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834B1 - Stick type tea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ick type tea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9834B1 KR101909834B1 KR1020170127228A KR20170127228A KR101909834B1 KR 101909834 B1 KR101909834 B1 KR 101909834B1 KR 1020170127228 A KR1020170127228 A KR 1020170127228A KR 20170127228 A KR20170127228 A KR 20170127228A KR 101909834 B1 KR101909834 B1 KR 101909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tube
- inner tube
- tube
- filter net
- ba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085—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characterised by an outer package, e.g. wrappers or boxes for enclosing tea-bags
-
- B65D2081/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막대형 티백 및 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비된 여과망 포켓의 외면에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좀 더 위생적인 막대형 티백 및 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티백(teabag)은 입자형상으로 된 소정량의 차 원료(찻잎 또는 분차(粉茶) 등)를 여과지 재질의 1회용 주머니에 봉입한 것이다. 이러한 티백은 적당량의 물(온수 또는 냉수)에 투입하여 그 차 원료를 충분히 우려 낸 다음 차를 음용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teabag is a predetermined amount of tea material (such as tea leaves or powder tea) in a granular shape and sealed in a disposable bag made of filter paper. These tea bags are put into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to sufficiently disturb the tea material and then drinking tea.
그리고 티백은 차 원료가 채워진 여과지로 이루어진 주머니 형상의 티백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And tea bags are most commonly known as bag-shaped tea bags made of filter paper filled with tea ingredients.
아울러 최근에는 길이가 긴 막대 형태의 막대형 티백이 알려져 있는데, 먼저 종래의 막대형 티백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5271호의 "막대형 티백"(이하, "종래의 막대형 티백"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cently, a long rod-shaped rod-shaped tea bag has been known. One example of a conventional rod-shaped tea bag is a "rod-shaped tea b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ntional rod-shaped tea bag"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5271). ).
종래의 막대형 티백은 구멍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 단부만 폐색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막대관 형상으로 형성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타 측면을 오므려 마감시킨 손잡이부와, 상기 외피 내측에 담겨져 물에 우려지는 차 또는 커피를 포함하는 음용제품으로 구성된다. The conventional membrane-type tea bag comprises a shel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closed only at one end thereof and formed into a tubular shape so as to form an inner space, a handle portion having a closed other side of the shell, Concern is made up of a drink or a drink containing coffee.
따라서 종래의 막대형 티백을 사용할 경우에는 컵에 담긴 물에 막대형 티백을 담그게 되면, 컵에 담긴 물이 외피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외피내의 차 잎(이하, "찻잎"이라 한다.)을 우려낼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rod-shaped tea bag is used, when the rod-shaped tea bag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cup, the water contained in the cup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cup to form tea leav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a leaves" ).
그런데, 종래의 막대형 티백은 외피의 구멍들을 통해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외피의 내부로 유입되어 찻잎에 흡착됨으로써, 차의 음용시 잔에 채워진 물위에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뜨게 되고, 사용자가 먼지까지 음용하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d-shaped tea bag, small particles such as dust ar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through the holes of the shell and adsorbed to the tea leaves, so that small particles such as dust float on the water filled in the tea when drinking tea, It was very unhygienic to drink dust.
