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615B1 -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615B1
KR101910615B1 KR1020170043069A KR20170043069A KR101910615B1 KR 101910615 B1 KR101910615 B1 KR 101910615B1 KR 1020170043069 A KR1020170043069 A KR 1020170043069A KR 20170043069 A KR20170043069 A KR 20170043069A KR 101910615 B1 KR101910615 B1 KR 10191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unit
injection nozzle
control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326A (ko
Inventor
김영탁
김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러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러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러셀
Priority to KR102017004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02Wafer proces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09Process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은, 반도체용 웨이퍼에 소정의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에 소정의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정량 제공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공급원에서 제공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유량처리부;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액상물질을 전달받아 기화시키고,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원에 따라 기화된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며 송출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 간에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고,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연계작동하는 유량처리부 및 분사노즐부와, 이들 사이에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여 유량제어부와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검지부가 통합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반도체 장비의 운용 및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FLOW CONTROL SYSTEM AND PROCESS MONITORING SYSTEM USING THIS}
본 발명은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소정의 액상물질을 설정된 정량으로 제공하는 한편, 부품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웨이퍼를 성형하는 공정 및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다시 회로패턴의 인화공정, 엣칭공정, 산화·이온주입공정 및 전극형성공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특히 엣칭공정과 전극형성공정에는 기화된 소정의 액상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엣칭공정과 전극형성공정에 사용되는 소정의 액상물질은 해당 공정에 필요한 양만큼 정밀하게 제어된 상태로 투입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반도체 제조장치에는 LFM(Liquid Flow Meter)과 IV(Injection Valve)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량제어장치가 탑재되어 운용되고 있다.
여기서 LFM은 해당공정에 투입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이고, IV는 LFM으로부터 액상물질을 전달받아 기화시킴과 동시에 LFM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전원에 따라 기화된 액상물질의 송출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인데, 이들 장치는 모두 고가의 장비일 뿐만 아니라 새제품의 수급이 어려운 관계상 리퍼비쉬(refurbished) 또는 오버홀(overhauled)된 제품의 사용빈도가 높아 오작동(誤作動) 내지 작동이상(作動異想)이 발생할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이들 장치(LFM,IV)는 서로 연계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관계상 기화된 액상물질의 송출 유량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어느 장치가 고장인지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워 관리자의 경험이나 추측에 의존한 임시적이고 단순한 조치(장치 교체)만이 이루어지는 실정이고 나아가 이러한 조치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중단과 생산지연은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 내지 개량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유체제어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97893호(공고일자:2007년03월20일)는 반도체 제조용 처리기체의 유량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독특하고 효과적인 유체압력조정기의 구성과 작동방법으로 인해 압력 크리프 효과가 완화되고, 유량제어시스템이 유동모드와 정지모드로 교대로 작동될 때 압력반응과 안정상태 동작이 더 빨라져 처리기체 활용도가 개선되고 시스템의 경제성도 향상되는 효가가 도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처리기체의 유량제어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실적으로 리퍼비쉬(refurbished) 또는 오버홀(overhauled)된 제품을 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발생하게 되는 오작동(誤作動) 내지 작동이상(作動異想)의 문제 또는 기화된 액상물질의 송출 유량에 이상이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장치(LFM,IV)가 고장인지 쉽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를 해소하는 기술적 기준을 여전히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어 개선 내지 개량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97893호(공고일자:2007년03월20일)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소정의 액상물질을 설정된 정량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고, 결합되어 이루어진 부품들 중 어느 부품에서 작동이상이 발생된 것인지 관리자의 경험이나 추측에 의존한 것이 아닌 명확한 기준에 기초하여 판별할 수 있는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반도체용 웨이퍼에 소정의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에 소정의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정량 제공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공급원에서 제공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유량처리부;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액상물질을 전달받아 기화시키고,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원에 따라 기화된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며 송출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 간에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고,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유량처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와 각각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외부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1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1 측정전원이 제1 허용밴드 내에 있고, 상기 분사노즐부가 관리자 설정의 유량이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2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2 측정전원이 제2 허용밴드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유량처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1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1 측정전원이 제1 허용밴드를 벗어난 경우 상기 유량처리부의 작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가 설정된 