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284B1 -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 - Google Patents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284B1
KR101905284B1 KR1020167020943A KR20167020943A KR101905284B1 KR 101905284 B1 KR101905284 B1 KR 101905284B1 KR 1020167020943 A KR1020167020943 A KR 1020167020943A KR 20167020943 A KR20167020943 A KR 20167020943A KR 101905284 B1 KR101905284 B1 KR 10190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de table
facility
authentication proces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061A (ko
Inventor
신지 고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ublication of KR2016010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음식점 등의 각종 시설을 이용할 때의 화면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를 제공한다. 인증 처리 시스템은, 가반형 통신 단말 및 인증 처리 서버를 갖고, 인증 처리 서버는, 복수의 제1 코드와, 복수의 제1 코드의 각각에 시간대별로 제2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는 코드표를 생성하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와, 코드표 생성 처리부가 생성한 코드표를 기억하는 코드표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계 처리부와,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제1 코드를 수신하고,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특정하며, 특정된 제2 코드를 가반형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이용자 처리부를 구비하고, 가반형 통신 단말은, 인증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2 코드에 근거하여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SERVER}
본 발명은, 음식점 등의 각종 시설을 이용할 때에, 점원 등에게 제시하는 화면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가반형(可搬型) 통신 단말의 보급에 따라, 쿠폰에 의한 이용 요금의 할인, 및 포인트나 전자 화폐에 의한 결제 등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반형 통신 단말에 기억시켜, 음식점 등의 각종 시설을 이용할 때에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시설의 이용자는, 가반형 통신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소정의 서버에 액세스를 하여 조작을 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포인트나 전자 화폐 등에 의한 결제 등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결제 완료 화면)(도 13)을, 시설에서의 지불 시에 점원에게 제시함으로써, 결제 등이 완료된 것을 증명하고, 비용의 할인이나 결제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의 흐름을 도 14에 나타낸다(비특허문헌 1 참조).
비특허문헌 1: 주식회사 구루나비, "지불 시에 포인트·머니를 사용하는-구루나비 터치", 인터넷 <URL: http://www.gnavi.co.jp/touch/guide/pointuse/index.html>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소정의 결제를 행하는 결제 서버에 액세스를 하여 결제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가반형 통신 단말과 시설측의 장치의 통신 없이, 결제 서버와 가반형 통신 단말의 사이에 있어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결제 완료 화면이 점원에게 제시될 뿐이다. 이로 인하여, 미리, 결제 완료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화상 정보로서 작성하는 등 해두고, 시설에서의 결제 시에, 결제가 종료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작성한 화상 정보를 점원에게 제시함으로써, 마치 결제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처럼 가장하여, 불법으로 이익을 얻으려 하는 이용자도 있다.
이 경우, 결제 완료 화면이 정규 화면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결제 완료 화면에 표시되는 발행 일시와 ID를 기록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지만, 점원에게 부담이 되는 점에서, 실제로는 이것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점원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결제 완료 등을 나타내는 화면의 위장을 방지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에 기재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의 목적은, 점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간단히 화면의 위장을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인증 처리 시스템은, 시설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 및 인증 처리 서버를 갖고, 시설의 이용자가 그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으로서, 인증 처리 서버는, 복수의 제1 코드와, 복수의 제1 코드의 각각에 시간대별로 제2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는 코드표를 생성하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와, 코드표 생성 처리부가 생성한 코드표를 기억하는 코드표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계 처리부와,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제1 코드를 수신하고,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 기억부에 기억된 코드표로부터, 수신한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특정하여, 특정된 제2 코드를 가반형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이용자 처리부를 구비하고, 가반형 통신 단말은, 인증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2 코드에 근거하여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에 의하여, 시설의 종업원(점원 등)은, 시설의 이용자가 나타내는 화면이 위장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반형 통신 단말은, 제1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가져도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 처리 서버는, 코드표를 시설에 배치된 시설측 단말에 전송하는 코드표 전송 처리부를 더 가져도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은, 시설에 배치된 시설측 단말을 더 갖고, 시설측 단말은, 인증 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코드표를 기억하는 시설측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설측 시계 처리부와, 시설측 기억부에 기억된 코드표로부터, 시설측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한 소정의 시간대의 제2 코드를 특정하여, 특정된 제2 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설의 종업원은, 이용자로부터 제시받은 코드를, 코드표에서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어, 확인 작업의 신속화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대는, 현재의 시간대와, 현재의 시간대의 전후 시간대를 포함해도 된다.
