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057B1 -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057B1
KR101905057B1 KR1020147033469A KR20147033469A KR101905057B1 KR 101905057 B1 KR101905057 B1 KR 101905057B1 KR 1020147033469 A KR1020147033469 A KR 1020147033469A KR 20147033469 A KR20147033469 A KR 20147033469A KR 101905057 B1 KR101905057 B1 KR 10190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field
wireless communication
bit
control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682A (ko
Inventor
민영 박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로직은 확인응답(ACK) 정책 필드를 갖는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로직은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 내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필드로서 ACK 정책 필드를 포함하기 위해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로직은 트렁케이트되고 재정의된 유형 필드를 갖는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 및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의 도입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새로운 ACK 정책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 있다. 로직은 현재 짧은 프레임 포맷에 관련하여 재정의된 프레임 제어 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 포맷을 구현할 수도 있다. 로직은 짧은 프레임 포맷의 실용성을 증가시키고 상이한 디자인 및 상이한 판매자로부터의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 호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멀 ACK, 블록 ACK 및 노 ACK와 같은 하나 초과의 ACK 정책을 포함하기 위한 ACK 정책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RRANGEMENTS TO SIGNAL AN ACKNOWLEDGEMENT POLICY IN A SHORT FRAME}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무선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분야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리학적으로 이종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 정보의 양방향성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설계 트레이드오프(design tradeoff)는 소정량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제어 정보의 양과 데이터 정보를 균형화(balancing)하는 것이다. 때때로 오버헤드(overhead)라 칭하는 제어 정보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용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균형은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의 더 많은 제어 정보의 포함과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의 더 적은 정보의 포함 사이에서 결정된다. 균형을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팩터는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의도된 사용량에 있다. 몇몇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의 일부는 전력 소스, 고속 데이터 전송율, 및 증가된 오버헤드로부터 몇몇 이익을 성취하기 위해 증가된 오버헤드를 향해 균형을 푸시할 수 있는 다른 적당한 환경적 팩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고, 낮은 데이터 전송율을 갖고, 가능하게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감소된 오버헤드를 향해 균형을 푸시하는 다른 환경적 팩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정보의 감소는 양방향성 시그널링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유발할 수도 있다. 제어 정보의 감소는 이러한 관리 특징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잠재적으로 비신뢰적인 통신을 유발한다.
도 1은 다수의 고정식 또는 이동식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a는 짧은 프레임(short frame) 포맷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짧은 프레임 포맷의 프레임 제어 분야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 정책 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하고, 수신하고, 디코딩하고, 해석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흐름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과의 통신을 전송하고, 수신하고, 디코딩하고, 해석하기 위한 흐름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신규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다. 그러나, 제공된 상세의 양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예측된 변형예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고, 대조적으로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시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등가물 및 대안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을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일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다양한 실시예" 등은 이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반드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문 "일 실시예에서"의 반복된 사용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럴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달리 설명되지 않으면, 공통의 물체를 설명하기 위한 서수사 "제 1", "제 2", "제 3" 등의 사용은, 단지 유사한 물체의 상이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와 같이 설명된 물체들이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서열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소정의 순서에 있어야 하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짧은 프레임은 통신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통신과 연관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ah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헤더의 존재하는 필드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MAC 헤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정의한다. 다수의 실시예는 존재하는 MAC 헤더 내의 오버헤드 감소로 인해 상당히 유리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IEEE 802.11ah 시스템을 위한 1 메가헤르츠(MHz) 채널 대역폭을 구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최저 데이터 전송율은 대략 6.5 초당 메가비트(Mbps)를 20으로 나눈 = 325 초당 킬로비트(Kbps)일 수 있다. 2회 반복 코딩이 사용되면, 최저 데이터 전송율은 162.5 Kbps로 저하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최저 PHY 레이트가 비콘(beacon) 및 제어 프레임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율을 낮추는 것은 전송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는 패킷을 전송하는데 훨씬 더 긴 시간을 소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토콜의 효율은 패킷의 MAC 헤더를 짧은 MAC 헤더가 되도록 감소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는데, 이는 소형 배터리-전력식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센서)가 예를 들어 매우 저전력 소비를 갖고 인터넷에 접속된 Wi-Fi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EEE 802.11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나, MAC 헤더(도시 생략)는 특히 더 짧은 페이로드 또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에 대해 상당한 오버헤드를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 시스템은 보안 없이 30 내지 36개의 옥텟(octet)을 포함하는 MAC 헤더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센서 및 산업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트래픽과 같은 짧은-패킷 용례에서 비효율적이다.
IEEE 802.11ah는 MAC 헤드의 현존하는 필드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MAC 헤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레임 포맷을 정의한다.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MAC 헤더를 단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디바이스를 위한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짧은 MAC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제거된 필드들 중 하나는 통상적으로 노멀 MAC 프레임 포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제어 필드의 부분인 확인응답 정책 필드이다.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특정 확인응답 정책이 소정의 접속,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노멀 확인응답(normal ACK) 방안, 블록(block) ACK 방안 또는 전혀 노(no) ACK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짧은 MAC 프레임 포맷에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의 결여는 특히 QoS 용례에 대한 비신뢰적인 통신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ACK 정책 필드의 결여는 하나 초과의 ACK 정책이 유용한 상황에서 낮은 오버헤드 짧은 프레임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능력을 유효하게 제한할 수도 있고 또는 단지 짧은 프레임만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이 하나 초과의 ACK 정책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통신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IEEE 802.11ah 시스템의 짧은 MAC 프레임 포맷과 같은, 단축된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WLAN 시스템에 대한 확인응답 정책을 신호하기 위한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이들 및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짧은 프레임에 확인응답 정책의 시그널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실시예들은 짧은 프레임을 결정하고,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고, 프레임이 짧은 프레임인 것을 통신하고, 수신 디바이스에서 짧은 프레임을 파싱(parsing)하고, 디코딩하고, 해석함으로써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의 시그널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코드와 같은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확인응답(ACK) 정책 필드를 갖는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필드로서 ACK 정책 필드를 포함하도록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을 정의할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예는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의 도입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현재 짧은 프레임 포맷에 대해 재정의된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FC) 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 포맷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의 현재 FC 필드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로서 사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비트를 보존하도록 재정의된다. 