 같은 역할을 하는 특허문헌 3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일측에 힌지브라켓(13)을 돌출구성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구성된 힌지브라켓(13)에 끼워져 힌지결합되는 힌지축을 구성하며, 다수의 설치홀(23)이 관통형성된 전면커버(20); LED(31)를 구성하여 전면커버(20)의 설치홀(23)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모듈(33)과, 상기 모듈(33)의 후방으로 돌출구성되는 방열핀(35)과, 상기 결합홈(26)에 대응되는 결합홀(36)을 형성하여 모듈(33)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성되는 결합판(37)으로 이루어져 전면커버(20)의 후면에 볼트(39) 결합되는 LED조명부(30); 상기 본체(10)의 힌지브라켓(13)에 대향되도록 전면 타측에 구성되어 본체(10)와 전면커버(20) 사이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전면커버(20)를 힌지축(21)을 기준으로 회동시켜 개폐하게 하는 전면커버개폐부(40);를 포함 구성하되, 상기 전면커버개폐부(40)는 전면에 끼움홈(41a)과 회동홈(41b)을 형성하는 설치구(41)와, 결합홀(42a)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구(41)의 양측에 구성되는 설치브라켓(42)으로 구성된 개폐설치부(43); 상기 개폐설치부(43)의 결합홀(42a)에 대응되는 관통홀(45a)을 형성하여 개폐설치부(43)의 회동홈(41b)에 안착되며 결합축(44)을 통해 상기 개폐설치부(43)에 힌지결합되는 회동구(45b)와, 상기 회동구(45b)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쐐기형상의 걸쇠(45c)가 형성된 손잡이(45d)와, 상기 회동구(45b)에 끼워진 상태로 손잡이(45d)와 본체(10)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45d)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5e)으로 구성된 개폐구동부(45); 상기 개폐구동부(45)의 손잡이(45d)가 끼워지도록 전면커버(20)에 관통형성되는 이동홀(47a)과, 상기 이동홀(47a)의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손잡이(45d)의 걸쇠(45c)가 걸리는 턱부(47b)로 구성된 개폐작동부(47); 상기 개폐설치부(43)의 끼움홈(41b)에 끼워져 설치되며, 전면커버(20)의 폐쇄시 개폐작동부(47)를 가압지지하는 작용을 하여 상기 전면커버(20)가 본체에서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는 흡음부재(49);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커버개폐부(40)의 조작 및 전면커버(2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전면커버(20)가 힌지축(21)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들은 일반 터널 조건의 엘이디 터널등기구(특허문헌 1,2)와 악조건의 엘이디 터널등기구(특허문헌 3)가 서로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따로따로 제작해서 터널로 운반해서 설치해야 한다.
특히 터널 조건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 경우, 현장에 와서 보니 2줄 배열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미 1줄 배열로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설치되게 케이블 트레이와 브라켓이 세팅된 경우 다시 1줄 더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등의 작업이 매우 어렵고, 설령 재 시공하더라도 비용과 시간이 더욱더 부담되게된다.
또한, 특허문헌 1,3에서는 터널 천장을 향하게 전장품이 고정되어 있어서 전장품의 유지보수하는 경우 작업자가 머리를 위로 들고 수직방향으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717763호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673518호 특허문헌 3 : 한국등록특허 제10-15768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조건용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와 악조건용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터널의 조건에 따라 공통의 전장품 본체에 조립 분해되게 해서 터널의 어떠한 조건에서 원하는 조건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전장품의 유지보수가 월등히 쉬운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전장부품이 탑재되며, 좌측엔 힌지부로 연결되고 우측엔 클립부로 연결되는 공용 상본체와 공용 하본체를 포함하는 공용 본체부;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채 상기 공용 본체부의 전측 또는 후측에 배치되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채 상기 공용 하본체의 아래에 배치되는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 상기 공용 상본체와 상기 공용 하본체의 전후 외측에 형성되는 전후측 공용 상하 돌기; 상기 전측 공용 상하 돌기 또는 후측 공용 상하 돌기에 끼워지게 상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하 끼움홈; 상기 공용 하본체의 후측 공용 하돌기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힌지용 돌기; 상기 공용 하본체의 전측 공용 하돌기와 체결요소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전축에 형성되는 체결용 돌기;를 포함하여, 일반 조건인 경우, 상기 공용 본체부에 상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끼워져 체결된 등기구가 설치되고, 악조건인 경우, 상기 상본체의 공용에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전후로 체결 및 힌지 결합된 등기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공용 상하 본체가 서로 맞다는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용 상하 돌기는 상기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는 상기 엘이디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하 끼움홈이 형성되는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과, 상기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을 덮으며 상기 상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끼움홈은 상기 공용 상하 돌기에 끼워지는 제1상하 끼움홈과, 상기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에 끼워지는 제2상하 끼움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공용 상본체는 브라켓에 의해 터널의 벽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공용 하본체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아래로 선회되어 열리되,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공용 하본체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의 호환방법은, 전장부품이 탑재되며, 공용 상하 돌기가 전후측에 형성되는 공용 상하 본체를 포함하는 공용 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 터널이 일반 조건인 경우 상기 공용 상하 본체의 전후 중 어느 하나의 공용 상하 돌기에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된 상하 끼움홈이 끼워지고 체결되는 단계; 