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617B1 -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617B1
KR101904617B1 KR1020160165720A KR20160165720A KR101904617B1 KR 101904617 B1 KR101904617 B1 KR 101904617B1 KR 1020160165720 A KR1020160165720 A KR 1020160165720A KR 20160165720 A KR20160165720 A KR 20160165720A KR 101904617 B1 KR101904617 B1 KR 10190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compressor
condensing
valv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198A (ko
Inventor
김욱중
이공훈
송찬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6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압축기에 연통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응축시키는 응축부; 응축부에 연통되며,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팽창시킴으로써 압력을 강하시키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에 연통되며, 상기 제1밸브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응축수액부; 및 응축수액부와 압축기에 각각 연통되며, 내부에 작동유체를 수용하며, 상기 응축수액부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를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와 혼합시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증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시험장치의 용량 및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시험의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시험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TESTING APPARATUS OF COMPRESSOR AND TEST METHOD OF COMPRES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사이클에서의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을 감소시켜 시험장치의 용량 및 크기를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를 이용한 냉동사이클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건물의 냉난방장치, 냉장고, 저온창고, 식품저장고 등이 있다. 이러한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소정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이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 이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교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이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 팽창된 냉매를 기화시켜 외부의 열을 빼앗아 열교환하는 증발기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냉매유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성능은 냉동사이클에서 압축기가 단위시간당 순환시키는 냉매의 질량유량과 압축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압축기의 압축일에 의해 변화되는 냉매의 엔탈피 차를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험용 압축기가 포함되는 냉동사이클의 각 부위에서 냉매의 엔탈피와 질량유량이 요구되는데, 상기 냉매의 엔탈피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계산되고 질량유량은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압축기 시험장치는 시험대상인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냉매유량계, 증발기 등이 냉매유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험시 온도조건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 시험장치에 따른 냉각사이클(압력-엔탈피 선도)을 도시한 것이며, 1에서 2는 압축구간, 2에서 3은 응축구간, 3에서 4는 팽창구간, 4에서 1은 증발구간이다. 압축기의 성능을 알기 위해서는 냉매의 질량유량과 엔탈피 변화 확인이 되면 된다. 엔탈피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1과 2에서의 각각의 압력과 온도의 값만 알면 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성능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엔탈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이 도 1의 냉각사이클과 같이 길어질 필요가 없다.
그러나, 종래의 압축기 시험장치는 도 1의 사이클과 같이 응축, 증발을 실시하기 때문에, 구성요소들의 용량 및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질 뿐만 아니라, 시험의 시간이 길어져 시험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냉동사이클에서의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을 감소시켜 시험장치의 용량 및 크기를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압축기에 연통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응축시키는 응축부; 응축부에 연통되며,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팽창시킴으로써 압력을 강하시키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에 연통되며, 상기 제1밸브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응축수액부; 및 응축수액부와 압축기에 각각 연통되며, 내부에 작동유체를 수용하며, 상기 응축수액부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를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와 혼합시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증발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액부는, 상기 제1밸브에 연통되어 상기 제1밸브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증발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에 포함되는 기체를 팽창시켜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제2밸브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증발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에 포함되는 액체를 팽창시켜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제3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응축부로 유동되는 작동유체를 상기 압축기로 다시 유입시켜 작동유체가 다시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부와 상기 압축기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부에서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부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압축기가 작동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단계; 상기 압축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단계; 상기 응축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단계; 상기 팽창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증발부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증발단계; 및 상기 증발단계 이후, 작동유체의 유량, 작동유체의 압력, 작동유체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다시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여 작동유체를 다시 압축시키는 추가압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킨 다음,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는 추가증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시험장치의 용량 및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시험의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시험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 시험장치에 따른 냉각사이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의 구성간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에 따른 냉각사이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 시험장치에 따른 냉각사이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의 구성간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에 따른 냉각사이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100)는 응축부(110)와 제1밸브(120)와 응축수액부(130)와 증발부(140)와 바이패스부(150)와 히터부(160)와 측정부(170)를 포함한다.
응축부(110)는 피시험물인 압축기(C)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응축시키는 것으로써, 압축기(C)와 제1밸브(120)에 연통된다.
이러한 응축부(110)는 내부에 설치된 팬(FAN)으로 외기를 유입시켜 작동유체를 응축시킨다. 팬(FAN)의 동작 속도는 인버터(Inverter)를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응축부(110)에 의해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구간(2'-3')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응축구간(2-3)에 비해서 크게 줄어 들게 되어 응축구간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응축구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응축부(110)의 용량 및 크기도 대폭적으로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밸브(120)는 상술한 응축부(110)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팽창시킴으로써 압력을 강하시키는 것으로써, 응축부(110)와 응축수액부(130)에 연통된다.
이러한 제1밸브(120)에 의해서, 도 4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되기 시작한 작동유체가 팽창, 즉, 팽창구간(3'-4')을 따라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응축수액부(130)는 상술한 제1밸브(120)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증발압력까지 강하(팽창구간(3'-4'))시키는 것으로써, 제1밸브(120)에 연통된다. 이러한 응축수액부(130)는 베이스부(131)와 제2밸브(132)와 제3밸브(13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31)는 제1밸브(120)에 연통되어 제1밸브(120)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밸브(132)와 제3밸브(133)에 각각 연통된다.