그 결과, 실시예들은 운영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감당성(affordability), 확장성(scalability), 모듈성(modularity), 확대성(extendibility) 또는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는 트렁케이트된(truncated) 및 재정의된 유형의 필드를 갖는 새로운 짧은 프레임 포맷 및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새로운 ACK 정책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예들은 짧은 프레임 포맷의 실용성을 증가시키고 상이한 디자인 및 상이한 판매자로부터의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 호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멀 ACK, 블록 ACK 및 노 ACK와 같은 하나 초과의 ACK 정책을 포함하도록 ACK 정책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제어(FC)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 및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 서브필드는 4 비트 필드로부터 2 비트 필드로 감소되고 현재 유형 서브필드 정보를 통신하는 방식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ah 시스템 짧은 프레임 내의 유형 서브필드는 데이터 프레임 비트 시퀀스 0000인 것으로서 프레임의 유형 또는 비트 시퀀스 0001을 갖는 관리 프레임을 통신할 수 있고, 현재 예비되어 있는(reserved) 예비된 비트 시퀀스 1111을 가질 수 있다. 나머지 비트 시퀀스들은 예비된다. 유형 서브필드는 ACK 정책에 대해 2개의 비트를 이용하도록 재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형 서브필드는 2개의 비트를 이용하도록 재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비트 시퀀스는 데이터 유형 프레임 00, 관리 유형 프레임 01, 예비된 프레임 10, 및 가능하게는 확장 프레임 또는 다른 예비된 프레임 11로서 정의되거나 이들을 식별하도록 재정의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4개의 상이한 정책을 정의하는 새로운 ACK 정책을 생성하도록 유형 서브필드로부터 재캡처된 2개의 비트와 같은 2 비트를 갖는 새로운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은 적어도 노멀 ACK, 블록 ACK 및 노 ACK를 제공하기 이한 2 비트 ACK 정책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들 부가의 ACK 정책의 포함은 다양한 판매자에 의해 설계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 비트 ACK 정책은 예를 들어 노멀 ACK, 노 ACK, 노 명시적 ACK, 및 블록 ACK를 포함하는 ACK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 비트 ACK 정책은 예를 들어 노멀 ACK 또는 암시적 ACK 비트 시퀀스 00, 노 ACK 비트 시퀀스 10, 노 명시적 ACK 또는 파워 세이브 멀티-폴(power save multi-poll: PSMP) ACK 비트 시퀀스 01, 및 비트 시퀀스 11을 갖는 블록 ACK를 포함하는 ACK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들은 짧은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트래픽 식별자(traffic identifier: TID) 서브필드 내의 프레임 서브필드를 구현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신을 위해 짧은 프레임 포맷에 ACK 정책의 결여 및 시스템 오버헤드와 연계된 상이한 기술적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기술적 문제점은 ACK 정책을 정의하기 위해 짧은 프레임 포맷에 이용 가능한 비트의 결여, 필드 내의 비트 재정의, 필드값 트렁케이팅 또는 압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것들과 같은 상이한 기술적 문제점들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실시예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을 위한 짧은 프레임 포맷의 ACK 정책의 결여 및 시스템 오버헤드를 처리하는 몇몇 실시예들은 ACK 정책 필드를 정의하기 위해 이용되도록 재정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를 결정하는 것과, 현재 정의된 기능성의 불필요한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를 재정의하는 것과, 짧은 프레임 포맷의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새로운 ACK 정책 서브필드를 정의하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기술적 수단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는 IEEE 802.11ah 시스템과 같은 IEEE 802.11 시스템 및 IEEE 802.11-2012, 정보 기술을 위한 IEEE 표준 - 시스템들 사이의 통신 및 정보 교환 - 근거리 및 도시권 통신망 - 특정 요구(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Specific requirements - Part 11: 무선 LAN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적 계층(PHY) 사양(http://standards.ieee.org/getieee802/download/ 802.11-2012/pdf)과 같은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시스템을 구현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특히 하나 이상의 IEEE 802.11 표준(때때로, "Wi-Fi" 또는 무선 충실도라 총칭함)을 구현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과 같은 WLAN을 위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개량된 확인응답 방안이 IEEE 802.11ah 통신 표준과 같은 WLAN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실시예들은 라우터, 스위치, 서버, 워크스테이션, 넷북, 모바일 디바이스(랩탑, 스마트폰, 태블릿 등), 뿐만 아니라 센서, 계기, 콘트롤, 기구, 모니터, 가전 등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P) 및/또는 AP 또는 스테이션(STA)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옥내 및/또는 옥외 "스마트" 그리드 및 센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은 특정 영역 내의 가정 또는 가정들을 위한 전기, 수도, 가스 및/또는 다른 공공 설비의 사용량을 계량하는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계량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이들 공공 설비의 사용량을 계량 스테이션으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에는 낙상 검출(fall detection), 알약병 모니터링, 체중 모니터링, 수면 무호흡, 혈당 레벨, 심장 리듬 등과 같은 환자의 활력 징후 및 건강관리 관련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가정 건강관리, 클리닉 또는 병원을 위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설계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IEEE 802.11n/ac 시스템에 제공된 디바이스들보다 훨씬 더 낮은 데이터 전송율 및 훨씬 더 낮은(초저)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로직, 모듈, 디바이스 및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 및/또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및/또는 코드는 기능성을 성취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프로세서, 상태 머신, 칩셋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은 이러한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Bluetooth
Figure 112014115380063-pct00001
,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무선 도시권 통신망(WMAN),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WPAN), 셀룰러 네트워크, 네트워크 내의 통신, 메시징 시스템, 및 스마트 디바이스들과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무선 실시예들은 단일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고, 반면 다른 실시예들은 다중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프로세서 및 무선파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은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송신기와 수신기의 모두에서 다중 안테나를 거쳐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채널의 사용이다.
본 개시 내용은 WLAN 관련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무선 광대역 통신망(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및 WWAN에 포함된 무선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관련된 3G 또는 4G 무선 표준(자손들 및 변형예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3G 또는 4G 무선 표준의 예는 이들의 개정, 자손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여, IEEE 802.16m 및 802.16p 표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장기 진화(LTE) 및 LTE-어드밴스드(LTE-A) 표준, 및 국제 모바일 통신 어드밴스드(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Advanced: IMT-ADV) 중 임의의 것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예들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GSM 진화를 위한 향상 데이터 전송율(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EDGE) 기술,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기술,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또는 WiMAX II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시스템 기술(예를 들어, CDMA2000 1xRTT, CDMA2000 EV-DO, CDMA EV-DV 등), 유럽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광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s: BRAN)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고성능 라디오 도시권 통신망(High Performance Radio Metropolitan Area Network: HIPERMAN) 기술, 무선 브로드밴드(Wireless Broadband: WiBro) 기술,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을 갖는 GSM(GSM/GPRS) 기술, 고속 하향링크 패킷 액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기술, 고속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High Speed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패킷 액세스(HSOPA) 기술, 고속 상향링크 패킷 액세스(HSUPA) 시스템 기술, LTE/시스템 아키텍처 전화(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의 3GPP Rel. 8-12 등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들은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의 일부는 특정 구성을 갖는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지만,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유사한 과제들 또는 문제점들을 갖는 다른 구성들로 유리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유선 라인이고 네트워크(1005)에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1010)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1010)는 네트워크(1005)를 거쳐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1030, 1050, 1055)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10)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30)는 센서,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 퍼스널 모바일 디바이스 등과 같은 저전력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1050, 1055)는 센서,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허브, 스위치, 라우터, 컴퓨터, 랩탑, 넷북,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또는 다른 무선-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010)는 가정의 이웃 내의 물 소비를 위한 계량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웃 내의 가정들의 각각은 통신 디바이스(1030)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1030)는 수도 계량기 사용량 계기와 일체화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초기에, 통신 디바이스(1030)는 전송을 위한 짧은 프레임(1034)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030)의 프레임 빌더(1033)는 통신 디바이스(1030)의 메모리(1031) 내의 짧은 프레임 구조(1032)에 기초하여 짧은 프레임(1034)을 생성하거나 선택할 수도 있다.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계층 로직(1038)은 짧은 프레임(1034)을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 계층(PHY) 로직(1039)과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PHY 로직(1039)은 프레임이 짧은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비트를 갖는 프리앰블(preamble)을 생성할 수 있다.
