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665B1 -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 Google Patents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665B1
KR101907665B1 KR1020180025305A KR20180025305A KR101907665B1 KR 101907665 B1 KR101907665 B1 KR 101907665B1 KR 1020180025305 A KR1020180025305 A KR 1020180025305A KR 20180025305 A KR20180025305 A KR 20180025305A KR 101907665 B1 KR101907665 B1 KR 10190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icrobubble
pumps
purification syste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득형
Original Assignee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조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조득형 filed Critical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6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ubmerged type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water quality while mov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within an enclosed water body without a separate moving means. The apparatus comprises: a control unit (110); a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 plurality of pumps (120) for introducing fluid into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nd a plurality of nozzles (140) for discharging the microbubble containing fluid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Description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별도의 이동 수단 없이도 폐쇄성 수역 내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water quality while mov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within an enclosed water body without any moving means.

저수지 또는 호수와 같은 폐쇄성 수역(W)에 미세기포(micro bubble)를 공급하는 포기 장치(aeration device)가 수질 정화 장치로써 사용된다. 이러한 정화 장치가 폐쇄성 수역(W)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면 호기화되어 수질이 개선됨은 물론, 산화 작용을 통하여 수질이 정화될 수 있다. 즉, 미세기포는 인, 질소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미생물 증식에 필요한 용존산소를 전달하여 정화 효율을 상승시킨다. An aeration device that supplies microbubbles to an enclosed water (W) such as a reservoir or a lake is used a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When such a purifier supplies fine bubbles to the closable waterside W, it is aerat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the water quality can be purified through oxidation. That is, microbubbles can reduce phosphorus, nitrogen, and the like, and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transferring dissolved oxygen necessary for microbial growth.

다만, 기존에 사용되는 정화 장치는 위치 고정형이 대부분이었다.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purification apparatuses were stationary type.

도 1a 및 도 1b는 수중 위치 고정형 정화 장치를 도시한다. 수중에 위치하는 펌프(1)에 의해 미세기포가 생성되면 노즐(3)을 통해 분사된다. Figs. 1A and 1B show an apparatus for immobilizing an immersed position. Fig. When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pump 1 located in the water, the fine bubbles ar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3.

도 2a 및 도 2b는 지상 위치 고정형 정화 장치를 도시한다. 지상에 위치하는 펌프(1)에 의해 미세기포가 생성되고 배관(2)을 거쳐 수중에 위치하는 노즐(3)을 통해 미세기포가 분사된다. Figs. 2A and 2B show a land-position fixed type purification apparatus. Fig.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pump 1 located on the ground and fine bubbles ar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3 located in the water via the pipe 2. [

위의 정화 장치들은 모두 고정형이기에 포기 구역(4)이 제한적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고정되기에 포기 구역(4)이 폐쇄성 수역(W)의 일부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즉, 넓은 범위의 폐쇄성 수역(W) 중 일부에만 수질 정화 효과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above purification devices are all fixed type, the aeration zone 4 is limited. As shown in Figs. 1 and 2, since the device is fixed, the abandonment zone 4 must be limited to a part of the enclosure water W.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a part of a wide range of the closable waters (W) has a water purification effect.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폐쇄성 수역(W) 전체에 걸쳐 많은 노즐(3)을 다양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도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매우 많은 노즐(3) 및 펌프(1)를 사용하여야 함은 물론, 노즐(3)들을 수중에서 모두 연결하는 별도의 배관(2)도 다수 필요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place many nozzles 3 at various positions throughout the entire enclosure water W, but in order to do this, a large number of nozzles 3 and pumps 1 must be used, A plurality of separate pipes 2 are required to connect all of them in the water.

특히,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수중 위치 고정형 정화 장치의 경우 펌프(1)의 흡입부 역시 수중에 위치한다. 흡입부는 폐쇄성 수역(W) 내 유체를 흡입하므로 각종 오염물질들 역시 흡입부를 향해 함께 이동하게 되어 흡입부 주변에 오염물이 쌓이며 흡입부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여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xed position type purification apparatu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suction portion of the pump 1 is located in the water. Since the suction unit sucks the fluid in the closed water zone W, various contaminants are also moved toward the suction unit, thereby causing contamination around the suction unit and blocking the suction uni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식 정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obile cleaner has been developed.

한국등록특허 제10-1780582호는 별도의 이동수단을 갖는 이동형 녹조 제거설비를 개시한다. 이동수단은 추진장치와 프로펠러로 구성된다. 일종의 간이 선박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본 제거설비는 태양광 패널과 발전기를 구비하여 이동수단에 동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펌프에 동력을 제공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하고 녹조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며 이동한다. Korean Patent No. 10-1780582 discloses a portable algae removing apparatus having a separate moving means. The moving means consists of a propulsion unit and a propeller. A relatively large sized removal facility, such as a simple vessel, is equipped with a solar panel and a generator to provide power to the moving means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power to the pump to create microbubbles and mechanically remove the greenhouse.

