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125B1 - IoT 무인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무인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125B1
KR101908125B1 KR1020180042373A KR20180042373A KR101908125B1 KR 101908125 B1 KR101908125 B1 KR 101908125B1 KR 1020180042373 A KR1020180042373 A KR 1020180042373A KR 20180042373 A KR20180042373 A KR 20180042373A KR 101908125 B1 KR101908125 B1 KR 10190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smart vending
information
smar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욱
Original Assignee
(주)아롬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롬엠앤씨 filed Critical (주)아롬엠앤씨
Priority to KR1020180042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50Finance; Insurance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 등을 무인 판매하기 위한 스마트판매기를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마트판매기가 특정 상품을 무인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상품의 중량이 현 시가에 맞춰 계산된 금액으로 육류를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배출오류를 신속하게 해소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남겨질 수밖에 없는 일부 상품을 신속하게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한 IoT 무인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무인 판매 시스템{IoT management system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을 무인 판매하기 위한 스마트판매기의 관리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을 무인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각각의 종류별로 각각의 중량에 맞춰 현 시가대로 계산된 금액에 판매되게 하는 한편, 해당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을 안전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구축된 IoT 무인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물이나 농수산물들은 다양한 유통과정을 거치는데, 간단하게 예를 들면 농가에서 소나 돼지들을 출하하고, 도살장(우시장, 가축거래상인, 도축장 경유)에서는 식품위생법에 따라 출하된 소나 돼지를 도축하고, 식품가공업체(도매시장, 공판장 경우)에서는 도출된 소나 돼지를 각 부위 별로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고, 유통업체들은 상기 식품가공업체가 처리한 육류들을 각 지역의 대리점이나 소매점으로 납부하고, 소비자들은 상기 대리점이나 소매점을 방문하여 육류를 구매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렇게 축산물들은 적어도 5단계(출하, 도축(도매), 가공, 유통, 판매) 이상의 과정을 거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축산물이나 농수산물들이 중간도매상이나 공판장 등을 통해 16단계의 경로를 거치면서 각 업체들의 유통비용과 운송비용 등이 포함된 상태로 판매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기본가격에 각 업체의 유통비용과 운송비용이 더 포함된 가격을 지불하고 해당 상품을 구입하였던 것이다. 즉, 출하시 가격은 10,000원도 안 하지만 구입시에는 20,000원 이상의 유통비용이 더 포함된 가격을 지불하고 각각의 육류를 구입하였던 것이다.
이에 유통과정을 단순화시켜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육류를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5524호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58008호와 같은 자동판매기가 등장하게 되었으나,
이러한 방안은 단순히 육류상품만을 판매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판매기에 대해 전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육류를 마치 일반 공산품처럼 취급하고 있다.
즉,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은 일반 공산품과 달리 각 부위(예, 목심, 등심, 안심, 갈비, 우둔, 설도, 양지, 사태, 등등)별로 나누어져 서로 다른 가격에 판매되고, 가공시 각각의 제품마다 그 무게가 서로 달라지는 데다가 출하되는 시기에 따라 그 수량도 서로 달라지면서 판매가격이 시시때때로 변하는데,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이러한 사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마치 동일한 무게와 생산성을 가진 공산품처럼 육류를 판매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실외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임으로 온도 및 습기 혹은 먼지나 충격 등의 외부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특히 내측에 보관된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은 날씨에 따라 쉽게 변질될 염려가 있어 잘못하면 이를 섭취한 소비자가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원거리에 위치한 관리자들이 각각의 육류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이러한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축산물이나 농수산물들 등은 그 형상이 제각각이고 그 무게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와 부피를 가진 포장박스 안쪽에 넣어야만 디스펜서 안쪽으로 다단 적층할 수 있고, 구매시 이를 하나씩 낙하시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포장박스 안쪽에 위치한 축산물이나 농산물 등은 그 형상이나 부피 그리고 무게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일정하지 않아 낙하시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디스펜서의 하부통로를 막아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포장박스는 소나 돼지와 같은 육류가 담긴 것이기 때문에 그 가격이 2만원 내지 4만원 정도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고가의 육류상품이 배출되지 않거나 혹은 바로 환불처리 되지 않으면, 화가 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축산물이나 농수산물(이하, 축산물 또는 육류로 통칭함) 등은 소비자의 기호가 서로 달라 일부 상품이 남겨질 수밖에 없는데다가
특히 상기와 같은 상품들은 시간이 지나면 변질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남겨질 수밖에 없는 특정 상품들을 신속하게 처리해 주어야만 하는 것이다.
