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666B1 -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666B1
KR101905666B1 KR1020170056242A KR20170056242A KR101905666B1 KR 101905666 B1 KR101905666 B1 KR 101905666B1 KR 1020170056242 A KR1020170056242 A KR 1020170056242A KR 20170056242 A KR20170056242 A KR 20170056242A KR 101905666 B1 KR101905666 B1 KR 10190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lead
lid
coaxial cable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문석
이규연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신
Priority to KR102017005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13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46Bending and soldering of a metallic screen
    • H01B13/2653Details of the soldering s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7Insulat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13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longitudinal lapping of a coaxial cable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including: a lead storage for storing lead solutions; a pump for transporting the lead solutions stored in the lead storage; and a discharge unit which receives the lead solutions transported by the pump, discharges the lead solutions to the lead storage, and is separately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ad storage upwardly. The lead solution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re discharged toward the lead storage in two directions so that a core and a shield of a coaxial cable are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a tinning process of the coaxial cable.

Description

동축케이블 티닝장치{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0001]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축케이블의 터미널을 납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축케이블 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xial cable tu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axial cable tuning device configured to solder a terminal of a coaxial cable.

근래에는 차량내부의 각종 전장기기와 외부 네트워크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의 안전, 편의 향상, 인포테이먼트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a connected car that is configured to support safety, conveni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of a vehicle by connecting various electric devices inside the vehicle and an external network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커넥티드 카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서 주로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포테이먼트 서비스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대역폭 증가, 내구성 증가, 정보의 신뢰성 향상 등 동축케이블의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The main systems that make up the connected cars are mainly signal transmission using coaxial cables inside the vehicle. As the demand for information services increase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axial cables such as increase of bandwidth, increase of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

위와 같이 차량에 적용되는 동축케이블은 차량 내부의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되기 위하여 그 터미널 부위를 땝납으로 피복시키는 티닝 공정을 거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axial cable applied to the vehicle is subjected to a tinning process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covered with solder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inside the vehicle.

하지만, 기존의 티닝 공정은, 액상의 납이 저장된 용기 또는 수조에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담그는 방식으로 피복하였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감싸고 있는 절연체가 고온의 납 용액에 의해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hinning process has a problem that the insulator surrounding the core wire of the coaxial cable is melted by the high-temperature lead solution since the end of the coaxial cable is coated in the container or the water tank containing the liquid lea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의 단부 중에서 심선(1a)과 쉴드(1b) 부위만 땜납으로 피복되어 차량에 사용되어야 하나, 액상의 납이 저장된 용기에 심선(1a)과 쉴드(1b)를 담그는 과정에서 상기 심선(1a)과 쉴드(1b) 사이에 배치된 절연체(1c)도 필연적으로 용기에 담기어지기 때문에, 결국, 절연체(1c)에도 액상의 납이 피복될 수 밖에 없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only the core wire 1a and the shield 1b are covered with solder in the end portion of the coaxial cable 1, but the core wire 1a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lead is stored. The insulator 1c disposed between the core wire 1a and the shield 1b is necessarily contained in the vessel in the process of immersing the insulator 1c and the shield 1b. I could not help it.

따라서, 심선(1a)을 감싸고 있는 절연체(1c)가 고온의 납에 의해 녹아내리거나 변형됨에 따라서 동축케이블(1)의 전도성을 포함한 기본적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참고로,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절연체의 연화점은 약 105도이고 녹는점은 약 320도인 반면에 액상의 납 용액은 400도 이상의 온도를 가진다.As a result, the insulator 1c surrounding the core wire 1 is melted or deformed by the high temperature lead, and the basic performance including the conductivity of the coaxial cable 1 is deteriorated. For reference, an insulator formed of polyethylene has a softening point of about 105 degrees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320 degrees, while a liquid lead solution has a temperature of more than 400 degrees.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262호의 '와이어 디핑 장치'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there is a 'wire dipping device' of Korean Patent No. 10-115126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번의 공정으로 동축케이블의 절연체를 제외한 심선과 쉴드 부위를 액상의 납으로 피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티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in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coating a core wire and a shield portion of a coaxial cable with a liquid lead.