유량이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2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2 측정전원이 제2 허용밴드를 벗어난 경우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시스템이 적용된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은, 상기 유량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된 유량을 모니터링하되 유량의 흔들림 발생시 상기 케이블의 연결상태 점검 및 상기 유량처리부의 미세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1 알림경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실측된 제어전원을 모니터링하되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발생시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제2 알림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은, 관리자에게 상기 제1 알림경보 및 상기 제2 알림경보가 제공되도록 표시단말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공정용 액상물질의 정밀한 유량조절을 위하여 서로 연계작동하는 유량처리부 및 분사노즐부와, 이들 사이에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여 유량제어부와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검지부가 통합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반도체 장비의 운용 및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제공되어 유동하는 액상물질에 대하여 유량처리부 및 분사노즐부가 각각 이중적으로 유량을 조절하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에 작동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인 유량을 유지하며 액상물질을 송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검지부를 이루는 PC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케이블연결부 및 외부출력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연산처리부 및 저장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표시부를 구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량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작동이상 유무 판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는 유량처리부 및 분사노즐부가 모두 정상상태인 경우 검지부를 통해 실측된 제어전원과 개도율(유량)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유량처리부에 작동이상이 있는 경우 검지부를 통해 실측된 제어전원과 개도율(유량)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c는 분사노즐부에 작동이상이 있는 경우 검지부를 통해 실측된 제어전원과 개도율(유량)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검지부를 이루는 PC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케이블연결부 및 외부출력부를 구현한 회로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연산처리부 및 저장부를 구현한 회로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표시부를 구현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량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작동이상 유무 판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는 유량처리부 및 분사노즐부가 모두 정상상태인 경우 검지부를 통해 실측된 제어전원과 개도율(유량)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b는 유량처리부에 작동이상이 있는 경우 검지부를 통해 실측된 제어전원과 개도율(유량)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c는 분사노즐부에 작동이상이 있는 경우 검지부를 통해 실측된 제어전원과 개도율(유량)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100)은, 반도체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서, 반도체용 웨이퍼에 소정의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반도체 제조장치에 정량 제공함은 물론, 종래와 달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부품의 작동이상 유무를 자체적으로 판별하는 기능 내지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불량 내지 고장 감지 기능은 본 발명에 있어 중요한 기술적 특징에 해당한다.
여기서 소정의 액상물질이란, 반도체용 웨이퍼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웨이퍼 상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도록 인가되는 액체상태의 반응물질로서, TEB(triethylborate), TEOS(tetraethylorthosilicate), TEPO(triethylphosphate)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액상물질은 공급원(10)으로부터 제공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100)을 거치면서 기타 활성기체와 섞여 점도 조절된 기체상태로 반도체 제조장치의 챔버(20) 내로 정량 공급되게 된다.
전반적인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상술한 액상물질들의 구체적인 작용반응 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고,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 내지 작용들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처리부(110), 분사노즐부(120) 및 검지부(130)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은 각각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량처리부(110)는, 공급원(10)에서 제공되는 액상물질이 반도체 제조공정에 필요한 양만큼의 공급될 수 있도록 액상물질의 유량을 1차적으로 조절하고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유량처리부(110)는,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총괄제어시스템(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관리자 설정의 유량제어신호 즉, 소정범위에서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받아 유량을 가변시키는 전자식 밸브(미도시)와, 유동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소정의 단위(일례로, mg/min)로 측정하는 전자식 유량계(미도시)의 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유량처리부(110)를 이루는 전자식 밸브 또는 전자식 유량계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식 밸브와 전자식 유량계 간의 결합 구조 등은 상술한 유량처리부(110)의 기능 내지 작용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분사노즐부(120)는, 유량처리부(110)와 연결된 배관(112)을 통해 액상물질을 전달받아 기화시키는 한편, 유량처리부(110)와 연결된 케이블(114)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원(SCP)에 따라 기화된 액상물질의 유량을 2차적으로 조절하여 반도체 제조장치 내의 챔버(20)로 기화된 액상물질을 필요한 양만큼 송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분사노즐부(120)는, 배관(112)을 통해 전달받은 액상물질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상술한 관리자 설정의 유량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유량 조절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전원을 유량처리부(110)로부터 케이블(114)을 통해 전달받아 유량을 가변시키는 전자식 밸브(미도시)의 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전원은 상술한 관리자 설정의 유량제어신호와 유사하게 소정범위에서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부(120)를 이루는 히터나 전자식 밸브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히터와 전자식 밸브 간의 결합 구조 등은 상술한 분사노즐부(120)의 기능 내지 작용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에 각각 장착된 전자식 밸브가 상술한 관리자 설정의 유량제어신호에 따라 케이블(114)을 통해 서로 연계되어 이중적으로 동일한 유량이 각 밸브를 유동하도록 한 이유는, 어느 하나의 전자식 밸브에 작동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작동하는 나머지 하나의 전자식 밸브에 의해 기화된 액상물질이 관리자 설정의 유량으로 챔버(20) 내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계 구조의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이 운용될 수 있게 된다.
