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89B1 -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89B1
KR101908989B1 KR1020170124735A KR20170124735A KR101908989B1 KR 101908989 B1 KR101908989 B1 KR 101908989B1 KR 1020170124735 A KR1020170124735 A KR 1020170124735A KR 20170124735 A KR20170124735 A KR 20170124735A KR 101908989 B1 KR101908989 B1 KR 10190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ip
support
fixing
buoya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펑허
유병철
김미령
Original Assignee
유병철
김미령
진펑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철, 김미령, 진펑허 filed Critical 유병철
Priority to KR102017012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89B1/en
Priority to PCT/KR2018/011012 priority patent/WO201906636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43/20F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16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 B63C7/18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using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708/00
    • B63B27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facili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allowing crews and passengers to be safely evacuated to a buoyant material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a fram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a ship when the ship collides with a rock, a culvert, or an offshore structure while sailing or anchored or whe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grounding, fire occurrence, and gas explosion. Moreover, th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facility structure can delay a sinking speed of the ship through the buoyant material and safely protect the side surfaces of the ship from collision with the other ship. Furthermore, the ship does not need to be constructed as a double hull structure, having a problem in which technical defects are more likely to occur,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construction costs increase, to prevent the sinking of the ship.

Description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본 발명은 선박이 운항 중 또는 정박 중에 암초, 암거 또는 해상 구조물 등에 충돌하거나 좌초 및 화재발생, 가스폭발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승무원, 탑승객 등이 선박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부력체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를 통해 선박의 침몰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박의 측면을 다른 선박과의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선박의 침몰방지를 위해 선박을 기술적결함 발생우려가 높으면서 작업이 어렵고 건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이중 선주 구조로 건조할 필요가 없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having a cabin, a passenger, and the like provided inside the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hip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uch as a collision with a reef, a culvert or a marine structure, a stranding, a fire, It is possible to safely evacuate to the buoyant body, to delay the sinking speed of the ship through the buoyant body, to safely protect the side of the vessel from collision with other vessels, and furthermore, to prevent the vessel from sink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which does not need to be dried with a dual ship structure in which there is a concern that technical defects occur and operation is difficult and drying cost increases.

선박이 운항 중 또는 정박 중에 암초, 암거 또는 해상 구조물 등에 충돌하거나 좌초하면, 선체 파공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ship is struck or stranded on reefs, culverts or marine structures during operation or berth, hull penetration may occur.

이렇게 발생한 선체 파공에 의해 선박이 침몰하게 되고, 선박 침몰시 대부분의 경우에는 선박을 버린 채 구명보트 등을 이용하여 탈출하게 된다.When the ship is sunk by the hull piercing, the ship is sailed. In most cases, the ship is escaped by using a lifeboat, etc.

침몰한 고가의 선박은 그대로 수장되거나 많은 비용을 들여 인양되며, 인양 후에는 선박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해수에 노출되어 부식된 고가의 기계 및 전자장비 등의 시설물들을 새로 장치해야만 한다.High-cost vessels that have sunk should either be hauled or costly, and after hauling, equipment such as expensive mechan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that has been exposed to seawater and rusted to re-use the vessel must be installed.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선저판이 이중으로 구성된 이중 선저 구조의 선박을 건조하여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화물탱크의 선측 일부분을 이중선체로 형성하고 나머지 화물탱크 구조는 단일선체로 형성한 단일 및 이중선체 혼합형 액체운반선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8439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prevent sinking of a ship, a ship having a dual bottom structure with double bottom plates is conventionally used. In recent years, a part of a side of a cargo tank is formed of a double hull and the remaining cargo tank structure is a single hull A dual ship hybrid type liquid carrier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8439.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8439호 등으로 제안된 이중 선저 구조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두 선저판 사이에 들어가서 용접 등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며, 작업의 어려움으로 기술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무게가 가중되면서 선박 건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dry a ship having a double bottom structure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8439,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a welding operation between two ship bottom plates, and a technical defect And the weight of the ship is increased, so that the cost of ship building is increased.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8439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0843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선박이 운항 중 또는 정박 중에 암초, 암거 또는 해상 구조물 등에 충돌하거나 좌초 및 화재발생, 가스폭발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승무원, 탑승객 등이 선박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부력체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를 통해 선박의 침몰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박의 측면을 다른 선박과의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선박의 침몰방지를 위해 선박을 기술적결함 발생우려가 높으면서 작업이 어렵고 건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이중 선주 구조로 건조할 필요가 없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a ship, a ship, It is possible to safely evacuate the vessel with the buoyant bod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to delay the sinking speed of the vessel through the buoyant body and to safely protect the side of the vessel from collision with other vessels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which does not need to be constructed with a dual ship structure in which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hip is likely to suffer technical defect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지지대의 후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연결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연결대에 각각 안착고정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at comprising: a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hip;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front upper side and the lower front side ar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A connecting rod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in a state of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rod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And a buoyant body tha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safety structure for an emergency evacuation facility for a ship installation.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보조지지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대의 내측면에 상기 부력체를 안착지지하는 지지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uxiliary support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ase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base, and support vanes for supporting the buoyant body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auxiliary support base.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대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대 내측 하부 사이에 상기 보조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to reinforce the auxiliary support.