대응하는 시간대뿐만 아니라, 그 전후 시간대의 코드를 표시함으로써, 인증 처리 시스템과 시설측 단말의 시각의 동기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인증 처리 시스템에서는 "20시 01분 10초"를 나타내고 있고, 시설측 단말에서는 "19시 59분 20초"를 나타내고 있었다고 하자. 현재의 일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코드만이 표시된다고 하면, 인증 처리 시스템에서는 20시대의 코드가 이용자의 가반형 통신 단말로 보내짐에도 불구하고, 시설측 단말에서는 19시대의 코드가 표시되게 된다. 그러면 시설의 종업원은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증 처리 시스템과 시설측 단말의 시각의 동기 처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행하는 것은 시스템적인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동기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도, 코드의 일치, 불일치를 종업원이 간단히 판정할 수 있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 처리 서버는, 코드표를 코드 캘린더 및 코드북으로서 출력하는 코드표 출력 처리부를 더 갖고, 코드 캘린더는, 날짜와 페이지 번호를 대응지으며, 코드북은, 페이지별로, 시간대와 제2 코드를 대응짓고 있어도 된다.
시설이 음식점과 같은 경우, 시설측 단말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로 인하여, 종이 매체의 코드표를,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성함으로써, 시설측 단말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코드표 생성 처리부는, 시설별 및 날짜별로, 제2 코드를 변경하도록 하여, 코드표를 생성해도 된다.
코드는 난수(亂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코드 자체를 생성하는 데에 처리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면,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표를 생성하는 것은, 코드를 모두 1부터 생성하면 처리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생성한 코드를 사용하는 날짜를 변경함으로써,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표로 할 수 있다.
종이 매체의 코드표여도,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표로 하는 경우도 있다.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표를 생성하는 것은, 코드를 모두 1부터 생성하면 처리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코드 캘린더에 있어서, 코드북의 날짜와 페이지의 대응 관계를 시설별로 변경함으로써,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처리 시간을 필요로하는 일 없이,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처리 서버는, 시설의 이용자가 그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처리 서버로서, 복수의 제1 코드와, 복수의 제1 코드의 각각에 소정의 시간대별로 제2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는 코드표를 생성하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와, 코드표 생성 처리부가 생성한 코드표를 기억하는 코드표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계 처리부와,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제1 코드를 수신하고,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 기억부에 기억된 코드표로부터, 수신한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특정하여, 특정된 제2 코드를 가반형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이용자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서버는, 코드표를 시설에 배치된 시설측 단말에 전송하는 코드표 전송 처리부를 더 가져도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서버에 있어서, 코드표를 코드 캘린더 및 코드북으로서 출력하는 코드표 출력 처리부를 더 갖고, 코드 캘린더는, 날짜와 페이지 번호를 대응지으며, 코드북은, 페이지별로 시간대와 제2 코드를 대응짓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서버에 있어서, 코드표 생성 처리부는, 시설별 및 날짜별로 제2 코드를 변경하도록 하여, 코드표를 생성해도 된다.
상기의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점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간단히 화면의 위장을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인증 처리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인증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인증 처리 서버(2), 가반형 통신 단말(3), 및 시설측 단말(4) 각각을 실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인증 처리 시스템(1)의 처리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코드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코드 식별 정보 입력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대응하는 시간대와 그 전후의 시간대의 코드만을 시설측 단말에 표시한 경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시설측 단말(4)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시설측 단말(4)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종이 매체의 코드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 이용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10)의 일례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인증 처리 시스템(10)의 처리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결제 완료 화면의 종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결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에 대하여 도면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본원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물에도 미치는 점에 유의하길 바란다.
