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629B1 - Zero tension bobbin case - Google Patents

Zero tension bobbin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629B1
KR101907629B1 KR1020180019678A KR20180019678A KR101907629B1 KR 101907629 B1 KR101907629 B1 KR 101907629B1 KR 1020180019678 A KR1020180019678 A KR 1020180019678A KR 20180019678 A KR20180019678 A KR 20180019678A KR 101907629 B1 KR101907629 B1 KR 10190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lower thread
bobbin case
leve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면희
이효형
Original Assignee
(주)신진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스틸 filed Critical (주)신진스틸
Priority to KR102018001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6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6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tension bobbin case, capable of securing the quality of sewing, which comprises: a body (100) formed in a banana shape; a counterweight (200) separately coupled to a tip part (110) and a rounding part (120); a coupling device (300) provided at a central region of a rear surface; a cover (400)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to protect the coupling device (300); and a leaf spring (500) controlling tension of a lower thread (12).

Description

무장력 보빈케이스{ZERO TENSION BOBBIN CASE}ZERO TENSION BOBBIN CASE

본 발명은 밑실의 장력을 0으로 만든후 원하는 장력을 일정하게 얻을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속가마 회전식 로타리훅의 무장력 보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 윗실과 밑실의 장력 차이도 줄여 장력으로 인한 퍼커링을 최소화 하여 재봉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구비한 속가마 회전식 로타리훅의 무장력 보빈케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less bobbin case of a rotary hook of a rotary kiln rotary shaft having adjusting means for obtaining a desired tension constantly after making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zero. More specifically, And a control means for reducing the t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to minimize the puckering due to the tension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sewing.

재봉틀은 천이나 가죽, 종이, 비닐 등을 바느질 하는데 사용하는 기계이다.A sewing machine is a machine used for sewing cloth, leather, paper, and vinyl.

여기에 있어서의 재봉틀은, 윗실과 밑실을 엮어 봉제물에 스티치(땀)를 형성하는 Lock Stitch원리('박음질'이라고도 한다)에 의한 바느질용 재봉틀을 상정하고 있다. The sewing machine here assumes a sewing machine for sewing with a lock stitch principle (also referred to as a "staple") in which an upper thread and a lower thread are knitted to form stitches (sweat) on the sewing material.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재봉틀을 이용한 봉재작업은, 재봉틀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윗실과, 재봉틀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밑실을 서로 엮이게 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게 되는데, 윗실은 재봉틀 상부의 윗실꽂이에 꽂혀 있는 실패로부터 풀려나오고, 밑실은 재봉틀 하부의 내측에 결착되어 있는 밑실공급장치(이하 '가마'와 혼용사용 하기로 한다.)로부터 풀려나와 윗실과 밑실이 엮임으로써 비로소 봉재물에 스티치를 형성하여 봉재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Generally, in the sewing work using a conventional sewing machine, the upper thread su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lower thread suppli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re knitted together to form a stitch. The upper thread is loosened from the failure inserted in the upper threa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The lower thread is loosened from the lower thread feeding devic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sew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gama"), and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are engaged to form a stitch on the rod material.

또한, 여기에서의 속가마 회전식 로타리훅이란,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깥가마가 회전하는 전통식 로타리훅과 달리 속가마가 회전하는 로타리훅을 말한다.Here, the inner rotary rotary hook refers to a rotary hook in which the inner rotary shaft rotates, unlike the conventional rotary rotary hook in which the outer rotary shaft rotates, as shown in FIG.

이때, 윗실과 밑실을 엮이게 하기 위해서는 윗실과 밑실을 당겨서 엮어줘야 하는데 윗실과 밑실을 당기게 되면 필연코 윗실과 밑실에는 각각의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to be woven together,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should be pulled together, and when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are pulled,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respectively.

그런데, 최근의 섬유패션 산업의 소재는 경량화 및 박지화 되어가고 있다.By the way, the material of the textile fashion industry in recent years has become lighter and more flatter.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소정의 장력이 각각 작용되고 있는 윗실과 밑실을 당겨 서로 엮이게하여 봉재물에 스티치를 형성하게 되면 봉재물의 솔기(seam) 부분에 퍼커링이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titches are formed on the rod material by pulling the upper and lower thread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subjected to different predetermined tension, to each other, puckering may occur in the seam portion of the rod material.

특히, 상기와 같은 박지 직물은 봉재 작업시 다른 소재 직물에 비해 퍼커링의 발생율이 높다. Particularly, the above-mentioned thin-walled fabric has a higher rate of occurrence of percussion than other material fabrics in a sewing work.

퍼커링이란, 봉제작업후 봉재물이 본래의 길이보다 늘어나거나 오그라드는 현상 즉, 봉재물에 원하지 않는 주름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솔기(seam) 부분에 구김이 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퍼커링이 발생한 직물은 외관이 손상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저하된다.Perkering is a phenomenon in which after a sewing operation, the rod material is stretched or shrunk beyond its original length, that is, unwanted wrinkles are generated in the rod material. Generally speaking, the seam portion is wrinkled. The fabric with perc ring is damaged in its appearance and its value as a product is deteriorated.

따라서, 봉재 상품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퍼커링의 원인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봉재물에 퍼커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erchantability of the bar merchandis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cause of the perch ring is removed so as to prevent the perch from occurring in the bar ware.