한국등록특허 제10-1280430호는 자체 동력을 갖는 동력선박에 조류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연결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Korean Patent No. 10-1280430 discloses a system in which algae and a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are connected to a powered ship having self-power.

위 종래기술들은 모두 대형 설비이다. 따라서 선박을 제조하고 장비를 부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은 물론, 선박이 부유하기 어려운 저수지, 비교적 작은 호수, 또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조(tank)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해당 설비들을 가동시키는 데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에, 운영 경제성이 낮고, 정화 효율도 높지 않으며, 사람이 직접 해당 설비에 승선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All of the above prior arts are large installations. Therefore, it takes much time and effort to manufacture ships and attach equipment, and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m to reservoirs that are difficult to float, relatively small lakes, or relatively small tanks. 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energy is required to operate the facilities, the operating economics are low,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not high, and a person may need to board the facility directly.

(특허문헌 1) KR 10-1780582(Patent Document 1) KR 10-1780582

(특허문헌 2) KR 10-1280430(Patent Document 2) KR 10-1280430

(특허문헌 3) KR 10-1271212(Patent Document 3) KR 10-1271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고 사람이 승선하여 운영하여야 하는 대형 설비가 아니라, 비교적 작은 설비로서 어떠한 크기의 폐쇄성 수역에서도 운용 가능한 정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urifier capable of operating in a closed water body of a certain size as a comparatively small facility, not a large facility requiring a separate power and operated by a person.

특히, 이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성이 우수한 정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Particularly, a separate power source for moving is not required, and a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excellent economy is propos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110);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에 유체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펌프(120); 및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에서 생성된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140)을 포함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로서, 상기 복수의 노즐(140)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A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 plurality of pumps (120) for introducing fluid into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nd a plurality of nozzles (140) for discharging the fine bubble containing fluid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fine bubble generator (130), wherein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trol unit 110 individually controls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The mobile submersible microbubble purifier includes:

또한,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폐쇄성 수역(W)에서 부유하여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140)에서 토출되는 상기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상기 폐쇄성 수역(W)을 포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floats and moves in the closed water zone W, and the micro-bubble contain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bandons the closed water zone W .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GPS 수신부(113)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the GPS receiver 113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cation apparatus 100.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기(200)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114)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이동 경로(P)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110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4 that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to and from the terminal 200.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4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the movement path (P) of the mobile type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또한, 상기 이동 경로(P)는 미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어 정보는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개별적 동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ement path P is predetermined, and the control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motiv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with time.

또한, 상기 복수의 노즐(140)는 동일한 토출 방향을 갖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ame discharge direction.

또한, 상기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스크래퍼(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craper 180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charging direction.

또한,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이 상이하게 제어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이 동일하게 제어되어도, 동일하게 증가함으로써 가속이 가능하고, 동일하게 감소함으로써 감속이 가능하고, 동일하게 동력 전달이 중지됨으로써 정지가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cation apparatus 100 is rotated to the right or left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to be different. Even if the motiv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is controlled equally, acceleration is possible by increasing the same, deceleration is possible by decreasing in the same amount, and stoppage is possible by stopping the power transmission in the same way.

또한, 상기 복수의 펌프(12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50); 및 상기 복수의 펌프(120) 또는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에서 전력을 제공받는 배터리(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60)는 상기 제어부(110)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uel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fuel to the plurality of pumps 120; And a battery 160 receiving power from the plurality of pumps 120 or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The battery 160 preferably provides power to the controller 110 Do.

또한, 상기 복수의 펌프(120)에 전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전력을 제공받는 배터리(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60)는 상기 제어부(110)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hotovoltaic panel for provid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pumps 120; And a battery 160 receiving power from the solar panel. The battery 160 preferably provides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 In addition,

또한,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 각각은, 상기 펌프(120)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33); 상기 유체 유입부(133)에 연통되어 상기 유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134); 상기 공기가 유입된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하며 오염물이 분리되고 미세기포가 생성되어 선회하는 유체에 포함되는 통공형의 선회류 생성부(135); 및 상기 선회류 생성부(135)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류 생성부(135)로부터 상기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유입되며, 일측이 상기 노즐(140)에 연통하는, 통공형의 선회류 유입부(13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may include a fluid inlet 133 coupled to the pump 120 to receive the fluid; An air inflow portion 134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inflow portion 133 to introduce air into the fluid; A swirling flow generating unit 135 having a passage-type swirling flow, in which the fluid having the air introduced therein is circulated, the contaminants are separated, and fine bubbles are generated and are included in the swirling fluid; And a vortical flow-introducing unit (135) which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vortex flow generating unit (135) and into which the micro-bubble containing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vortex flow generating unit (135) (136).

또한,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평면은 다면체이며, 상기 복수의 노즐(140)은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다면체 중 복수의 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er 100 is preferably a polyhedron and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preferably located on a plurality of faces of the polyhedron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er 100.

