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661B1 -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661B1
KR101908661B1 KR1020140181314A KR20140181314A KR101908661B1 KR 101908661 B1 KR101908661 B1 KR 101908661B1 KR 1020140181314 A KR1020140181314 A KR 1020140181314A KR 20140181314 A KR20140181314 A KR 20140181314A KR 101908661 B1 KR101908661 B1 KR 10190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age device
enclosure
presen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034A (ko
Inventor
백승욱
Original Assignee
백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욱 filed Critical 백승욱
Priority to KR102014018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661B1/ko
Priority to PCT/KR2015/013778 priority patent/WO2016099144A1/ko
Publication of KR2016007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렬 배열식 수납 구조를 갖으며 수직 및 수평으로 전환되더라도 피수납체의 위치 변화가 없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피수납체를 수납하고, 1열 이상 및 2행 이상의 행렬 배열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된 둘 이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MATRIX ARRANGE TYPE STORAGE DEVICE WHICH IS CAPABLE OF VERTICAL AND HORIZONTAL STORAGE}
본 발명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렬 배열식 수납 구조를 갖으며 수직 및 수평으로 전환되더라도 피수납체의 위치 변화가 없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장치는 수납 대상인 피수납체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보관할 수 있는 함체이다.
특히, 피수납체가 수납장치의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환되더라도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계란이나 음료캔, 반찬통 등 뒤집어지거나 위치가 변경되어서는 안 되는 제품이 있다.
이런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2648호에는 '수평유지형 수납대를 갖는 공구함'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2648호에 개시된 '수평유지형 수납대를 갖는 공구함'은 공구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대의 회동에 대해 상단 개방부가 항상 위쪽을 향하도록 해주는 무게추가 일체로 마련되어 수납대가 항상 수평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뚜껑에 마련된 수납대로서 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수납대가 뒤집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부에 수납된 공구들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한정될 뿐이다.
이런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게 구성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9223에 개시된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된 바 있다.
KR 20-0352648 Y1 KR 10-2009-0049223 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장치를 수평으로 보관하거나 수직으로 보관하거나 상관없이 내부에 수납된 피수납체는 항상 동일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납장치의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이나 낮은 공간 상에서도 적절한 위치 변동을 통해 보관이 용이한 수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행렬 배열이 필요하고 위치의 변화가 없어야 하는 피수납체(예를 들면, 계란, 음료캔, 맥주캔, 반찬통, 메추리알, 과일 등 다수개 저장이 필요한 제품)의 수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피수납체를 수납하고, 1열 이상 및 2행 이상의 행렬 배열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된 둘 이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피수납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둘 이상의 회전축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야 1열 2행 이상의 행렬 배열에서 동일한 방향을 유지한 채 회전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홀은 상기 외함의 수평 위치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회전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는 각도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수납부의 양측단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지는 각도 유지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수납체는 계란, 음료(또는 주류)캔, 음식 보관용기 또는 모형품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피수납체의 형상에 따라 상기 피수납체를 수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가 2열 이상의 배열을 갖는 경우, 동일한 형상의 수납부가 서로 일체화되어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수납장치를 수평으로 보관하거나 수직으로 보관하거나 상관없이 내부에 수납된 피수납체는 항상 동일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수납장치의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이나 낮은 공간 상에서도 적절한 위치 변동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며, 행렬 배열이 필요하고 위치의 변화가 없어야 하는 피수납체(예를 들면, 계란, 음료캔, 맥주캔, 메추리알, 과일 등 다수개 저장이 필요한 제품)의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변경과정 상의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변경과정상의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100, 이하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라 함)는 소정 형상을 갖는 외함(110)과, 외함(1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120)과, 회전축(120)에 거치되는 수납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함(110)은 직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수평 또는 수직으로 놓여지거나 세워질 수 있다면 다른 형태라도 무방하다.
회전축(120)은 외함(110)이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전환시 수납부(130)의 무게로 인해 수납부(130)가 항상 동일한 위치로 유지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수납부(130)는 회전축(120)에 고정되거나 수납부(130)끼리 고정되고 양측 끝단에 위치한 수납부(130)만이 회전축(120)에 고정될 수 있다.
수납부(13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피수납체가 어떤 형상을 갖는 지에 따라 대응적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는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100)가 수평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개구부가 위쪽을 바라 본 상태에의 정면도이고, (B)는 (A)에서 90도 회전시켜 수직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개구부가 위쪽을 바라 보면서 위치가 변함없이 유지된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수납부(130)는 행렬 배열 구조를 가지며, 이는 피수납체가 다수개 정렬될 수 있는 제품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수납부(130)가 행렬 배열 구조에서 수평 및 수직 상태로 전환되는 외함(110)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회전축(120)이 동일선상(140)으로 배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변경과정 상의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200, 이하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라 함)는 피수납체가 계란인 경우의 예시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200)는 외함(210), 외함(210)의 양쪽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축 홀(250), 양쪽의 회전축 홀(250)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회전축(220) 및 양측의 회전축(220)에 연결되는 수납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납부(230)에는 피수납체인 계란(260)이 수납된다.
