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96B1 -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96B1
KR101905796B1 KR1020110135947A KR20110135947A KR101905796B1 KR 101905796 B1 KR101905796 B1 KR 101905796B1 KR 1020110135947 A KR1020110135947 A KR 1020110135947A KR 20110135947 A KR20110135947 A KR 20110135947A KR 101905796 B1 KR101905796 B1 KR 10190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value
voltage
point
impedance matching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647A (ko
Inventor
구자홍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은, 상기 전력증폭기에서 송신하는 송신전압과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되는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1 정합 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2 임계수치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인 제2 정합 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다.

Description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APPARATUS FOR MATCHING IMPEDENCE AND METHOD FOR MATCHING IMPEDENCE}
본 발명은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안테나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소정의 전파 신호를 송신하거나 전파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가 최적의 송수신 방사성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를 정확하게, 최적으로 정합시킬 필요가 있다.
임피던스를 정확히 정합시키기 위해 안테나 회로는 캐패시터 및 인덕터 등을 구비하고, 그 캐패시터 및 인덕터의 값을 조절한다. 임피던스 정합은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자유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기의 특성상 사용자가 본체를 손으로 잡고, 스피커를 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주머니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를 가방 등에 넣고 이어폰을 이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를 손으로 잡고, 귀에 밀착시켜 사용하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넣고 사용함에 따라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 조건이 가변하고, 이로 인하여 자유 공간에서 임피던스를 정합시킨 안테나의 송수신 방사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조건이 가변될 경우에 자동으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안테나가 최적의 송수신 방사성능을 갖도록 하는 적응형 튜닝 안테나 회로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응형 튜닝 안테나 회로는 방향성 커플러를 구비하고, 방향성 커플러에서 출력되는 반사 전력(Reflected Power) 및 송신 전력(Forward Power)을 검출하고, 검출한 반사 전력과 송신 전력에 따라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 값을 변경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
이 때,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여러가지 알고리즘이 존재하는데, 종래에는 직렬 캐패시터와 병렬 캐패시터가 갖는 모든 캐패시턴스 값들에 대해 반사파 강도를 측정하여, 반사파 강도가 가장 낮은 점을 임피던스 최대 정합점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알고리즘은 고정된 하나의 임계수치만을 이용하여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점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임계수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은, 상기 전력증폭기에서 송신하는 송신전압과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되는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1 정합 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2 임계수치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인 제2 정합 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송신전력을 통해 송신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통해 반사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상기 송신전압과 상기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1 정합 점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2 임계수치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인 제2 정합 점을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다.
한편, 임피던스 정합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임계수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구성도이다.
임피던스 정합 장치(100)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110), 방향성 커플러(120), 검출부(13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140), 제어부(150), 안테나(160)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110)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60)와 연결된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110)는 안테나(160)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111a), 직렬 연결된 직렬 캐패시터(111b)와 인덕터 소자들(112a, 112b, 1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캐패시터들(111a, 111b)과 인덕터(112a, 112b, 112c)의 결선 또는 소자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캐패시터들(111a, 111b)은 병렬 캐패시터(111a) 하나와 직렬 캐패시터(111b)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병렬 캐패시터 또는 직렬 캐패시터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3 개이상의 캐패시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방향성 커플러(Directional Coupler)(120)는 전력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안테나(160)의 종단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할 검출부(130)에 전달한다.
검출부(130)는 방향성 커플러(120)로부터 송신 신호 및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전력 및 반사 전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송신신호로부터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송신전력 검출부(131) 및 반사신호로부터 반사전력을 검출하는 반사전력 검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송신전력 검출부(131)는 방향성 커플러(120)의 일단에 연결된 전력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된 송신전력의 크기를 검출하고, 반사전력 검출부(132)는 안테나(160)로부터 반사된 반사전력의 크기를 검출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130)는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150)는 검출된 송신전력과 반사전력을 기초로 변경시킬 임피던스 값을 결정할 수 있고, 검출된 신호들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합된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임피던스 정합 회로(11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임피던스 정합회로(110)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값을 정합하여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150)는 송신전력에서 출력된 송신전압과 반사전력에서 출력된 반사전압을 이용하여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임계수치는 제1 임계수치는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되기 위한 최소 값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수치이다.
제어부(150)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 경우로 판단하면,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제1 정합 점을 탐색한다.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법의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은 가변 캐패시터들(111a, 111b)의 캐패시턴스 값을 변경시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캐패시터들(111a, 111b)의 캐패시턴스 값은 제어부(140)에 의해 인가되는 DC 전압에 의해 변화되며, 변환된 가변 캐패시터들(111a, 111b)의 값에 의해 송신 전력에 대한 반사 전력의 크기가 변화되게 된다. 이때, 반사 전력의 크기가 크면 임피던스 정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고, 반사 전력의 크기가 작을수록 임피던스 정합이 잘 이루어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안테나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반사 계수(Γ)는 송신 전력과 반사 전력의 차이(Return Loss, 이하, RL이라 함)를 이용한 것으로서, 송신전력과 반사전력의 차이가 클수록 임피던스 정합이 잘 이루어진 것이고, 차이가 작을수록 임피던스 정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정합 점은 송신전압과 반사전력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보다 크도록 임피던스 정합이 수행되는 지점이다.