또한, 초음파 생성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생성부(170)에서 생성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개별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sonic generator 17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170. The controller 11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motiv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based on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170 .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는 별도의 이동 수단 내지 이동 수단을 위한 연료가 필요하지 않고, 폐쇄성 수역 전체를 커버하는 배관과 노즐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어떠한 크기의 폐쇄성 수역이라도 전체적인 수질 정화가 가능하다. The mobile typ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fuel for separate moving means or moving means and does not require piping and nozzles covering the entire closed water body, Is possible.

즉, 미세기포를 생성하기에 어차피 필요한 펌프의 동력이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추가의 이동 수단이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진, 정지, 우회전, 좌회전 등 기본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크기가 큰 수역은 물론 작은 수역 등 수역의 너비와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of the pump required to generate microbubbles anyway is used for move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move forward, stop, turn right, turn left, etc., and thus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width of the water such as a small water area as well as a large water area.

GPS 수신부 및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미리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완전히 자동화된 운전도 가능하고, 단말기를 통한 수동 운전도 가능하다. 장치의 말단에 초음파 생성부를 구비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Remote control is possible using a GPS receiver and a transmitter / receiver. Fully automat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preset path, and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terminal is also possible.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apparatus to prevent collision.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를 폐쇄성 수역과 함께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제어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미세기포 생성기와 노즐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미세기포 생성기와 노즐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수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s. 1A, 1B, 2A and 2B show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3A and 3B illustrate a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closed water body.
Fig. 4 shows a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chematically shows a control part of a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and the nozzle of 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water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microbubble generator and nozzle according to Figure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a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하나의 도면부호가 동일한 부재를 설명하되, 동일한 부재가 다수개인 경우 다른 도면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펌프(121)와 제 2 펌프(122)로서 개별적으로 지칭될 수도 있으나, 펌프(120)로 기재하여 복수의 펌프를 한 번에 지칭할 수 있다. 미세기포 생성기(130)는 제 1 미세기포 생성기(131)와 제 2 미세기포 생성기(132)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고, 노즐(140)은 제 1 노즐(141)과 제 2 노즐(142)을 모두 지칭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140)은 노즐(143, 144, 145, 146)을 더 포함하여 함께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but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can be us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dentical members. For example, they may be referred to individually as the first pump 121 and the second pump 122, but as a pump 120, a plurality of pumps may be referred to at one time. The micro bubble generator 130 refers to both the first micro bubble generator 131 and the second micro bubble generator 132 and the nozzle 140 is a combination of both the first nozzle 141 and the second nozzle 14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zzle 140 may further include nozzles 143, 144, 145, 146 and may be referred to togeth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를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설명Explanation of Mobi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er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폐쇄성 수역(W)에서 부유하여 이동한다. 이동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미세기포 생성기(130)가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토출할 때의 반작용으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받는 것이 특징이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mobile submerged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ats and moves in the closed water zone W. A moving means is not separately provided, and the micro bubble generator 130 is provided with power for movement as a reaction when discharging the microbubble-containing flui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부(D)에서 도킹을 해제하여 미리 지정된 경로(P)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지정된 경로(P) 없이도 자율 운전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 초음파 생성부(170)가 중요하게 사용된다.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200)를 통하여 수동 운전도 가능하다. 상세한 운전 방법은 후술한다. As shown in FIG. 3A, the docking unit D can be docked and moved to a predetermined path P. Alternatively, the autonomous opera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a predetermined path (P). At this time,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70 is importantly used. Alternatively, manual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The detailed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제어부(110), 복수의 펌프(120),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 복수의 노즐(140), 연료 공급부(150), 배터리(160), 초음파 생성부(170) 및 스크래퍼(180)를 포함한다. 4 and 5, 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plurality of pumps 120, a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 plurality of nozzles 140, A fuel supply unit 150, a battery 160, an ultrasonic generator 170, and a scraper 180.

펌프(120)는 유체(즉, 폐쇄성 수역(W) 내의 유체)를 유입하여 미세기포 생성기(130)에 유입시킨다. 복수의 펌프(120)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그 동력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인버터 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pump 120 introduces the fluid (i.e., the fluid in the closed water body W) into the micro-bubble generator 130. The plurality of pumps (120) ar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For example, an inverter pump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o that type.

