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406B1 -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406B1
KR101905406B1 KR1020170087357A KR20170087357A KR101905406B1 KR 101905406 B1 KR101905406 B1 KR 101905406B1 KR 1020170087357 A KR1020170087357 A KR 1020170087357A KR 20170087357 A KR20170087357 A KR 20170087357A KR 101905406 B1 KR101905406 B1 KR 10190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unit
display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Priority to KR102017008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제어부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과 상기 제어부하우징 사이에는 연결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도 착탈가능한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의 배면에는 기립지지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부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는 지문인식모듈이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상기 큐알코드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관리 대상 건물에 주차하는 차량 파악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둥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카메라부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며, 작업자가 설치 기둥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의 경우에도 카메라부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를 보다 견고히 설치 대상물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각종 기자재의 수용이 가능하여 전체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부 전면에 설치되는 유리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HAVING IMPROVED WATERPROOF AND WA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씨씨티브이 카메라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씨씨티브이 설치 현장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강한 진동 발생의 경우에도 파손을 방지하고 견고한 방수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이물질 오염 시 투시 창 부분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PDA,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장치들이 개발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신속한 업무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존 이동통신장치의 경우 구동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이 애초 제조사에 의해 저장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단순히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등의 수동적인 작업만이 가능한 상태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장치를 위한 다양한 구동 모듈들이 개발되어 기존 휴대폰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거나 또는 이외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전기전자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씨씨티브이 시스템은 각종 건물 또는 공공의 장소에서 범죄 또는 사고 현장을 촬영하고 감시하는 역할 이외에도 그 설치로 인해 일정 정도 범죄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근래, 도로 또는 공공건물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에도 씨씨티브이 시스템이 설치되고, 이를 방범 또는 주차 단속 등에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순찰 업무의 경우 경비원이 일정 구역을 직접 순찰하면서 불법 주차 차량을 발견하여 단속하며, 범죄 등의 비상 사태 발생 시에는 이를 경찰서 등의 외부 기관에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순찰 업무는 그 특성 상 순찰자가 지정된 시간에 순찰 영역을 직접 순찰하는 지의 여부를 감독해야 하며, 순찰자에 의한 불법 주차차량 단속의 경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순찰자가 파악하여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또한, 불법 주차 또는 도난 차량 단속 등의 경우에 차량의 번호와 리스트 상의 번호를 인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대비하여 단속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에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부는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데, 상기 카메라부는 기둥 또는 벽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다.
그런데,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기둥은 통상적으로 제조공장 단계에서 용접 등의 작업으로 완성된 상태로 이동되며,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공장 단계에서 설치기둥의 제조를 완성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특수한 운반 차량이 요구되고, 설치 현장에서도 크레인 등의 특수 차량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기둥은 설치 작업 현장 상황에 따라 설치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하지만, 애초 상기 기둥은 전체가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 현장으로 이동되므로, 설치 현장 상황에 따라 상기 기둥의 설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기둥의 경우 지진이 발생되어 강한 횡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기둥 또는 카메라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결국 카메라의 손상 또는 2차적인 피해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상기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부는 이에 연동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씨씨티브이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의 지향각도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상기 제어부를 조작해야 한다.
