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844B1 - 패러드론 - Google Patents

패러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844B1
KR101907844B1 KR1020180104599A KR20180104599A KR101907844B1 KR 101907844 B1 KR101907844 B1 KR 101907844B1 KR 1020180104599 A KR1020180104599 A KR 1020180104599A KR 20180104599 A KR20180104599 A KR 20180104599A KR 101907844 B1 KR101907844 B1 KR 101907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py
frame
canopy frame
control unit
para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욱
Original Assignee
고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욱 filed Critical 고영욱
Priority to KR102018010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844B1/ko
Priority to DE112019001102.2T priority patent/DE112019001102B4/de
Priority to CN201980015995.XA priority patent/CN111788118B/zh
Priority to US16/977,034 priority patent/US11772792B2/en
Priority to PCT/KR2019/002300 priority patent/WO20191683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22Load suspension
    • B64D17/34Load suspension adapted to control direction or rate of d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C22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추가하여 무인항공기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항공기 제작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유연한 산줄로 캐노피와 구동제어부를 연결하여 이륙의 어려움,날개접힘, 산줄의 꼬임으로 인한 안정성 저하 , 많은 산줄과 복잡한 구조로 인한 비싼 제작 비용 , 고속비행의 불가한 단점이 있어 무인항공기로서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캐노피를 지지하는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굴곡을 갖는 세로 캐노피 프레임 , 가로 및 세로 캐노피 프레임과 결합되어 비행체에 양력을 제공하는 패러포일로 구성된 캐노피와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제어부, 구동 제어부와 캐노피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으로 항공기를 구성하고 방향전환을 위한 서보모터 부와 캐노피를 접거나 펼수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진 항공기인 패러드론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륙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날개접힘 및 산줄꼬임이 없으며 , 캐노피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산줄없이도 방향조정이 가능하며 고속비행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패러드론 { Paradrone }
본 고안은 항공기, 무인 항공기, 드론, RC(Radio contol) 동력 패러글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추가하여 무인항공기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항공기 제작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캐노피(날개) , 산줄 , 구동부 및 제어부( 하네스, 이하 구동제어부) 로 구성 된다.
캐노피는 천으로 제작하며 산줄이 연결되어 있고 산줄은 구동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제어부는 모터,제어기기,통신모듈,배터리등으로 구성된다.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여러 개의 모터로 구성된 멀티로터(쿼드콥터등)에 비해 한 개의 모터로 동작하므로 체공시간이 길다.
구동제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비상 상황발생시에도 캐노피가 낙하산의 역할을 해 자유 낙하 속도로 추락하지 않아 기체가 손상될 가능성이 적다.
기존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단점은 아래와 같다.
천으로 만들어진 캐노피는 측풍 및 돌풍에 접힐 수 있어 날개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추락하거나 제어 불능상태에 들어갈수 있다.
유연한 산줄로 캐노피와 구동제어부가 연결되어 있어 구동제어부의 상단에 캐노피가 위치하도록 지지해 줄수 없다. 상기 이유로 인하여 이륙이 쉽지 않으며 캐노피와 구동제어부 사이의 산줄이 좌우로 꼬여서 제어 불능상태가 될 수도 있다.
캐노피의 제작비용이 높다.기존 캐노피 제작의 예를 들어 보자.
상판, 하판 , 상판/하판 사이에 격벽, 기공(공기 유입구)가 있도록 재단 및 재봉하고 수십 개의 산줄을 연결하여야 하며 각각의 산줄은 캐노피가 아치 모양을 유지하도록 길이를 모두 다르게 해야한다.
상기 작업들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제작 비용이 비싸다.
캐노피의 받음각을 변경할 수 없다.
이는 구조상 고속비행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제약을 만든다. 아래쪽에 위치한 구동제어부가 고속 비행을 위해 출력을 높이면 캐노피보다 먼저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러면 캐노피의 받음각이 너무 커지게 되어 고속비행에 적합하지 않다.
