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134B1 - 필름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134B1
KR101904134B1 KR1020180002659A KR20180002659A KR101904134B1 KR 101904134 B1 KR101904134 B1 KR 101904134B1 KR 1020180002659 A KR1020180002659 A KR 1020180002659A KR 20180002659 A KR20180002659 A KR 20180002659A KR 101904134 B1 KR101904134 B1 KR 10190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film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선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피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00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와, 커터부를 구비하고, 받침부의 받침프레임 상면에 삽입공을 형성하되, 삽입공 하단부를 커버로 마감하며, 핀 통과공을 형성한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하고,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압입프레임을 구비하며, 핀 통과공과 연통되는 제1통과홀을 형성하여 제1가이드바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필름거치부를 형성하고, 제1가이드바 외면에 제1탄성스프링을 체결하며, 핀 삽입공에 가이드핀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홀에 삽입되어 필름 양단을 고정하는 가이드핀을 가이드프레임의 핀 통과공 위치에 대응하도록 핀 삽입공으로 삽입 결합하여, 가이드프레임의 핀 통과공 위치에 대응하도록 가이드핀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필름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프레임을 기준으로 압입프레임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여 압입프레임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핀에 의해 필름거치부 상에 거치된 필름 양단이 고정되어, 커팅과정에서 필름이 유동되거나 혹은 틀어질 우려가 없고, 특히, 압입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 변경시 이 가이드프레임의 제1통과홀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핀을 핀 삽입공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하여, 단일의 받침프레임에 다양한 압입프레임 및 가이드프레임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커팅장치{Film cutting equipment}
본 발명은 필름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프레임의 핀 통과공 위치에 대응하도록 가이드핀을 받침프레임의 핀 삽입공으로 삽입 결합하여, 가이드 핀의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필름커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커팅장치는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어 외장재의 외관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필름 이나 혹은 얇은 판막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반도체 칩 또는 센서등을 내포하고 있는 필름을 커팅하는 장치이다.
특히,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칩 등이 내장된 플렉시블한 필름은 제품 형상 또는 제품 내에 수용되도록, 그 형상에 맞게 압입방식을 통해 절단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외장재 보호필름 커팅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상, 하측연결링크와, 이 상, 하측 연결링크 사이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측연결링크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상, 하측연결링크를 상, 하로 가압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하측연결링크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커팅수단 및 상기 하측연결링크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커팅수단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를 이동시키게 되면, 이 이동바에 의해 상, 하측연결링크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고정블록의 가이드수단이 상기 보호필름 상면에 맞닿게 된다.
이후, 연속하여 상기 이동바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 상측연결링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에 밀착된 상기 고정블록이 상방으로 가압되고, 이에따라, 상기 하측연결링크가 상방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완충스프링을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커팅수단의 상단부가 상기 상측연결링크 저면에 눌려 가압되고, 이때, 상기 커팅수단의 커터가 상기 고정블록 하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보호필름을 커팅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터날이 상기 고정블록 하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호필름 커팅장치를 일방향 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이 보호필름 커팅장치 이동방향에 대응하도록 절단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필름이 작업대 상에 단순 거치되어 외풍에 의해 필름이 손쉽게 유동되고, 이 유동으로 인해 그 위치가 변화되며, 또한, 하측연결링크의 고정블록으로 필름 가압시 이 필름에 유동이 발생되어, 필름의 정해진 위치에 커터를 접촉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있고, 필름의 잦은 유동으로 필름의 정확한 위치 커팅을 진행할 수 없어 커팅된 필름의 불량률이 증가되며, 특히, 커터를 고정블록 하부로 노출시키는 반복 작업을 통해 보호필름을 커팅해야 하는 불편함과 동시에, 반복 커팅 작업시 필름 방향이 틀어져 커팅 부위를 연속하여 커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87073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부와, 커터부를 구비하고, 받침부의 받침프레임 상면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을 형성하되, 이 삽입공 하단부를 커버로 마감하며, 받침프레임 상면에 핀 삽입공과 연통되는 핀 통과공을 형성한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하고,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받침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압입프레임을 구비하며, 압입프레임 상부에 필름을 거치하되, 핀 통과공과 연통되는 제1통과홀을 형성하여 제1가이드바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필름거치부를 형성하고, 제1가이드바 외면에 필름거치부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스프링을 체결하며, 핀 삽입공에 가이드프레임 상부로 노출되는 가이드핀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홀에 삽입되어 필름 양단을 고정하는 가이드핀을 가이드프레임의 핀 통과공 위치에 대응하도록 핀 삽입공으로 삽입 결합하여, 가이드프레임의 핀 통과공 위치에 대응하도록 가이드핀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필름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는, 상면에 필름을 거치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부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어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필름을 커팅하는 커터부; 로 구성된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관통 형성된 핀 삽입공을 형성하고, 저면에 상기 핀 삽입공을 커버하는 커버를 형성한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핀 삽입공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핀 통과공을 형성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고, 상면을 통해 체결부재를 관통 체결하여, 상기 받침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압입프레임; 상기 압입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그 상면에 필름을 거치하고, 저면 테두리에 상기 받침프레임 저면에 걸림되어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바를 형성하며, 상면 테두리에 상기 핀 통과공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름의 홀과 연통되는 제1통과홀을 형성하고, 상기 커터부에 가압되어 상기 압입프레임을 통과하도록 승강 작동되는 필름거치부; 상기 필름거치부의 제1가이드바 외면에 체결되고, 상기 필름거치부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스프링; 일단이 상기 