이러한 점은 결국, 상기 제어부를 통해 카메라부의 지향각도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작업을 어렵게하는 요인이 되고, 씨씨티브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작업 역시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제어신호 입력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구성되는 방수 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씨씨티브이 카메라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수 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차량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구성되는 방수 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둥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카메라부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며, 작업자가 설치 기둥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 발생의 경우에도 카메라부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보다 견고히 설치 대상물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각종 기자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부 전면에 설치되는 유리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씨시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제어부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과 상기 제어부하우징 사이에는 연결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도 착탈가능한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의 배면에는 기립지지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부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는 지문인식모듈이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상기 큐알코드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에는 레이저광조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광조사부를 통해 레이저광을 상기 큐알코드쪽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에는 서로 연동되기 위한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미리 지정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와 함께 차량번호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부를 비추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이 감지되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가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부하우징 내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은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을 상기 설치기둥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설치기둥부재 사이에는 설치커넥터가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설치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밴드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측부는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패킹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에 맞닿는 기저부와, 상기 연결부에 맞닿는 상부접촉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접촉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기저부의 횡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에는 중간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발포성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기둥부재들의 기둥체결부 사이에도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는 투시창이 설치되되,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유리는 투시창패킹부재를 매개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시창패킹부재는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접촉되는 하우징접촉부와, 상기 유리에 접촉되는 유리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접촉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에는 가열수단과 초음파진동발생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는 점멸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하우징 내부에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유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통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통기구는 상기 유리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와, 지중에 매립 배치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의 하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는 복수 개의 원기둥형 기둥부재들로 분할 구성되되, 하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수용부재에는 상기 삽입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상기 삽입돌출부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립수용부재의 수용홈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기둥형의 기둥부재에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재의 기둥체결부들이 상호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기립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제어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 입력이 보다 편리해진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카메라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물 경비 또는 관리자의 순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대상 건물에 주차하는 차량 파악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둥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카메라부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며, 작업자가 설치 기둥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발생의 경우에도 카메라부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를 보다 견고히 설치 대상물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각종 기자재의 수용이 가능하여 전체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부 전면에 설치되는 유리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폰과 큐알코드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부에 겹쳐 포개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매립수용부재가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1 은 개폐부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투시창에 설치되는 투시창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4 는 상기 카메라부의 투시창에 설치되는 유리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폰과 큐알코드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부에 겹쳐 포개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설치기둥부재와 매립수용부재가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카메라부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카메라부에 설치커넥터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1 은 개폐부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투시창에 설치되는 투시창패킹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4 는 상기 카메라부의 투시창에 설치되는 유리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00)와,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30)와, 상기 카메라부(10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와, 상기 카메라부(100) 및 제어부(200)와 연동되는 스마트폰(300)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232)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와 제어부(200)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과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사이에는 연결하우징(220)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과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220)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도 착탈가능한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의 배면에는 기립지지부재(29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에는 디스플레이부카메라(270)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는 지문인식모듈이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00)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400)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카메라부(100)를 상기 큐알코드(400)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부(100)는 2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부(100)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어회로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어부하우징(210)에는 각종 입출력단자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메모리부(미도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는 지문인식모듈이 저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카메라(270)를 통해 지문을 촬영하여 인식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3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조작할 권한이 있는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소정의 권한이 부여된 사람만이 상기 제어부(23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23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조작할 권한이 없는 사람이 임의로 영상을 삭제하거나 카메라부(100)의 지향각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00)는 와이파이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와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200)에는 디스플레이부(230)가 연동된다.