또한 종래의 막대형 티백은 막대형 티백을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는 과정에는 찻잎에서 분리된 미세 입자가 외피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어 실내로 유입되어 날리게 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od-shaped tea bag, the minut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tea leaves are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of the outer wall and flowed into the room during the movement or storage of the rod-shaped tea ba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구비된 여과망 포켓의 외면에 외부의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유입되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막대형 티백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shaped tea bag which can prevent small particles such as dust from being admitted and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a filter net pocket provid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대형 티백을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찻잎에서 분리되는 미세 입자가 외부관의 외부로 이탈되어 실내로 유입되어 날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막대형 티백 및 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shaped tea bag for preventing the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tea leaves from being mov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ube in the process of moving or storing the bar-shaped tea ba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관에 구비된 돌출 막대부를 돌출시키는 과정만으로 티백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막대형 티백 및 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shaped tea ba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tea bar is directly used only by projecting the protruding bar portion provided in the inner tu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돌출 막대부가 구비되는 내부관과; 일측에는 일측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의 내부에 일측 접합부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내부에는 찻잎이 채워지는 여과망 포켓과; 내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관이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돌출 막대부가 타측의 일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일측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일측 단부에 포개지게 부착되어 상기 여과망 포켓의 일측 접합부를 외부관의 일측 단부에 연결시키는 일측 부착부와; 상기 외부관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에 돌출 막대부가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관이 포개지게 부착되는 타측 전,후방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r-shaped tea bag comprising: an inner tube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protruding bar on the other side; A filter net pocket in which one side joint part is formed at one side, one side joint part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inside tube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and tea leaves are filled in the inside; An outer tube having an inner tube movably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at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water hole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such tha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ube is protruded to the other side; A side attachment part superimposed on one end of the outer tube to connect one side joint part of the filter net pocket to one side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other front and rear attachment portions are attached so that the outer tube is superimposed so that the projecting rod portion can move to the other sid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상기 내부관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 막대부는 내부관보다 직경이 작은 관이 포개져 열융착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ner tube of the "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protruding rod portion is formed by attaching a tub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돌출 막대부가 구비되는 내부관을 준비하는 내부관 준비단계와; 일측에는 일측 접합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채워지는 여과망 포켓을 준비하여, 여과망 포켓을 상기 내부관의 내부에 일측 접합부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하는 여과망 포켓 삽입단계와; 상기 내부관의 외측을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감싸고 일측의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는 외부관을 준비하여, 외부관의 내부 일측에 상기 물 통과홀들을 막으면서 내부관을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 타측에 타측이 일부 돌출되게 돌출 막대부를 삽입하는 내부관 삽입단계와; 상기 외부관의 일측 단부의 내부에 여과망 포켓의 일측 접합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부관의 일측 단부를 포개어 부착시키고, 상기 외부관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을 상기 돌출 막대부가 이동이 가능하게 서로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타측 단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r-size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tube preparing step of preparing an inner tube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 portion; Inserting a filter net pocket in which one side joining portion is provided and a tea leaf is filled in the filter net pocket; inserting a filter net pocket into the inner tube so as to project one side of the filter into the one side; The outer tube is wrapped around the outer tube so as to be movable to the other side and a plurality of water holes are formed around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is moved to the other side while blocking the water holes at one side of the outer tube And inserting a protruding bar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so that the other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tube;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is overlapped with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is overlapped with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jecting rod can move And a step of attaching the other en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여과망 포켓의 외면에 외부의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유입되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에 담고 차를 우리는 과정에서 물위로 먼지가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차의 음용시 먼지의 음용을 방지할 수 있는 좀 더 위생적인 막대형 티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small particles such as external dust from being ab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net pocket provided inside, thereby preventing the dust from floating on the water in the cup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ore hygienic, large-size tea bag which can prevent drinking of dust when drinking tea.
또한, 본 발명은 막대형 티백을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찻잎에서 분리되는 미세 입자가 외부관의 외부로 이탈되어 실내로 유입되어 날리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tea leaves from moving outside the outer tube in the process of moving or storing the rod-shaped tea bag to prevent the air from being blown into the room, thereby polluting the room air.
또한, 본 발명은 내부관에 구비된 돌출 막대부를 돌출시키는 과정만으로 티백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과 간편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a bag can be directly used only by protruding a protruding bar portion provided in an inner tub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and simplicity in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내부관 준비단계(101)를 나타내고,
도 2b는 여과망 포켓 삽입단계(102)를 나타내며,
도 2c는 내부관 삽입단계(103)를 나타내고,
도 2d는 일,타측 단부 부착단계(104)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돌출 막대부를 외부관에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c는 잔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Fig. 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film-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shows a process for producing a film-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shows an inner
Fig. 2b shows the filtering network
2C shows an inner tube
Fig. 2D shows one and the other
Fig. 3 shows a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A.
FIG. 4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bar-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bar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tube,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A,
FIG. 4C shows a state in which it is put into the cup and u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FIG. 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type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bar-size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bar-size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은, 먼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돌출 막대부(11)가 구비되는 내부관(1)을 준비하는 내부관 준비단계(101)를 진행한다(도 2a 참조).As shown in the dra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n inner tube 1 (101) for preparing an
즉 상기 내부관 준비단계(101)에서 내부관(1)을 제조할 경우에는, 먼저 일측에 내부관(1)을 형성하고 내부관(1)의 타측에 내부관(1)보다 직경이 작은 관이 돌출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관을 준비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그런 다음 상기 직경이 작은 관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여 돌출 막대부(11)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내부관(1)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when the
그리고 상기 직경이 작은 관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 융착할 경우에는 공지된 상,하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열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heat is applied to the tube while compressing th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it is preferable to heat-seal the tube using a known upper and lower press dies.
