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746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746B1
KR101910746B1 KR1020170102814A KR20170102814A KR101910746B1 KR 101910746 B1 KR101910746 B1 KR 101910746B1 KR 1020170102814 A KR1020170102814 A KR 1020170102814A KR 20170102814 A KR20170102814 A KR 20170102814A KR 101910746 B1 KR101910746 B1 KR 10191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unit
module
dispensing module
cash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원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07D11/000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에 따라 현금지급모듈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인입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현금을 공급하는 현금공급부의 도난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Cash dispenser with adjustable heigh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에 따라 현금지급모듈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인입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현금을 공급하는 현금공급부의 도난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웬만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자동지급기와 현금자동입출금기 등이 있다.
현금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현금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현금자동입출금기는 현금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한편, 최근에는 은행에서 업무 효율화를 위한 무인화 및 거래자의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의 은행업무를 하나의 통합기기에서 구현하여 거래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기의 효용성을 높여서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형 무인 현금자동지급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3943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39439호의 경우,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에 따라 현금자동지급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보다 현금자동지급장치가 높게 또는 낮게 위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현금을 인입출하는 과정 중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394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에 따라 현금지급모듈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인입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현금을 공급하는 현금공급부의 도난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지주와; 복수의 상기 지주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는 현금지급모듈과; 상기 현금지급모듈을 따라 승강운동하고, 내부에 저장된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공급하는 현금공급부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마감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지주는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는 3개의 지주로 구성되고, 3개의 상기 현금지급모듈 및 3개의 상기 현금공급부가 3개의 상기 지주 사이마다 구비되는 상기 승강판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은 상기 승강판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마감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마감판과 상기 하부마감판 사이에 상기 승강판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의 상하폭은 상기 안내구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하폭은 상기 안내구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보조마감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마감판은 상기 상부마감판의 후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현금공급부의 하부방향의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현금공급부가 수용되어 상기 현금공급부의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방지함과; 상기 도난방지함의 상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상기 도난방지함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도난방지함의 내부에 상기 현금공급부가 수용된 경우 상기 도난방지함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현금공급부를 상기 승강판에 결합 및 상기 현금공급부와 상기 승강판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제 1잠금부와, 상기 덮개를 상기 도난방지함에 결합 및 상기 덮개와 상기 도난방지함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제 2잠금부로 구성되는 잠금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덮개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수평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감지시간과 기준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와,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검출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사용자의 현금인출완료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현금인입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원위치복귀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지급모듈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로 구성되는 판단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감지시간과 기준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1차판단하는 모듈사용여부 1차판단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키입력부를 통한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입력정보 입력여부를 근거로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2차판단하는 모듈사용여부 2차판단부로 구성되는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와,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검출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사용자의 현금인출완료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현금인입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의 원위치복귀여부를 판단하는 승강부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로 구성되는 판단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승강부가 현금지급모듈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에 맞게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현금을 보다 용이하게 인입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에서 현금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외부충격에 의해 자중에 의해 낙하한 현금공급부를 수용하는 도난방지함을 통해 현금도난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어느 하나의 승강판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현금지급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현금지급모듈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현금지급모듈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다른예의 현금지급모듈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현금지급모듈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또 다른예의 현금지급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현금공급부의 하부방향에 도난방지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난방지함의 내부에 현금공급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가 도난방지함의 상부를 폐쇄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난방지함의 내부에 현금공급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5는 판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6은 판단부의 모듈사용여부판단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7은 승강부의 작동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어느 하나의 승강판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현금지급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는 크게,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지주(10), 승강판(20), 현금지급모듈(30), 현금공급부, 마감판(50), 승강부, 검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복수의 상기 지주(10)는 상기 지주(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지주(10)는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3개의 지주(10)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상기 지주(10)의 일측과 타측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는 가이드레일(101)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판(20) 또한 3개의 승강판(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3개의 상기 승강판(20)은 복수의 상기 지주(10)사이마다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판(2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현금지급모듈(30) 또한 3개의 현금지급모듈(30)로 구성될 수 있고, 3개의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은 3개의 상기 승강판(20)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고정되어 3개의 상기 승강판(20)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키입력부(301)와;상기 키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표시부(302)와; 신원을 조회하고 입금과 출금내용을 기록한 후 카드나 통장을 돌려줄 수 있도록 된 통장/카드인지부(303)와; 현금을 입금받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현금입출금부(304);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현금공급부(40) 또한, 3개의 현금공급부(40)로 구성될 수 있고, 3개의 상기 현금공급부(40)의 상부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상기 승강판(20)의 후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따라 승강운동하게 된다.