미세기포 생성기(130)는 펌프(120)에서 유체를 공급받고, 외기를 별도로 공급받아,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생성한다. 생성된 미세기포 포함 유체는 노즐(140)을 통해 토출된다. The micro-bubble generator 130 receives the fluid from the pump 120 and receives the outside air separately to generate a micro-bubble-containing fluid. The resultant fine bubble containing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14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외측에는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복수의 노즐(140)이 위치하되 상호 이격된다. 이 때에, 복수의 노즐(140)이 서로 다른 압력 내지 유속으로 유체를 토출하도록 펌프(120)가 제어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전진, 후진, 정지, 우회전, 좌회전 등 운전될 수 있다. 상세한 운전 방법은 후술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disposed outside the movable submerged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so as to discharge the micro-bubble containing fluid in the same direction,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ump 12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discharge the fluid at different pressures or flow rates. By using this, the movab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can move forward, backward, , Left turn, and the like. The detailed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10)는 제 1 펌프(121)를 제어하는 제 1 펌프 제어부(111); 제 2 펌프(122)를 제어하는 제 2 펌프 제어부(112);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13); 단말기(200)와 제어 정보,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4); 및 GPS 수신부(113)와 송수신부(114)에서 확인된 정보를 통하여 제 1 펌프 제어부(111)와 제 2 펌프 제어부(112)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first pump controller 111 for controlling the first pump 121; A second pump controller 112 for controlling the second pump 122; A GPS receiving unit 113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4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ontro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 from the terminal 200; And a main control unit 115 for controlling the first pump control unit 111 and the second pump control unit 112 through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GPS reception unit 113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4. [

GPS 수신부(113)에서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 확인된다. 이를 통하여, 자동 운전 및 수동 운전에 있어서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위치 및 운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ubmersible microbubble reflux 100 is confirmed in real time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113.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er 100 during automatic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단말기(200)는 송수신부(114)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자동 운전 또는 수동 운전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200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to and from the transceiver 114 and performs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자동 운전을 위해 단말기(200)에는 폐쇄성 수역(W)의 전체 도면 및 여기에 적용된 이동 경로(P)가 미리 결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운전은 펌프(120)의 개별적 동력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바, 제어 정보는 시간에 따라 복수의 펌프(120)의 개별적 동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for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mobile submerged filtration apparatus 100, the terminal 200 can be predetermined and stored with the entire view of the enclosed water W and the movement path P appli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submerged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is performed by individual power control of the pump 120, and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powers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over time can do.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수동 운전을 위해,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제어하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for manual operation of the mobile submersible microbubble reflux 100,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not shown)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제 1 펌프 제어부(111)는 메인 제어부(115)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제 1 펌프(121)의 동력을 제어한다. 제 2 펌프 제어부(112) 역시 메인 제어부(115)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제 2 펌프(122)의 동력을 제어한다. The first pump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power of the first pump 121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15. The second pump control unit 112 also controls the power of the second pump 122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15.

연료 공급부(150)는 펌프(120)에 연료를 공급한다. 공급되는 연료는 가솔린 등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The fuel supply unit 150 supplies fuel to the pump 120. The supplied fuel may be gasoline or the like.

펌프(120)가 연료를 공급받으면 유체를 펌핑하여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펌프(120)에 구비된 별도의 제너레이터(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데,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160)에 전달되어 제어부(1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pump 120 receives the fuel, it pumps the fluid to generate the micro-bubbles-containing fluid, thereby moving the mobile micro-bubbler 100 in the mobile water, and a separate generator (not shown) The generated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160 and used in the control unit 110. [

다른 실시예에서는, 펌프(120)가 아닌 미세기포 생성기(130)에 제너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미세기포 생성기(130)의 선회류 생성부(135)의 내측 말단(도면에서 좌측 말단)에 임펠러(미도시)가 구비되고,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고,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160)에 전달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micro-bubble generator 130, not a pump 120, may be provided with a generator (not shown) to produce power. For example, an impell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vortex flow generator 135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130 shown in FIG. 6, And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160.

연료 공급부(150) 외측에는 도킹부(D) 등에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 공급부 덮개(151)가 위치한다. A fuel supply cover 151 for injecting fuel in the docking portion D or the like is located outside the fuel supply portion 150.

다른 실시예에서, 연료 공급부(150) 대신 태양광 패널(미도시)이 위치하여 직접 전력을 생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산된 전력은 펌프(120)를 작동시킴은 물론 배터리(160)에 전달되어 제어부(110)에서도 사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a solar panel (not shown) may be located in place of the fuel supply 150 to produce direct power. In this case, the generate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160 as well as the pump 120, and is also used in the control unit 110.

또 다른 실시예에서, 풍력 발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wind power generator or the like may be used.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료 공급부(150) 대신 대용량 배터리들이 위치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 위치한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전된 전력은 펌프(120)를 작동시킴은 물론 제어부(110)에서도 사용된다.In another embodiment, instead of fuel supply 150, large capacity batteries may be located and charged directly from a power source located on land or water. In this case, the charged electric power is used not only in the operation of the pump 120 but also in the control unit 110.

