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905B1 -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 Google Patents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905B1
KR101906905B1 KR1020170152569A KR20170152569A KR101906905B1 KR 101906905 B1 KR101906905 B1 KR 101906905B1 KR 1020170152569 A KR1020170152569 A KR 1020170152569A KR 20170152569 A KR20170152569 A KR 20170152569A KR 101906905 B1 KR101906905 B1 KR 10190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unit
collecting
land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명학
서승남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9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raining system for draining storage water from a landfill. The draining system includes a wa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storage water in a landfill, a draining unit for draining the storage water, a water collecting well for filtering the storage water, and an air pump. A purification unit may include a reactive medium, and the water collecting well may include a housing, a demister, an inlet unit, an outlet unit, and an air suc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is a draining system which performs effective 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of storage water in a landfill using an air pump.

Description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0001]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0002]

본 발명은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지 내의 보유수를 집수, 여과 및 배수하는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ystem of landfill reservo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system of a landfill reservoir that collects, filters and drains retained water in a landfill.

일반적으로 폐기물 매립지에서, 우수가 매립된 폐기물에 투입되어 발생하는 침출수는, 암반에 유입되는 경우 오염된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매립지 내부에 차수층 및 배수관 등의 시설물 설치를 법률로 규정하여 그 시공과 관리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가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landfill of leachate, the leachate generated by entering the waste into the landfill has a problem that the contaminated leachate pollutes the environment of the soil and groundwater when the leachate flows into the rock bed. Therefore, The regulations are stipulated by the law, and strict regulations ar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따라서 폐기물 매립지에는 보유수 등을 효과적으로 모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견고한 내구력을 가진 구조의 암거 외 집, 배수 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매립된 폐기물에 따라 수질이 변화될 수 있어 배출수를 적절히 처리하는 정화설비가 필요하다.Therefore, the waste landfill should be equipped with a dike housing and drainage system with a durable durability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the stored water and discharge it quickly.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wa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landfilled waste, and thus a purification facility is required to properly treat the effluent.

특히 해상 처분장의 경우, 해상 처분장 내의 수위에 따라 처분장 내의 보유수 등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처분장 내의 보유수 등의 수위관리가 필수적이다.Especially, in the case of marine repositories, the number of reserves in the repository can be leaked out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sea repository.

해상 처분장이란 저투수성 해저지반의 상부에 호안구조물과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연직차수공으로 구성되는 제방 형식의 차폐시설을 설치하고, 차폐시설 내부에 소각재, 비가연성 고형폐기물, 준설토 등을 매립하는 시설이다.A sea repository is a facility that is constructed of a levee type shielding facility composed of a revetment structure and a vertical angle barrier that blocks the movement of water on the upper part of the low permeable seabed ground and the incinerator, incombustible solid waste, and dredged soil to be.

해상 처분장은, 해상에서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호안과 차수공이 설치되므로 차폐시설의 시공 후에도 내부에는 기존의 해수가 존재하며, 폐기물의 매립에 의하여 내부 수위가 증가할 수 있다. 해상 처분장의 수위가 해수의 수위보다 약간 낮도록 유지되어야 해저 지반에서의 물 흐름 방향이 해상 처분장의 외부에서 내부로 형성되어 해상 처분장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상 처분장의 매립지는 폐지시까지 장기간에 걸친 집, 배수시스템이 요구되므로 집, 배수시스템의 효율 및 경제성이 중요 요소가 된다.In the sea repository, existing water is existing in the interior of the shielding facility because the water and the water hole exist in the water in the sea, and the internal water level can be increased by the landfill of the waste. The water level of the sea repository should be kept slightly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so that the water flow direction in the seabed ground can be 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ea repository so that the water inside the sea repositor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 addition, landfill sites at the sea repository require long-term housing and drainage systems to be abolished, so the efficiency and economy of the house and drainage systems are important factors.

