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343B1 -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343B1
KR101908343B1 KR1020180007113A KR20180007113A KR101908343B1 KR 101908343 B1 KR101908343 B1 KR 101908343B1 KR 1020180007113 A KR1020180007113 A KR 1020180007113A KR 20180007113 A KR20180007113 A KR 20180007113A KR 101908343 B1 KR101908343 B1 KR 10190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er
education
processing center
management server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고경일
이승욱
최성식
오세환
우혜인
Original Assignee
(주)이지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팜 filed Critical (주)이지팜
Priority to KR102018000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Abstract

본 발명은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연결되고,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네트워크를 통해 GS1 클라우드 서버(40)와 이력관리 서버(50) 및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되,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은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와,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GS1-based farm processing center oper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GS1(Global Standard #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수기로 관리되고 있는 농민가공센터의 인허가 관리, 교육관리, 가공품 입출관리 등의 전반 업무를 GS1 기반으로 시스템화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편의성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컬푸드(local food)는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농산물을 말하는데, 흔히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칭한다.
상기 로컬푸드 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극대화 시키자는 취지로 출발했으며, 먹을거리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농민과 소비자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북미의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에서는 전북 완주군이 2008년 국내 최초로 로컬푸드 운동을 정책으로 도입한 바 있다.
상기 로컬푸드와 같은 농산물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농민가공센터를 이용하여 세척, 가공 및 포장 과정을 거처 직판장이나 판매점을 통해 유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농민가공센터에서 진행되는 업무, 예를 들어 인허가정보, 제품정보 등 전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중복적인 문서 작업으로 행정적인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인허가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식약처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각종 항목을 다시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농가별 교육 이력, 제품가공 이력등이 수기로 작성하고 있어 데이터 누락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가공된 상품이 로컬푸드 소속 농가인 경우에도 출하 내역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54734(등록일자 2017년06월30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농민가공센터의 인허가 관리, 교육관리, 가공품 입출관리 등의 전반 업무를 GS1 기반으로 시스템화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편의성 극대화함으로써, 가공식품의 가공 이력 및 인허가 정보를 통해 상품의 신뢰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된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안전 사고 예방 및 사고 발생시 대상품목의 소재 파악, 신속한 회수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 시스템은,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연결되고,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네트워크를 통해 GS1 클라우드 서버(40)와 이력관리 서버(50) 및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되,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은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와,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GS1 클라우드 서버(40)는,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TTA)의 표준으로 제정된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국내표준, 표준번호 TTAK.KO-10.1002)를 기준으로 바코드 라벨 기초 데이터의 자동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은 개인용 컴퓨터, 테블릿 PC, 스마트폰 중에 어느 하나로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는, 진행된 교육에 대한 농가별 교육 출석률 집계와 수료 농가를 선별하고, 교육 수료농가를 대상으로 이력변동 사항에 대한 추적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적관리 대상은, 농가 기초정보 및 재배정보, 교육정보, 제품 생산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는, 식품(식품첨가물) 품목제조보고서, 제조방법설명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유통기한 설정 관련 첨부문서를 포함하는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에 내용과 제품 출하 신청서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여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하고, 제품 스티커 제작업체에게 스티커 제작 의뢰를 요청한 후, 대금 정산하며, 입력된 제품 출하 신청서를 직매장 POS 서버(60)로 전송하고, 농가에서 직매장에 농산물이 출하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가정산관리 서버(38)는,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어 직매장에서 매월 초 한달간 제조업체별 판매 내역서를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내역서를 전송받아 이력관리 서버(50)에 저장하고, 각 제조업체(협동조합) 이름으로 전자 계산서 발행한 후, 판매처로부터 대금입금 내역을 확인하며, 각 직매장 판매 내역서를 기초로 제조업체별, 직매장별 농가 정산내역 등록관리하고, 농가별 판매내역에 따라 이용료 및 부가가치세 차감 후 개별 통장으로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은,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연결되고,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네트워크를 통해 GS1 클라우드 서버(40)와 이력관리 서버(50) 