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387B1 -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387B1
KR101906387B1 KR1020180009286A KR20180009286A KR101906387B1 KR 101906387 B1 KR101906387 B1 KR 101906387B1 KR 1020180009286 A KR1020180009286 A KR 1020180009286A KR 20180009286 A KR20180009286 A KR 20180009286A KR 101906387 B1 KR101906387 B1 KR 10190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원
Original Assignee
(주)대한하이텍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하이텍건설 filed Critical (주)대한하이텍건설
Priority to KR10201800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4PU

Abstract

본 발명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파이버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지반 고결용 우레탄 등이 포함되어, 천공을 이용한 간단한 시공으로 짧은 시간에 보강 및 복원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Soft Ground and Restoring Disparity Sinking Construction Comprising Urethane for Solidifying Ground and complex Construction Methods Using aforesaid Composition and Cement grouting}
본 발명은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을 보강하고 침하 구조물을 복원하는 것으로, 예컨대 고성토의 하부노반은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연약 지반을 개량/치환하여 성토체를 보강하고, 상부노반에 우레탄을 포함하는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여 복원 및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로 지하공간의 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건설됨에 따라 건설된 구조물의 하부에 지반침하가 발생하거나 연약지반화되어 이를 보강하는 것이 필요해 지고 있다.
최근 철도사업이 활발해 짐에 따라 다수의 철도노반이 고성토화되어 가고 있으나, 고성토구간에서 발생하는 성토체 침하에 대한 유지보수방안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철도노반의 경우, 철도운행 및 주변 공간이 협소하여 유지보수시 대형장비의 접근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철도노반에서 발생하는 침하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침하와는 달리 열차주행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시멘트그라우팅 공법으로서는 물유리계, 시멘트계 현탁액형이 많이 적용되어 왔다. 특히 지반강도 증진의 목적으로 시멘트 현탁액법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시멘트 현탁액법은 비용이 적게 들고 일정한 강도를 보장하지만, 경화기간이 길고 차수효과가 떨어지며 하중이 크므로 침투시 문제가 발생되어 연약지반에서는 그 효과를 거의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최근 많이 사용되는 LW(Lables Wasser Glass)계 약액주입공법 및 SGR(Space Grouting Rocket System)계 약액주입공법은 물유리 약액과 시멘트 현탁액을 혼합하면 겔(GEL)화 된다는 현상에 착안하여 개발된 공법으로, 재료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아 재료비, 공사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고 천공에 보링 머신 등 막장에 여타 복잡한 기계설비가 설치되어야 하며, 세사층이나 점토층과 같은 변동지반에 대한 고결특성에 있어 지하수에 의한 영향이 지대하므로 계획적 시공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새롭게 알려지고 있는 폴리우레탄 주입공법(이하 우레탄 공법이라 함)은 암반고결공법(PUIF)으로 1990년대부터 시공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우레탄 공법은 연약한 지층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 후 주입파이프를 삽입하고, 이 삽입된 주입파이프 내에 2액형의 발포성 우레탄계 약액을 혼합하여 20kg/cm2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연약한 지층을 완전히 충진함으로 지반을 다짐시킴으로서 지지력을 향상 및 구조물을 복원하는 공법이다.
종래의 우레탄 공법에 사용되는 우레탄 주입액은 경화제인 A액 및 주재인 B액으로 구성된 2액형 우레탄 약액을 사용한다.