또한, 상기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대의 후측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지지대의 후측을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시키는 접철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extend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is folded backward It is preferable that folding means for rotating and moving each of them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접철수단은 실린더 또는 와이어윈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ing means comprises a cylinder or a wire winch.

그리고, 상기 부력체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position fixing member for detachably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is provided.

또한, 상기 부력체의 상부를 상기 연결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to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나아가, 선박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충격감지부의 충격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접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n imp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shi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mpact detection unit senses an impact.

더불어,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부와; 상기 기울기감지부의 기울기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접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tilt sensing unit for sensing a tilt of the shi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tilt sensing unit senses a tilt.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기 지지대, 상기 연결대 및 상기 부력체 중 어느 하나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rame, the support, the linkage, and the buoyancy member.

아울러,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대에 상기 지지대의 내측을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inside of the support base.

그리고, 상기 부력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망체가 구비되거나 상기 부력체의 상부와 하부에 망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or the mesh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oyant body.

또한,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난간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ail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nkage.

본 발명은 선박이 운항 중 또는 정박 중에 암초, 암거 또는 해상 구조물 등에 충돌하거나 좌초 및 화재발생, 가스폭발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승무원, 탑승객 등이 선박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부력체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를 통해 선박의 침몰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박의 측면을 다른 선박과의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선박의 침몰방지를 위해 선박을 기술적결함 발생우려가 높으면서 작업이 어렵고 건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이중 선주 구조로 건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having a cabin, a passenger, and the like provided inside the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hip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uch as a collision with a reef, a culvert or a marine structure, a stranding, a fire, It is possible to safely evacuate to the buoyant body, to delay the sinking speed of the ship through the buoyant body, to safely protect the side of the vessel from collision with other vessels, and furthermore, to prevent the vessel from sinking, There is no need to dry it with a dual ship structure where there is a concern that technical defects occur and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drying cost incre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이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부력체가 연결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부력체를 안착지지하는 지지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보조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접철수단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접철수단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위치고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고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4는 고정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7은 지지대에 발광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폐쇄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부력체의 상부에 망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부력체의 상부와 하부에 망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양한 색상의 부력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연결대의 상부에 난간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that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a ship install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ip,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a ship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unfolded,
Figure 4 is a partial Lis try in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t body is seated on the connecting ro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blade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uoyant body,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auxiliary support,
Figs. 8 and 9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means,
Figs. 10 and 11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folding means,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sition fixing member,
13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ixing member,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a support,
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losing member,
1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sh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sh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2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oyant body of various colors,
2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rail is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connecting rod,
Fig. 23 is a front view of Fig. 22.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이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that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a ship install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ip.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2)의 양측면 즉, 선박(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1 for a ship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hip 2, that is,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hip 2,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리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a ship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is unfolded, and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1)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지지대(20), 연결대(30) 및 부력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ship-breaking emergency escape safety structure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a support 20, a connecting rod 30 and a buoyant 40 .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선박(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frame 1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fixing a bolt to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hip 2.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는 삼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0)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된다.The support base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frame and the upper and lower front sides of the support base 20 ar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10, (20)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다음으로, 상기 연결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될 수 있다.Next, the connecting rod 30 may extend longitudinally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to the rear side.