상기 현금공급부(40)의 내부에는 지폐 등을 포함한 현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현금공급부(40)는 내부에 저장된 지폐 등의 현금을 상기 현급지급모듈(30)의 현금입출금부(304)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승강판(2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현금입출금부(304)로 안내하는 안내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상기 지주(10), 상기 승강판(20), 상기 현금지급모듈(30), 상기 현금공급부(40)가 3개로 각각 구성되어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됨에 따라 다방향에서 복수의 사용자 개개인이 보다 용이하게 현금을 입출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판(50)은 상부마감판(510)과 하부마감판(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마감판(510)은 상기 승강판(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10)의 상부 사이마다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마감판(520)은 상기 승강판(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10)의 하부 사이마다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마감판(510)과 상기 하부마감판(520) 사이에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0)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구(530)가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20)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위해 상기 승강판(20)의 상하폭(D1)은 상기 안내구(530)의 상하폭(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안내구(530)가 상기 마감판(50)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마감판(50)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이 승강운동과정 중에도 상기 안내구(530)를 항상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상하폭(D3)은 상기 안내구(530)의 상하폭(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예의 현금지급모듈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현금지급모듈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60)는 상기 마감판(50)에 구비되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0)과 함께 상기 현급지급모듈(30) 및 상기 현금공급부(40)를 사용자의 신장 또는 키높이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판(2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승강판(20)의 후측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돌출판(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60)는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50)의 상부마감판(51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중간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고정구비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601)의 하부는 상기 승강판(20)의 돌출판(210)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승강부(6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마감판(50)의 상부마감판(510)의 후면 중간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고정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승강판(20)의 돌출판(210)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돌출판(21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승강판(20)을 승강운동시키는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60)가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와 리드스크류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승강판(20)과 함께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승강운동시킬 수 있는 종류 및 구성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예의 현금지급모듈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현금지급모듈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안내구(530)가 상기 마감판(50)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보조마감판(3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예의 현금지급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구(530)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마감판(310)은 상기 상부마감판(5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승강부(60)는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수평구비되는 수평판(102)의 하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현금공급부의 하부방향에 도난방지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현금공급부(40)의 도난방지를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난방지함(90), 덮개(100), 잠금부(200) 충격감지부(도 14의 300) 및 수평감지부(도 14의 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난방지함(90)은 상기 현금공급부(40)의 하부방향의 지면에 앵커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에 상기 현금공급부(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덮개(100)가 평상시 상기 도난방지함(90)의 상부를 평상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덮개(100)의 하부가 상기 도난방지함(90)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덮개(100)는 상기 도난방지함(90)의 전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하부마감판(520)과 어느 하나의 상기 현금공급부(40) 사이의 틈새(G)에 위치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하부마감판(520)과 어느 하나의 상기 현금공급부(40) 사이의 틈새(G)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100)는 상기 덮개(10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어느 하나의 상기 현금공급부(40)의 상부방향으로 사선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잠금부(200)는 제 1, 2잠금부(201, 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잠금부(201)는 상기 현금공급부(4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승강판(20)에 상기 현금공급부(40)의 상부를 결합 및 상기 현금공급부(40)와 상기 승강판(20)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잠금부(202)는 상기 덮개(100)의 상부 내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덮개(100)의 상부를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에 결합 및 상기 덮개(100)의 상부와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2잠금부(201, 202)는 상기 승강판(20)과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 내측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 및 삽입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작동봉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부(300)는 상기 현금지급모듈(30)에 구비되어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도 14의 500)는 상기 충격감지부(300)가 감지한 충격값과 상기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된 기준충격값을 비교하여 상기 잠금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부(300)가 감지한 충격값이 상기 기준충격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잠금부(200)의 제 1잠금부(201)는 상기 현금공급부(40)와 상기 승강판(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난방지함의 내부에 현금공급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가 도난방지함의 상부를 폐쇄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충격감지부(300)가 감지한 충격값이 상기 기준충격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잠금부(200)의 제 1잠금부(201)는 상기 현금공급부(40)와 상기 승강판(20)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현금공급부(40) 모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현금공급부(40) 모두가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에 수용될 경우, 상기 덮개(100)의 상부는 상기 덮개(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잠금부(202)의 하중에 의해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낙하하여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덮개(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난방지함(90)의 전측 상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는 축부위에는 상기 덮개(100)의 상부를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동시키는 