본 고안은 캐노피 제작 소재와 캐노피와 구동제어부의 연결방법을 변경하여 기존의 단점인 이륙시의 어려움 , 날개접힘, 산줄꼬임, 고가의 제작비용, 고속비행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캐노피를 지지하는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교차되고,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굴곡을 갖는 세로 캐노피 프레임 및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 및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과 결합되어 비행체에 양력을 제공하는 패러포일을 포함하는
캐노피를 포함하는 항공기인 패러드론이다.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 및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캐노피 프레임을 상기 패러포일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패러포일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노피는,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이 교차되는 부분을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캐노피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을 더 포함하여 패러드론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연결봉의 결합각도를 가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연결부를 포함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러드론의 방향 전환을 위한 서보모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부는 서보모터 본체와 상기 서보모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서보모터와 결합된 서보모터 본체 연결부 및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이 교차되는 부분을 결합시켜 고정하는 서보모터암을 포함하고, 상기 서보모터암은 상기 서보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연결봉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패러드론의 받음각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패러포일 제작 시 많은 산줄을 연결할 필요가 없고 접힘방지를 위한 기공 및 격벽을 만들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작방법이다.
2.강도가 있는 소재의 캐노피 프레임이 캐노피의 접힘을 방지한다.
3.산줄이 없이 캐노피와 구동제어부를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기체 전체의 형태를 지지해 주므로 이륙시와 비행중 안정성이 향상된다.
4.산줄이 없으므로 산줄이 꼬여 동작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5.산줄이 없이 방향조정이 가능하다.
6.비행의 용도에 따라 받음각 조절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활용범위가 넓어진다.
받음각이 크면 저속비행에 유리하며 받음각이 작으면 고속비행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촬영의 용도라면 저속비행이 유리하며 먼 거리 이동이라면 고속비행이 유리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각 부분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각 부분의 명칭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러포일 연결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각 부분의 명칭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각 부분의 명칭을 나타내는 후면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서보모터 부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서보모터 부의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서보모터암의 각도에 따라 받음각이 가변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으로 구성한 펼친 캐노피 각 부분 명칭 및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으로 구성한 접힌 캐노피 각 부분 명칭 및 확대도.
본 고안의 패러포일(이하 패러포일)의 구성 , 캐노피 프레임의 구성 및 역할 , 구동제어부 , 연결봉과 제 1실시예, 제2 실시예 , 제3 실시예로 나누어 기술하도록 하겠다.
패러포일(400)
도3과 도4의 패러포일(400)은 천과 같은 유연하며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천 이외에 비닐(PVC)등과 같은 다른 소재로도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가로 및 세로 캐노피 프레임과 같은 크기로 재단하며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과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패러포일 연결부(410)를 포함한다.
패러포일 연결부(410)
패러포일 연결부(410)는 패러포일(400)과 캐노피 프레임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패러포일과 캐노피 프레임의 연결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노피 프레임을 패러포일에 제작시 박음질로 고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고 패러포일 연결부를 추가하여 패러포일을 캐노피 프레임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5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위치에 천을 덧대고 박음질하여 프레임의 양쪽 끝을 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캐노피 프레임
캐노피 프레임의 재질은 강도가 있는 소재인 나무,플라스틱,카본,금속프레임등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상기 나열한 소재외에도 강도가 있는 소재라면 가능할 것이다.
캐노피 프레임은 한 개 이상의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과 한 개 이상 의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을 프레임 연결부(130)와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각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의 개수는 캐노피의 크기, 캐노피 프레임의 소재, 강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4의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과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과 프레임 연결부(130)로 구성되며 , 상기 3개의 부분을 통칭하여 이하 캐노피 프레임이라 하겠다.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
도4에서 기체 진행방향에 직각인 중간 가로 캐노피 프레임(111) 과 좌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2) 과 우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3)을 통칭하여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이라 한다.
상기 3개 ( 중간(111),좌측(112),우측(113)) 의 프레임은 한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좌우 2개 또는 3개 부분을 따로 제작 후 프레임 연결부(130)와 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은 측풍에 의해 캐노피가 접히지 않도록 캐노피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
도4에서 기체 진행방향과 평행한 1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1) , 2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2), 3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3) , 4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4) , 5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5) 을 통칭하여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 이라 한다.
각각의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은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과 프레임 연결부(130)를 통해 결합되고, 또한 패러포일(400)과도 결합되어 캐노피(날개)의 형태를 유지하며 기체 진행 방향에 대해 양력이 생길 수 있도록 캐노피 상단의 굴곡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연결부(130)
도4의 1번 프레임 연결부(131),2번 프레임 연결부(132),3번 프레임 연결부(133),4번 프레임 연결부(134),5번 프레임 연결부(135)를 통칭하여 프레임 연결부(130)라 하겠다.
