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24B1 -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24B1
KR101905724B1 KR1020170133224A KR20170133224A KR101905724B1 KR 101905724 B1 KR101905724 B1 KR 101905724B1 KR 1020170133224 A KR1020170133224 A KR 1020170133224A KR 20170133224 A KR20170133224 A KR 20170133224A KR 101905724 B1 KR101905724 B1 KR 10190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reaction device
batteri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김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일 filed Critical 김승일
Priority to KR102017013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24B1/ko
Priority to PCT/KR2018/011632 priority patent/WO2019074226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설치홈과 배터리 설치홈을 덮는 덮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수용부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이 설치되는 전자장치에 내장되는 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상기 배터리 설치홈과 상기 덮개와 상기 배터리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신호에 의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출력신호에 의하여 알림음을 출력하는 반응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remocon reaction device installed in battery case}
본 발명은 전자기기, 특히 리모콘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무선송신모듈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비프-음과 같은 출력을 발생시키는 리모콘 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에어콘, TV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리모콘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하여 찾아야만 하는 경우를 빈번하게 만나게 되고, 이러한 리모콘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발명들이 수없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공개 제10-2015-0071239호(발명의 명칭: 배터리형 위치 알림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도 편리하게 리모콘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다.
배터리형 위치 알림 장치(100)는 통상 배터리와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110)와,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외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알림부(130)와,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는 전원 또는 위치 알림부(130)를 작동시키는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10)는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동일한 사이즈와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전원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장착 공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장착공간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 장착 공간에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동일한 전원 크기를 가지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코인 형태의 배터리가 직렬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위치알림장치는 기존의 리모콘에 설치된 배터리를 빼내고 대신 설치되어야 하지만 기존에 설치된 리모콘의 배터리 정격과 종래기술의 알림장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는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하우징을 만들어야 하고, 하우징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여야 하고, 전자장치인 위치알림부(130)를 설치하여야 하는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성비가 매우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제작이 용이하며 사용 중인 리모콘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정상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반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몸체에 형성된 배터리 설치홈에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배터리들이 이웃하여 장착되고, 배터리 설치홈이 덮개로 닫혀지는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외부의 무선신호에 반응하는 반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 상기 무선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 발신부; 상기 배터리 설치홈, 상기 덮개 및 상기 배터리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양측부에는 상기 배터리들 각각의 원통부에 접촉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상기 배터리들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 각각 결합되는 전원단자부들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단자부들은 상기 배터리의 단자들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무선수신모듈, 상기 알림음 발신부가 내장되는 몰드 패키지(mold pakage)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림음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음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사용중인 전자제품, 특히 리모콘의 배터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반응장치를 매우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신호에 의하여 반응장치의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파급효과를 높힐 수 있다.
더욱이 반응장치의 하우징을 패키지화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춰서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응장치가 배터리들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응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반응장치가 배터리들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리모콘(1)의 몸체에는 배터리 설치홈이 형성되고, 배터리 설치홈에 원통형상의 배터리들이 설치된 후 덮개가 덮혀짐으로써 배터리들이 리모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상의 배터리들(21), (22)은 배터리 설치홈과 덮개(40)가 형성하는 공간인 배터리 수용부(2) 내에 삽입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반응장치(30)는 배터리 설치홈과 덮개(40)와 배터리들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기존에 사용중인 리모콘(1)을 변형시키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도 3에서 반응장치(30)는 두 개의 배터리들(21), (22)이 이웃하여 연속될 때 형성되는 오목한 공간면과 덮개(40)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에 설치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장치(30)의 하우징(33)의 상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양쪽의 배터리들의 원통면에 접촉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배터리들이 이웃될 때 형성되는 홈의 곡면에 하부면의 접촉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반응장치의 하우징(33)의 두께는 덮개(40)를 리모콘(1)에 덮을 때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라 반응장치는 덮개(40)가 닫혀질 때 밀폐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33)의 양단부에는 전원단자부(31)들이 설치되어 배터리의 음극단자, 양극단자에 각각 결합된다. 전원단자부(31)는 배터리의 단자들과 결합되기 위하여 박막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우징(33)의 내부에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과, 알림음 발신부, 이들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이 설치된다. 이때 무선수신모듈은 다양한 무선신호 수신장치들이 대응되는 송신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설치될 수 있으나, 현재에는 스마튼 폰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에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림음 발신부는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33)은 별도로 기구물로 제작될 뿐만 아니라 이들 부품들을 내부에 내장된 몰드 패키지(mold package)로 제작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32는 비프음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천공된 알림음 발신부에 연결된 통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응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반응장치(30)가 리모콘(1) 내부에 설치될 때, 무선수신모듈(301)이 블루투스 수신모듈인 경우 특정 스마트 폰과 쌍방향 통신에 의하여 블루투스 수신모듈의 고유ID가 특정 스마트 폰에 설정되게 된다. 스마트 폰에서 저장된 고유ID로 동작신호를 전송하면 무선수신모듈(301)은 알림음발신부(302)에 동작신호를 입력시킨다. 알림음 발신부(302)는 무선수신모듈(301)으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비프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반응장치(30)는 전원단자부(31)들이 배터리(21), (22)의 음극단자와 양극단자에 결합됨으로써 배터리(21), (22)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터리 수용부 내에 배터리가 두 개 설치될 때에 두 개의 배터리가 연속될 때 형성되는 상면 홈에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하면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배터리 수용부 내에 하나의 배터리가 설치될 때 형성되는 공간부에 본 발명의 반응장치(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형이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장치, 특히 리모콘의 배터리 수용부와 설치되는 배터리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서 많은 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말아야 하며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 리모콘
2: 배터리수용부
21, 22: 배터리
30: 반응장치
31: 전원단자부
33: 하우징
40: 덮개