봉재작업에 있어서 퍼커링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변수는 윗실과 밑실의 장력과 그 차이에서 발생하게 된다.The causes of perc ringing vary in the sewing work, but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re the tension of the upper and lower thread and the difference.

즉, 윗실(11)과 밑실(12)의 장력이 동일 할 때 비로소 퍼커링 없이, 도4에 나타낸 것처럼, 봉재물(13)의 중앙부에 매끄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11 and 12 have the same tension, stitches can be smooth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d 13, as shown in Fig. 4, without puckering.

윗실과 밑실의 장력이 서로 다르면 윗실과 밑실의 실 사용량이 각각 달라지게 되고, 이와같은 실 사용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봉제대상인 천이나 가죽의 솔기(seam) 부분에 주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If the upper and lower threads have different tensions, the upper thread and lower thread will vary in actual use. This imbalance in thread usage will result in wrinkles in the seams of the fabric or leather to be sewn.

따라서, 봉재물(13)에 퍼커링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윗실(11)의 장력과 밑실(12)의 장력을 동일하게 형성해 주는 것과 가능한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최소화 해주는 것이 관건이 된다. 윗실과 밑실의 장력이 동일하다고 해도 너무 강하면 박음질 대상인 천이나 가죽을 찌그려 뜨리게 되어 퍼커링이 발생된다. 4,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11 and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can be made the same and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can be minimized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puckering in the rod 13. [ This is the key. Even if the upper and lower thread have the same tension, if they are too strong, the fabric or leather to be stitched is refined and perching occurs.

그런데, 윗실(11)의 장력 조절은 비교적 용이한 바, 정교하게 치수화 되어 있는 재봉틀 상부구조의 장력조절장치(미도시)에 의해 윗실(11)에 필요한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11 relatively easily, the tension necessary for the upper thread 11 can be easily adjusted by a tension adjusting device (not shown) of the sewing machine upper structure which is dimensioned precisely.

즉, 윗실(11)의 장력은, 봉재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재봉틀 상부구조의 윗실꽂이로부터 풀려나오는 윗실의 장력 변화에 대응하여 그때그때 장력조절장치를 조정함으로써 윗실에 필요한 장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며 봉재작업을 진행할 수가 있다.That is,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11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change of the upper thread released from the upper thread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sewing machine while the sewing work is progressed, and then the tension necessary for the upper thread is variab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I can work on it.

그러나, 밑실(12)의 경우에는, 오로지 보빈케이스에 장착된 판스프링에 의존하여 장력이 조절되고 있으며 따라서 밑실의 양이 변하거나 실을 감아논 상태에 따라 장력이 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ower thread 12, the tension is regulated only depending on the leaf spring mounted on the bobbin case, so that the tens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lower thread or the winding state of the thread.

밑실(12)은, 실패로부터 풀려나와 판스프링에 거치된 후, 판스프링 자체의 탄성도에 의존하여 장력이 조절되며 봉재물에 공급되고 있다.The lower thread 12 is released from the failure and is mounted on the leaf spring, and the tension is adjusted depending on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itself and supplied to the rod material.

따라서, 실패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12)은 실패에 감겨져 있는 강도, 실이 풀려져 나오는 방향 및 실이 풀려지는 지점 등에 따라서 실패로부터 판스프링까지의 밑실(12)에 발생되는 장력은 그때그때 미세하게 달라지게 된다.Therefore,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lower thread 12 from failure to the leaf spring due to the strength of the thread wound on the threa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ead is released, and the point where the thread is released, etc., Will be different.

그러므로, 장력이 그때그때 미세하게 다른 상태로 공급되는 실패로부터 판스프링까지의 밑실(12)에, 판스프링은 항상 일정한 탄성을 가하여 장력을 조절하고 있으므로, 봉재물(13)에 공급되는 밑실(12)의 장력은 그때마다 미세한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leaf spring always adjusts the tension by applying a certain elasticity to the lower thread 12 from the failure that the tension is supplied to the minute different state at that time, the lower spring 12 supplied to the rod 13 ) Tensions are bound to have a slight difference every time.

따라서, 봉재물(13)에 공급되는 밑실(12)의 미세한 장력 차이로 인해 결국 윗실(11)과 밑실(12)의 사용량이 서로 달라지게 되어 결국 봉재물(13)에 퍼커링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Therefore, the amount of use of the upper and lower yarns 11 and 12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minute tension difference of the lower yarn 12 supplied to the bag material 13, I had a problem.