본 발명은, 납물이 저장되는 납조; 상기 납조에 저장된 납물을 수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수송된 납물을 전달받아 상기 납조로 토출하되, 상기 납조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납물은 상기 납조를 향해 두 방향으로 토출되어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쉴드를 일정 시간차를 두고 각각 피복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d-free soldering machine, A pump for transporting the lead stored in the tub; And a discharge unit that receives the lead transported by the pump and discharges the lead into the lead tank, the lead discharged from the lead discharging unit being arranged in two directions toward the lead tank The coaxial cable can be coated with the core wire and the shiel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수송된 납물을 전달받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that receives the lead transported by the pump; And a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또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on the receiving memb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배출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discharge port of a casing that houses the pump, and a pair of guide rails may be provided at an outlet of the casing so that a lengthwise end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

또한, 상기 토출부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눈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의 면적을 조절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ischarg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portion, the adjusting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lat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nd having a scale formed therein; And a lid unit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to adjust an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받침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의 면적 일부를 차단하는 고정 덮개; 상기 고정 덮개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의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 덮개; 및 상기 이동 덮개와 상기 고정 덮개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d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ationary lid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to block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A moving lid which is moved toward the fixed lid to regulate an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an instruction piece provided on the moving lid and the fixed lid, respectively, for indicating a scale formed on the guide plate.

또한, 상기 지시편은,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그 하단은 상기 고정 덮개와 상기 이동 덮개가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 단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편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윗면에 형성된 눈금을 가리키는 첨단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piece is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ece is fixedly connected to a corner end portion where the fixed lid and the movable lid face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is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And a tip member indicating a sca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struction pie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는, 작업자 또는 케이블 이송장치가 동축케이블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번의 공정을 통하여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쉴드를 납물로 피복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동축케이블의 티닝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그 공정시간 또한 줄일 수 있다.The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orker or a cable feeder can cover the coaxial cable core wire and shield with a lead through a single process of transversely moving the coaxial cable , The coining process of the coaxial cable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는, 동축케이블의 절연체를 고온의 납물에 접촉시키지 않고도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쉴드를 납물로 피복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납물에 의한 절연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axial cable tu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ver the core wire and the shield of the coaxial cable with the lead without contacting the insulator of the coaxial cable with the high temperature lead, th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는, 납물을 토출하는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의 면적이 동축케이블의 종류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 또는 길이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coaxial cable tu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lead can b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coaxial cable,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는, 동축케이블의 심선 또는 쉴드의 외주면 전체에 납물이 각각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apply lead wires to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re wire or a shield of a coaxial cable.

도 1은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축케이블 티닝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출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토출부에 조절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출부의 평면도.
1 shows an end of a coaxial cab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axial cablen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discharge portion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unit is mounted on the discharging unit shown in FIG. 2;
6 is a plan view of the discharge por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 1은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축케이블 티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출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토출부에 조절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출부의 평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unit is mounted on the discharging unit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discharging unit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100)는, 액상의 납이 저장되는 납조(110)와, 상기 납조(110)에 저장된 액상의 납을 수송하는 펌프(P) 및 상기 펌프(P)에 의해 수송된 액상의 납을 전달받아 상기 납조(110)로 토출하되, 상기 납조(110)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토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a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110 storing liquid-like lead, And a discharge unit 12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tub 110 to discharge the liquid lead transferred by the pump P to the tub 110, ).

상기 납조(110)는, 액상의 납(이하, '납물'이라 함)이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납물을 가열하거나 납물의 온도를 유지시켜는 히팅기(H)가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heat sink 110 form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liquid le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d') can be stored. When the lead heating device H is heated by heating the lead 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lead, Respectively.