짧은 프레임(1034)은 짧은 프레임(1034) 내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때때로 필드라 칭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짧은 프레임(1034)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 내의 관리 서브유형과 같은 특정 서브 유형의 값에 의해 관리 또는 데이터 프레임 유형으로서 식별된 짧은 MAC 헤더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1034)의 프레임 유형은 확장 프레임과 같은 예비된 필드값을 갖고 정의된 새로운 프레임 유형과 같은 상이한 프레임일 수도 있다. 그 후에, 통신 디바이스(1030)는 통신 디바이스(1010)와 연계하도록 짧은 연계 요청 프레임과 같은 짧은 프레임(1034)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10)는 패킷의 형태의 짧은 프레임(1014)을 수신할 수 있다. 패킷은 짧은 프레임(1014), 몇몇 실시예에서 프리앰블(1016)에 의해 프리펜딩된(prepended) 하나 이상의 부가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PHY 로직(1029)은 짧은 프레임(1014)을 결정하기 위해 프리앰블(1016)을 디코딩하고, 짧은 프레임(1014)을 MAC 하위계층 로직(1018)에 전송할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1018)은 메모리(1010) 내이 짧은 프레임 구조(1012)에 기초하여 짧은 프레임(1014)을 파싱하고, 통신 디바이스(1030)가 연계를 요청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필드값을 해석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10)는 통신 디바이스(1010)와 통신 디바이스(1030)를 연계하도록 짧은 연계 응답 프레임과 같은 짧은 관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일단 통신 디바이스(1030)가 통신 디바이스(1010)와 연계되면, 통신 디바이스(1030)는 짧은 데이터 프레임을 통신 디바이스(1010)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10)는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제어 필드의 유형 서브필드 내에 2개의 비트 및 ACK 정책을 나타내는 값을 갖는 짧은 데이터 프레임(1034) 내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ACK 정책 서브필드 내의 2개의 비트를 갖는 짧은 데이터 프레임(103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030)는 짧은 프레임(1033)이 데이터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유형 서브필드 내에 00의 값을 삽입하고, 짧은 데이터 프레임(1034)에 대한 ACK 정책이 노멀 또는 암시적 블록 ACK 정책이라는 것을 통신 디바이스(1010)에 나타내기 위해 ACK 정책 서브필드 내에 00의 값을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상황에, 통신 디바이스(1030)는 노 ACK의 ACK 정책을 나타내기 위해 ACK 정책 서브필드에 10의 값을, 노 명시적 ACK 또는 파워 세이브 멀티-폴(PSMP) ACK를 나타내기 위해 01의 값을, 또는 블록 ACK 정책을 나타내기 위해 11의 값을 삽입할 수 있다.
짧은 데이터 프레임에 응답하여, 통신 디바이스(1010)는 짧은 데이터 프레임(1014)의 수신에 응답하여 ACK로 응답할 수 있다. 더욱이, 통신 디바이스(1030)는 또한 수도 사용량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계량 스테이션의 통신 디바이스(1010)로부터 짧은 비콘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비콘 프레임은 통신 디바이스(1010)가 통신 디바이스(1030)를 위한 버퍼링 데이터인 것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10)는 데이터 오프로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센서인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계량 스테이션으로의 액세스를 대기하는데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대역폭의 이용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예를 들어 Wi-Fi, 다른 통신 디바이스,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거쳐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오프로딩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계량 스테이션과 같은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1005)의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Wi-Fi, 다른 통신 디바이스,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거쳐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오프로딩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5)는 다수의 네트워크의 상호 접속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5)는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과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허브, 라우터 또는 스위치를 거쳐 유선 또는 무선 상호 접속된 로컬 디바이스를 상호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05)는 통신 디바이스(1010, 1030, 1050, 1055)에 통신적으로 결합한다.
통신 디바이스(1010, 1030)는 프로세서(들)(1001, 1002), 메모리(1011, 1031), 및 MAC 하위계층 로직(1018, 1038)을 각각 포함한다. 프로세서(들)(1001, 100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과 같은 임의의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1, 1031)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버퍼, 레지스터, 캐시,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상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1, 1031)는 짧은 프레임 및/또는 짧은 프레임 구조와 같은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1011, 1031)는 그 짧은 MAC 헤더 또는 부분과 같은 짧은 프레임 헤더를 저장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은 IEEE 802.11에 식별된 표준 프레임 구조들의 구조에 기초하여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기간 필드 및 서비스 품질(QoS) 필드와 같은 생략되었던 하나 이상의 필드 및 필드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제외하고 표준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짧은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짧은 프레임 구조는 MAC 헤더 내에 포함된 필드의 수 또는 유형 및/또는 필드의 크기에 있어서 표준 프레임 구조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짧은 프레임 내에서, 헤더 내의 하나 이상의 또는 심지어 모든 필드가 트렁케이트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유형 필드는 2개의 비트로 감소되고, 서브유형 필드는 생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토콜 필드가 포함되고 표준 MAC 헤더 내의 대응 프로토콜 필드와 동일한 크기이다.
도 1a는 표준 프레임의 필드의 일부를 생략하고 짧은 프레임(1060) 내의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이 트렁케이팅되거나 압축되는 짧은 프레임(1060)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은 MAC 헤더(1061)에 이어서 프레임 바디 필드(1084)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필드(1086)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 필드(1084)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084)는 표준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와 같은 제로 내지 2312개의 옥텟과 같은 가변 수의 옥텟일 수 있고, 데이터 요소, 제어 요소, 또는 파라미터 및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FCS 필드(1086)는 표준 프레임과 같은 4개의 옥텟일 수 있고, 에러 검출 및 보정을 위해 짧은 프레임에 추가된 여분이 체크섬 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MAC 헤더(1061)는 프레임 제어 필드(1062), 어드레스(ADDR) 필드(1074), ADDR 필드(1076), 시퀀스 제어(SEQ CTL) 필드(1080), ADDR 필드(1078), 및 ADDR 필드(108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제어 필드(1062)는 표준 프레임과 같은 2개의 옥텟일 수 있고, 관리 유형 및 비콘 서브유형과 같은 프레임의 유형 및 서브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필드 ADDR(1076), ADDR(1078), 시퀀스 제어(1080), ADDR(1082) 및 프레임 바디(1084) 중 하나 이상은 단지 표준 프레임에 대해 해당하는 바와 같이 짧은 프레임의 특정 프레임 유형 및 서브유형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은 대응 표준 프레임의 필드와 관련하여 트렁케이팅된 또는 압축된 포맷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필드 및/또는 이들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제어 필드(1062)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1064), 유형 필드(1066), 다른 프레임 제어 비트(1070), 및 ACK 정책 필드(106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버전 필드(1064)는 2 비트의 길이(B0-B1)일 수 있다. 프로토콜 버전 필드(1064)의 값은 프레임이 표현하는 대응 표준의 개정을 표현할 수 있다. 유형 필드(1066)는 2 비트의 길이(B2-B3)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관리 프레임 또는 데이터 프레임과 같은 짧은 프레임(1060)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ACK 정책 필드(1068)는 2 비트의 길이(B14-B15)일 수 있고, 노멀 ACK, 노 ACK 및 블록 ACK와 같은 이용 가능한 ACK 정책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비트(1070)가 부가의 프레임 제어 필드 파라미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짧은 프레임(1060)은 짧은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다른 짧은 프레임은 상이하게 배열된 또는 전술된 필드의 일부를 포함하거나 생략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짧은 프레임 포맷(1060)에 적합한 프레임 제어 필드(1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제어 필드(400)는 2개의 비트(B0-B1)를 갖는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1104), 2개의 비트(B2-B3)를 갖는 유형 서브필드(1106), 1개의 비트(B4)를 갖는 프롬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서브필드(1108), 1개의 비트(B5)를 갖는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1110), 1개의 비트(B6)를 갖는 전력 관리 서브필드(1112), 1개의 비트(B7)를 갖는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1114), 1개의 비트(B8)를 갖는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1116), 1개의 비트(B9)를 갖는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1118), 1개의 비트(B10)를 갖는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1120), 3개의 비트(B11-B13)를 갖는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1122), 및 2개의 비트(B14-B15)를 갖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1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필드들 및 필드 크기는 예시적이고, 프레임 제어 필드(1100)의 소정의 구현예는 상이한 필드 및 필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제어 필드(1100)는 IEEE 802.11ah에 정의된 현재의 짧은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로부터 2개의 상당한 차이를 갖는다. 첫째로, 프레임 제어 필드(1100)의 유형 서브필드(1106)는 2 비트 길이이고, 반면에 IEEE 802.11ah에 정의된 현재 짧은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유형 서브필드는 4 비트 길이이다. 둘째로, IEEE 802.11ah에 정의된 현재 짧은 프레임의 유형 서브필드의 릴리즈된 2개의 비트는 프레임 제어 필드(1100)의 새로운 확인응답 서브필드(1124)에 재할당된다.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1124)는 확인응답 정책 정보를 짧은 MAC 프레임 포맷(160)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1124)는 특정 확인응답 정책이 예를 들어 IEEE 802.11ah WLAN 시스템과 같은 WLAN 시스템을 위한 소정의 접속,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통상적인 확인응답(ACK) 방식 또는 블록 ACK 방식을 사용하거나 ACK 방식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확인응답 정책 필드 정의는 자손, 개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IEEE 802.11 시리즈의 표준 또는 심지어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1124)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짧은 MAC 프레임 포맷(1060) 내의 확인응답 정책 필드의 존재는 특히 QoS 용례를 위해 더 신뢰적인 통신을 유도할 수 있다. 짧은 프레임을 위한 다른 프레임 제어 필드는 상이하게 배열되고 전술된 필드의 일부를 포함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MAC 하위계층 로직(1018, 1038)은 통신 디바이스(1010, 1030)의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하위계층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1018, 1038)은 짧은 관리 프레임, 짧은 데이터 프레임, 그리고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제어 프레임과 같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이들 프레임이 짧은 프레임(1014, 1034)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PHY 로직(1029, 1039)과 통신할 수 있다. PHY 로직(1029, 1039)은 짧은 프레임(1014, 1034)에 기초하여 물리적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레임 빌더(1013, 1033)는 짧은 프레임(1014, 1034)을 생성할 수 있고, PHY 로직(1029, 1039)의 데이터 유닛 빌더(1015, 1035)는 송수신기(RX/TX)(1020, 1040)와 같은 물리적 계층 디바이스를 거쳐 전송을 위해 PPDU를 생성하도록 프리앰블(1016, 1036)로 짧은 프레임(1014, 1034)을 프리펜딩할 수 있다.