터널이 악조건인 경우 상기 공용 하본체의 아래에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후측 힌지용 돌기와 상기 공용 하본체의 공용 하돌기를 힌지축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전측 체결용 돌기와 상기 공용 하본체의 공용 하돌기를 피스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터널의 일반 조건에서 150cd/㎡, 악조건에서 200cd/㎡ 의 경계부 노면 휘도가 필요한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와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이러한 조건에 따라 호환 가능하게 조립/분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이나 시공이 매우 우수하고, 유지보수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공용 하본체에 전장부품이 탑재되어 있어서, 전장부품의 유지보수시 공용 하본체가 열리면 작업자의 눈과 수평으로 마주친 상태로 작업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또한, 공용 하본체의 일측에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이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부품과 엘이디 모듈이 동시에 열린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공용 하본체에 설치됨으로써, 엘이디 모듈의 유지보수 시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열리고, 전장부품의 유지보수 시 공용 하본체가 열리게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조건용 LED 터널등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용 본체에서 LED모듈장착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공용 본체의 개폐커버와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가 열린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와 모듈장착덮개가 분리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좌측에 LED모듈장착부가 더 조립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공용 본체의 개폐커버와 좌우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가 열린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우측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와 모듈장착덮개가 분리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조건용 LED 터널등기구를 도시한 좌우측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공용 본체의 개폐커버가 열린 1단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8에서 공용 본체에서 LED모듈장착부가 열린 2단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8에서 1단과 2단 모두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8에서 LED모듈장착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일반 터널 내의 경계부 노면 휘도가 일반 조건인 1줄 배열 터널등기구와 악조건인 2줄 배열 엘이디 터널등기구의 설치 사진.
도 16은 종래 엘이디 터널등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다른 종래 엘이디 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또 다른 종래의 LED 터널등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우측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전, 후면커버가 각각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조건용 LED 터널등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용 본체에서 LED모듈장착부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공용 본체의 개폐커버와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가 열린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와 모듈장착덮개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좌측에 LED모듈장착부가 더 조립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공용 본체의 개폐커버와 좌우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가 열린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우측 LED모듈장착부의 모듈장착커버와 모듈장착덮개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조건용 LED 터널등기구를 도시한 좌우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공용 본체의 개폐커버가 열린 1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서 공용 본체에서 LED모듈장착부가 열린 2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8에서 1단과 2단 모두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8에서 LED모듈장착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공용 본체부(1100)와, 공용 본체부(1100)의 좌우측에 조립/분해되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와, 공용 본체부(1100)의 하면에 조립/분해되는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300)를 포함한다.
먼저,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가 공용 본체부(1100)의 후측에 조립/분해된 날개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날개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좌측엔 힌지부(1150)로 연결되고 우측엔 클립부(1170)로 연결되는 공용 본체부(1100)와, 공용 본체부(1100)의 후측에 배치되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와, 공용 본체부(1100)의 전후 외측에 형성되는 전후측 공용 상하 돌기(1500)와, 후측 공용 상하 돌기(1500)에 끼워지게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하 끼움홈(1700)을 포함한다.
공용 본체부(110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품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7가방처럼 공용 상본체(1110)와 공용 하본체(1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용 상본체(1110)와 공용 하본체(1130)가 서로 대응되게 한 쌍으로 제작되어 전장부품(E)이 어느 곳에 탑재되어도 관계없다.
공용 상본체(1110)의 상측 외면에는 브라켓(B)이 설치되어, 이 브라켓(B)을 통해 케이블 트레이에 지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장부품(E)이 공용 하본체(1130)에 탑재되어 있다. 물론 공용 상본체(1110)에 탑재되어도 좋지만, 공용 상본체(1110)가 터널에 고정된 상태로 있어 작업자가 위로 보고 작업하기가 불편하다.
이러한 공용 상하본체(1110)(1130)는 좌측엔 힌지부(1150)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엔 클립부(1170)에 의해 연결된다.
