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105B1 - Multifunctional water tank apparatus for water supply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water tank apparatus for water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6105B1 KR101906105B1 KR1020180031418A KR20180031418A KR101906105B1 KR 101906105 B1 KR101906105 B1 KR 101906105B1 KR 1020180031418 A KR1020180031418 A KR 1020180031418A KR 20180031418 A KR20180031418 A KR 20180031418A KR 101906105 B1 KR101906105 B1 KR 1019061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water tank
- wall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위 수용지의 용수가 고지대에서 후위 공급지로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관손상을 방지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for preventing the pipe from being damaged by smoothly supplying water of the water supply from a high place to a rear supply.
일반적으로, 조절지는, 하천, 계곡 및 유역 등에 설치되는 연못 형태의 시설물로써, 방류량의 조절이 가능한 출구를 가진 채 수량 및 수질을 미리 정해진 수치로 유지 조절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용수 조절지, 홍수 조절지 및 수처리 조절지 등으로 분류된다.Generally, a control pond is a pond type facility installed in a river, a valley, and a watershed. It has an outlet that can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and maintain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water at a predetermined value. Regulating paper and water treatment paper.
특히, 용수 조절지는, 수용지의 총수량 및 공급지의 공급 수량 등을 조절하면서 용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용수 공급하도록, 수용지와 연결된 유입관, 공급지와 연결된 유출관 및 용수를 저장하는 수용실로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water control tank is composed of an inflow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ond, an outflow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ond, and a storage room for storing the water,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place where the water is needed while controlling the total water amount of the water pond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supply pond. do.
용수 조절지는, 수용지와 공급지 사이가 고지대로 이루어진 경우, 펌프의 가동을 통해 전위 수용지의 용수가 고지대를 거쳐 후위 공급지로 공급되도록 고지대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농경지 또는 산업단지 등에 용수를 공급하는 원리로 이용된다.The water control system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ighlands so that the water of the potential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rear feeder through the highland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mp when the water between the water and the supply is in a high place. It is used as a principle.
종래의 용수 조절지는, 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라 유입관 및 유출관의 각 내부에서 용수와 공기의 상호 충돌에 의한 수주 분리 또는 수격 현상 등이 발생하여 관손상의 피해를 입게되므로, 수용지에서 공급지로의 용수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In the conventional water control system, due to the collision of water and air in each of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order splitting or water hammer phenomenon occurs and the pipes are damaged. It has been difficult to keep the water supply of the gyro constant.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 제 20-0375182호가 제시되었다.For this purpos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5182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하지만, 종래 등록실용실안의 저수조는, 공급관 및 배출관이 상호 연결된 채 역류방지공을 통해 저수조 내부의 용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펌프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지만, 모터펌프의 갑작스런 중지에 따른 공급관 및 배출관에 발생가능한 수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용수 공급의 비상 시를 대비한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 storage tank of the registered utility room,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backflow prevention hole while the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re mutually connected to induce energy saving of the motor pump. However, The means for preventing the water hammer that may occur in the discharge pipe is not provided, thus limiting the ope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mergency supply of the water supply.
또한, 저수조는, 모터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라 저수조의 내부로 공기의 출입을 유도하지 못하는 구성이므로, 공급관 및 배출관의 내부로 수주 분리 또는 수격 현상이 발생된 채 그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작업 간 유지 보수가 비경제적이고, 장거리 용수 공급이 불가하기 때문에 운영 장소가 소규모 평지 또는 도시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tank does not induce the air flow into or out of the water tank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tor pump is in operation, order disconnection or water hammer occurs in the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Maintenance of the liver is uneconomical and the supply of long-distance water is impossible, so that the operation place is limited to a small flat land or a cit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위 수용지의 용수가 고지대에서 후위 공급지로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관손상을 방지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water reservoir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damaged by smoothly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high-potential water supply path to the rear supply path.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위 수용지의 용수가 가압펌프의 구동을 매개로 고지대에서 후위 공급지로 배수되기 위해, 상기 전위 수용지와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내부에 용수를 수용하고, 상기 후위 공급지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되,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른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의 관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의 각 내부에 외부 공기의 출입을 유도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벽이 둘러싸며, 상기 외벽에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이 각각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용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관이 구비된 저수조체와, 일단이 상기 배수관과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동된 각 용수가 분리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 제 1 수조탱크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 제 2 수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체의 상부 외벽에는,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1 공기유도관 및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2 공기유도관이 각각 관통 결합되되,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이 중지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에 따른 상기 유입관의 수주 분리 로 인한 상기 유입관 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저수조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관으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이 중지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에 따른 상기 배출관의 수주 분리로 인한 상기 배출관 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저수조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관으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가 가동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에 따른 상기 유입관의 용수 충만으로 인한 상기 유입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저수조체 외부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가 가동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에 따른 상기 배출관의 용수 충만으로 인한 상기 배출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저수조체 외부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수조탱크는, 일단에 상기 유입관이 연결된 제 1 수조 및 타단에 상기 배수관이 연결된 제 2 수조로 이루어진 채,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를 구획하기 위한 웨어벽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 2 수조와 구획되기 위한 제 1 내벽 및 상기 제 2 수조탱크와 구획되기 위한 제 2 내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내벽 및 상기 제 2 내벽을 이격 배치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유량제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유량제어수단은,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 후 재가동 되는 경우, 상기 배수관을 통한 용수의 유동을 조절하여 상기 배출관 내의 잔류 공기가 상기 제 2 수조탱크 및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을 통해 상기 저수조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관을 유동 중인 용수의 유속 변화에 따른 수격 현상으로 발생하는 상기 제 2 수조탱크로부터 상기 제 1 수조탱크로의 용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water of the disposable-water paper to be drained from the high place to the back-up paper via the driving of the pressurizing pump, And the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rear supply pipe discharges the water contained therein so as to prevent the pipes of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from being dama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pump, A multifunctional water tank device for supplying external water into a water tank, the water tank comprising: an outer wall surrounded by an outer wall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coupled to the outer wall, A drain pipe for introducing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pipe to the drain pip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partitioning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each