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063B1 - 버섯 재배기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063B1
KR101475063B1 KR1020130022522A KR20130022522A KR101475063B1 KR 101475063 B1 KR101475063 B1 KR 101475063B1 KR 1020130022522 A KR1020130022522 A KR 1020130022522A KR 20130022522 A KR20130022522 A KR 20130022522A KR 101475063 B1 KR101475063 B1 KR 10147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d
shelf
mushroom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061A (ko
Inventor
안정균
최민정
Original Assignee
안정균
최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균, 최민정 filed Critical 안정균
Priority to KR102013002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0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을 재배하고 수확하기 편리하며 버섯의 재배환경에 맞게 습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의 성장속도에 따라 수분양을 조절할 수 있는 버섯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덮개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덮개에 의해 개폐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순환공을 형성한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 내측벽 중앙에는 이중브라켓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드레인플러그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몸체에 형성된 이중브라켓 상측에 선반을 올려놓고 선반 상측에는 균봉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한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저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에 물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조절밸브를 형성한 공급관을 몸체에 관통하여 몸체 저면에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몸체 저면에 공급된 물을 이중브라켓의 하측에 올려진 가습통에 이송하도록 물펌프를 형성하고 가습통에 이송된 물을 진동자에 의해 기화시켜 가습하도록 가습관을 균봉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한 가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 재배기{Mushroom cultiv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버섯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을 재배하고 수확하기 편리하며 버섯의 재배환경에 맞게 습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의 성장속도에 따라 수분양을 조절할 수 있는 버섯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자연적인 상태에서 썩은 나무 등의 습한 곳에 기생하는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자실체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버섯은 영양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어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용기를 이용하거나 원목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가 많아 지고 있다.
버섯은 종균에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지 또는 원목에 종균을 접종하고 숙성과 배양을 시켜 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이러한 버섯재배는 적절한 채광과 원활한 통풍 및 고온, 다습한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농업인 만 재배가 가능하였고 가정에서는 재배를 하기 어려웠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고자 특허등록 제413727호의 버섯 재배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버섯재배기는 버섯을 재배하기 위하여 재배통에 형성된 균봉에 호스를 삽입하여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균봉에 수분을 직접 공급할 수는 있지만 버섯의 재배환경에 맞게 습기가 높은 재배환경을 마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도조절이 원활하지 않아 버섯의 성장과정에 따라 습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섯의 환경에 맞게 버섯을 재배하고 수확하기 편리하며 버섯의 성장속도에 따라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로 어린 버섯에 상처를 주지 않고 버섯을 재배할 수 있어 버섯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섯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덮개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덮개에 의해 개폐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순환공을 형성한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 내측벽 중앙에는 이중브라켓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드레인플러그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몸체에 형성된 이중브라켓에 선반을 올려놓고 선반 상측에는 균봉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한 선반부와, 상기 선반부의 저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에 물탱크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조절밸브를 형성한 공급관을 몸체에 관통하여 몸체 저면에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몸체 저면에 공급된 물을 물펌프를 형성하여 물을 이송관으로 이송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으로 이송된 물을 진동자에 의해 기화시켜 가습하도록 이송관의 내측에 진동자를 형성하고 진동자의 상측에 가습관을 이송관과 연통하도록 형성하여 균봉의 상측에 분사하도록 형성한 가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부의 덮개는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게 형성하여 중앙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중앙덮개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덮개의 외측으로는 외부덮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는 선반부의 선반을 몸체 측면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 측면에 개폐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를 제공한다.
상기 선반부의 선반 테두리에 가습되어 남은 물이 모이도록 선반의 테두리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가습되어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몸체에 배출호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버섯의 재배환경에 맞게 버섯을 재배하고 수확하기 편리하며 버섯의 성장속도에 따라 수분을 쉽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수분공급을 진동자에 의해 발생 증기로 수분을 공급하여 어린 버섯에 상처를 주지 않아 버섯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섯재배기는 습기를 보존할 수 있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에 의해 개폐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 내부에 형성되는 선반부(30)와, 몸체부(2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0) 및 물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습기로 기화하는 가습부(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10)는 덮개(11)에 다수의 통기공(12)을 형성하며 덮개(11)의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게 형성하여 중앙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된 중앙덮개(14)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덮개(14)의 외측으로는 외부덮개(15)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10)의 기 덮개부(10)의 덮개(11)에 의해 개폐되도록 몸체부(20)를 형성한다.