다음, 상기 내부관 준비단계(101)를 진행한 후에는, 일측에 일측 접합부(2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채워지는 여과망 포켓(2)을 준비하여, 여과망 포켓(2)을 상기 내부관(1)의 내부에 일측 접합부(22)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하는 여과망 포켓 삽입단계(102)를 진행한다(도 2b 참조). Next, after proceeding to the inner tube preparation step (101), a
그리고 상기 여과망 포켓(2)은 찻잎이 채워지고 일측이나 양측이 개방된 망 포켓(21)과, 일측이 개방된 망 포켓(21)의 일측 개방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측 접합부(22), 또는 양측이 개방된 망 포켓(21)의 양측 개방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타측 접합부(22)(23)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망 포켓(21)의 양측에 일,타측 접합부(22)(23)가 형성된 여과망 포켓(2)을 도시하였다.The
아울러 상기 여과망 포켓(2)은 망이나 여과지로 구성되어 물을 통과시키면서 여과망 포켓(2)에 채워진 찻잎을 우릴 수 있게 구성되는데, 여과망 망 포켓(21)을 구성하는 망이나 여과지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다음, 상기 여과망 포켓 삽입단계(102)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내부관(1)의 외측을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감싸고 일측의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31)이 형성되는 외부관(3)을 준비하여, 외부관(3)의 내부 일측에 상기 물 통과홀(31)들을 막으면서 상기 내부관(1)을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외부관(3)의 내부 타측에 타측이 일부 돌출되게 돌출 막대부(11)를 삽입하는 내부관 삽입단계(103)를 진행한다(도 2c 참조).Next, after proceeding to the step (102) of inserting the filter net pocket, the outer tube (1) is wrapped around the inner tube (1) so as to move to the other side and a plurality of water through holes (31) The
그리고 상기 외부관(3)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외부관(3)은 다음 공정에서 용이하게 열융착 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부관 삽입단계(103)에서는 내부관(1)이 외부관(3)의 내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내부관(1)의 외주면이 외부관(3)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또한 상기 내부관 삽입단계(103)에서는 상기 돌출 막대부(11)의 타측 단부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돌출 막대부(11)의 타측 단부가 외부관(3)의 타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외부관(3)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inner
다음, 상기 내부관 삽입단계(103)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외부관(3)의 일측 단부의 내부에 여과망 포켓(2)의 일측 접합부(2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부관(3)의 일측 단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측 단부 부착과정과, 상기 외부관(3)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을 상기 돌출 막대부(11)가 이동이 가능하게 서로 포개어 부착시키는 타측 단부 부착과정으로 이루어진 일,타측 단부 부착단계(104)를 진행한다(도 2d 참조). Next, after proceeding to the inner tube inserting step (103),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3)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3) while the one side joint part (22) And a step of attaching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일측 단부 부착과정에서는 합성수지재의 외부관(3)의 일측 단부를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부관(3)의 일측 단부를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 융착할 경우에는 공지된 상,하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열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타측 단부 부착과정에서는 합성수지재의 외부관(3)의 타측 전, 후방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부관(3)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 융착할 경우에는 공지된 상,하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열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other en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heat i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은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은 내부관(1), 여과망 포켓(2), 외부관(3), 일측 부착부(4), 타측 전,후방 부착부(5a)(5b)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nd can also be manufactured by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the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상기 내부관(1)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돌출 막대부(11)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1)은 뜨거운 물에 접촉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출 막대부(11)는 손으로 잡고 막대형 티백을 저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관(1)보다 직경이 작은 관이 포개져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여과망 포켓(2)은 망이나 여과지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찻잎이 채워지는 것으로 일측에는 일측 접합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1)의 내부에 일측 접합부(22)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는 것이다. The filter
그리고 상기 여과망 포켓(2)은 찻잎이 채워지고 일측이나 양측이 개방된 망 포켓(21)과, 일측이 개방된 망 포켓(21)의 일측 개방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측 접합부(22), 또는 양측이 개방된 망 포켓(21)의 양측 개방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타측 접합부(22)(23)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망 포켓(21)의 양측에 일,타측 접합부(22)(23)가 형성된 여과망 포켓(2)을 도시하였다.The filter
아울러 상기 여과망 포켓(2)은 망이나 여과지로 구성되어 물을 통과시키면서 여과망 포켓(21)(2)에 채워진 찻잎을 우릴 수 있게 구성되는데, 여과망 망 포켓(21)을 구성하는 망이나 여과지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lter
상기 외부관(3)은 내부관(1)이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내부관(1)을 감싸고 상기 돌출 막대부(11)를 타측의 일부가 돌출되게 감싸게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관(1)이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돌출 막대부(11)가 타측의 일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는 것이다. The
그리고 상기 외부관(3)의 일측 둘레에는 내부관(1)이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내부관(1)에 의해 막혀 있고, 내부관(1)이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개방되는 다수의 물 통과홀(31)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또한 상기 외부관(3)은 뜨거운 물에 접촉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고, 양측의 단부가 열융착이 가능하게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tube (3)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be harmless to the human body even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hot water, and both ends can be thermally fused.