비틀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덮개(100)의 하부에 구비된 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충격감지부(300)가 감지한 충격값이 상기 기준충격값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덮개(100)의 축을 회전시켜 상기 덮개(100)의 상부를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감지부(400)는 상기 덮개(100)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10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감지부(400)가 상기 덮개(100)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잠금부(200)의 제 2잠금부(202)는 상기 덮개(100)의 상부를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덮개(100)의 상부와 상기 도난방지함(90)의 후측 상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잠금해제용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가 누름식 버튼방식, 다이얼 버튼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도난방지함의 내부에 현금공급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현금공급부(4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에는 상기 도난방지함(90)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910)이 상기 도난방지함(9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910) 사이마다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는 자중에 의해 낙하한 상기 현금공급부(40)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부(70)는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검출부(70)는 초음파송수신부를 통해 초음파 발진 명령을 내리고, 상기 초음파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수신값을 읽어들여 사용자의 신장을 검출하는 마이컴 또는 사용자의 눈높이를 검출하는 눈높이 측정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출부(70)는 상기 지주(10)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검출부(7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주(10) 등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70)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판(20)과 함께 상기 현금지급모듈(30) 및 상기 현금공급부(40)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검출된 사용자의 신장값 또는 눈높이값과 대응되는 복수의 승강높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0)는 검출된 사용자의 신장값 또는 눈높이값과 대응되는 승강높이를 상기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승강높이만큼 상기 현금지금모듈(30)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60)로 전원공급부(501)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판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체감지부(600)와 판단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부(600)는 상기 검출부(7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주(10)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부(600)는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단부(700)는 상기 제어부(500)에 내장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700)는 일예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모듈사용여부 판단부(710),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720),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730),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740) 및 현금지급모듈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7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710)는 상기 인체감지부(600)의 감지시간과 상기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된 기준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720)는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710)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검출부(70)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730)는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720)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60)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740)는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부터 사용자의 현금인출완료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현금인입완료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현금지금모듈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750)는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740)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지급모듈(60)의 원위치복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판단부(70), 특히, 상기 판단부(700)의 모듈사용여부 판단부(710)를 통해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이용하지 않고 지나가는 사람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30)를 이용하려는 사람을 구분하여 상기 검출부(70)와 상기 승강부(6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판단부의 모듈사용여부판단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이용하지 않고 지나가는 사람,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용무로 상기 현금지급모듈(30) 주변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이용하려는 사람을 보다 용이하게 구분하여 상기 검출부(70)와 상기 승강부(6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예의 상기 판단부(700)는 일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71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사용여부 1차판단부(711)와 모듈사용여부 2차판단부(7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사용여부 1차판단부(711)는 상기 인체감지부(600)의 감지시간과 기준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1차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듈사용여부 2차판단부(712)는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키입력부(301)를 통한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의 입력정보 입력여부를 근거로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2차판단할 수 있다.
도 17은 승강부의 작동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체감지부(600)의 감지시간이 기준감지시간을 초과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01)를 통해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의 입력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710)는 사용자가 현금지급모듈(30)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금지급모듈(30)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720)는 상기 검출부(70)가 작동하여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720)가 상기 검출부(70)가 작동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730) 또한 상기 승강부(60)가 작동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표시부(302)에 터치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종료버튼을 터치조작하여 사용자는 현금인입출을 완료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740)는 사용자의 현금인입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740)가 사용자의 현금인입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현금지금모듈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750)는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이 초기위치로 복귀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승강부(60)를 제어하여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하는 상기 검출부(70)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현금지급모듈(3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에 맞게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30)로 현금을 보다 용이하게 인입 및 상기 현금지급모듈(30)에서 현금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외부충격에 의해 자중에 의해 낙하한 상기 현금공급부(40)를 수용하는 상기 도난방지함(90)을 통해 현금도난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지주, 20; 승강판,
30; 현금지급모듈, 40; 현금공급부,
50; 마감판, 60; 승강부,
70; 검출부, 500; 제어부.