[실시예 1]
인증 처리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의 개념도를 도 1에 나타낸다. 또, 인증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인증 처리 서버(2), 가반형 통신 단말(3), 및 시설측 단말(4) 각각을 실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2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컴퓨터는, 연산 장치(70), 기억 장치(71), 표시 장치(72), 입력 장치(73), 및 통신 장치(74)를 갖고 있다. 연산 장치(70)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등이다. 기억 장치(71)는, 예를 들면, 정보를 기억하는 RAM이나 ROM 등이다. 표시 장치(7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이다. 입력 장치(73)는, 예를 들면, 마우스나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장치(74)는, 예를 들면, 연산 장치(70)의 처리 결과나 기억 장치(71)에 기억되는 정보를 공중 전화 회선, 인터넷이나 L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한다. 컴퓨터 상에서 실현하는 각 기능(각 수단)은, 그 처리를 실행하는 수단(프로그램이나 모듈 등)이 연산 장치(70)에 읽어들임으로써, 그 처리가 실행된다. 각 기능은, 기억 장치(71)에 기억된 정보를 그 처리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정보를 당해 기억 장치(71)로부터 독출하고, 독출한 정보를 적절히, 연산 장치(70)에 있어서의 처리에 이용한다. 상술한 각 수단은, 그 기능이 논리적으로 구별되어 있을 뿐으로, 물리상 혹은 사실상은 동일한 영역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컴퓨터로서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 PHS, PDA, 태블릿형 컴퓨터, 및 노트형 컴퓨터 등의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 이외에, 퍼스널 컴퓨터, 서버 등이 포함된다.
인증 처리 서버(2)는, 적어도 도 2에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인증 처리 시스템(1)을 이용하는 기업 등이 제공하는 서버이다. 인증 처리 서버(2)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20), 코드표 전송 처리부(21), 코드표 기억부(22), 시계 처리부(23), 및 이용자 처리부(24) 등을 갖는다. 또한, 인증 처리 서버(2)는, 후술하는 결제 서버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별도로 구성되어도 된다.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예를 들면, 매월 정해진 일시 등에, 각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측 단말(4)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자적인 코드표를 생성한다. 코드표는, 예를 들면, 코드표를 매월 생성하는 경우, 각 날짜 및 시간대별로 난수가 표기되어 있는 난수표이다.
가반형 통신 단말(3)은, 적어도 도 2에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시설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PHS, PDA, 태블릿형 컴퓨터, 및 노트형 컴퓨터 등의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컴퓨터)이다.
시설측 단말(4)은, 적어도 도 2에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시설에 설치되는 통신 단말로서, 퍼스널 컴퓨터나 태블릿형 컴퓨터 등이며, 인증 처리 서버(2)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시설측 단말(4)은, 시계 기능을 갖는 시설측 시계 처리부를 갖는다.
도 4는, 코드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표에는, 어떤 특정한 날짜에 있어서의, 시간대별로 사용하는, 3개의 코드 식별 정보(제1 코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난수)(제2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시간대로서 1시간마다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시간마다, 오전 시간대, 오후 시간대와 같이 임의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드표 생성 처리부(20)가 코드표를 생성하는 주기는, 매월, 매주, 매일, 매시간 등 어떠한 타이밍이어도 된다. 생성하는 코드표는, 복수의 시설에서 공통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코드표에 포함되는 난수의 생성 처리는, 공지의 각종 생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시설별로 상이한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설별로, 날짜에 따라 사용하는 코드를 변경하면 된다. 예를 들면, A점에서는 11월 25일에 이용하는 코드를, B점에서는 11월30일에 이용한다. 이로써, 코드 자체는 동일해도, 그것을 사용하는 날짜가 바뀌므로, 음식점별로 사용하는 코드가 상이하게 된다. 또, 생성하는 코드수는 바뀌지 않으므로, 코드표 생성 처리부(20)의 부하도 걸리지 않는다.
코드표 전송 처리부(21)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20)에서 생성한 코드표를 각 시설측 단말(4)에 전송하고, 코드표 기억부(22)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20)에서 기억한 코드표를 기억한다. 시계 처리부(23)는, 시계 기능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일시 정보를 관리한다.
이용자 처리부(24)는,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소정의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면, 그 코드 식별 정보와 시계 처리부(23)에 있어서의 현재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코드(난수)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된 코드를 그 가반형 통신 단말(3)에 보내어, 가반형 통신 단말(3)에서 표시한다.