KR 10-2001-0065524 A KR 10-2001-0068928 A KR 10-2001-0065495 A
이에 본 발명은 무인판매기를 통해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을 판매할 때 포장된 각 제품의 중량에 맞춰 현재의 시세로 대로 계산된 금액대로 판매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상기 포장박스의 배출오류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똑똑한 무인판매기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소비자들의 기호에 따라 남겨질 수밖에 없는 일부 상품들의 재고상태를 파악하고, 이의 상품이 신속하게 처리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농산물이나 축산물 등이 담겨지는 각각의 포장박스에 이의 중량 및 상태를 기록한 태그를 설치한 상태로 스마트판매기의 디스펜서에 적재될 때,
상기 스마트판매기의 리더기가 포장박스에 설치된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운영서버로부터 관리단말기가 등록한 시가정보를 받아들여,
각각의 스마트판매기가 포장박스에 담긴 각 상품이 중량에 맞춰 현 시가대로 계산된 가격에 서비스되게 구축한 IoT 무인 판매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시 스마트판매기의 디스펜서 하단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포장박스가 배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키오스크를 통해 품절이나 배출오류라는 사실을 안내하면서 터치시 해당 결제에 대한 취소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가 승인된 해당 결제를 취소처리하여 배출불량으로 인한 피해를 해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판매기에 의해 유통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을 소비자들에게 직접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각 상품의 중량에 맞춰 관리자 등록한 현 시가대로 계산된 가격에 각각의 상품들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판매기의 배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소비자가 직접 자신이 승인한 결제를 취소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의 불만이 신속하게 처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특정 상품의 남겨질 경우 이의 재고상태와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현재이 시세보다 우선순위로 판매되게 하는 세일가를 통해 남겨진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이 신속하게 처리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무인 판매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판매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마트판매기의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스마트판매기의 화면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스마트판매기의 화면 구성도.
도 6은 도 1의 운영서버의 화면구성도.
도 7은 도 1의 관리단말기의 화면구성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무인 판매 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무인 판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스마트판매기를 관리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특히 각각의 스마트판매기(30)를 통해 축산물이나 농수산물 등(이하, 육류 또는 육류상품이라고 통칭함)을 판매할 때 포장된 각 육류의 중량에 맞춰 현재의 시세로 대로 계산된 가격에 육류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것으로써,
특히 하나 이상의 스마트판매기(30)를 구입하여 육류상품을 유통 시키는 사업자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로 적재되는 포장박스(1)를 공급하는 가공업체와, 상기 스마트판매기(30)를 관리 운영하는 운영업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공업체는 농수산물이나 축산물 혹은 이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음식이나 등을 패키지화는 업체로서, 특히 스마트판매기(30)의 디스펜서(41)에 적재될 수 있게 일정한 크기의 규격화된 포장박스(1)에 가공된 농수산물이나 축산물을 포장하고,
상기 포장박스(1)는 할당된 식별정보를 토대로 각 농수산물이나 축산물의 무게와 유통기한을 등을 포함하고 있는 육류정보가 기록된 태그(2)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가공업체는 각각의 포장박스(1)별로 할당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내측에 보관되는 육류의 육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기록단말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록단말기(10)는 태그발급기(11)와 연결되어 육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나 QR코드 등으로 이루어진 태그(2)를 발급한다.
또한, 사업자는 스마트판매기(30)를 통해 축산물이나 농수산물(이하, 육류상품 또는 육류라고 통칭함)을 소비자에 유통 시키는 사업자로써, 특히 관리단말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자신이 관리하는 스마트판매기(30)의 매출현황이나 재고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스마트판매기(30)를 통해 판매되는 각 육류상품의 시가정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가격에 육류상품이 판매되게 한다.
또한, 상기 운영업체는 스마트판매기(30)를 관리운영하는 업체로써, 특히 스마트판매기(3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운영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원거리에서 각 사업자들이 자신의 스마트판매기(30)를 관리할 수 있게 서포트한다.
이때의 운영서버(20)는 각각의 스마트판매기(30)의 육류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스마트판매기(30)별로 할당된 식별정보와 판매중인 육류상품이 결제되도록 하기 위한 TID값을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판매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스마트판매기(30)로부터 육류상품의 입고정보와 이의 결제정보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더불어 상기 운영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사업자들이 결제상태나 입고상태 혹은 이를 토대로 판매현황이나 재고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한다. 참고로 이때의 운영서버(20)는 모바일 버전을 위한 운영서버와 웹버전을 위한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때의 운영업체나 사업자는, 각각의 사업자들을 서포트하면서 수익을 확보할 수 있지만, 각 스마트판매기(3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39)이나 키오스크(32)를 통해 노출되는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광고수익을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판매기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스마트판매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판매기(30)는 육류상품을 선택 구매할 수 있도록 형성된 키오스크(32)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상부도어 오픈시 내측에 포장박스(1)를 냉장 혹은 냉동 보관하기 위한 보관고(33)를 형성하고, 상기 보관고(33) 하부에 결제완료시 상기 보관고(33) 밖으로 인출된 포장박스(1)가 담겨지는 인출고(34)를 형성한다.