Claims (8)

  1. 복수의 지주와;
    복수의 상기 지주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는 현금지급모듈과;
    상기 현금지급모듈을 따라 승강운동하고, 내부에 저장된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공급하는 현금공급부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마감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마감판으로 구성되는 마감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마감판과 상기 하부마감판 사이에 상기 승강판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의 상하폭은 상기 안내구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하폭은 상기 안내구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2. 복수의 지주와;
    복수의 상기 지주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을 따라 승강하는 현금지급모듈과;
    상기 현금지급모듈을 따라 승강운동하고, 내부에 저장된 현금을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공급하는 현금공급부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마감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장 또는 눈높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현금공급부의 하부방향의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현금공급부가 수용되어 상기 현금공급부의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방지함과;
    상기 도난방지함의 상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상기 도난방지함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도난방지함의 내부에 상기 현금공급부가 수용된 경우 상기 도난방지함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현금공급부를 상기 승강판에 결합 및 상기 현금공급부와 상기 승강판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제 1잠금부와, 상기 덮개를 상기 도난방지함에 결합 및 상기 덮개와 상기 도난방지함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제 2잠금부로 구성되는 잠금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덮개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를 제어 및 상기 충격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수평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잠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주는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는 3개의 지주로 구성되고,
    3개의 상기 현금지급모듈 및 3개의 상기 현금공급부가 3개의 상기 지주 사이마다 구비되는 상기 승강판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보조마감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마감판은 상기 상부마감판의 후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감지시간과 기준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와,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검출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사용자의 현금인출완료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현금인입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원위치복귀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지금모듈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로 구성되는 판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지급모듈로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와;
    상기 인체감지부의 감지시간과 기준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1차판단하는 모듈사용여부 1차판단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키입력부를 통한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입력정보 입력여부를 근거로 사용자의 현금지급모듈사용여부를 2차판단하는 모듈사용여부 2차판단부로 구성되는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와, 상기 모듈사용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검출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검출부작동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승강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승강부작동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부터 사용자의 현금인출완료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현금지급모듈로의 현금인입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와, 상기 현금인입출완료여부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지급모듈의 원위치복귀여부를 판단하는 현금지금모듈원위치복귀여부 판단부로 구성되는 판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8. 삭제
KR1020170102814A 2017-08-14 2017-08-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191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814A KR101910746B1 (ko) 2017-08-14 2017-08-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814A KR101910746B1 (ko) 2017-08-14 2017-08-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746B1 true KR101910746B1 (ko) 2018-10-22

Family

ID=6410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814A KR101910746B1 (ko) 2017-08-14 2017-08-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7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4126A (en) Night depository method and apparatus
CN102001531B (zh) 纸张处理装置
US7295110B2 (en) Lock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depositing and removing an object in/from said device
US6595606B1 (en) Cash dispenser with roll-out drawer assembly
KR101083588B1 (ko) 차량 운전자를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91074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현금자동입출금기
JP2011110987A (ja) 二輪車の駐輪システム
CN104484914A (zh) 智能保险箱系统
KR0145430B1 (ko) 입체 주차장
US4561704A (en) ATM Enclosure
KR102162452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CN112466064A (zh) 一种atm机取钱用防越位安全隔离护栏装置
GB2193251A (en) Dispensing and deposit machine
US6702093B2 (en) Gaming device stand
KR102117091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KR200438682Y1 (ko) 단일 코인박스 물품보관함
US6769569B1 (en) Vending machine with security device
KR101638128B1 (ko) 매체보관함
JP2016029238A (ja) 駐車装置の操作禁止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KR200428865Y1 (ko) 개선된 현금 자동 입출기 및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
CN207924678U (zh) 一种计算机防盗装置
JP3238805U (ja) 賞品買取装置
JP5253758B2 (ja) 棒金払出装置および棒金払出装置の制御方法
ITVR990053A1 (it) Contenitore di sicurezza per la protezione di contante raccolto indistributori automatici e similari.
RU115948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с функцией выдачи налич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