피수납체가 계란인 이유로 수납부(230)는 계란(26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수납부(230)는 회전축 고정부(231), 피수납체 지지바(232) 및 베이스(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축 고정부(231)는 베이스(233)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단측부에는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회전축(220)의 회전에 따라 수납부(230)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한다.
피수납체 지지바(232)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233)의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돌기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233)는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도우넛 형태의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중공부에는 계란(260)의 밑 부분이 안착된다.
다수개의 피수납체 지지바(232)는 베이스(233)의 상측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며, 안쪽 방향으로 약간 휘어질 수 있도록 배열된다.
계란(260)이 베이스(233)의 중공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다수개의 피수납체 지지바(232)는 계란(260)을 안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축 홀(250)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이는 회전축(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계란(260)은 행렬 배열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행렬 배열 제품의 경우 외함(210)이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에 있을 때 모든 피수납체가 놓여진 위치가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행렬 배열된 피수납체의 경우 그 회전축(220)의 위치는 수평 및 수직 위치 즉 X축 및 Y축의 동일 선상에 놓여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피수납체인 계란(260)이 2열 4행 배열된 예시로서, 외함(210)이 수평하게 위치 또는 보관된 상태에서 계란(260)들이 수납 되어진다.
도 3의 상태에서 외함(210)이 수직으로 약 45도 세워지는 상태(화살표 방향)가 도 4에 도시되며, 외함(210)이 완전히 수직 상태로 세워진 위치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함(210)이 수평 위치에서 수직 위치로 전환되더라도 행렬 배열 보관된 계란(260)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동일선상의 회전축(220)들로 인하여 행렬 배열된 계란(260)들이 모두 동일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변경과정상의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관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피수납체가 음료캔, 맥주캔 등 금속캔(360, 이하 '캔'이라 함)인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 및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피수납체가 변경된 관계로 수납부의 형태만 그에 맞게 바뀌었을 뿐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만, 수납부의 설명은 그 형태가 다르므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부(330)는 회전축(320)과 연결되는 베이스(332)를 가지며, 베이스(332)에는 피수납체인 캔(360)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333)를 갖는다.
회전축(320)은 베이스(3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333)는 캔(360)의 외주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캔(260)은 원통형이므로 그에 맞게 개구부(333)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캔(360)은 낱개로 보관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를 행렬 배열식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보관되는 장소에 따라 외함(310)을 수평 상태로 또는 수직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이때 행렬 배열된 캔(360)들은 항상 동일한 위치(즉 세워진 위치)가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모든 캔(360)들이 동일선상의 회전축(320)에 기해 동일한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400)는 피수납체(460)가 음식물 보관 용기인 경우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3 실시예도 원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평 보관 및 수직 보관이 가능하며, 수평 보관 상태는 도 9의 (A)에 나타나 있고 수직 보관 상태는 도 9의 (B)에 나타나 있다.
다만, 피수납체(460)가 음식물 보관 용기인 관계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수납부와 다른 판 형상의 수납부(430) 형상을 갖는다.
판 형상의 수납부(430)의 양측 선단으로는 힌지축과 연결되는 수직부 형상의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1열 3행 배열식 수납장치를 예시로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열 다행 배열식 수납장치를 얼마든지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500)는 피수납체(560)가 모형 자동차인 경우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4 실시예도 원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피수납체(560)의 수평 보관 및 수직 보관이 가능하며, 수평 보관 상태는 도 10의 (A)에 나타나 있고 수직 보관 상태는 도 10의 (B)에 나타나 있다.
다만, 피수납체(560)가 모형 자동차인 관계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수납부와 다른 테이블 형태의 수납부(530) 형상을 갖는다.
테이블 형태의 수납부(530)의 양측 선단으로는 힌지축과 연결되는 수직부 형상의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1열 4행 배열식 수납장치를 예시로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열 다행 배열식 수납장치를 얼마든지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수납부(530)가 원위치를 유지하도록 보조하는 각도 유지부(570)가 더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각도 유지부(570)는 외함(510)이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 또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전환시 수납부(530)가 항상 동일한 방향의 원위치를 고수하도록 보조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데에는 기본적으로 회전축(510)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지만, 회전축(510)을 기준으로 수납부(530)가 동일 방향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수납부(530)가 좌우 흔들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동일 방향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납부(530)가 회전축(520)에 의해 동일 방향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각도를 유지한채 회전하도록 각도 유지부(570)가 보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유지부(570)는 가이드(570a)와 각도 유지바(570b)를 포함하며, 가이드(570a)는 외함(510)의 양측면에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1/4 원호 형상으로 개구된 형태를 갖고, 각도 유지바(570b)는 수납부(53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570a)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함(510)이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방향을 전환할 때, 회전축(520)을 기준으로 수납부(530)가 외함(5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납부(530)는 원위치(동일 방향)을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도 유지부(570)에 의해 수납부(530)는 흔들림 없이 외함(510)의 회전 각도를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원위치(동일 방향)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각도 유지부(57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나머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구성이며,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된 예시 이외 다른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피수납체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110, 210, 310, 410, 510: 외함
120, 220, 320, 420, 520 : 회전축
130, 230, 330, 430, 530 : 수납부
160, 260, 360, 460, 560 : 피수납체
250, 350 : 회전축 홀
570 : 각도 유지바