이때의 보관고(33)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포장박스(1)를 적재할 수 있는 디스펜서(41)를 슬롯(42)별로 형성하고, 상기 디스펜서(41)는 결제시 본체(31)의 지시에 따라 구동부(35)에 의해 디스펜서(41) 하단에 위치한 포장박스(1)를 하나씩 인출고(34)로 낙하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의 구동부(35)는 본체(31)와 연결된 컨트롤보드를 중심으로 체인을 움직여 다단 적층된 포장박스를 승/하강시켜 주면서 최하단에 위치한 포장박스(1)를 인출고(34)로 밀어내거나 혹은 낙하시켜 주고, 특히 상기 인출고(34) 혹은 디스펜서(41) 하단에는 포장박스(1)의 인출여부나 낙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36)를 슬롯별로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스마트판매기(30)의 보관고(33)에는 컴프레셔 동작시 냉각사이클에 따라 생성된 냉기를 상기 보관고 안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을 설치하고, 상부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램프를 설치한다. 이때의 냉각팬과 램프는 본체(31)와 연결하여 상부도어의 개폐사실을 기록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그 사실을 운영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보관고(33)에는 육류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고(33)의 온도나 습기 등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고, 이때의 감지센서는 본체(31)와 연결하여 보관고(33)의 상태가 지정된 온도를 벗어났을 때 운영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는 각 사업자들이 소지한 관리단말기(50)로 상태정보를 푸쉬메시지나 알람메시지 형태로 전송하여 이벤트 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체(31)는 입고정보와 결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컨트롤하는 단말기로써, 특히 키오스크(32)를 중심으로 결제단말기(37)와 함께 결제 완료시 영수증을 발급하기 위한 영수증 발급기(38)와 연결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운영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광고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고 디스플레이패널(39)을 통해 재생한다.
또한, 상기 결제단말기(37)는 신용카드로 결제 가능한 카드리더기이거나 혹은 모바일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 가능한 NFC단말기로써, 내측에 현금을 보관하고 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약탈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도 4는 스마트판매기의 키오스크를 통해 보여지는 설정화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업자는 특정 장소에 스마트판매기(30)를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판매기(30)의 키오스크(32)를 통해 관리자 모드로 진입하여 설정화면(60)을 오픈한다.
이때 오픈된 설정화면(60)에는 설정보기 버튼(61)과, 자료수신 버튼(62)과, 판매시작버튼(63)과, 입고버튼(64)과, 배출오류버튼(65)과, 프린터버튼(66)과, 냉장고세팅버튼(67)과, 결제취소버튼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설정보기 버튼(61)을 선택하여 사전에 규약된 원칙에 따라 할당받은 시리얼 번호(61a)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면 텍스트창(61b)에 자판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자판기의 등록여부 및 자판기 코드 자판기 명칭 설치위치 가맹점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사업자는 설정화면(60)의 자료수신 버튼(62)을 선택하여 운영서버(20)로부터 시세정보 및 드라이버 파일 등을 전송받아 초기 설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때 사업자는 도 4a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판매기(30)의 본체(31)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보관고(33)를 연결시켜 주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설정화면(60)의 냉장고세팅버튼(67)을 터치한 후, 냉장고 입력창(67a)에 1 또는 2를 입력하여 일측 보관고인지 아니면 타측 보관고인지 선택한 후, 포트(67b) 설정을 통해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SLOT창(67c)에 보관고 안쪽에 형성된 각 슬롯 번호 입력한 후, 작동테스트 버튼(67d)을 터치하여 일측에 형성된 텍스트창(67e)에 슬롯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서 해당 슬롯의 온도 및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업자는 상기 설정화면(60)의 프린트버튼(66)을 터치하여 스마트판매기(30)의 본체(31)와 영수증 발급기(38)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더불어 사업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고시 상기 설정화면(60)의 입고버튼(64)을 터치하여 입고화면으로 진입한다.
이때 초기 입고시에는, 냉장고 1 또는 2(64a)를 선택하여 일측에 있는 보관고 인지 아니면 타측에 위치한 보관고인지 선택하고, 해당 보관고에 위치한 각 슬롯번호(64b)별로 적재될 육류상품의 상품코드(64c)와 슬롯명칭(64d)을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이의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텍스트창(64e)에 각 슬롯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슬롯번호, 슬롯명칭, 등록상품 등을 확인하고 테스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포장박스(1)를 디스펜서(41)에 입고시킬 때에는, 상기 포장박스(1)가 적재될 슬롯(42)을 선택한 후 리더기(40)로 포장박스(1)의 육류정보를 스캔하여 확보하는 것이다.