각각의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과 각각의 세로 캐노피 프레임(120)은 각각의 프레임 연결부(130)와 연결 및 고정되어 캐노피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연결부(130)은 패러포일(400)과 박음질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4에서 2번 프레임연결부(132)과 4번 프레임연결부(134)는 아래에 연결봉(200)이 결합되어 있다. 연결봉(200)과 결합되는 부분의 개수에 따라 프레임 연결부(130)는 연결봉(200)과 결합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봉(200)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도4의 실시예는 원통형(파이프형태)의 결합부를 추가하고 연결봉(200)을 안쪽에 끼워 넣어 결합하는 예시를 보인 것이다.
캐노피
상기 패러포일(400)과 캐노피 프레임(110+120+130)을 결합하여 캐노피(날개,이하 캐노피)라 호칭하도록 하겠다.
구동제어부(300)
구동제어부는 모터 또는 엔진, 프로펠러 , 제어기기,통신모듈,배터리등으로 구성된다.
기체의 추진력을 제공하며 지상과의 통신 등의 역할을 한다.
연결봉(200) 하단에 구동제어부(300)가 연결된다.
연결봉(200)
연결봉(200)의 재질은 캐노피 프레임과 같이 강도가 있는 소재인 나무,플라스틱,카본,금속프레임등을 사용한다.
한 개 또는 2개 이상의 연결봉으로 연결할수 있다. 연결봉의 모양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T자 모양 , Y자 모양등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1 ~ 도4의 예시는 2개의 연결봉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11,도12 와 같이 한 개의 연결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실시의 예
연결봉(200)의 상단에는 캐노피(날개)와 연결되고 하단에는 구동 제어부(300)를 연결한다.
연결봉(200)의 역할은 캐노피가 구동제어부의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낙하산과 같은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기체의 무게중심은 구동제어부(300)에 있으며 무게중심이 캐노피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구동제어부가 추진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추락하지 않고 낙하산과 같이 천천히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캐노피(400+110+120+130) ,연결봉(200), 구동제어부(300)로 구성된 비행체는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1.캐노피 프레임과 패러포일로 구성하고 산줄이 없는 캐노피는 기존 캐노피 제작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단단한 소재의 프레임은 날개접힘이 없다.
3.유연한 산줄이 아닌 강도가 있는 연결봉(200)에 캐노피와 구동제어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꼬임이 발생할 수 없다.
4.연결봉은 캐노피가 항상 구동제어부의 위에 있도록 지지 해줄 수 있어 기체의 안정성 향상되며 이륙이 쉽다.
제2 실시의 예
아래는 캐노피와 연결봉(200)의 연결부분의 각도(받음각)를 비행 중에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산줄이 없이도 기체의 좌우 방향 조정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고속 및 저속 비행에 따라 캐노피의 받음각을 조절하여 효율적인 비행을 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에 대해 기술한다.
기체의 방향조정을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제1실시 예에서도 캐노피 후면의 패러포일을 좀더 크게 제작하고 산줄을 연결하여 기존의 패러글라이더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향전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구동부의 프로팰러에 좌우 방향타를 추가하여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아래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서보모터를 캐노피 및 연결봉(200)과 결합하여 좌우 방향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실시 예를 들지만 액추에이터 등의 다른 장치를 사용해서 연결봉(200)과 캐노피의 연결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서보모터본체(501) , 서보모터 암(502) , 서보모터본체 연결부(503)를 통칭하여 서보모터부(500)라 하겠다.
도8과 도9에 상기 서보모터부의 구성 및 가로 및 세로 캐노피 프레임(110,120) 과 연결봉(200)의 결합방법에 대한 예시를 참고하기 바란다.
캐노피의 좌측 및 우측에 2개의 서보모터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서보모터부는 각각 다른 각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6은 제2 실시예에 구성을 나타내는 캐노피와 연결봉의 전체 후면도이며 도7은 우측 서보모터부와 가로 및 세로캐노피 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8과 도9는 좌측 서보모터부의 결합 및 분해도이다.
서보모터본체(501) 및 서보모터본체 연결부(503)
서보모터본체(501)는 구동제어부(300)로 부터 연결된 전원 및 제어신호선(+,-,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한다.
상기 전원 및 제어신호선은 구동제어부(300)에서 연결봉(200)을 거쳐 서보모터본체(501)까지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200)을 파이프 형태의 소재로 구성할 경우 내부로 넣을 수도 있을 것이며 아닌 경우 연결봉에 고정하면 될 것이다.