water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or the water discharge pipe is separated and accommodated; A first water tank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through which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flows into the drain pipe and a water pipe arranged at a rear end of the storage spac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A first air induction pipe for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tank, and a second air induction pipe for introducing air into an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 tank, And a second air induction pipe for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And an air inlet / outlet path from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to the inflow pipe is provided so as to prevent a pressure drop in the inflow pipe due to order separation of the inflow pipe due to the shutdown of the pressurization pump, The pipe may be provided with an air inlet / outlet path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reservoir to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a pressure drop in the discharge pipe due to order separation of the discharge pipe due to stoppage of operation of the pressure pump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pump is stopped Wherein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provided to prevent the pressure in the inflow pipe from rising due to the water filling of the inflow pip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when the pressurizing pump is operated, Wherein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provided with an air outlet path to the outside when the pressurizing pump is operated, The first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 outlet path from the discharge pip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prevent a pressure rise in the discharge pipe due to the water filling of the discharge pip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discharge pipe, A first water tank and a second water tank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t the other end, and a ware wall for partitioning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A first inner wall and a second inner wall for partitioning with the second water tank, wherein a space for separating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is formed, and a flow rate control Wherein the flow rate control means controls the flow of the wate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when the pressure pump is restarted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pump So that the residual air in the discharge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through the second water tank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And preventing water backflow from the water tank tank to the first water tan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은, 그 선단이 상기 제 1 수조를 향해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은, 그 선단이 상기 제 2 수조탱크를 향해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웨어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수관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tank while the tip of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first water tank, The induction pipe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 tank while the tip of the induction pipe is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tank and the inflow pipe is relatively in relative to the water pip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체의 외벽은 상기 제 1 내벽 및 상기 제 2 내벽과 각각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어벽의 일단과 일체를 이룬 채 상기 웨어벽의 타단과 상호 이격되되, 상기 배수관의 선단이, 상기 제 1 내벽를 관통 결합하고, 상기 배수관의 후단이, 상기 제 2 내벽를 관통 결합하며, 상기 웨어벽의 타단은 상기 제 1 수조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상기 제 2 수조로의 월류를 안내하도록 제 2 수조를 향해 경사지고, 상기 공간부에는 유동되는 용수로 인한 상기 배수관의 미세 진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수관을 하방에서 고정하는 받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and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ware wall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ware wall And a distal end of the drain pipe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inner wall and a rear end of the drain pipe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inner wall and the other end of the wear wall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ater tank, A suppor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fix the drain pipe downward so that the drain pipe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water tank to guide the overflow to the water tank and the micro-vibration of the drain pipe due to the water flowing in the space is preven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조탱크에는 수용된 용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가 마련되어, 상기 안내부 내에 상기 배출관의 선단이 배치되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하부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관의 선단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하부 내측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수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water accommodated therein to the discharge pipe, wherein a tip of the discharge pipe is disposed in the guide portion, And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tip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portion. The discharge pipe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relative to the drain pipe with respect to the lower inside of the second water tan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배수관, 배출관, 제 1 공기유도관 및 제 2 공기유도관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의 직경은, 공기의 출입을 통해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용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유입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의 직경은, 공기의 출입을 통해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용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ipe, the drain pipe, the discharge pipe,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are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Wherein a diameter of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inflow pipe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 the first water tank is kept constant, And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water level is kept consta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체의 상부 외벽에는 상기 제 1 수조탱크, 공간부 및 제 2 수조탱크의 각 내부로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내지 3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3 관통구에는 상기 제 1 수조탱크, 공간부 및 제 2 수조탱크의 각 내부를 밀폐하는 제 1 내지 3 밀폐수단이 각각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밀폐수단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내압이, 상기 제 3 밀폐수단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내압이 각각 조절가능하되, 상기 제 1 밀폐수단 및 상기 제 3 밀폐수단은 상기 제 1 수조탱크 및 상기 제 2 수조탱크에 수용된 각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수압 변화에 대응하도록 잠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ody is provided with first through third through holes for guid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ter tanks, Wherein the first to third through holes are detachably coupled to first to third sealing means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tank, the space and the second water tank, respectively, Where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water tank tank is adjustable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water tank is adjustabl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sealing mean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sealing means and the third sealing means are provided, And may be provided in a locking manner so as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water pressure due to a rise in the water level of each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선단이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바이패스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pipe may be further provided, the front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the rea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에는 저수조체, 구획벽, 제 1 수조탱크 및 제 2 수조탱크이 하나의 설비상에 구비됨으로써, 가압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른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가압펌프가 양정 균일화를 이룬 채 안정적인 운전에 따른 경제적인 동력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tank, the partition wall,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are provided on one facility in the multi-function water tank for water supply,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he pressurizing pump can be realized at an economical power cost due to stable operation while achieving uniformity of the head.