이때 입고화면의 하단에 형성된 또 다른 텍스트창(64f)에 리더기(40)를 통해 읽어들인 육류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면서 슬롯의 위치, 등록상품, 중량, 판매가, 생산일자, 입고일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입고정보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업자는 설정화면(60)의 판매시작 버튼(63)을 선택함으로써 육류상품의 판매를 개시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5는 스마트판매기의 키오스크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판매화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키오스크(32)를 통해 보여지는 판매화면(68)에는 각각의 슬롯별로 디스펜서에 적재된 육류상품(예, 등심구이, 불고기, 양념불고기, 국거리, 떡갈비, 삼결살, 복삼살, 간장닭갈비, 앞다리살, 고추장 불고기, 간장불고기 등등)의 아이콘(68a)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 구매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육류상품을 터치하였을 때 하부 테이블(68b)에 선택된 육류상품의 이름과, 중량과, 가격 등이 디스플레이되면서 결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매화면(68)의 결제버튼(68c)을 선택하면 주문내역과 결제금액이 보여지는 테이블(68d)이 디스플레이되면서 가공업체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테이블(68e)이 디스플레이되고, 결제하기 버튼(68f) 선택시 신용카드 또는 모바일 결제수단으로 결제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디스펜서(41)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1)가 배출되고, 만일 감지센서(36)를 통해 포장박스(1)가 배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1)는 키오스크(32)를 통해 배출도중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문구나 품절되었다는 문구(68g)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소비자에게 취소버튼(68h)을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취소버튼(68h)을 눌러 자신이 결제한 내역 및 주문한 내역(68i)을 다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 후 취소버튼(68j)을 눌러 해당 결제를 취소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배출불량으로 인한 소비자이 피해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사업자는 관리단말기(50)를 통해 배출에러 사실을 확인하고 해당 스마트판매기로 이동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와 연결된 키오스크를 통해 관리자 모드로 진입하여 설정화면(60)의 배출오류버튼(65)을 선택하여 오류창(65a)을 오픈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오류창(65a)에는 일측 혹은 타측의 보관고 중 어느 보관고에, 몇 번 슬롯에, 어떠한 제품이 걸려, 배출오류를 일으켰는지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업자는 이를 확인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화면(60)으로 돌아가 입고버튼(64)을 선택하고, 배출오류를 발생시킨 슬롯(64e)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하단에 형성된 또 다른 텍스트창(64f)에는 배출오류를 일으킨 육류상품의 입고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특히 비고란에는 어떠한 육류상품이 배출오류를 일으켰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삭제버튼(64g)을 눌러 배출오류를 일으킨 입고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보관고의 슬롯(42)에 걸려있는 포장박스(1)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포장박스(1)의 육류정보를 리더기(40)로 다시 스캔해서 재입고시킴으로써 전산재고와 실 재고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배출오류 사실을 복구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를 통해 스마트판매기의 정보 등록화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운영서버(20)는 각각의 스마트판매기(3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각의 스마트판매기가 데이어베이스화한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하여,
먼저, 각 스마트판매기(30) 별로 자신의 고유한 정보인 스마트판매기 정보를 등록하는데, 대표적으로 등록창(70)에 스마트판매기 별로 할당된 시리얼번호나 이름 등에 해당하는 스마트기기명 항목(70a)과, 해당 스마트판매기를 소유 또는 관리하는 사업자의 이름에 해당하는 점주 항목(70b)과, 해당 스마트판매기로 포장박스를 배달하는 배송자/담당자 항목(70c)과, 해당 스마트판매기가 결제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TID 항목(70d)과, 해당 스마트판매기가 설치된 지역 또는 위치(예, 주소나 건물빌딩 이름 등등)에 해당하는 설치위치명 항목(70e)과, 해당 스마트판매기가 설치된 좌표값을 나타내는 위도 항목과 경도 항목 들을 설정 등록한다.
더불어 상기 운영서버(20)는 사업자 고유의 정보를 등록하는 데, 이때의 사용자 관리 등록창(71)에는 사업자(예, 사용자)의 접속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권한선택(예, 관리자/점주/배송자) 항목(71a)과, 사용자의 운영서버에 접속시 사용할 아이디 항목(71b)과, 사용자의 이름에 해당하는 사용자명 항목(71c)과,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여 입력하기 위한 비밀번호 항목(71d)과, 사용자가 다수의 가공업체 혹은 배달업체들 중 어느 그룹에 속할 것인지 정하기 위한 관리그룹 항목(71e)들을 설정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20)가 스마트판매기의 정보와 사업자 정보를 등록한 후에는, 상기 운영서버와 스마트판매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의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되며, 특히 상기 운영서버(20)는 스마트판매기가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가공하여 입고정보와 재고정보와 결제정보 등을 사업자에게 서비스한다.
즉, 상기 스마트판매기(30)가 포장박스를 각각의 디스펜서에 적재시킬 경우, 이의 입고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20)는 이를 가공하여 운영서버의 운영직원 또는 사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한 플렛폼에 따라 조건검색을 통해 표출된 데이터를 엑셀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는 입고관리창(74)을 형성한다.
이때의 입고관리창(74)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스마트판매기에 부여된 명칭이나 코드에 해당하는 스마트기점 항목(74a)과, 각각의 포장박스가 슬롯별로 디스펜서에 적재된 일자 및 일시에 해당하는 항목(74b,74c)과, 각각의 육류상품별로 할당된 상품코드 항목(74d) 및 이의 상품명(74e)과, 면/과세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74f)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운영서버(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마트판매기가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스마트판매기에 남겨진 육류상품의 재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운영서버(20)는 재고관리창(72)에 해당 스마트판매기(30)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이름 항목(72a)과, 일측 보관고 혹은 타측 보관고 중 어느 위치의 보관고에 해당 상품이 적재되었는지 나타내는 콜트체인위치 항목(72b)와, 해당 상품이 적재된 슬롯의 넘버 항목(72c)와, 그리고 해당 슬롯의 디스펜서에 남겨져 있는 상품의 수량 항목(72d)과, 이의 입고일자 항목(72e)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운영서버(20)는 각 스마트판매기가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결제정보나 매출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구축한다.