1. 2011.4.27.등록 한국특허 제10-1032967호 재봉틀 밑실공급장치,1. Registered on Apr. 27, 2011 Korean Patent No. 10-1032967 Sewing machine supply device, 2. 2012.4.5.등록 한국특허 제10-1136300호 고속박음질이 가능한 보빈커버케이스2. Registered on April 5, 2012. Korean Patent No. 10-1136300 A high-speed bumpable cover case 3. 2012.8.30.등록 한국특허 제10-1180154호 장시간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3. Registered on Aug. 30, 2012 Korean Patent No. 10-1180154 Shuttle Cases for Long Time Stitching 4. 2014.5.8. 등록 한국특허 제10-1395267호 재봉틀 밑실공급장치4. 2014.5.8. Registered Korean Patent No. 10-1395267 Sewing Machine Bottom Feeder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봉재물에 공급되는 밑실의 장력을 윗실의 장력과 동일한 장력이 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한, 밑실의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 무장력 보빈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unshielded bobbin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ension adjusting means of a lower thread, which can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supplied to the rod to be equal to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To provide a muffler bobbin ca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는, 원형상으로부터 일측이 함몰되어 내호(101)와 외주(102)를 갖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윗실고리(11)를 걸고 통과하기 위한 뾰족한 촉부(110)가 외향하여 형성되고, 타단부는 라운딩부(120)로 형성되며, 전면의 중앙영역에는 밑실(12)을 장착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밑실장착실(130)이 외주에 접하여 바나나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0)와; 일측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 인한 무게중심의 불균형을 상쇄하기 위해 상기 촉부(110)와 상기 라운딩부(120)에 각각 결합되는 무게중심추(200)와; 신속가마(B)에 결착하기 위해 후면의 중앙영역에 구비되는 결착장치(300)와; 상기 결착장치(300)를 보호하기 위해 후면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는 상부가 둥근 형상으로 된 커버(400)와; 상기 커버(400)의 외부 중앙부에 볼트결합 되어 밑실(12)의 장력을 조절하는 판스프링(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500)의 단부에서 밑실이 공급되도록 밑실이 가이드 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밑실장착실(130) 내부 일측에는 스터드(134)가 돌설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34)에는 탄성재로 된 레버(600)가 회동가능하게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mless bobbin case (1) having a crescent shape having one end from a circular shape and having a loop (101) and an outer periphery (102)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rounded portion 120. A bottom mounting chamber 13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 mounting the bottom chamber 12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ront face A body (100) formed in a banana shape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y; A weight center weight 200 coupled to the touching part 110 and the rounding part 120, respectively, to offset a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formation of a depression on one side; A fastening device (300)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for fastening to the quick kiln (B); A cover 400 having a rounded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to protect the binding apparatus 300; And a leaf spring 500 bolted to an outer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40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The lower spring is guided by a lower thread of the lower spring, In the case (1), a stud (1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ottom mounting room (130), and a lever (6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tud (134).

또한, 상기 레버(600)는, 탄성철편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삽입홈(630)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소정각도를 유지하며 V형상으로 벌려져 일체로서 형성되어, 일측 철편은 걸림편(610)이 되고, 타측 철편은 양 싸이드에 실가이드편(621)을 상향 절곡 형성한 밑실인출편(62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 600 is formed as an elastic piece, has an insertion groove 630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integrally formed as a V-shaped body with a predetermined angle maintain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other side of the iron piece is a lower thread draw-out piece 620 formed by upwardly bending the thread guide piece 621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레버(600)는, 걸림부(610)가 내호(101)에 돌출되도록 스터드(134)에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610 is tacked on the stud 134 so as to protrude from the railing 101.

또한, 상기 레버(600)는, 상기 신속가마(B)에 결착된 보빈케이스(1)가 윗실고리(11)를 통과할 때 보빈케이스(1)의 걸림편(610)이 윗실고리(11)에 걸리게 되면 레버(600)가 자체 회동되면서 걸림편(6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대편의 밑실인출편(620)이 따라나오면서 밑실인출편(620)에 걸려있는 밑실(12)을 당겨주게 되어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뽑아놓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 6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thread collar 11 when the fastener 610 of the bobbin case 1 passes through the upper thread loop 11 when the bobbin case 1 fastened to the quick thread B passes through the upper thread loop 11. [ The lever 600 is rotated by itself and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ing piece 610 is pulled out to pull the lower thread 12 hooked on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And the lower thread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previously drawn out.

또한, 상기 밑실인출편(620)에 의해 미리 뽑아놓게 되는 밑실(12)의 소정길이는, 봉재물(13)에 한땀의 스티치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ower thread 12 previously pulled out by the lower thread draw-out piece 620 is a length required to form stitches of one stitch on the thread material 1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속가마 회전식 로타리훅의 무장력 보빈케이스에 의하면, 봉재물에 공급되는 밑실의 장력을 0부터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최소화 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동일한 장력이 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supplied to the rod material can be provided from 0,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can be minimized, and the upper and lower threa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belt to be the same tension.