초음파 생성부(170)가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외측 말단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생성부(170)가 초음파를 발산시키고 반사된 초음파를 다시 감지함으로써 둑이나 제방과 같은 장애물이 근접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된 정보가 다시 제어부(110)에 전달되고, 제어부(110)는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강제 제어함으로써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자율 운전을 수행한다. A plurality of ultrasonic wave generators 170 may be provided at the outer ends of the mobile submerged microbubble refiner 100.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70 emits the ultrasonic waves and detects the reflected ultrasonic waves again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obstacles such as the dam or the bank are close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thus confirme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the pumps 120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obstacle and perform safe autonomous operation.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주된 진행 방향(즉, 전진 방향) 측에 스크래퍼(180)가 위치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스크래퍼(180)가 구비되는 것이다.The scraper 18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i.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mobile submerged fine partic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S. 4 and 8, when discharging the microbubble-containing fluid in the same direction, the scraper 180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charging direction.

스크래퍼(180)는 유체는 통과시키되 녹조,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을 가둘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폐쇄성 수역(W)을 이동하면서 수질 정화를 이루는 동시에, 오염물이 여기에 수거됨은 물론, 해당 오염물들이 펌프(120)의 흡기부 쪽으로 이동하여 흡기부를 막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The scraper 180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uid is allowed to pass therethrough so as to confine contaminants such as a greenhouse and a floating substance. Accordingly, the mobi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can purify the water while moving in the closeable water body W, at the same time, not only the pollutants are collected therein, but also the pollutants move toward the intake portion of the pump 12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locking.

미세기포 생성기(130)는 어떠한 종류의 방식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나 선회류 생성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micro-bubble generator 130 is more preferably capable of generating a swirling flow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micro bubble generato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미세기포 생성기(130)는, 펌프(120)에 결합되어 폐쇄성 수역(W) 내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33); 유체 유입부(133)에 연통되어 먼저 유입된 유체에 공기를 추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134); 공기가 유입된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하는 통공형의 선회류 생성부(135); 및 선회류 생성부(135)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선회하는 유체가 유입되며 일측이 노즐(140)에 연통하는 통공형의 선회류 유입부(136)를 포함한다.The micro-bubble generator 130 includes a fluid inlet 133 coupled to the pump 120 and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closable waters W flows; An air inflow portion 134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inflow portion 133 to further introduce air into the fluid introduced first; A swirling flow generating unit 135 of a fluid-filled swirling flow type; And a vortical flow inlet (136)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ortex flow generating part (135) and having a swirling fluid inlet and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140).

폐쇄성 수역(W) 내의 유체는 유체 유입부(13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유입시켜 선회류 생성부(135)에 진입한다. 선회류 생성부(135)에 진입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진입 방향(도 6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비중 분리가 이루어져서 진입한 유체 내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은 선회류 생성부(135)의 외측 내벽에 모이게 되고, 공기는 잘게 분쇄되어 유체 내의 미세기포가 된다. 이와 같이 오염물이 제거되고 미세기포가 포함된 유체는 계석 이동하여 진입 방향의 말단에 이른다. 말단에 이른 미세기포 포함 유체는 유동하던 힘에 의해 선회류 유입부(136)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계속 유동하여 노즐(130)을 통해 분사된다. The fluid in the closable water zone W flows into the swirl flow generating unit 135 by flowing the air through the fluid inlet 133. When it enters the vortical flow generating section 135, it moves to the entering direction (the left side in Fig. 6) while rotating by the centrifugal force. In this process, the specific gravity separation is performed so that variou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ntering fluid are collect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side of the swirling flow generating portion 135, and air is finely crushed to be fine bubbles in the fluid. In this way, the contaminants are removed, and the fluid containing micro-bubbles is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entering direction. The fluid containing the micro-bubbles that have reached the end naturally flows into the swirling flow inlet 136 by the force of flow, continues to flow, and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130.

이와 같은 미세기포 생성기(130) 특유의 구조에 의하여, 다른 일반적인 미세기포 생성기와 달리, 미세기포 생성량이 높고, 미세기포 생성기(130) 자체가 오염물을 1차 제거하며, 필요시 보다 높은 압력 내지 유속으로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Unlike other conventional micro bubble generator, the minute bubble generator 130 has a high specific gravity and the micro bubble generator 130 itself firstly removes contaminants,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luid including the fine bubbles.

도 7은 미세기포 생성기(130)와 노즐(140)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수압을 도시하는데, 선회류 생성부(135) 내측 및 그 말단에서 비교적 높은 수압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성된 미세기포가 다량임을 알 수 있다. 7 shows the water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fine bubble generator 130 and the nozzle 140. It can be seen that relatively high water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swirl flow generator 135 and at the end thereof,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fine bubbles is larg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속도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가속 및 감속을 위해 펌프(120)의 동력을 제어함으로 족하지만,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 별도의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속도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peed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speed control unit (not shown) is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ump 120 for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but providing a separate mobile power for more precise control.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방향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 회전을 위해 펌프(120)의 동력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 족하지만,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 별도의 방향타(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rudder (not show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wer of the pump 120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for the right or left rotation. However, a separate rudd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more precise control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You can.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의 설명Explanation of operation method of mobile submerged bubble purification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폐쇄성 수역(W)에서 부유하여 이동하며, 복수의 노즐(140)에서 토출되는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폐쇄성 수역(W)을 포기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의 이동 동력은 미세기포 생성기(130)에 연결된 펌프(120)가 제공하는 것이며 별도 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즉, 펌프(120)는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동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를 이동시키기에, 별도의 이동 수단 내지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submerged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ats and moves in the closeable water area W, and the micro-bubble contain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flows into the closeable water area W Abandon process. The mobile power in this process is provided by the pump 120 connect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130, and no separate power is required. That is, since the pump 120 moves the mobile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power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s it is, no separate moving means or power source is required.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운전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re specific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 4,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노즐(140)은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되 상호 이격된다. 3, 4, 5 and 8,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ischarge the fine bubble containing fluid in the same direction.