즉 상기 운영서버(2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출관리창(73)은 특정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이름 항목(73c)과, 구매일시 항목(73a)과, 상품명(예, 한우 불고기, 한돈앞다리살, 한우등심구이 등등) 항목(73c)과, 상품명에 대응하는 상품코드 항목(73b), 그리고 판매된 육류상품의 중량 항목(73d) 및 단가 항목(73e)과, 공급가액 항목(73f)과 판매금액 항목(73g)을 비롯하여 승인 또는 취소여부 항목(73h)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영서버에 접속한 사업자의 관리단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관리단말기(50)는 운영서버(20)에 접속하여 자신이 소유한 특정 스마트판매기의 판매가를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이때의 관리단말기(50)는 운영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사업자의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혹은 노트북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리단말기(50)는 등록된 사용자의 비밀번호와 아이디를 입력하면, 스마트판매기의 메인화면(80)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화면(80)에는 사업자가 원거리에서 자신의 스마트판매기를 관리할 수 있게 다양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의 관리단말기(50)는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판매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기시스템정보 아이콘(81)과, 상기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육류상품별로 그 가격을 조정하기 위한 판매가변경 아이콘(82)과, 상기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고 있는 육류상품의 매출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매출관리 아이콘(83)과, 재고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재고관리 아이콘(84)과, 자산의 점포를 관리하기 위한 점포관리 아이콘(8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특정상품에 우선순위를 설정된 가격에 판매되게 하는 세일관리 아이콘(8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아이콘은 실시 예에 따라 상부나 하부에 퀵 메뉴를 형성하여 빠르게 메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기시스템정보 아이콘(81)은 스마트판매기의 운영상태, 설치위치, 보관고의 온도, 재고상태 등을 테이블화하여 용이하게 각 스마트판매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판매가변경 아이콘(82)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보박스(82a)를 통해 특정 스마트판매기의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해당 특정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다수의 육류상품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불어 정보창(82c)에는 상기 콤보박스(82a)와 검색창(82b)을 통해 특정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특정 육류상품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정보창(82c)을 통해 상품명(예, 한우 불고기, 한독목살, 한돈삼겹살 등등)과 판매가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특정 상품의 일측에 형성된 변경버튼(82d)을 선택하였을 때 오픈된 팝업창(82e)을 통해 특정 육류상품의 시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출관리 아이콘(83)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상품의 매출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검색날짜를 입력하여 특정기간을 설정하면 정보창(83a)에는 해당 기간 내에 각각의 스마트판매기별로 판매된 총 매출액과 고객의 수 그리고 판매한 상품의 수량을 테이블화하여 보여주고, 상기 매출액과 고객수와 상품수를 합산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재고관리 아이콘(84)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판매기의 재고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업자가 보유한 다수의 스마트판매기(예, 1호점, 2호점 등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아코디언 탭(84a)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이코디언 탭을 선택하였을 때 일측보관고와 타측 보관고로 나누어서 각각의 슬롯별로 상품의 이름과 재고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84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점포관리 아이콘(85)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자 소유한 스마트판매기의 위치를 맵(85a)상에 원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원을 터치하였을 때 규약에 따라 파란색으로 70% 정도 남았는지 혹은 초록색으로 60% 정도의 남았는지 혹은 주황색으로 50% 정도 남았는지 혹은 노란색으로 30% 정도 남았는지 그 재고율(85b)을 보여주는 한편, 상기와 같은 재고율을 보일 때 특정 상품의 유통기간(85c)이 5일 이하로 남았을 때 빨간색으로 유통기한이 5일 남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맵(85a) 하부에 형성된 정보창(85d)에는, 스마트판매기의 타이틀(예, 1호점, 2호점 등등)을 가진 아코디언 탭을 형성하고, 각각의 타이틀 선택시 해당 스마트판매기에 입고된 상품의 수량과, 재고수량, 그리고 해당 재고수량이 20일전 혹은 10일전 입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세일관리 아이콘(86)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상품을 세일 판매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자신이 소유한 하나 이상의 스마트판매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콤보박스(86a)에 해당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하는 다수의 육류상품 중 특정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창(86b)과 함께 하부에 검색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창(86c)을 형성하고, 상기 정보창(86c)은 육류상품의 상품명과 함께 기간 및 세일적용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86d)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세일적용 버튼(85d) 동작시에는 팝업창(85e)이 오픈되면서 해당 팝업창(85e)에 상품평 및 원가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원가보다 우선된 가격으로 판매되게 하기 위한 세일가(85f)와 상기 세일기간(85g)을 등록하기 위한 시작일과 종료일을 등록하여,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육류상품을 판매할 때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남겨질 수밖에 없는 특정 육류상품을 신속하게 소진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무인 판매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써,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업자가 특정 장소에 스마트판매기를 설치하고 이때 할당받은 시리얼번호나 기기명을 입력하여 운영서버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101).