또한, 저수조체의 상부 외벽에는 제 1 공기유도관이 관통 결합됨으로써, 제 1 공기유도관, 제 1 수도탱크 및 유입관이 상호 연통된 채, 저수조체의 외부 공기가 유입관으로의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라 변화되는 유입관의 내압을 조절하여, 유입관의 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ody so that the outside air of the reservoir body can flow in and out of the inflow pipe while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inflow pip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flow pip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damaged.
또한, 저수조체의 상부 외벽에는 제 2 공기유도관이 관통 결합됨으로써, 제 1 공기유도관, 제 1 수도탱크 및 배출관이 상호 연통된 채, 저수조체의 외부 공기가 배출관으로의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라 변화되는 배출관의 내압을 조절하여, 배출관의 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ody, the outside air of the reservoir body can flow into and out of the discharge pipe while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discharge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harge pipe which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ressurizing pump is actuated, thereby preventing the tube of the discharge pipe from being damaged.
또한,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배수관에는 유동제어수단이 연결되어,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 후 재가동 되는 경우에 대응하도록 배출관 내의 잔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 2 수조탱크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제 1 수조탱크로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flow control means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tank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discharge the residual air in the discharge pipe to the out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se where the pressurizing pump is restarted after the pump is shut down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water tank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everse flow phenomenon to the first water tan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상부 외벽이 제외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웨어벽을 통해 용수 수위가 조절되는 제 1 수조탱크를 나타내는 B의 확대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배수관에서 배출관으로의 용수 유동을 나타내는 C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제 1 공기유도관 및 제 2 공기유도관을 통해 공기가 출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가 배출관에 발생하는 수격 현상에 의한 수위 상승을 제 2 공기유도관에서 완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outer wall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reservoir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ing a first water tank in which the water level is adjusted through a ware wall of a multifunctional water tank for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b) Is an enlarged view of C showing water flow from the drain pipe to the drain pipe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tank device.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how air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reservoir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level rise due to a water hammer phenomenon occurring in a discharge pipe is buffered in a second air induc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상부 외벽이 제외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outer wall of a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luded, 4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reservoir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ereof.
먼저,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이하, 저수조장치, 100)는, 전위 수용지의 용수가 가압펌프(미도시)의 구동을 매개로 고지대에서 후위 공급지로 배수되기 위해, 전위 수용지와 연결된 유입관(100a)을 통해 내부에 용수를 수용하고, 후위 공급지와 연결된 배출관(100c)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multifunctional water tank device for supplying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ter tan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ater of the potential water papers is supplied through a drive of a pressure pump In order to drain the waste water from the high place to the rear supply pipe, the water is received in the interior through the
저수조장치(100)는, 가압펌프의 가동 유무에 따른 유입관(100a) 및 배출관(100c)의 관손상이 방지되도록 유입관(100a) 및 배출관(100c)의 각 내부에 공기의 출입을 유도하는 설비로써, 저수조체(110), 구획벽(130), 제 1 수조탱크(120) 및 제 2 수조탱크(150)를 포함한다.The
저수조체(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벽(110a)이 둘러싸며, 외벽(110a)에 유입관(100a) 및 배출관(100c)이 각각 관통 결합된 채, 유입관(100a)을 통해 유입된 용수를 배출관(100c)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관(100b)이 구비된다.The