검지부(130)는, 상술한 케이블(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 간에 인가된 제어전원(SCP)을 실시간 실측하고,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에 기초하여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있어 중요한 기술적 특징부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14)을 통해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 2a에 도시된 PCB(Printed Circuit Board)기판 상의 구획된 영역에 각각 케이블연결부(132), 연산처리부(134), 표시부(136) 및 외부출력부(138) 등이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적 회로구성의 형태로 탑재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에서 도시된 검지부(130)는 일례로서 하나의 유량처리부(110)와 하나의 분사노즐부(120)와 케이블(114)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수의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블연결부(132)는,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와 각각 케이블(11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연결부(132)가 마련됨에 따라 검지부(130)는 유량처리부(110)에서 분사노즐부(120)로 인가되는 제어전원(SCP)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연산처리부(134)는, 케이블연결부(132)와 연결된 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에서 분사노즐부(120)로 인가된 제어전원(SCP)을 실시간 실측하여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한편, 실시간 측정된 제어전원(MCP) 정보를 처리하고, 검지부(130)를 이루는 각 구성들과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산처리부(134)는, 도 2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전원측정장치(DC 미터기)가 내장된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등과 같은 모듈화된 유닛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연산처리부(134)는 별도로 상용화된 전원측정장치(DC 미터기)를 후술할 외부출력부(138)와 전기적으로 연결한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등과 같은 유닛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경우 상용화된 전원측정장치(DC 미터기)에 탑재된 LCD창을 통해 관리자가 실시간 측정되는 제어전원(MCP) 정보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연산처리부(134)를 통해 인가된 제어전원(SCP)을 실측하며 측정된 제어전원 정보를 처리(작동이상의 판별 등)하고, 연결된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은, 기계어(machine language, 機械語)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연산처리부(134)의 작동을 위한 코딩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산처리부(134)를 통해 실시간 측정된 제어전원(MCP) 정보는, 도 2a 및 도 2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진 저장장치(135)(메모리카드)에 저장되어 사후적으로 유량처리부(110)나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상태를 판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36)는, 연산처리부(134)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를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2a에 도시된 PCB 상에 탑재되고,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LCD 회로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외부 표시장치에서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LCD 회로모듈 일측에는 출력포트(136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부출력부(138)는, 연산처리부(134)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기타 외부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소정의 통신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란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반도체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총괄제어시스템 또는 FDC(Fault Detection and Classfication)와 같은 후술할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이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별도로 상용화된 전원측정장치(DC 미터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통신인터페이스란, 자동화시스템에 사용되는 CAN,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근거리 유선통신방식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무선통신방식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130)가 어떠한 작동 방식 내지는 알고리즘으로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게 되는 지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자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총괄제어시스템을 통해 입력설정하게 되면, 이 설정 정보는 유량의 크기에 따라 소정범위에서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 즉, 유량제어신호로 변환되어 유량처리부(110)에 전송된다.(S100)
다음으로, 유량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유량처리부(11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유량만큼 액상물질이 유량처리부(110)를 유동하도록 전자식 밸브를 가변시킴과 동시에 분사노즐부(120)가 기화된 액상물질을 관리자가 설정한 유량만큼 챔버(20)로 송출할 수 있도록 케이블(114)을 통해 분사노즐부(120)에 제어전원(SCP)을 인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유량처리부(110)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제어전원(SCP)을 분사노즐부(120)에 인가하여 챔버(20)로 송출되는 기화된 액상물질의 유량을 단계별로 조절하게 된다.