상기 경화제로 사용되는 A액의 경우, 폴리올계 혼합물에 가교제, 정포제, 발포제, 점도저하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B액의 경우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계 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반응상태는 주재의 이소시아네이트기(B액)와 경화재의 폴리올수산기(A액)가 주입기 내에 장착된 고정 믹서기를 통하여 혼합 교반되어 목적한 부위에 혼합 주입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우레탄 약액은 화학조성물이 상당히 고가이어서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공개특허 제2002-0024198호에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조성물 및 그에 대한 보강공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선행문헌은 조성물에 소석회와 비석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강하고자 하는 연약지반 및/또는 침하구조물의 하부에 천공하여 주입함으로써, 간편한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 지반 특히 고성토 하부의 연약한 지반을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개량/치환하여 성토체를 보강하고, 상부 노반은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여 보강함과 아울러 침하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고,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파이버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할 고성토의 하부 지반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공급 파이프를 삽입하는 삽입 단계; 상기 공급 파이프에 시멘트 충진제를 주입하여 연약 지반을 보강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충진제가 양생하는 양생 단계; 상기 고성토의 상부 지반에 구멍을 뚫는 천공 단계; 상기 천공단계가 종료된 후 보강 및 복원하고자 하는 지반까지 파이프를 삽입하는 주입파이프 삽입단계; 상기 주입파이프 삽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로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파이버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를 제거하는 파이프 제거단계; 및 상기 파이프 제거단계가 종료된 후 천공을 밀봉마감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에 지반 고결용 우레탄 등을 포함시켜, 천공을 이용한 간단한 시공으로 짧은 시간에 보강 및 복원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 특히 고성토를 보강하고, 고성토에 시공된 침하 구조물을 복원하여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파이버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연약 지반을 보강하고, 침하 구조물을 복원하되, 특히 고성토의 보강 및 침하 구조물 복원에서는 시멘트 충진제를 함께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은 고성토의 연약 지반을 시멘트 충진제로 보강하고, 고성토에 시공된 침하 구조물은 복원제 조성물로 복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성토의 하부 연약 지반을 천공하여 공급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 파이프에 시멘트 충진제를 주입하는 그라우팅 단계; 고성토의 상부 노반에 구멍을 뚫는 천공단계; 상기 천공단계가 종료된 후 보강 및 복원하고자 하는 지반까지 파이프를 삽입하는 주입파이프 삽입단계; 상기 주입파이프 삽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로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파이버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를 제거하는 파이프 제거단계; 및 상기 파이프 제거단계가 종료된 후 천공을 밀봉마감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시공 방법으로, 상기 공급파이프에 시멘트 충진제를 대신하여 복원제 조성물이 주입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보강하고자 하는 연약지반 및/또는 침하구조물의 하부에 주입되어 고결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고, 침하구조물을 복원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수지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을 위해 사용되는 복원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강도, 강성 및 점착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복합수지, 특정적으로 친유성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친유성 수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수지, 실리콘계 아크릴수지, 메틸페닐계 실리콘수지, 비닐클로라이드의 호모중합체, 비닐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수지, 1,2-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소부틸렌 합성고무, 폴리스티렌수지, 아크릴산메틸의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친유성 수지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 화합물은 후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이 신속히 경화하여 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통상적인 폴리올 화합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코폴리머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상기 폴리올 혼합물과 반응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삼량체,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계 화합물을 축중합 시킨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계 수지는 충격강도, 인장강도, 신율, 인장강도 및/또는 탄성력 등을 향상사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EGMA),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EBA-GMA)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는 수축보상, 고강도, 예를 들면 높은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초속경을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감소하고 20중량부 이상인 경우 체적이 팽창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물과 접촉할 경우 순식간에 반응하여 에트린가이트(Ettringite) 수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복원제 조성물의 압축강도를 수분 내지 수 시간 안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다 신속한 수화반응을 위해 초미립 비정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화반응성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초미립 비정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블레인 분말도는 5,000 내지 8,000㎠/g 정도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28 내지 62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19 내지 52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9 내지 20중량%인 부산석고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혼합물의 입도가 88㎛, 잔분이 5 내지 20중량%로 분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소성로에서 1,000 내지 1,300℃의 소성온도로 1시간 이상 유지한 후 공냉시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소성온도가 낮거나, 백운석슬러지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미반응 석회의 양이 많아져 팽창성을 나타내므로 붕괴, 파괴의 염려가 있으며, 소성온도가 높거나 석회석 배합량이 적어도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생산이 적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민 화합물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통상적인 아민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는 복원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악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로 형성된 교면의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파이버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석면, 암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유리섬유, 천연 셀룰로오즈 섬유 및 광물질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면활성제로서 술폰 에스테르, 술폰산, 포스포릭 에스테르; 양이온계면활성제로서 2차 아민염, 3차 아민염; 양이온성계면활성제로서 아미노산 타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에 포함된 각 구성성분이 서로 잘 분산되도록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 후 경화시 경화된 조성물 전체 물성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분산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결합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디-스티렌 아크릴계 수지(Ethylene Di-Stylene Acrylic Resin) 및 폴리비닐알코올(PVA), 석유계 수지, 페놀수지, 로진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결합제의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2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케이트는 내화학성, 내약품성, 내크랙성, 내오염성 및/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실리케이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변성실란실리케이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리케이트의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경화 중에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및/또는 CaCO3가 포함된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지바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에 따른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지바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조성물이 적용되는 대상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의 박리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리방지제는 폴리인산계, 아민계, 또는 인산 에스테르계 박리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상기 박리방지제는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산가가 10 ㎎KOH/g 이하이고, 총 아민가가 140 내지 400㎎HCl/g인 아민계 박리방지제일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온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저분자형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조성물이 적용되는 표면에 보다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의 부착증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부착증진제로는 아크릴 포스페이트계 부착 증진제,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구성성분들 간의 