저수조체(110)는 외벽(110a)이 둘러싼 형상에 따라 사각 형상, 원기둥 형상 및 다각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며, 가압펌프의 작동에 따라 용수가 저수조체(110)의 내부를 향해 유입되는 선단으로 유입관(100a)이 배치되고, 유입된 용수가 저수조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후단으로 배출관(100c)이 배치된다.The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저수조장치(200)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저수조장치(200)의 외부에는 선단이 유입관(200a)과 연결되고, 후단이 배출관(200c)과 연결되는 바이패스관(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4,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저수조장치(200)에는 바이패스관(30)이 구비됨으로써, 저수조장치(200)의 청소 등의 유지 관리 시에 용수 공급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저수조장치(200)는 바이패스관(30)을 통해 가압 펌프의 급격한 시동 및 정지 등과 같은 비상 시 유입관(200a) 및 배출관(200c)에 발생가능한 수격 현상이 방지되므로, 가압펌프의 동력 비용을 최소한 채 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저수조체(110)의 상부 외벽(110a)에는, 제 1 수조탱크(120)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1 공기유도관(101) 및 제 2 수조탱크(150)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2 공기유도관(102)이 각각 관통 결합된다.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제 1 공기유도관(101)은, 그 선단이 제 1 수조(121)를 향해 관통 결합된 채 제 1 수조탱크(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제 2 공기유도관(102)은, 그 선단이 제 2 수조탱크(150)를 향해 관통 결합된 채 제 2 수조탱크(15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econd
이때, 유입관(100a), 배수관(100b), 배출관(100c), 제 1 공기유도관(101) 및 제 2 공기유도관(102)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 1 공기유도관(101) 및 제 2 공기유도관(102)의 각 직경은, 공기의 출입을 통해 제 1 수조탱크(120) 및 제 2 수조탱크(150)의 용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입관(100a) 및 배출관(100c)의 각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s of the first
제 1 공기유도관(101)은 그 직경이 유입관(100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용수의 유동 속도 및 유동량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입관(100a)에서 발생되는 수격 현상 및 관압 발생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제 2 공기유도관(102)은 그 직경이 배출관(100c)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용수의 유동 속도 및 유동량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출관(100c)에서 발생되는 수격 현상 및 관압 발생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구획벽(130)은 그 일단이 배수관(100b)과 관통 결합된 채 저수조체(1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유입관(100a) 또는 배수관(100b)을 통해 유동된 각 용수가 분리 수용되도록 저수조체(110)의 내부 수용 공간을 구획한다.One end of the
구획벽(130)은, 제 2 수조(123)와 구획되기 위한 제 1 내벽(131) 및 제 2 수조탱크(150)와 구획되기 위한 제 2 내벽(132)으로 이루어진다.The
구획벽(130)에는 제 1 내벽(131) 및 제 2 내벽(132)을 이격 배치하기 위한 공간부(140)가 형성된 채, 공간부(140) 내에 배수관(100b)과 연결되는 유량제어수단(10)이 구비된다.The
유량제어수단(10)은 그 내부의 저장 수준에 따라 용수량을 조절가능한 밸브류로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rate control means 10 may be provided as a valve flow which can adjust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storage level therein.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유량제어수단(10)으로 체크밸브가 구비된 경우, 가압펌프의 작동 유무에 따라 배수관(100b)을 유동하는 용수의 수량 및 압력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체크밸브의 내부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when the check valve is provided by the flow control means 10, the check valve is ope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hange in the quantity and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 the
저수조체(110)의 외벽(110a)은 제 1 내벽(131) 및 제 2 내벽(132)과 각각 일체로 이루어지고, 웨어벽(122)의 일단과 일체를 이룬 채 웨어벽(122)의 타단과 상호 이격된다.The
이때, 배수관(100b)의 선단은 제 1 내벽(131)과 관통 결합하고, 배수관(100b)의 후단은 제 2 내벽(132)과 관통 결합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웨어벽(122)의 타단은 제 1 수조(121)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제 2 수조(123)로의 월류(越流)를 안내하도록 제 2 수조(123)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122a)이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이때, 유입관(100a)은 웨어벽(122)을 기준으로 하여 배수관(100b)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공간부(140)에는 유동되는 용수로 인한 배수관(100b)의 미세 진동이 방지되도록 배수관(100b)을 하방에서 고정하는 받침부재(20)가 구비된다.The
받침부재(20)는 공간부(14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배수관(100b)을 고정하고, 가압펌프의 작동에 따라 용수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배수관(100b)의 일방 진동을 억제한다.The
받침부재(20)는 배수관(100b)의 미세 진동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100b)의 체적에 대응되는 일정 강도의 소재, 예컨대, 강철류, 세라믹 및 나무류 등으로 다양하게 대체할 수 있다.The
저수조체(110)는, 그 상부 외벽(110a)에 제 1 수조탱크(120), 공간부(140) 및 제 2 수조탱크(150)의 각 내부로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내지 3 관통구(124, 144, 154)가 각각 형성된다.The
제 1 내지 3 관통구(124, 144, 154)에는 제 1 수조탱크(120), 공간부(140) 및 제 2 수조탱크(150)의 각 내부를 밀폐하는 제 1 내지 3 밀폐수단(125, 145, 155)이 각각 탈착 결합된다.The first through third through
저수조체(110)에는 제 1 내지 제 3 관통구(124, 144, 154)를 통해 내외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사다리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내지 3 관통구(124, 144, 154)를 통한 작업자의 출입이 원활하기 때문에 작업 간의 시설물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다.The
이때, 제 1 관통구(124)는, 제 1 수조탱크(120)와 상호 연통되도록 저수조체(110)의 외벽(110a)에 일정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채, 1 밀폐수단(125)과의 개폐를 통한 제 1 수조탱크(120)의 내압이 조절가능하여, 공기의 효율적인 출입을 위한 제 1 공기유도관(101)의 보조 역할을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제 3 관통구(154)는, 제 2 수조탱크(150)와 상호 연통되도록 저수조체(110)의 외벽(110a)에 관통 형성된 채, 제 3 밀폐수단(155)과의 개폐를 통해 제 2 수조탱크(150)의 내압이 조절가능하여, 공기의 효율적인 출입을 위한 제 2 공기유도관(102)의 보조 역할을 구현할 수 있다.The third through