도 3은, 인증 처리 시스템(1)의 처리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시설이 음식점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의 처리 프로세스는, 인증 처리 서버(2)에서는, 인증 처리 서버(2)의 연산 장치가, 미리 인증 처리 서버(2)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도 3의 처리 프로세스는, 가반형 통신 단말(3)에서는,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연산 장치가, 미리 가반형 통신 단말(3)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도 3의 처리 프로세스는, 시설측 단말(4)에서는, 시설측 단말(4)의 연산 장치가, 미리 시설측 단말(4)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미리 설정한 타이밍이 도래하면,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각 음식점에서 이용하기 위한 코드표를 생성한다(S100). 다음으로, 코드표 전송 처리부(21)가, 생성된 코드표를 각 음식점에서 이용되는 시설측 단말(4)에 전송한다(S110). 또,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생성된 코드표를 코드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시설측 단말(4)은, 인증 처리 서버(2)로부터 코드표를 수신하면, 수신한 코드표를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음식점을 이용한 이용자는,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쿠폰이나 결제 등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할인 등의 서비스를 받으려고 생각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정해진 방법에 의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결제 등의 절차를 행한다. 예를 들면, 포인트나 전자 화폐로 음식점의 대금을 지불하려고 하는 경우, 이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반형 통신 단말(3)에서 기동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작을 가반형 통신 단말(3)에서 행함으로써, 결제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이용하는 포인트 수의 정보(예를 들면 1000포인트)를 입력하면, 그 정보가 결제 등의 처리를 행하는 소정의 결제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보내진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결제 등의 처리가 행해지면, 결제 서버는, 가반형 통신 단말(3)에,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용자가 점원에게 코드 식별 정보를 물으면, 점원은, 시설측 단말(4)에 표시된 코드표 중에서, 임의의 코드 식별 정보를 전달한다. 코드 식별 정보란, 시간대별로 복수 존재하는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코드표가 도 4인 경우, "1", "2", "3"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점원이 코드 식별 정보로서 "1"이라고 회답한 경우, 그것을 들은 이용자는, 가반형 통신 단말(3)에 표시된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 화면에 "1"을 입력하고, 송신을 선택한다. 송신이 선택되면,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제어부는,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코드 식별 정보를 인증 처리 서버(2)에 송신한다.
인증 처리 서버(2)의 이용자 처리부(24)가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120). 다음으로, 이용자 처리부(24)는, 수신한 인증 정보와, 시계 처리부(23)에 있어서의 현재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 기억부(2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코드를 특정하고(S130), 특정된 코드를 당해 가반형 통신 단말(3)에 보낸다(S140).
예를 들면, 코드 식별 정보로서 "1"을 수신하고, 현재의 일시 정보가 "11월 25일 20시 01분"이며, 코드표가 도 4인 경우, 이용자 처리부(24)는, 코드표 기억부(22)로부터 "379"를 코드로서 특정하여, 가반형 통신 단말(3)에 보낸다.
가반형 통신 단말(3)은, 인증 처리 서버(2)로부터 보내진 코드를,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코드 표시 화면으로서 표시부에 표시한다(S150). 코드 표시 화면에는, 점원이 이용자에게 전달한 코드 식별 정보,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가 적어도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가, 코드 표시 화면을 점원에게 제시함으로써, 혹은 거기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를 이용자가 점원에게 전달하면, 점원은, 음식점 내의 시계 등으로 시각을 확인하고, 시설측 단말(4)에 표시된 코드표를 참조하여, 당해 시각 및 당해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확인한다. 점원은, 이용자가 점원에게 제시한 코드와, 점원이 확인한 코드가 일치하면, 정규 결제 등의 처리가 행해졌다고 판단하고, 이용자가 포인트나 전자 화폐 등으로 결제한 만큼 감액하는 등 하여 회계 처리를 행한다. 한편, 이용자가 점원에게 제시한 코드와, 점원이 확인한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위장된 화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이용자에게 결제 등에 대하여 확인을 요구한다.