사용자의 방향조정신호는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구동제어부(300)의 통신부에 전달되고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서보모터본체(501)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서보모터암(502)의 각도가 변경된다.
도7에서 서보모터본체(501)와 서보모터본체 연결부(503)는 한 개의 부속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아래는 연결봉(200)과 결합되어 있고 옆으로는 중간 가로 캐노피 프레임(111)과 결합되어 있다.
서보모터본체(501)와 서보모터본체 연결부(503)와 연결봉(200) 및 중간 가로 캐노피 프레임(111)은 서로 고정되어있어 각도가 변경되지 않으며 아래 서보모터암(502)의 각도가 변경된다.
서보모터암(502)
도7에서 우측 서보모터암(502)은 우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3)과 상단의 4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4)과 결합되어 있다.우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3)에는 5번 프레임 연결부(135)와 5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5)이 연결되어 있다.
서보모터암(502)의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서보모터암(502)에 결합고정되어 있는 4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4)과 우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3)과 5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5)의 각도가 같이 변하게 된다.이는 우측 캐노피의 받음각(Angle Of Attack)을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도10은 좌측 서보모터암(502)의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여기에 연결된 2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2)과 좌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2)의 각도가 변경되어 받음각 낮음,중간,높음으로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해의 편의상 도6에서의 좌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112)에 연결되어 있는 1번 프레임 연결부(131)와 1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1)과 패러포일(400)은 도10에서 표시하지 않았다.
방향 조정
도6에서 가로 캐노피 프레임(112)과 세로 캐노피 프레임(121+122)과 1번 프레임 연결부(131)는 좌측의 서보모터암(502)에 결합고정되고 , 가로 캐노피 프레임(113)과 세로 캐노피 프레임(124+125)과 5번 프레임 연결부(135)는 우측의 서보모터암(502)에 결합고정되어 있다.
좌측 서보모터암(502)의 각도를 조절하면 캐노피 좌측의 받음각이 변경되며, 우측 서보모터암의 각도를 조절하면 캐노피 우측의 받음각이 변경되게 된다.
좌측으로 방향전환 하고자 하는 경우 좌측 캐노피의 받음각을 높게하고 우측 캐노피의 받음각을 낮게하면 좌측 캐노피의 공기저항이 크게 되어 기체는 좌측으로 비행하게 된다.
우측으로 방향전환 하고자 하는 경우는 우측 캐노피의 받음각을 높게 하면 될 것이다.
기체는 좌우측중 상대적 받음각이 큰 쪽으로 방향이동을 하게 된다.
고속 비행을 하는 경우에는 좌우 양쪽의 받음각을 낮게하여 고속비행의 효율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저속 비행을 하는 경우에는 좌우 양쪽의 받음각을 높게하여 저속에서 더 높은 양력을 확보할 수 있다.
고속 및 저속 비행중에도 좌우의 각도를 다르게 하면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상대적 받음각이 큰 쪽으로 기체는 회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방향조정의 실시 예를 들어 보겠다.
편의상 도10의 받음각 낮음을 0도라 하고 받음각 중간을 45도 받음각 높음을 90도라 하겠다.
좌우측 모두 중간 받음각인 45도로 직선 비행중에 좌측으로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우측은 45도로 유지하고 좌측을 90도로 변경한다. 좌측의 받음각이 우측에 비해 높아 공기의 저항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기체는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고속비행중 방향조정의 예를 설명 하겠다.
고속이므로 양쪽 모두 받음각 낮음인 0도로 직선 비행중 우측으로 방향전환 하기 위해서는 좌측은 0도로 유지하고 우측을 45도로 변경한다. 우측의 받음각이 좌측에 비해 높으므로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3 실시의 예는 캐노피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상에서의 이동 및 보관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고안에 대해 기술하겠다.
도11은 비행을 위행 캐노피를 펼친 예시를 나타내며 도12는 보관을 위해 접은 예시의 도면이다.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
기존의 가로 캐노피 프레임(110)과 다른 점은 볼트 및 너트(650)를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것일뿐 나머지는 기존의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동일하다.