제어부(150)는 제1 정합 점을 탐색하여 제1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2 임계수치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인 제2 정합 점을 탐색한다. 여기서, 제2 임계수치는 제2 정합 점을 탐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수치일 수 있고, 제2 정합 점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2 임계수치 이상이 되는 지점이다. 제2 임계수치는 제1 임계수치보다 크다.
제어부(150)는 제2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검출한다(S101). 송신전력 검출부(131)는 송신전력을 검출하여 송신전압을 출력하고, 반사전력 검출부(132)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반사전압을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출력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을 이용해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검출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임계수치는 최적의 정합 점을 탐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계수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수치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출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최적의 정합 점을 탐색한다(S105).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도 1의 가변 캐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값들을 좌표평면 상의 x축과 y축으로 나누고, 시작점 주위의 탐색영역에서 탐색을 시작하여 최적의 정합 점을 찾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가변 캐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값을 차례로 사용하여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측정하고, 차이가 가장 큰 정합 점을 탐색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가장 큰 정합 점을 탐색한 경우, 탐색된 정합 점을 기준으로 또 다른 탐색영역을 설정하고, 다시 최적의 정합 점을 탐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최적의 정합 점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 이상이면서,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하게 하는 지점일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최적의 정합 점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최적의 정합 점을 도출한다(S107).
그 후, 제어부(150)는 도출된 최적의 정합 점의 정합 값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S109).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이다.
먼저, x축은 시간축 이고, y축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나타내는 축이다. 좌표평면 상의 실선은 임계수치를 의미한다. 좌표평면 상의 점선은 검출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의미한다. 임계수치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알고리즘이 수행되기 위한 최소수치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를 넘어서지 않으면, 알고리즘이 구동되지 않고,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를 넘어서면, 알고리즘이 구동된다.
도 3을 참고하면, A구간에서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보다 크므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B구간의 시작점에서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보다 작으므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된다.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됨에 따라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증가하고, C구간의 시작점에 들어서면,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D지점의 시작점에서는 다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임피던스 정합 과정은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을 구동시키기 위한 임계수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보다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전파환경이 열악하거나, 임피던스 정합이 심하게 어긋나는 경우에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수행되어도 임계수치를 넘어설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을 구동시키기 위한 임계수치를 2개 이상을 두어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검출한다(S201). 송신전력 검출부(131)는 송신전력을 검출하여 송신전압을 출력하고, 반사전력 검출부(132)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반사전압을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출력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을 이용해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검출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03). 제1 임계수치는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되기 위한 최소 값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수치이다.
만약, 검출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임계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제1 정합점을 탐색한다(S205). 일 실시 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은 도 2에서 설명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정합 점은 송신전압과 반사전력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보다 크도록 임피던스 정합이 수행되는 지점이다.
그 후, 제어부(150)는 제1 정합 점의 탐색과정을 통해 제1 정합 점을 도출한다(S207).
그 후, 제어부(150)는 다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검출하고(S209), 검출된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지를 판단한다(S211). 여기서, 제1 임계수치는 제1 정합 점을 탐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수치일 수 있고, 제1 정합 점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상이 되는 지점이다.
만약, 검출된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제2 임계수치 이상의 제2 정합 점을 탐색한다(S213). 여기서, 제2 임계수치는 제2 정합 점을 탐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수치일 수 있고, 제2 정합 점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2 임계수치 이상이 되는 지점이다. 제2 임계수치는 제1 임계수치보다 크다.
그 후, 제어부(150)는 제2 임계수치 이상의 제2 정합 점 탐색을 통해 제2 정합 점을 도출한다(S215).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이다.
먼저, x축은 시간축 이고, y축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나타내는 축이다. 좌표평면 상의 3개의 실선은 밑에서부터 위로 제1 임계수치, 제2 임계수치, 제3 임계수치를 의미한다. 좌표평면 상의 점선은 검출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를 의미한다.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는 주변환경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하는 값이므로 그래프 상에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는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각 임계수치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알고리즘이 수행되기 위한 최소수치이다.
도 5를 참고하면, E구간에서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보다 크므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F구간의 시작점에서는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보다 작으므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된다.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됨에 따라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증가하고, G구간의 시작점에 들어서면,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H지점의 시작점에서는 다시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이 구동된다. 그러나, H지점의 시작점에서 구동되는 임피던스 정합 알고리즘은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2 임계수치보다 크도록 정합 점을 탐색한다. 또한, 이 후의 과정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임피던스 정합이 수행된다. 도 5에는 제3 임계수치까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의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고정된 임계수치가 아닌 2개 이상의 임계수치를 두는 임피던스 정합 방법은 고정된 임계수치를 사용할 때보다 더 나은 최적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클수록 임피던스 정합이 잘 이루어진 것이므로, 2개 이상의 임계수치를 사용하여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임피던스 정합 장치
110: 임피던스 정합 회로
120: 방향성 커플러
130: 검출부
14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
150: 제어부
160: 안테나