상기 연결대(30)에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이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대(3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지지대(20)를 연결하게 된다.The connecting rods 30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rods 20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20 with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rods 20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s 30.

다음으로, 상기 부력체(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사각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이동프레임(401)과; 상기 회전이동프레임(401)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 부력부재(4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buoyant body 40 includes a rotatable moving frame 401, which can be form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rectangular frame; And a buoyancy member 402 integrally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otary movement frame 401. [

상기 회전이동프레임(401)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회전이동프레임(401)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이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중간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이동프레임(401)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able frame 40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able frame 401 are axially coupled to the inner middle portion of the frame 10 so that the rotatable frame 401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0, A plurality of the moving frames 401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지지대(20)가 펼쳐질 수 있다.3,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ase 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base 20, so that the support base 20 can be unfolded.

도 5는 부력체가 연결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t body is seated on the connecting rod.

선박(2)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대게 선박(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선박(2)의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짐으로, 상기 부력체(40)의 상부는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대(30)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 안착고정된다.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hip 2 are generally inclined upwar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hip 2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ship 2,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to be seated and fixed on the connecting rod 30 as shown in FIG.

상기 부력체(4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목재, 강철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바닥이 평평하고 상자형인 부유 구조물이면서 전체적으로 강성이 풍부하고 수밀성도 충분한 폰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oyant body 40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and in particular, the floor made of wood, steel or reinforced concrete can be made of a panty which is a flat and box-like floating structure and which is entirely rigid and has sufficient watertightness.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내측 중간부에는 상기 지지대(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보조지지대(210)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2 to 5, an auxiliary support 210, which extends horizontally from a front side to a rear side of the support 20 in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n inner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20 .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지지대(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0)의 보조지지대(210)의 후측이 상기 연결대(30)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opposite to the front side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20 and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of the support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30, Respectively.

도 6은 부력체를 안착지지하는 지지날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blade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uoyant body;

상기 부력체(40)가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되지 않도록 상기 부력체(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지지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부력체(40)의 전측하부와 후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부력체(40)를 안착지지하는 지지날개(220)가 형성될 수 있다.6,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buoyant body 40 so that the buoyant body 40 is not lower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A support vane 2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buoyant body 40 and the lower side of the buoyant body 40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support and support the buoyant body 40.

상기 부력체(40)로 대피한 승무원, 탑승객 등의 발부위가 어느 하나의 부력체(40)와 다른 하나의 부력체(4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부력체(40)와 다른 하나의 부력체(4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상부부위는 어느 하나의 부력체(40)와 다른 하나의 부력체(40)사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틈새를 폐쇄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prevent the feet of the crew or passengers who are evacuated to the buoyant body 40 from falling into a gap formed between any one buoyant body 40 and the other buoyant body 40,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located between the body 40 and the other bushing body 40 is protruded between one bushing body 40 and the other bushing body 40, .

도 7은 보조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auxiliary support.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전측 하부면과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대(20)의 전측 내측면 사이에 상기 보조지지대(21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7, the auxiliary support 21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and the front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20 position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A reinforcing member 50 for reinforcing can be provided.

상기 보강부재(50)는 상기 보조지지대(210)의 전측 하부면과 상기 지지대(20)의 전측 내측면 사이에 일체형성되는 보강관체(510)와; 상기 보강관체(510)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일체형성되는 보강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50 includes a reinforcing tube 510 integrally formed between a lower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and a front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nd a reinforcing plate 520 integrally formed radially in the reinforcing tube 510. [

도 8 및 도 9는 접철수단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8 and 9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folding means.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을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 및 상기 지지대(20)가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을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시키는 접철수단(60)이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is rotated and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that the support frame 20 is extend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a folding means 60 for rotating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as to be folded backward of the frame 10.

상기 접철수단(60)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실린더 또는 와이어윈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lding means 60 may be of various types, for example, a cylinder or a wire winch.

상기 접철수단(60)이 실린더로 이루어질 경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철수단(60)을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후측은 상기 프레임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선박(2)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8, the rear side of the cylinder, which can form the folding means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ip 2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그리고, 상기 접철수단(60)을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전측은 상기 연결대(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cylinder capable of forming the folding means (60)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linkage (30).