상기 일측 부착부(4)는 외부관(3)의 일측 단부에 포개지게 부착되어 상기 여광망 포켓(2)의 일측 접합부(22)를 외부관(3)의 일측 단부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측 부착부(4)는 상기 외부관(3)의 일측 단부의 내부에 여과망 포켓(2)의 일측 접합부(2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부관(3)의 일측 단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ne
아울러 상기 일측 단부의 부착은 합성수지재의 외부관(3)의 일측 단부를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ne end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thermally fused by applying heat while compressing one end of the
상기 타측 전,후방 부착부(5a)(5b)는 외부관(3)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에 돌출 막대부(11)가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관(3)이 포개지게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측 전,후방 부착부(5a)(5b)는 합성수지재의 외부관(3)의 타측 전,후방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bar-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을 사용하여 차를 음용할 경우에는, 먼저, 내부관(1)이 외부관(3)의 내부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관(3)의 일측 부착부(4)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내부관(1)의 돌출 막대부(11)의 타측 단부를 잡은 후 돌출 막대부(11)를 타측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3 and 4, in drinking tea using the rod-shaped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in a state in which the
그러면 여과망 포켓(2)의 일측 접합부(22)가 외부관(3)의 일측 부착부(4)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내부관(1)은 타측으로 이동되고 여과망 포켓(2)은 외부관(3)의 내부 일측에 그대로 위치된다. 즉 여과망 포켓(2)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내부관(1)만 타측으로 이동되고 여과망 포켓(2)은 외부관(3)의 내부 일측에 위치됨에 따라, 여과망 포켓(2)이 외부관(3)의 일측 둘레에 형성된 물 통과홀(31)의 내측에 위치된다. The
다음 돌출 막대부(11)가 타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외부관(3) 일측의 물 통과홀(31)들을 잔에 채워진 온수나 냉수에 투입시키면, 잔에 채워진 온수나 냉수가 물 통과홀(31)들을 통과하여 여과망 포켓(2) 내의 찻잎들에 접촉됨으로써, 찻잎이 우려짐에 따라 사용자가 차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next protruding
또한 상기와 같이 외부관(3)의 일측을 잔에 채워진 온수나 냉수에 투입시킨 후에는, 상기 외부관(3)의 타측에서 뽑혀진 돌출 막대부(11)가 잔의 상단에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잔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막대부(11)를 손으로 잡고 돌출 막대부(11)를 젓게 되면, 외부관(3)이 물을 젓게 됨에 따라 찻잎의 우려지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Also, after one sid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티백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인 포장 상태에서는, 상기 여과망 포켓(2)이 내부관(1)의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관(1)이 외부관(3)에 형성된 물 통과홀(31)들을 막고 있음에 따라, 물 통과홀(31)을 통해 외부의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여과망 포켓(2)의 외면에 흡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차를 우려 음용하는 과정에서, 물위로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물 위로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등의 작은 입자의 음용을 방지할 수 있는 좀 더 위생적인 막대형 티백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packaging state in which a tea bag is not used, the
그리고 본 발명은 티백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인 포장 상태에서는 내부관(1)이 외부관(3)에 형성된 물 통과홀(31)들을 막고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티백을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찻잎에서 분리되는 미세 입자가 외부관(3)의 외부로 이탈되어 실내로 유입되어 날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은 내부관(1)에 구비된 돌출 막대부(11)를 돌출시키는 과정만으로 티백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과 간편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for providing ease of use and simplicity by allowing the tea bag to be used immediately only by projecting the protruding bar portion (11) provided in the inner tube (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내부관
11 : 돌출 막대부
2 : 여과망 포켓
21 : 망 포켓
22 : 일측 접합부
23 : 타측 접합부
3 : 외부관
31 : 물 통과홀
4 : 일측 부착부
5a : 타측 전방 부착부, 5b : 타측 후방 부착부1: Internal tube
11: protruding bar portion
2: Filter net pocket
21: Mens pocket
22: one side joint
23: other side joint
3: outer tube
31: Water passage hole
4:
5a: another front attachment portion, 5b: the other rear attachment portion
Claims (7)
일측에는 일측 접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1)의 내부에 일측 접합부(22)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내부에는 찻잎이 채워지는 여과망 포켓(2)과;
내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관(1)이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돌출 막대부(11)가 타측의 일부가 타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며, 일측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31)이 형성되는 외부관(3)과;
상기 외부관(3)의 일측 단부에 포개지게 부착되어 상기 여과망 포켓(2)의 일측 접합부(22)를 외부관(3)의 일측 단부에 연결시키는 일측 부착부(4)와;
상기 외부관(3)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에 돌출 막대부(11)가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관(3)이 포개지게 부착되는 타측 전,후방 부착부(5a)(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An inner tube (1)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 portion (11);