Claims (7)

  1.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피수납체를 수납하고, 1열 이상 및 2행 이상의 행렬 배열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된 둘 이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회전축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부의 무게중심은 상기 회전축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는 상기 외함이 수평 상태이거나 수직 상태일 때 항상 상기 수납부의 베이스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도록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의 베이스가 상부를 향하는 위치로 유지되는,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피수납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홀은 상기 외함의 수평 위치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는 각도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수납부의 양측단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지는 각도 유지바로 이루어지는,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납체는 계란, 음료(또는 주류)캔, 음식 보관용기 또는 모형품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피수납체의 형상에 따라 상기 피수납체를 수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2열 이상의 배열을 갖는 경우, 동일한 형상의 수납부가 서로 일체화되어 연속 배열되는,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KR1020140181314A 2014-12-16 2014-12-16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KR10190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14A KR101908661B1 (ko) 2014-12-16 2014-12-16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PCT/KR2015/013778 WO2016099144A1 (ko) 2014-12-16 2015-12-16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14A KR101908661B1 (ko) 2014-12-16 2014-12-16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34A KR20160073034A (ko) 2016-06-24
KR101908661B1 true KR101908661B1 (ko) 2018-10-16

Family

ID=5612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314A KR101908661B1 (ko) 2014-12-16 2014-12-16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8661B1 (ko)
WO (1) WO2016099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916B (zh) * 2017-12-15 2019-06-14 矫海燕 一种具有保护功能的医用试管转运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0469B2 (ja) 2008-06-26 2010-02-24 盛岡セイコー工業株式会社 収納トレー及び収納体
JP4689264B2 (ja) 2004-12-21 2011-05-25 克元 浜西 回転軸および回転軸孔により常時水平に保持しうる二重筒状の弁当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4992A (en) * 1975-09-02 1977-12-27 John Pershing Ralston Spacesaver tiltable storage unit
US4276984A (en) * 1979-04-24 1981-07-07 Simmons Bobbye C Wine rack
KR200352648Y1 (ko) 2004-03-19 2004-06-05 동 원 정 수평유지형 수납대를 갖는 공구함
KR100714570B1 (ko) * 2004-07-02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계란 수납장치
KR20090049223A (ko) 2007-11-13 2009-05-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냉장고
US8353524B2 (en) * 2011-05-10 2013-01-15 David Gonzalez Wheeled cart slidable onto horizontal su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264B2 (ja) 2004-12-21 2011-05-25 克元 浜西 回転軸および回転軸孔により常時水平に保持しうる二重筒状の弁当箱
JP4420469B2 (ja) 2008-06-26 2010-02-24 盛岡セイコー工業株式会社 収納トレー及び収納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34A (ko) 2016-06-24
WO2016099144A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3455A (en) Food storage container system
JP4560130B2 (ja) 試料保管装置
US5344023A (en) Egg container assembly
US20060249412A1 (en) Rotary tool case
EP1683449A1 (en) Refrigerator with movable shelf carriage
CN102971222A (zh) 可堆叠和可嵌套瓶箱
US20120298604A1 (en) Storage Rack Assembly
US20040207305A1 (en) Tray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908661B1 (ko) 수직 및 수평 보관이 가능한 행렬 배열식 수납장치
CN104344670A (zh) 冰箱门体旋转式储物架
US20020092222A1 (en) Stackable storage unit
US20050006995A1 (en) Tray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1732298A (en) Revolving spice tray
AU2006285497A1 (en) Transport container with improved ventilation properties for flowers
EP1156290B1 (en) Refrigerator cabinet with a shelf
CA2935273C (en) Container
CN212015522U (zh) 一种清洗架旋转装置
CN208510886U (zh) 一种调料储放装置及具有该装置的调料盒
CN203258950U (zh) 冰箱
EP1239245A2 (en) Device for Supporting objects for a refrigera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refrigerator
KR101573899B1 (ko) 냉장고용 스마트 선반
CN209893769U (zh) 一种可用作储物盒的冰箱瓶座组件及冰箱
US937067A (en) Meal-cabinet.
CN212755071U (zh) 一种用于烟碱产品的消毒展示柜
JP722030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4

Effective date: 2018061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