이때 상기 운영서버(20)는 해당 스마트판매기의 정보와 사업자의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연결요청을 하였을 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운영서버와 스마트판매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시세정보 및 관련정보를 요청하고 이의 정보를 전송받아 연결작업을 완료한다.(S102)
또한,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초기 설정일 경우, 지정된 포트설정을 통해 본체와 일측/타측 보관고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보고관의 슬롯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한다.(S103)
마찬가지로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본체와 영수증 발급기/카드 단말기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영수증 발급기/카드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한다.(S104)
그리고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보관고의 각 슬롯별로 슬롯번호와 슬롯명칭과 육류상품의 명칭을 포함하고 있는 슬롯정보를 등록한다.(S105)
이때 육류상품은 가공업체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포장박스에 담겨지고, 상기 포장박스는 가공업체의 기록단말기가 태그발급기를 통해 육류정보를 담고 있는 태그를 발행하고 상기 태그는 각각의 포장박스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되어져, 각각의 스마트판매기(30)의 디스펜서(41)에 적재된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판매기(30)는 본체(31)에 연결된 리더기(40)를 통해 포장박스(1)의 태그(2)를 스캔하여 육류정보를 확보한 후 입고시키고, (S106)
상기 본체(31)는 슬롯정보와 육류정보를 토대로 슬롯의 위치, 등록상품, 중량, 판매가, 생산일자, 입고일자 등을 포함하고 있는 입고정보를 형성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다.(S107)
그리고 상기 본체(31)는 운영서버(20)로 입고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지시하는 한편, 육류상품의 판매를 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업자는 관리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20)에 접속하여 자신의 스마트판매기(30)에 입고된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육류상품의 시세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이때 스마트판매기는 각각의 사업자 등록한 시세정보를 전송받고 혹은 입고후 등록된 시세정보를 전송받아 각각의 육류상품이 사업자가 등록한 시세정보에 맞춰 계산된 가격으로 육류상품을 판매하는 것이다.(S108)
더불어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육류상품을 판매할 때, 결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상기 결제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업자가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판매실적이나 재고상태 혹은 입고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구매한 후(S201), 해당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었을 때(S202),
포장박스가 디스펜서 하단에 걸려 배출되지 않으면.(S203)
상기 본체는 키오스크를 통해 배출도중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문구나 혹은 품절되었다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면서(S204)
해당 결제를 취소되게 하고(S205), 그 사실을 데이터베이스화하면서 운영서버로 결제가 취소된 사실을 보고하도록 되어있다.(S206)
더불어 사업자가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해당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하는 육류상품의 유통기한이 설정된 기간 이하로 남게되었을 때에는 이를 사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알려준다. 이때 관리단말기는 해당 육류상품이 시세보다 우선된 가격에 판매되게 하는 세일가격과 세일판매기간이 등록되면, 해당 육류상품이 지정된 기간동안 세일된 가격에 판매되면서 남겨지는 일 없이 판매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산물 시장의 유통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의 소비자에게 유통시킬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축산물의 중량이나 현 시세가 서로 다를 지라도 이에 맞춰 계산된 가격에 육류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포장박스 내측에 각각의 육류상품의 무게 중심이 서로 달라 배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소비자가 직접 자신이 승인한 결제를 취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불량으로 인해 소비자가 피해를 입게되는 일을 방지하였다. 더불어 현 시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수위로 등록된 세일가격으로 지정된 기간동안 특정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해당 육류상품이 남겨지는 일을 최소화하는 한편,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판매되도록 하였다.
1:포장박스 2:태그
10:기록단말기 11:태그발급기
20:운영서버 30:스마트판매기
31:본체 32:키오스크
33:보관고 34:인출고
35:구동부 36:감지센서
37:결제단말기 38:영수증발급기
39:디스플레이패널 40:리더기
41:디스펜서 42:슬롯
50:관리단말기

Claims (8)

  1. 가공된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이 담겨 질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디스펜서에 적재되는 포장박스(1);
    각각의 포장박스에 부착되는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의 중량 및 그 상태를 기록한 태그(2);
    스마트판매기에 연결되어, 각각의 포장박스의 태그(2)에 기록된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의 중량 및 그 상태를 읽어들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는 리더기(40);
    상기 리더기에 의해 읽혀진 다수의 포장박스가 각각의 슬롯(42)별로 디스펜서(41)에 입고되어 있다가, 키오스크(32)를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 구매하려고 할 때, 입고된 포장박스의 순서에 맞춰 각 상품의 중량 및 현 시가에 맞춰 계산된 판매가격을 안내하고, 결제완료시 입고된 순서에 맞춰 대응하는 포장박스가 출고되게 하는 사업자의 스마트판매기(30);
    각 사업자의 정보와 해당 사업자의 스마트판매기의 정보를 등록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스마트판매기로부터 입고정보와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토대로 각 사업자가 접속하였을 때 해당 사업자가 관리하는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재고상태나 판매상태를 해당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운영업체의 운영서버(20);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토대로 자신이 관리하는 스마트판매기의 입고상태와 결제상태 및 이에 따른 재고상태와 판매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각각의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상품의 시가정보를 조정하는 사업자의 관리단말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업자가 특정 장소에 스마트판매기를 설치하고 할당받은 시리얼번호나 기기명을 입력하여 운영서버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해당 스마트판매기의 정보와 사업자의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연결요청을 하였을 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가 사업자의 조작에 따라 시세정보 및 관련정보를 요청하고, 이의 정보를 전송받아 연결작업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초기 설정일 경우, 지정된 포트 설정을 통해 본체와 보관고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본체와 영수증 발급기/카드 단말기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각각의 슬롯별로 적재되는 포장박스의 상품에 맞춰 슬롯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초기 설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판매기(30)는 본체(31)와 연결된 리더기(40)를 통해 각각의 디스펜서에 적재된 혹은 적재될 예정인 포장박스(1)의 태그(2)에 기록된 중량 및 그 상태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이를 토대로 각 슬롯 별로 입고정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31)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운영서버(20)로 입고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지시하는 한편, 각 슬롯 별로 입고된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의 판매를 개시하는 단계와,
