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148B1 -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148B1
KR101910148B1 KR1020160142296A KR20160142296A KR101910148B1 KR 101910148 B1 KR101910148 B1 KR 101910148B1 KR 1020160142296 A KR1020160142296 A KR 1020160142296A KR 20160142296 A KR20160142296 A KR 20160142296A KR 101910148 B1 KR101910148 B1 KR 10191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mushroom
incubator
contai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743A (ko
Inventor
임영진
Original Assignee
임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진 filed Critical 임영진
Priority to KR102016014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1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여러 종류의 버섯 재배가 가능하고, 인테리어 기능을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다종 버섯 재배기는 컨테이너, 어댑터 그리고 배지화분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외형을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외면부와, 외면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을 가진다. 어댑터는 결합홀의 외주연을 따라 외면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와, 제1플랜지부와 연결되고 결합홀을 관통해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제1공간과 컨테이너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2공간이 형성되는 장착부를 가진다. 그리고, 배지화분은 어댑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는 버섯종균이 마련되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버섯종균에 공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CONTAINER FOR CULTIVATING VARIOUS MUSHROOM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버섯 재배가 가능하고, 인테리어 기능을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자연 상태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에 달하는 버섯이 있으며, 그 중에서 식용으로 알려진 버섯은 약 300여종에 달한다. 식용으로 알려진 버섯은 영양이 풍부하고 맛있는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 저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버섯은 햇빛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내에서도 환경조건만 갖춰진다면 인공으로도 재배가 가능하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식용 버섯을 자연 상태에서 채취하는 것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인공적으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버섯 재배 시설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버섯 재배 과정은 버섯의 종류에 따라 주재료와 배합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으나 주재료에 영양원을 첨가하고 상자, 병, 봉지 등에 넣고 살균한 다음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버섯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실, 무균실, 배양실, 재배사 등 일정 규모 이상의 기본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버섯은 재배 시, 온도, 습도, 및 공기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병충해를 입게 되어 수확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구조화된 농장에서 숙련된 작업자들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버섯의 까다로운 생육조건 때문에 재배 시 온도, 습도, 및 공기 순환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세균성 갈변병, 푸른곰팡이, 버섯 파리 등의 병해충을 입게 되고 이 피해는 수확의 주기가 지날수록 그 발생률이 증가하여 수확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구조화된 농장에서 재배의 숙련공들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 중 상업화를 위한 대량생산 방법인 원목재배, 균상재배, 상자재배, 병 재배 방법 등을 제외하고 가정에서와 같은 실내에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990-0002688호에는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재배장치는 화분의 바닥에는 전열선을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그 단자는 자동 온도 조절기에 연결하며 화분의 상부에는 온, 습도계를 부착함과 아울러 환기 조절구가 부착된 테라리움관을 결합하고, 그 상부로는 뚜껑이 복착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142753호에는 상단에 개폐수단이 구비된 비닐팩과, 상부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비닐팩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비닐팩의 하부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고정판재와, 상기 형상고정판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분흡수부재와, 상기 비닐팩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상부 통기성 필름 및 상기 비닐팩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하부 통기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무동력 버섯 재배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선행문헌에 개시되는 버섯 재배장치 및 버섯 재배기는 단일종의 버섯을 재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여러 종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더하여 인테리어 기능을 가지는 버섯 재배기술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990-0002688호(1990.03.23.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13-0142753호(2013.12.30,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종류의 버섯 재배가 가능하고, 인테리어 기능을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형을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결합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외면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을 관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2공간이 형성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어댑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는 버섯종균이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버섯종균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지화분을 포함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지화분은 내부에 상기 버섯종균이 구비되는 배지부와, 내부에 상기 배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배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물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 상기 배지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일단부는 상기 배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심지부와, 상기 심지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심지부의 타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무게를 제공하는 웨이트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1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플랜지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포개지는 커버부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자성체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제1자성체와 결합되는 제2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종 버섯 재배기; 상기 다종 버섯 재배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인큐베이터; 그리고 상기 인큐베이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제어모듈은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환경조절부와, 상기 인큐베이터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경조절부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지화분별로 다른 종류의 버섯종균이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컨테이너에 복수 종류의 버섯이 재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지화분이 결합되는 어댑터는 컨테이너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위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어댑터에 결합되는 배지화분에 마련되는 버섯종균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버섯 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분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배지화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와 배지화분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배지화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와 배지화분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배지화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와 배지화분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분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배지화분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와 배지화분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종 버섯 재배기(10)는 컨테이너(20), 어댑터(30) 그리고 배지화분(4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0)는 다종 버섯 재배기(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20)는 외면부(21)와, 외면부(21)의 내부에 형성되고 물(W)이 수용되는 제1공간(22)을 가질 수 있다. 외면부(21)에는 복수의 결합홀(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20)는 육면체, 원기둥 등의 기하학적인 모양뿐만 아니라, 각종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30)는 컨테이너(20)의 결합홀(2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장착부(31)와 제1플랜지부(3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31)는 결합홀(23)을 관통해 컨테이너(2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부(31)의 내부에는 제2공간(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33)은 컨테이너(20) 내부의 제1공간(22)과 컨테이너(20)의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부(32)는 장착부(3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외면부(21)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플랜지부(32)는 결합홀(23)의 외주연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1플랜지부(32)가 컨테이너(20)의 외면부(21)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장착부(31)는 컨테이너(20)의 제1공간(22)으로 연장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플랜지부(32)와 컨테이너(20)의 외면부(21)의 사이에는 제1플랜지부(32)를 컨테이너(20)의 외면부(21)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재(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30)는 컨테이너(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플랜지부(3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돌출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부(35)는 제1플랜지부(32)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부(36)와, 지지부(36)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37)를 가질 수 있다.