상기의 몸체부(20)는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순환공(24)을 형성한 몸체(21)의 내측벽 중앙에는 이중브라켓(22)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드레인플러그(23)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10)의 덮개(11)에 형성된 통기공(12)과 몸체부(20)에 형성된 순환공(24)은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부(20)의 몸체(21) 내부에는 선반부(30)를 형성하되 상기 선반부(30)는 몸체(21) 내부에 형성된 이중브라켓(22)에 선반(31)을 올려놓고 선반(31) 상측에는 균봉(3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선반(31)을 몸체(21) 측면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21) 측면에 개폐구(25)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선반부(30)의 선반(31) 테두리에 가습되어 남은 물이 모이도록 선반(31)의 테두리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가습되어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몸체(21)에 배출호스(33)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선반부(30)의 저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공급부(40)를 몸체(21)의 일측에 형성한다.
상기의 물공급부(40)는 몸체(21) 일측의 선반에 물탱크(41)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41)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조절밸브(42)를 형성한 공급관(43)을 몸체(21)에 관통하여 몸체(21) 저면에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물공급부(40)에 의해 몸체(21) 저면에 공급된 물을 습기로 기화시키는 가습부(5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가습부(50)는 몸체(21) 저면의 물을 이송하도록 물펌프(51)를 형성하여 이송관(52)을 이송된 물을 진동자(53)에 의해 기화시켜 가습하도록 가습관(54)을 균봉(32)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가습관(54)은 이중브라켓(22)에 올려진 균봉(32) 상측에 분사하도록 상,하측의 이중 가습관(5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균봉(32)만 사용할 경우 가습관(54)의 단부에 형성된 밸브(55)로 가습관(54)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부(10)의 중앙덮개(14)와 외부덮개(15)를 제거한 후 몸체부(20)의 몸체(21)에 형성된 브라켓(22)에 선반(31)을 올려 놓고 상기 선반(31)에 종균을 접종한 균봉(32)을 올려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21)에 덮개(11)를 덮은 후 물공급부(40)의 물탱크(41)를 통하여 몸체(21)의 저면에 물을 공급하며 몸체(21) 또는 덮개(11)는 버섯의 성장을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투명체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급된 물은 가습부(50)의 물펌프(51)에 의해 일정한 양의 물을 이송관(52)에 이송하여 순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일정한 양의 물을 진동자(53)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기화되게 하여 기화된 수증기가 상, 하측으로 형성된 가습관(54)을 통하여 균봉(32)에 공급되어 버섯을 재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균이 성장하여 버섯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개폐구(25)를 개방하여 선반(31)을 인출하거나 덮개부(11)의 중앙덮개(14)를 개방한 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균봉(32)에 버섯이 성장을 위하여 공급되는 수증기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선반(31)의 테두리를 경사지게 하향 형성하여 배출호스(33)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10 : 덮개부 11 : 덮개
12 : 통기공 13 : 손잡이
14 : 중앙덮개 15 : 외부덮개
20 : 몸체부 21 : 몸체
22 : 이중브라켓 23 : 드레인플러그
24 : 순환공 25 : 개폐구
30 : 선반부 31 : 선반
32 : 균봉 33 : 배출호스
40 : 물공급부 41 : 물탱크
42 : 조절밸브 43 : 공급관
50 : 가습부 51 : 물펌프
52 : 이송관 53 : 진동자
54 : 가습관 55 : 밸브

Claims (4)

  1. 덮개(11)에 다수의 통기공(12)을 형성한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의 덮개(11)에 의해 개폐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에 순환공(24)을 형성한 몸체(21)를 형성하고 몸체(21) 내측벽 중앙에는 이중브라켓(22)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드레인플러그(23)를 형성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몸체(21)에 형성된 이중브라켓(22)에 선반(31)을 올려놓고 선반(31) 상측에는 균봉(3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한 선반부(30)와,