상기 접철수단(60)을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가 줄어들 경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20)가 접혀질 수 있다.When the length of the cylinder capable of forming the folding means 60 is reduced, as shown in FIG. 8,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rotates rearward of the frame 10 while the support frame 20 is folded Can be.

상기 접철수단(60)을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20)가 펼쳐질 수 있다.When the length of the cylinder capable of forming the folding means 60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9,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support frame 20 is unfolded .

도 10 및 도 11은 접철수단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0 and 11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olding means.

상기 접철수단(60)을 이룰 수 있는 와이어윈치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주변 및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선박(2)의 일측면 전측과 일측면 후측 및 상기 선박(2)의 타측면 전측과 타측면 후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되는 전측와이어윈치(610) 및 후측와이어윈치(620)로 구성될 수 있다.A wire winch capable of forming the folding means 6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ship 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2, the front side wire winch 610 and the rear side wire winch 620 may be formed in various manners such as fixing bolts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상기 전측와이어윈치(610)의 와이어(600)는 상기 연결대(30)의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wire 600 of the front side wire winch 61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link 30.

상기 후측와이어윈치(620)의 와이어(600)는 상기 연결대(30)의 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wire 600 of the rear side wire winch 6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link 30.

상기 전측와이어윈치(610)의 와이어(600)가 상기 전측와이어윈치(610)로부터 권출되고, 상기 후측와이어윈치(620)의 와이어(600)가 상기 후측와이어윈치(620)에 권취됨에 따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20)가 접혀질 수 있다.The wire 600 of the front wire winch 610 is pulled out of the front wire winch 610 and the wire 600 of the rear wire winch 620 is wound on the rear wire winch 620, The support 20 can be folded while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20 is rot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as shown in FIG.

상기 전측와이어윈치(610)의 와이어(600)가 상기 전측와이어윈치(610)에 권취되고, 상기 후측와이어윈치(620)의 와이어(600)가 상기 후측와이어윈치(620)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20)가 펼쳐질 수 있다.The wire 600 of the front wire winch 610 is wound on the front wire winch 610 and the wire 600 of the rear wire winch 620 is wound on the rear wire winch 620, The support base 20 can be unfolded while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ase 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as shown in FIG.

이와 달리,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선박(2)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선박(2)의 타측면 전측에만 상기 접철수단(60)을 이룰 수 있는 와이어윈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윈치의 와이어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대(20)의 보조지지대(210)의 중간부 외면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wire winch, which can form the folding means 60 only on the front side of one side of the ship 2 and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hip 2, which are located around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wire of the wire winch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210 of the support 2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선박(2)의 일측면 후측과 타측면 후측에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을 잠금고정하는 잠금부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20,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hip 2, And a locking portion for locking and securing can be provided.

상기 잠금부는 후술할 충격감지부가 선박(2)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 및 후술할 기울임감지부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경우,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을 잠금고정하는 잠금부의 잠금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지지대(20)가 펼쳐질 수 있게 된다.The locking part detects the impact applied to the ship 2 by a shock sens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and detects the tilting of the ship 2 by a tilt sens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king part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part The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ase 20 is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support base 20 can be unfolded.

상기 충격감지부가 선박(2)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기울임감지부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잠금부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대(20)의 후측을 지속적으로 잠금고정하게 되어 상기 지지대(20)가 접혀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tilt sensor does not sense the impact applied to the ship 2 and the tilt sensor does not sense tilting of the ship 2, the lock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20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The rear side is continuously locked and fixed so that the support 20 can be kept in a folded state.

도 12는 위치고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sition fixing member.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4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a position fixing member 70 for detachably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40 to the upper inside of the frame 10 may be provided.

상기 위치고정부재(70)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외면에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복수구비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member 70 may be of various types, for example, fix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A plurality of solenoids may be provided.