(2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tube (1), and one side joint part (22)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inner tube (1) so as to protrude in one side and a tea leaf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1).
The inner tube 1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inner tube 1 so as to be movable to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of the inner tube 1 is inserted with a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projecting rod 11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31) are formed;
A side attachment part 4 which is superimposed on one end of the outer tube 3 and connects the one side joint part 22 of the filter net pocket 2 to one end of the outer tube 3;
Rear side attachment portions 5a and 5b to which the outer tube 3 is superimposed so that the projecting rod portions 11 can be moved to the other side in front of and behi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3;
≪ / RTI >
상기 내부관(1)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 막대부(11)는 내부관(1)보다 직경이 작은 관이 포개져 열융착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tube (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rein the protruding bar portion (11)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tub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tube (1) by thermal fusion.
상기 내부관(1)과 외부관(3)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부착부(4)와 타측 전,후방 부착부(5a)(5b)는 열융착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tube (1) and the outer tube (3)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rein the one side attachment portion (4) and the other side front and rear attachment portions (5a, 5b) are attached by heat fusion.
상기 여과망 포켓(2)은
찻잎이 채워지고 일측이나 양측이 개방된 망 포켓(21)과,
일측이 개방된 망 포켓(21)의 일측 개방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측 접합부(22), 또는 양측이 개방된 망 포켓(21)의 양측 개방부를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타측 접합부(22)(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lter net pocket (2)
A net pocket 21 filled with tea leaves and opened at one side or both sides,
A side joint portion 22 for overlapping and attaching one side opening portion of the mesh pocket 21 with one side opened or a side joint portion 22 and 23 for overlapping both side openings of the mesh pocket 21 opened on both sides,
≪ / RTI >
일측에는 일측 접합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채워지는 여과망 포켓을 준비하여, 여과망 포켓을 상기 내부관의 내부에 일측 접합부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하는 여과망 포켓 삽입단계(102)와;
상기 내부관의 외측을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감싸고 일측의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는 외부관을 준비하여, 외부관의 내부 일측에 상기 물 통과홀들을 막으면서 내부관을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 타측에 타측이 일부 돌출되게 돌출 막대부를 삽입하는 내부관 삽입단계(103)와;
상기 외부관의 일측 단부의 내부에 여과망 포켓의 일측 접합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부관의 일측 단부를 포개어 부착시키고, 상기 외부관의 타측 단부의 전,후방을 상기 돌출 막대부가 이동이 가능하게 서로 포개어 부착시키는 일,타측 단부 부착단계(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
An inner tube preparing step (101) of preparing an inner tube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 portion;
(102) for inserting a filter net pocket in which one side is provided with a joint part and a tea leaf is filled, and a filter net pocket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so that one side of the filter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inner tube;
The outer tube is wrapped around the outer tube so as to be movable to the other side and a plurality of water holes are formed around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is moved to the other side while blocking the water holes at one side of the outer tube (103) for inserting the protruding bar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rotruding bar port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is overlapped with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is overlapped with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jecting rod can move Attaching the other end (104);
≪ / RTI >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내부관 준비단계(101)는
일측에 내부관을 형성하고 내부관의 타측에 내부관 보다 직경이 작은 관이 돌출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관을 준비하는 과정과,
상기 직경이 작은 관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여 돌출 막대부를 형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ner tube preparation step (101)
Preparing a tub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which an inner tub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tub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tube is protru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tube;