MAC 계층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이라 또한 칭하는 짧은 프레임(1014)은 예를 들어 관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빌더(1013)는 통신 디바이스(1030)로의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지원된 데이터 전송율, 전력 절약 특징부, 교차 지원, 및 서비스 세트 식별(SSID)과 같은 능력을 갖는 것으로서 통신 디바이스(1010)를 식별하기 위해 짧은 비콘 프레임과 같은 관리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10, 1030, 1050, 1055)는 송수신기(RX/TX)(1020, 1040)와 같은 송수신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020, 1040)는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1022, 1042)을 구현한다. OFDM(1022, 1042)은 다중 캐리어 주파수 상에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OFDM(1022, 1042)은 디지털 멀티-캐리어 변조 방법으로서 사용된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 방안을 포함한다. 다수의 밀접하게 이격된 직교 서브캐리어 신호가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는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1개씩 다수의 평행 데이터 스트림 또는 채널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낮은 심벌 레이트에서 변조 방안으로 변조되어, 동일한 대역폭에서 통상의 단일-캐리어 변조 방안에 유사한 총 데이터 전송율을 유지한다.
OFDM 시스템은 데이터, 파일럿, 가드 및 널링을 포함하는 기능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 또는 "톤(tone)"을 사용한다. 데이터톤은 채널들 중 하나를 거쳐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파일럿톤은 채널을 유지하는데 사용되고, 시간/주파수 및 채널 트래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드톤은 스펙트럼 마스크로의 신호 합치를 도울 수 있다. 직류 성분(DC)의 널링은 직접 변환 수신기 디자인을 간단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드 간격은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을 회피하기 위해 전송 중에 송신기의 프론트 엔드에서 짧은 트레이닝 필드(short training field: STF)와 긴 트레이닝 필드(long training field: LTF) 심벌 사이 뿐만 아니라 모든 OFDM 심벌 사이와 같은 심벌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는 다중-경로 왜곡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1020, 1040)는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를 포함하는 라디오(1025, 1045)를 포함한다. RF 송신기는 전자기 방사선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서브캐리어라 또한 칭하는 RF 주파수 상에 톤으로 인코딩된 OFDM 심벌인 디지털 데이터를 각인하는(impress) OFDM(10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OFDM(1022)은 전송을 위해 서브캐리어 상에 톤으로 인코딩된 OFDM 심벌로서 디지털 데이터를 각인할 수 있다. OFDM(1022)은 정보 신호들을 라디오(1025, 1045)를 거쳐 안테나 어레이(1024)의 요소에 인가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RF 수신기는 RF 주파수에서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OFDM 심벌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10)는 선택적으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디지털 빔 성형기(Digital Beam Former: DBF)(1023)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DBF(1023)는 OFDM(1022)의 부분일 수 있다. DBF(1023)는 공간 필터링을 제공하고, 방향성 신호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안테나 어레이(1024)와 함께 사용된 신호 프로세싱 기술이다. 이는 특정 각도에서 신호가 구조적 간섭을 경험하고 반면에 다른 신호들은 파괴적 간섭을 경험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위상화된 안테나 어레이(1024) 내의 요소들을 조합함으로써 성취된다. 빔 성형은 공간 선택도를 성취하기 위해 전송 엔드 및 수신 엔드의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024)는 개별적인 별도로 여기 가능한 안테나 요소의 어레이이다. 안테나 어레이(1024)의 요소에 인가된 신호는 안테나 어레이(1024)가 1개 내지 4개의 공간 채널을 방사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공간 채널은 통신 디바이스(1030, 1050, 1055) 중 하나 이상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유사하게, 통신 디바이스(1030))는 통신 디바이스(1010)로부터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1010)로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RX/TX)(104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RX/TX)(1040)는 안테나 어레이(1044) 및 선택적으로 DBF(10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예를 들어 4개의 공간 스트림을 갖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을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1010, 1030, 1050, 1055) 중 하나 이상이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Input, Single Output: SISO) 시스템,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Input, Multiple Output: SIMO) 시스템 및 다중 입력 단일 출력(Multiple-Input, Single Output: MISO)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일의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대안예에서, 도 1은 다중 안테나를 포함하고 다중-사용자 MIMO(MU-MIMO) 동작이 가능할 수 있는 송수신기를 도시하고 있을 수도 있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b와 관련하여 설명된 짧은 프레임과 같은 짧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하고, 수신하고, 해석하거나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계층 로직(201) 및 물리적 계층(PHY) 로직(202)과 결합된 송수신기(200)를 포함한다. MAC 하위계층 로직(201)은 짧은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고, 물리적 계층(PHY) 로직(202)은 송수신기(200)를 거쳐 전송하기 위해 프리앰블로, 또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이라 칭하는 프레임 또는 다중 프레임을 프리펜딩함으로써 PPDU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빌더는 관리, 제어 또는 데이터 프레임과 같은 프레임의 유형을 특정하는 유형 필드 및 프레임과 연계된 ACK 정책에 대한 ACK 정책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프레임은 송신 준비(Ready-To-Send) 또는 송신 준비 완료(Clear-To-Send)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프레임은 비콘, 프로브 요청/응답, 연계 요청/응답, 및 재연계 요청/응답 프레임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201)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짧은 프레임들 중 하나와 같은 프레임(MPDU)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빌더(202)를 포함할 수 있다. 짧은 프레임은 표준 프레임에 대해 트렁케이트되고/압축되거나 생략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렁케이트된/압축된 필드는 필드의 몇몇 비트가 짧은 프레임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짧은 프레임에 관련하는 정보가 적은 비트를 갖고 전달될 수 있고, 또는 제거된 비트에 의해 표현된 정보가 짧은 프레임으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표준 프레임 내의 대응 필드보다 적은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은 2 비트 길이인 유형 필드 및 2 비트 길이인 ACK 정책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K 정책 필드는 특정 ACK 정책이 소정의 접속,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노멀 확인응답 방안, 블록 ACK 방안 또는 전혀 노 ACK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짧은 프레임 구조, 필드값 및/또는 짧은 프레임은 통신 디바이스(1010)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 및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30)와 같은 스테이션에 의해 메모리(1012, 1032)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 빌더(202)는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정의된 짧은 MAC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MAC 하위계층 로직(201)은 PHY 로직(202)에 짧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PHY 로직(202)은 데이터 유닛 빌더(20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유닛 빌더(203)는 프레임이 짧은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비트 세트를 갖는 프리앰블을 결정할 수 있고, PHY 로직(202)이 PPDU를 생성하기 위해 프리앰블로 MPDU를 프리펜딩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유닛 빌더(203)는 목적지 통신 디바이스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선택된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다.