상기 위치고정부재(70)를 이룰 수 있는 솔레노이드의 작동봉(710)이 하강되어 상기 부력체(40)의 상부 외면과 각각 접함에 따라 상기 부력체(40)의 상부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The actuating rod 710 of the solenoid capable of forming the position fixing member 70 is lower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40 contacts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40, And can be fixed in positio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upper portion.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위치고정부재(70)는 다른예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력체(40)의 상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윈치 또는 상기 부력체(40)의 상부를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sition fixing member 70 may be a wire winch provided on a top of the frame 10 and having a wi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40, And a cylinder for vertically rot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40.

도 13은 고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13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ixing member.

다음으로, 상기 부력체(40)가 파도 등에 의해 덤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40)의 상부를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 안착고정시키는 고정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13, in order to prevent the buoyant body 40 from being dumped by waves or the like, a fixing member 80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4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May be provided.

상기 고정부재(80)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크게, 고정몸체(810), 고정핀(820) 및 탄성부재(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8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80 may include a fixing body 810, a fixing pin 820, and an elastic member 830.

상기 고정몸체(810)는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 상기 연결대(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The fixed body 81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bolt fix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상기 고정핀(820)은 상기 고정몸체(810)의 내부에 상기 고정몸체(8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fixing pin 820 may be received in the fixing body 810 so as to be movable from one side of the fixing body 810 to the other side.

상기 고정핀(820)의 일측은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부력체(40)의 회전이동프레임(401)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홈(41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xing pin 82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groove 410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rotary moving frame 401 of the buoyant body 40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상기 고정핀(820)의 일측 상부면에는 상기 고정핀(8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핀(82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821)이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82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xing pin 820 so as to be upwardly inclined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820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820 .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830)는 상기 고정몸체(81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820)의 타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830, which may be a spring or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body 8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820.

자중에 의해 상기 부력체(40)의 상부가 하강하여 상기 고정핀(820)의 경사면(821)에 안착되면 상기 고정핀(820)은 상기 고정몸체(810)의 내부로 점차 인입되고, 상기 고정핀(820)과 상기 부력체(40)의 홈(410)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83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8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부력체(40)의 홈(41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40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and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821 of the fixing pin 820, the fixing pin 820 gradually gets into the fixing body 810, When the pin 820 and the groove 410 of the buoyant body 40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elastic body 830 is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fixed body 810 by the expansion force,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410 of the buoyant body 40.

도 14는 고정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80)는 다른예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부력체(40)의 회전이동프레임(40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일체형성되는 고정몸체(810)와; 상기 고정몸체(810)와 상기 연결대(3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몸체(810)와 상기 연결대(30)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fixing member 80 may include a fixed body 810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movement frame 401 of the buoyant body 40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bolt 840 detachably threadedly coupled to the fixing body 810 and the connecting rod 30 while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fixing body 8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30 .

도 15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80)는 또 다른예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 2개씩 한조를 이룬 상태로 상기 연결대(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고정판(800)과; 상기 부력체(40)의 회전이동프레임(40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일체형성되어 상기 고정판(800) 사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몸체(810)와; 상기 고정판(800)과 상기 고정몸체(810)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800)과 상기 고정몸체(810)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fixing member 80 may be vertical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in a state where two pai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A fixing plate 800 to be formed; A fixing body 810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movement frame 401 of the buoyant body 40 and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ing plates 800; And a fixing bolt 840 detachably threaded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800 and the fixing body 810 while horizontally passing through the fixing plate 800 and the fixing body 810, .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2)에 구비되어 선박(2)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충격감지부(100)와; 상기 충격감지부(100)의 충격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접철수단(60)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4, an impact sensing unit 100, which is provided on the ship 2 and can be configured as an impact sensor that detects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ship 2; And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60 according to the impact of the impact sensing unit 100.

상기 충격감지부(100)가 선박(2)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지지대(20)가 펼쳐지도록 전원공급부(2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접철수단(6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mpact sensing unit 100 senses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ship 2,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1 to unfold the support 20, Can be controlled.

상기 충격감지부(100)가 외부충격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지지대(2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접철수단(6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folding unit 60 to maintain the support 20 in a folded state when the impact detector 100 fails to sense an external impact.