상기 펌프(P)는, 상기 납조(110)에 저장된 납물을 상부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납조(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케이싱(130)에 수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펌프(P)로는 모터와 임펠러가 적용된 공지의 펌프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일반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펌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pump P serves to transport the lead stored in the lead 110 and can be received in a casing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d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e reference, the pump P may be a known pump device using a motor and an impeller, and various other pump devices used in general industrial fields may be used.

상기 케이싱(130)의 하단에는 상기 납조(110)에 형성된 공간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유입구(13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상기 펌프(P)에 의해 수송된 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32)가 마련되어 있다.An inlet 131 connected to the space formed in the tub 11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asing 130 and a discharge port 132 through which a lead transported by the pump P is discharged Lt; / RTI >

상기 토출부(120)는, 상기 케이싱(130)의 배출구(132)에서 배출되는 납물을 전달받아 상기 납조(110)로 토출시키는바, 상기 토출부(120)에서 토출되는 납물은 두 방향으로 토출되어 동축케이블(1)의 심선(1a)과 쉴드(1c)를 일정 시간차를 두고 각각 피복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20 receives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 from the discharge port 132 of the casing 130 and discharges the discharge to the discharge vessel 110. The discharg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120 discharges in two directions So that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and the shield 1c can be covered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상기 토출부(120)는, 상기 펌프(P)에 의해 수송된 납물을 전달받는 받침부재(121) 및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제1토출구(122) 및 제2토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ing unit 120 includes a receiving member 121 receiving a delivery conveyed by the pump P and a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and a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123).

상기 받침부재(121)는 상기 케이싱(130)의 배출구(132)에서 배출되는 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13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2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132 b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discharg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32 of the casing 130.

상기 받침부재(121)가 상기 케이싱(130)의 배출구(13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구(132)를 구획하는 상기 케이싱(130) 내면에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133)을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케이싱(130)의 배출구(1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 12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ing port 132 of the casing 130, and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For example, a guide rail 133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nto which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eceiving member 121 can be inserted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30 partitioning the discharge port 132 So th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eceiving member 12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132 of the casing 130.

상기 제1토출구(122) 및 상기 제2토출구(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도 2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및 폭방향(도 2에 도시된 화살표 Y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4,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shown in FIG. 2) and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shown in FIG. 5A).

그리고, 상기 케이싱(130)의 배출구(132)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121)로 유입된 납물은 상기 제1토출구(122) 및 상기 제2토출구(123)를 통하여 상기 납조(110)로 각각 토출될 수 있다.The lead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member 12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2 of the casing 130 is discharged to the tub 11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

상기 제1토출구(122) 및 상기 제2토출구(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4,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As shown in FIG.

상기 제1토출구(122)와 상기 제2토출구(123)가 상기 받침부재(12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이유는, 예컨대, 동축케이블(1)의 쉴드(1b)를 납물로 우선적으로 피복시킨 후에 동축케이블(1)의 심선(1a)을 납물로 피복시키기 위해서다. 즉, 동축케이블(1)의 쉴드(1b)와 심선(1a)을 납물로 순차 피복시키기 위해서다.The reason why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is that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In order to cover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with the lead after it is coated with preference. That is, the shield 1b and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are sequentially coated with lead.

그리고, 상기 제1토출구(122)와 상기 제2토출구(123)가 상기 받침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이유는, 동축케이블(1)의 심선(1a)과 쉴드(1b) 사이에 배치된 절연체(1c)에 납물이 피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즉, 동축케이블(1)의 절연체(1c)가 차지하는 거리만큼 상기 제1토출구(122)와 상기 제2토출구(123)를 이격시켜 심선(1a)과 쉴드(1b)의 형성부위에만 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다.The reason why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1 is that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The insulator 1c disposed between the insulators 1b is prevented from being coated with lead. That is,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occupied by the insulator 1c of the coaxial cable 1 to discharge the lead only to the formation portions of the core wire 1a and the shield 1b To do.

