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582B1 -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582B1
KR101907582B1 KR1020170040030A KR20170040030A KR101907582B1 KR 101907582 B1 KR101907582 B1 KR 101907582B1 KR 1020170040030 A KR1020170040030 A KR 1020170040030A KR 20170040030 A KR20170040030 A KR 20170040030A KR 101907582 B1 KR101907582 B1 KR 10190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fluid
main body
air resistance
resistan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462A (ko
Inventor
김주하
채석봉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4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5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10Influencing flow of fluids around bodies of solid material
    • F15D1/12Influencing flow of fluids around bodies of solid material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2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 F15D1/003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comprising surface features, e.g. indentations or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상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표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경되는 저항조절면을 갖고 있는 본체 및 저항조절면과 연결되도록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방향에서 본체를 가로지르며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본체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저항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유체속도 변화에 따라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정 속도 구간만이 아닌 저속 및 고속 구간 모두에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Self-adaptive air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속 구간뿐만 아니라 고속 구간을 포함하는 모든 속도구간에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저항은 공기 속을 운동하는 물체 또는 유동하는 공기 내에 위치하는 물체가 공기로부터 받는 저항을 말하며, 물체와 공기의 상대속도 크기에 따라 저항이 각각 달리 작용한다.
한편, 물체의 형상이 구체인 경우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가 커짐에 따라서 갑작스럽게 항력 계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드래그 크라이시스(Drag crisis)라 하고 이에 해당하는 레이놀즈 수를 임계 레이놀즈 수(Critical Reynolds number)라 한다. 이에, 종래의 딤플(Dimple), 서페이스 트립와이어(Surface trip-wire) 그리고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공기저항 감소장치는 임계 레이놀즈 수에 대응하는 속도보다 낮은 속도 구간에서 이러한 드래그 크라이시스를 앞당겨 유도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는, 특정 속도 구간에서만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구간을 제외한 이외의 속도 구간에서는 오히려 공기저항이 증가하였는데, 즉 낮은 속도 구간에서는 드래그 크라이시스를 유도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반면, 높은 속도 구간에서는 오히려 공기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2431호
본 발명은, 특정 속도 구간만이 아닌 저속 및 고속 구간 모두에서도 자가 적응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 형상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표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경되는 저항조절면을 갖고 있는 본체 및 상기 저항조절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방향에서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며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저항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표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경되는 저항조절면을 갖고 있는 본체 및 상기 저항조절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방향에서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며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저항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존의 딤플, 서페이스 트립 와이어를 이용한 것의 경우 낮은 속도 구간에서는 드래그 크라이시스를 유도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은 반면, 높은 속도 구간에서는 오히려 이러한 장치나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 구조물보다 공기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원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는 유체속도 변화에 따라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도록 유체의 속도가 저속 구간에서는 노출면적을 크게하고, 고속구간에서는 노출면적이 작도록 하여 정 속도 구간만이 아닌 저속 및 고속 구간 모두에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수동 제어 장치로 제작 되어 별도의 에너지 추가(Energy input)없이 작동하기 때문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없이 자가적으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리니어부시를 설치하여 공기저항 조절장치의 흔들림을 제어하고, 본체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다 정밀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가 유체 유동속도가 저속인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가 유체 유동속도가 고속인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와 비교예들 각각에 대한 레이놀즈 수와 항력계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300)는, 본체(100)와,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구형상으로 내부공간(101)이 형성되고, 외부표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경되는 저항조절면(110)을 갖고 있다.
상기 저항조절면(110)은 구형상의 상기 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따라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일방향을 향하여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저항조절면(110)은,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각도로 하여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50도 내지 80도(θ) 범위로 경사진 위치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저항 저감이 가장 우수한 70도의 경사진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항조절면(110)의 위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만약 상기 저항조절면(110)이 50도 미만의 위치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크라이시스가 70도의 경사진 위치에 해당하는 임계 레이놀즈 수 보다 더 큰 레이놀즈 수에서 유도되어 낮은 속도에서의 항력 감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또한 80도 초과하는 위치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낮은 속도 구간에서 저항조절면(110)보다 상류에서 유동 박리가 먼저 발생하여 항력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세하게, 상기 저항조절면(110)은, 노출면(111)과, 저항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노출면(111)은 구형상의 상기 본체(100)의 외부표면과 대응하여 매끄러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항면(112)은 상기 노출면(111)의 후방에 연결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01)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도 4참조).