시설측 단말(4)에서 코드표를 표시할 때에는, 당일의 모든 시간대의 코드표를 도 4와 같이 표시해도 되지만, 대응하는 코드를 찾아야 하는 수고가 든다. 따라서, 시설측 단말(4)에 기억되어 있는 시계 기능을 이용하여, 그 시간대 또는 그 시간대와 전후 시간대의 코드만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의 시설측 단말(4)에서 표시하는 코드표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대응하는 시간대뿐만 아니라, 그 전후 시간대의 코드를 표시함으로써, 인증 처리 서버(2)의 시계 처리부(23)에 있어서의 시각과, 시설측 단말(4)의 시계 기능에 있어서의 시각의 동기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8은, 시설측 단말(4)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서는, 인증 처리 서버(2)의 시계 처리부(23)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가 "11월 25일 20시 01분"이고, 시설측 단말(4)의 시계 기능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가 "11월 25일 19시 58분"이었을 경우, 대응하는 시간대의 코드만이 표시되어 있다. 즉, 도 8에서는, 19시대의 코드 "944" 등 밖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점원이 인식할 수 있는 코드 "944"와, 이용자가 전하는 코드 "379"가 불일치하게 되어, 확인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도 9는, 시설측 단말(4)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서는, 전후 시간대의 코드도 표시되어 있다. 도 9와 같이 표시가 이루어진 경우, 점원은, 용이하게 20시대의 코드와의 일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점원은, 이용자가 전달하는 코드와, 시각이 다소 어긋나 있는 전후 시간대의 코드가 일치하고 있으면, 결제 등의 정확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코드표를 음식점별로 변경하는 경우,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음식점별 코드표를 생성하고, 코드표 전송 처리부(21)는 각 음식점의 시설측 단말(4)에 생성된 각 음식점에 대한 코드표를 전송한다. 또, 코드표 기억부(22)에서는, 음식점을 식별하는 정보와 함께 코드표를 기억한다. 이용자가,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결제 등의 처리를 행할 때에 결제 등의 대상이 되는 음식점을 선택한 경우, 이용자 처리부(24)는,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을 수신할 때에, 그 음식점의 식별 정보를 당해 결제 등의 처리를 행하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이용자 처리부(24)는, 코드 식별 정보 및 음식점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 기억부(2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코드표 및 코드를 특정한다.
한편, 이용자가,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결제 등의 처리를 행할 때에 결제 등의 대상이 되는 음식점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이용자 처리부(24)는,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을 수신할 때에, 그 음식점의 식별 정보를, 코드 식별 정보와 함께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수신한다. 이용자 처리부(24)는, 코드 식별 정보 및 음식점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 기억부(2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코드표 및 코드를 특정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시설에 시설측 단말(4)을 마련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음식점 등의 시설에, 시설측 단말(4)이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코드표를 종이 매체로서 생성해도 된다.
도 10은, 종이 매체의 코드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매체의 코드표는, 코드 캘린더와 코드북을 갖는다. 코드북에는, 페이지별로, 시간대별로 복수의 코드(난수)가 인자(印字)되어 있다. 코드 캘린더에는, 몇 월 며칠에는 몇 페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인자되어 있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 이용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1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인증 처리 시스템(10)은, 도 1의 인증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코드표 전송 처리부(21) 대신에, 코드표 출력 처리부(25)를 갖고 있다. 또한, 인증 처리 시스템(10)을 실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코드표 출력 처리부(25)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20)에서 생성한 코드표의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출력 처리는, 인쇄, 전자 메일에 의한 전송, 및 FAX 송신 등의 각종 출력 처리를 포함한다. 인쇄된 코드표는, 인증 처리 시스템(1)을 운영하는 기업의 담당자 등이, 각 시설에 우편 배송 등을 한다.