따라서, 동축케이블(1)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한 뒤 상기 납조(110)와 상기 받침부재(1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받침부재(121)의 폭방향을 따라 통과시키면 상기 제2토출구(123)에서 토출되는 납물에 의해 동축케이블(1)의 쉴드(1b)가 1차적으로 피복될 수 있다.2, the coaxial cable 1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and the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tubular member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1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can be primarily covered by the lead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

그 다음, 동축케이블(1)의 심선(1a)이 상기 제1토출구(122)에서 토출되는 납물에 의해 2차적으로 피복될 수 있다.Then,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can be secondarily covered by the lead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

이에 따라, 상기 동축케이블(1)의 단부를 상기 받침부재(121)의 하부에 통과시키는 한 번의 공정으로 상기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및 쉴드(1b)에 납물을 각각 피복시킬 수 있다.The coaxial cable 1 and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can be coated with a lead in a single process of passing the end of the coaxial cable 1 under the receiving member 121 have.

참고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심선(1a)과 쉴드(1b)의 외주면 전체(원주방향 테두리 전체)에 납물이 일정하게 피복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1, L2))가 피복시키고자 하는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또는 쉴드(1b)의 둘레길이보다 8배 내지 12배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납물의 피복을 위해 심선(1a)이나 쉴드(1b)가 납물의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이 고려될 경우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1, L2))가 피복시키고자 하는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또는 쉴드(1b)의 둘레길이보다 8배 내지 12배 큰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양산속도를 고려하여 적당한 속도의 통과시간으로 볼때 대략 10배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1, L2))는 심선(1a)이나 쉴드(1b)의 둘레길이보다 8배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심선(1a)이나 쉴드(1b)의 외주면 전체에 납물이 피복되기 어렵고, 12배를 초과할 경우 작업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소망하는 양산속도를 유지할 수 없다.For reference, in order that the core wire 1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shield 1b (the entire circumferential edge) are covered uniformly,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2 shown in FIG. Is preferably 8 to 12 times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re wire 1a or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to be coated. This is because the length L1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discharge length L2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when the time for the core wire 1a or the shield 1b to pass through the lead- , L2) of the coaxial cable 1 to be coated is preferably 8 to 12 times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re wire 1a or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to be coated. Particularly, in consideration of the mass production speed, It is most preferable to form it to have a size of approximately 10 times as viewed. That is, when the length L1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length L2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is less than 8 times the peripheral length of the core wire 1a or the shield 1b, ) Or the shield 1b is hard to be covered with the lead, and when it exceeds 12 times, the working time becomes too long and the desired mass production rate can not be maintained.

예컨대,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둘레길이가 1.57mm 일 경우에는 상기 제1토출구(122)의 폭방향 길이(L1)는 약 15.7mm로 형성되어야 심선(1a)의 외주면 전체에 납물이 일정하게 피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동축케이블(1)의 쉴드(1b) 둘레길이가 9.42mm일 경우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2)는 약 94.2mm로 형성되어야 쉴드(1b)의 외주면 전체에 납물이 일정하게 피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is 1.57 mm, the width L1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should be about 15.7 mm. Can be uniformly coated. If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is 9.42 mm, the length L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should be about 94.2 mm, The lead can be uniformly coated.

한편, 상기 토출부(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21)에 형성된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discharging unit 110 may control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formed in the receiving member 121 (140). ≪ / RTI >

상기 조절부(140)는, 제1토출구(122)와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이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및 쉴드(1b) 길이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절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닝장치(100)가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및 쉴드(1b)에 호환되어 납물을 피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adjustment unit 140 allows the areas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to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core wire 1a and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 That is, the controller 1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u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tible with the core wire 1a and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having various sizes, It is the role of

상기 조절부(140)는,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윗면에는 눈금(141a)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41)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을 조절하는 덮개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140 includes a guide plate 141 having a scale 14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and a guide plate 141 having a scale 14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id unit 143 for adjusting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41)는, 상기 받침부재(121)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바, 그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guide plate 141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21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121. One end of the guide plate 1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덮개유닛(143)은 상기 제1토출구(122)가 형성된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 부위와 상기 제2토출구(123)가 형성된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 부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lid unit 14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21 on which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is formed an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21 o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is formed .