제 1 노즐(141)과 제 2 노즐(142)이 동일한 동력의 펌프(120)에 의해 유체를 토출한다면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전진할 것이고, 모두 토출하지 않는다면 정지할 것이다. If the first nozzle 141 and the second nozzle 142 discharge the fluid by the same powered pump 120, the mobile submerged filtration apparatus 100 will advance and will stop if it does not discharge all.

제 1 노즐(141)만 유체를 토출하거나, 또는 제 1 노즐(141)이 제 2 노즐(142)보다 높은 동력의 제 1 펌프(121)에 의해 유체를 토출한다면 우회전할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 좌회전할 것이다. 즉,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이 상이하게 제어됨으로써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The fluid will be discharged only by the first nozzle 141 or if the first nozzle 141 discharges the fluid by the first pump 121 having a higher power than the second nozzle 142 and vice versa I will turn left. That is,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differently, the mobile submersible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moves to the right or left while rotating.

또한, 제 1 노즐(141)과 제 2 노즐(142)이 동일한 동력의 펌프(120)에 의해 유체를 토출하면서도, 동력이 동일하게 증가함으로써 가속이 가능하고, 동일하게 감소함으로써 감속이 가능하고, 동일하게 동력 전달이 중지됨으로써 정지가 가능하다.Even when the first nozzle 141 and the second nozzle 142 discharge the fluid by the pump 120 having the same power, acceleration can be accelerated by the same increase of the power, It is possible to stop by stopping the power transmission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자동 운전 및 수동 운전이 모두 가능하다.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oth automatic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자동 운전을 위해, 단말기(200)에는 폐쇄성 수역(W)의 정보(위치, 크기 등)와 이를 기반으로 한 이동 경로(P)가 미리 설정되고 저장될 수 있다. 이동 경로(P)는 직진, 회전 여부 등을 포함하기에, 시간에 따라 복수의 펌프(120)의 개별적 동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분 동안 제 1 펌프(111)와 제 2 펌프(112) 모두 100% 가동, 다음 10초 동안 제 2 펌프(112)의 작동 중지(즉, 우회전), 다음 1분 동안 제 1 펌프(111)와 제 2 펌프(112) 모두 100% 가동"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location, size, etc.) of the closable waters W and the movement route P based thereon can be preset and stored in the terminal 200 for automatic operation. The movement path P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powers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in accordance with time, including the straightness, rot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first pump 111 and the second pump 112 are both operated at 100% for 1 minute, the second pump 112 is stopped (i.e., turned to the right) for the next 10 seconds, 1 < / RTI > both the pump 111 and the second pump 112 are 100% operational ", and so on.

제어부(110)는 송수신부(114)를 통해 단말기(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10)의 메인 제어부(115)가 이를 기반으로 제 1 펌프 제어부(111) 및 제 2 펌프 제어부(112)를 통해 제 1 펌프(121)와 제 2 펌프(122)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P)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 과정 및 위치는 GPS 수신부(113)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다.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 The main controller 115 of the controller 110 individually controls the first pump 121 and the second pump 122 through the first pump controller 111 and the second pump controller 112 based on this. Accordingly, the mobi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moves along the predetermined movement path P. The movement process and the position are confirmed in real time via the GPS receiver 113. [

수동 운전을 위해, 단말기(200)는 GPS 수신부(113)를 통해 확인된 위치 정보를 송수신부(114)를 통해 확인한다. 또한, 단말기(200)는 펌프(120)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면서 단말기(200)의 입력부를 통해 펌프(120)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10)의 송수신부(114)에 전달하고, 이를 통하여 펌프(120)가 제어되어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이동 과정 및 위치는 GPS 수신부(113)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다. For the manual operation, the terminal 200 confirms the posi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GPS receiver 113 through the transceiver 114. [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includes an input (not shown) that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pump 120. The user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ump 120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200 while confirm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14 of the control unit 110, So that 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moves. Likewise, the movement process and position are confirmed in real time via the GPS receiver 113.