도1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사시 사진이다.
도2의 (a)(b)는,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가마와 보빈케이스 분리 사진이다.
도3은 봉재물에 스티치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4는 봉재물 중앙부에 퍼커링 없이 매끄럽게 스티치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분리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밑실장착실 실톳가이드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밑실 장력조절수단인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결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판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 and 2 (b) are photographs of a jaw and a bobbin case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stitch on a rod material.
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smooth stitches are form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rod without puckerin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magnetically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bottom mount mounting sit-down guide projection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lever which is the lower thread tension adjusting means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binding apparatus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cover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leaf spring of an armless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sign and the same name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첨부한 도1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사시 사진이고, 도2의 (a)(b)는,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가마와 보빈케이스 분리 사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봉재물에 스티치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4는 봉재물 중앙부에 퍼커링 없이 매끄럽게 스티치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분리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밑실장착실 실톳가이드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밑실 장력조절수단인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결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and FIG. 2 (b) are photographs of a jaw and a bobbin case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titch is formed smoothly without puckering in a central portion of a ro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narmed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bottom mount attachment bobbin thread protrusion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lever as a bobbin case tension adjusting means of a bobbin case,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bobbin bobbin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cover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첨부한 도1 내지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는, 원형상으로부터 일측이 함몰되어 내호(101)와 외주(102)를 갖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윗실고리(11)를 걸고 통과하기 위한 뾰족한 촉부(110)가 외향하여 형성되고, 타단부는 라운딩부(120)로 형성되며, 전면의 중앙영역에는 밑실(12)을 장착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밑실장착실(130)이 외주에 접하여 바나나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0)와; 일측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 인한 무게중심의 불균형을 상쇄하기 위해 상기 촉부(110)와 상기 라운딩부(120)에 각각 결합되는 무게중심추(200)와; 신속가마(B)에 결착하기 위해 후면의 중앙영역에 구비되는 결착장치(300)와; 상기 결착장치(300)를 보호하기 위해 후면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는 상부가 둥근 형상으로 된 커버(400)와; 상기 커버(400)의 외부 중앙부에 볼트결합 되어 밑실(12)의 장력을 조절하는 판스프링(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500)의 단부에서 밑실이 공급되도록 밑실이 가이드 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밑실장착실(130) 내부 일측에는 스터드(134)가 돌설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34)에는 탄성재로 된 레버(600)가 회동가능하게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to 11, the armless bobbin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rescent shape having one end from the circular shape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inner ring 101 and the outer periphery 102,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rounded portion 120.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mounting area for mounting the bottom thread 12, A body 100 formed in a banana shap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30; A weight center weight 200 coupled to the touching part 110 and the rounding part 120, respectively, to offset a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formation of a depression on one side; A fastening device (300)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for fastening to the quick kiln (B); A cover 400 having a rounded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to protect the binding apparatus 300; And a leaf spring 500 bolted to an outer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40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The lower spring is guided by a lower thread of the lower spring, In the case (1), a stud (1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ottom mounting room (130), and a lever (6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tud (134).

또한, 상기 레버(600)는, 탄성철편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삽입홈(630)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소정각도를 유지하며 V형상으로 벌려져 일체로서 형성되어, 일측 철편은 걸림편(610)이 되고, 타측 철편은 양 싸이드에 실가이드편(621)을 상향 절곡 형성한 밑실인출편(62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 600 is formed as an elastic piece, has an insertion groove 630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integrally formed as a V-shaped body with a predetermined angle maintain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other side of the iron piece is a lower thread draw-out piece 620 formed by upwardly bending the thread guide piece 621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레버(600)는, 걸림부(610)가 내호(101)에 돌출되도록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ing portion 610 is tack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ring 101.

또한, 상기 레버(600)는, 신속가마(B)가 윗실고리(11)를 통과할 때 상기 신속가마(B)에 결착되어 있는 보빈케이스(1)의 걸림편(610)이 상기 윗실고리(11)에 걸려 회동되면서 타측의 밑실인출편(620)에 의해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당겨 놓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 6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astening piece 610 of the bobbin case 1 fastened to the quick bob B when the fast bobbin B passes the upper thread loop 11 is engaged with the upper thread ring 11,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of the other side pulls the lower thread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advance.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는,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몸체(100)와, 무게중심추(200)와, 결착장치(300)와, 커버(400) 및 판스프링(500)으로 구성되어,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판스프링(500)의 단부에서 밑실이 공급되도록 밑실이 가이드 된다.5,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0, a weight center weight 200, a binding apparatus 300, a cover 400, and a leaf spring 500 10, the lower thread is guided so that the lower thread is supplied at the end of the plate spring 500. [

상기 몸체(100)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측이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를 이루고 내호(101)와 외주(102)를 갖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윗실고리(11)를 걸고 통과하기 위한 뾰족한 촉부(110)가 외향 형성되고, 타단부는 라운딩부(120)가 일체로서 형성된다.6, the body 100 is formed in a crescent shape having a depression 101 and an outer periphery 102, one end of which is depressed by a concave depression, the other end of which is passed through the upper thread ring 11 The rounded portion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또한, 상기 촉부(110)와 라운딩부(120)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함몰부의 형성으로 인한 무게중심의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임의 형상의 무게중심추(200)가 각각 결합된다.6, a gravity center weight 200 having an arbitrary shape is coupled to each of the touching part 110 and the rounding part 120 so as to control the unbalance of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formation of the depression .

또한, 상기 외주(102)를 따라,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길이의 벽체(131)가 상향으로 절곡 형성된다.6, a wall 1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bent upwardly along the outer periphery 102. As shown in Fig.

상기 몸체(100) 전면의 중앙영역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밑실(12)을 장착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밑실장착실(130)이 외주(102)의 벽체(131)를 따라 바나나 형상으로 형성된다.6, a lower mounting space 13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 mounting the lower thread 12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ront face of the body 100 in a banana shape along the wall 131 of the outer periphery 102 .