및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되,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S10)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S20)를 수행하고,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S30)를 수행하며,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를 수행하고,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통해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S10)는,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농민가공센터 이용 희망자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교육 대상자로 신청받아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교육 신청서 등록 단계(S11)와; 센터 담당자는 교육 대상자 적합 여부를 면접을 통해 판정하여 회원정보에 입력하는 교육생 판정 단계(S12); 선발된 교육생의 회원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생 등록 단계(S13);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여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 진행 단계(S14);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수료 관리 단계(S15); 교육수료 농가의 이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적하여 갱신 등록하는 수료 교육생 관리 단계(S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육생 등록 단계(S13)에서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되는 회원정보는 주소, 연락처, 재배품목, 재배면적을 포함하는 기초정보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육 진행 단계(S14)에서 교육 과정은 반찬, 습식, 건식으로 각 과정당 15명씩 총 45명 선발하고, 전반기(3월~8월)와 후반기(8월~12월)에 농민가공센터에서 진행하며, 교육 회차는 각 과정별 16회씩 총 48회차 진행하며, 관리사항은 출석률 중심으로 관리하고, 수료관리 수료기준은 출석률 80% 이상으로 농가교육 출석률 집계를 통한 미진농가 관리 및 수료 농가선별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료 교육생 관리 단계(S16)에서 교육수료 후 농가 이력 추적관리를 통해 교육 수료농가를 대상으로 농가기초 정보 및 재배정보, 교육정보, 제품 생산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이력변동 사항에 대한 추적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S20)는,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농민가공센터 이용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이 기획되면, 기획된 교육 과정을 공지하는 단계(S21)와; 기획된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는 교육 진행단계(S22); 기획된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갱신하는 교육 이수자 관리 단계(S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육 이수자 관리 단계(S23)에서 교육내용은 식품위생법 개정 사항을 포함하며, 교육 횟수는 연간 4 ~ 5회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 과정별 농가 출결 사항을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갱신하여 관리함과 아울러, 농가교육 출석률 집계를 통한 미진농가 관리 및 교육 이수농가 이력관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30)는,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식품(식품첨가물) 품목제조보고서, 제조방법설명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유통기한 설정 관련 첨부문서를 포함하는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에 내용을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하는 관련 서류 준비 단계(S31)와;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 내용을 입력하거나, PDF 파일 등을 첨부하여 등록하는 식약처 홈페이지 등록 단계(S32);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품 인허가 확인 단계(S33); 제품 스티커를 디자인하여 제작업체에게 제작 의뢰를 요청하고 , 대금을 입금하여 정산하는 제품 시티커 디자인 단계(S34); 제품 출하 신청서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내용을 입력하고 신청서를 직매장 POS 서버(60)으로 전송하여 제출하는 출하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단계(S35); 농가에서 출하신청서를 제출한 직매장에 농산물이 출하되도록 관리하는 출하지도(직매장) 단계(S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출하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단계(S35)에서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생산농가로부터 작성된 출하 신청서를 로컬푸드직매장과 같은 판매처인 직매장 POS 서버(60)에 전송하여 제출하되, 상기 출하 신청서는 출하 신청서(최초 1회), 농산물원산지증명서(분기별), 가공식품원료수급 내역서(분기별), 가공식품제품가격 산정서(최초1회)를 포함하고, (첨부) 생산지번에서 작물과 함께 생산자가 찍은 사진, 지번확인 가능 서류, 성적서를 포함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센터는 농가별 이력정보를 통해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를 농가에 제공하고 농가에서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에 입고 시키도록 안내하는 센터 입고 단계(S41)와; 입고된 농산물을 세척하고 박피 및 절단이 필요한 경우 실행하는 전처리 단계(S42); 제품유형에 따라 생산실을 반찬실, 습식실, 건식실, 제빵실을 제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제품 생산 단계(S43); 생산된 제품을 용기에 담고, 스티커 부착 작업 진행하는 포장 단계(S44); 센터 단말기를 통해 농가별 작업일자, 생산제품, 생산수량, 출하처, 출하처별 출하수량을 이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작업일지 등록 단계(S45); 및 생산제품을 출하하는 단계(S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 입고 단계(S41)에서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는 농가별 재고분(주문량) 사전 입력하는 단계와, 농가 생산수량에 따른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 재고량 부족시 센터에서 농가로 알림 서비스 단계, 농가에서 부족 부자재 추가 신청하는 단계, 센터에서 제작업체에 주문하는 단계, 제작업체로부터 생산된 부자재를 농가에서 수령하는 단계, 및 농가에서 대금을 제작업체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작업일지 등록 단계(S45)에서 상기 작업일지는 사전 기초정보로서 농가기초 정보(ID), 농가 등록제품명, 농가출하처(출하신청서상 출하 직매장), 제품규격, 제품 레시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가 정산 업무 프로세스(S50)는, 상기 농가정상 관리서버(38)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직매장에서 매월 초 한달간 제조업체별 판매 내역서를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내역서 작성 단계(S51)와; 각 직매장으로부터 작성된 판매 내역서를 전송받아 이력관리 서버(50)에 저장하는 판매 내역서 수령 단계(S52); 각 제조업체(협동조합) 이름으로 전자 계산서 발행 단계(S53); 판매처로부터 대금입금 내역을 확인하는 대금입금 확인 단계(S54); 각 직매장 판매 내역서를 기초로 제조업체별, 직매장별 농가 정산내역 등록관리하는 농가매칭 수수료 확인 단계(S55); 및 농가별 판매내역에 따라 이용료 및 부가가치세 차감 후 개별 통장으로 정산하는 농가 개별 정산 