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402B1 -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 Google Patents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402B1
KR101907402B1 KR1020180045510A KR20180045510A KR101907402B1 KR 101907402 B1 KR101907402 B1 KR 101907402B1 KR 1020180045510 A KR1020180045510 A KR 1020180045510A KR 20180045510 A KR20180045510 A KR 20180045510A KR 101907402 B1 KR101907402 B1 KR 10190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ening
valve body
auxiliar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배
Original Assignee
송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배 filed Critical 송창배
Priority to KR102018004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16K43/001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an auxiliary valve being actuated independently of the main valve
    • F16K43/003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an auxiliary valve being actuated independently of the main valve the auxiliary valve being a rotar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는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주 개폐수단; 상기 밸브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본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 및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 개폐수단; 및 상기 연장관의 일 측 둘레에 상기 연장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연장관과 상기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모듈형태의 연장관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장관에 설치되어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 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조절은 물론, 밸브 본체 및 주 개폐수단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배관개폐밸브{Module type on-off valve}
본 발명은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여 유체의 유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각종 배관에 사용되어 배관 내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하거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기계요소로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배관 조건이나 배관 내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된다.
대표적인 밸브의 한 종류로는 볼밸브(ball valve)가 있으며, 볼밸브는 서로 동일한 중심축 선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유량을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볼밸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챔버와, 챔버의 내측에 수용되고 원형의 관통 구멍(hole)이 형성되는 볼(ball), 볼에 결합되어 챔버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볼을 회전시켜 볼의 관통 구멍을 유로에 선택적으로 일치기는 레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볼밸브는 서로 동일한 중심축 선의 위치에 대향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다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을 연결하는게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관자재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밸브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 부위의 파손 시 밸브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교체 시 배관에 흐르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해 수도 전체를 차단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볼밸브와 배관이 너트 형태의 체결수단을 통해서만 체결됨에 따라, 체결부재의 불량 혹은 체결시 부주의로 인해 볼밸브와 배관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볼밸브와 배관 사이의 간극으로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9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형태의 연장관을 통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유체의 유량조절 및 밸브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는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주 개폐수단; 상기 밸브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본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 및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보조 개폐수단; 및 상기 연장관의 일 측 둘레에 상기 연장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연장관과 상기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본체는, 내측에 구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챔버; 및 상기 수용챔버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챔버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 측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연장관과 결합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개폐수단은, 상기 밸브 본체에 수용되고, 내측에 일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형의 회전체; 일 측은 상기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밸브 본체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의 일 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 측에는 상기 밸브 본체와 결합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개폐수단은, 상기 연장관의 축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외부로 노출된 일 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조 회전축; 상기 보조 회전축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회전축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 상기 보조 회전축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관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 조작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관의 일 측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관의 외면에 지지되고, 내주면에 상기 배관과 결합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경사면의 전방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배관의 결합 시 상기 걸림턱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극(clearance)으로 압입되는 웨지(wedge)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모듈형태의 연장관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장관에 설치되어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 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조절은 물론, 밸브 본체 및 주 개폐수단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내측에 연결부와 배관의 결합 시 연결부와 연장관 사이의 간극으로 압입되는 웨지 형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간극으로 인한 연결부의 유동 및 누수를 예방할 수 있고, 연결부의 내측에 탄성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압입력을 향상시켜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를 통해 복수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의 주 개폐수단의 유로 개폐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의 보조 개폐수단의 개폐량 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의 연결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압입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를 통해 복수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의 주 개폐수단의 유로 개폐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의 보조 개폐수단의 개폐량 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의 연결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압입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이하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라 함)는 한 쌍의 배관(2)을 상호 연결하여 유체의 유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에 관한 것으로서, 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는 밸브 본체(10)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10)는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분기된 관(pipe)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밸브 본체(10)는 'ㅗ'또는 '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밸브 본체(10)는 후술할 주 개폐수단(20)이 수용되는 수용챔버(11)와, 수용챔버(11)에 결합되어 밸브 본체(10)의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포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챔버(11)는 내측에 구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챔버(11)의 