전장부품(E)의 유지 부수 시 클립부(1170)의 클립을 해제하면 힌지부(1150)에 의해 공용 상본체(1110)에 대해 공용 하본체(1130)가 아래로 선회되면서 90도로 열리게 된다.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는 엘이디 모듈(1400)이 장착되는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30)과,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30)을 덮는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1310)을 포함한다.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30)의 중심에는 엘이디 모듈(1400)이 배치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1310)과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30)이 맞닿는 경계면에는 통기공(h)이 형성되게 반홈(1311)(13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1310)에는 개구를 막고 있는 덮개판(1313)의 둘레에 불연속 띠 형상의 통기공(1315)이 형성되어, 통기공(1315)이 없는 부분이 덮개판(1313)을 지지한 채 공기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1310)과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30)은 서로 한 쌍으로 만들어져 있어, 어느 것의 덮개판의 통기공 주위를 절단해서 사용하면 된다.
전후측 공용 상하 돌기(1500)는 공용 상본체(1110)의 공용 상돌기(1501)와 공용 하본체(1130)의 공용 하돌기(1503)로서, 그 전후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용 상하 본체(1110)(1130)가 서로 맞다는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1505)(1507)가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측 공용 상하 돌기(1500)는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1505)(1507)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하 끼움홈(1700)은 공용 상하 돌기(1501)(1503)에 끼워지는 제1상하 끼움홈(1701)(1703)과,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1505)(1507)에 끼워지는 제2상하 끼움홈(1705)(1707)을 포함한다.
또한,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가 공용 본체부(1100)에 끼워져 결합되면, 피스를 통해 서로를 체결하여 확고하게 결합하는 게 좋다.
피스 결합시에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에서 공용 상본체(1110)의 리브(1111)에 체결하는 게 좋다.
즉,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1310)과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3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끼워진 후 리브(1111)를 향해 피스로 체결하고, 나머지 하나를 끼운 후 피스를 체결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100W 터널등기구인 경우 공용 본체부(1100)의 후측에만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가 조립 체결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200W 터널등기구로서,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가 공용 본체부(1100)의 전후측에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가 조립 체결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의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전후 길이가 최대 700mm가 되는데, 이러한 길이를 갖는 엘이디 터널등기구가 도 13과 같이 1줄 배열로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도 14와 같이 두 줄 배열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두 줄 배열로 터널 등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용되기 때문에, 1줄 배열로 2줄 배열의 경계부 노면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날개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에서 겹침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로 호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겹침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날개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와 마찬가지로, 전장부품(E)이 탑재되는 본체부(1100)가 공용으로 사용되고, 이 공용 본체부(1100)의 하면에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300)가 설치된 것이다.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300)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1310)과 거의 유사하지만 하본체(1130)가 그 덮개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엘이디 모듈(2400)의 냉각핀이 하본체(1130)에 닿지 않게 그 깊이가 매우 깊다(도 11 참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300)의 전후측 외면에는 체결용 돌기(2303)와 힌지용 돌기(23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체결용 돌기(2303)는 도 8, 도 10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공용 하돌기(1503)의 상단에 끼워지고 그 위로 피스로 체결할 수 있는 ㄱ자 형상이다.
힌지용 돌기(2304)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 공용 하돌기(1503)의 측면에 겹치는 형태로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겹친 힌지용 돌기(2304)와 후측 공용 하돌기(1503)에 힌지축인 힌지핀(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겹침형 엘이디 터널등기구는 공용 상본체(1100), 공용 하본체(1300),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400)가 3중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3중 적층 배열로 인해, 전장부품(E)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도 10과 같이 클립부(1170)의 클립을 해제하고 공용 하본체(1300)를 아래로 내려 열어서 수평하게 보는 자세로 작업하면 된다.
만약 엘이디 모듈(2400)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체결용 돌기(2303)와 전측 공용 하돌기(1503)에 체결된 피스(미도시)를 분해한 후 도 11과 같이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400)를 아래로 내려 열어서 수평하게 보는 자세로 작업하면 된다.
도 12는 겹침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의 2단 열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이 일반 조건인 경우, 공용 본체부(1100)에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가 끼워져 체결된 채 설치된다.