자동 운전과 수동 운전의 경우 모두, 초음파 생성부(170)가 동작하여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제방이나 둑과 같은 장애물에 충돌하는 현상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초음파 생성부(170)에 의하여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장애물과 소정의 거리 미만으로 가까워짐을 확인한다면, 메인 제어부(115)에 의하여 펌프(120)의 동력이 강제 제어될 수 있다. In both the automatic operation and the manual operation,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70 operates to automatically prevent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er 100 from colliding with an obstacle such as a bank or a dam. That is, if it is confirm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70 that the mobile micro-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approaches the obstacle by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wer of the pump 120 can be forcibly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115 have.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submerged micro bubble purification device

도 3 내지 도 8에서는 2개의 펌프(121, 122), 미세기포 생성기(131, 132) 및 노즐(141, 142)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도 9의 (a)), 노즐(140)은 복수 개이면 족하며 개수나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3 to 8 illustrate the case where two pumps 121 and 122, fine bubble generators 131 and 132 and nozzles 141 and 142 are provided (FIG. 9A) ) May be plural and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r position.

즉,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평면은 다면체이며, 복수의 노즐(140)은 다면체 중 복수의 면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That is, the plane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er 100 is a polyhedron, and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can be located anywhere on a plurality of faces of the polyhedron.

예를 들어, 도 9의 (b)와 같이 전진 방향에 노즐(143)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도킹부(D)와의 도킹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b), the nozzle 143 may further be position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the backward movement, which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docking with the docking station D.

다른 예를 들어, 도 9의 (c)와 같이 모든 방향에 노즐(143, 144, 145, 145)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방사상 전 방향을 포기 구역으로 설정하면서 이동한다는 장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nozzles 143, 144, 145, and 145 may be positioned in all directions as shown in FIG. 9C.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it moves while setti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obile submerged microbubble refinement device 100 to the aeration zone.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9의 (d)와 같이, 2개의 노즐(141, 142)이 기본적으로 위치하되, 다른 방향으로도 추가의 노즐(143, 144, 146)이 위치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9D, the two nozzles 141 and 142 are basically positioned, but the additional nozzles 143, 144, and 146 may be positioned in different directions.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 펌프
2: 배관
3: 노즐
4: 포기 구역
100: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110: 제어부
111: 제 1 펌프 제어부
112: 제 2 펌프 제어부
113: GPS 수신부
114: 송수신부
115: 메인 제어부
120(121, 122): 펌프
121: 제 1 펌프
122: 제 2 펌프
130(131, 132): 미세기포 생성기
133: 유체 유입부
134: 공기 유입부
135: 선회류 생성부
136: 선회류 유입부
140(141, 142, 143, 144, 145, 145): 노즐
150: 연료 공급부
151: 연료 공급부 덮개
160: 배터리
170: 초음파 생성부
180: 스크래퍼
200: 단말기
W: 수역
P: 이동 경로
D: 도킹부
1: Pump
2: Piping
3: Nozzle
4: Aeration zone
100: Mobi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device
110:
111: first pump control section
112: second pump control section
113: GPS receiver
114: Transmitting /
115:
120 (121, 122): pump
121: first pump
122: second pump
130 (131, 132): Micro bubble generator
133: Fluid inlet
134: air inlet
135:
136: Swirl flow inlet
140 (141, 142, 143, 144, 145, 145): nozzle
150: fuel supply unit
151: fuel supply cover
160: Battery
170: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180: scraper
200: terminal
W: Water
P: Movement path
D: Docking portion

Claims (13)