단계(S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문제 해결은 기존의 수기로 관리되고 있는 농민가공센터의 인허가 관리, 교육관리, 가공품 입출관리 등의 전반 업무를 GSI 기반으로 시스템화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편의성 극대화함으로써, 가공식품의 가공 이력 및 인허가 정보를 통해 상품의 신뢰도를 극대화 시키고, 식품안전 사고 예방 및 사고 발생시 대상품목의 소재 파악, 신속한 회수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S1 기반의 시스템 연계를 통해 가공품 및 식품에 대한 기초 이력정보 뿐만 아니라, 인허가 및 갱신 등의 관련 문서를 제공하여 상품의 신뢰도를 극대화하고, 식약처의 인허가 및 교육 수료 등의 필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기존의 수기(서류)로 관리되고 있는 각종 인허가 서류 등의 양식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공하여, 관련 자료의 누락 및 분실 등의 사고를 방지하며, 인허가 및 갱신 과정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이수이력 및 출결관리 등의 전반적인 교육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통합관리시스템, 교육관리시스템, 가공관리시스템의 각 목적에 최적화 된 개별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 접속한 농가 사용자 단말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 접속한 농가 사용자 단말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농민가공센터의 업무 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농가 정산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은,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연결되고,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네트워크를 통해 GS1 클라우드 서버(40)와 이력관리 서버(50) 및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은 개인용 컴퓨터,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을 의미한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와,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 접속한 농가 사용자 단말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에 접속하면, 해당 단말(10, 20)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가 정보를 입력 요청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농가명을 입력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가명 검색화면이 표시됨과 아울러, 해당 화면에는 이전, 처음으로, 제품생산, 교육출석 등 다양한 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교육출석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명, 교육일자 및 회차 등이 화면으로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 접속한 농가 사용자 단말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농민가공센터의 업무 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에 접속하여 농민가공센터의 업무 현황을 한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농가기초 정보 및 제조업체 정보 등을 이력정보 서버(50)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으로 확인 할 수 있고, 교육사업 정보, 제품인허가 정보, 농민가공센터관리 정보, 농가정산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서류에 중복된 항목들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화면에서 관련 항목들을 표시함으로써, 중복된 항목들을 다시 재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진행된 교육에 대한 농가별 교육 출석률 집계와 수료 농가를 선별하고, 교육 수료농가를 대상으로 이력변동 사항에 대한 추적 관리하며, 상기 추적관리 대상은 농가 기초정보 및 재배정보, 교육정보, 제품 생산정보 등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는 농민가공센터 이용 희망자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교육 대상자로 신청받아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센터 담당자는 교육 대상자 적합 여부를 면접 및 서류 심사를 통해 판정하여 회원정보에 입력하여 선발된 교육생의 회원정보를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한다.
이후,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는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여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하고,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하며, 교육수료 농가의 이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적하여 갱신 등록한다.
또한,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이용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이 기획되면 기획된 교육 과정을 공지하고, 기획된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며, 기획된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 서버(50)에 갱신 등록한다.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식품(식품첨가물) 품목제조보고서, 제조방법설명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유통기한 설정 관련 첨부문서를 포함하는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에 내용을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고,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 내용을 입력하거나, PDF 파일 등을 첨부하여 등록한다.
이후,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품 인허가 여부를 확인하고, 제품 스티커를 디자인하여 제작업체에게 제작 의뢰를 요청한 후, 대금을 입금하여 정산한다.
또한,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제품 출하 신청서의 내용이 입력 완료되면,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제품 출하신청서를 판매처에 제출하고, 농가에서 출하신청서를 제출한 직매장에 농산물이 출하되도록 관리한다.
상기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생산농가로부터 작성된 출하 신청서를 로컬푸드직매장과 같은 판매처에 전송하되, 상기 출하 신청서는 출하 신청서(최초 1회), 농산물원산지증명서(분기별), 가공식품원료수급 내역서(분기별), 가공식품제품가격 산정서(최초1회)를 포함하고, (첨부) 생산지번에서 작물과 함께 생산자가 찍은 사진, 지번확인 가능 서류, 성적서를 포함 제출한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를 통해 센터 관리자는 농가별 이력정보를 통해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를 농가에 제공하고 농가에서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에 입고 하도록 안내하며, 입고된 농산물을 세척하고 박피 및 절단이 필요한 경우 실행한다. 또한, 제품유형에 따라 생산실을 반찬실, 습식실, 건식실, 제빵실을 제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생산된 제품을 용기에 담고 스티커 부착 작업 진행한다.
이후,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농가별 작업일자, 생산제품, 생산수량, 출하처, 출하처별 출하수량을 이력정보 서버(50)에 등록하고, 생산제품을 출하한다.