여기서, 상기 저항조절면(110)은, 공기저항 감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노출면(111)과 상기 저항면(112)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도시된 구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하류측으로 가면서 증가 후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항조절면(110)은 본체(100)의 외부표면과 대응하는 측면으로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연결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내부공간(101)이나 외부에 노출되는 저항면(112)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는, 상기 저항조절면(110)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01)에 설치되고, 상기 저항조절면(110)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0)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는, 일방향에서 상기 본체(100)를 가로지르며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11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저항조절면(110)의 노출면적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는, 지지부재(210)와, 이동부재(220)와,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10)는 상기 내부공간(101) 내에 설치되고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부재(210)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내부공간(101) 내에 설치되어 외측면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10)는 전방 중앙부에 안착홈부(211)가 형성되도록 돌출부(21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부(211)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탄성부재(23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지지부재(2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00)와 결합되고, 외측면이 상기 저항조절면(110)과 결합되어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1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상기 이동부재(220)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내부공간(101)에 위치하고 외주측면이 상기 저항조절면(110)과 결합하는 이동플레이트(221)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21)의 전방 중앙에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중심축(22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안착홈부(211)에 안착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21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22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대향되는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기 이동부재(22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탄성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는, 상기 이동부재(22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리니어부시(240)를 설치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고, 본체(10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다 정밀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리니어 부시는 상기 이동부재(220)의 중심축(222)상으로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재(2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니어부시(240)는 공지의 부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유체의 유동속도에 따른 상기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유체의 유동속도가 설정된 범위의 저속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렇게 유체의 유동속도가 저속인 경우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22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한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이 유체의 유압보다는 크기 때문이며, 이렇게 되면 상기 저항조절면(110)은 상기 노출면(111)과 상기 저항면(112)이 모두 외부에 노출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의 유속이 저속인 경우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는 상기 노출면(111)과 상기 저항면(112)이 모두 노출되어 외부 노출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공기 저항이 감소된다.
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증가하여 설정된 유동의 고속구간에 해당되면,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받는 유체의 유동압력이 증가하면서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230)는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230)의 압축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220)가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저항면(112)이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면서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으면서, 상기 노출면(111)만이 외부에 노출되어 전체 노출면적을 감소시키고 매끄러운 표면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고속구간으로 접어들면, 상기 저항면(11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노출면(111)만 노출되어 외부 노출면적이 저속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속구간에서도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유체의 유속이 고속인 상태에서 다시 유속이 감소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하여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저항면(112)은 상기 이동부재(220)의 이동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되고, 유체의 유속에 대응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구형의 구조물에 대한 레이놀즈 수와 항력계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x축은 레이놀즈 수(Re)를 Y축은 공기저항계수(CD)를 나타내며, 각각의 그래프는 표면이 매끄러운 일반 구형의 본체와, 본체의 표면에 설정된 각 두께의 트립 와이어(Trip wire)가 부착된 경우 이에 따른 유속 대비 항력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면에서 번호 1은 본체의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Smooth sphere)의 경우 유속에 대한 항력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중간부분에 항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드래그 크라이시스(Drag crisis)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번호 2 및 3은 각각 트립 와이어가 각 설정된 두께로 다르게 형성된 경우 유속에 대한 항력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번호 2의 경우는 트립 와이어가 k/d=1.33×10-2 인 경우이며, 번호 3의 경우는 트립 와이어가 k/d=0.67×10-2 인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k는 트립 와이어의 두께를 나타내고 d는 본체의 직경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 번호 4는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200)가 설치된 본 발명의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300)의 유속에 대한 항력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표면이 매끄러운 구체의 경우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가 커짐에 따라 갑작스럽게 항력 계수가 감소하는 드래그 크라이시스(Drag crisis)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딤플이나, 서페이스 트립 와이어 그리고 표면 거칠기 등이 이러한 드래그 크라이시스를 유도하면 유체 속도가 낮은 속도 구간에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저속 구간에서만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그 외의 구간에서는 오히려 공기저항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300)는 레이놀즈 수가 낮은 구간 및 높은 구간 모든 구간에서도 공기저항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300)는, 특정한 유체속도 구간에만 국한되지 않고 유체의 속도가 고속인 경우 뿐만 아니라 저속인 경우 모두에도 공기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에너지 투입 없이 자가 적응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1... 내부공간