배지화분(40)은 어댑터(3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지화분(40)은 삽입부(41), 제2플랜지부(42), 배지부(43) 및 급수부(44)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41)는 장착부(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부(31)의 제2공간(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42)는 삽입부(41)와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플랜지부(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42)는 삽입부(41)가 장착부(31)에 삽입되었을 때, 제1플랜지부(32)에 밀착될 수 있다.
배지부(43)는 삽입부(41)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지부(43)에는 버섯종균(45)이 구비될 수 있다. 배지부(43)는 천연배지, 합성배지 및 반합성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배지부(43)별로 다른 종류의 버섯종균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컨테이너(20)에 복수 종류의 버섯(M1, M2, 도 15 참조)이 재배될 수 있다. 배지화분(40)이 결합되는 어댑터(30)는 컨테이너(2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위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어댑터(30)에 결합되는 배지화분(40)에 마련되는 버섯종균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버섯 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급수부(44)는 삽입부(41)에 형성되는 관통홀(49)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44)는 심지부(47)와 웨이트부(48)를 가질 수 있다. 심지부(47)는 삽입부(41)의 관통홀(49)을 관통하여 삽입부(4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심지부(47)의 일단부는 배지부(43)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웨이트부(48)는 심지부(47)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웨이트부(48)는 배지화분(40)이 어댑터(30)에 결합 시, 컨테이너(20)의 제1공간(22)에서 낙하하여 컨테이너(20)에 수용된 물(W)에 잠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부(47)의 타단부도 물(W)에 담기게 되며, 물(W)은 심지부(47)를 통해 배지부(43)로 공급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42)에는 제1돌출부(35)가 삽입 결합되도록 제1홈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홈부(46)는 제1돌출부(35)의 결합부(37)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지화분(40)이 어댑터(30)에 결합 시에, 제2플랜지부(42)와 제1플랜지부(32)가 밀착되면서 제1돌출부(35)는 제1홈부(46)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배지화분(40)은 어댑터(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돌출부(35)와 제1홈부(46)의 결합력은 사용자가 배지화분(40)을 탈거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 시에 분리가 가능할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배지화분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와 배지화분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 및 배지화분의 구조가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댑터(130)는 장착부(131) 및 제1플랜지부(132)와 함께 연결부(133) 및 커버부(134)를 더 가질 수 있다.
연결부(133)는 제1플랜지부(13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3)는 제1플랜지부(132)와 연결되어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33)는 제1플랜지부(13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34)는 연결부(133)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34)는 연결부(133)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34)는 제1플랜지부(132)에 선택적으로 포개질 수 있는데, 즉, 연결부(133)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플랜지부(132)에 포개지거나 제1플랜지부(132)에 포재지지 않을 수 있다.
제1플랜지부(13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돌출부(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돌출부(135)는 지지부(136) 및 결합부(137)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34)에는 제1돌출부(135)가 삽입 결합되는 제2홈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홈부(138)는 연결부(133)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지화분(140)의 제2플랜지부(142)에는 제1돌출부(135)가 관통되도록 관통공(14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147)은 제1돌출부(135)의 연결부(133)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지화분(140)이 어댑터(130)에 결합 시에, 제2플랜지부(142)의 관통공(147)으로는 제1플랜지부(132)의 제1돌출부(135)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34)가 회전하여 제2플랜지부(142)에 밀착되면서 커버부(134)의 제2홈부(138)로 제1돌출부(135)가 결합되면서 배지화분(140)과 어댑터(13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배지화분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기의 어댑터와 배지화분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의 구성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댑터(230)의 제1플랜지부(23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자성체(23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33)에 연결되는 커버부(234)에는 제1자성체(23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자성체(235)와 결합되는 제2자성체(23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지화분(240)의 제2플랜지부(242)에는 제1자성체(235) 및 제2자성체(236)가 관통되도록 관통공(24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지화분(240)이 어댑터(230)에 결합 시에, 제2플랜지부(242)의 관통공(247)으로는 제1자성체(235)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34)가 회전하여 제2플랜지부(242)에 밀착되면서 커버부(234)의 제2자성체(236)가 관통공(247)으로 삽입되어 제1자성체(235)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배지화분(240)과 어댑터(23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종 버섯 재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종 버섯 재배장치는 다종 버섯 재배기(10), 인큐베이터(400) 그리고 환경제어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종 버섯 재배기(10)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인큐베이터(400)는 다종 버섯 재배기(10)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큐베이터(400)는 하부가 개방된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용된 다종 버섯 재배기(10)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종 버섯 재배기(10)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는 것은 인큐베이터(400)의 외측에서 다종 버섯 재배기(10)의 전체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인큐베이터(400)는 상부에 환기부(410)를 가질 수 있다. 환기부(410)에 의해 인큐베이터(400) 내부의 공기는 환기될 수 있다.