    상기 선반부(30)의 저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21)의 일측에 물탱크(41)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41)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조절밸브(42)를 형성한 공급관(43)을 몸체(21)에 관통하여 몸체(21) 저면에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물공급부(40)와,
    상기 물공급부(40)에 의해 몸체(21) 저면에 공급된 물을 물펌프(51)를 형성하여 물을 이송관(52)으로 이송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52)으로 이송된 물을 진동자(53)에 의해 기화시켜 가습하도록 이송관(52)의 내측에 진동자(53)를 형성하고 진동자(53)의 상측에 가습관(54)을 이송관(52)과 연통하도록 형성하여 균봉(32)의 상측에 분사하도록 형성한 가습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0)의 덮개(11)는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게 형성하여 중앙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된 중앙덮개(14)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덮개(14)의 외측으로는 외부덮개(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선반부(30)의 선반(31)을 몸체(21) 측면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21) 측면에 개폐구(2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30)의 선반(31) 테두리에 가습되어 남은 물이 모이도록 선반(31)의 테두리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가습되어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몸체(21)에 배출호스(3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KR1020130022522A 2013-02-28 2013-02-28 버섯 재배기 KR10147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22A KR101475063B1 (ko) 2013-02-28 2013-02-28 버섯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22A KR101475063B1 (ko) 2013-02-28 2013-02-28 버섯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61A KR20140108061A (ko) 2014-09-05
KR101475063B1 true KR101475063B1 (ko) 2014-12-22

Family

ID=5175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522A KR101475063B1 (ko) 2013-02-28 2013-02-28 버섯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268A (ko) 2015-01-29 2016-08-08 송병은 소형 무동력 버섯 재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86Y1 (ko) * 2000-06-15 2000-11-15 이효광 가정용 버섯 재배기
KR200331855Y1 (ko) * 2003-08-12 2003-10-30 안미숙 가정용 상황버섯 재배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86Y1 (ko) * 2000-06-15 2000-11-15 이효광 가정용 버섯 재배기
KR20010112880A (ko) * 2000-06-15 2001-12-22 이효광 가정용 버섯 재배기
KR200331855Y1 (ko) * 2003-08-12 2003-10-30 안미숙 가정용 상황버섯 재배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61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CN110915495A (zh) 一种防虫害黄金香桃培育装置及其方法
KR20120060116A (ko) 식물 관찰용 키트
KR101475063B1 (ko) 버섯 재배기
JP2019106937A (ja) 養液栽培用パネルと養液栽培システム及び養液栽培方法
CN204362671U (zh) 一种农业育苗培育箱
CN215188549U (zh) 一种观赏、食用双功能菌类盆景培养盒
KR101327518B1 (ko) 가정용 상황버섯 공중재배 포트
CN213073792U (zh) 一种农业种植用育苗箱
KR20160031709A (ko) 버섯 재배 용기
CN107926493A (zh) 一种可加热蘑菇培育装置
CN211831791U (zh) 一种种子发芽装置
KR101303785B1 (ko) 식물 관찰용 키트
CN206658638U (zh) 植物幼苗培育装置
CN206698911U (zh) 一种蔬菜育苗装置
KR200423514Y1 (ko) 가정용 느타리버섯 재배키트
KR101528680B1 (ko) 다목적 수경 재배 장치
CN220402539U (zh) 一种苗木幼苗培育装置
CN203692118U (zh) 一种20孔型观赏植物智能栽培盒
KR102310167B1 (ko) 버섯 자가 재배용기
KR101778099B1 (ko) 자동 버섯 재배기
WO2017008667A2 (zh) 园林用自动补充二氧化碳栽培器
CN211267889U (zh) 一种农业种植培育装置
CN211745722U (zh) 一种防虫害黄金香桃培育装置
KR101112728B1 (ko) 가정용 버섯 생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