TEB
(최대 500유량 설정)
TEOS
(최대 4000유량 설정)
TEPO
(최대 250유량 설정)
제어전원 유동 유량
(mg/min)
제어전원 유동 유량
(mg/min)
제어전원 유동 유량
(mg/min)
대기상태(폐쇄) 120V 0 120V 0 120V 0
25% 개도율 설정 90V 125 90V 1000 90V 62.5
50% 개도율 설정 60V 250 60V 2000 60V 125
75% 개도율 설정 30V 375 30V 3000 30V 187.5
100% 개도율 설정 0V 500 0V 4000 0V 250
위 [표 1]에서와 같이 유량처리부(110)가, 관리자가 설정한 유량(개도율 설정)에 따라 가변되는 제어전원(SCP)을 분사노즐부(120)에 인가함으로써, 결국 기화된 액상물질은 해당 관리자 설정 유량만큼 챔버(20)로 송출되게 된다.(S200)
다음으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가 모두 폐쇄된 대기상태(분사노즐부(120)에 120V의 제어전원이 인가 중인 상태)에서부터 관리자 설정 유량으로 조절된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를 통해 기화된 액상물질이 챔버(20)로 송출되는 동안, 유량처리부(110)에서 분사노즐부(120)로 인가되는 제어전원(SCP)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이때,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실시간으로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에 기초하여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게 되는데, 아래의 [표 2]에서 제시된 시험예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액상물질 TEB
(최대 500유량 설정)
TEOS
(최대 4000유량 설정)
TEPO
(최대 250유량 설정)
관리자
설정
유량
인가된
제어전원(60V)
250mg/min
(50%개도율)
인가된
제어전원(60V)
2000mg/min
(50%개도율)
인가된 제어전원(60V) 125mg/min
(50%개도율)
실측된 제어전원
시험예1
대기상태 109V 111V 111V(교체후) 120V( 새제품 )
포화 54V 28V 45V(교체후) 58V( 새제품 )
유지 56V 33V 58V(교체후) 60V( 새제품 )
처리 - 분사노즐부 교체 -
실측된 제어전원
시험예2
대기상태 108V 0V 117V(교체후) 117V
포화 50V 46V 58V(교체후) 47V
유지 55V 55V 59V(교체후) 57V
처리 - 유량처리부 교체 -
실측된 제어전원
시험예3
대기상태 119V 117V 113V 113V(교체후)
포화 48V 52V 26V 44V(교체후)
유지 59V 57V 45V 54V(교체후)
처리 - - 분사노즐부 교체
우선, 연산처리부(134)의 실측된 제어전원(MCP) 정보에 기초한 작동이상 유무에 대한 판별 처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표 2]에 기재된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표 2]는, TEB, TEOS 및 TEPO 총 3가지 액상물질이, 최대 가능유량 대비 50% 개도율인 250유량, 2000유량 및 125유량으로 총 9개(시험예별 각 3개)의 각기 다른 상태의 유량제어시스템(100)을 통해 각각 챔버(20)에 송출되도록 관리자에 의해 설정 유량이 세팅된 상태에서, 각 유량제어시스템(100)이 작동시(대기상태, 포화 및 유지상태) 유량처리부(110)에서 분사노즐부(120)로 인가된 제어전원(SCP)을 연산처리부(134)를 통해 실측하여 얻는 제어전원(MCP) 정보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관리자 설정 유량으로의 조절을 위해 유량처리부(110)는, 총괄제어시스템으로부터 관리자 설정의 유량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폐쇄된 상태(0% 개도율)를 유지하기 위해 분사노즐부(120)에 인가하던 제어전원(SCP) 120V를 60V로 가변(연속적으로 변함)하여 인가하게 된다.