제2밸브(132)는 베이스부(131)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에 포함되는 기체를 팽창시켜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31)와 증발부(140)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밸브(132)에서 증발압력까지 강하된 작동유체는 후술하는 증발부(140)로 유입된다.
제3밸브(133)는 베이스부(131)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에 포함되는 액체를 팽창시켜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31)와 증발부(140)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3밸브(133)에서 증발압력까지 강하된 작동유체는 후술하는 증발부(140)로 유입된다.
상술한 베이스부(131)와 제2밸브(132)와 제3밸브(133)를 포함하는 응축수액부(130)에 따르면, 작동유체가 증발압력까지 효과적으로 강하될 수 있다.
증발부(140)는 응축수액부(130)와 압축기(C)에 각각 연통되어 응축수액부(130)로부터 증발압력까지 강하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기화시키는 것으로써,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수용된다.
응축수액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는 증발부(140)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증발부(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작동유체와 혼합되면서 기화된다. 이때, 작동유체의 온도는 증발부(1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증발부(140)에 의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압력까지 강하된 작동유체는 증발구간(4'-1')을 따라 기화된다.
이때, 과열도는 증발부(140) 내부에 수용된 액체상태의 작동유체의 수위, 즉, 증발된 작동유체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증발부(140)는 작동유체가 냉매사이클을 따라 순환되는 동안, 작동유체량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저장하고, 작동유체가 기체 상태로 압축기(C)로 유입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응축기에 의해 응축구간(2'-3')이 크게 단축되었으므로, 상술한 증발부(140)에 따른 증발구간(4'-1')도 이에 상응되게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발부(140)에 따르면, 증발구간이 크게 단축되기 때문에, 증발구간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고, 증발구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증발부(140)의 용량 및 크기도 대폭적으로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50)는 압축기(C)에서 응축부(110)로 유동되는 작동유체를 압축기(C)로 다시 유입시켜 작동유체가 다시 압축되게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압축기(C)와 응축부(110)를 연통시키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압축기(C)로 연결된다.
제1응축기의 주변 기온이 낮은 경우, 압축기(C)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는 제1응축기에 도달하기 전에 액화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이패스부(150)를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복수회 압축시키면, 작동유체가 액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히터부(160)는 증발부(140)에서 압축기(C)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것으로써, 증발부(140)와 압축기(C)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된다.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사이클의 증발구간(4'-1')에서 작동유체가 완전히 기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예 : R245fa)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술한 히터부(160)를 이용하면, 작동유체를 효과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다.
측정부(170)는 냉각사이클을 순환하는 작동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압축기(C)와 응축부(110)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측정부(170)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창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투명한 창을 이용하면, 작동유체의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부(110)와 제1밸브(120)와 응축수액부(130)와 증발부(140)와 바이패스부(150)와 히터부(160)와 측정부(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100)에 따르면,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시험장치의 용량 및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압축기(C)의 시험의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시험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S100)은 압축단계(S110)와 추가압축단계(S120)와 응축단계(S130)와 팽창단계(S140)와 증발단계(S150)와 추가증발단계(S160)와 확인단계(S170)를 포함한다.
압축단계(S110)는 압축기(C)가 작동유체를 압축시키는 단계로, 압축기(C)에 의해 실시된다.
추가압축단계(S120)는 상술한 압축단계(S110) 이후, 작동유체를 다시 상기 압축기(C)로 전달하여 작동유체를 다시 압축시키는 단계로, 바이패스부(150) 및 압축기(C)에 의해 실시된다.
제1응축기의 주변 기온이 낮은 경우, 압축기(C)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는 제1응축기에 도달하기 전에 액화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이패스부(150)를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복수회로 추가적으로 압축시키면, 작동유체가 액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응축단계(S130)는 압축단계(S110) 이후,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단계로, 응축부(110)에 의해 실시된다.
상술한 응축단계(S130)에 의해서,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하기 직전까지 응축된다. 이러한 응축단계(S130) 따르면, 냉동사이클에서 응축구간이 크게 감소 된다. 이에 따르면, 응축단계(S130)가 실시되는 시간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팽창단계(S140)는 응축단계(S130) 이후, 작동유체를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단계로, 제1밸브(120) 및 응축수액부(130)에 의해 실시된다. 이러한 팽창단계(S140)에 의해서, 작동유체가 증발압력까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증발단계(S150)는 팽창단계(S140) 이후, 상술한 팽창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증발부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단계로, 증발부(140)에 의해 실시된다. 이러한 증발단계(S150)에 따르면, 냉동사이클에서 증발구간이 크게 감소된다. 이에 따르면, 증발단계(S150)가 실시되는 시간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추가증발단계(S160)는 증발단계(S150) 이후, 작동유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킨 다음, 압축기(C)로 전달하는 단계로써, 히터부(160)에 의해 실시된다.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사이클의 증발구간(4'-1')에서 작동유체가 완전히 기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예 : R245fa)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술한 히터부(160)를 이용하면, 작동유체를 효과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다.