    소비자가 상기 스마트판매기의 키오스크(32)를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입고정보를 토대로 해당 상품의 중량 및 현 시가를 확인하고 이의 중량에 맞춰 계산된 판매가격을 소비자에게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결제 완료시 해당 상품이 들어 있는 포장박스를 디스펜서 밖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2. 가공된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이 담겨 질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디스펜서에 적재되는 포장박스(1);
    각각의 포장박스에 부착되는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의 중량 및 그 상태를 기록한 태그(2);
    스마트판매기에 연결되어, 각각의 포장박스의 태그(2)에 기록된 축산물 또는 농수산물의 중량 및 그 상태를 읽어들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는 리더기(40);
    상기 리더기에 의해 읽혀진 다수의 포장박스가 각각의 슬롯(42)별로 디스펜서(41)에 입고되어 있다가, 키오스크(32)를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 구매하려고 할 때, 입고된 포장박스의 순서에 맞춰 각 상품의 중량 및 현 시가에 맞춰 계산된 판매가격을 안내하고, 결제완료시 입고된 순서에 맞춰 대응하는 포장박스가 출고되게 하는 사업자의 스마트판매기(30);
    각 사업자의 정보와 해당 사업자의 스마트판매기의 정보를 등록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스마트판매기로부터 입고정보와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토대로 각 사업자가 접속하였을 때 해당 사업자가 관리하는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상품의 재고상태나 판매상태를 해당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운영업체의 운영서버(20);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토대로 자신이 관리하는 스마트판매기의 입고상태와 결제상태 및 이에 따른 재고상태와 판매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각각의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상품의 시가정보를 조정하는 사업자의 관리단말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판매기(30)는 각각의 디스펜서 하부에 포장박스의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스마트판매기의 본체가 결제 후 디스펜서 하단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포장박스가 배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판매기의 본체는 키오스크를 통해 해당 상품의 품절이나 배출오류라는 사실을 안내하면서 승인된 결제를 취소하기 위한 취소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취소버튼이 동작하였을 때 자신이 승인한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한편, 해당 결제를 취소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결제를 취소 요청한 사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그 사실을 운영서버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판매기(30)는 입고정보와 결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특정 상품을 선택 구매할 수 있게 하는 키오스크와, 상기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일측 혹은 타측에 상부도어 오픈시 내측에 포장박스가 냉장 혹은 냉동 보관되게 하기 위한 보관고와, 결제완료시 보관고 밖으로 인출된 포장박스가 담겨지는 인출고와, 상기 보관고 안쪽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포장박스가 슬롯별로 적재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특정 상품을 결제하였을 때 본체의 지시에 따라 각각의 슬롯에 적재된 포장박스를 하나씩 인출고로 배출시켜주는 구동부와, 상기 디스펜서 하단에 슬롯별로 포장박스의 배출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판매기는 운영서버로부터 광고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재생되면서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기는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소유한 특정 스마트판매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기시스템정보 아이콘(81)과, 상기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상품 별로 그 가격을 조정하기 위한 판매가변경 아이콘(82)과, 상기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상품의 매출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매출관리 아이콘(83)과, 재고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재고관리 아이콘(84)과, 자산의 점포를 관리하기 위한 점포관리 아이콘(85)과, 재고발생시 특정 상품을 설정된 기간동안 우선순위로 설정된 가격에 판매되게 하는 세일관리 아이콘(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기는 판매가변경 아이콘(82) 동작시 콤보박스(82a)를 통해 특정 스마트판매기의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해당 특정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다수의 상품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콤보박스(82a)와 검색창(82b) 하단에는 상기 콤보박스(82a)와 검색창(82b)을 통해 검색된 특정 스마트판매기의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창(82c)을 형성하고,
    상기 정보창(82c)은 상품명과 함께 시중에 판매되는 가격과 변경버튼(82d)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변경버튼(82d) 동작시 팝업창(82e)이 오픈되면서 해당 상품의 시세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기는 점포관리 아이콘(85) 동작시 사업자 소유한 스마트판매기의 위치를 맵(85a)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터치하였을 때 각 상품의 재고율(85b)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설정된 기간 이하로 남은 특정 상품의 유통기간(85c)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맵(85a) 하단에는 특정 스마트판매기 선택시 해당 스마트판매기에 입고된 상품의 수량과, 재고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85d)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기는 세일관리 아이콘(86) 동작시 자신이 소유한 하나 이상의 스마트판매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콤보박스(86a)와 해당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판매하는 다수의 상품 중 특정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창(86b)과 함께 하부에 검색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창(86c)을 형성하고,
    상기 정보창(86c)은 특정 상품의 상품명과 함께 기간 및 세일적용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86d)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세일적용 버튼(85d) 동작시에는 팝업창(85e)이 오픈되면서 해당 팝업창(85e)에 상품명 및 원가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원가보다 우선된 가격으로 판매되게 하기 위한 세일가(85f)와 세일기간(85g)을 등록하기 위한 시작일과 종료일을 등록하여 스마트판매기를 통해 특정 상품을 판매할 때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남겨질 수밖에 없는 특정 상품을 보다 더 저렴한 가격에 신속하게 판매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무인 판매 시스템.