다음으로, 선박(2)에 구비되어 선박(2)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있는 기울기감지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 tilt sensing unit 300 may be further provided, which is composed of a gyro sensor provided on the ship 2 to sense the inclination of the ship 2.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기울기감지부(300)의 기울기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접철수단(6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folding unit 60 according to whether the tilt sensing unit 300 senses a tilt.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지지대(20)가 펼쳐지도록 전원공급부(2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접철수단(6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ilt sensing unit 300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ship 2, the controller 2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1 to unfold the support table 20, Can be controlled.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지지대(2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접철수단(6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folding unit 60 so that the support unit 20 is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when the tilt sensing unit 300 does not sense tilting of the ship 2. [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격감지부(100)의 충격감지여부 및 상기 기울기감지부(300)의 기울기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고정부재(70)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position fixing member 70 according to whether the impact sensing unit 100 senses an impact or whether the inclination sensing unit 300 senses a tilt.

상기 충격감지부(100)가 선박(2)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감지 및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부재(70)를 이룰 수 있는 솔레노이드로 전원공급부(201)의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봉(710)이 상승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부력체(40)의 상부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대(30)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impact sensing unit 100 senses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ship 2 and the tilt sensing unit 300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ship 2,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01 can be supplied with the solenoid capable of forming the member 70 so that the operating rod 710 of the solenoid can be rais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40 is lifted up by the self- 30).

상기 충격감지부(100)가 외부충격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과 더불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710)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impact sensing unit 100 does not sense an external shock and the tilt sensing unit 300 does not sense the inclination of the ship 2,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solenoid The operating rod 710 of the solenoid can be maintained in a lowered state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도 17은 지지대에 발광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e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a support.

다음으로, 구조대가 상기 부력체(4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충격감지부(100)의 충격감지여부 및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기울기감지여부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9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the rescue team to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f the buoyant body 40,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hock sensing unit 100 senses an impact and whether the tilt sensing unit 300 tilt is sensed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90 such as an LED that emits light.

상기 발광부(90)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상기 연결대(30)의 상부, 상기 부력체(40)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7, the light emitting unit 9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 emitting unit 9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light to any one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buoyant body 40 to emit light.

상기 충격감지부(100)가 선박(2)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감지 및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90)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When the impact sensing unit 100 senses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ship 2 and the tilt sensing unit 300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ship 2, (90) can emit light.

상기 충격감지부(100)가 외부충격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기울기감지부(300)가 선박(2)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발광부(90)가 빛을 발광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9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tilt sensing unit 300 does not sense an external shock and the tilt sensing unit 300 does not sense the tilt of the ship 2,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90 to emit light, The light emitting unit 90 may be de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도 18은 폐쇄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losing member.

다음으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대(2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20)의 내측을 폐쇄하는 폐쇄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18, a closing member 400 for closing the inside of the support base 20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base 20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10 .

상기 폐쇄부재(400)를 통해 상기 부력체(40)로 대피한 승무원, 탑승객 등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대(20)의 내측을 통과하여 바다에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Passengers or the like evacuated to the buoyant body 40 through the closure member 400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20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10 and fall into the sea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more easily.

상기 폐쇄부재(4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프레임(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대(20)의 내측에 구비되는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부력체(40)로 대피한 승무원, 탑승객 등을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 등의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closing member 400 may be of various types but may be formed of a plate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rame 10, 40 or the like, so that the passengers and the passengers evacuated can easily be visually confirmed.

도 19는 부력체의 상부에 망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부력체의 상부와 하부에 망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mesh body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and FIG. 20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mesh body is provid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oyancy body.

다음으로,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가 폰툰으로 이루어질 경우, 폰툰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의 상부가 울퉁불퉁하여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로 대피한 승무원, 탑승객 등을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가 불안정하게 지지하게 됨으로,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의 상부를 수평으로 평평하게 하여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가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로 대피한 승무원, 탑승객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40)의 상부에는 금속재질 등의 망체(500)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When the buoyant member 402 of the buoyant body 40 is formed of a ponto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member 402 of the buoyant body 40, which may be formed of a pontoon, The buoyant member 402 of the buoyant body 40 unstably supports the passengers and the passengers evacuated by the buoyancy member 402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member 402 of the buoyant body 40 is horizontally flattened So that the buoyant member 402 of the buoyant body 40 is stably supported by the buoyant members 402 of the buoyant body 40 so as to more stably support the crew, 4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a net 500 such as a metal material.