혼합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의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테레프탈산 금속염, 스테아린산 금속염, 석유수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저분자량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강고한 밀착성, 내수성, 산소투과성, 이온투과성,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기계적 특성(탄성, 유리전이온도, 응력완화)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아크릴 에멀젼 수지 10 내지 4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아크릴 에멀젼 수지로는 모노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 하이드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AN(acrylonitril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acrylic acid, methylmethacrylate), SM(styrene monomer),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Diacetone acrylamide),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접착성 및 방수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라텍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라텍스의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초기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폴리비닐알코올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의 분산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초기의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도 증가되어 초기접착력을 개선하여 들뜸 현상, 뒤틀림 등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인데, 폴리비닐알코올이 2중량부 이하 일 때는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그 양이 과도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내후성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알루민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알루민산 칼슘은 조성물에 포함되면 팽창성을 띄게 되어 건초수축을 방지하게 되는데, 사용량이 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소포졸라나(calcinated pozzolana)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하소포졸라는 주로 세립의 적색의 화산성 흙으로 구성되어 있는 천연 포졸라나에 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하며, 특히, 상기 하조포졸라나는 천연 포졸라나 100중량부에 칼슘 1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0 내지 1200℃의 온도범위에서 0.5 내지 1시간 소성한 후 평균입도가 10 내지 20㎛가 되도록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소티아조린(Isothiazoline) 유도체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을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8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은 폴리아민의 일종으로서, 표면 보호제 조성물의 경화속도 및 점도 조절의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이 2중량부 이하 일 때는 효과가 미미하며, 8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그 양이 과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의 신속한 경화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의 충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ammonium nonylphenol ether sulfate)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의 혼합시 급격한 반응을 억제하여 반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탄산나트륨을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의 응집력과 재료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의 균열을 방지하고 유연성 및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폴리부텐(polybutene)을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복원제 조성물의 흡수성, 투과성 및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이온 변성스타치의 일종인 스타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실온에서 효과적으로 경화하고 내열성, 저온 성능, 내화학성, 내용매성 및 내유성과 같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Aminofunctional silox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 함유 실록산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서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을 들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진크 설페이트(zinc sulphate)를 1 내지 3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크 셀페이트는 알카리부여제로소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진크 설페이트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에 포함되면 연약지반의 알카리성을 회복시키며, 표면에 비활성막을 생성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공극을 치밀하게 하고 누수를 방지하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트륨벤토나이트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트륨벤토나이트는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해 원래 부피의 여러 배로 팽창되며 겔과 같은 상태가 되어 조성물의 공극을 치밀하게 메우게 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켜 균열방지에 기여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이 접착되는 피접착면에 존재하는 유해 성분들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친유성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를 촉진하면서 도막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도가 낮고 공극률이 높아 표면적이 큰 규조토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은 점도를 조절하고, 피 접착면과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틸글리시딜에테르(Butyl glycidyl ether)를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시공방법은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의 시공방법은, 도면과 같이 시공할 고성토의 하부 노반(10)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공급 파이프(12)를 삽입하는 삽입 단계; 상기 공급 파이프(12)에 시멘트 충진제를 주입하여 연약 지반을 보강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충진제가 양생하는 양생 단계; 상기 고성토의 상부 노반(20)에 구멍을 뚫는 천공 단계; 상기 천공단계가 종료된 후 보강 및 복원하고자 하는 지반까지 파이프를 삽입하는 주입파이프(22) 삽입단계; 상기 주입파이프 삽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로 친유성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올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파이버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를 제거하는 파이프 제거단계; 및 상기 파이프 제거단계가 종료된 후 천공을 밀봉마감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노반에 설치되는 공급 파이프(12)에도 연약 지반 보강 및 침하 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이 주입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성토 상면에 시공된 콘크리트 궤도를 복원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고성토의 하부 노반(10)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공급파이프(12)를 삽입한다.
공급파이프에는 저압으로 시멘트 충진제가 공급되며 이 그라우팅 후 양생과정을 통해 고성토 하부의 연약한 지반을 개량/치환하여 성토체를 보강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공급파이프(12)에 연약지반 보강 및 복원제 조성물이 주입될 수도 있다.
양생 후, 상부 노반에 구멍을 ??어 상기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되, 이때 콘크리트 궤도를 구성하는 도상 콘크리트층(TCL)과 노반 강화층(HSB) 각각 또는 노반 강화층에만 구멍을 천공하여 조성물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궤도를 복원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g, 폴리에틸렌 글리콜 15g,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10g,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5g,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g,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8g, 유리섬유 8g, 술폰 에스테르 5g, 수분산 폴리우레탄 분산제 5g,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g,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5g, 및 평균입경이 450nm인 실리콘카바이드 8g을 혼합하여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2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6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레프탈산 금속염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모노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라텍스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비닐알코올 5g을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민산 칼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소포졸라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소티아조린 유도체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10g 및 테레프탈산 금속염 10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렌펜타민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중탄산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부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타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진크 설페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트륨벤토나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조토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부틸글리시딜에테르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27에 따라 부가된 물질을 모두 함께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g을 제외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신율을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내었다.