상기 밑실장착실(130)은,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면에는 상기 벽체(131)의 중앙부로부터 비닥면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길이의 밑실장홈(13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벽체(131)로부터 등거리를 이루며 외벽(131)을 따라 나란하게 소정갯수의 실톳 가이드돌기(133)가 돌설 형성된다.7, a bottom mounting groove 13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mounting chamber 130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wall body 131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thread guide protrusions 133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outer wall 131,

상기 코쿤형 밑실(12) 실톳(cocoon, 누에꼬치가 주둥이에서 실을 불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실톳)은, 상기 벽체(131)로부터 등거리를 이루며 벽체(131)를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소정갯수의 실톳 가이드돌기(133)에 안내되어 휘어져 장착되게 된다.The cocoon bottom thread 12 has a cocoon which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wall 131 and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slit guides And guided by the projection 133 to be bent and mounted.

이때, 상기 코쿤형 밑실(12) 실톳은, 별도의 밑실권취기(미도시)에서 층간 권취방향을 달리하며 소정길이로 권취되되 상,하부가 동일한 굵기의 일자(一字)로 된 코쿤 형상 실톳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coon-type lower thread 12 is woun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fferent winding direction (not shown) in a different winding direction (not shown), and the cocoon- .

상기 일자(一字)로 된 코쿤 형상의 동일한 굵기로 권취된 밑실(12) 실은, 종래의 도너츠 형상의 밑실(12)보다 권취되는 실의 층간 적재 상태가 매우 단단하여 무너지지 않으므로 실의 권취가 신속, 용이하여 재봉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bottom yarn 12 wound in the same thickness of the cocoon shape having the same letter as the above is wound on the lower yarn 12 of the conventional donut shape so that the interlaminar stacking state of the yarn is very hard and does not collapse, So that the efficiency of sewing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밑실장착실(130) 내부 일측에는,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터드(134)가 돌설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34)에는 탄성재로 된 레버(600)가 회동가능하게 탄설된다.8, a stud 134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ower mounting space 130, and a lever 6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tud 134. As shown in FIG.

상기 레버(600)는,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부에 삽입홈(630)이 형성되고, 일측의 걸림부(610)와 타측의 밑실인출부(620)가 소정각을 이루며 V형태로 벌려져 일체로서 형성된다. 8, an insertion groove 6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ver 600, and a latching part 610 on one side and a lower threading-out part 620 on the other side are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V- As shown in Fig.

상기 레버(600)는, 걸림부(610)가 내호(101) 밖으로 돌출되도록 탄설된다.The lever 600 is tacked so that the latching portion 610 protrudes beyond the inner ring 101.

상기 레버(600)는, 상기 신속가마(B)에 결착된 보빈케이스(1)가 윗실고리(11)를 통과할 때 보빈케이스(1)의 걸림편(610)이 윗실고리(11)에 걸리게 되면 레버(600)가 자체 회동되면서 걸림편(6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대편의 밑실인출편(620)이 따라나오면서 밑실인출편(620)에 걸려있는 밑실(12)을 당겨주게 되어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뽑아놓게 되는 것이다.The lever 600 is engaged with the upper thread ring 11 so that the fastener 610 of the bobbin case 1 is caught by the upper thread ring 11 when the bobbin case 1 fastened to the fast thread B passes the upper thread ring 11. [ The lever 600 is rotated by itself so that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ing piece 610 pulls the lower thread 12 hooked to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So that the lower thread 12 of the lower thread 12 is pulled out beforehand.

상기 몸체(100) 후면의 중앙영역에는, 도9 내지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속가마(B)와 결착하기 위한 결착장치(300)가 구비되며,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결착장치(300) 상부에는 상기 결착장치(300)를 보호하기 위한 둥근 형상으로 된 커버(400)가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9 to 10, a fastening device 300 is provided at the central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0 to fasten the fastener B to the fastening device 300. As shown in FIG. 10, 300 is coupled with a cover 400 having a round shape for protecting the binding apparatus 300. [

또한, 상기 커버(400)의 외부 일측에는,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결착장치(300)와 연계된 결착장치 조절 손잡이(310)가 결착되어 상기 결착장치(300)의 탈 부착을 조절한다.11, a binding device adjustment knob 310 coupled to the binding device 3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400 to adjust the removal of the binding device 300 .

상기 커버(400) 외부의 중앙부에는,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밑실(1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판스프링(500)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의 구성은 완성된다.11, a leaf spring 500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is bolted to the center of the outer side of the cover 400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armless bobbin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의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 속가마회전식재봉틀은, 전통 재봉틀의 동력축을 재봉틀 하부구조의 중심부로 기어구동에 의해 축이동하고, 축이동된 중심점으로부터 일측 최단거리 구조물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소정크기의 신겉가마(A)를 형성하여, 전통 재봉틀의 동력축 단부에 고정하고, 상기 신겉가마(A)의 내부에는 밑실(12)을 구비하고 있는 신속가마(B)가 축이동된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착되어, 축이동된 중심점을 중심으로 밑실(12)을 공급하면서 자체 회전하며 스스로 윗실고리(11)를 통과함으로써 윗실(11)과 밑실(12)을 엮이게 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는 재봉틀을 상정하고 있고,In the present embodiment, a rotary kiln rotary sewing machine is a rotary type sewing machine in which a power shaft of a traditional sewing machine is axially moved to a center portion of a sewing machine substructure by gear driving, and a predetermined size of a skein And a fastener (B) having a lower thread (12) inside the sheath (A) is rotatable about a center point on which a shaft (A) is axially moved, and is fixed to a power shaft end of a traditional sewing machine And the upper thread 11 and the lower thread 12 are knitted by passing the upper thread 11 through the upper thread 12 by itself while supplying the lower thread 12 around the center point of the axis movement, However,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는, 상기 신속가마(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속가마(B)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게 포개져 결착되어 있는 것이므로,Since the muffler type bobbin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quick kiln B and is superimposed on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quick kiln B,