Claims (15)

  1.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기에서 송신하는 송신전압과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되는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1 정합 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2 임계수치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인 제2 정합 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고,
    상기 제1 정합 점은,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임계수치보다 작으면서, 상기 송신전압과 상기 반사전압의 차이가 최대인 지점이고,
    상기 제2 정합 점은, 상기 제2 임계수치보다 크고 제3 임계수치보다 작으면서, 상기 송신전압과 상기 반사전압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인 임피던스 정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큰 임피던스 정합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임계수치는,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인 임피던스 정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합 점의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정합 점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피던스 정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정합 점은,
    상기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포함된 가변 캐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값들을 조절하여 탐색되는 지점인 임피던스 정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2 정합 점은,
    상기 반사전압의 크기가 최소인 지점인 임피던스 정합 방법.
  8.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 장치로서,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송신전력을 통해 송신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통해 반사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상기 송신전압과 상기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1 정합 점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합 점을 도출한 후, 상기 송신전압과 반사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수치 이하 인 경우, 제2 임계수치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인 제2 정합 점을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고,
    상기 제1 정합 점은,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임계수치보다 작으면서, 상기 송신전압과 상기 반사전압의 차이가 최대인 지점이고,
    상기 제2 정합 점은, 상기 제2 임계수치보다 크고 제3 임계수치보다 작으면서, 상기 송신전압과 상기 반사전압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인 임피던스 정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임계수치는 상기 제1 임계수치보다 큰 임피던스 정합 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임계수치는,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인 임피던스 정합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정합 점의 탐색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정합 점을 도출하는 임피던스 정합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정합 점은,
    상기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포함된 가변 캐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값들을 조절하여 탐색되는 지점인 임피던스 정합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제1,2 정합 점은,
    상기 반사전압의 크기가 최소인 지점인 임피던스 정합 장치.
  15.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35947A 2011-12-15 2011-12-15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190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947A KR101905796B1 (ko) 2011-12-15 2011-12-15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947A KR101905796B1 (ko) 2011-12-15 2011-12-15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647A KR20130068647A (ko) 2013-06-26
KR101905796B1 true KR101905796B1 (ko) 2018-10-11

Family

ID=4886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947A KR101905796B1 (ko) 2011-12-15 2011-12-15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647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6504B (zh) 行動通訊裝置與其阻抗匹配方法
US91665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impedance using standing wave ratio information
KR101304314B1 (ko)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
US8749444B2 (en) Impedance matching method, impedance matching apparatus for the same, and record medium
EP3422588B1 (en) Card detect architectur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JP2011234155A (ja) 送信器
CN110365425B (zh) 天线调谐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905796B1 (ko)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US9306534B2 (en) Impedance matching apparatus and impedance matching method
KR101905806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1349430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5776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1886267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방법
EP26775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ntenna
KR20130047509A (ko)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1262593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방법
KR20130070443A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1382929B1 (ko)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1946963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65376A (ja) アンテナ装置
KR101886269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1714056B1 (ko)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방법
KR101714058B1 (ko)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방법
KR101752005B1 (ko)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방법
JP5310645B2 (ja) 無線機および無線機の動作クロック周波数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