도 12는, 인증 처리 시스템(10)의 처리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하에서는, 시설이 음식점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미리 설정한 타이밍이 도래하면,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각 음식점에서 이용하기 위한 코드표(코드 캘린더와 코드북)를 생성한다(S200). 다음으로, 코드표 출력 처리부(25)가, 생성된 코드표의 인쇄를 실행한다(S210). 인쇄된 코드표는, 담당자가 각 음식점에 우편 배송 등에 의하여 보낸다. 또한, 종이 매체의 코드표를 인쇄하는 것 이외에, 코드표에 대하여, 전자 메일에 의한 전송, 및 FAX에 의한 전송 등을 행해도 된다. 또,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생성한 코드표를 코드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음식점을 이용한 이용자는,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쿠폰이나 결제 등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할인 등의 서비스를 받으려고 생각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정해진 방법에 의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결제 등의 절차를 행한다. 예를 들면, 포인트나 전자 화폐로 음식점의 대금을 지불하려고 하는 경우, 이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반형 통신 단말(3)에서 기동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작을 가반형 통신 단말(3)에서 행함으로써, 결제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이용하는 포인트 수의 정보(예를 들면 1000포인트)를 입력하면, 그 정보가 결제 등의 처리를 행하는 소정의 결제 서버에 보내진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결제 등의 처리가 행해지면, 결제 서버는, 가반형 통신 단말(3)에,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용자가 점원에게 코드 식별 정보를 물으면, 점원은, 보내져 온 코드표 중에서, 임의의 코드 식별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점원이 "1"이라고 회답한 경우, 그것을 들은 이용자는, 가반형 통신 단말(3)에 표시된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 화면에 "1"을 입력하고, 송신을 선택한다. 송신이 선택되면, 가반형 통신 단말(3)의 제어부는,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코드 식별 정보를 인증 처리 서버(2)에 송신한다.
인증 처리 서버(2)의 이용자 처리부(24)가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220). 다음으로, 이용자 처리부(24)는, 수신한 인증 정보와, 시계 처리부(23)에 있어서의 현재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표 기억부(2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코드를 특정하고(S230), 특정된 코드를 당해 가반형 통신 단말(3)에 보낸다(S240).
예를 들면, 코드 식별 정보로서 "1"을 수신하고, 현재의 일시 정보가 "11월 25일 20시 01분"이며, 코드표가 도 4인 경우, 이용자 처리부(24)는, "379"를 코드로서 특정하여, 가반형 통신 단말(3)에 보낸다.
가반형 통신 단말(3)은, 인증 처리 서버(2)로부터 보내진 코드를,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코드 표시 화면으로서 표시부에 표시한다(S250). 코드 표시 화면에는, 점원이 이용자에게 전달한 코드 식별 정보와,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가 적어도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가, 코드 표시 화면을 점원에게 보여주는 등 하여 코드를 제시하거나, 혹은, 거기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를 이용자가 점원에게 전달하면, 점원은, 음식점 내의 시계 등으로 시각을 확인한다. 그리고, 코드표 중에서, 코드 캘린더를 참조하여, 그 날에 사용하는 페이지의 코드북을 연다. 그리고, 그 코드북에 시간대별로 기재되어 있는 코드 중에, 전달된 코드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전달된 코드가 있으면, 정상적인 결제 등의 처리가 행해졌다고 판단하고, 이용자가 포인트나 전자 화폐 등으로 결제한 만큼을 감액하는 등 하여 회계 처리를 행한다. 한편, 전달된 코드가 없으면, 위장된 화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이용자에게 결제 등에 대하여 확인을 요구한다.
코드표를 음식점별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20)는, 음식점별 코드표를 생성한다. 음식점별 코드표로서는, 코드 캘린더의 페이지수 및 코드북의 코드(난수)의 쌍방이 상이한 경우여도 되고, 코드 캘린더의 페이지수만, 또는 코드북의 코드만이 음식점별로 상이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코드 캘린더의 페이지수만이 상이하면 좋다. 코드북의 코드를 음식점별로 변경하는 것보다, 코드 캘린더의 페이지수를 음식점별로 변경하는 편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코드표 기억부(22)에서는, 음식점을 식별하는 정보와 함께 코드표를 기억한다.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3)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처리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코드표를 종이 매체로 음식점에 보내는 경우에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인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시설이 음식점인 경우에는, 음식점에 컴퓨터 등의 시설측 단말(4)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2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조합하여, 인증 처리 서버는, 코드표 전송 처리부 및 코드표 출력 처리부의 양쪽 모두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당해 인증 처리 서버에 의하여, 시설측 단말(4)을 이용하는 음식점에는 전자적인 코드표를, 시설측 단말(4)을 이용하지 않는 음식점에는 종이 매체의 코드표를 각각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인증 처리 시스템(1 및 10)이 구비하는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기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등의 컴퓨터에 의하여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가반형 통신 단말(3)에 있어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인증 처리 서버(2) 등의 서버로부터 가반형 통신 단말(3)에 다운로드에 의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인증 처리 시스템(1 및 10)을 이용함으로써, 점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간단히 화면의 위장을 판정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 치환, 및 수정을 이것에 더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시켜도 되는 것을 이해해주길 바란다.