상기 제어부(200)의 메모리부에는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차량번호인식모듈과 광 감지를 위한 영상처리알고리즘이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300)과 상기 제어부(200)는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인 앱을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카메라조작부(310, 320)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지향각 또는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큐알코드(400)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큐알코드(400)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큐알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러한 식별을 위해 상기 큐알코드 주변에 식별을 위한 숫자, 문자 등을 표시하거나,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상기 큐알코드 자체를 촬영하여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순찰자는 스마트폰(300)을 휴대하고 큐알코드가 배치된 지점에서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여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300) 소지자가 상기 큐알코드(400)가 부착된 지점을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큐알코드(400) 대신 알에프아이디 테그 또는 비콘 단말기 등이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경비 담당자의 순찰 지점에 부착되는 상기 큐알코드를 스마트폰(300)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전송하게 하거나 또는 알에프아이디 테그 등을 지나감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경비 담당자가 순찰지점을 지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의 전면(110)에는 레이저광조사부(105)와 점멸등(103)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레이저광조사부(105)를 통해 인체에 무해한 약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경우,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순찰자 또는 상기 제어부(200) 조작자가 상기 카메라부(100)가 향하는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의 지향각 조절 시 타켓 목표 또는 방향을 보다 정확히 조준한 상태에서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상기 점멸등(103)을 강하게 점멸시킴으로써, 카메라부가 작동 중임을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응급한 범죄 상황 발생시에는 상기 레이저광조사부(105)를 통해 상황 발생 지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상기 점멸등(103)을 강하게 점멸시킴으로써 위협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광조사부를 통해 상기 큐알코드로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그리하여, 스마트폰(300)을 소지한 순찰자는 상기 큐알코드(400)로 조사된 레이저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부(100)가 올바르게 작동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부(100)와 상기 스마트폰(300)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같이 서로 연동되기 위한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예를 들어 반경 30 미터 이내와 같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100)는 상기 큐알코드(400)가 부착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큐알코드(400)는 상기 카메라부(10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순찰자가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큐알코드(400)를 촬영하지 않더라도, 상기 카메라부(100)가 설치된 지점을 지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큐알코드(400)를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순찰자가 상기 카메라부(100)가 배치된 지점 또는 큐알코드(400)가 부착된 지점을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100)와 상기 스마트폰(300)이 예를 들어 30 미터와 같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10분 이내와 같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부(100)를 비추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이 감지되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100)가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부(100)가 향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순찰자가 미등록 차량 번호판을 발견하는 경우에는,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플레쉬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00)를 비추고, 이때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강한 빛이 감지되면, 상기 빛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강한 빛이 감지되는 쪽으로 카메라부(100)의 지향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광을 감지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이 상기 제어부(200)에 저장된다.
그리하여, 순찰자가 상기 카메라부(100)가 설치된 영역에서 스마트폰의 플레쉬 또는 일반 플레쉬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00)를 비춰 카메라부(100)의 촬영 영역을 차량의 번호판으로 유도하여,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차량 번호판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번호판인식모듈에 의해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의 메모리부 내에 미리 저장된 등록 차량번호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표시하거나, 상기 점멸등(103)을 점멸시킴으로써 미등록 차량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순찰자는 차량들이 주차된 현장에서 즉시 미등록 차량 여부를 파악하여 이동주차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또는, 범죄 상황 발생의 경우에도 순찰자는 일반 플레쉬 또는 스마트폰의 플레쉬를 상기 카메라부(100)로 비춰 상기 카메라부(100)의 지향각도를 소정의 위치로 유도하여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범죄 상황에 대한 채증을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엘시디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조작부(234)를 터치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에 포함되는 카메라의 지향각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씨씨티브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경우, 상기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별도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상기 제어부(200)를 조작하여 카메라의 지향각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조작자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며 카메라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해야 하므로, 조작에 익숙을 요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의 상부에 결합 구성함으로써, 조작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상기 조작부(234)를 통해 직관적으로 카메라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되므로, 카메라부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과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사이에는 연결하우징(220)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과 상기 연결하우징(220)은 상호 힌지(224)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220)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도 착탈 가능한 힌지(222) 결합되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의 상면을 덮거나,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어부하우징(210) 상면을 덮도록 포개지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0)가 제어부하우징(210) 상면에 기립 설치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가 제어부(200) 상부에 결합 구성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기립 설치되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와 디스플레이부(230)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상기 제어부(200)와 디스플레이부(230) 간의 연동을 위한 별도 설치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을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기립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30)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 필요시에만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씨씨티브이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은 상기 제어부(200) 내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영상을 사람이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한 영상의 확인이 요구되는 때에 디스플레이부(230)를 기립 설치하여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시 디스플레이부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와 제어부(200)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통신모듈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터치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함으로써,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분리 휴대한 상태에서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00)에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면서 카메라부(10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와 제어부(200) 및 카메라부(100)에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가 위치하는 지점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프레이부(230)를 분리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원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의 이상 여부 확인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만을 휴대하면 족하므로, 확인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을 상기 연결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은 상기 연결하우징(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면서도, 필요 시 상기 연결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을 상기 제어부하우징(210) 상에 기립시킨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조작하거나, 필요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을 분리하여 휴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의 배면에는 기립지지부재(29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의 분리 시 상기 기립지지부재(29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이 책상 또는 탁자 상에 안정적으로 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립지지부재(290)는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선재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의 배면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의 방진완충패드부(232)가 설치된다.