제 1 밀폐수단(125) 및 제 3 밀폐수단(155)은 제 1 수조탱크(120) 및 제 2 수조탱크(150)에 수용된 각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수압 변화에 대응하도록 잠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means 125 and the third sealing means 155 are provided in a locking manner so as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the water pressure of each water contained in the
제 1 수조탱크(120)는 구획벽(130)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 공간의 선단에 배치되며, 유입관(100a)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배수관(100b)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The
제 1 수조탱크(120)는 그 일단에 유입관(100a)이 연결된 제 1 수조(121) 및 타단에 배수관(100b)이 연결된 제 2 수조(123)로 이루어진 채, 제 1 수조(121) 및 제 2 수조(123)를 상호 구획하기 위한 웨어벽(122)이 구비된다.The
제 2 수조탱크(150)는 구획벽(130)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며, 배수관(100b)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배출관(100c)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The
제 2 수조탱크(150)에는 수용된 용수를 배출관(100c)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160)가 마련된 채, 안내부(160) 내에 배출관(100c)의 선단이 배치된다.The tip of the
안내부(160)는 제 2 수조탱크(150)의 하부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배출관(100c)의 선단을 향하는 경사면(160a)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배출관(100c)은 제 2 수조탱크(150)의 하부 내측을 기준으로 하여 배수관(100b)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웨어벽을 통해 용수 수위가 조절되는 제 1 수조탱크를 나타내는 B의 확대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배수관에서 배출관으로의 용수 유동을 나타내는 C의 확대도이며, 전술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5 (a)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ing a first water tank in which the water level is adjusted through a ware wall of a multifunctional water tank for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b) 1 is an enlarged view of C showing water flow from a drain pipe to a drain pipe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tank devic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와 같이, 제 1 수조탱크(120)는 구획벽(130)을 기준으로 하여 저수조체(110) 수용 공간의 선단에 배치되며, 유입관(100a)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배수관(100b)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5A, the
제 1 수조탱크(120)는 그 일단에 유입관(100a)이 연결된 제 1 수조(121) 및 타단에 배수관(100b)이 연결된 제 2 수조(123)로 이루어진 채, 제 1 수조(121) 및 제 2 수조(123)를 상호 구획하기 위한 웨어벽(122)이 구비된다.The
웨어벽(122)의 타단은 제 1 수조(121)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제 2 수조(123)로의 월류를 안내하도록 제 2 수조(123)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122a)이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예컨대, 제 1 수조(121)에 수용된 용수 수위는 가압펌프의 가동에 의해 제 1 수조(121)의 저장 공간 내에 수용되는 높이 h1에서 웨어벽(122)의 상부에 위치되는 높이 h2로 상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이때, 제 1 수조(121)에 수용된 용수 수위는 높이 h1에서 h2로 상승됨과 동시에 웨어벽(122)의 경사면(122a)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 2 수조(123)의 저장 공간으로 유동된다.At this time,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제 1 수조탱크(120)는 가압펌프의 가동을 통해 제 1 수조(121)에 유입된 용수량에 대응하여 그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가압펌프의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하므로, 가압펌프의 양정 균일화를 이룬 채 동력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water level of the
도 5(b)와 같이, 제 2 수조탱크(150)는 구획벽(130)을 기준으로 하여 저수조체(110) 수용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며, 배수관(100b)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배출관(100c)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5B, the
제 2 수조탱크(150)에는 수용된 용수를 배출관(100c)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160)가 마련된 채, 안내부(160) 내에 배출관(100c)의 선단이 배치된다.The tip of the
안내부(160)는 제 2 수조탱크(150)의 하부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배출관(100c)의 선단을 향하는 경사면(160a)으로 이루어진다.The
가압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공급되는 용수는, 유입관(100a), 제 1 수조탱크(120) 및 배수관(100b)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제 2 수조탱크(150)에 유입되고, 제 2 수조탱크(150)의 저장 공간에 수용된 채 안내부(160)의 경사면(160a)을 따라 신속하게 배출관(100c)으로 유입된다.The water suppli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이때, 배출관(100c)은 제 2 수조탱크(150)의 하부 내측을 기준으로 하여 배수관(100b)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이하, 전술한 저수조장치의 구성을 참조하여 제 1 공기유도관 및 제 2 공기유도관을 통한 공기의 출입 원리를 설명하며, 저수조장치의 구성은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servoir device, description will be made of how th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and the structure of the water reservoir device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의 제 1 공기유도관 및 제 2 공기유도관을 통해 공기가 출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가 배출관에 발생하는 수격 현상에 의한 수위 상승을 제 2 공기유도관에서 완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how air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reservoir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multifunctional water reservoir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se in water level due to a water hammer phenomenon occurring in a discharge pipe is buffered in a second air induction pipe.