1, 10 인증 처리 시스템
2 인증 처리 서버
3 가반형 통신 단말
4 시설측 단말
20 코드표 생성 처리부
21 코드표 전송 처리부
22 코드표 기억부
23 시계 처리부
24 이용자 처리부
25 코드표 출력 처리부
70 연산 장치
71 기억 장치
72 표시 장치
73 입력 장치
74 통신 장치

Claims (21)

  1. 시설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 및 인증 처리 서버를 갖고, 시설의 이용자가 그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증 처리 서버는,
    시간대별로 복수 존재하는 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인 복수의 코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코드 식별 정보의 각각에 시간대별로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는 코드표를 생성하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와,
    상기 코드표 생성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코드표를 기억하는 코드표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계 처리부와,
    상기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코드표 기억부에 기억된 코드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코드를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코드를 상기 가반형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이용자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반형 통신 단말은, 상기 인증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드에 근거하여 상기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반형 통신 단말은, 상기 코드 식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갖는, 인증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 서버는, 상기 코드표를 시설에 배치된 시설측 단말에 전송하는 코드표 전송 처리부를 더 갖는, 인증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시설에 배치된 시설측 단말을 더 갖고,
    상기 시설측 단말은,
    상기 인증 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코드표를 기억하는 시설측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설측 시계 처리부와,
    상기 시설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코드표로부터, 상기 시설측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한 소정의 시간대의 상기 코드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대는, 현재의 시간대와, 상기 현재의 시간대의 전후 시간대를 포함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 서버는, 상기 코드표를 종이 매체로서 출력하는 코드표 출력 처리부를 더 갖는, 인증 처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드표 출력 처리부는, 상기 코드표를 종이 매체의 코드 캘린더 및 코드북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코드 캘린더는, 날짜와 페이지 번호를 대응지으며,
    상기 코드북은, 페이지별로 시간대와 상기 코드를 대응짓고 있는,
    인증 처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드 캘린더는, 시설별로 상기 날짜와 상기 페이지 번호의 대응이 상이한, 인증 처리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은, 시설별로 상기 시간대와 상기 코드의 대응이 상이한, 인증 처리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드표 생성 처리부는, 시설별로 상기 코드를 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코드표를 생성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드표 생성 처리부는, 소정 기간별로 상기 코드를 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코드표를 생성하는, 인증 처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월, 주, 일, 또는 시간인, 인증 처리 시스템.
  13. 시설의 이용자가 그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처리 서버로서,
    시간대별로 복수 존재하는 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인 복수의 코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코드 식별 정보의 각각에 소정의 시간대별로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는 코드표를 생성하는 코드표 생성 처리부와,
    상기 코드표 생성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코드표를 기억하는 코드표 기억부와,
    시계 기능을 갖는 시계 처리부와,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코드표 기억부에 기억된 코드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코드를 가반형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이용자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처리 서버.