그리고, 상기 덮개유닛(143)은,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 일부를 차단하는 고정 덮개(143a)와, 상기 고정 덮개(143a)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 덮개(143b) 및 상기 이동 덮개(143b)와 상기 고정 덮개(143a)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눈금(141a)을 지시하는 지시편(143c)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d unit 143 includes a fixed lid 143a which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and blocks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 moving lid 143b which is moved toward the lid 143a and regulates an area of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and a moving lid 143b provided on the moving lid 143b and the fixed lid 143a And an indicator 143c indicating a scale 141a formed on the guide plate.

상기 고정 덮개(143a)는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가 형성하는 면적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The fixed lid 143a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to block a part of the area formed by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

상기 고정 덮개(143a)는 상기 제1토출구(122)의 폭방향 길이(L1)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2)보다 큰 폭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가 형성하는 면적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The fixed lid 143a has a width in a width direction longer than a width L1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a width L2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Not shown) to block a part of the area formed by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상기 이동 덮개(143b)도 상기 제1토출구(122)의 폭방향 길이(L1)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2)보다 큰 폭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덮개(143a)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덮개(143b)는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고정 덮개(143a)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을 차단될 수 있다.The moving lid 143b also has a width in a width direction longer than a width L1 of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a width L2 of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that is not blocked by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can be blocked. That is, the moving lid 143b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so that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not blocked by the fixed lid 143a .

상기 이동 덮개(143b)가 상기 고정 덮개(143a)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은 줄어들고, 반대로, 상기 고정 덮개(143a)가 배치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은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덮개(143b)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44)가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moving lid 143b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lid 143a is disposed,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is reduced. On the contrary,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can be increased. A handle 144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lid 143b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handle 144 by hand.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144)를 파지한 채로 상기 이동 덮개(143b)를 상기 고정 덮개(143a)가 배치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move the moving lid 143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lid 143a is disposed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holding the grip 144. [

여기서, 상기 조절부(140)에 의해 면적이 가변되는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는, 동축케이블(1)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심선(1a) 또는 쉴드(1c)에 호환될 수 있도록,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제1토출구(122) 또는 제2토출구(123)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whose area is varied by the controll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axial cable 1 through a core wire 1a or shield An area relatively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can be formed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1c.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동 덮개(143b)와 상기 고정 덮개(143)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45)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14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to allow the moving lid 143b and the fixed lid 143 to be inserted therein.

상기 안착홈(145)은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진 채로 상기 받침부재(121)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그 면적은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The seating groove 14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with an area larger than an area formed by the first or second outlet 122 or 123, (143a) and the moving lid (143b).

따라서, 상기 이동 덮개(143b)는 상기 안착홈(14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덮개(143b)가 배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ing lid 143b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lid 143b is disposed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moving lid 143b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45. [

예컨대, 피복시키고자 하는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길이가 기존에 피복공정에서 실시하던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길이보다 늘어났을 경우에는 상기 제1토출구(122)의 면적을 차단하고 있던 상기 이동 덮개(143b)를 상기 고정 덮개(143a)가 배치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 간의 이격 간격을 늘릴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에 의해 차단되었던 상기 제1토출구(122)의 면적이 더 개방되어 늘어난 심선(1a)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to be coate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ating process,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The moving lid 143b which has been blocking the moving lid 143b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lid 143a is disposed to increa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ing lid 143b.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that is blocked by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able lid 143b can be further open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extended core wire 1a.

아울러, 피복시키고자 하는 동축케이블(1)의 쉴드(1b) 길이가 기존에 피복공정에서 실시하던 동축케이블(1)의 쉴드(1b) 길이보다 줄어들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을 차단하고 있던 상기 이동 덮개(143b)를 상기 고정 덮개(143b)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 간의 이격 간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고정 덮개(143b)와 상기 이동 덮개(143b)에 의해 차단되었던 상기 제2토출구(123)의 면적이 더욱 차단되어 줄어든 쉴드(1b)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When the length of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to be coated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hield 1b of the coaxial cable 1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ating process,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The moving lid 143b which has been blocking the moving lid 143b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lid 143b is disposed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ing lid 143b. The area of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123 that has been blocked by the fixed lid 143b and the moving lid 143b can be further block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hield 1b.