도 6에서와 같이, 저수조체(110)의 상부 외벽(110a)에는, 제 1 수조탱크(120)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1 공기유도관(101) 및 제 2 수조탱크(150)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2 공기유도관(102)이 각각 관통 결합된다.6, a first
제 1 공기유도관(101)은, 가압펌프의 가동이 중지된 경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에 따른 유입관(100a)의 수주분리(水柱分離, 용수 부재의 영향)로 인한 유입관(100a) 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저수조체(110)의 외부로부터 유입관(100a)으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한다.The first
제 2 공기유도관(102)은, 가압펌프의 가동이 중지된 경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에 따른 배출관(100c)의 수주 분리로 인한 배출관(100c) 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저수조체(110)의 외부로부터 배출관(100c)으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한다.The second
반면에, 제 1 공기유도관(101)은, 가압펌프가 가동된 경우, 가압펌프의 가동에 따른 유입관(100a)의 용수 충만(充萬)으로 인한 유입관(100a)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유입관(100a)으로부터 저수조체(110) 외부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izing pump is operated, the first
제 2 공기유도관(102)은, 가압펌프가 가동된 경우, 가압펌프의 가동에 따른 배출관(100c)의 용수 충만으로 인한 배출관(100c)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배출관(100c)으로부터 저수조체(110) 외부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한다.The second
도 7에서와 같이, 구획벽(130)은, 제 1 수조탱크(120)의 제 2 수조(123)와 구획되기 위한 제 1 내벽(131) 및 제 2 수조탱크(150)와 구획되기 위한 제 2 내벽(132)으로 이루어진다.7, the
제 1 내벽(131) 및 제 2 내벽(132) 사이에는 상호 이격 배치되기 위한 공간부(140)가 형성되며, 공간부(140) 내에 배수관(100b)과 연결되는 유량제어수단(10)이 구비된다.A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 후 재가동 되는 경우, 용수의 수위는 제 2 수조탱크(150) 내의 높이 h3에서 제 2 공기유도관(102) 내의 높이 h4로 상승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an be raised from the height h3 in the
유량제어수단(10)은 배수관(100b)을 통한 용수의 유동을 조절하여 배출관(100c) 내의 잔류 공기가 제 2 수조탱크(150) 및 제 2 공기유도관(102)을 통해 저수조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flow rate control means 10 controls the flow of the water through the
이때, 제 2 수조탱크(150)는 배출관(100c) 내에서 발생하는 수격 현상에 의한 수위 상승이 제 2 공기유도관(102)을 통해 완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ise of the water level due to the water hammer phenomenon occurring in the
배출관(100c)은 그 내부로 유입된 용수와 공기의 상호 충돌이 완화된 채 유량제어수단(10)을 통한 잔류 공기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격압에 의한 수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유량제어수단(10)은, 배수관(100b)을 유동 중인 용수의 유속 변화에 따른 수격 현상으로 발생하는 제 2 수조탱크(150)로부터 제 1 수조탱크(120)로의 용수 역류를 방지한다.The flow rate control means 10 prevents the backflow of water from the
제 1 수조탱크(120) 및 제 2 수조탱크(150)는 유량제어수단(10)을 통해 용수 역류 현상이 방지된 채 일정 수위의 용수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압펌프의 안정적인 가동을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유량제어수단 20: 받침부재
30: 바이패스관
100, 200: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100a, 200a: 유입관 100b: 배수관
100c, 200c: 배출관 101: 제 1 공기유도관
102: 제 2 공기유도관 110: 저수조체
110a: 외벽 120: 제 1 수조탱크
121: 제 1 수조 122: 웨어벽
122a, 160a: 경사면 123: 제 2 수조
124: 제 1 관통구 125: 제 1 밀폐수단
130: 구획벽 131: 제 1 내벽
132: 제 2 내벽 140: 공간부
144: 제 2 관통구 145: 제 2 밀폐수단
150: 제 2 수조탱크 154: 제 3 관통구
155: 제 3 밀폐수단 160: 안내부10: flow rate control means 20:
30: Bypass tube
100, 200: Multi-function water tank for water supply
100a, 200a:
100c, 200c: discharge pipe 101: first air induction pipe
102: second air induction pipe 110: reservoir body
110a: outer wall 120: first tank tank
121: First tank 121: Wear wall
122a, 160a: slope 123: second tank
124: first through hole 125: first sealing means
130: partition wall 131: first inner wall
132: second inner wall 140:
144: second through hole 145: second sealing means
150: second tank tank 154: third through hole
155: third sealing means 160:
Claims (7)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벽이 둘러싸며, 상기 외벽에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이 각각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용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관이 구비된 저수조체;
일단이 상기 배수관과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동된 각 용수가 분리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배수관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 제 1 수조탱크; 및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되기 위한 저장 공간이 형성된 제 2 수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체의 상부 외벽에는,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1 공기유도관 및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내부에 공기가 출입되기 위한 제 2 공기유도관이 각각 관통 결합되되,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이 중지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에 따른 상기 유입관의 수주 분리로 인한 상기 유입관 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저수조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관으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이 중지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에 따른 상기 배출관의 수주 분리로 인한 상기 배출관 내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저수조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관으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가 가동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에 따른 상기 유입관의 용수 충만으로 인한 상기 유입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저수조체 외부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은, 상기 가압펌프가 가동된 경우,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에 따른 상기 배출관의 용수 충만으로 인한 상기 배출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저수조체 외부로의 공기 출입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수조탱크는, 일단에 상기 유입관이 연결된 제 1 수조 및 타단에 상기 배수관이 연결된 제 2 수조로 이루어진 채,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를 구획하기 위한 웨어벽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제 2 수조와 구획되기 위한 제 1 내벽 및 상기 제 2 수조탱크와 구획되기 위한 제 2 내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내벽 및 상기 제 2 내벽을 이격 배치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유량제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유량제어수단은,