상기 신속가마(B)가 신겉가마(A) 내부에서 축이동된 중심점을 중심으로 밑실(12)을 공급하면서 자체 회전하며 스스로 윗실고리(11)를 통과할 때에는, When the quick kiln B rotates itself while supplying the lower thread 12 around the center point of the shaft moved in the inside of the crown drum A and passes the upper thread ring 11 by itself,

상기 윗실고리(11)는 신속가마(B)의 개구된 상부에 포개져 결착되어 있는 보빈케이스(1)의 내호(101)를 반드시 거쳐서 빠져나가게 된다.The upper thread ring 11 is surely escaped through the loop 101 of the bobbin case 1 which is superimposed on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rapid bobbin B. [

따라서, 상기 밑실장착실(130) 내부 일측에 돌설 형성된 스터드(134)에 회동가능하게 탄설되는 상기 레버(600)의 걸림편(610)을 상기 보빈케이스(1)의 내호(101)에 돌출되도록 탄설함으로써, The engaging pieces 610 of the lever 600 pivotally mounted on the stud 13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mounting space 13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caps 101 of the bobbin case 1 By doing so,

상기 내호(101)를 통과하는 윗실고리(11)가 상기 내호(101)에 돌출된 레버(600) 일측의 걸림편(610)을 건드리며 통과하면 반대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밑실인출편(620)이 자체 탄성에 의해 따라나오면서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뽑아놓고 다시 자체 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pper thread loop 11 passing through the loop fastener 101 touches and passes through the fastener piece 610 on one side of the lever 600 protruding to the loop fastener 101 and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s 620 Is pulled out of the lower thread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coming out along with the self-elasticity, and is agai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own elasticity.

즉, 상기 신속가마(B)에 결착된 보빈케이스(1)가 윗실고리(11)를 통과할 때 보빈케이스(1)의 걸림편(610)이 윗실고리(11)에 걸리게 되면 레버(600)가 자체 회동되면서 걸림편(6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대편의 밑실인출편(620)이 따라나오면서 밑실인출편(620)에 걸려있는 밑실(12)을 당겨주게 되어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뽑아놓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astener 610 of the bobbin case 1 is caught by the upper thread collar 11 when the bobbin case 1 fastened to the fast bobbin B passes the upper thread loop 11,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ding piece 610 pulls the lower thread 12 hooked on the lower thread pulling piece 620, In advance.

일반적으로 한땀의 박음질에 필요한 밑실의 길이는 1~4mm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상기에서 레버(600)의 회동작용에 의해 확보되는 박음질 한땀을 위한 밑실의 길이는 이와 동일한 1-4mm가 될 것이다.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thread required for stitching one sweat takes 1 to 4 mm.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lower thread for stitching one sweat stuck to the lever 600 is made 1-4 mm will be.

그러나 구체적인 길이는, 봉재물(13)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이 될 것이다.,However, the specific length will be variabl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rod 13,

상기에서 미리 당겨놓게 되는 소정길이의 밑실(11)의 길이가 바로 이에 해당하게 될 것이다.The length of the lower thread 11 of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pulled in advance will correspond to this.

즉, 상기 밑실인출편(620)에 의해 미리 뽑아놓게 되는 밑실(12)의 소정길이는, 봉재물(13)에 한땀의 스티치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길이가 된다.That is,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ower thread 12, which is previously pulled out by the lower thread draw-out piece 620, is a length required to form stitches of one stitch on the thread material 13.

이처럼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뽑아 놓음으로써, 밑실(12)실패로부터 판스프링(500)까지의 장력은 최소의 상태가 된다. 즉, 미리 당겨진 밑실(12)의 장력은 사실살 0 에 가깝다.By pulling the lower thread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advance, the tension from the failure of the lower thread 12 to the leaf spring 500 is minimized. That is,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drawn in advance is close to zero.

따라서, 박음질의 대상과 원하는 박음질의 형태에 따라 윗실(11)의 장력을 결정하고 난 후, 밑실(12)의 장력은, 위에서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뽑아놓은 상태에서, 즉, 사실상 실패로부터 판스프링까지의 밑실의 장력이 최소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사실상 0에 가깝다), 봉재물(13)에 밑실(12)이 공급될 때 비로소 판스프링(500)에 의해 윗실(11)과 동일한 장력으로 2차로 조절해 줌으로써 윗실(11)의 장력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밑실(12)의 장력을 조절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fter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1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stitched and the desired shape of the stitched material,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is determin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thread 1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drawn in advance, The same as the upper thread 11 by the leaf spring 500 when the lower thread 12 is supplied to the rod 13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from the failure to the leaf spring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11 by adjusting the thread tension in the second direction.