상기 방진완충패드부(232)의 재질로서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진완충패드부(2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이 상기 제어부하우징(200) 상으로 포개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230)이 분리되어 이용되는 경우 상기 방진완충패드부(23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작용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일종의 손잡이로서의 테두리 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카메라부(100)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설치기둥부재(150)는 복수 개의 원기둥형 기둥부재들(152)로 분할 구성되되, 하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156)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에 도시되는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에는 상기 삽입돌출부(156)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62)들이 상기 삽입돌출부(156)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된다.
상기 원기둥형 기둥부재들(152)에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체결부(154)가 상기 기둥부재(15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재(152)의 기둥체결부(154)들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기둥부재(152)들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기둥체결부(154)가 안전띠를 거치시키기 위한 돌출부로서의 역할과 함께 사다리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기둥체결부(154)를 밟기에 용이해져, 상기 설치기둥부재(150)에 올라 작업하는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기둥부재(152)들의 기둥체결부(154) 사이에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155)가 배치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의 수용홈(162) 내부에도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168)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홈(162)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최하단에 배치되는 기둥부재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상기 삽입돌출부(156)를 상기 수용홈(162)의 임의 위치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의 하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68)가 형성되어, 상기 매립수용부재(160)를 지중에 매립하는 경우, 지중으로부터 용이하게 인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최하단의 기둥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최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설치보(159) 및 그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체결부(154)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흡수부재(155)와 함께 상기 매립수용부재(160)의 수용홈(162) 내부에도 충격흡수부재(168)가 배치됨으로써, 지진 발생과 같은 강한 횡진동 작용의 경우에도, 상기 매립수용부재(160)가 지중으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둥부재(152) 및 카메라부(100)로 충격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의 고장 및 상기 기둥부재(152) 파손에 의한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00)는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부하우징(110) 내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0)은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0)을 상기 설치기둥부재(150)에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20)의 내부 공간에는 격벽(1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20)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2)은 "+"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상기 연결부(120) 내부는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공간들에 전력 변환을 위한 어댑터, 제어회로, 각종 부자재들을 구분 수납함으로써, 상기 설치기둥부재(150)에 상기와 같은 어댑터 등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하여, 카메라부(100) 설치를 위한 전체 구성이 보다 컴팩트해지고, 제조 공장 단계에서 상기 연결부(120) 내의 공간에 각종 부자재들을 수납한 상태로 조립함으로써, 설치 현장에서는 즉시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 내부에 상기와 같은 격벽(122)을 형성함으로써, 각종 부자재를 수납하는 상기 연결부(120)의 파괴강도를 상승시키고, 강한 횡진동 발생의 경우에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네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상기 연결부의 측부는 개폐부재(126)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26)에는 그 테두리 부분을 따라 패킹부재(124)가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120)의 측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126)와 연결부몸체간의 틈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는 설치커넥터(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는 "+" 형상의 돌출부(128)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커넥터(130)에는 "+" 형상의 오목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8)가 상기 오목부(13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9)와 상기 설치커넥터(130) 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32)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설치커넥터(130) 없이,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9)에 형성되는 체결개구(129-1)에 볼트를 체결하여, 특정 구조물에 상기 연결부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전체 카메라부(100)의 무게를 지지하는 요소는 상기 체결개구(129-1)에 결합되는 볼트들 뿐이며, 카메라부가 일종의 자유단 상태로 거치된다.
