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198B1 -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 Google Patents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198B1
KR101904198B1 KR1020160058416A KR20160058416A KR101904198B1 KR 101904198 B1 KR101904198 B1 KR 101904198B1 KR 1020160058416 A KR1020160058416 A KR 1020160058416A KR 20160058416 A KR20160058416 A KR 20160058416A KR 101904198 B1 KR101904198 B1 KR 10190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mera module
camera
coupled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804A (ko
Inventor
최효현
김한결
Original Assignee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소노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소노넷 filed Critical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9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04N5/2259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에 고정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쉽고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과, 카메라모듈에 결합되며 카메라모듈의 촬영영역에 광선을 조사하여 촬영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광조사모듈과, 카메라모듈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Camera stand indicating photo shoot area}
본 발명은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에 고정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쉽고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필름 형태의 문서를 확대하여 스크린에 조사하는 오버헤드 프로젝터(overhead projector)와 같은 학습 보조기구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의 발달로 현장에 존재하는 물건이나 자료를 직접 촬영하여 스크린에 조사하는 실물 화상기가 사용되고 있다.
실물 화상기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부착된 스탠드로 현장의 생생한 상황을 그대로 스크린에 조사할 수 있고, 다양한 영상 표시 기기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점차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또한, 실물 화상기로 촬영한 영상은 저장 및 편집이 가능하여, 이후에도 2차 학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등 활용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실물 화상기와 같이 통상의 카메라가 부착된 스탠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역을 명확하게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스크린을 보면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모바일 기기와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기기와 연동하여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수업 중 교과서나 노트, 메모지 등을 촬영하는 경우와 같이, 촬영하는 영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확인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을 시작할 경우, 촬영하고자 하는 물건이 촬영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3335호, (2016.02.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탠드에 고정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쉽고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영역에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촬영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광조사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과 상기 광조사모듈의 광조사 방향이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촬영영역에 단파장 광인 레이저 광선을 조사할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링 형상의 조명헤드와, 상기 조명헤드 하부에 설치된 LED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조명헤드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 상단부에 관절결합되어 굴절이 가능한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조명헤드는 상기 LED 소자가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측정부는,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눈금표시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눈금표시부를 가리키는 눈금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모듈을 상기 카메라모듈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카메라가 촬영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촬영하는 각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사진이 비스듬히 찍혀 왜곡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촬영된 사진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가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이 가능하고, 카메라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경우 별도의 독립적인 조명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조명헤드와 받침대 사이로 간접조명을 발산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무드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동작인식 또는 화면의 내용을 파악하여 자동으로 촬영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문자를 추출하여 서버 또는 모바일 기기로 자동 전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조명헤드 부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명헤드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조명영역, 촬영영역, 레이저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각도 측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촬영된 사진의 각도 보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통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접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조명헤드 부분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명헤드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는 받침대(10)와 지지대(20)로 이루어진 스탠드에 카메라모듈(도 2의 41 참조)이 장착된 장치로서, 광선을 조사하여 카메라모듈(41)의 촬영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조명 겸용 카메라 스탠드 장치이다.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는, 받침대(10), 받침대(10)에 지지되는 지지대(20), 지지대(20)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41), 카메라모듈(41)에 결합되며 카메라모듈(41)의 촬영영역에 광선을 조사하여 촬영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광조사모듈(42), 및 카메라모듈(41)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30)을 포함한다.
받침대(10)는 상부에 경사면(11)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지지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10)는 지지대(20)와 조명모듈(3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중량체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경사면(11)은 타원형을 이룰 수 있다. 즉, 경사면(11)은 원통을 비스듬히 절단하여 형성된 것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조명헤드(3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받침대(10)의 상단에는 지지대(20)가 고정된다. 지지대(20)는 경사면(11)의 최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20a)와 제2 지지대(20b)가 서로 관절 결합되어 굴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대(20a)는 받침대(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대(20b)는 제1 지지대(20a)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0)의 일단부에는 카메라모듈(41)이 결합된 회전모듈(40)이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41)은 물건이나 책, 문서 등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41)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지지대(20)의 일 측에는 카메라모듈(41)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는 조명모듈(30)이 결합되어 있다. 조명모듈(30)은 링 형상의 조명헤드(31)와, 조명헤드(31) 하부에 설치된 LED소자(32)를 포함한다. 조명모듈(30)은 카메라모듈(41)과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나, 카메라모듈(41)과 조명모듈(30)은 동일축 상에서 지지대(20)에 결합하여 함께 회동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대(20) 또는 조명모듈(30)에 카메라모듈(41)의 촬영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모듈(41)과 조명모듈(30), 및 광조사모듈(42)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모듈(41)은 회전모듈(40)에 결합되고, 회전모듈(40)은 회전축(43)에 의해 제2 지지대(20b)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카메라모듈(41)은 물건, 책, 문서 등을 촬영하기에 적합하도록 아래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41)의 일 측에는 광조사모듈(42)이 결합된다. 광조사모듈(42)은 광선을 조사하여 촬영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단파장광인 레이저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광조사모듈(42)은 시인성이 강한 레이저광을 카메라모듈(41)의 촬영영역 중앙에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모듈(42)은 레이저광을 한 점으로 조사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촬영영역의 경계선이나 특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직선 또는 다각형 형태의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광조사모듈(42)에서 조사하는 광선이 단지 레이저광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특정영역에 면 형태로 유색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일 수 있다.