송수신기(200)는 수신기(204)와 송신기(206)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06)는 인코더(208), 변조기(210), OFDM(212), 및 DBF(2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06)의 인코더(208)는 예를 들어 2진 콘볼루션 코딩(binary convolution coding: BCC), 저밀도 패리티 검사 코딩(low density parity check coding: LDPC) 등과 같은 MAC 하위계층 로직(202)으로부터 전송을 위해 의도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코딩한다. 변조기(210)는 인코더(20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블록을 사인곡선의 이산 진폭의 대응 세트, 또는 사인곡선의 이산 위상의 세트, 또는 사인곡선의 주파수에 대한 이산 주파수 시프트의 세트로 맵핑함으로써 선택된 주파수의 사인곡선 상에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각인할 수 있다.
변조기(209)의 출력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모듈(212)로 공급된다. OFDM 모듈(212)은 공간-시간 블록 코딩(STBC) 모듈(211), 디지털 빔성형(DBF) 모듈(214), 및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STBC 모듈(211)은 하나 이상의 공간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기(209)로부터 성상점(constellation point)을 수신할 수 있고, 공간 스트림을 더 많은 수의 공간-시간 스트림(또한 데이터 스트림이라 칭함)으로 확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STBC를 생략할 수도 있다.
OFDM 모듈(212)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 상에 OFDM 심벌로서 형성된 변조된 데이터를 각인하거나 맵핑하여 따라서 OFDM 심벌이 서브캐리어 또는 톤을 갖고 인코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OFDM 심벌은 디지털 빔 성형(DBF) 모듈(214)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빔 성형은 안테나 요소의 어레이에 의해 수신되고 그로부터 전송된 신호 상에서 동작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모듈(215)은 OFDM 심벌 상에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을 수행할 수 있다. IFFT 모듈(215)의 출력은 송신기 프론트 엔드(240)에 입력할 수 있다. 송신기 프론트 엔드(240)는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 어레이(218)를 거쳐 전송을 위해 신호를 준비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244)를 갖는 라디오(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디오(242, 252)는 단일 캐리어 또는 멀티-캐리어 변조된 신호(예를 들어, 보수 코드 키잉(complementary code keying: CCK) 및/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벌)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기 위해 적용된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 오버-더-에어 인터페이스 또는 변조 방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디오(242, 252)는 예를 들어 수신기, 송신기 및/또는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242, 252)는 예를 들어 바이어스 제어부 및 크리스탈 발진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18)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디오(242)는 요구된 바와 같이 외부 전압-제어형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O), 표면 음파 필터,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필터 및/또는 RF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잠재적인 RF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기인하여, 그 광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는 더 높은 전달 주파수(carrying frequency)로 업컨버팅될 수 있고 또는 업컨버전과 일체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전송 전에 훨씬 더 높은 주파수로 신호를 시프트하는 것은 실용적인 차원의 안테나 어레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전송 주파수가 더 높을수록, 안테나가 더 소형일 수 있다. 따라서, 업컨버터는 파형의 중심 주파수와 사인곡선의 주파수의 합인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얻기 위해 사인곡선에 변조된 파형을 곱한다.
송수신기(200)는 안테나 어레이(218)에 접속된 듀플렉서(21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일 안테나 어레이는 전송 및 수신의 모두를 위해 사용된다. 전송시에, 신호가 듀플렉서(216)를 통해 통과하고, 업컨버팅된 정보-보유 신호로 안테나를 구동한다. 전송 중에, 듀플렉서(216)는 전송될 신호가 수신기(204)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신시에,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수신된 정보 보유 신호는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수신기(204)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듀플렉서(216)를 통해 통과한다. 듀플렉서(216)는 이어서 수신된 신호가 송신기(206)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듀플렉서(216)는 안테나 어레이 요소를 수신기(204)와 송신기(206)에 교대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안테나 어레이(218)는 정보 보유 신호를 수신기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전자기 에너지의 시간 가변 공간 분포로 방사한다. 수신기는 이어서 수신된 신호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200)는 안테나 어레이보다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204) 및 송신기(206)는 그 자신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00)는 정보 보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20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04)는 신호를 검출하고, 패킷의 시작의 검출하고, 캐리어 주파수를 제거하고, 저노이즈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254)를 갖는 라디오(252)를 거쳐 서브캐리어를 증폭하기 위한 수신기 프론트-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는 예를 들어, 1 MHz 캐리어 주파수 상에 32개의 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04)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모듈(219)을 포함할 수 있다. FFT 모듈(219)은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통신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수신기(204)는 OFDM 모듈(222), 복조기(224), 디인터리버(225), 및 디코더(226)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퀄라이저(258)는 OFDM 패킷을 위한 가중된 데이터 신호를 OFDM 모듈(222)에 출력할 수 있다. OFDM(222)은 정보-보유 통신 신호가 변조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로부터 OFDM 심벌로서 신호 정보를 추출한다.
OFDM 모듈(222)은 DBF 모듈(220), 및 STBC 모듈(22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이퀄라이저로부터 DBF 모듈(220)로 공급된다. DBF 모듈(220)은 수신기(204)를 향해 유도된 방향성 전송으로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TBC 모듈(221)은 공간-시간 스트림으로부터 공간 스트림으로 데이터 스트림을 변환할 수 있다.
복조기(224)는 공간 스트림을 복조한다. 복조는 복조된 공간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세스이다. 복조 방법은 그에 의해 정보가 수신된 캐리어 신호 상에 변조되고 이러한 정보는 통신 신호 내에 포함된 전송 벡터(TXVECTOR) 내에 포함되는 방법에 의존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변조가 BPSK이면, 복조는 위상 정보를 2진 시퀀스로 변환하기 위해 위상 검출을 수반한다. 복조는 정보의 비트의 시퀀스를 디인터리버(225)에 제공한다.