참고로,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과 같이 라운드 가공되어 상기 받침부재(121)에 저장된 납물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로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할 수 있다.5, the surface of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ing lid 143b facing each other is rounded as shown by A in FIG. 5, so that a lead stored in the receiving member 121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상기 지시편(143c)은 상기 이동 덮개(143b)와 상기 고정 덮개(143a)가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 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indicator piece 143c may be provided at a corner end of the moving lid 143b and the fixed lid 143a, respectively.

즉, 상기 지시편(143c)은 상기 받침부재(121)의 높이방향(도 2에 도시된 화살표 Z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바, 그 하단은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가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 단부에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시편(143c)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다.That is, the indicator piece 143c is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direction of arrow Z in FIG. 2) of the receiving member 121,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ing lid 143b. May be fixedly connected to edge portions facing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indicator 143c is exten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1. [

아울러, 상기 지시편(143c)의 상단에는 첨단부재(143d)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첨단부재(143d)는 끝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1)의 윗면에 형성된 눈금(141a)을 가리킬 수 있다.In addition, a tip member 143d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dicator 143c. The tip member 143d may have a pointed end and may indicate a scale 14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41. [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 덮개(143a)에 마련된 지시편(143c)의 첨단부재(143d)가 가리키는 눈금과 상기 이동 덮개(143b)에 마련된 지시편(143c)의 첨단부재(143d)가 가리키는 눈금을 확인하여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길이방향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The worker can easily grasp the scale indicated by the tip member 143d of the indicator piece 143c provided on the fixed lid 143a and the scale indicated by the tip member 143d of the indicator piece 143c provided on the moving lid 143b The length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length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can be confirmed.

참고로,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폭방향 길이(L1, L2)는 상기 이동 덮개(143b)가 상기 고정 덮개(143b)가 배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도 가변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길이방향 길이는 심선(1a) 또는 쉴드(1b)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덮개(143b)의 이동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든다.The length L 1 and the length L 2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are set such that the moving lid 143 b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lid 143 b is disposed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does not increase or decrease variably even if it moves. On the other hand,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lid 143b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re wire 1a or the shield 1b .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첨담부재(143d)가 가리키는 눈금을 통해서 동축케이블(1)의 심선(1a) 또는 쉴드(1b)의 외면이 납물로 균일하게 피복되도록 하는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 간의 이격 거리, 즉,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의 길이방향 길이를 확인하고 숙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복공정 전에 별도의 피복 테스트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고정 덮개(143a)와 상기 이동 덮개(143b) 간의 이격 거리를 다양한 종류의 동축케이블(1)에 대응되도록 셋팅할 수 있다.Therefore, the worker can move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able lid 143b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or the shield 1b is coated uniformly with lead, through the scale indicated by the urging member 143d, The distance between the lid 143b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22 or the lengthwise length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3 can be recognized and understood and accordingly a separate coating test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the coating process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id 143a and the movable lid 143b can be set to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coaxial cables 1. [

한편, 상기 케이싱(130)에는 스톱퍼(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S)는 상기 케이싱(130)의 전면부에 마련되는바, 상기 동축케이블(1)의 단부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재(121)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동축케이블(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에서 토출되는 납물이 기 설정된 심선(1a) 또는 쉴드(1b)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casing 130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S. The stopper S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casing 130 and can limit the end position of the coaxial cable 1.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axial cable 1, which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and mov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1, from flowing, The lea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3 can be applied to the predetermined core wire 1a or the shield 1b.

상기와 같은 스톱퍼(S)는, 상기 케이싱(130)의 전면 상에서 상기 받침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동축케이블(1)의 심선(1a)과 접촉되는 상기 스톱퍼(S)의 부위는 상기 심선(1a)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stopper S may have a known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opper S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2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130 and the core wire 1a The stopper S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plastic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that does not deform or break the core wire 1a.