광조사모듈(42)은 회전모듈(40)에 결합되어 카메라모듈(41)과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즉, 광조사모듈(42)은 카메라모듈(41)과 일체로 결합되어, 카메라모듈(41)의 촬영방향과 광조사모듈(42)의 광조사 방향이 함께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41)의 촬영방향과 광조사모듈(42)의 광조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광조사모듈(42)은 카메라모듈(41)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광조사모듈(42)을 카메라모듈(41)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모듈(30)은, 조명헤드(31)와 LED소자(32)를 포함하며, 회전모듈(40)과 동일한 회전축(43)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조명모듈(30)은 회전모듈(40)과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모듈(30)의 광조사 범위가 조절되면 카메라모듈(41)의 촬영영역과 광조사모듈(42)의 광선의 조사각이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조명헤드(31)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대(10)의 경사면(11)과 일치하도록 타원을 이루는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조명헤드(31)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LED소자(32)가 실장되어 있다. LED소자(32)는 조명헤드(31)의 하부로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모듈(41)이 촬영하는 영역의 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조명헤드(3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가 편리하여 빛의 조사각을 조절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각도측정부(45)는 지지대(20)에 결합되는 눈금표시부(45a)와 회전모듈(40)에 결합되어 눈금표시부(45a)를 가리키는 눈금지시부(45b)를 포함한다. 눈금표시부(45a)는 눈금이 표시된 부채꼴 형상의 판이 될 수 있으며, 눈금지시부(45b)는 회전모듈(40)에 결합된 바늘로 눈금표시부(45a)의 눈금을 가리키게 된다. 즉, 눈금지시부(45b)는 회전모듈(40)의 회전축(43)에 형성된 고정홈(44)에 삽입되어, 회전모듈(4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눈금표시부(45a)의 눈금을 가리키게 된다.
눈금지시부(45b)는 광조사모듈(42)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방향과 일직선을 이루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눈금지시부(45b)가 가리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이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되며, 주변 광이 밝아서 레이저광이 시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눈금지시부(45b)의 방향으로 레이저광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각도측정부(45)는 각도기 형상의 눈금표시부(45a)와 회전모듈(40)에 결합된 바늘형태의 눈금지시부(45b)로 이루어진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회전모듈(40)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는 자이로센서나 회전축(43)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엔코더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각도를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조명모듈(30)과 카메라모듈(41)과 광조사모듈(42)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스탠드의 조명영역, 촬영영역, 레이저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촬영 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모듈(30)은 조명헤드(31) 하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조명모듈(30)이 조사하는 빛에 의한 영역을 조명영역(A1)이라 한다. 조명영역(A1) 내측에는 카메라모듈(41)이 촬영하는 촬영영역(A2)이 설정될 수 있다. 촬영영역(A2)은 카메라모듈(41)이 촬영할 수 있는 화각에 의해 결정되며,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조명영역(A1)의 내측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영역(A1)과 촬영영역(A2)의 범위를 적절히 조절하면 조명영역(A1)에 의해 촬영영역(A2)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광조사모듈(42)은 레이저광(B)을 촬영영역(A2)의 중앙에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광(B)이 점 형태로 촬영영역(A2)의 중앙에 조사될 경우 촬영영역(A2)의 경계를 구분할 수는 없을 것이나 카메라모듈(41)이 향하는 중심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촬영영역(A2)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이저광(B)이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 또는 부분의 중앙을 정확하게 조준하면 촬영영역(A2)이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 또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카메라모듈(41)의 각도 측정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각도 측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모듈(40)은 조명헤드(31)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조명헤드(31)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광(B)은 조명헤드(31)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조사각이 변하게 된다. 눈금지시부(45b)는 레이저광(B)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눈금표시부(45a)를 가리키고 있으며, 조명헤드(31)가 회동함에 따라 레이저광(B)의 조사각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눈금지시부(45b)가 가리키는 눈금이 레이저광(B)의 조사각을 나타낸다.
눈금표시부(45a)에 표시된 눈금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절대적인 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임의의 기준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눈금표시부(45a)에 표시된 눈금은 이후 촬영한 사진을 보정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
도 7은 촬영된 사진의 각도 보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모듈(41)이 문서의 직상부에서 직하방으로 촬영하지 않으면 도 7의 (a)와 같이, 사진의 양단부의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사다리꼴 형태로 왜곡된 사진이 촬영된다. 이와 같은 사진의 왜곡은 카메라모듈(41)이 물체를 바라보는 각도가 수직방향에서 더 많이 기울어질수록 더 심해지게 된다.