만약 터널의 조건이 바뀌거나 악조건으로서 2줄 배열 대신 동일한 휘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1300)를 분해하고,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2300)를 힌지와 체결로서 쉽게 호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0 : 공용 본체부 1110,1130 : 공용 상하본체
1150 : 힌지부 1170 : 클립부
1300 :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
1310 :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
1330 :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
1400,2400 : 엘이디 모듈 1500 : 전후측 공용 상하 돌기
1501,1503 : 공용 상하 돌기 1505,1507 :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
1700 : 상하 끼움홈 1701,1703 : 제1상하 끼움홈
1705,1707 : 제2상하 끼움홈 2300 :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
2303 : 체결용 돌기 2304 : 힌지용 돌기

Claims (4)

  1. 전장부품이 탑재되며, 좌측엔 힌지부로 연결되고 우측엔 클립부로 연결되는 공용 상본체와 공용 하본체를 포함하는 공용 본체부;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채 상기 공용 본체부의 전측 또는 후측에 배치되는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채 상기 공용 하본체의 아래에 배치되는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
    상기 공용 상본체와 상기 공용 하본체의 전후 외측에 형성되는 전후측 공용 상하 돌기;
    상기 전측 공용 상하 돌기 또는 후측 공용 상하 돌기에 끼워지게 상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하 끼움홈;
    상기 공용 하본체의 후측 공용 하돌기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힌지용 돌기;
    상기 공용 하본체의 전측 공용 하돌기와 체결요소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전측에 형성되는 체결용 돌기;를 포함하여,
    일반 조건인 경우, 상기 공용 본체부에 상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끼워져 체결된 등기구가 설치되고,
    악조건인 경우, 상기 상본체의 공용에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가 전후로 체결 및 힌지 결합된 등기구가 설치되는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용 상하 본체가 서로 맞닿는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용 상하 돌기는 상기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는 상기 엘이디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하 끼움홈이 형성되는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과, 상기 하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판을 덮으며 상기 상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끼움홈은 상기 공용 상하 돌기에 끼워지는 제1상하 끼움홈과, 상기 공용 상하 돌출 테두리에 끼워지는 제2상하 끼움홈을 포함하는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용 상본체는 브라켓에 의해 터널의 벽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공용 하본체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아래로 선회되어 열리되,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공용 하본체에 탑재되는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4. 전장부품이 탑재되며, 공용 상하 돌기가 전후측에 형성되는 공용 상하 본체를 포함하는 공용 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
    터널이 일반 조건인 경우 상기 공용 상하 본체의 전후 중 어느 하나의 공용 상하 돌기에 날개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된 상하 끼움홈이 끼워지고 체결되는 단계;
    터널이 악조건인 경우 상기 공용 하본체의 아래에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후측 힌지용 돌기와 상기 공용 하본체의 공용 하돌기를 힌지축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겹침형 엘이디 모듈장착부의 전측 체결용 돌기와 상기 공용 하본체의 공용 하돌기를 피스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의 호환방법.
KR1020170110944A 2017-08-31 2017-08-31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KR10191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44A KR101910939B1 (ko) 2017-08-31 2017-08-31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44A KR101910939B1 (ko) 2017-08-31 2017-08-31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939B1 true KR101910939B1 (ko) 2018-12-20

Family

ID=6495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944A KR101910939B1 (ko) 2017-08-31 2017-08-31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358B1 (ko) * 2020-01-10 2020-06-08 류상원 조명 가변구조를 갖는 엘이디 터널등
KR102388268B1 (ko) * 2021-11-29 2022-04-20 주식회사 와이즈넷 Led 터널 등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95B1 (ko) 2010-04-07 2012-11-12 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가로등 조명 어셈블리
KR101642133B1 (ko) 2015-04-01 2016-07-29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Led 터널등기구
KR101648412B1 (ko) 2016-05-17 2016-08-16 (주)강산조명 엘이디 등기구
KR101673518B1 (ko) 2016-03-21 2016-11-07 네오마루 주식회사 엘이디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95B1 (ko) 2010-04-07 2012-11-12 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가로등 조명 어셈블리
KR101642133B1 (ko) 2015-04-01 2016-07-29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Led 터널등기구
KR101673518B1 (ko) 2016-03-21 2016-11-07 네오마루 주식회사 엘이디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KR101648412B1 (ko) 2016-05-17 2016-08-16 (주)강산조명 엘이디 등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358B1 (ko) * 2020-01-10 2020-06-08 류상원 조명 가변구조를 갖는 엘이디 터널등
KR102388268B1 (ko) * 2021-11-29 2022-04-20 주식회사 와이즈넷 Led 터널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461B2 (en) Heatsink for cooling at least one LED
JP5064151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US8038315B1 (en) Luminaire housing with printed bottom panel
KR101910939B1 (ko) 호환형 엘이디 터널등기구 및 호환방법
KR101575218B1 (ko)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JP2015527715A (ja) 天井埋込み型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
JP4971913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KR101608824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JP2008065327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WO2013135200A1 (zh) 一种led照明装置
US11125400B2 (en) Outdoor light fixtures
CN106594578B (zh) 光栅镜片转动结构和镭射灯
KR100959955B1 (ko) 스크린 광고판
KR102100627B1 (ko) 블록타입 투광등기구 조립체
KR20200032949A (ko) 천장 매립형 등기구
CN219120524U (zh) 一种防水灯头结构
KR200462159Y1 (ko) Led 조명장치
US9163809B2 (en) Lighting system
KR10201613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기구의 조립구조
CN209782529U (zh) 一种灯具
JP3473858B2 (ja) チルタ
TWM520605U (zh) 便於維修之led霧燈
EP1378708B1 (en) Emergency luminaire easily recessed
TW201719076A (zh) 便於維修之led霧燈
CN206572303U (zh) 双面摇头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