이때, 유량처리부(110)가 분사노즐부(120)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인가하게 되는 120V의 제어전원(SCP)을 제1 제어전원으로 정의하고, 이를 연산처리부(134)를 통해 실측하여 얻어진 제어전원을 제1 측정전원(MCP1)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관리자 설정의 유량으로 분사노즐부(120)가 개방되도록 인가하게 되는 60V의 제어전원(SCP)을 제1 제어전원과 구별하여 제2 제어전원으로 정의하고, 이를 연산처리부(134)를 통해 실측하여 얻어진 제어전원을 제2 측정전원(MCP2)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물론, 폐쇄 인가된 제어전원(SCP) 120V와 관리자 설정 유량을 위한 인가된 제어전원(SCP) 60V는 유량제어시스템(100)의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인가 제어전원(SCP)의 연속적인 가변조절로 인해 측정된 제어전원(MCP)에는 포화상태(돌출된 부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유지상태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도 4a의(a) 참조)
위의 [표 2]의 다양한 시험예들을 참조하면,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일정하게 제1,2 제어전원(120V,60V)이 인가되더라도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1,2 측정전원(MCP1,MCP2)(폐쇄상태, 포화 및 유지상태)은 서로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다수의 전기소자 및 장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 각각이 전기적으로 작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가 고장나거나 작동이상 있는 경우 그 차이가 더 커지게 되고, 고장이나 작동이상 없이 정상작동하는 새제품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없거나 미소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산처리부(134)는 이러한 차이 즉, 일정하게 인가되는 제어전원(SCP) 대비 측정된 제어전원(MCP) 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여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 유무를 각각 판별하게 된다.(S300)
첫째, 연산처리부(134)는, 분사노즐부(120)가 폐쇄된 상태(대기상태, 0% 개도율)가 되도록 인가되는 유량처리부(110)의 제1 제어전원(120V)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1 측정전원(MCP1)(대기상태에서 실측된 제어전원(MCP))이 제1 허용밴드(AB1) 내에 있고, 분사노즐부(120)가 관리자 설정의 유량(50% 개도율)이 되도록 인가되는 유량처리부(110)의 제2 제어전원(60V)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2 측정전원(MCP2)(포화 및 유지상태에서 실측된 제어전원(MCP))이 제2 허용밴드(AB2) 내에 있는 경우,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허용밴드(AB1)는 제1 측정전원(MCP1)이 유량처리부(110)의 제1 제어전원 값과 근사한 것으로 취급하여 유량처리부(110)가 정상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제1 제어전원(120V) 값에 대하여 대략 ±5%(114V~126V) 내지 ±15%(102V~138V)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허용밴드(AB2)는 제2 측정전원(MCP2)이 유량처리부(110)의 제2 제어전원 값과 근사한 것으로 취급하여 분사노즐부(120)가 정상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관리자에 의해 제2 제어전원(60V) 값에 대하여 대략 ±5%(57V~63V) 내지 ±15%(51V~69V) 이내로 정해질 수 있다.
[표 2] 및 도 4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험예1의 TEPO(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 모두 새제품)의 경우에는, 폐쇄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제1 제어전원 120V가 인가될 때,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1 측정전원(MCP1)이 제1 허용밴드(AB1) 이내인 120V이므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1차적으로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이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포화 및 유지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제2 제어전원 60V가 인가될 때,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2 측정전원(MCP2)이 제2 허용밴드(AB2) 이내인 58V(60V)이므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2차적으로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결국, 연산처리부(134)는 제1,2 제어전원에 대한 제1,2 측정전원(MCP1,MCP2) 값이 모두 제1,2 허용밴드(AB1,AB2) 이내이므로,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은 모두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고, 별다른 조치 없이 기화된 액상물질의 송출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는 시험예1,2,3의 TEB, 시험예3의 TEOS, 시험예2의 TEPO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S400)
둘째, 연산처리부(134)는, 분사노즐부(120)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인가되는 유량처리부(110)의 제1 제어전원(120V)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1 측정전원(MCP1)(대기상태에서 실측된 제어전원(MCP))이 제1 허용밴드(AB1)를 벗어난 경우,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표 2]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험예2의 TEOS의 경우에는, 폐쇄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제1 제어전원 120V가 인가될 때,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1 측정전원(MCP1)이 제1 허용밴드(AB1)를 벗어난 0V이므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1차적으로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포화 및 유지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제2 제어전원 60V가 인가될 때,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2 측정전원(MCP2)이 대략 제2 허용밴드(AB2) 이내인 46V(55V)이므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2차적으로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결국, 연산처리부(134)는 제1 제어전원에 대한 제1 측정전원(MCP1) 값만이 제1 허용밴드(AB1)를 벗어났으므로,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에만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이때의 제1 측정전원(MCP1) 정보(또는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에 이상 있음을 나타내는 기호 등)가 표시부(136)를 통해 관리자 등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유량처리부(110)를 정상작동하는 제품으로 교체한 후 상술한 단계를 다시 거치도록 하여 작동이상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500)
한편, [표 2]에는 유량처리부(110)를 교체한 결과, 제1 측정전원(MCP1)이 제1 허용밴드(AB1) 내인 117V이고, 제2 측정전원(MCP2)이 제2 허용밴드(AB2) 내인 58V(59)V로 각각 변경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통해 교체 전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에 이상이 있다고 판별한 연산처리부(134)의 작동이 검증될 수 있다.