해상처분장 등의 매립지 내에는 보유수 뿐만 아니라 매립된 폐기물의 자연정화 및 부패에 따른 가스가 함께 공존해 있는 상태이며, 매립지 내의 보유수 수위도 환경적 요인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In landfills such as marine repositories, natural remediation of the landfill, as well as gas due to corruption coexist, and the level of water held in the landfill can also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1447호Korean Patent No. 10-161144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4647호Korean Patent No. 10-0714647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지 내의 보유수 등을 적정 상태로 정화하여 배수하는 배수 시스템으로서, 특히 해상 처분장 내의 수위 및 수질 관리가 용이하고 효율이 높은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residual water in a landfill in an appropriate st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system for 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a marine repository, System.

또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집, 배수 시스템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for a landfill containing water which can be easily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은 매립지에 존재하는 보유수를 집수 및 여과하기 위한 집수정과, 집수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매립지 내에 구비된 집수부와, 집수정의 타측에 연결된 배수부와, 집수정과 연결된 에어펌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natural drainage system for groundwater in a landf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the water present in the landfill, a water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A drainage sec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on fixture, and an air pump connected to the collection fixture.

또한, 집수정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정화부와, 집수부와 연결되고 보유수가 하우징 내부로 들어오는 유입부와, 하우징 내부에 들어온 보유수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 purifying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stored water; an inlet connected to the housing unit and having retained water coming into the housing;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may be included.

또한, 집수정은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및 배출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보유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sucking air in the housing, and a shielding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to block the flow of the water in the housing.

또한, 정화부는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반응성 매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응성 매질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urther, the purifying section may include a reactive medium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the retained water, and the reactive medium may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집수정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데미스터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lso, the dust collect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ay include a mist removing unit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existing in the housing, and the demister may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일측이 개폐되는 개폐부와, 하우징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두측정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에어펌프 및/또는 차폐부재는 수두측정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head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The air pump and / or the shielding member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head measuring sensor.

또한, 집수부는 수평층 및 수직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반응성 매질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section may be composed of a horizontal layer and a vertical layer, and may include a reactive medium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the holding water.

또한, 배수부에는 집수된 보유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Further, a drain pump for draining the collected water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age section.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에 의하면, 매립지반 하부에 존재하는 보유수 및 가스의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매립지반 하부에 잔존된 오염물질의 배출을 촉진시키므로 매립지반의 조기안정화에 도움이 된다.According to the drainage system for the landfill 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f the water and gas existing in the lower half of the landfill is promoted, thereby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the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lower half of the landfill This helps to stabilize the landfill site early.

또한, 반응성 매질을 통하여 집수된 보유수에 대한 오염도 저감이 가능하므로 저류지의 환경성을 개선하고 수처리시설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부하를 감소시킨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the reservoir water collected through the reactive medium, thereby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the reservoir and reducing the pollutant processing load in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또한, 에어펌프를 이용하므로 매립지의 상태 및 보유수의 수두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집, 배수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Also, since the air pump is use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collecting and drainage system stably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landfill and the head of the water.

또한, 수두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펌프를 유동적으로 가동시키고, 반응성 매질 및 데미스터의 교체가 용이하여 배수 시스템의 유지관리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ump can be fluidly operated using the head measuring sensor, and the reactive medium and the demister can be easily replaced, which is economical in maintenance of the drainage system.

또한, 집수부에 반응성 매질을 결합하는 경우 이중 여과로 여과 효율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reactive medium is combined with a collec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high due to the double filt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미스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rainage system of landfill retained wa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depicting coll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ainage system of landfill retained 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a demis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미스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ainage system of landfill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ainage system of landfill 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demi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폐기물 처분장 등 매립지의 보유수를 배수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수 시스템은 집수정(100), 집수부(200), 배수부(300) 및 에어펌프(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draining water stored in a landfill such as a waste repository, wherein the drainage system includes a water collecting unit 100, a water collecting unit 200, a drainage unit 300, 400).