핀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에 안착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핀 통과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부로 노출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의 핀 삽입공은 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외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상기 압입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면에 밀착되고, 외면에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압입프레임은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체결공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면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직각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중앙부를 관통 형성하여, 상기 필름거치부를 눌러 가압하는 테이블프레임과; 상기 테이블프레임 저면에 밀착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압입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터홈을 형성하며, 상면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 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통과홀을 형성한 커터날; 상기 테이블프레임 저면 테두리에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받침프레임 저면에 걸림되어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제2가이드바 외면에 상기 테이블프레임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테이블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스프링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입프레임의 외면을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면에 밀착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압입프레임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고, 가이드프레임을 기준으로 압입프레임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여 압입프레임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핀에 의해 필름거치부 상에 거치된 필름 양단이 고정되어, 커팅과정에서 필름이 유동되거나 혹은 틀어질 우려가 없고, 특히, 압입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 변경시 이 가이드프레임의 제1통과홀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핀을 핀 삽입공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하여, 단일의 받침프레임에 다양한 압입프레임 및 가이드프레임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받침프레임 교체 불필요로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의 받침부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에 필름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의 필름이 가이드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의 커팅부로 필름을 커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받침부(100)는 상면에 필름(F)을 거치한다.
상기 받침부(100)는 받침프레임(110)과, 가이드프레임(120), 압입프레임(130), 필름거치부(140), 제1탄성스프링(150) 및 가이드핀(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프레임(110)은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관통 형성된 핀 삽입공(111)을 형성하고, 저면에 상기 핀 삽입공(111)을 커버하는 커버(112)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10)은 그 상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압입프레임(130) 및 필름거치부(140)를 고정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10)은 상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상면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B) 및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상면으로 관통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재 말단이 체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체결홀(미부호)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핀 삽입공(111)은 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핀 삽입공(11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 핀(16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가이드 핀(16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에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핀 삽입공(111)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핀 통과공(121)을 형성한다.
상기 핀 통과공(121)은 장홀 형상의 상기 핀 삽입공(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외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공(122)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가이드면(123)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공(122)은 상기 체결부재(B)를 통과시켜, 상기 체결부재(B) 말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외면에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면(12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직각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압입프레임(130)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정해진 위치상에 안착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상면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고, 상면을 통해 체결부재(B)를 관통 체결하여,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하방으로 가압되는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필름(F) 저면을 떠받친 상태로 상기 필름거치부(140)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커터부(200)의 커터날(220)이 상기 필름(F)을 커팅하도록 상기 필름(F)을 지지한다.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면(123)에 밀착되고, 외면에 상기 삽입공(122)에 대응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131)을 형성한다.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상기 삽입공(122)을 통해 상기 체결공(131)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이드면(123)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다.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상면 형상은 상기 커터부(200)의 커터홈(221)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거치부(140)는 상기 압입프레임(130) 상부에 구비되어 그 상면에 필름(F)을 거치하고, 저면 테두리에 상기 받침프레임(110) 저면에 걸림되어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바(141)를 형성하며, 상면 테두리에 상기 핀 통과공(12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름(F)의 홀(H)과 연통되는 제1통과홀(142)을 형성하고, 상기 커터부(200)에 가압되어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통과하도록 승강 작동된다.
상기 필름거치부(140)는 상기 커터부(200)의 테이블프레임(21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탄성스프링(150)을 압축하면서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통과한다.
상기 필름거치부(140)는 상면에 안착된 필름(F)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핀(160)이 상기 제1통과홀(142)을 통과하여 상기 필름(F)의 홀(H)에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가이드바(141)는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1탄성스프링(150)은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제1가이드바(141) 외면에 체결되고,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원위치시킨다.