110... 저항조절면 111... 노출면
112... 저항면 200... 공기저항 조절장치
210... 지지부재 211... 안착홈부
212... 돌출부 220... 이동부재
221... 이동플레이트 222... 중심축
230... 탄성부재 240... 리니어부시
300...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Claims (21)

  1. 구형상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표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경되는 저항조절면을 갖고 있는 본체; 및
    상기 저항조절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방향에서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며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저항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조절면은,
    구형상의 상기 본체의 외부표면과 대응하여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노출면과,
    상기 노출면과 연결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저항면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고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저항조절면과 결합되어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대향되는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조절면은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일방향을 향하여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50도 내지 80도 범위로 경사진 위치에 위치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따라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저항면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노출면적을 감소시키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설정된 범위의 저속인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저항면이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노출면적을 증가시키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노출면과 상기 저항면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리니어부시를 더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2.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표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경되는 저항조절면을 갖고 있는 본체; 및
    상기 저항조절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방향에서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며 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며,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저항조절면의 노출면적을 변경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저항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본체의 외부표면과 대응하는 측면으로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연결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저항면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고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저항조절면과 결합되어 왕복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저항조절면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대향되는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하류측으로 가면서 증가 후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단면적이 증가하는 전방에 위치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저항면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5. 삭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노출면적을 감소시키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설정된 범위의 저속인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저항조절면은,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노출면적을 증가시키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조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리니어부시를 더 포함하는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040030A 2017-03-29 2017-03-29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90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030A KR101907582B1 (ko) 2017-03-29 2017-03-29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030A KR101907582B1 (ko) 2017-03-29 2017-03-29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462A KR20180110462A (ko) 2018-10-10
KR101907582B1 true KR101907582B1 (ko) 2018-10-12

Family

ID=6387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030A KR101907582B1 (ko) 2017-03-29 2017-03-29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5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408A (ja) * 1999-03-01 2000-11-14 Funagata Kagaku Kenkyusho:Kk 物体の流体抵抗低減装置
KR101184976B1 (ko) * 2012-04-03 2012-10-02 신우공조 주식회사 유체 유속 조절 유니트가 구비된 팬 코일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408A (ja) * 1999-03-01 2000-11-14 Funagata Kagaku Kenkyusho:Kk 物体の流体抵抗低減装置
KR101184976B1 (ko) * 2012-04-03 2012-10-02 신우공조 주식회사 유체 유속 조절 유니트가 구비된 팬 코일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462A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72413A1 (en) Fluid controller
US11731728B2 (en) Compression piston
KR20040080959A (ko) 팽창밸브
US10520114B2 (en) Pipe clamping device and a pipe assembly
EP3220079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7398795B2 (en) Excess flow valve
US20160153583A1 (en) Control valve
KR101907582B1 (ko) 자가적응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852038B1 (ko) 충격 감쇄장치가 구비된 스윙 체크밸브
JP4778819B2 (ja) 速度応答型エアーダンパー
CN210089510U (zh) 一种双行程惯性保险机构
US20140284508A1 (en) Venturi Valve with Hard Stop
US7963648B2 (en) Original cover closer
KR100572005B1 (ko) 유압댐퍼
JPH0727164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バルブ構造
CN211203004U (zh) 一种单向节流阀
JP5631791B2 (ja) 差圧ダンパ装置
US20240035538A1 (en) Damper device
CN218440380U (zh) 用于手套箱的阻尼器和具有该阻尼器的手套箱
US20040244574A1 (en) Micro-adjustable hydraulic driving device
CN220082016U (zh) 阀结构及阻尼器
CN110325701B (zh) 制动装置以及具有制动装置的家具或家用电器
KR101952931B1 (ko) 무방향성 자가 적응 항력 감소장치
JP2018105245A (ja) アクチュエータ
EP3203348A1 (en) Valve, in particular heat exchanger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