그리고, 상기 부력체(40)가 훼손된 경우, 훼손된 상기 부력체(40)로부터 승무원, 탑승객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40)의 하부에도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재질 등의 망체(500)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When the buoyant body 40 is damaged, in order to safely protect the crew, passengers, and the like from the buoyant body 40 that has been damaged, as shown in FIG. 20, (500) may be integrally provided.

도 21은 다양한 색상의 부력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oyant body of various colors.

다음으로, 구조대가 상기 부력체(4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는 무지개색상을 띄거나 형광색상, 야광색상 등 다양한 색상을 띌 수 있다.21, the buoyancy member 402 of the buoyant member 40 may have a rainbow hue or may have a color tone, as shown in FIG. 21, so that the rescue team can visually confirm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member 40 Fluorescent colors, luminous colors, and so on.

도 22는 연결대의 상부에 난간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iling is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connecting rod.

다음으로, 상기 부력체(40)의 부력부재(402)로 대피한 승무원, 탑승객 등이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대(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난간대(700)가 구비될 수 있다.22, in order to prevent the passengers, the passengers, and the like who are evacuated by the buoyancy member 402 of the buoyant body 40 from being swept away by the waves and falling into the sea, And a handrail 700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provided.

상기 난간대(70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연결대(3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alancer 700 can be connected and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integrally connected or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upper rea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respectively.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이다.Fig. 23 is a front view of Fig. 22. Fig.

상기 난간대(700)와 상기 지지대(20) 사이의 틈새(S)를 통해 승무원, 탑승객 등이 바다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난간대(7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지지대(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대(80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23, in order to prevent the crew, the passengers, and the like from falling into the sea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railbag 700 and the support 20,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ailbag 700, And an extension unit 800 extending horizontally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선박(2)이 운항 중 또는 정박 중에 암초, 암거 또는 해상 구조물 등에 충돌하거나 좌초 및 화재발생, 가스폭발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승무원, 탑승객 등이 선박(2)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된 부력체(40)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40)를 통해 선박(2)의 침몰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박의 측면을 다른 선박과의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선박(2)의 침몰방지를 위해 선박(2)을 기술적결함 발생우려가 높으면서 작업이 어렵고 건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이중 선주 구조로 건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rew, passengers, and the like to operate the ship 2 when the ship 2 collides with a reef, a culvert or a marine structure during an operation or anchorage, Can be safely evacuated to the buoyant body (40) provided inside the frame (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uoyant body (40), and the sinking speed of the ship (2) can be delayed through the buoyant body The ship 2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collision with other ships and the ship 2 can be protected from collision with other ships by preventing the sink 2 from sinking, There is no need to dry the structure.

10; 프레임, 20; 지지대,
30; 연결대, 40; 부력체.
10; Frame, 20; support fixture,
30; A connecting rod, 40; Buoyancy.

Claims (18)