제어부(110);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에 유체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펌프(120); 및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에서 생성된 미세기포 포함 유체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140)을 포함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로서,
상기 복수의 노즐(140)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 각각은,
상기 펌프(120)에 결합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33);
상기 유체 유입부(133)에 연통되어 상기 유입된 유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134);
상기 공기가 유입된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하며 오염물이 분리되고 미세기포가 생성되어 선회하는 유체에 포함되는 통공형의 선회류 생성부(135); 및
상기 선회류 생성부(135)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류 생성부(135)로부터 상기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유입되며, 일측이 상기 노즐(140)에 연통하는, 통공형의 선회류 유입부(136)를 포함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A control unit 110;
A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 plurality of pumps (120) for introducing fluid into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nd
And a plurality of nozzles (140) for discharging a fluid containing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ine bubble generators (130), the apparatus comprising: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10 individually controls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 fluid inlet 133 connected to the pump 120 to receive a fluid;
An air inflow portion 134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inflow portion 133 to introduce air into the inflow fluid;
A swirling flow generating unit 135 having a passage-type swirling flow, in which the fluid having the air introduced therein is circulated, the contaminants are separated, and fine bubbles are generated and are included in the swirling fluid; And
The swirl flow generating unit 135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swirl flow generating unit 135 and receives the micro bubble containing fluid from the swirl flow generating unit 135 and has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140. 136)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는 폐쇄성 수역(W)에서 부유하여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140)에서 토출되는 상기 미세기포 포함 유체가 상기 폐쇄성 수역(W)을 포기 처리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under-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floats and moves in the closed water zone (W), and the micro-bubble contain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GPS 수신부(113)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GPS receiver 113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ubmerged fine partic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기(200)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114)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이동 경로(P)를 제어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110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4 for transmitting /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to / from the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path (P)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er (100)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4)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P)는 미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어 정보는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개별적 동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avel path (P) is predetermined and the control information comprises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powers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140)는 동일한 토출 방향을 갖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have the same discharge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스크래퍼(180)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craper (180)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said dispensing direction,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이 상이하게 제어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bile in-bubble purification apparatus (100) rotates to the right or left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differently,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펌프(12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50); 및
상기 복수의 펌프(120) 또는 상기 복수의 미세기포 생성기(130)에서 전력을 제공받는 배터리(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60)는 상기 제어부(110)에 전력을 제공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uel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fuel to the plurality of pumps 120; And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160 that is powered by the plurality of pumps 120 or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ors 130 and wherein the battery 160 provides power to the controller 11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펌프(120)에 전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전력을 제공받는 배터리(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60)는 상기 제어부(110)에 전력을 제공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hotovoltaic panel for provid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pumps (120); And
And a battery (160) powered by the solar panel, the battery (160) providing power to the controller (11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평면은 다면체이며,
상기 복수의 노즐(140)은 상기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100)의 다면체 중 복수의 면에 위치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ne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cation apparatus 100 is a polyhedron,
The plurality of nozzles (140) are locat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polyhedron of the mobile submerged foam purification apparatus (10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초음파 생성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생성부(170)에서 생성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복수의 펌프(120)의 동력을 개별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170,
Wherein the control unit (110) automatically controls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pumps (120) b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170)
Removable underwater microbubble purification system.
KR1020180025305A 2018-03-02 2018-03-02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KR101907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05A KR101907665B1 (en) 2018-03-02 2018-03-02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05A KR101907665B1 (en) 2018-03-02 2018-03-02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665B1 true KR101907665B1 (en) 2018-10-15

Family

ID=6386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305A KR101907665B1 (en) 2018-03-02 2018-03-02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66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46A (en) 2018-12-21 2020-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Zet streamer having low reaction forces
KR20230073390A (en) * 2021-11-18 2023-05-26 주식회사 나노솔루텍 Eco-friendl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green algae removal function
KR20230073389A (en) * 2021-11-18 2023-05-26 주식회사 나노솔루텍 Eco-friendl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33B1 (en) 2013-12-19 2014-08-12 주식회사 봄에코텍 Movab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33B1 (en) 2013-12-19 2014-08-12 주식회사 봄에코텍 Movab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46A (en) 2018-12-21 2020-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Zet streamer having low reaction forces
KR20230073390A (en) * 2021-11-18 2023-05-26 주식회사 나노솔루텍 Eco-friendl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green algae removal function
KR20230073389A (en) * 2021-11-18 2023-05-26 주식회사 나노솔루텍 Eco-friendl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KR102570151B1 (en) * 2021-11-18 2023-08-28 (주)티톱이앤지 Eco-friendl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green algae removal function
KR102570424B1 (en) * 2021-11-18 2023-08-28 (주)티톱이앤지 Eco-friendl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665B1 (en) A movable micro bubble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KR100499177B1 (en) Submersible in-situ oxygenator
JP2008063823A (en) Floating body device for recovering water-bloom propagation preventive floating material
WO2009116711A2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s
KR20190139240A (en) Marine Floating and Movable Hull Washing and Cleaning Plants
US6394015B1 (en) Boat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ing blasts of water
CN108218047B (en) Ocean vessel ballast water treatment barge for harbor operation
CN108189994B (en) Water jet propulsion pump capable of absorbing water from two sides
KR101757766B1 (en) High efficiency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o2 and ozone micro-bubbles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JP6242465B1 (en) Water quality improvement equipment
JP2911078B2 (en) Water flow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closed water area using the same
KR101750449B1 (en) a small s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f SBR method using both fixed and speed changeable floating aerator and a floating discharge device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9493371B1 (en) Barge with aeration system
US4614582A (en) Automatic and autonomous floating purifier with rotary belt separation and external radial circulation
RU2547102C1 (en) Underwater vehicle of increased manoeuvrability
KR102135956B1 (en)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tank
WO2013192000A2 (en) Nozzle mixing methods for ship ballast tanks
JP2022131716A (en)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224468B1 (en) Removal apparatus for green algae
JP2001104946A (en) Moving type floating plankton treatment apparatus
KR20170001767A (en) removal equipment for waterbloom
JPH05245485A (en) Water purifying ship
CN111994986A (en) Assembled biochemical pool defoaming device and defoaming method
CN114604926B (en) Floating cruising skimming device for spent fuel pool of nuclear power station
KR20170094717A (en) Movable and continuous algae removal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