도11의 볼트 및 너트(650)를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과 접이식 제1연결부(610)에 체결하면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의 좌측 부분은 연결봉(200) 상단에 고정되나 우측 부분(접이식 제2연결부와 결합되는 쪽)은 아래 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볼트 및 너트(650)를 중심축으로 접이식 제1연결부와의 결합 각도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볼트 및 너트(650) 체결시,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의 우측이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강하게 체결하지 말고 약간의 유격을 두고 체결하여야 할 것이다.
접이식 제1연결부(610)
도11에서 접이식 제1 연결부(610)는 아래는 연결봉(200)과 연결 및 고정되고 상단에는 3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123)이 연결 및 고정된다.
좌측 및 우측에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과 볼트 및 너트(650)를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상기 구멍과 볼트 및 너트(650)가 접이식 가로 프레임(60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접이식 제2연결부(620)
도11에서 접이식 제2연결부(620)는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의 우측에 연결되어 있다. 하단에는 접이식 지지부(630)가 볼트 및 너트(650)로 유격을 두고 체결되어 있어 접이식 지지부(630)와의 연결 각도가 변할수 있다.
접이식 지지부(630)
도11에서 접이식 지지부(630)는 한쪽은 접이식 제2연결부(620)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접이식 고정부(640)과 연결된다.양쪽 모두 볼트 및 너트(650)을 유격을 두고 체결하여 양쪽 모두 각도가 변할 수 있다.
접이식 고정부(640)의 상하 위치에 따라 접이식 제2연결부(62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접이식 고정부(640)
도11에서 접이식 고정부(640)는 파이프 모양으로 연결봉(200)에 결합되어 있어 연결봉(200)을 따라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다.좌측 및 우측에는 접이식 지지부(630)와 볼트 및 너트(650)가 유격을 두고 체결되어 접이식 지지부(630)와의 결합각도가 변할 수 있다.
고정볼트(660)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이 있어 접이식 고정부(640)를 연결봉(200)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660)를 체결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접이식 고정부(640)의 상하위치가 변함에 따라 접이식 지지부(630)가 접이식 가로 프레임(600)을 밀어올리거나 내려가게 되어 캐노피를 접거나 펼수있으며 고정볼트(660)을 체결하여 해당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캐노피의 각도 조절 ( 펼치거나 접는 동작)
도12의 캐노피가 접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이식 고정부(640)를 밀어올리면 도11과 같이 캐노피가 펼쳐져 비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11과 같이 캐노피를 펼친 상태에서 접이식 고정부(640)를 아래로 내리면 도12와 같이 캐노피를 접을 수 있다.
비행을 위해 날개를 펼칠 경우에는 도11과 같이 연결봉(200)의 상단에 접이식 고정부(640)를 위치시킨 후 고정볼트(660)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캐노피가 펼쳐진 상태가 될 것이다.
날개를 접는 경우에는 도12와 같이 연결봉(200)의 하단에서 고정볼트(66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우산을 펼치고 접는 동작과 같은 방법으로 캐노피를 접거나 펼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의 예 외에도 캐노피를 접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1의 접이식 제1 연결부(610)과 접이식 가로 프레임(600)이 볼트 및 너트(650)에 의해 체결되는 부분에 볼트 및 너트(650)를 강하게 조여 접이식 가로 프레임(600)이 움직일 수 없도록 하면 접이식 지지부(630) 및 접이식 고정부(640)가 없이도 캐노피를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접고자 할때는 상기 볼트 및 너트(650)을 풀면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600)을 접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3 실시예의 기능에서 핵심되는 구성요소는 접이식 가로 프레임(6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접이식 제1연결부(610)이다.
400 : 패러포일
410 : 패러포일 연결부
200 : 연결봉
300 : 구동제어부
110 : 가로 캐노피 프레임 ( 111 + 112 + 113)
111 : 중간 가로 캐노피 프레임
112 : 좌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
113 : 우측 가로 캐노피 프레임
120 : 세로 캐노피 프레임 ( 121 ~ 125)
121 : 1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
122 : 2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
123 : 3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
124 : 4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
125 : 5번 세로 캐노피 프레임
130 : 프레임 연결부( 131 ~ 135 )
131 : 1번 프레임 연결부
132 : 2번 프레임 연결부
133 : 3번 프레임 연결부
134 : 4번 프레임 연결부
135 : 5번 프레임 연결부
500 : 서보모터부(501+502+503)
501 : 서보모터본체
502 : 서보모터암(Arm)
503 : 서보모터본체 연결부
600 : 접이식 가로 캐노피 프레임
610 : 접이식 제 1 연결부
620 : 접이식 제 2 연결부
630 : 접이식 지지부
640 : 접이식 고정부
650 : 볼트 및 너트
660 : 고정볼트

Claims (2)

  1. 패러포일;
    상기 패러포일을 지지하도록 상기 패러포일에 결합된 가로 캐노피 프레임;
    상기 패러포일이 양력을 발생하도록 굴곡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패러포일과 결합되고,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교차되도록 구성된 세로 캐노피 프레임;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 및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캐노피 프레임을 상기 패러포일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패러포일 연결부;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이 교차되는 부분을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는 캐노피;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캐노피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는;
    패러드론.