상기 제1탄성스프링(150)은 하방으로 승강 이동하는 상기 필름거치부(140) 저면에 눌려 압축되고,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가이드핀(160)은 일단이 상기 핀 삽입공(111)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112)에 안착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을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가이드핀(160)은 승강 이동하는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제1통과홀(142)을 통해 상기 필름거치부(140)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필름(F)의 홀(H)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핀(160)은 상기 필름(F)의 홀(H)에 삽입되어, 상기 필름(F) 양단을 고정한다.
커터부(200)는 상기 받침부(100) 상부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어 상기 받침부(100)에 안착된 필름(F)을 커팅한다.
상기 커터부(200)는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가압한 후, 상기 필름거치부(140)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통과하면서 상기 압입프레임(130) 상에 지지된 필름(F)을 커팅한다.
상기 커터부(200)는 중앙부를 관통 형성하여,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눌러 가압하는 테이블프레임(210)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10) 저면에 밀착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터홈(221)을 형성하며, 상면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 핀(160)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통과홀(222)을 형성한 커터날(220) 및 상기 테이블프레임(210) 저면 테두리에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받침프레임(110) 저면에 걸림되어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바(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통과홀(222)은 하방으로 승강 이동하는 상기 커터부(20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핀(160)에 삽입되어, 상기 커터날(210) 저면이 상기 가이드 핀(16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터홈(221)은 그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필름(F)을 커팅한다.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은 그 상면이 승강장치(미도시)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강제 승강 작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바(230)는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커터부(200)는 상기 제2가이드바(230) 외면에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스프링(240)을 더 형성한다.
상기 제2탄성스프링(240)은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에 눌려 압축되고, 승강장치(미도시)의 가압력 해제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받침프레임(110)을 구비하되, 이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가이드프레임(120)을 안착시켜, 체결부재(B)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을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핀 삽입공(11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을 서로 연통되도록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저면을 통해 상기 가이드 핀(160)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핀(160)의 상단이 상기 핀 삽입공(111) 및 상기 핀 통과공(121)을 지나쳐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저면에 형성된 핀 삽입공(111)을 커버(112)로 마감하여, 상기 가이드 핀(160)이 상기 커버(112)에 안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체결부재(B)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상면을 관통하여,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체결홀(미부호)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이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직각구조를 갖는 2개의 가이드면(123)에 압입프레임(130) 외면을 밀착시켜,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직각구조를 갖는 상기 가이드면(123)에 상기 압입프레임(130) 외면을 밀착시키게 되면, 이 압입프레임(130) 외면이 상기 가이드면(123)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정해진 위치에 상기 압입프레임(130)이 위치되고, 이에따라,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삽입공(122)으로 체결부재(B)를 진입시켜, 이 체결부재(B) 말단을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체결공(131)에 체결하여, 상기 체결부재(B)가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외면에 밀착 걸림되도록 하면, 상기 체결부재(B)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압입프레임(130)이 상기 가이드면(123)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가이드면(123)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상면으로 체결부재(B)를 관통 체결하여,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한다.
그리고, 압입프레임(130) 상부에 필름거치부(140)를 구비하되, 이 필름거치부(140)의 제1가이드바(141) 외면에 제1탄성스프링(150)을 체결하여, 상기 제1가이드바(141) 말단이 상기 받침프레임(110) 저면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스프링(150)은 양단 각각이 상기 필름거치부(140) 저면 및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방으로 가압한다.
그 다음, 상기 받침부(100) 상부에 커터부(200)를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커터부(200)의 제2가이드바(230) 말단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저면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00) 상부에 상기 커터부(200)가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0)를 작업대(미도시)에 안착시키되, 상기 커터부(200)의 테이블프레임(210) 상면을 승강장치(미도시)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100)와 상기 커터부(200)가 상, 하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받침부(100)의 필름거치부(140) 상부에 필름(F)을 안착시킨 후, 승강장치(미도시)를 하방으로 승강 이동시켜, 상기 커터부(20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가이드바(23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이때,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100)의 필름거치부(140) 상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필름거치부(140) 상면에 도달한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은 승강장치에 의해 하방으로 연속 가압되고, 이에따라, 상기 필름거치부(140)가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에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탄성스프링(150)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제1통과홀(142)은 상기 가이드핀(160)를 통과하여 상기 필름(F)의 홀(H)에 상기 가이드핀(160)이 삽입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상기 필름(F) 양단이 상기 가이드핀(160)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0)의 압입프레임(130)은 승강 이동되는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중앙부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필름(F) 저면을 떠받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커터부(200)의 커터날(220)이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이때, 상기 커터날(220)의 제2통과홀(222)은 상기 가이드핀(160)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핀(160)이 상기 커터날(220) 저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상기 압입프레임(130)이 상기 커터날(220)의 커터홈(221)을 통과하여, 상기 커터홈(221) 상방으로 노출되고, 이에따라, 상기 커터홈(221)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필름(F)이 커팅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그 외면이 상기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면(123)에 밀착 고정되고, 또한, 그 상면이 상기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터부(200)의 가압력에 상기 압입프레임(130)이 일 방향으로 틀어지거나 혹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승강장치(미도시)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2가이드바(230)가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고, 이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에 가압되고 있던 상기 필름거치부(140)가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상기 제1탄성스프링(150)에 가압되어 상방으로 승강 이동한다.