상기 가압펌프의 가동 중지 후 재가동 되는 경우, 상기 배수관을 통한 용수의 유동을 조절하여 상기 배출관 내의 잔류 공기가 상기 제 2 수조탱크 및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을 통해 상기 저수조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관을 유동 중인 용수의 유속 변화에 따른 수격 현상으로 발생하는 상기 제 2 수조탱크로부터 상기 제 1 수조탱크로의 용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water of the disposable water paper is received in the water supply pipe through an inflow pipe connected to the disposable water paper so that the water of the disposable water paper is supplied from the high place to the back supply paper via the driving of the pressure pump, A multifunctional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for discharging water and guiding the outside air into and out of each of the inflow pipe and the discharge pipe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inflow pipe and the discharge pip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
A water storage vessel enclosing an outer wall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 drain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is guided to the outlet pipe while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 partition wall which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one end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partitioning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each water flowed through the inflow pipe or the water discharge pipe is separated and accommodated;
A first water tank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flowing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pipe through the water pipe; And
And a second water tank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allowing water to flow in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water pipe,
A first air induction pipe for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tank and a second air induction pipe for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 tank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
Wherein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arranged to prevent the pressure in the inflow pipe from dropping from the outside of the inflow pipe due to separation of order of the inflow pipe due to stoppage of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ation pump is stopped, Providing an air access path to the inlet pipe,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from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body to prevent a pressure drop in the discharge pipe due to order separation of the discharge pipe due to the shutdown of the pressurization pump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ation pump is stopped And an air inlet /
Wherein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flow pipe so as to prevent a pressure rise in the inflow pipe due to the water filling of the inflow pip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when the pressurizing pump is operated, Provides air access path,
Wherein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 outlet path from the discharge pipe to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body to prevent a pressure rise in the discharge pipe due to the water filling of the discharge pip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ation pump, Lt; / RTI >
Wherein the first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ware wall for partitioning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while the first water tank is connected to a firs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t one end and the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Wherein the partition wall has a first inner wall to be partitioned from the second water tank and a second inner wall to be partitioned from the second water tank, and a space portion for separating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from each other And a flow control means for connecting the water pipe to the drain pipe in the space portion,
Wherein the flow rate control means comprises: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is restar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pump is stopped, the flow of the wate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is controlled so that the residual air in the discharge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second water tank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
Wherein the water flow from the second water tank to the first water tank is prevented from occurring due to a water hammer due to a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pipe.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은, 그 선단이 상기 제 1 수조를 향해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은, 그 선단이 상기 제 2 수조탱크를 향해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웨어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수관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tank while the tip of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tank,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 tank while the tip of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tank,
Wherein the inlet pipe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relative to the drain pipe relative to the ware wall.
상기 저수조체의 외벽은 상기 제 1 내벽 및 상기 제 2 내벽과 각각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어벽의 일단과 일체를 이룬 채 상기 웨어벽의 타단과 상호 이격되되,
상기 배수관의 선단이, 상기 제 1 내벽을 관통 결합하고, 상기 배수관의 후단이, 상기 제 2 내벽을 관통 결합하며,
상기 웨어벽의 타단은 상기 제 1 수조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상기 제 2 수조로의 월류를 안내하도록 제 2 수조를 향해 경사지고,
상기 공간부에는 유동되는 용수로 인한 상기 배수관의 미세 진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수관을 하방에서 고정하는 받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and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ware wall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ware wall,
The front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rea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inner wall,
The other end of the wear wall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water tank so as to guide the overflow to the second water tank in accordance with a ris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And a supporting member for fixing the drain pipe from below so as to prevent microvibration of the drain pipe due to water flowing in the space.