  2. 패러포일;
    상기 패러포일을 지지하도록 상기 패러포일에 결합된 가로 캐노피 프레임;
    상기 패러포일이 양력을 발생하도록 굴곡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패러포일과 결합되고,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교차되도록 구성된 세로 캐노피 프레임;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 및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캐노피 프레임을 상기 패러포일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패러포일 연결부;
    상기 가로 캐노피 프레임과 상기 세로 캐노피 프레임이 교차되는 부분을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는 캐노피;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캐노피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고;
    좌우 각각 다르게 구동될 수 있으며 연결봉 또는 구동제어부에 고정된 좌우의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암;
    상기 좌우 서보모터암에 각각 연결된 산줄;
    상기 패러포일의 후미의 좌우측에 상기 서보모터암과 연결된 상기 산줄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서보모터암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산줄이 상기 패러포일의 좌측 또는 우측 후미를 아래 방향으로 당겨 방향전환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러드론.

KR1020180104599A 2018-03-02 2018-09-03 패러드론 KR10190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99A KR101907844B1 (ko) 2018-09-03 2018-09-03 패러드론
DE112019001102.2T DE112019001102B4 (de) 2018-03-02 2019-02-26 Paragleiter-Drohne
CN201980015995.XA CN111788118B (zh) 2018-03-02 2019-02-26 伞式无人机
US16/977,034 US11772792B2 (en) 2018-03-02 2019-02-26 Paradrone
PCT/KR2019/002300 WO2019168316A1 (ko) 2018-03-02 2019-02-26 패러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99A KR101907844B1 (ko) 2018-09-03 2018-09-03 패러드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152A Division KR101907842B1 (ko) 2018-03-02 2018-03-02 패러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844B1 true KR101907844B1 (ko) 2018-10-12

Family

ID=6387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99A KR101907844B1 (ko) 2018-03-02 2018-09-03 패러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8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274A1 (en) * 2008-11-03 2010-06-03 Huseyin Yavuz Kocaova Sky sai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274A1 (en) * 2008-11-03 2010-06-03 Huseyin Yavuz Kocaova Sky sa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6260A1 (en) Folded wing multi rotor
JP7197177B2 (ja) バーティカルロータおよび水平ロータを有する自由翼マルチロータ
CN205707297U (zh) 固定翼无人机
US7007889B2 (en) Flexible airfoils and method
US5280863A (en) Lockable free wing aircraft
KR101646736B1 (ko)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CN110712742A (zh) 一种由可控伞翼变换为可折叠固定翼的无人机及转换方法
WO2008063707A2 (en) System and method for a flyable and roadable vehicle
US9623954B2 (en) Hybrid lighter-than-air vehicle
CN104260873B (zh) 一种三角翼飞行器
CN109484634A (zh) 一种涵道式飞行器
CN108202568A (zh) 飞行汽车
CN209366454U (zh) 一种涵道式飞行器
CN210707856U (zh) 一种由可控伞翼变换为可折叠固定翼的无人机
KR101918439B1 (ko) 안정적인 비행 수행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
US11198506B2 (en) Aircraft with versatile aviation
CN113277066A (zh) 可伸缩机翼、包含其的飞行器及飞行器控制方法
KR101907844B1 (ko) 패러드론
KR101907842B1 (ko) 패러드론
CN108891591A (zh) 一种飞行器
US20230067713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eronautical Apparatus with a Folding Wing
US11772792B2 (en) Paradrone
CN115648870A (zh) 一种水空两栖跨介质无人飞行器
CN209956209U (zh) 一种变体机翼垂直起降无人机
CN113232830A (zh) 一种机翼可折叠的垂直起降无人机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