이때,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이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원위치 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거치부(140)가 상기 제1가이드바(141)에 안내되면서 상기 압입프레임(130) 상부로 승강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거치부(14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시점에서, 상기 가이드핀(160)이 상기 필름(F)의 홀(H) 및 상기 제1통과홀(142)에서 이탈되어, 상기 필름(F)의 양단 고정이 해제된다.
그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연속하여, 상기 필름(F)을 정해진 형상으로 커팅하여, 커팅된 상기 필름(F)을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커터부(200)에 제2탄성스프링(240)이 미 체결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커터부(200)의 제2가이드바(230) 외면에 상기 제2탄성스프링(240)을 체결하게 되면, 이 제2탄성스프링(240)이 하방으로 승강 이동하는 테이블프레임(210)에 눌려 압축되고, 이후,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에 가해지는 가압력 해제시, 상기 제2탄성스프링(240)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압입프레임(130)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필름거치부(140) 및 커터부(200)를 교체 설치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 필름거치부(140)의 제1통과홀(142) 및 커터부(200)의 제2통과홀(211)은 상기 받침프레임(110)에 형성된 장홀 형상의 상기 핀 삽입공(111) 길이방향에서 그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교체된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드 핀(160)을 상기 핀 삽입공(160)을 통해 상기 핀 통과공(121)으로 삽입 결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가이드 핀(16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과 연통되는 핀 삽입공(111)을 형성하여, 핀 통과공(121) 위치에 대응하도록 핀 삽입공(111)을 통해 가이드 핀(16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는, 압입프레임(130)의 외면을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면(123)에 밀착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압입프레임(130)의 설치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고, 가이드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압입프레임(13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여 압입프레임(130)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핀(160)에 의해 필름거치부(140) 상에 거치된 필름(F) 양단이 고정되어, 커팅 과정에서 필름(F)이 유동되거나 혹은 틀어질 우려가 없고, 특히, 압입프레임(130)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120) 변경시 이 가이드프레임(120)의 제1통과홀(142)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핀(160)을 핀 삽입공(111)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하여, 단일의 받침프레임(110)에 다양한 압입프레임(130) 및 가이드프레임(120)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커팅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받침부 110 : 받침프레임
111 : 핀 삽입공 112 : 커버
120 : 가이드프레임 121 : 핀 통과공
122 : 삽입공 123 : 가이드면
130 : 압입프레임 131 : 체결공
140 : 필름거치부 141 : 제1가이드바
142 : 제1통과홀 150 : 제1탄성스프링
160 : 가이드핀 200 : 커터부
210 : 테이블프레임 220 : 커터날
221 : 커터홈 222 : 제2통과홀
230 : 제2가이드바 240 : 제2탄성스프링
B : 체결부재 F : 필름
H : 홀

Claims (6)

  1. 상면에 필름(F)을 거치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 상부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어 상기 받침부(100)에 안착된 필름(F)을 커팅하는 커터부(200);
    로 구성된 필름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판재형상으로, 상면에 장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핀 삽입공(111)을 형성하고, 저면에 상기 핀 삽입공(111)을 커버하는 커버(112)를 형성한 받침프레임(110)과;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핀 삽입공(111)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핀 통과공(121)을 형성한 가이드프레임(120);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고, 상면을 통해 체결부재(B)를 관통 체결하여, 상기 받침프레임(110) 상면에 고정되는 압입프레임(130);
    상기 압입프레임(130) 상부에 구비되어 그 상면에 필름(F)을 거치하고, 저면 테두리에 상기 받침프레임(110) 저면에 걸림되어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바(141)를 형성하며, 상면 테두리에 상기 핀 통과공(12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름(F)의 홀(H)과 연통되는 제1통과홀(142)을 형성하고, 상기 커터부(200)에 가압되어 상기 압입프레임(130)을 통과하도록 승강 작동되는 필름거치부(140);
    상기 필름거치부(140)의 제1가이드바(141) 외면에 체결되고,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스프링(150);
    일단이 상기 핀 삽입공(111)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112)에 안착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핀 통과공(121)을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 상부로 노출되는 가이드핀(1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커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외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공(122)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가이드면(123)을 형성하며,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면(123)에 밀착되고, 외면에 상기 삽입공(122)에 대응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131)을 형성하며,
    상기 압입프레임(130)은 상기 삽입공(122)을 통해 상기 체결공(131)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커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면(12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직각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커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200)는,
    중앙부를 관통 형성하여, 상기 필름거치부(140)를 눌러 가압하는 테이블프레임(210)과;
    상기 테이블프레임(210) 저면에 밀착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압입프레임(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터홈(221)을 형성하며, 상면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 핀(160)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통과홀(222)을 형성한 커터날(220);
    상기 테이블프레임(210) 저면 테두리에 설치되되, 그 말단이 상기 받침프레임(110) 저면에 걸림되어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바(2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커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200)는,
    상기 제2가이드바(230) 외면에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테이블프레임(2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스프링(24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커팅장치.