압축강도(kg/㎡) 휨강도(kg/㎡) 인장신율(%)
실시예 1 905 410 7.9
실시예 2 934 408 7.8
실시예 3 920 395 8.1
실시예 4 911 400 8.4
실시예 5 901 395 8.3
실시예 6 895 411 7.9
실시예 7 930 418 8.2
실시예 8 929 404 8.4
실시예 9 934 414 8.1
실시예 10 930 421 7.9
실시예 11 923 425 7.8
실시예 12 921 443 8.2
실시예 13 936 444 7.8
실시예 14 934 399 8.2
실시예 15 944 401 8.5
실시예 16 912 406 8.0
실시예 17 916 412 8.2
실시예 18 912 409 8.0
실시예 19 911 402 8.3
실시예 20 936 411 9.1
실시예 21 934 411 8.4
실시예 22 911 405 8.0
실시예 23 915 411 8.2
실시예 24 912 410 8.1
실시예 25 910 404 8.4
실시예 26 906 408 9.1
실시예 27 912 404 8.1
실시예 28 911 409 9.0
비교예 1 653 165 4.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 28은 비교 예에 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신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10 내지 30중량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유리섬유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에,
    박리방지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산화방지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부착증진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가소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하소포졸라나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이소티아조린 유도체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중탄산나트륨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진크 설페이트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규조토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부틸글리시딜에테르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시공할 고성토의 하부 지반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공급 파이프를 삽입하는 삽입 단계;
    상기 공급 파이프에 시멘트 충진제를 주입하여 연약 지반을 보강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충진제가 양생하는 양생 단계;
    상기 고성토의 상부 지반에 구멍을 뚫는 천공 단계;
    상기 천공단계가 종료된 후 보강 및 복원하고자 하는 지반까지 파이프를 삽입하는 주입파이프 삽입단계;
    상기 주입파이프 삽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10 내지 30중량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2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5 내지 3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3 내지 20중량부, 아민 화합물 3 내지 15중량부, 유리섬유 1 내지 15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부, 분산제 1 내지 1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 내지 20중량부, 실리케이트 1 내지 10중량부, 및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에, 박리방지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산화방지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부착증진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가소제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하소포졸라나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이소티아조린 유도체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중탄산나트륨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진크 설페이트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규조토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부틸글리시딜에테르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상기 주입단계가 종료된 후 주입파이프를 제거하는 파이프 제거단계; 및
    상기 파이프 제거단계가 종료된 후 천공을 밀봉마감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시공방법.
  5. 삭제
KR1020180009286A 2018-01-25 2018-01-25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KR10190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86A KR101906387B1 (ko) 2018-01-25 2018-01-25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86A KR101906387B1 (ko) 2018-01-25 2018-01-25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387B1 true KR101906387B1 (ko) 2018-10-11

Family

ID=6386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286A KR101906387B1 (ko) 2018-01-25 2018-01-25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97B1 (ko) 2018-12-28 2019-04-29 주식회사 네오그린텍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88269B1 (ko) * 2023-05-15 2023-10-12 주식회사 에드콘엔지니어링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529B1 (ko) * 2016-09-29 2017-09-05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과 시멘트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19917B1 (ko) * 2017-04-24 2018-01-19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보강파일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529B1 (ko) * 2016-09-29 2017-09-05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과 시멘트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19917B1 (ko) * 2017-04-24 2018-01-19 (주)대한하이텍건설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보강파일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97B1 (ko) 2018-12-28 2019-04-29 주식회사 네오그린텍 고밀도 급속 팽창성 우레탄의 다중 주입에 의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 침하의 복원 및 지반 보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88269B1 (ko) * 2023-05-15 2023-10-12 주식회사 에드콘엔지니어링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62B1 (ko)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681596B1 (ko) 내화학성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16249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882787B1 (ko) 친환경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의 표면 코팅 및 보호 공법
KR1018995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복구 보수재
KR102098039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6302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0948348B1 (ko) 급결형 무기질 조성물 및 아크릴레이트계 차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수 및 보수보강 공법
KR1016254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941179B1 (ko) 고강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9830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방수공법
KR101908533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 경량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20040030373A (ko) 무수축 고점도 케미칼 그라우트재
KR102105862B1 (ko) 분급된 페로니켈 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교면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
KR101213063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단면을 복구하는 보수방법
KR101774529B1 (ko) 지반 고결용 우레탄과 시멘트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에 관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06387B1 (ko) 지반 고결용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약지반 보강 및 침하구조물 복원제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복합 시공방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22776A (ko) 속경성 경량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