상측에는 후술할 주 개폐수단(20)의 회전축(22)이 수용되는 수용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관의 외면에는 후술할 주 개폐수단(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주 개폐수단(20)의 회전 시 주 개폐수단(20)의 외면에 접하여 주 개폐수단(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 형태의 회전제한수단(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챔버(11)의 일 측 및 타 측 내주면에는 후술할 연결포트(12)와 결합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수단은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포트(12)는 수용챔버(11)와의 결합 시 수용챔버(11)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포트(12)의 일 측 및 타 측 외주면에는 각각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포트(12)는 타 측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수용챔버(11)의 축방향을 따라 수용챔버(1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 측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후술할 연장관(3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는 주 개폐수단(2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 개폐수단(20)은 밸브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밸브 본체(1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주 개폐수단(20)은 밸브 본체(10)의 축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밸브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 시 밸브 본체(1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주 개폐수단(20)은 회전체(21), 회전축(22) 및 조작레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1)는 밸브 본체(10)에 구비된 구형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구(球)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 본체(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21)의 내측에는 일 방향으로 관통되어 연결포트(12)의 유로와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21a)은 회전체(21)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포트(12)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즉, 회전체(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회전축(22)에 의해 회전체(21)의 관통공(21a)이 연결포트(12)의 유로와 연통되거나, 회전체(21)의 외주면이 연결포트(12)의 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됨으로써, 밸브 본체(1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1)의 상측에는 회전축(22)의 단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1)와 밸브 본체(10)의 내면 사이에는 회전체(21)를 지지하고, 회전체(21)와 밸브 본체(10)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는 지지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체는 러버(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22)은 밸브 본체(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일 측은 회전체(21)에 결합되고, 타 측은 밸브 본체(10)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2)의 일 측에는 상술한 회전체(21)의 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2)의 타 측은 후술할 조작레버(2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패킹부재(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밸브 본체(10)와 회전축(22) 사이의 간극을 차단할 수 있으며, 회전축(22)의 상부에는 후술할 조작레버(23)를 회전축(2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너트가 체결 될 수 있는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과 밸브 본체(10) 사이에는 회전축(22)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여 회전축(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지지수단(미도시)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조작레버(23)는 밸브 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2)의 타 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 시 회전축(22)과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레버(23)의 내측에는 회전축(22)이 삽입되어 회전축(22)의 외면에 지지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23)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바(bar) 또는 노브(kno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는 복수개의 연장관(3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연장관(30)은 내측에 밸브 본체(10)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밸브 본체(10)에 결합 시 밸브 본체(10)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 및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연장관(3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연장관(30)은 직선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구간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연장관(30)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는 밸브 본체(10)에 형성된 유로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연장관(30)의 내측에는 연장관(30)의 축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후술할 보조 개폐수단(40)의 보조 회전축(4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후술할 보조 개폐수단(40)의 회전 지지부재(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연장관(3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안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연장관(30)의 일 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1)이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부(50)의 탄성부재(5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연장관(30)의 타 측에는 밸브 본체(10)에 구비된 체결수단과 결합 가능한 또 다른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는 복수개의 보조 개폐수단(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보조 개폐수단(40)은 연장관(30)을 관통하여 연장관(3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연장관(30)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각 보조 개폐수단(4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개폐수단(40)은 보조 회전축(41), 회전 지지부재(42), 개폐부재(43) 및 보조 조작레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회전축(41)은 연장관(30)의 축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관(30)을 관통하여 연장관(3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관(30)의 외부로 노출된 보조 회전축(41)의 일 측에는 후술할 보조 조작레버(44)와 결합 가능한 결합홈(41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재(42)는 연장관(30)의 내측에 수용되어 보조 회전축(41)의 둘레에 설치되고, 보조 회전축(41)의 회전 시 보조 회전축(41)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지지부재(42)는 보조 회전축(41)의 둘레에 설치되어 보조 회전축(41)과 연장관(30)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고, 보조 회전축(41)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고리 형상의 러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지지부재(4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개폐부재(43)는 연장관(3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조 회전축(41)의 둘레에 설치되어 연장관(30)의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재(43)의 내측에는 보조 회전축(41)의 외주면에 결합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회전축(41)의 회전에 따라 연장관(30)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관(30)의 외측에는 보조 회전축(41)의 둘레를 따라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및 유로의 개폐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회전축(41)에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 회전축(41)의 지시수단이 지시하는 표시수단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보조 회전축(41)의 회전각도 및 유로의 개폐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조작레버(44)는 보조 회전축(41)에 형성된 결합홈(41a)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 시 보조 회전축(41)과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보조 회전축(4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조작레버(44)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바(bar) 또는 노브(kno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모듈형 배관개폐밸브(1)는 복수개의 연결부(5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연결부(50)는 각 연장관(30)의 일 측 둘레에 연장관(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배관(2)과 결합되어 연장관(30)과 배관(2)을 서로 연결한다.