따라서, 작업자는 동축케이블(1)의 단부, 정확히는 동축케이블(1)의 심선(1a)을 상기 스톱퍼(S)에 접촉시킨 상태로 동축케이블(1)을 이동시키면 기설정된 심선(1a) 또는 쉴드(1b) 부위에 납물이 피복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axial cable 1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1a of the coaxial cable 1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oaxial cable 1 in contact with the stopper S, (1b) may be covered with lead.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 티닝장치(100)는 히팅수단(H)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xial cable tu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means H.

상기 히팅수단(H)은 상기 납조(110)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납물을 가열하고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수단(H)은 상기 납조(110) 뿐만아니라 상기 받침부재(121)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130)의 배출구(132)로 배출되는 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The heating means H may be provided in a space formed by the tub 110 so as to heat the lead and keep the temperature constant. The heating means H is provided not only in the tub 110 but also in the space formed by the supporting member 121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lea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32 of the casing 130 have.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21)에는 상기 배출구(132)로 배출된 납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T)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부(T)는 상기 받침부재(121)에 저장된 납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21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a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32.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T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lead stored in the supporting member 121 in real time, and may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o a control unit (not shown).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온도측정부(T)에 의해 측정된 납물의 온도를 참고하여 상기 납조(110)에 마련된 히팅수단(H)을 제어하여 상기 납조(110)에 저장된 납물의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heating means H provided in the tub 110 by referr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lead measur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T to vary the temperature of the lead stored in the tub 110 have.

참고로, 상기 히티수단(H)과 상기 온도측정부(T)는 해당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하지 않도록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되었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T and the heating unit H may be implemented by a well-known apparatus widely used in the industry. In order to avoid ambigu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omitted.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차단부재(12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24)는 상기 받침부재(121)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를 차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blocking member 124 having an "a" -shaped cross section may be mounted on the receiving member 121. The blocking member 124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to block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상기 차단부재(124)는 동축케이블(1)의 피복작업이 종료되었을 시에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121)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122) 또는 상기 제2토출구(123)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받침부재(121)의 저면에는 상기 차단부재(124)의 수평프레임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124 sli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by the operator when the covering operation of the coaxial cable 1 is completed and the first discharging opening 122 or the second discharging opening 123 is closed, A guide rail (not shown) for supporting and guiding the horizontal frame of the blocking member 124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1. In this cas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티닝장치 110 : 납조
120 : 토출부 121 : 받침부재
122 : 제1토출구 123 : 제2토출구
130 : 케이싱 131 : 유입구
132 : 배출구 133 : 가이드레일
140 : 조절부 141 : 가이드 플레이트
141a : 눈금 142 : 덮개 유닛
142a : 고정 덮개 143b : 이동 덮개
143c : 지시편 143d : 첨단부재
144 : 손잡이부 S : 스톱퍼
T : 온도측정부 H : 히팅수단
100: a training device 110:
120: discharging portion 121: receiving member
122: first discharge port 123: second discharge port
130: casing 131: inlet
132: exhaust port 133: guide rail
140: regulating portion 141: guide plate
141a: scale 142: cover unit
142a: fixed cover 143b: movable cover
143c: instruction piece 143d: tip member
144: Handle portion S: Stopper
T: temperature measuring part H: heating means

Claims (5)