KR1020180042373A 2018-04-11 2018-04-11 IoT 무인 판매 시스템 KR10190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373A KR101908125B1 (ko) 2018-04-11 2018-04-11 IoT 무인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373A KR101908125B1 (ko) 2018-04-11 2018-04-11 IoT 무인 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125B1 true KR101908125B1 (ko) 2018-12-18

Family

ID=6495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373A KR101908125B1 (ko) 2018-04-11 2018-04-11 IoT 무인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1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98B1 (ko) * 2019-03-04 2020-01-17 이승호 벤딩 머신화된 무인 상품판매점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방법
KR102159093B1 (ko) 2019-04-26 2020-09-23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레시피 제공 식육 자동판매시스템
KR102195924B1 (ko) * 2019-06-24 2020-12-29 주식회사 알파미트엘피씨 사물인터넷 포장육 자동판매기 및 이를 적용한 포장육 관리 방법
KR102338689B1 (ko) * 2021-08-19 2021-12-13 주식회사 아빠컴퍼니 무인 냉장고 매장을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72986A (ko) 2020-11-26 2022-06-03 안해성 시세로 판매되는 농산물 자동판매 시스템
KR102562616B1 (ko) * 2022-08-26 2023-08-02 주식회사 금보식품 인공지능에 기반한 닭고기 부위별 판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764A (ja) * 2002-07-25 2004-04-08 Seigo Murakami 商品値付け装置、レジスタ装置、端末装置および商品販売システムならびに商品販売システムにおける商品値付け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47084B1 (ko) * 2015-01-12 2015-08-24 이현수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764A (ja) * 2002-07-25 2004-04-08 Seigo Murakami 商品値付け装置、レジスタ装置、端末装置および商品販売システムならびに商品販売システムにおける商品値付け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47084B1 (ko) * 2015-01-12 2015-08-24 이현수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98B1 (ko) * 2019-03-04 2020-01-17 이승호 벤딩 머신화된 무인 상품판매점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방법
KR102159093B1 (ko) 2019-04-26 2020-09-23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레시피 제공 식육 자동판매시스템
KR102195924B1 (ko) * 2019-06-24 2020-12-29 주식회사 알파미트엘피씨 사물인터넷 포장육 자동판매기 및 이를 적용한 포장육 관리 방법
KR20220072986A (ko) 2020-11-26 2022-06-03 안해성 시세로 판매되는 농산물 자동판매 시스템
KR102338689B1 (ko) * 2021-08-19 2021-12-13 주식회사 아빠컴퍼니 무인 냉장고 매장을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62616B1 (ko) * 2022-08-26 2023-08-02 주식회사 금보식품 인공지능에 기반한 닭고기 부위별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125B1 (ko) IoT 무인 판매 시스템
Mou et al. Retail store operation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KR101882494B1 (ko) 축산물 무인 판매기 시스템
US20120303154A1 (en) Retail location robotic wall system
US20110266338A1 (en) Ta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Apparatus and System
EP1271378A2 (en) Administration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selling products
US6246995B1 (en) Product activity data collection system
CN103026391A (zh) 用于工作场所或受控环境的联网售卖机
TW200825972A (en) Shel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1100371A (ja) Posシステム
KR20190139650A (ko)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시장 가격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된 금액으로 판매되게 하는 무인 판매 시스템.
KR20240023378A (ko) 마트 쇼핑용 상품 구매 시스템
CN105723391A (zh) 利用码识别的支付服务方法及其系统
US8796564B2 (en) Produce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scale and a computer separate from a checkout computer
Basker The evolution of technology in the retail sector
US20070118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to a wireless device
JP2004295487A (ja) 顧客誘導システム
KR101049999B1 (ko) 소비자 추적 방법 및 장치
RU2405203C2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продаж для исключения очередей на кассовых терминалах существующих магазинов
JP5577301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献立特典プログラム
JP2004246887A (ja) 商品識別システム
KR101824570B1 (ko) 고객 데이터 보호 및 유연한 방법에 의한 자동 가격할인 기능을 가진 소매용 판매단말기(pos) 처리시스템
JP2006039842A (ja) 商品情報管理システム、商品情報管理方法、試用商品管理装置、プログラム
JP7066921B1 (ja) 倉庫内商品販売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06533B2 (ja) 商品販売方法およ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