상기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통해 직매장에서 매월 초 한달간 제조업체별 판매 내역서를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내역서를 전송받아 이력관리 서버(50)에 저장하고, 각 제조업체(협동조합) 이름으로 전자 계산서 발행한 후, 판매처로부터 대금입금 내역을 확인한다.
또한, 각 직매장 판매 내역서를 기초로 제조업체별, 직매장별 농가 정산내역 등록관리하고, 농가별 판매내역에 따라 이용료 및 부가가치세 차감 후 개별 통장으로 정산한다.
상기 GS1 클라우드 서버(40)는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TTA)의 표준으로 제정된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국내표준, 표준번호 TTAK.KO-10.1002)를 기준으로 바코드 라벨 기초 데이터의 자동 생성 및 관리한다. 여기서, GS1(Global Standard #1) 표준 기반의 균형 생산, 투명유통, 안전소비를 위한 농축산 클라우드 및 응용서비스 제공한다.
또한, 상기 GS1 클라우드 서버(40)는 Oliot(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http://gs1oliot.github.io/oliot/, KAIST Auto-ID Labs)기반의 GS1 연계 플랫폼을 기초로 하는 GS1 기반의 이력정보 데이터 자동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을 이용하여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업무 프로세스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S10)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S20),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S30),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S50)를 포함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S10)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농식품 가공창업 아카데미 업무 프로세스로서 농민가공센터 이용 희망자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교육 대상자로 신청받아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교육 신청서 등록 단계(S11)와, 센터 관리자는 교육 대상자 적합 여부를 면접을 통해 판정하여 회원정보에 입력하는 교육생 판정 단계(S12), 선발된 교육생의 회원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생 등록 단계(S13),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여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 진행 단계(S14),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수료 관리 단계(S15), 교육수료 농가의 이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적하여 갱신 등록하는 수료 교육생 관리 단계(S16)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생 등록 단계(S13)에서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되는 회원정보는 예를 들어, 주소, 연락처, 재배품목, 재배면적 등 기초정보가 등록된다.
상기 교육 진행 단계(S14)에서 교육 과정은 예를 들어, 반찬, 습식, 건식으로 각 과정당 15명씩 총 45명 선발하고, 전반기(3월~8월)와 후반기(8월~12월)에 농민가공센터에서 진행하며, 교육 회차는 각 과정별 16회씩 총 48회차 진행하며, 관리사항은 출석률 중심으로 관리하고, 수료관리 수료기준은 출석률 80% 이상으로 농가교육 출석률 집계를 통한 미진농가 관리 및 수료 농가선별하여 관리한다.
상기 수료 교육생 관리 단계(S16)에서 교육수료 후 농가 이력 추적관리를 통해 교육 수료농가를 대상으로 농가기초 정보 및 재배정보, 교육정보, 제품 생산정보 등 각종 이력변동 사항에 대한 추적 관리한다.
상기 농가의 이력관리는 주소, 재배지, 재배품목, 재배면적, 생산제품, 제품생산 및 출하현황, 교육이수 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농가 이력변동 사항 추적관리는 주소, 재배지, 재배품목, 재배면적, 생산품목 등 이력변동 사항을 관리한다.
상기 추적 관리 항목에는 예를 들어, 협동조합 가입여부 추적관리하는 것으로, 농가의 부엌, 가공식품 협동조합, 줌마뜨레, 가공먹거리 생산자협동조합에 가입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타 가공센터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식초, 과실, 축산, 타 가공센터 활용사항 및 변동사항 관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정기 및 비정기 교육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정기 및 비정기 교육관리 업무 프로세스(S20)는,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농민가공센터 이용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이 기획되면, 기획된 교육 과정을 공지하는 단계(S21)와, 기획된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는 교육 진행 단계(S22), 기획된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갱신하는 교육 이수자 관리 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 이수자 관리 단계(S23)에서 교육내용은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개정 사항 등이며, 교육 횟수는 연간 4 ~ 5회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 과정별 농가 출결 사항을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갱신하여 관리한다. 또한, 농가교육 출석률 집계를 통한 미진농가 관리 및 교육 이수농가 이력관리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30)는,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식품(식품첨가물) 품목제조보고서, 제조방법설명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유통기한 설정 관련 첨부문서 등의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에 내용을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하는 관련 서류 준비 단계(S31)와,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 내용을 입력하거나, PDF 파일 등을 첨부하여 등록하는 식약처 홈페이지 등록 단계(S32),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품 인허가 확인 단계(S33), 제품 스티커를 디자인하여 제작업체에게 제작 의뢰를 요청하고 , 대금을 입금하여 정산하는 제품 시티커 디자인 단계(S34), 제품 출하 신청서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작성하여 신청서를 제출하는 단계(S34), 및 농가에서 출하신청서를 제출한 직매장에 농산물이 출하되도록 관리하는 출하지도(직매장) 단계(S35)를 포함한다.