디인터리버(225)는 정보의 비트의 시퀀스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인터리버(225)는 메모리 내의 칼럼 내에 비트의 시퀀스를 저장하고, 열로 메모리로부터 비트를 제거하거나 출력하여 비트의 정보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디코더(226)는 복조기(224)로부터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정보, MPDU를 MAC 하위계층 로직(202)에 전송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송수신기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수많은 부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204)와 송신기(206)가 하나의 송수신기로서 패키징되는 대신에 별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의 실시예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기준 발진기, 필터링 회로, 동기화 회로,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 가능하게는 다중 주파수 변환 스테이지 및 다중 증폭 스테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기능의 일부는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빔 성형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과 통합될 수도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201)은 유형값 및 서브유형값을 결정함으로써 프레임의 특정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짧은 프레임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 내에 정의된 포맷에 기초하여 MPDU를 파싱할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201)은 이어서 MAC 헤더 내에 표시된 특정 유형 및 서브유형의 짧은 프레임을 위한 정의에 기초하여 MPDU의 나머지를 파싱하고 해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짧은 프레임이 짧은 관리 프레임이면, 프레임 바디는 전송의 소스 스테이션을 위한 통신 선호도를 위해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 바디는 소스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가 소스 스테이션을 대신하여 응답하는 것을 요청하는 트래픽과 같은 트래픽 선호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고, 짧은 프레임을 프리펜딩하기 위해 프리앰블을 생성하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고, 프레임이 MAC 하위계층 로직과 PHY 로직 사이의 통신을 거쳐 짧은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고, 짧은 프레임을 파싱하고 해석하기 위한 흐름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3a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흐름도(300)는 짧은 프레임을 위한 프레임 제어 필드를 결정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계층 로직으로 시작한다(요소 305). 몇몇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유형이 00과 같은 데이터 프레임 또는 01의 값과 같은 관리 프레임이고, 서브유형은 트래픽 식별자(TID) 필드에 100의 값과 같은 비콘인, 표준의 현재 개정판인 것으로 프로토콜 버전 필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ACK 정책을 결정하고, 노멀 ACK 또는 암시적 ACK를 나타내기 위한 00의 값, 노 명시적 ACK를 나타내기 위한 01의 값, 노 ACK를 나타내기 위한 10의 값, 또는 명시적 블록 ACK를 나타내기 위한 11의 값과 같은 ACK 정책 필드 내에 적절한 ACK 정책 필드를 삽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예를 들어 어드레스의 최하위 2개의 옥텟을 이용함으로써 트렁케이트된 어드레스값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트렁케이트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통신 디바이스를 수신함으로써 디코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값을 해싱하거나 값을 다른 방식으로 압축함으로써 트렁케이트된 또는 압축된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은 짧은 프레임의 나머지를 결정할 수 있다(요소 320). 예를 들어, MAC 하위계층 로직은 프레임 제어 필드의 나머지 및 TID 필드값, 모어 프래그먼트, 필드값, 전력 관리 필드값, 보호된 프레임 필드값, 모어 데이터 필드값 등과 같은 MAC 헤더의 나머지를 생성할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은 프레임 바디를 결정할 수 있다(요소 325). 다수의 실시예에서, 필드를 결정하는 것은 프레임 내에 포함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012)와 같은 저장 매체로부터 이들 필드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필드에 포함을 위한 값은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캐시, 버퍼, 레지스터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MAC 하위계층 로직, PHY 로직 내로 하드코딩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프레임 내로의 삽입을 위해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각각을 위한 값의 표시로의 액세스에 기초하여 짧은 비콘 프레임의 필드의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짧은 프레임의 다른 부분을 결정한 후에, MAC 하위계층 로직은 액세스 포인트에서 에러 보정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값(요소 335)을 결정할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이 짧은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는 동안 또는 후에, MAC 하위계층 로직은 또한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 계층(PHY) 로직과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프레임이 짧은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PHY 로직에 필드값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짧은 프레임을 수신하고, 디코딩하고, 파싱하고, 해석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흐름도(300)는 PHY 로직이 짧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통신을 수신하고, 짧은 프레임인 MAC 페이로드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을 디코딩하고,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MAC 하위계층 로직에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한다(요소 355). PHY 로직은 수신기 프론트 엔드에서 에너지 레벨의 검출에 의해 통신을 검출하고, 응답하여 수신 OFDM 패킷을 프로세싱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패킷을 프로세싱한 후에, PHY 계층 데이터는 제거될 수 있고, 짧은 프레임은 MAC 하위계층 로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은 페이로드로서 다수의 MAC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이들 MAC 프레임은 프레임이 디코딩될 때 동시에 프레임을 MAC 하위계층 로직에 전송될 수 있다.
PHY 로직으로부터 짧은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MAC 하위계층은 짧은 프레임으로부터 필드값을 파싱하고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드는 프레임 제어 필드일 수 있고, 제 1 서브필드는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일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은 프로토콜 버전 내의 값이 MAC 하위계층 로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와 호환가능하면 프로토콜 버전을 MAC 하위계층 로직에 의해 지원된 프로토콜 버전(들)과 비교함으로써 짧은 프레임의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를 파싱하고 해석한 후에, MAC 하위계층 로직은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유형 서브필드를 파싱하고 해석할 수 있다(요소 360). MAC 하위계층 로직은 MAC 하위계층 로직에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짧은 프레임 포맷의 필드 값을 갖는 프레임의 비트를 식별함으로써 짧은 프레임을 파싱할 수 있다. 유형 서브필드의 값을 검색할 때에, MAC 하위계층 로직은 짧은 프레임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이 값을 유형 서브필드에 대한 공지의 값에 비교함으로써 값을 해석할 수 있다.
유형 서브필드를 해석한 후에, MAC 하위계층 로직은 추가의 파싱을 위해 짧은 프레임 포맷을 더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따라서 MAC 하위계층 로직은 유사한 방식으로 짧은 프레임을 계속 파싱하고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하위계층 로직은 짧은 프레임의 수신시에 구현을 위해 적절한 ACK 정책을 결정하도록 ACK 정책 서브필드를 파싱하고 해석할 수 있다(요소 365). 다수의 실시예들은 3개 이상의 ACK 정책을 갖고, 다른 실시예는 3개 이항의 상이한 정책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MAC 하위계층 로직은 짧은 프레임 내의 필드 및 서브필드의 나머지를 계속 파싱하고 해석할 수 있다(요소 370).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짧은 프레임으로서 ACK 정책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ACK 정책 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과의 통신을 전송하고, 수신하고, 해석하기 위한 흐름도(400, 45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흐름도(400)는 프레임 빌더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MAC 하위계층 로직은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을 위한 관리 프레임으로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될 수 있는 패킷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유닛 빌더에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으로서 프레임을 통과시킬 수 있다. 데이터 유닛 빌더는 전송을 위해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형성하기 위해 PHY 서비스 데이터 유닛(PSDU)(프레임 빌더로부터의 MPDU)을 프리펜딩하기 위해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다(요소 405).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초과의 MPDU는 PPDU에 프리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정 MPDU 또는 모든 MPDU가 짧은 프레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PPDU는 이어서 도 2의 송신기(206) 또는 도 1의 수신기(1020, 1040)와 같은 물리적 계층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어, 따라서 PPDU가 통신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요소 410). 송신기는 이어서 안테나를 거쳐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요소 415).
도 4b를 참조하면, 흐름도(450)는 도 2의 수신기(204)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기가 안테나 어레이(218)의 안테나 요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를 거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요소 455). 수신기는 프리앰블에 기술된 프로세스에 따라 통신 신호를 MPDU로 변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수신된 신호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로부터 DBF(220)와 같은 DBF에 공급된다. DBF는 수신기를 향해 유도된 방향성 전송으로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DBF의 출력은 OFDM(222)과 같은 OFDM에 공급된다. OFDM은 정보-보유 신호가 변조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로부터 신호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에, 복조기(224)와 같은 복조기가 예를 들어, BPSK, 16-QAM, 64-QAM, 256-QAM, QPSK 또는 SQPSK를 거쳐 신호 정보를 복조한다. 그리고, 디코더(226)와 같은 디코더가 복조기로부터 예를 들어 BCC 또는 LDPC를 거쳐 신호 정보를 디코딩하여, MPDU를 추출하고(요소 460), MAC 하위계층 로직(202)과 같은 MAC 하위계층 로직에 MPDU를 전송한다(요소 465). PHY 로직은 또한 MPDU가 짧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MAC 하위계층 로직과 통신할 수 있다.