셋째, 연산처리부(134)는, 분사노즐부(120)가 설정된 유량이 되도록 인가되는 유량처리부(110)의 제2 제어전원(60V)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2 측정전원(MCP2)(포화 및 유지상태에서 실측된 제어전원(MCP))이 제2 허용밴드(AB2)를 벗어난 경우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표 2] 및 도 4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험예3의 TEPO의 경우에는, 폐쇄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제1 제어전원 120V가 인가될 때,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1 측정전원(MCP1)이 제1 허용밴드(AB1)를 이내인 113V이므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1차적으로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이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포화 및 유지상태에서 유량처리부(110)로부터 분사노즐부(120)에 제2 제어전원 60V가 인가될 때, 연산처리부(134)에서 실측된 제2 측정전원(MCP2)이 대략 제2 허용밴드(AB2)를 벗어난 26V(45V)이므로,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는 2차적으로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결국, 연산처리부(134)는 제2 제어전원에 대한 제2 측정전원(MCP2) 값만이 제2 허용밴드(AB2)를 벗어났으므로,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에만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이때의 제2 측정전원(MCP2) 정보(또는 유량처리부(110)의 작동에 이상 있음을 나타내는 기호 등)가 표시부(136)를 통해 관리자 등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분사노즐부(120)를 정작작동하는 제품으로 교체한 후 상술한 단계를 다시 거치도록 하여 작동이상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600)
마찬가지로, [표 2]에는 분사노즐부(120)를 교체한 결과, 제1 측정전원(MCP1)이 제1 허용밴드(AB1) 내인 113V이고, 제2 측정전원(MCP2)이 제2 허용밴드(AB2) 내인 44V(54)V로 각각 변경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통해 교체 전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에 이상이 있다고 판별한 연산처리부(134) 작동이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시험예1의 TEOS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호 연계작동하는 유량처리부(110) 및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 유무가 관리자의 경험이나 추측에 의존한 것이 아닌 실시간으로 측정된 제1,2 측정전원(MCP1,MCP2)에 기초하여 검지부(130)의 연산처리부(134)를 통해 명확하게 판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장이나 작동이상이 있는 장비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해져 반도체 장비의 운용 및 관리의 효율화가 도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유량제어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괄제어시스템 또는 FDC와 같은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과 연결되어 운용될 수 있다.
즉, 유량제어시스템(100)의 유량처리부(110)의 경우 FDC와 같은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유량처리부(11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유량 정보는, 도 4a의 (b), 도 4b의 (b) 및 도 4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으로 송출되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때, 도 4b의 (b) 및 도 4c의 (b)와 같이 유량처리부(110)나 분사노즐부(120)가 작동이상이 있더라도, 액상물질의 유량은 관리자가 설정한 대로 송출될 수 있는데, 이는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가 이중적으로 유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100)의 검지부(130)에 의하지 않고 관리자의 경험만으로는 양 장치의 작동이상을 쉽게 검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이 유량처리부(110)와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된 유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중에 유량의 흔들림 즉, 정현파와 같이 유량의 반복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은 상술한 케이블(114)의 연결상태 점검 및 유량처리부(110)의 미세조정이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알림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S700, 도 3 참조)
또한, 유량제어시스템(100)의 분사노즐부(120)의 경우 FDC와 같은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검지부(13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제어전원 정보도, 도 4a의 (a), 도 4b의 (a) 및 도 4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으로 송출되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렇게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이 검지부(130)와 연계되면, 실시간으로 측정된 제어전원(MCP)이 제1,2 허용밴드(AB1,AB2)를 벗어나게 나는지 여부 즉,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에 대한 작동이상의 발생 여부가 도 4b의 (b) 및 도 4c의 (b)에서처럼 액상물질의 유량이 관리자가 설정한 대로 송출되더라도 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이 실시간으로 측정된 제어전원(MCP)을 모니터링하는 중에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의 작동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 등은 유량처리부(110)와 분사노즐부(120)에 대한 조치가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제2 알림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은, 상술한 제1 알림경보 및 제2 알림경보가 반도체 제조공정의 각 영역별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단말장치(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정모니터링시스템(200)과 표시단말장치(210) 간의 통신연결은 자동화시스템에 사용되는 CAN,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근거리 유선통신방식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무선통신방식이 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공급원 20: 챔버
100: 유량제어시스템
110: 유량처리부 112: 배관
114: 케이블 SCP: 인가된 제어전원
MCP: 실측된 제어전원 MCP1: 제1 측정전원
AB1: 제1 허용밴드 MCP2: 제2 측정전원
AB2: 제2 허용밴드 120: 분사노즐부
130: 검지부 132: 케이블연결부
134: 연산처리부 135: 저장장치
136: 표시부 136a: 출력포트
138: 외부출력부
200: 공정모니터링시스템 210: 표시단말장치

Claims (7)

  1. 반도체용 웨이퍼에 소정의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에 소정의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정량 제공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공급원에서 제공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유량처리부;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액상물질을 전달받아 기화시키고,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원에 따라 기화된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며 송출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 간에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고,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유량처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와 각각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외부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1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1 측정전원이 제1 허용밴드를 벗어난 경우 상기 유량처리부의 작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1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1 측정전원이 제1 허용밴드 내에 있고, 상기 분사노즐부가 관리자 설정의 유량이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2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2 측정전원이 제2 허용밴드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유량처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시스템.