상기 출하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단계(S35)에서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생산농가로부터 작성된 출하 신청서를 로컬푸드직매장과 같은 판매처인 직매장 POS 서버(60)에 전송하여 제출한다. 여기서, 상기 출하 신청서는 출하 신청서(최초 1회), 농산물원산지증명서(분기별), 가공식품원료수급 내역서(분기별), 가공식품제품가격 산정서(최초1회), (첨부) 생산지번에서 작물과 함께 생산자가 찍은 사진, 지번확인 가능 서류, 성적서 등을 제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S30)는 농가기초 정보 및 제조업체 정보 등 기 입력데이터의 일괄 적용을 통해 직접 입력하는 항목을 축소할 수 있으며, 각 서류별 중복된 항목을 선별하여 한 화면에서 관련 항목들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증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하 신청서를 데이터화하여 조회를 통해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출하 신청서, 농산물원산지 증명서, 가공식품원료수급 내역서, 가공식품제품가격 산정서, 첨부서류 등을 통해 농가별 이력추적에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농민가공센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 정보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농가정보, 사업자 정보, 제품정보(식품인허가 등록시), 판매가격(가공식품 제품가격 산정서 연계), 레시피 정보(원재료)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서버(36)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센터 관리자는 농가별 이력정보를 통해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를 농가에 제공하고 농가에서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에 입고 하도록 안내하는 센터 입고 단계(S41)와, 입고된 농산물을 세척하고 박피 및 절단이 필요한 경우 실행하는 전처리 단계(S41), 제품유형에 따라 생산실을 반찬실, 습식실, 건식실, 제빵실을 제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제품 생산 단계(S42), 생산된 제품을 용기에 담고, 스티커 부착 작업 진행하는 포장 단계(S43), 센터 관리자는 센터 단말기를 통해 농가별 작업일자, 생산제품, 생산수량, 출하처, 출하처별 출하수량을 이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작업일지 등록 단계(S44), 및 생산제품을 출하하는 단계(S45);를 포함한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 입고 단계(S41)에서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는 농가별 재고분(주문량) 사전 입력하는 단계와, 농가 생산수량에 따른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 재고량 부족시 센터에서 농가로 알림 서비스 단계, 농가에서 부족 부자재 추가 신청하는 단계, 센터에서 제작업체에 주문하는 단계, 제작업체로부터 생산된 부자재를 농가에서 수령하는 단계, 및 농가에서 대금을 제작업체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농가의 가공센터 이용시 원물 및 부재료, 용기는 직접 농가가 수급한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작업일지 등록 단계(S44)에서 상기 작업일지는 사전 기초정보로서 농가기초 정보(ID), 농가 등록제품명, 농가출하처(출하신청서상 출하 직매장), 제품규격, 제품 레시피를 포함하고, 작성항목은 일자, 사용자 성명, 작업내용 (분쇄/건조/습식), 이용시간 등을 입력한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농가별 이력정보를 통해 직매장 판매기록은 존재하는데 제품생산 출하에 관한 이력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농가에 대해 가공센터 이용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가별 이력정보에 직매장 판매기록은 존재하는데 제품생산 출하에 관한 이력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농가의 경우, 가공센터 이용 제약을 안내하고, 반복될 경우 제재한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농가별 이력정보에서 출하 이력정보와 판매 이력정보를 비교하고, 농가별 이력정보를 통해 농가별로 각 직매장으로 얼마만큼 출하 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재고 내역 관리 및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센터에서 주문관리하는 용기와 스티커에 대한 농가별 재고관리 및 재고 부족시 농가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농가 정산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민가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농가 정산 업무 프로세스(S50)는, 상기 농가정상 관리서버(38)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직매장에서 매월 초 한달간 제조업체별 판매 내역서를 컴퓨터 파일(예컨대, 엑셀 양식 또는 포스 데이터 양식)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내역서 작성 단계(S51)와, 각 직매장으로부터 작성된 판매 내역서를 전송받아 이력관리 서버(50)에 저장하는 판매 내역서 수령 단계(S52), 각 제조업체(협동조합) 이름으로 전자 계산서 발행 단계(S53), 판매처로부터 대금입금 내역을 확인하는 대금입금 확인 단계(S54), 각 직매장 판매 내역서를 기초로 제조업체별, 직매장별 농가 정산내역 등록관리하는 농가매칭 수수료 확인 단계(S55), 및 농가별 판매내역에 따라 이용료 및 부가가치세 차감 후 개별 통장으로 정산하는 농가 개별 정산 단계(S56)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직매장 판매내역 수령절차 전산화 및 농가별 매칭작업 전산화를 통해 각 농가별 정산 및 판매내역에 대한 이력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수기로 관리되고 있는 농민가공센터의 인허가 관리, 교육관리, 가공품 입출관리 등의 전반 업무를 GSI 기반으로 시스템화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편의성 극대화함으로써, 가공식품의 가공 이력 및 인허가 정보를 통해 상품의 신뢰도를 극대화 시키고, 식품안전 사고 예방 및 사고 발생시 대상품목의 소재 파악, 신속한 회수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S1 기반의 시스템 연계를 통해 가공품 및 식품에 대한 기초 이력정보 뿐만 아니라, 인허가 및 갱신 등의 관련 문서를 제공하여 상품의 신뢰도를 극대화하고, 식약처의 인허가 및 교육 수료 등의 필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기존의 수기(서류)로 관리되고 있는 각종 인허가 서류 등의 양식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공하여, 관련 자료의 누락 및 분실 등의 사고를 방지하며, 인허가 및 갱신 과정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이수이력 및 출결관리 등의 전반적인 교육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통합관리시스템, 교육관리시스템, 가공관리시스템의 각 목적에 최적화 된 개별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농가 사용자 단말 20 : 센터 관리자 단말