확인단계(S170)는 증발단계(S150) 또는 추가증발단계(S160) 이후, 작동유체의 유량, 작동유체의 상태, 작동유체의 압력을 확인하는 단계로써, 측정부(170)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확인단계(S170)에 따라 확인된 작동유체의 유량, 상태, 압력을 이용하면, 압축기(C)의 성능이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상술한 확인단계(S170)는 냉동사이클이 복수회 순환된 이후, 유량, 압력이 정상상태에 도달한 이후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축기(C)의 속도는 인버터(Inverter)를 이용해 조절하며, 작동유체의 유량 및 상태는 제2밸브(132), 제3밸브(133) 이용하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작동유체의 압력은 제1밸브(120), 제2밸브(132), 제3밸브(133)를 이용하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압축단계(S110)와 추가압축단계(S120)와 응축단계(S130)와 팽창단계(S140)와 증발단계(S150)와 추가증발단계(S160)와 확인단계(S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S100)에 따르면, 응축구간 및 증발구간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시험장치의 용량 및 크기가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압축기(C)의 시험의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시험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110 : 응축부
120 : 제1밸브
130 : 응축수액부
131 : 베이스부
132 : 제2밸브
133 : 제3밸브
140 : 증발부
150 : 바이패스부
160 : 히터부
170 : 측정부
C : 압축기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S110 : 압축단계
S120 : 추가압축단계
S130 : 응축단계
S140 : 팽창단계
S150 : 증발단계
S160 : 추가증발단계
S170 : 확인단계

Claims (8)

  1. 압축기에 연통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응축시키는 응축부;
    응축부에 연통되며,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팽창시킴으로써 압력을 강하시키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에 연통되며, 상기 제1밸브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응축수액부; 및
    응축수액부와 압축기에 각각 연통되며, 내부에 작동유체를 수용하며, 상기 응축수액부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를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와 혼합시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증발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액부는,
    상기 제1밸브에 연통되어 상기 제1밸브로부터 팽창된 작동유체를 전달받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증발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에 포함되는 기체를 팽창시켜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제2밸브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증발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유출되는 작동유체에 포함되는 액체를 팽창시켜 증발압력까지 강하시키는 제3밸브를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응축부로 유동되는 작동유체를 상기 압축기로 다시 유입시켜 작동유체가 다시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부를 연통시키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와 상기 압축기를 연통시키는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부에서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부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6. 압축기가 작동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단계;
    상기 압축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되, 작동유체가 액화되기 시작할 때까지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단계;
    상기 응축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단계;
    상기 팽창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증발부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증발단계; 및
    상기 증발단계 이후, 작동유체의 유량, 작동유체의 압력, 작동유체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축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다시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여 작동유체를 다시 압축시키는 추가압축단계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증발단계 이후, 작동유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킨 다음,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는 추가증발단계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KR1020160165720A 2016-12-07 2016-12-07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KR10190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20A KR101904617B1 (ko) 2016-12-07 2016-12-07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20A KR101904617B1 (ko) 2016-12-07 2016-12-07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198A KR20180065198A (ko) 2018-06-18
KR101904617B1 true KR101904617B1 (ko) 2018-10-05

Family

ID=6276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20A KR101904617B1 (ko) 2016-12-07 2016-12-07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8276A (zh) * 2020-05-29 2020-09-18 北京中能航科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冷压缩机性能测试台的气体冷却方法
WO2023115552A1 (zh) * 2021-12-24 2023-06-29 南京师范大学 一种制冷压缩机性能测试方法和系统
CN116858528B (zh) * 2023-09-04 2023-12-05 合肥通用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压缩机-膨胀阀性能耦合匹配测试系统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198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rea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transcritical CO2 refrigerator performances us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US10018388B2 (en) Heat source side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8555703B2 (en) Leakage diagnosis apparatus, leakage diagnosis method, and refrigeration apparatus
US11131490B2 (en) Refrigeration device having condenser unit connected to compressor unit with on-site pip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remote from the compressor unit
EP2752627B1 (en) Refrigeration device
US11340000B2 (en) Method for handling fault mitigation in a vapour compression system
US9797637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20050217292A1 (en) Refrigeration system
EP3252402B1 (en) Heat pump
US8205464B2 (en) Refrigeration device
CN107208937A (zh) 空气调节装置
GB2585418A (en)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KR101904617B1 (ko) 압축기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 성능 시험 방법
JP2016529463A (ja) プログラム可能orit弁を備える温度制御システム
EP3109566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2943613B2 (ja) 非共沸混合冷媒を用いた冷凍空調装置
JP690239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7179210A1 (ja) 冷凍装置
CN108954501A (zh) 空调机
JP2948105B2 (ja) 非共沸混合冷媒を用いた冷凍空調装置
Hoşöz Performance Comparison of Single-Stage and Cascade Refrigeration Systems Using R134a as the Working Fluid.
CN212253263U (zh) 制冷空调装置
WO2020066001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540074B2 (ja) 空気調和装置
Neelakanta et al. The Effect of Capillary Tube Length on the Performance of Vapou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