MAC 하위계층 로직은 도 1a 내지 도 1b의 짧은 프레임(1060) 필드 및 프레임 제어 필드(1100) 서브필드와 같은 MPDU로부터 짧은 프레임 필드값을 결정할 수 있다(요소 470). 예를 들어, MAC 하위계층 로직은 짧은 프레임의 ACK 정책 필드값과 같은 짧은 프레임 필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의 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속한다. 일 예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 -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로서, 유형 서브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유형 서브필드의 값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와; 프리앰블로 프레임을 프리펜딩하고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계층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물리적 계층 로직과 결합된 라디오 및 프리앰블에 의해 프리펜딩된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은 IEEE 802.11ah에 따른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은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세서가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동작 가능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방법은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로서, 유형 서브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유형 서브필드의 값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 및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결합된 메모리;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 -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로서, 유형 서브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유형 서브필드의 값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 및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라디오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은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은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해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메모리; 메모리와 결합되어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고 -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 짧은 프레임의 유형 서브필드 내의 값이 프레임 유형을 나타낸다고 결정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 내의 값이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고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직은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직은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직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세서가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동작 가능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방법은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의 값이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유형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 및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기 위해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 내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 중 하나의 확인응답 정책을 식별하기 위한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결합된 메모리; 메모리와 결합되어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고 -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짧은 프레임의 유형 서브필드 내의 값이 관리 프레임을 나타낸다고 결정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 내의 값이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로직; 매체 액세스 제어 로직과 결합된 라디오; 및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라디오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직은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직은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직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스테이션에 의해, 짧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짧은 프레임은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로서, 유형 서브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유형 서브필드의 값들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스테이션에 의해,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 -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의 값이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유형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 및 스테이션에 의해,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기 위해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단계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 내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의 확인응답 정책을 식별하기 위한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로서, 유형 서브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유형 서브필드의 값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와; 짧은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패킷을 해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짧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짧은 프레임은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고,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로서, 유형 서브필드는 짧은 프레임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고, 유형 서브필드의 값들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유형 서브필드; 및 확인응답 정책을 기술하기 위한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함 -;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수단 -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는 것은 짧은 프레임의 유형의 값이 관리 프레임을 나타낸다고 결정하기 위해 유형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것; 및 스테이션에 의해,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고 결정하기 위해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해석하는 것을 포함함 - 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수단은 IEEE 802.11ah에 따라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을 위해 정의된 구조를 갖는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를 갖는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수단은 짧은 프레임의 관리 유형의 서브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트래픽 식별자 서브필드를 해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짧은 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한 수단은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 내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3개의 상이한 확인응답 정책들 중 하나의 확인응답 정책을 식별하기 위한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해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에 그리고 청구범위에 설명된 특징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일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특징들이 어느 대안예가 구현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로직 또는 선택 가능한 선호도와 함께 실시예에서 대안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특징들을 갖는 몇몇 실시예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로직 또는 선택 가능한 선호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특징들은 회로 경로 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제조시에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특징들은 딥스위치(dipswitch) 등과 같은 로직 또는 선택 가능한 선호도를 거쳐 전개시에 또는 전개 후에 선택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선호도, e-퓨즈 등과 같은 선택 가능한 선호도를 거친 후에 사용자는 또 다른 특징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는 표준 MAC 헤더 크기와 관련하여 감소된 MAC 헤더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더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더 소형의 패킷 크기, 통신의 송신기측 및 수신기측의 모두 상의 적은 데이터 트래픽에 기인하는 더 낮은 전력 소비, 적은 트래픽 충돌, 패킷의 적은 지연 대기 전송 또는 수신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된다. 몇몇 실시예는 단지 하드웨어 실시예, 단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의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
더욱이, 실시예들은 컴퓨터 또는 임의의 명령어 실행 시스템에 의해 또는 이들과 관련하여 사용을 위해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는 컴퓨터-사용가능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또는 머신-액세스 가능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설명의 목적으로, 컴퓨터-사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들에 관련하여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또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반도체 또는 고체-상태 메모리, 자기 테이프, 이동식 컴퓨터 디스켓,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강성 자기 디스크, 및 광학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학 디스크의 현재 예는 콤팩트 디스크-판독 전용 메모리(CD-ROM), 콤팩트 디스크-판독/기록(CD-R/W) 및 DVD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그리고/또는 실행하기 위해 적합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메모리 요소에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것이다. 메모리 요소는 프로그램 코드의 실제 실행 중에 이용된 로컬 메모리, 벌크 저장 장치, 및 코드가 실행 중에 벌크 저장 장치로부터 검색되어야 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 코드의 일시적 저장을 제공하는 캐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로직은 집적 회로칩을 위한 디자인의 부분일 수도 있다. 칩 디자인은 그래픽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생성되고, 컴퓨터 저장 매체(디스크, 테이프, 물리적 하드 드라이브, 또는 저장 장치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와 같은 가상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내에 저장된다. 설계자가 칩 또는 칩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포토리소그래픽 마스크를 제조하지 않으면, 설계자는 물리적 수단(예를 들어, 디자인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의 사본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전자식으로(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최종 디자인을 이러한 엔티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한다. 저장된 디자인은 이어서 제조를 위해 적절한 포맷(예를 들어, GDSII)으로 변환된다.
최종적인 집적 회로칩은 원료 웨이퍼(raw wafer) 형태로(즉, 다수의 패키징되지 않은 칩을 갖는 단일 웨이퍼로서), 베어 다이(bare die)로서, 또는 패키징된 형태로 제조자에 의해 배포될 수 있다. 패키징된 형태의 경우에, 칩은 단일 칩 패키지(도선이 머더보드 또는 다른 더 상위 레벨 캐리어에 부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캐리어와 같은)에 또는 멀티칩 캐리어(표면 상호 접속부 또는 매립형 상호 접속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세라믹 캐리어와 같은)에 실장된다. 어느 경우든, 칩은 (a) 머더보드와 같은 중간 제품 또는 (b) 최종 제품의 부분으로서 다른 칩, 별개의 회로 요소, 및/또는 다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일체화된다.

Claims (36)

  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갖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되,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통신 표준의 개정에 따른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상기 통신 표준에 따른 다른 MAC 프레임 포맷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에 바로 이어서 제 1 어드레스 필드 및 제 2 어드레스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필드에 바로 이어서 시퀀스 제어 필드, 제 3 어드레스 필드, 제 4 어드레스 필드, 프레임 바디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외에 더 이상은 포함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사용할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정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K 정책은 노멀(normal) ACK 정책, 노(no) ACK 정책 또는 블록(block) ACK 정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FC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제어 필드, 상기 제 3 어드레스 필드, 상기 제 4 어드레스 필드, 및 상기 프레임 바디는 선택적인
    무선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MAC 헤더를 포함하되, 상기 MAC 헤더는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 상기 제 1 어드레스 필드 및 상기 제 2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MAC 헤더는 상기 시퀀스 제어 필드, 상기 제 3 어드레스 필드 및 상기 제 4 어드레스 필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 및 유형 서브필드를 표현하는 4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가변 크기이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드레스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2개의 옥텟(octet)을 포함하며,
    상기 시퀀스 제어 필드는 2개의 옥텟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는 4개의 옥텟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 및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의 조합을 위해 적어도 4 비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a from distribution system subfield),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a more fragments subfield), 전력 관리 서브필드,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a more data subfield),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a protected frame subfield),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an end of service period subfield),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a relayed frame subfield), 및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프리앰블로 프리펜딩하여(prepend) 전송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계층 로직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계층 로직과 연결된 라디오(a radio)와, 1 MHz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에 의해 프리펜딩되는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로직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무선 통신 장치로서,
    수신된 프레임 내의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정책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갖고,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통신 표준의 개정에 따른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상기 통신 표준에 따른 다른 MAC 프레임 포맷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에 바로 이어서 제 1 어드레스 필드 및 제 2 어드레스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필드에 바로 이어서 시퀀스 제어 필드, 제 3 어드레스 필드, 제 4 어드레스 필드, 프레임 바디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외에 더 이상은 포함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상기 ACK 정책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값을 가진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CK 정책은 노멀(normal) ACK 정책, 노(no) ACK 정책 또는 블록(block) ACK 정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가변 크기이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드레스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2개의 옥텟을 포함하며,
    상기 시퀀스 제어 필드는 2개의 옥텟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는 4개의 옥텟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 및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의 조합을 위해 적어도 4 비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a from distribution system subfield),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a more fragments subfield), 전력 관리 서브필드,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a more data subfield),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a protected frame subfield),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an end of service period subfield),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a relayed frame subfield), 및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라디오와,
    상기 라디오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1 비트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하나 이상의 비트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장치.