즉, 밑실(12)은, 실패로부터 풀려나와 판스프링(500)에 거치된 다음 판스프링(500) 자체의 소정 탄성도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며 봉재물에 공급되게 되는데, 실패로부터 풀려나오는 밑실(12)은, 실패에 감겨져 있는 강도, 실이 풀려져 나오는 방향 및 실이 풀려지는 지점 등에 따라 실패로부터 판스프링(500)까지 걸쳐 있는 밑실(12)에 발생되는 장력은 그때그때 달라지게 되는바, 실패로부터 판스프링까지의 밑실(12)을 소정길이 미리 뽑아 놓음으로써 실패로부터 판스프링(500)까지의 밑실(12)에 발생되는 장력을 최소화 한 후, 봉재물에 공급될 때 윗실(11)의 장력에 맞추어 밑실(12)의 장력을 판스프링(500)에 의해 2차로 맞춰주면 비로소 윗실(11)과 밑실(12)의 장력이 같아져 봉재물(13)에 퍼커링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thread 12 is released from the failure and is mounted on the leaf spring 500. Then,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is adjusted by the predetermined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500 itself and supplied to the sewing material. The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thread 12 extending from the failure to the leaf spring 500 depending on the strength wound on the failu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ead is releas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thread is released are different at that time.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lower thread 12 from the failure to the leaf spring 500 is minimized by preliminarily pulling the lower thread 12 from the failure to the leaf spring in advance to a predetermined length, If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is adjusted to the second tension by the leaf spring 500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11 and the lower thread 12 becomes the same so that the occurrence of perching on the thread 13 can be minimized .

이상 본 발명인 무장력 보빈케이스(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무장력 보빈케이스
A 신겉가마 B 신속가마 H 밑실공급장치 11 윗실(윗실고리) 12 밑실 13 봉재물
100 몸체 101 내호 102 외주
110 촉부 120 라운딩부
130 밑실장착실 131 벽체 132 밑실장홈 133 실톳 가이드돌기 134 스터드
200 무게중심추 300 결착장치 310 손잡이
400 커버 500 판스프링 501 단부
600 레버 610 걸림편 620 밑실인출편 630 삽입홈
1 armless bobbin case
A Sincerity kiln B Rapid kiln H Lower thread supply device 11 Upper thread (upper thread loop) 12 Lower thread 13 Rod material
100 Body 101 No 102 Outer circumference
110 hand part 120 rounding part
130 Bottom Mounting Stand 131 Walls 132 Lower Mounting Holes 133 Sottle Guide Probe 134 Stud
200 Center of gravity Weight 300 Fastening device 310 Handle
400 Cover 500 Plate Spring 501 End
600 Lever 610 Holding piece 620 Lower thread releasing piece 630 Insert groove

Claims (7)