따라서, 지진 등이 발생하여 강한 횡진동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지지력으로써 카메라부를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설치구조물로부터 카메라부가 분리되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29, 132)들 간의 볼트와 너트 결합에 부가하여, 상기 돌출부(128)와 오목부(134) 간의 구조적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20)와 설치커넥터(130) 간의 기구적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커넥터(130)에 밴드클램프(140) 등과 같은 강력한 체결도구를 결합함으로써, 설치 대상 구조물에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도 9 는 상기 설치커넥터(130)의 후단부에 밴드클램프(140)가 결합된 예이고, 도 10 은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와 설치커넥터(130)의 하부에 상기 밴드클램프(140) 결합 공간을 형성하여 체결한 상태의 예이다.
그리하여, 각종 회로부품 및 부자재들이 수용되는 상기 연결부(120)에는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치커넥터(130)에 강력한 체결력을 가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26)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패킹부재(124)는 상기 개폐부재(126)에 맞닿는 기저부(124-1)와, 상기 연결부(120)에 맞닿는 상부접촉부(124-3) 및 상기 기저부(124-1)와 상부접촉부(124-3)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124-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접촉부(124-3)의 횡방향 폭은 상기 기저부(124-1)의 횡방향 폭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124)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접촉부(124-3)의 표면에는 요철부(124-4)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124)의 표면 높이는 상기 상부접촉부(124-3)가 접촉되는 연결부(120)의 표면과 억지끼움이 될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재(124)가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킹부재(124)의 상부접촉부(124-3)가 연결부(120)의 표면과 억지끼움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억지끼움 과정에서 상기 패킹부재(124)에 작용되는 힘이 과다할 경우에는, 상기 패킹부재(124)가 상기 개폐부재(126)의 안착홈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부재(124)에 지나치게 큰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126)와 상기 패킹부재(124)간의 결합력이 해제되어, 상기 패킹부재(124)가 소정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패킹부재(124)의 상부접촉부(124-3)에 상기와 같이 요철부(124-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126)를 상기 연결부재(120)에 결합할 때, 상기 상부접촉부(124-3)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분이 상기 연결부재(120)의 표면에 부딪혀 다소 변형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패킹부재(124)에 작용되는 전체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접촉부(124-3)와 중간연결부(124-2) 및 기저부(124-1) 모두에 오목부(124-5, 124-6, 124-7)를 형성한다.
상기 패킹부재(124)가 상기 개폐부재(126)를 통해 상기 연결부(120)의 측부에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오목부(124-5, 124-6, 124-7) 내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는 상기 개폐부재(126)와 연결부(120) 사이로 스며드는 물이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120) 내부의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오목부(124-5, 124-6, 124-7)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패킹부재(124)와 연결부(120) 또는 개폐부재(126) 사이 공간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력으로 인해 스며드는 물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러한 점은 결국 모세관력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상기 연결부(12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는 투시창(102)이 설치되되,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유리(102)는 투시창패킹부재(104)를 매개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 설치된다.
상기 투시창패킹부재(104)는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 접촉되는 하우징접촉부(104-1)와, 상기 유리에 접촉되는 유리접촉부(104-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에는 오목부(10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에는 요철부(104-5)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요철부(104-5)와 상기 오목부(104-3) 내에 형성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투시창패킹부재(104)를 통해 외부의 수분이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를 연결하는 연결부에서도,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과 유리(102)를 대면하는 표면에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접촉부(104-1)와 유리접촉부(104-2)에는 외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구(104-7)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104-3) 내로 유입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 와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102)에는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102-2)과 초음파진동발생수단(108)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 내부에 팬(117)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102) 부근의 상부에는 분사노즐(107)이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부하우징(115)에 설치되는 빗물저장탱크(119)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유리(102)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빗물저장탱크(119) 내부에는 빗물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19)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119)에 의해 여과된 빗물은 빗물공급관(118-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7)로 공급되어, 상기 유리(102)의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타이머에 의해 소정의 시간 주기별로 상기 분사노즐(107)을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리(102)가 이물질로 오염되어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10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세한 직경의 통기구(102-1)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102-1)는 유리의 폭(t)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부를 향할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리(102)에 부딪히는 빗방울이 상기 통기구(102-1)를 통해 카메라부하우징(115) 내부로 침입되지 못하게 구성된다.