상기 배수 시스템은 상기 집수정(100)의 일측에 상기 집수부(200)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배수부(300)가 연결되며, 상기 집수정(100)에 에어펌프(40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정(100)을 통하여 배출된 보유수(W)는 내수 연못(P)을 형성하고, 내수 연못(P)의 물을 처리하는 별도의 수처리시설(F)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내수 연못(P) 및 수처리시설(F)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In the drainage system, the water collecting part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100, the drain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an air pump 400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0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d water W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fixture 100 forms a water-retaining pond P and a separate water-treating facility F for treating the water of the water- . However, the water-proof pond (P) and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F) are not essenti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100)은, 상기 매립지의 매립지반(L)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보유수(W)가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유입부(130) 및 상기 유입된 보유수(W)가 배출되는 배출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집수정(100)의 하부가 상기 매립지반(L) 상부에 관입되고, 관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집수정(100)의 하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3, 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having a space therein, which can be fixed on the landfill L of the landfill, the water W is stored in the housing 110 And a discharge unit 140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stored water W is discharg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bowl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andfill 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bowl 100 is tapered have.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보유수(W)를 여과하는 정화부(150), 상기 정화부(150)의 상부에 구비된 데미스터(160), 상기 데미스터(160)의 상부에 구비된 흡기부(120) 및 상기 하우징(110)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두측정센서(410)(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housing 110, a purifier 150 for filtering the retained water W, a demister 16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rifier 150, And a head measuring sensor 410 (not shown)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water in the housing 110. The sensor 120 may include a sensor (not shown).

상기 정화부(150)는 상기 집수부(200)에서 집수된 상기 보유수(W) 등의 오염물을 여과하며, 상기 정화부(150)에는 반응성 매질(15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매질(151)은 여과능력이 확보되는 충진재로서 다공성 물질일 수 있으며, 종류 및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성 매질을 통하여 보유수에 대한 오염도 저감이 가능하므로 내수 연못(P)의 환경성이 개선되며, 수처리시설(F)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므로 배수 시스템의 운용에 효율적이다.The purifying unit 150 filters contaminants such as the retained water W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200 and the purifying unit 150 may include a reactive medium 151. The reactive medium 151 may be a porous material as a filler to secure filtration capability, and may have a variety of types and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water retained through the reactive medium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he water pond (P) and reducing the pollutant processing load in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F) It is efficient for the operation of.

상기 데미스터(160)는 공기중의 수분 제거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중 기체 성분은 상기 데미스터(160)를 통과하고, 액체 성분은 상기 데미스터(160)에서 포집되므로 상기 에어펌프(400)로의 수증기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데미스터(160)는 상기 정화부(15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데미스터(160)에서 포집된 액체 성분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정화부(150)로 떨어지게 된다.The demister 160 means a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The gas component in the air inside the housing 110 passes through the demister 160 and the liquid component is collected by the demister 160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vapor into the air pump 400. The demister 160 is provided on the purifier 150 and the liquid component collected by the demister 160 is dropped to the purifier 150 by gravity.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데미스터(160)는 그물 형상으로 섬유상태의 물체가 충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데미스터(160)는 그물 형상의 패드(162)와 상기 패드(162)를 지지하는 그리드(161)로 구성된다. 상기 데미스터(160)는 상기 유입부(13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the demister 160 may be configured to be filled with a net-like object in a fibrous st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ister 160 may include a net- And a grid 161 for supporting the pad 162. The demister 16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130.

상기 흡기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펌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흡기부(120)를 통하여 상기 에어펌프(400)로 들어가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부는 저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흡기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흡기부(120)의 단부에 파이프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take unit 1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mp 400. The air in the housing 110 enters the air pump 400 through the intake unit 120 so that a low pressure is maintain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intake unit 120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pe may be furth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take unit 120.

상기 수두측정센서(41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수위를 측정한다. 상기 수두측정센서(41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부(130)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water head measurement sensor 41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o measure the internal water level of the housing 110. The water head measurement sensor 41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dispos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inlet 130.