Claims (5)

  1. 몸체에 형성된 배터리 설치홈에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배터리들이 이웃하여 장착되고, 배터리 설치홈이 덮개로 닫혀지는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외부의 무선신호에 반응하는 반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
    상기 무선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 발신부;
    상기 배터리 설치홈, 상기 덮개 및 상기 배터리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양측부에는 상기 배터리들 각각의 원통부에 접촉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상기 배터리들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 각각 결합되는 전원단자부들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단자부들은 상기 배터리의 단자들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무선수신모듈, 상기 알림음 발신부가 내장되는 몰드 패키지(mold pakage)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림음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음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33224A 2017-10-13 2017-10-13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KR10190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24A KR101905724B1 (ko) 2017-10-13 2017-10-13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PCT/KR2018/011632 WO2019074226A2 (ko) 2017-10-13 2018-10-01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24A KR101905724B1 (ko) 2017-10-13 2017-10-13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950A Division KR101966300B1 (ko) 2018-10-01 2018-10-01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724B1 true KR101905724B1 (ko) 2018-10-10

Family

ID=638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24A KR101905724B1 (ko) 2017-10-13 2017-10-13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5724B1 (ko)
WO (1) WO201907422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703A (ko) 2019-04-10 2020-10-20 한국원자력연구원 중대사고 발생시 방사성 물질의 대기방출 저감을 위한 시스템
US11355255B2 (en) 2019-01-22 2022-06-07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tmospheric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s caused by severe accid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839U (ja) * 2002-06-19 2002-12-26 菱井商事株式会社 紛失物探知装置
KR20110005073U (ko) * 2009-11-16 2011-05-24 한송욱 태양 전지를 구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20100003896U (ko) * 2010-03-24 2010-04-13 문종섭 휴대폰 위치를 손쉽게 찾는 장치와 동작 방법
KR101230226B1 (ko) * 2010-12-01 2013-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40144908A (ko) * 2013-06-12 2014-12-22 정석희 리모콘 위치 알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255B2 (en) 2019-01-22 2022-06-07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tmospheric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s caused by severe accident
KR20200119703A (ko) 2019-04-10 2020-10-20 한국원자력연구원 중대사고 발생시 방사성 물질의 대기방출 저감을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226A2 (ko) 2019-04-18
WO2019074226A3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4355C (en) Wireless field device with antenna for industrial locations
KR101905724B1 (ko)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CN107547997B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US20120050962A1 (en)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key assembly
CN110475002B (zh) 电子设备
CN107948349A (zh) 金属基材、中框组件及电子设备
US80236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patial module
JP2012029288A (ja) 音声機能を持つ電子装置
CN114401477B (zh) 扬声器模组和电子设备
KR20190090441A (ko) 루프 타입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2752629U (zh) 电声组件、智能手表以及电子设备
KR101966300B1 (ko) 전자기기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장치
CN211376471U (zh) 电子设备
CN210629595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壳
CN112653955B (zh) 耳机盒、耳机装置和电子设备
JP3145353U (ja) 無線センサ装置
CN108039561A (zh) 中框组件及电子设备
CN106714013A (zh) 一种蓝牙音箱
CN111083619A (zh) 扬声器
CN218919339U (zh) 电连接组件、壳体部件以及终端设备
CN220307336U (zh) 无线耳机
CN111447520B (zh) 具有扣件的内部模块
CN212970013U (zh) 扬声器组件以及电子设备
CN210431689U (zh) 遥控器的拓展装置
CN217693556U (zh) 遥控器和电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