각 연결부(5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연결부(50)는 결합몸체(51) 및 탄성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몸체(51)는 연장관(30)의 일 측 둘레에 배치되어 연장관(30)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몸체(51)의 내주면에는 배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수단과 결합 가능한 또 다른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결합몸체(51)의 단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경사면(31)의 전방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51a)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2)는 결합몸체(5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경사면(31)과 걸림턱(51a)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2)는 일 방향을 향하여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웨지(wedg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51)와 배관(2)의 결합 시, 걸림턱(51a)에 지지된 상태로 경사면(31)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몸체(51)와 연장관(30) 사이의 간극(clearance)으로 압입되어 결합몸체(51)와 연장관(30) 사이의 간극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52)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태로 외형이 변형될 수 있는 러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부(50)는 탄성지지부재(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재(53)는 걸림턱(51a)에 지지되어 결합몸체(51)의 축방향으로 탄성부재(5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지지부재(53)는 탄성부재(52)의 압입력을 더욱 향상시켜 결합몸체(51)와 연장관(30) 사이의 간극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51a) 및 걸림턱(51a)에 대향 배치되는 탄성부재(52)의 일면에는 탄성지지부재(53)의 각 단부가 안착되고 탄성지지부재(53)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지지부재(53)는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모듈형태의 연장관(30)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2)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장관(30)에 설치되어 연장관(30)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 개폐수단(40)을 구비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조절은 물론, 밸브 본체(10) 및 주 개폐수단(20)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0)의 내측에 연결부(50)와 배관(2)의 결합 시 연결부(50)와 연장관(30) 사이의 간극으로 압입되는 웨지 형상의 탄성부재(52)를 구비함으로써, 간극으로 인한 연결부(50)의 유동 및 누수를 예방할 수 있고, 연결부(50)의 내측에 탄성부재(5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53)를 더 구비함으로써, 탄성부재(52)의 압입력을 향상시켜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10. 밸브 본체
11. 수용챔버
12. 연결포트
20. 주 개폐수단
21. 회전체 21a. 관통공
22. 회전축
23. 조작레버
30. 연장관
31. 경사면
40. 보조 개폐수단
41. 보조 회전축 41a. 결합홈
42. 회전 지지부재
43. 개폐부재
44. 보조 조작레버
50. 연결부
51. 결합몸체 51a. 걸림턱
52. 탄성부재
53. 탄성지지부재
2. 배관

Claims (7)

  1.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주 개폐수단;
    상기 밸브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본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 및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밸브 본체와 결합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직선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구간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 가능한 모듈형태의 연장관;
    상기 연장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보조 개폐수단;
    상기 연장관의 일 측 둘레에 상기 연장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연장관과 상기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장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개폐수단의 회전각도 및 유로의 개폐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수단; 및
    상기 보조 개폐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보조 개폐수단의 회전각도 및 상기 유로의 개폐정도를 지시하는 지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관의 일 측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관의 외면에 지지되고, 내주면에 상기 배관과 결합 가능한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경사면의 전방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러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배관의 결합 시 상기 걸림턱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극(clearance)으로 압입되는 웨지(wedge) 형상의 탄성부재; 및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에 대향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 각각 형성된 안착홈에 양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결합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극을 차단 가능한 탄성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내측에 구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챔버; 및
    상기 수용챔버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챔버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 측에 형성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연장관과 결합되는 연결포트;
    를 포함하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개폐수단은,
    상기 밸브 본체에 수용되고, 내측에 일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형의 회전체;
    일 측은 상기 밸브 본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밸브 본체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작레버;
    를 포함하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개폐수단은,
    상기 연장관의 축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외부로 노출된 일 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조 회전축;
    상기 보조 회전축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회전축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
    상기 보조 회전축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관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관의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 조작레버;
    를 포함하는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510A 2018-04-19 2018-04-19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KR10190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0A KR101907402B1 (ko) 2018-04-19 2018-04-19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0A KR101907402B1 (ko) 2018-04-19 2018-04-19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402B1 true KR101907402B1 (ko) 2018-10-12

Family

ID=6387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10A KR101907402B1 (ko) 2018-04-19 2018-04-19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3047A (zh) * 2019-09-04 2019-12-10 吴紫阳 一种分段阻流式管道自封阀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051Y1 (ko) * 2006-06-05 2006-09-21 (주)씨트웰 이중 밸브
JP2013083357A (ja) * 2013-01-11 2013-05-09 Norgren Ltd ボールバルブ断路器
CN106246951A (zh) * 2016-08-26 2016-12-21 赛洛克流体设备成都有限公司 一种可更换密封组件的球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051Y1 (ko) * 2006-06-05 2006-09-21 (주)씨트웰 이중 밸브
JP2013083357A (ja) * 2013-01-11 2013-05-09 Norgren Ltd ボールバルブ断路器
CN106246951A (zh) * 2016-08-26 2016-12-21 赛洛克流体设备成都有限公司 一种可更换密封组件的球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3047A (zh) * 2019-09-04 2019-12-10 吴紫阳 一种分段阻流式管道自封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0571B (zh) 一体化在阀杆内的端口
US9574669B2 (en) Butterfly valve assembly
AU2009205529B2 (en) Block and bleed valve assembly
US5441080A (en) Eccentrically rotatable sleeve type 3-way valve
EP2631515A2 (en) Plug valve with a spring biased plug
KR101241998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1907402B1 (ko) 모듈형 배관개폐밸브
KR20120090263A (ko) 정밀한 압력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콘 밸브
KR101911719B1 (ko) 자동 간극 보상 배관개폐밸브
US8875733B2 (en) Check valve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US20190162315A1 (en) Pin-fastening structure for valve shaft and valve body
KR101483760B1 (ko) 플랜지 결합형 진공 밸브
CA3079852C (en) Reversible ball valve
US5284319A (en) Eccentrically rotatable sleeve valve
US6186476B1 (en) Shut-off valve for pipes
US8567751B2 (en) Inline aseptic valve
CA2926458C (en) Tap with integral ball valve
US7717136B2 (en) Pipeline closing apparatus
US8887756B2 (en) Shutoff valve in backflow prevention device
JP6242046B2 (ja) アクチュエータ付き回転弁
KR100818607B1 (ko) 밸브의 설치구조
KR102286667B1 (ko) 볼 밸브
KR20110003293U (ko) 앵글밸브
JP5988635B2 (ja)
KR102075113B1 (ko) 각도 가변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