상기 수두측정센서(41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에어펌프(40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수위가 상기 유입부(130)보다 높은 경우 상기 집수부(200)에서 보유수(W) 등의 집수효율을 낮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두측정센서(410)의 값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부가 적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펌프(400)의 작동이 중단된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수위가 적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에어펌프(400)는 다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메커니즘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매립지의 상태 및 기상 상태 등에 관계없이 집, 배수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집, 배수 설비의 유지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air pump 40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head measurement sensor 410.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using 110 is higher than the inflow portion 130, the water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water W and the like i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200 is lower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400 is stopped when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s higher than the proper leve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headlength measurement sensor 410. When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110 drops below an appropriate level, the air pump 400 is operated ag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it is possible to stably operate the house and the drainage facility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landfill and the weather condition, and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house and the drainage facility can be improved.

상기 하우징(110)은 외부와 공기가 차단되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이 개폐되는 개폐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시스템의 운용시 상기 개폐부(111)가 닫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는 저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반응성 매질(151) 및 상기 데미스터(160)의 교체시 상기 개폐부(111)가 열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는 정상압력이 되고 상기 반응성 매질(151) 등의 교체가 용이해 진다. 상기 개폐부(111)는 상기 에어펌프(400)에 의한 상기 하우징(110) 내의 저압력을 유지하도록 견고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closed shape so as to block air from the outside, and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art 111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drainage system is operat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is closed and a low pressure is maintained inside the housing 110. When the reactive medium 151 and the demister 160 are exchang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is opened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becomes a normal pressure and the replacement of the reactive medium 151 is facilitat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1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maintain a low pressure in the housing 110 by the air pump 400 and is prefer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110.

상기 유입부(130)는 상기 집수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매립지 내의 상기 집수부(200)에서 집수된 보유수(W) 등이 상기 유입부(13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보유수(W) 등에는 매립지 내에 존재하는 물 뿐만아니라 상기 매립지 내에 매립된 폐기물의 부패 및 상기 폐기물의 자연정화에 따른 가스를 포함한 공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30)로 들어온 보유수(W) 등은 액체 성분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정화부(150)로 흐르게 되고 기체 성분이 상기 에어펌프(4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로 올라가 상기 데미스터(16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데미스터(160)를 통과한 상기 기체 성분은 상기 흡기부(120)를 통하여 상기 에어펌프(400)로 들어가므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저압력이 유지된다.The inflow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200 and reservoir water W or the lik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200 in the landfill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inflow part 130. [ . The retained water (W) may include not only the water present in the landfill but also the air containing the corruption of the waste buried in the landfill and the natural purification of the waste. The reservoir water W or the like that has entered the inlet 130 flows to the purifier 150 by gravity and the gas component rises to the top of the housing 110 by the air pump 400 And passes through the demister 160. The gas component passing through the demister 160 enters the air pump 400 through the intake unit 120, so that a low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10 is maintained.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정화부(150)을 통과하여 여과된 보유수(W)가 상기 배출부(140)를 통하여 상기 집수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집수정(100)의 하단에 중력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집수정(100)의 하단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e filtered water W passed through the purifier 15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unit 100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provid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ollecting unit 100.

상기 배출부(140)에는 상기 여과된 보유수(W)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상기 보유수(W) 수위가 낮은 경우, 상기 배출부(140)로 배출되는 상기 보유수(W)의 흐름을 차단하여 상기 배수부(300)에서 상기 배출부(140)로 공기 및 보유수(W)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shielding member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filtered retained water W. The shielding member interrupts the flow of the retained water W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14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etained water W in the housing 110 is low, Thereby preventing the air and the holding water W from flowing back to the discharge portion 140.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배출부(140)의 내에서 상기 수두측정센서(41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부(140)를 막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140 to block the discharge portion 14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head measurement sensor 410.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정(100) 내에 집수된 보유수의 여과 및 배수 과정에 있어서 중력을 이용하므로 배수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뛰어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gravity is used in the filtration and drainage process of the water retain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the drainage system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efficiency.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200)는, 매립지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매립지반(L) 상부에 시공된 복토층(C)의 우수에 따른 유출수 및 상기 매립지반(L) 내에 존재하는 보유수(W) 등을 집수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부(200)는 자갈, 모래, 토목섬유 등으로 형성된 집수층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부(200)는 유공 파이프일 수 있다.2, the water collecting part 200 is provided in a landfill, and the effluent water according to the excellentness of the soil layer C applied on the landfill L and the water retained in the landfill L, (W) and so on. In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part 200 may be a collecting layer formed of gravel, sand, geosynthetic fibers,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collector 200 may be a hollow pipe.