납물이 저장되는 납조;
상기 납조에 저장된 납물을 수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수송된 납물을 전달받아 상기 납조로 토출하되, 상기 납조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납물은 상기 납조를 향해 두 방향으로 토출되어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쉴드를 일정 시간차를 두고 각각 피복시키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수송된 납물을 전달받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그 윗면에 눈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의 면적을 조절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받침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의 면적 일부를 차단하는 고정 덮개;
상기 고정 덮개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의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 덮개; 및
상기 이동 덮개와 상기 고정 덮개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편;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되되 상기 이동 덮개와 상기 고정 덮개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진 채로 상기 받침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그 면적은 상기 고정 덮개와 상기 이동 덮개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지시편은 상기 이동 덮개와 상기 고정 덮개가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 단부에 각각 마련되되 그 하단은 상기 고정 덮개 또는 상기 이동 덮개가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 단부가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지시편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윗면에 형성된 눈금을 가리는 첨단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티닝장치.
A lead in which the lead is stored;
A pump for transporting the lead stored in the tub; And
And a discharge unit that receives the lead transported by the pump and discharges the lead into the lead tank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ead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ea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portion is discharged in two directions toward the lead to cover the core wire and the shield of the coaxial cable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The discharge unit
A receiving member for receiving a lead transported by the pump; And
And a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re formed on the receiving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The discharg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por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guide plat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cale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And a lid unit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to adjust an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The lid unit includes:
A fixed cov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to block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A moving lid which is moved toward the fixed lid to regulate an area of the first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And an instruction piece provided on the moving lid and the fixed lid to indicate a scale formed on the guide plate,
And a seating groov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wherein the moving lid and the fixed lid can be inserted and seated,
Wherein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with an area larger than an area formed by the first or second outlet, the area of which is such that the stationary lid and the moving lid can be received ,
Wherein the guide piece is provided at a corner end portion where the moving lid and the fixed lid face each other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corner end portion where the fixed lid or the moving lid is oppos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Wherein a tip member for covering a sca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struction pie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6242A 2017-05-02 2017-05-02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KR101905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42A KR101905666B1 (en) 2017-05-02 2017-05-02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42A KR101905666B1 (en) 2017-05-02 2017-05-02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666B1 true KR101905666B1 (en) 2018-10-08

Family

ID=6386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42A KR101905666B1 (en) 2017-05-02 2017-05-02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964A (en)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한신 Coaxial cable rotation type tinning apparatus
KR20210072963A (en)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한신 Coaxial cable automatic supply tinn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513A (en) * 2011-10-12 2013-05-09 Mitsubishi Cable Ind Ltd Coaxial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513A (en) * 2011-10-12 2013-05-09 Mitsubishi Cable Ind Ltd Coaxial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964A (en)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한신 Coaxial cable rotation type tinning apparatus
KR20210072963A (en)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한신 Coaxial cable automatic supply tinning system
KR102371401B1 (en) * 2019-12-10 2022-03-07 주식회사 한신 Coaxial cable rotation type tinning apparatus
KR102371400B1 (en) * 2019-12-10 2022-03-07 주식회사 한신 Coaxial cable automatic supply tin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666B1 (en) Coaxial cable tinning apparatus
US8248199B2 (en) Terminal member and coil assembly using the same
CN103915137A (en) Shielded cable
US20090283296A1 (en) coaxial cable
US1045423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 with electric wire
US5138910A (en) Electrical cable stripping method and stripping device
US20080271510A1 (en) Wir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a cut length of wire
CN102682890A (en) Flat cable
CN108987992A (en)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0236097B2 (en) Wire harness
CN102339662A (en) Twisted-pair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322733B2 (en) Gangway connection system for guiding at least one power cable and clamping part for such a gangway connection system
US3239924A (en) Electrical terminal applicator
KR100781661B1 (en) Coaxial cable
KR102371400B1 (en) Coaxial cable automatic supply tinning system
US10839982B2 (en) Twinaxial parallel cable
US20200294689A1 (en) Vehicle wire harness
CN109239470B (en) Shielding room of extraction-insertion type replacement testing system
KR970705204A (en) WIRE HANDLING APPARATUS
US3350679A (en) Electrical connections
KR102371401B1 (en) Coaxial cable rotation type tinning apparatus
US4850221A (en) Wire sensing apparatus
KR102315155B1 (en) Impedance matching device
US4517510A (en) Apparatus for testing the insulation of electric wire or cable
JP4028915B2 (en) Wiring method for connection points of electrical devices or constituent unit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