상기 제 2 수조탱크에는 수용된 용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가 마련되어, 상기 안내부 내에 상기 배출관의 선단이 배치되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하부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관의 선단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하부 내측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수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water accommodated therein to the discharge pipe, wherein a tip of the discharge pipe is disposed in the guide portion,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tip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ater tank,
Wherein the discharge pip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relative to the lower inside of the second water tank than the drain pipe.
상기 유입관, 배수관, 배출관, 제 1 공기유도관 및 제 2 공기유도관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공기유도관의 직경은, 공기의 출입을 통해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용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유입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기유도관의 직경은, 공기의 출입을 통해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용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let pipe, the drain pipe, the discharge pipe,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and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first air induction pip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low pipe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 the first water tank is maintained constant through the entry /
Wherei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ir induction pip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is maintained constant through the entry and exit of air. Device.
상기 저수조체의 상부 외벽에는 상기 제 1 수조탱크, 공간부 및 제 2 수조탱크의 각 내부로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내지 3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3 관통구에는 상기 제 1 수조탱크, 공간부 및 제 2 수조탱크의 각 내부를 밀폐하는 제 1 내지 3 밀폐수단이 각각 탈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밀폐수단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제 1 수조탱크의 내압이, 상기 제 3 밀폐수단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제 2 수조탱크의 내압이 각각 조절가능하되,
상기 제 1 밀폐수단 및 상기 제 3 밀폐수단은 상기 제 1 수조탱크 및 상기 제 2 수조탱크에 수용된 각 용수의 수위 상승에 따른 수압 변화에 대응하도록 잠금식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upper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ody, first to third through holes for guid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first water tank, the space, and the second water tank are respectively formed,
Wherein the first to third through holes are detachably coupled to first to third sealing means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tank, the space and the second water tank, respectivel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water tank tank is adjustabl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sealing means,
Wherein the first sealing means and the third sealing means are provided in a locking manner so as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water pressure due to an increase in the water level of each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and the second water tank. Water tank device.
선단이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바이패스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ypass pipe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has a rear end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1418A KR101906105B1 (en) | 2018-03-19 | 2018-03-19 | Multifunctional water tank apparatus for water supp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1418A KR101906105B1 (en) | 2018-03-19 | 2018-03-19 | Multifunctional water tank apparatus for water supp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6105B1 true KR101906105B1 (en) | 2018-10-08 |
Family
ID=6386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1418A KR101906105B1 (en) | 2018-03-19 | 2018-03-19 | Multifunctional water tank apparatus for water supp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610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345B1 (en) | 2013-02-28 | 2013-08-29 | 경상북도 |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
KR101560280B1 (en) | 2013-11-14 | 2015-10-26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Water supplying pipe system and water providing using the same |
-
2018
- 2018-03-19 KR KR1020180031418A patent/KR10190610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345B1 (en) | 2013-02-28 | 2013-08-29 | 경상북도 |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
KR101560280B1 (en) | 2013-11-14 | 2015-10-26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Water supplying pipe system and water providing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5393B2 (en) | Gas-liquid separator for fuel cell system | |
US4872975A (en) | System for separating abrasive material from a fluid used in fluid jet cutting | |
JP2017094946A (en) |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671225B1 (en) | Water pip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removing impurities inside pressure tank | |
KR20170021478A (en) | The supply and circulation system of recycling release agent for die casting process | |
KR101906105B1 (en) | Multifunctional water tank apparatus for water supply | |
JP2012021483A (en) | Pressurized water-discharging type pump system | |
JP5575545B2 (en) | Injection type sand pumping system | |
JP4989664B2 (en) | Vertical shaft pump | |
KR102099930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sludge with the reverse washing | |
US11179789B2 (en) |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evice | |
JP2015077646A (en) | Processing liquid tank of machine tool | |
JP4714613B2 (en) | Pump tank | |
JP2009262065A (en) | Tank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 |
CN210890326U (en) | Built-in liquid level controller and liquid level control system thereof | |
JP4598378B2 (en) |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for paddy fields | |
CN114809182B (en) | Liquid pressure control system | |
JP7448447B2 (en) | Solid-containing liquid transfer device and solid-containing liquid transfer method | |
RU225199U1 (en) | RESERVOIR FOR VENDING IMPORTED DRINKING WATER | |
JP2012177478A (en) | Safety valve | |
US20240082937A1 (en) |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 |
WO2015052906A1 (en) | Filtration device | |
CN211516141U (en) | Drilling equipment is used in valve processing | |
RU2490736C1 (en) | Deposit washing-out and mixing device | |
JP7317289B2 (en) | Cleaning water tank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