30 :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32 :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
34 :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 36 :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
38 : 농가정산관리 서버 40 : GS1 클라우드 서버
50 : 이력관리 서버 60 : 직매장 POS 서버

Claims (20)

  1.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에 있어서,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농가 사용자 단말(10), 센터 관리자 단말(20), GS1 클라우드 서버(40), 이력관리 서버(50) 및 직매장 POS 서버(60)를 포함하며,
    상기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상기 센터 관리자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연결되고,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GS1 클라우드 서버(40)와 상기 이력관리 서버(50) 및 상기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되,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와,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포함하며,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는, 진행된 교육에 대한 농가별 교육 출석률 집계와 수료 농가를 선별하고, 교육 수료농가를 대상으로 이력변동 사항에 대한 추적 관리하고,
    상기 추적관리 대상은, 농가 기초정보 및 재배정보, 교육정보, 제품 생산정보이며,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는, 식품(식품첨가물) 품목제조보고서, 제조방법설명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유통기한 설정 관련 첨부문서를 포함하는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에 내용과 제품 출하 신청서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여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하고, 제품 스티커 제작업체에게 스티커 제작 의뢰를 요청한 후, 대금 정산하며, 입력된 제품 출하 신청서를 직매장 POS 서버(60)로 전송하고, 농가에서 직매장에 농산물이 출하되도록 관리하고,
    상기 농가정산관리 서버(38)는,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어 직매장에서 매월 초 한달간 제조업체별 판매 내역서를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내역서를 전송받아 이력관리 서버(50)에 저장하고, 각 제조업체(협동조합) 이름으로 전자 계산서 발행한 후, 판매처로부터 대금입금 내역을 확인하며, 각 직매장 판매 내역서를 기초로 제조업체별, 직매장별 농가 정산내역 등록관리하고, 농가별 판매내역에 따라 이용료 및 부가가치세 차감 후 개별 통장으로 정산하며,
    상기 GS1 클라우드 서버(40)는,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TTA)의 표준으로 제정된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국내표준, 표준번호 TTAK.KO-10.1002)를 기준으로 바코드 라벨 기초 데이터의 자동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이력관리 서버(50)는, 교육생의 회원정보, 출석률 및 교육수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직매장 POS 서버(60)는, 로컬푸드직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은 개인용 컴퓨터, 테블릿 PC, 스마트폰 중에 어느 하나로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에 있어서,
    농가 사용자 단말(10)과 센터 관리자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과 연결되고,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네트워크를 통해 GS1 클라우드 서버(40)와 이력관리 서버(50) 및 직매장 POS 서버(60)와 연결되되,
    상기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30)은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S10)와,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S20)를 수행하고,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S30)를 수행하며,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를 통해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를 수행하고, 농가정산관리 서버(38)를 통해 농가정산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업무 프로세스(S10)는,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농민가공센터 이용 희망자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교육 대상자로 신청받아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교육 신청서 등록 단계(S11); 센터 담당자는 교육 대상자 적합 여부를 면접을 통해 판정하여 회원정보에 입력하는 교육생 판정 단계(S12); 선발된 교육생의 회원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생 등록 단계(S13);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여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 진행 단계(S14);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등록하는 교육수료 관리 단계(S15); 및 교육수료 농가를 대상으로 농가기초 정보 및 재배정보, 교육정보, 제품 생산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이력변동 사항을 주기적으로 추적하여 갱신 등록하는 수료 교육생 관리 단계(S16)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업무 프로세스(30)는, 상기 제품인허가 관리 서버(34)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식품(식품첨가물) 