선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지지대의 후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연결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연결대에 각각 안착고정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상부를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안착고정시켜 상기 부력체의 덤핑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A fram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ip;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front upper side and the lower front side ar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A connecting rod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in a state of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rod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A buoyant body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is fixedly seated on the connecting unit;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lock to prevent dumping of the buoyant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일측 상부면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몸체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의 타측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comprises: a fixing bod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The fixed body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so as to be movable from one side of the fixed body to the other side, and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ed body A fixing pin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부력체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연결대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연결대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xed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ant body;
And a fixing bolt detachably threadedly coupled to the fixing body and the connecting rod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ody and the connecting rod are sequentially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부력체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몸체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몸체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xing plate vertically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at regular intervals;
A fixed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uoyant body and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ed plates;
And a fixing bolt detachably threaded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fixing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fixing plate and the fixing body sequentially horizontally pass through the fixing plate and the fixing body,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보조지지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대의 내측면에 상기 부력체를 안착지지하는 지지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uxiliary support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ase ar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base,
And a support van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to support the buoyant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대 내측 하부 사이에 상기 보조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auxiliary support between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조지지대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대의 내측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관체와;
상기 보강관체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comprises: a reinforcing tube formed between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a reinforcing plate formed radially inside the reinforcing tube. The safety evacuation structure for a ship install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대의 후측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지지대의 후측을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시키는 접철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extended in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is rotated in the rear side direc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folded in the rear side direction of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folding means for moving the ship is provid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은 실린더 또는 와이어윈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means comprises a cylinder or a wire win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for detachably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부력체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하강하여 상기 부력체의 상부 외면과 접하는 작동봉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olenoi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n operating rod that is lowered to be positioned and hel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is accommodated and contacts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부력체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부력체의 상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윈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sition fixing member comprises a wire winch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 wir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so that the buoyant body is positioned and fix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accommodated in the fram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제 8항에 있어서,
선박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충격감지부의 충격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접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An imp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shi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n impact is sensed by the impact sensing unit.
제 8항에 있어서,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부와;
상기 기울기감지부의 기울기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접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A tilt sensing unit for sensing a tilt of the shi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tilt sensing unit senses a ti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지지대, 상기 연결대 및 상기 부력체 중 어느 하나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frame, the support, the connecting rod, and the buoyant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지지대에 상기 지지대의 내측을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osure member for closing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the support rod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망체가 구비되거나 상기 부력체의 상부와 하부에 망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net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buoyant body or a net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oyant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난간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치용 비상대피안전시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rail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block.
KR1020170124735A 2017-09-27 2017-09-27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KR101908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735A KR101908989B1 (en) 2017-09-27 2017-09-27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PCT/KR2018/011012 WO2019066361A1 (en) 2017-09-27 2018-09-19 Emergency evacuation safety facility structure to be installed on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735A KR101908989B1 (en) 2017-09-27 2017-09-27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989B1 true KR101908989B1 (en) 2018-10-17

Family

ID=6409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735A KR101908989B1 (en) 2017-09-27 2017-09-27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8989B1 (en)
WO (1) WO201906636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544A (en) 2022-05-17 2023-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Vessel forming the emergency evacuation rou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295B1 (en) * 2015-03-09 2015-08-21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067A (en) * 1992-01-08 1993-07-27 Misawa Homes Co Ltd Opening part panel for building with balcony and unit room with balcony
KR20130046674A (en) * 2011-10-28 2013-05-08 신우산업 주식회사 Trimaran boat with the extension foldable buoyance
KR101235248B1 (en) *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Apparatus for preventing sinking of the vessel as active response to the moment of impact
KR20170103429A (en) * 2016-03-04 2017-09-13 황명회 Anti-sinking apparatus for ship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295B1 (en) * 2015-03-09 2015-08-21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544A (en) 2022-05-17 2023-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Vessel forming the emergency evacuation rou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361A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1615A (en) Self-propelled semi-submersible service vessel
JP7134953B2 (en) self-propelled jack-up vessel
US4471708A (en) Self-propelled semi-submersible service vessel
US6698371B1 (en) Boat with personnel elevator apparatus
JP2009533258A (en) Deep-sea ship
US9908590B2 (en) Aqua lift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CN202787355U (en) Split type dredger
US2003003151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assembling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101908989B1 (en)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tructure for ship installation
NO802219L (en) PROCEDURE AND DEVICE FOR EVACUATION OF STAFF FROM A OFFSHORE PLATFORM
EP3601141B1 (en) A lifting device
US4203504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KR101578456B1 (en) Jack-up barge with extendable offshore cable stayed bridges that can be rotate in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
US4414911A (en) Berth for mooring supply ship to an offshore platform and for transferring personnel between them
NL2021166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GB2144375A (en) Floating dock
KR20160005930A (en) Electrical telescopic system for accommodation ladder and its method, and the vessel or offshore platform including the same
GB202411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recovery of survival capsules from the sea
US3500785A (en) System for salvaging submerged objects
RU2561491C1 (en) Wave-resistant sea load platform (wrlp)
US20220355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ack structure for a transport vessel adapted for use with an offshore self-elevating vessel
KR20080101307A (en) Boarding device of ship
KR101579881B1 (en) Barge with access offshore cable stayed angle-bridge
RU2629625C1 (en) Underwater vessel for maintenance of underwater mining complexes at arctic shelf and other underwater engineering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