카메라모듈(41)의 촬영각을 보정하여 도 7의 (a)를 변환하여 도 7의 (b)와 같은 사진으로 보정이 된다. 즉, 도 7의 (b)는 물체의 직상방에서 촬영한 것과 동일한 사진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눈금지시부(45b)가 가리키는 눈금에 따른 각도값을 촬영영역(A2)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 내부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나 서버(도 8의 200 참조) 또는 모바일기기(도 8의 300 참조)에 넣으면 카메라모듈(41)이 기울어진 각도값을 적용하여 사진이 자동으로 보정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직사각형 문서가 왜곡된 형태의 경우 문서 양단의 길이를 동일하게 보정하면 별도의 각도에 의한 보정이 더 필요할 수도 있으나, 실물화상기의 특성상 부정형의 물체를 촬영할 경우 그 사진의 왜곡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41)이 물체를 촬영할 때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그 각도값으로 보정을 하면 왜곡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의 통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법으로 서버(200) 또는 모바일기기(300)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 또는 모바일기기(300)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로부터 영상을 전송 받아 처리하는 기기로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등 다양한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는 카메라모듈(41)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은, 블루투스, Wi-Fi 등의 방식으로 서버(200)나 모바일기기(300)와 직접 통신을 할 수도 있으며, 통신중계기(100)를 통하여 인터넷 통신망 등을 거쳐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가 촬영한 영상은 특정 모바일기기(300)만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서버(200)를 통하여 다수의 기기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가 촬영한 사진은 자동으로 편집되고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도 1의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의 접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1)는 조명헤드(31)가 받침대(10)의 경사면(11)에 안착되면 간접조명을 발산하는 조명장치가 된다. 조명헤드(31)는 경사면(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LED소자(32)가 경사면(11)에 맞닿아 있다고 하더라도 빛이 조명헤드(31)의 외주부와 내주부를 통하여 은은하게 발산되어 무드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10: 받침대 11: 경사면
20: 지지대 20a: 제1지지대
20b: 제2 지지대 30: 조명모듈
31: 조명헤드 32: LED 소자
40: 회전모듈 41: 카메라 모듈
42: 광조사 모듈 43: 회전축
44: 고정홀 45: 각도측정부
45a: 눈금표시부 45b: 눈금지시부
100: 통신중계기 200: 서버
300: 모바일기기 A1: 조명영역
A2: 촬영영역 B: 레이저광

Claims (9)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영역에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촬영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광조사모듈;
    상기 카메라모듈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 상단부에 관절결합되어 굴절이 가능한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과 상기 광조사모듈의 광조사 방향이 함께 조절되고,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촬영영역에 단파장 광인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며,
    상기 각도측정부는,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눈금표시부와, 상기 회전모듈의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모듈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눈금표시부를 가리키는 눈금지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눈금지시부는 상기 레이저 광선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눈금표시부를 가리키는 촬영 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링형상의 조명헤드와, 상기 조명헤드 하부에 설치된 LED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조명헤드 일측에 결합되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헤드는 상기 LED 소자가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경사면에 안착되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모듈을 상기 카메라모듈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KR1020160058416A 2016-05-12 2016-05-12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KR10190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16A KR101904198B1 (ko) 2016-05-12 2016-05-12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16A KR101904198B1 (ko) 2016-05-12 2016-05-12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04A KR20170127804A (ko) 2017-11-22
KR101904198B1 true KR101904198B1 (ko) 2018-10-05

Family

ID=6080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416A KR101904198B1 (ko) 2016-05-12 2016-05-12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0112B (zh) * 2021-05-26 2021-08-31 苏州高视半导体技术有限公司 基于条纹光源的多光场成像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951B2 (ja) * 1997-09-24 2003-05-19 株式会社ウイルソン カメラスタンド
KR100934750B1 (ko) * 2009-07-08 2009-12-30 엔텍엘이디(주) 조사각 조절이 자유롭고 무드등 연출이 가능한 전기스탠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951B2 (ja) * 1997-09-24 2003-05-19 株式会社ウイルソン カメラスタンド
KR100934750B1 (ko) * 2009-07-08 2009-12-30 엔텍엘이디(주) 조사각 조절이 자유롭고 무드등 연출이 가능한 전기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04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06B1 (ko) 핸디 스캐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20365B2 (ja) 投影装置
US20010026684A1 (en) Aid for panoramic image creation
US984372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050207671A1 (en) Data presentation device
US20200166332A1 (en) Measuring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7143427A (ja) 監視カメラ
US9137430B1 (en) Image capturing system
CN111095101A (zh) 一种摄影系统和方法
KR101904198B1 (ko) 촬영영역이 표시되는 카메라 스탠드
KR100769107B1 (ko) 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
KR20120080745A (ko) 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
KR101456550B1 (ko) 물체 전방위 촬영 3차원 실물화상기
CN113556524B (zh) 投影仪
JP6102079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7822B1 (ko)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
WO2016194194A1 (ja) 撮像システム
JP2010026937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5159460A (ja) 投影システム、投影装置、撮影装置、ガイド枠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05680B1 (ko) 조명 스탠드
KR20180022070A (ko) 3d 스캐너 겸용 실물 화상기
JP2015194576A (ja) 照明装置
WO2016194209A1 (ja) 撮像システム
JP2015127774A (ja) 拡大観察装置、拡大画像観察方法、拡大画像観察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60095957A (ko) 스마트기기 촬영용 회전식 스캔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