A process of forming a protruding bar portion by applying heat while compressing th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 / RTI >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외부관을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관의 일측 단부 부착은 외부관의 일측 단부를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고,
상기 외부관의 타측 단부 부착은 외부관의 타측 전, 후방을 포개지게 압축하면서 열을 가해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티백의 제조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er tub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rein the attachment of one end of the outer tube is performed while heat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while being superimposed and thermally fused,
Wherein the attachment of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is performed while superimposing and com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and the rear side of the outer tube, and heat-sealing the s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228A KR101909834B1 (en) | 2017-09-29 | 2017-09-29 | Stick type tea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228A KR101909834B1 (en) | 2017-09-29 | 2017-09-29 | Stick type tea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9834B1 true KR101909834B1 (en) | 2018-10-18 |
Family
ID=6413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7228A KR101909834B1 (en) | 2017-09-29 | 2017-09-29 | Stick type tea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983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42043A1 (en) * | 2018-01-18 | 2019-07-25 | Artul Giris | Tea dispensing apparatus |
KR20220105300A (en) | 2021-01-20 | 2022-07-27 | 정재우 | Eco-friendly tea stick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5271B1 (en) | 2001-09-14 | 2004-06-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un visor for using vehicle |
KR200435271Y1 (en) * | 2006-09-04 | 2007-01-15 | 최정연 | Stick tea bag |
KR20090001855U (en) * | 2007-08-23 | 2009-02-26 | (주)아모레퍼시픽 | Instant green tea |
KR200446133Y1 (en) * | 2007-12-24 | 2009-09-28 | (주)아모레퍼시픽 | tea infuser |
KR20110059068A (en) * | 2009-11-27 | 2011-06-02 |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 Cartridge for packing in unit of te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rtridge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7228A patent/KR10190983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5271B1 (en) | 2001-09-14 | 2004-06-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un visor for using vehicle |
KR200435271Y1 (en) * | 2006-09-04 | 2007-01-15 | 최정연 | Stick tea bag |
KR20090001855U (en) * | 2007-08-23 | 2009-02-26 | (주)아모레퍼시픽 | Instant green tea |
KR200446133Y1 (en) * | 2007-12-24 | 2009-09-28 | (주)아모레퍼시픽 | tea infuser |
KR20110059068A (en) * | 2009-11-27 | 2011-06-02 |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 Cartridge for packing in unit of te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rtridg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42043A1 (en) * | 2018-01-18 | 2019-07-25 | Artul Giris | Tea dispensing apparatus |
KR20220105300A (en) | 2021-01-20 | 2022-07-27 | 정재우 | Eco-friendly tea sti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27658B2 (en) | Disposable compounding equipment | |
US6129208A (en) | Plant flat-collapsible-container | |
KR101909834B1 (en) | Stick type tea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10994087B2 (en) | Vapour producing device with a removable container and a removable container for use with such a device | |
US8012523B2 (en) |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 |
US2017004221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ical form mandrel constructed from cylindrical blank | |
KR20160003638A (en) | Single serve capsule and system | |
JP2009520655A (en) |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 |
JP6908589B2 (en) | How to manufacture filter bags and filter bags for leachate products | |
KR101313321B1 (en) | Measuring apparatus of diet and system using it | |
US20150053687A1 (en) | Collapsible Container | |
KR10114664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artridge for packing in unit of tea | |
JP2862443B2 (en) | Laminat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92748Y1 (en) | Stick type teabag and tea goods comprising the same | |
KR20100053883A (en) | Stick type tea bag | |
KR102168484B1 (en) | Disposable multipurpose cup | |
JPS6218163B2 (en) | ||
ITAL20110015U1 (en) | SINGLE DOSE RECHARGE FOR FOOD PRODUCTS | |
JPH0398870A (en) | Tetrahedral extraction bag | |
KR101745955B1 (en) | Disposable stick pouch for water soluble granules having sanitary beater | |
JP2006122626A (en) | Simple coffee dripper | |
KR100855300B1 (en) | Packge pouch for liqid | |
KR101599194B1 (en) | Tea bags | |
GB2261206A (en) | Bag incorporating check valve | |
JPS60158061A (en) | Packaging for lixivi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