  23.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갖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통신 표준의 개정에 따른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상기 통신 표준에 따른 다른 MAC 프레임 포맷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에 바로 이어서 제 1 어드레스 필드 및 제 2 어드레스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필드에 바로 이어서 시퀀스 제어 필드, 제 3 어드레스 필드, 제 4 어드레스 필드, 프레임 바디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외에 더 이상은 포함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사용할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정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ACK 정책은 노멀(normal) ACK 정책, 노(no) ACK 정책 또는 블록(block) ACK 정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가변 크기이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드레스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2개의 옥텟을 포함하며,
    상기 시퀀스 제어 필드는 2개의 옥텟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는 4개의 옥텟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 및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의 조합을 위해 적어도 4 비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a from distribution system subfield),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a more fragments subfield), 전력 관리 서브필드,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a more data subfield),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a protected frame subfield),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an end of service period subfield),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a relayed frame subfield), 및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수신된 프레임 내의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정책을 프로세싱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갖고,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통신 표준의 개정에 따른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사전 정의된 값으로 설정된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은 상기 통신 표준에 따른 다른 MAC 프레임 포맷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에 바로 이어서 제 1 어드레스 필드 및 제 2 어드레스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필드에 바로 이어서 시퀀스 제어 필드, 제 3 어드레스 필드, 제 4 어드레스 필드, 프레임 바디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외에 더 이상은 포함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상기 ACK 정책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값을 가진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CK 정책은 노멀(normal) ACK 정책, 노(no) ACK 정책 또는 블록(block) ACK 정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가변 크기이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드레스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2개의 옥텟을 포함하며,
    상기 시퀀스 제어 필드는 2개의 옥텟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는 4개의 옥텟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 및 상기 확인응답 정책 서브필드의 조합을 위해 적어도 4 비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필드는,
    유형 서브필드,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a from distribution system subfield),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a more fragments subfield), 전력 관리 서브필드,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a more data subfield),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a protected frame subfield),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an end of service period subfield),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a relayed frame subfield), 및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버전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롬 분배 시스템(DS)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프래그먼트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어 데이터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기간 종료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된 프레임 서브필드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식별자(TID) 서브필드는 2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1 비트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하나 이상의 비트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2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47033469A 2013-05-07 2013-12-28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5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0512P 2013-05-07 2013-05-07
US61/820,512 2013-05-07
PCT/US2013/078159 WO2014182344A1 (en) 2013-05-07 2013-12-28 Methods and arrangements to signal an acknowledgement policy in a short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682A KR20150005682A (ko) 2015-01-14
KR101905057B1 true KR101905057B1 (ko) 2018-10-08

Family

ID=5186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469A KR101905057B1 (ko) 2013-05-07 2013-12-28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36701A1 (ko)
EP (1) EP2995058A4 (ko)
JP (1) JP2015528229A (ko)
KR (1) KR101905057B1 (ko)
CN (1) CN104396206B (ko)
RU (1) RU2599960C2 (ko)
WO (1) WO2014182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1154B (zh) 2011-09-29 2021-06-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实现mdt测量匿名汇报的方法
FR2991531A1 (fr) * 2012-06-05 2013-12-06 France Telecom Trames de controle de courte duree en couche physique
TWI720987B (zh) * 2015-06-02 2021-03-11 美商新樂康公司 用於上行與下行多使用者通訊協定資料單元之確認政策
WO2016196582A1 (en) 2015-06-02 2016-12-08 Newracom, Inc. Ack policy for uplink and downlink mu ppdu
US11758513B2 (en) * 2020-04-20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ith uplink message short data field
US11523301B2 (en) * 2020-04-20 2022-12-06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ith buffer status report
WO2021243520A1 (zh) * 2020-06-01 2021-1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确认ack反馈策略配置、ack反馈方法及装置、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951A (ja) * 2006-12-07 2012-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端末局、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2770B1 (en) * 2000-08-04 2008-04-01 Intellon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with priority and contention-free intervals
US7701975B1 (en) * 2003-11-19 2010-04-20 Marvell International Ltd. Technique for reducing physical layer (PHY) overhead in wireless LAN systems
JP4005974B2 (ja) * 2004-01-0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835617B (zh) * 2005-03-16 2010-12-22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台、移动通信系统和移动通信方法
US20070011554A1 (en) * 2005-06-27 2007-01-11 Intel Corporation Block acknowledgement request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0708204B1 (ko) * 2005-11-07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스테이션들간의 매체 접근에 대한 공정성을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
US7849214B2 (en) * 2006-12-04 2010-12-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cket receiving hardware apparatus for TCP offload engine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P1959693A1 (en) * 2007-02-19 2008-08-20 Siemens Networks S.p.A. Cross-layer error recovery optimisation in wireless systems
RU2478259C2 (ru) * 2008-06-26 2013-03-27 Томсон Лайсенсинг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оса подтверждения и передачи подтверждения групповых данных в беспроводных локальных сетях
US8943305B2 (en) * 2009-01-30 2015-0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ame structure for medium access in body area networks (BAN)
US9125181B2 (en) * 2011-08-2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headers
US9730102B2 (en) * 2012-02-17 2017-08-0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acket flows in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951A (ja) * 2006-12-07 2012-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端末局、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nyoung Park, "Specification Framework for TGah D13.x", IEEE 802.11-13/0354r0 (2013.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5058A1 (en) 2016-03-16
WO2014182344A1 (en) 2014-11-13
CN104396206B (zh) 2018-07-13
JP2015528229A (ja) 2015-09-24
RU2599960C2 (ru) 2016-10-20
US20160036701A1 (en) 2016-02-04
RU2014152250A (ru) 2016-07-20
KR20150005682A (ko) 2015-01-14
CN104396206A (zh) 2015-03-04
EP2995058A4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3656T3 (es) Procedimientos y aparatos para comunicar información de control de alta eficiencia
KR101905057B1 (ko) 짧은 프레임에서 확인응답 정책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JP6276253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制限アクセスウィンドウへの局割り当てを決定する方法及び構成
US88243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ormats
US201602775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ormats
US9258767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compress identification
US983851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raffic indication mapping in wireless networks
US201301212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ormats
US201301288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ormats
US9479246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acknowledge fragmented frames
US9456059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extension frames in wireless networks
US9743303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beamforming reports in wireless networks
US9526029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acket flows in wireless networks
US20150029933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raffic indication mapping in wireless networks
US9380492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enable short frames
US9307056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direct data frames
KR101880236B1 (ko) 서브프레임 포맷 표시 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