원형상으로부터 일측이 함몰되어 내호(101)와 외주(102)를 갖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윗실고리(11)를 걸고 통과하기 위한 뾰족한 촉부(110)가 외향하여 형성되고, 타단부는 라운딩부(120)로 형성되며, 전면의 중앙영역에는 밑실(12)을 장착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밑실장착실(130)이 외주에 접하여 바나나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0)와; 일측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 인한 무게중심의 불균형을 상쇄하기 위해 상기 촉부(110)와 상기 라운딩부(120)에 각각 결합되는 무게중심추(200)와; 신속가마(B)에 결착하기 위해 후면의 중앙영역에 구비되는 결착장치(300)와; 상기 결착장치(300)를 보호하기 위해 후면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는 상부가 둥근 형상으로 된 커버(400)와; 상기 커버(400)의 외부 중앙부에 볼트결합 되어 밑실(12)의 장력을 조절하는 판스프링(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500)의 단부에서 밑실이 공급되도록 밑실이 가이드 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밑실장착실(130) 내부 일측에는 스터드(134)가 돌설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34)에는 탄성재로 된 레버(600)가 회동가능하게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One end is formed with a sharp pointed portion 110 for passing through the upper thread loop 11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utwardly. A body 100 formed by a rounding part 120 and formed in a banana shap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mounting space 13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 mounting the lower thread 12 in a central region of the front face; A weight center weight 200 coupled to the touching part 110 and the rounding part 120, respectively, to offset a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formation of a depression on one side; A fastening device (300)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for fastening to the quick kiln (B); A cover 400 having a rounded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to protect the binding apparatus 300; And a leaf spring 500 bolted to an outer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40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ower thread 12. The lower spring is guided by a lower thread of the lower spring, A stud (1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lower mounting space (130) in case (1), and a lever (6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rotatably tacked on the stud (134) Bobbin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00)는, 탄성철편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삽입홈(630)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소정각도를 유지하며 V형상으로 벌려져 일체로서 형성되어, 일측 철편은 걸림편(610)이 되고, 타측 철편은 양 싸이드에 실가이드편(621)을 상향 절곡 형성한 밑실인출편(62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The le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600) is formed as an elastic piece, has an insertion groove (63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a V- (610), and the other side of the iron piece is a bottom thread draw-out piece (620) formed by upwardly bending the thread guide piece (621) on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00)는, 걸림부(610)가 내호(101)에 돌출되도록 스터드(134)에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The armless bobbin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600) is tacked onto the stud (134) so that the latching part (610) protrudes from the loop (10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00)는, 상기 신속가마(B)에 결착된 보빈케이스(1)가 윗실고리(11)를 통과할 때 보빈케이스(1)의 걸림편(610)이 윗실고리(11)에 걸리게 되면 레버(600)가 자체 회동되면서 걸림편(6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대편의 밑실인출편(620)이 따라나오면서 밑실인출편(620)에 걸려있는 밑실(12)을 당겨주게 되어 소정길이의 밑실(12)을 미리 뽑아놓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The bobbin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6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obbin case (1) fastened to the quick kiln (B) passes the upper thread loop (11) When the lever 600 is hooked on the hook 11, the lever 600 itself rotates, and the lower thread pull-out piece 620,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piece 610, comes out along the lower thread pull-out piece 620, So that the lower thread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pulled out in adv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인출편(620)에 의해 미리 뽑아놓게 되는 밑실(12)의 소정길이는, 봉재물(13)에 한땀의 스티치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5. The bobbin cas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ower thread (12) drawn beforehand by the lower thread drawer (620) is a length required to form stitches of one stitch on the thread (13)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장착실(130)은, 일자(一字)형상의 동일한 굵기로 권취된 코쿤형 밑실(12) 실톳이 휘어져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밑실장착실(130)의 외주에는 외벽(131)이 상향 절곡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외벽(131)의 중앙부로부터 바닥면의 중앙부를 향해 소정길이의 밑실장홈(13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외벽(131)으로부터 등거리를 이루며 상기 외벽(131)을 따라 나란하게 소정갯수의 실톳가이드돌기(133)가 돌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The lower mounting space (130)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lower mounting space (130)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lower mounting space (130) A bottom mounting groove 13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wall 131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wall 131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31,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ead guide protrusions (133) are formed in a line along the outer wall (1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장착실(130)에 장착되는 밑실(12) 실톳은, 지관이나 보빈없이 별도의 밑실권취기(미도시)에서 층간 권취방향을 달리하며 소정길이의 상,하부가 동일한 굵기의 일자(一字) 코쿤(cocoon, 누에꼬치)형상으로 된 실톳으로 형성되어 상기 밑실장착실(130)의 밑실장착부에 휘어지게 바로 눌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보빈케이스.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thread (12) attached to the bottom thread mounting chamber (130) has an upper thread portion and a lower thread portion which are different in winding direction And a cocoon-shaped cocoon having the same thickness is pressed and mounted so as to be bent at a lower thread mounting portion of the lower mounting thread-tightening chamber.
KR1020180019678A 2018-02-20 2018-02-20 Zero tension bobbin case KR101907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78A KR101907629B1 (en) 2018-02-20 2018-02-20 Zero tension bobbin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78A KR101907629B1 (en) 2018-02-20 2018-02-20 Zero tension bobbin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629B1 true KR101907629B1 (en) 2018-10-12

Family

ID=6387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678A KR101907629B1 (en) 2018-02-20 2018-02-20 Zero tension bobbin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6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84B1 (en) 2013-11-29 2015-05-12 소윙테크 주식회사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machine with means to prevent escape under thread
KR101554880B1 (en) 2014-07-28 2015-09-23 (주)신진스틸 A hook set with a bobbin thread detection system for sewing mach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84B1 (en) 2013-11-29 2015-05-12 소윙테크 주식회사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machine with means to prevent escape under thread
KR101554880B1 (en) 2014-07-28 2015-09-23 (주)신진스틸 A hook set with a bobbin thread detection system for sewing machi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4611B2 (en) Sewing machine
KR101626018B1 (en) Lock Stitch Type High-speed Rotary Shuttle Device with Bobin Case Base
ITUD990097A1 (en)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CORDS OR TAPES ON FABRICS, MULTI-NEEDLE SEWING MACHINE INCLUDING SUCH DEVICE AND
JPS6330037B2 (en)
US3875878A (en) Apparatus for crocheting a brim on cap
KR101907629B1 (en) Zero tension bobbin case
JP2000513260A (en)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known as "overlocking machines" for obtaining flat seams when joining pieces of ultra-thin knitted fabrics, especially stockings, pantyhose, tights and the like.
US3898699A (en) Cap having knitted crown and crocheted bri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87000152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itches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m
JPH0835162A (en) Method and device for embroidering with shuttle type embroidering machine
KR100355884B1 (en) Bobbin thread end gripper and shuttlelace cap of sewing machine
KR101519484B1 (en)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machine with means to prevent escape under thread
TWI787232B (en) Method of producing a seam beginning needle thread and sewing machine configured to implement a method of this type
CN215974390U (en) Rope embroidery active tension control mechanism
KR10257747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tterns of embroidery or quilting on fabric using several threads with different thicknesses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it
CN105283596B (en) Embroidery machine with at least one double-lock stitch rotating shuttle
US3463102A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s
JP2000507861A (en)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using sewing machine
JP2979249B2 (en) Knitted fabric manufacturing equipment
US293840A (en) Eliza h
US1857057A (en) Sewing machine
US370246A (en) Emil cobnely
JP2734718B2 (en) Overlock sewing machine
JP2680258B2 (en) Tension release device for yarn feeder of sewing machine
JPH09122369A (en) Vertically fully rotating shu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