환경제어모듈(500)은 인큐베이터(400)와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경제어모듈(500)은 인큐베이터(4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인큐베이터(400)의 내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환경제어모듈(500)은 센서부(510), 환경조절부(520) 및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10)는 인큐베이터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인큐베이터(400)의 내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510)는 인큐베이터(4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11) 및 인큐베이터(400)의 내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51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환경조절부(520)는 인큐베이터(4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521)과, 인큐베이터(4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522)와, 인큐베이터(400) 내부에 수분을 제공하는 수분증발기(52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0)는 인큐베이터(4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센서부(510)로부터 전달받은 인큐베이터(400)의 내부 환경정보를 기초로 환경조절부(52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제어모듈(500)은 용기부(540) 및 가습기(5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54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습기(541)는 용기부(540)에 수용되는 물을 이용하여 수분증발기(523)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용기부(540) 및 가습기(541)는 인큐베이터(40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종 버섯 재배기 20: 컨테이너
30,130,230: 어댑터 31,131: 장착부
32,132,232: 제1플랜지부 35,135: 제1돌출부
40,140,240: 배지화분 41,141: 삽입부
42,142,242: 제2플랜지부 43: 배지부
44: 급수부 45: 버섯종균
46: 제1홈부 133,233: 연결부
134,234: 커버부 138: 제2홈부
147,247: 관통공 235: 제1자성체
236: 제2자성체 400: 인큐베이터
500: 환경제어모듈 510: 센서부
520: 환경조절부 530: 제어부

Claims (9)

  1. 외형을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결합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외면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을 관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2공간이 형성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어댑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는 버섯종균이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버섯종균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지화분을 포함하되,
    상기 배지화분은 내부에 상기 버섯종균이 구비되는 배지부와, 내부에 상기 배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배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물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 상기 배지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일단부는 상기 배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심지부와,
    상기 심지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심지부의 타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무게를 제공하는 웨이트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1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플랜지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포개지는 커버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1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자성체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제1자성체와 결합되는 제2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기.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르는 다종 버섯 재배기;
    상기 다종 버섯 재배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인큐베이터; 그리고
    상기 인큐베이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제어모듈은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환경조절부와,
    상기 인큐베이터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 환경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경조절부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KR1020160142296A 2016-10-28 2016-10-28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KR10191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296A KR101910148B1 (ko) 2016-10-28 2016-10-28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296A KR101910148B1 (ko) 2016-10-28 2016-10-28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43A KR20180046743A (ko) 2018-05-09
KR101910148B1 true KR101910148B1 (ko) 2018-10-19

Family

ID=6220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96A KR101910148B1 (ko) 2016-10-28 2016-10-28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1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43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4030B2 (ja) 発芽・育成装置及び植物栽培用器具
US20180359946A1 (en) Apparatus for growing vegetables, mushrooms, ornamental plants and the like
US9439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KR101839581B1 (ko) 원판 회전형 버섯 재배기
KR20110107135A (ko) 버섯 재배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가정용 자동 버섯 재배기
KR101910148B1 (ko) 다종 버섯 재배기 및 이를 가지는 다종 버섯 재배장치
KR101524686B1 (ko)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버섯재배장치
KR101522669B1 (ko) 실내용 버섯 재배기
KR20080090617A (ko) 난 재배를 위한 다기능 복합화분
US20150282439A1 (en) Plant housing system
KR101028954B1 (ko) 화분을 이용한 가정용 버섯의 재배방법 및 버섯재배상자
CN216018207U (zh) 一种可拆装的小型蘑菇养殖箱
CN101534633A (zh) 植物快速繁殖的方法和装置
CN213603300U (zh) 一种三角梅扦插繁殖装置
KR20200104029A (ko) 버섯 생육장치
CN205620836U (zh) 一种叶菜培植家庭智能化菜园控制系统
CN210202670U (zh) 一种辣椒育苗盘
CN113826516A (zh) 一种可拆装的小型蘑菇养殖箱
KR200203386Y1 (ko) 가정용 버섯 재배기
CN206118706U (zh) 一种生态种植箱
KR20190029885A (ko) Led를 이용한 가정용 수경재배기
CN219644745U (zh) 一种兰花幼苗培育箱
KR101475063B1 (ko) 버섯 재배기
CN218244776U (zh) 一种农业用马铃薯立式栽培装置
KR101666194B1 (ko) 피톤치드 향을 발하는 향가습기와 연동되어 적용되는 식물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