  14. 인증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시설의 이용자가 그 시설의 종업원에게 제시하는 화면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방법으로서,
    코드표 생성 처리부에서, 시간대별로 복수 존재하는 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인 복수의 코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코드 식별 정보의 각각에 소정의 시간대별로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는 코드표를 생성하는 단계와,
    코드표 기억부에서, 상기 코드표 생성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코드표를 기억하는 단계와,
    이용자 처리부에서,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반형 통신 단말로부터 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시계 기능을 갖는 시계 처리부에 있어서의 일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코드표 기억부에 기억된 코드표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코드를 가반형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7020943A 2014-02-05 2015-02-05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 KR101905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9993 2014-02-05
JP2014019993A JP6270517B2 (ja) 2014-02-05 2014-02-05 認証処理システム,認証処理サーバ及び認証処理方法
PCT/JP2015/053253 WO2015119200A1 (ja) 2014-02-05 2015-02-05 認証処理システム及び認証処理サ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061A KR20160104061A (ko) 2016-09-02
KR101905284B1 true KR101905284B1 (ko) 2018-10-05

Family

ID=5377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943A KR101905284B1 (ko) 2014-02-05 2015-02-05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78129A1 (ko)
EP (1) EP3104322A4 (ko)
JP (1) JP6270517B2 (ko)
KR (1) KR101905284B1 (ko)
CN (1) CN106164960B (ko)
WO (1) WO2015119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0850B (zh) * 2018-10-24 2022-05-03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认证系统、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9733A (ja) 2006-06-29 2008-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料金収受システム、駐車管理装置、及び車載器
JP2009282759A (ja) * 2008-05-22 2009-12-03 Rakuten Inc チケット情報生成装置、チケット情報生成方法、チケット情報生成処理プログラム及びチケット情報生成システム
JP2013218489A (ja) * 2012-04-06 2013-10-24 Akimichi Kume 識別子(id)を使用しないで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のみを用いて行う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286A (ja) * 1995-03-14 1996-09-27 Omron Corp 電子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004326348A (ja) * 2003-04-23 2004-11-18 Nec Soft Ltd 携帯端末を利用したプリペイド型電子マネー決済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9056897A1 (en) * 2007-10-30 2009-05-07 Telecom Italia S.P.A Method of authentication of users in data processing systems
US20100268649A1 (en) * 2009-04-17 2010-10-21 Johan Roos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icket Processing
US20110302017A1 (en) * 2009-12-06 2011-12-08 Juan Marti Mobile Coupon Redemption System
CN102130909A (zh) * 2011-02-22 2011-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及系统
CN102594806B (zh) * 2012-01-31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验证方法和广告投放服务器
CN102857496A (zh) * 2012-08-10 2013-01-0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网络信息验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9733A (ja) 2006-06-29 2008-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料金収受システム、駐車管理装置、及び車載器
KR101024778B1 (ko) * 2006-06-29 2011-03-2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요금 징수 장치 및 요금 징수 시스템
JP2009282759A (ja) * 2008-05-22 2009-12-03 Rakuten Inc チケット情報生成装置、チケット情報生成方法、チケット情報生成処理プログラム及びチケット情報生成システム
JP2013218489A (ja) * 2012-04-06 2013-10-24 Akimichi Kume 識別子(id)を使用しないで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のみを用いて行う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4960B (zh) 2020-01-21
WO2015119200A1 (ja) 2015-08-13
JP6270517B2 (ja) 2018-01-31
EP3104322A1 (en) 2016-12-14
US20170178129A1 (en) 2017-06-22
JP2015148862A (ja) 2015-08-20
CN106164960A (zh) 2016-11-23
EP3104322A4 (en) 2017-10-25
KR20160104061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9107A1 (en) Invo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025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electronic data records
US11062320B2 (en) User account controls for online transactions
CN113222555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JP69240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74451A1 (en) User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521192B2 (en) Settlement system, user terminal and method executed thereby, settlement device and method executed thereby, and program
US20150161589A1 (en) Tipping an individual using a smart phone
US9769171B2 (en) Management apparatus, membership managing metho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mbership managing system
CN109785023A (zh) 一种电子发票交付方法及系统
JP5342335B2 (ja) アフィリエイトサーバ
KR101905284B1 (ko) 인증 처리 시스템 및 인증 처리 서버
JP6914064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A3218682A1 (en) Modifying a document objec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to present a temporary credential
JP2015084166A (ja) レシート情報生成装置、レシート情報生成方法およびレシート情報生成システム
CA31983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mporary voucher sharing
JP691290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64446B2 (ja) レシート情報生成装置、レシート情報生成方法およびレシート情報生成システム
JP2020098605A (ja) 慶弔金管理装置、慶弔金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44231A1 (en) Attempt assistance system
JP2019192296A (ja) レシート情報生成装置、レシート情報生成方法およびレシート情報生成システム
JP6689357B1 (ja) 慶弔金管理装置、慶弔金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002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61104B1 (ja) 管理装置、商品管理システム、商品管理方法、及び商品管理プログラム
JP2007257159A (ja) 会員カード発行システム、会員カード発行サーバ、及び会員カード発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