  4. 삭제
  5. 반도체용 웨이퍼에 소정의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에 소정의 액상물질을 기화시켜 정량 제공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공급원에서 제공되는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유량처리부;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액상물질을 전달받아 기화시키고, 상기 유량처리부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원에 따라 기화된 액상물질의 유량을 조절하며 송출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 간에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고,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유량처리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와 각각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인가된 제어전원을 실시간 실측하여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의 제어로 실측된 제어전원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외부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가 설정된 유량이 되도록 인가되는 상기 유량처리부의 제2 제어전원에 대하여 실시간 측정된 제2 측정전원이 제2 허용밴드를 벗어난 경우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시스템.
  6.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량제어시스템이 적용된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은,
    상기 유량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된 유량을 모니터링하되 유량의 흔들림 발생시 상기 케이블의 연결상태 점검 및 상기 유량처리부의 미세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1 알림경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실측된 제어전원을 모니터링하되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의 작동이상 발생시 상기 유량처리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제2 알림경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모니터링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모니터링시스템은,
    관리자에게 상기 제1 알림경보 및 상기 제2 알림경보가 제공되도록 표시단말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모니터링시스템.
KR1020170043069A 2017-04-03 2017-04-03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KR10191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69A KR101910615B1 (ko) 2017-04-03 2017-04-03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69A KR101910615B1 (ko) 2017-04-03 2017-04-03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26A KR20180112326A (ko) 2018-10-12
KR101910615B1 true KR101910615B1 (ko) 2018-10-24

Family

ID=6387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69A KR101910615B1 (ko) 2017-04-03 2017-04-03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563A (ja) * 2005-06-15 2006-12-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塗布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15087110A (ja)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フジキン 流量計及びそれを備えた流量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563A (ja) * 2005-06-15 2006-12-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塗布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15087110A (ja)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フジキン 流量計及びそれを備えた流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26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6724A1 (en) Gas and liquid inj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7605341B2 (en) Metering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gas to a torch
WO2018185836A1 (ja) 大気圧プラズマ装置
JP6738095B2 (ja) 分流システム
KR20170071426A (ko) 가스 유량 감시 방법 및 가스 유량 감시 장치
KR20130039706A (ko) 가스 유량 감시 시스템
JP2006059322A (ja) 流体流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
CN106352238B (zh) 燃气加臭控制装置及燃气加臭系统
KR101910615B1 (ko) 유량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모니터링시스템
US10915084B2 (en) Field device switch monitor
CN108363429B (zh) 控制分配在衬底上的液体温度的使用点混合系统和方法
US10509422B2 (en) Mass flow controller
EP3609300B1 (en) Plasma generating device with detector to detect a current flowing through a ground cable
KR101300096B1 (ko) 공정챔버의 가스 공급 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2087253B1 (ko) 액상 공정용 소재의 유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EP3043628B1 (en) Automatic gas control system for plasma treatment
JP2020123593A (ja) プラズマ発生装置
KR20150055180A (ko) 유량 제어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7365A (ko) 액체 혼합 공급장치
KR20100130962A (ko) 유체제어방법, 유체제어시스템 및 유체제어프로그램
CN117255897A (zh) 流体输送安装面板及系统
KR20100090144A (ko)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케미칼 공급감시 및 제어장치
KR200447662Y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질소희석장치
CN115547888A (zh) 用于单晶圆腐蚀清洗的供液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909221A (zh) 一种等离子清洗设备用通道流量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