KR1020180002659A 2018-01-09 2018-01-09 필름커팅장치 KR10190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59A KR101904134B1 (ko) 2018-01-09 2018-01-09 필름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59A KR101904134B1 (ko) 2018-01-09 2018-01-09 필름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34B1 true KR101904134B1 (ko) 2018-10-08

Family

ID=6386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59A KR101904134B1 (ko) 2018-01-09 2018-01-09 필름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0941A (zh) * 2021-03-27 2021-07-06 昆山市石浦复合面料有限公司 一种吸音毛毡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115635541A (zh) * 2022-10-24 2023-01-24 东台世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多样化纸盒模切机的模切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78B1 (ko) * 2005-12-29 2007-04-09 김두선 외장패널의 테두리 절곡을 위한 모서리 컷팅장치
JP5816401B2 (ja) * 2009-07-31 2015-11-18 グロツ・ベッケルト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浮動状態で支持されるパンチ(スタンプ)を備えた打抜き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78B1 (ko) * 2005-12-29 2007-04-09 김두선 외장패널의 테두리 절곡을 위한 모서리 컷팅장치
JP5816401B2 (ja) * 2009-07-31 2015-11-18 グロツ・ベッケルト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浮動状態で支持されるパンチ(スタンプ)を備えた打抜き工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0941A (zh) * 2021-03-27 2021-07-06 昆山市石浦复合面料有限公司 一种吸音毛毡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113070941B (zh) * 2021-03-27 2022-08-26 昆山市石浦复合面料有限公司 一种吸音毛毡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115635541A (zh) * 2022-10-24 2023-01-24 东台世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多样化纸盒模切机的模切机构
CN115635541B (zh) * 2022-10-24 2023-11-03 东台世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多样化纸盒模切机的模切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134B1 (ko) 필름커팅장치
JP3572192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用ガイドレール機構
CN110653858B (zh) 薄膜切割装置和薄膜切割装置涂层形成方法
US20200114447A1 (en) Wire Fixation Apparatus And Soldering Method
KR101904132B1 (ko) 필름커팅장치
KR101933038B1 (ko) 필름커팅장치 및 이 필름커팅장치의 압입프레임 조립방법
KR20190117862A (ko) 필름커팅장치
KR101984761B1 (ko) 필름커팅장치
KR101629355B1 (ko) 팸너트 압착장치
KR20200011058A (ko) 필름커팅장치
US4570326A (en) Cable harness assembly apparatus
KR102026189B1 (ko) 필름커팅장치
US3500709A (en) Cutoff device
CN108381455A (zh) 一种安装方法
KR102457521B1 (ko) 필름 커팅 장치
KR101032777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지그
KR200471609Y1 (ko) 커넥터 단자용 프레스의 압착고 조절구조
JPH07335807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ード端子の成形装置
CN218193598U (zh) 压合治具及组装设备
CN220691054U (zh) 一种芯片按压通电测试装置及芯片检测设备
CN220240429U (zh) 一种双金属片焊接触点装置
KR102360323B1 (ko) 프레스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H07214440A (ja) ブレード等弾性特性加工品のチャッキング装置
KR20120006089U (ko) 커넥터 단자용 프레스의 케이블 위치 가이드 구조
KR101375693B1 (ko) 돔 시트 부착용 압착지그 및 이를 이용한 홈키 모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