상기 통기구(102-1)들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리(102)에서 수평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분사노즐(107)을 통해 유리표면에 물이 분사된 이후에는 상기 팬(117)을 강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통기구(102-1)로 공기를 유동시켜 유리(102)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상기 가열수단(102-2)을 통해 열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리(102)의 표면의 서리를 제거하거나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카메라부
150: 설치기둥부재
200: 제어부
230: 디스플레이부
300: 스마트폰
400: 큐알코드

Claims (14)

  1. 복수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제어부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큐알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에는 방진완충패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과 상기 제어부하우징 사이에는 연결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하우징도 힌지 결합되어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하우징의 상면을 덮거나 상기 제어부하우징 상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은 상기 연결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의 배면에는 기립지지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부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에는 지문인식모듈이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로써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큐알코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상기 큐알코드로 향하도록 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에는 레이저광조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큐알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광조사부를 통해 레이저광을 상기 큐알코드쪽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에는 서로 연동되기 위한 통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는 미리 지정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와 함께 차량번호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마트폰이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부를 비추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이 감지되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가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카메라부하우징 내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은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을 설치기둥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설치커넥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커넥터에는 밴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측부는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패킹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에 맞닿는 기저부와,
    상기 연결부에 맞닿는 상부접촉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접촉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기저부의 횡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와 상부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연결부에는 중간오목부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기둥부재들의 기둥체결부 사이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발포성합성수지재를 압축하여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는 투시창이 설치되되,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유리는 투시창패킹부재를 매개로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투시창패킹부재는,
    상기 카메라부하우징에 접촉되는 하우징접촉부와,
    상기 유리에 접촉되는 유리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접촉부와 유리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리접촉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에는 가열수단과 초음파진동발생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는 점멸등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하우징 내부에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유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통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통기구는 상기 유리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기둥부재와;
    지중에 매립 배치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의 하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매립수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기둥부재는 복수 개의 원기둥형 기둥부재들로 분할 구성되되,
    하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돌출부들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수용부재에는 상기 삽입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상기 삽입돌출부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되며,
    상기 매립수용부재의 수용홈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형 기둥부재에는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기둥부재의 기둥체결부들이 상호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14. 삭제
KR1020170087357A 2017-07-10 2017-07-10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KR10190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57A KR101905406B1 (ko) 2017-07-10 2017-07-10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57A KR101905406B1 (ko) 2017-07-10 2017-07-10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406B1 true KR101905406B1 (ko) 2018-10-08

Family

ID=6386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357A KR101905406B1 (ko) 2017-07-10 2017-07-10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64B1 (ko)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101372398B1 (ko) * 2012-08-17 2014-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 코드를 이용한 자동 수위감지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64B1 (ko)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101372398B1 (ko) * 2012-08-17 2014-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 코드를 이용한 자동 수위감지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613B1 (ko) 차량 탑재형 번호 인식장치
KR100768820B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9098954B1 (en) Portable self-contained totally integrated electronic security and control system
WO2018042398A1 (en) A traffic safety device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1624983B1 (ko) 방범 및 화재 통합관제장치
CA2765390A1 (en) Parking lot
CN109461283A (zh) 智能小区安全防护系统
KR20120086963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2499410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501408A (ja) 駐車禁止区域における駐車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12018B1 (ko) 차량번호 판독시스템
WO2015116021A1 (en) Advanced security gun with advanced coding system
WO2020167565A1 (en) Portable outdoor construction site data center
RU142292U1 (ru)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событий
CN102637033B (zh) 一种用于车底安全检查的控制系统
KR101844760B1 (ko)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905406B1 (ko)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KR101853081B1 (ko) 방수성능과 감시 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US20140292527A1 (en) Remote lighting and security system
KR101877736B1 (ko) 순찰 감시기능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905404B1 (ko) 방수 특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KR10139017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방범 겸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350684A (zh) 汽车停放安全保护器
KR102227288B1 (ko)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