품목제조보고서, 제조방법설명서, 유통기한 설정 사유서, 유통기한 설정 관련 첨부문서를 포함하는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에 내용을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하는 관련 서류 준비 단계(S31);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인허가와 관련된 서류 내용을 입력하거나, PDF 파일 등을 첨부하여 등록하는 식약처 홈페이지 등록 단계(S32);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식약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품 인허가 확인 단계(S33); 제품 스티커를 디자인하여 제작업체에게 제작 의뢰를 요청하고, 대금을 입금하여 정산하는 제품 시티커 디자인 단계(S34); 제품 출하 신청서를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내용을 입력하고 신청서를 직매장 POS 서버(60)으로 전송하여 제출하는 출하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단계(S35); 및 농가에서 출하신청서를 제출한 직매장에 농산물이 출하되도록 관리하는 출하지도(직매장) 단계(S36)를 포함하며,
    상기 농가 정산 업무 프로세스(S50)는, 상기 농가정산 관리서버(38)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직매장에서 매월 초 한달간 제조업체별 판매 내역서를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판매 내역서 작성 단계(S51); 각 직매장으로부터 작성된 판매 내역서를 전송받아 이력관리 서버(50)에 저장하는 판매 내역서 수령 단계(S52); 각 제조업체(협동조합) 이름으로 전자 계산서 발행 단계(S53); 판매처로부터 대금입금 내역을 확인하는 대금입금 확인 단계(S54); 각 직매장 판매 내역서를 기초로 제조업체별, 직매장별 농가 정산내역 등록관리하는 농가매칭 수수료 확인 단계(S55); 및 농가별 판매내역에 따라 이용료 및 부가가치세 차감 후 개별 통장으로 정산하는 농가 개별 정산 단계(S56)를 포함하고,
    상기 GS1 클라우드 서버(40)는,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TTA)의 표준으로 제정된 농축산물 GS1 표준 바코드의 레이블 출력 지침서(국내표준, 표준번호 TTAK.KO-10.1002)를 기준으로 바코드 라벨 기초 데이터의 자동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이력관리 서버(50)는, 교육생의 회원정보, 출석률 및 교육수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직매장 POS 서버(60)는, 로컬푸드직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 등록 단계(S13)에서 이력관리 서버(50)에 등록되는 회원정보는 주소, 연락처, 재배품목, 재배면적을 포함하는 기초정보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진행 단계(S14)에서 교육 과정은 반찬, 습식, 건식으로 각 과정당 15명씩 총 45명 선발하고, 전반기(3월~8월)와 후반기(8월~12월)에 농민가공센터에서 진행하며, 교육 회차는 각 과정별 16회씩 총 48회차 진행하며, 수료관리 수료기준은 출석률 80% 이상으로 농가교육 출석률 집계를 통한 미진농가 관리 및 수료 농가선별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 및 비정기 교육 업무 프로세스(S20)는,
    상기 교육사업 운영관리 서버(3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농민가공센터 이용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이 기획되면, 기획된 교육 과정을 공지하는 단계(S21)와;
    기획된 교육 과정이 진행되면 교육생의 출석률을 체크하는 교육 진행단계(S22);
    기획된 교육 과정이 완료되면 교육생의 출석률과 교육수료 정보를 이력관리서버(50)에 갱신하는 교육 이수자 관리 단계(S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이수자 관리 단계(S23)에서 교육내용은 식품위생법 개정 사항을 포함하며, 교육 횟수는 연간 4 ~ 5회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 과정별 농가 출결 사항을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갱신하여 관리함과 아울러, 농가교육 출석률 집계를 통한 미진농가 관리 및 교육 이수농가 이력관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5. 삭제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단계(S35)에서 농가 사용자 단말(10) 또는 센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생산농가로부터 작성된 출하 신청서를 로컬푸드직매장과 같은 판매처인 직매장 POS 서버(60)에 전송하여 제출하되,
    상기 출하 신청서는 출하 신청서(최초 1회), 농산물원산지증명서(분기별), 가공식품원료수급 내역서(분기별), 가공식품제품가격 산정서(최초1회)를 포함하고, (첨부) 생산지번에서 작물과 함께 생산자가 찍은 사진, 지번확인 가능 서류, 성적서를 포함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서버(36)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센터는 농가별 이력정보를 통해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를 농가에 제공하고 농가에서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에 입고 시키도록 안내하는 센터 입고 단계(S41)와;
    입고된 농산물을 세척하고 박피 및 절단이 필요한 경우 실행하는 전처리 단계(S42);
    제품유형에 따라 생산실을 반찬실, 습식실, 건식실, 제빵실을 제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제품 생산 단계(S43);
    생산된 제품을 용기에 담고, 스티커 부착 작업 진행하는 포장 단계(S44);
    센터 단말기를 통해 농가별 작업일자, 생산제품, 생산수량, 출하처, 출하처별 출하수량을 이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작업일지 등록 단계(S45); 및
    생산제품을 출하하는 단계(S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원물 및 부자재를 센터 입고 단계(S41)에서 원물 및 부자재 사전 알림 서비스는 농가별 재고분(주문량) 사전 입력하는 단계와, 농가 생산수량에 따른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 재고량 부족시 센터에서 농가로 알림 서비스 단계, 농가에서 부족 부자재 추가 신청하는 단계, 센터에서 제작업체에 주문하는 단계, 제작업체로부터 생산된 부자재를 농가에서 수령하는 단계, 및 농가에서 대금을 제작업체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농민가공센터 관리 업무 프로세스(S40)는,
    상기 작업일지 등록 단계(S45)에서 상기 작업일지는 사전 기초정보로서 농가기초 정보(ID), 농가 등록제품명, 농가출하처(출하신청서상 출하 직매장), 제품규격, 제품 레시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방법.