상기 집수부(2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집수층(210) 및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집수층(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집수층(210)은 상기 매립지반(L)과 상기 복토층(C)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집수층(220)은 상기 매립지반(L)의 아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매립지반(L) 내에 관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집수층(220)은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집수층(210) 및 상기 제2 집수층(220)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집수층(220)은 매립지반(L) 하부로 관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에어펌프(400)가 작동되어 매립지반(L) 내부에 존재하는 보유수 및 가스의 배출을 촉진시킴으로써 매립지반(L) 하부에 잔존된 오염물질의 배출을 촉진하므로 매립지반(L)의 조기안정화에 도움이 된다.The water collecting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water collecting layer 2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water collecting layer 220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water collecting layer 210 is disposed between the landfill L and the cover layer C and the second water collecting layer 220 is disposed between the landfill L and the cover layer C,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landfill L. Referring to FIG. The second water-collecting layer 220 may be inclined or a plurality of water-collecting layers. The first water-collecting layer 210 and the second water-collecting layer 220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ater collecting layer 220 is disposed below the landfill L, and the air pump 400 is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retained in the landfill L And promotes the discharge of the pollutants remain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andfill L. This helps to stabilize the landfill L early.

상기 제1 집수층(210) 및 제2 집수층(220)의 내부에는 반응성 매질(15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매립지 내의 보유수(W)를 상기 집수부(200)와 상기 정화부(150)에서 이중으로 여과하므로 보유수(W) 등의 여과능력이 뛰어나고, 수질관리가 용이해 진다.The first water-collecting layer 210 and the second water-collecting layer 220 may further include a reactive medium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retained water W in the landfill is double filtered by the water collecting part 200 and the purifying part 150, Is excellent,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becomes easy.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배출부(140)와 연결되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매립지반(L) 내에 일부 또는 전부가 매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140 and may be inclined in the height dire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unit 300 may be partially or wholly embedded in the landfill L.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배출부(140)와 연결되며,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매립지반(L) 내에 일부 또는 전부가 매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140 and may be inclined in the height dire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unit 300 may be partially or wholly embedded in the landfill L.

상기 배수부(300)에는 상기 집수정(100) 내에서 여과된 보유수(W)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C)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C)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수위가 적정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보유수(W)의 배출을 빠르게 진행시킨다. 상기 배수펌프(C)는 상기 수두측정센서(410)의 측정값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A drain pump C for draining the filtered water W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may further be connected to the drainage unit 300. The drain pump C rapidly discharges the stored water W when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11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drain pump (C)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head measurement sensor (4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보유수의 배수 시스템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안정한 운용이 가능하여 배수 시스템의 유지관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rainage system of the landfill wat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e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maintenance of the drainage system.