  20. 삭제
KR1020180007113A 2018-01-19 2018-01-19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190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13A KR101908343B1 (ko) 2018-01-19 2018-01-19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13A KR101908343B1 (ko) 2018-01-19 2018-01-19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343B1 true KR101908343B1 (ko) 2018-12-18

Family

ID=6495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13A KR101908343B1 (ko) 2018-01-19 2018-01-19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3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2949A (zh) * 2018-12-26 2019-03-19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泰和乌鸡、泰和乌鸡蛋保种溯源的监管系统
KR20200104509A (ko) * 2019-02-27 2020-09-0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지역 밀착형 협동조합 비지니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7459A (ko) * 2019-11-29 2021-06-08 최형련 사회적 경제 중계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회적 경제 중계 방법
KR20220159202A (ko) * 2021-05-25 2022-12-02 박숙현 식재료 가공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39B1 (ko) * 2016-01-28 2017-04-26 재단법인 행복아이씨티 로컬 푸드 유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39B1 (ko) * 2016-01-28 2017-04-26 재단법인 행복아이씨티 로컬 푸드 유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S1 표준 사용자 매뉴얼’.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의 게시물. [online], 2015년 12월 8일, pp.1-58, [2018년 4월 25일 검색] (2015.12.08.)*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2949A (zh) * 2018-12-26 2019-03-19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泰和乌鸡、泰和乌鸡蛋保种溯源的监管系统
KR20200104509A (ko) * 2019-02-27 2020-09-0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지역 밀착형 협동조합 비지니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15878B1 (ko) * 2019-02-27 2021-02-15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지역 밀착형 협동조합 비지니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7459A (ko) * 2019-11-29 2021-06-08 최형련 사회적 경제 중계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회적 경제 중계 방법
KR102310867B1 (ko) * 2019-11-29 2021-10-08 최형련 사회적 경제 중계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회적 경제 중계 방법
KR20220159202A (ko) * 2021-05-25 2022-12-02 박숙현 식재료 가공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522199B1 (ko) 2021-05-25 2023-04-13 박숙현 식재료 가공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343B1 (ko) Gs1 기반의 농민가공센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CN102760267A (zh) 一种erp电子商务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191381B1 (ko) 단체급식을 위한 식품구매/유통관리 시스템
KR102289914B1 (ko) 집단급식을 위한 식품구매/유통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5184459A (zh) 企业知识产权管理系统
CN102598044A (zh) 一种管理有关知识产权资产的证券单元的系统和方法
Datta Materials Management: Procedures, text and cases
Sporta Effect of Inventory Control Techniques on Organization’ s Performance at Kenya Medical Supplies Agencies
Chu et al. Vertical coordination in agri‐food supply chain and blockchain: A proposed framework solution for Vietnamese cashew nut business
Sen et al. Module 10: ICT applications for smallholder inclusion in agribusiness supply chains
Case et al.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Mughal et al. Cloud based ERP system for SME industry
Mutamimah et al. Corporate governance innovation framework to reduce credit risk in MSM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uma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ffe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n the dairy Industry: A study in the Indian Context
KR102571827B1 (ko) 농수산물 수의거래 시스템
Harrison et al. Cash Purchase Information System Design
Oates Blockchain from farm to fork-a new business model for tracing local South African market food supply chai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gamah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or Denaks Frozen Foods
Patel et al. Study of E-Procurement Practices in Selected Organizations in Gujarat
Shalakha Innovative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nd organisational performance of oil marketing companies in Kenya
Iordache et al. USING THE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SOFTWARE AS A SAAS IN THE DIGITAL ECONOMY-A CASE STUDY ON ODOO SOFTWARE
Nicoletti et al. Costs and Agile Procurement
DESMENNU DIGITIZ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Wambasi SUPPLY CHAIN DESIGN AND PERFOMANCE OF STATE OWNED SUGAR FIRMS IN KENYA
Wajih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nhancing Exporting Case study: TOLGA AGRO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