100 : 집수정 110 : 하우징
111 : 개폐부 120 : 흡기부
130 : 유입부 140 : 배출부
141 : 차폐부재 150 : 정화부
151 : 반응성 매질 160 : 데미스터
161 : 그리드 162 : 패드
200 : 집수부 210 : 제1 집수층
220 : 제2 집수층 300 : 배수부
310 : 배수펌프 400 : 에어펌프
410 : 수두측정센서 L : 매립지반
C : 복토층 W : 보유수
F : 수처리시설 P : 내수 연못
100: House fix 110: Housing
111: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130: inlet portion 140: outlet portion
141: shielding member 150:
151: Reactive medium 160: Demister
161: grid 162: pad
200: collecting house 210: first collecting house
220: second water collection layer 300: drainage part
310: Drain pump 400: Air pump
410: Head of water sensor L: Landfill
C: cover layer W: retained water
F: Water treatment facility P: Domestic water pond

Claims (11)

매립지에 존재하는 보유수를 집수 및 여과하기 위한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매립지 내에 구비된 집수부;
상기 집수정의 타측에 연결된 배수부; 및
상기 집수정과 연결된 에어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정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반응성매질을 포함하는 정화부;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유수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들어오는 유입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온 상기 보유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정화부의 사이에 상기 유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Collecting water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retained water present in the landfill;
A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llecting unit and provided in the landfill;
A drainage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on unit; And
And an air pump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he collection-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 purifi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reactive medium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the retained water;
An inflow portion connected to the collection portion and having the reserved water coming into the housing;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received in the housing;
An intake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air pump to suck air in the housing; And
And a demister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purifier unit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let unit to remove moisture in the air present in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제1 집수층 및 높이방향으로 구비된 제2 집수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part comprises a first water collecting layer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water collecting layer provided in a height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보유수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반응성 매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And a reactive medium for filtering the contaminants of the reserved wat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배출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member provided at the discharge unit to block the flow of the drain water in the hous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에 포함된 반응성 매질 및 상기 데미스터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ve medium contained in the purifying unit and the demister are detachably coup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배수펌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age unit is connected to a drainage pump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두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water head measurement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 및/또는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수두측정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ir pump and / or the shielding member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head measurement sensor.
KR1020170152569A 2017-11-15 2017-11-15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KR101906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69A KR101906905B1 (en) 2017-11-15 2017-11-15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69A KR101906905B1 (en) 2017-11-15 2017-11-15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905B1 true KR101906905B1 (en) 2018-10-11

Family

ID=6386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569A KR101906905B1 (en) 2017-11-15 2017-11-15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90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876B1 (en) * 2003-04-08 2005-07-0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Gas cleaning apparatus
KR101037952B1 (en) * 2008-05-22 2011-05-31 이재주 The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out of the damp ground having double vacuum pump
KR101611507B1 (en) *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atchment tube equipped sea repository and equipping methods of catchment tub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876B1 (en) * 2003-04-08 2005-07-0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Gas cleaning apparatus
KR101037952B1 (en) * 2008-05-22 2011-05-31 이재주 The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out of the damp ground having double vacuum pump
KR101611507B1 (en) *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atchment tube equipped sea repository and equipping methods of catchment tu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313B1 (en) Water treatment facility
KR10174144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KR101349613B1 (en) Low impact development based advanced sand filter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101564083B1 (en) A non-point pollution source filtration equipment
KR100562168B1 (en) Draining unit for purifying the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KR100597203B1 (en) Catch Basin System
KR100958295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912708B1 (en) Water pollution permeation style purification system
KR101089756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511208B1 (en) Reservoir system of rainwater
KR20110052400A (en) Nonpoint source rainwater treatment device connected to rain gutters
KR101560289B1 (en) Non-Point Pollution Purifying System
KR101738952B1 (en) Polymer poly ethylene filter treatment apparatus of rainwater
KR101202677B1 (en) A purification apparatus of rainwater or water in reserve
KR100927631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decreasing device using bio-film filtration
KR101906905B1 (en)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KR101649039B1 (en) Eco-friendly street inlet
KR20110131868A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KR100834898B1 (en) Rain recycle device using a hallow fiber-membrane
KR100846029B1 (en) Rainwater treatment system for building gutter connection
KR100910291B1 (en)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Obsolete Septic Tank
KR100952117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1042731B1 (en) Intake equipment of deep Ground water
CN210419496U (en)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for mine waste 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