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875B1 -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875B1
KR101903875B1 KR1020170011236A KR20170011236A KR101903875B1 KR 101903875 B1 KR101903875 B1 KR 101903875B1 KR 1020170011236 A KR1020170011236 A KR 1020170011236A KR 20170011236 A KR20170011236 A KR 20170011236A KR 101903875 B1 KR101903875 B1 KR 10190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mperature
flexible
nanowire network
conductive nano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044A (ko
Inventor
김일두
김선국
윤두영
최선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1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06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cryogenic purposes
    • G01K13/008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cryogenic purposes using microstructures, e.g. made of silic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11/00Thermometers based on nanotechn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도유지가 필요한 혈액 및 음식물 또는 관리가 필요한 영, 유아 혹은 중환자에게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를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적용된 전극의 형태는 3차원 주형을 이용하거나 레이저 커터를 이용하여 전극 형태를 잡고 이를 제도하는 방식을 채택 하였다. 패터닝 된 은 나노선 전극을 유연한 기판에 내장하여 안정성을 높였고 패터닝으로 인한 전극의 저항 범위를 확장시켜 발명된 플렉서블 전극을 온도 측정 센서로 활용하기 적합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electrode for and their fabr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금속(전도성) 나노선 전극을 이용한 유연 온도계로, 일정한 온도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한 대상에 부착을 하여 사용하여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을 목적으로 한다. 온도 측정 시, 온도센서와 수동소자(저항)의 온도계수에 따른 차이에 기인한 전위차를 입력 신호로 하여, 대상의 표면온도를 측정한다. 정확한 측정과 다양한 분야에의 활용을 위해 유연하면서도 형태 변형 시 저항의 변화가 적은 얇은 박막형태의 센서가 필요하여, 본 발명에서는 금속 나노선 전극을 온도센서로 한다. 온도유지가 필요한 혈액 및 음식물 또는 관리가 필요한 영, 유아 혹은 중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대상 물품의 온도측정을 위해 표면 부착 형태의 온도계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15-0018124호)에 기재된 무선 온도계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근거리 온도계로, 사용자가 RFID 태그를 사용함에 따라 온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NFC 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온도 정보를 보내줄 수 있다. 이러한 RFID 태그는 얇은 박막형식으로 된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원하는 곳에 부착이 가능하며, 체온 측정을 목적으로 한 온도계로 이용될 수도 있다.
종래기술(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11-0014712호)에 기재된 이마형 적외선 온도계(Forehead type infrared clinical thermometer)는 인체공학적인 설계와 정전용량형 근접센서에 의해 열형 적외선 센서가 동작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이마형 적외선 체온계에 관한 것이다. 이마에 접촉 또는 근접시키면 근접 탐침자의 감지신호가 근접 컨트롤러를 통해 출력되어 앤드(AND) 게이트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른 온 신호가 마이컴에 출력되면 마이컴에 의해 열형 적외선 센서가 작동하여 이마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마의 온도는 이마에서 발생하는 열 적외선을 써모파일이 감지하고, 열형 적외선 센서의 주변온도를 써미스터가 감지하며, 감지된 주변온도를 메모리에 저장된 임상데이터 룩업테이블과 비교해서 체온을 보정 및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체온은 마이컴에 의해 체온표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NFC 와 RFID 를 이용해 저전력 단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나, 저장된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측정 시 1회의 온도만을 전송하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시간 온도측정기기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온도센서 부분이 전체 온도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으므로, 센서가 내장된 지점이 아닌 부분의 온도는 표시된 값과 다를 가능성이 있다. 부착 형이 아닌 형태의 온도계이기 때문에 지속적 온도측정이 어렵고, 온도측정 대상이 인체, 특히 이마에 한정된 단점이 있다. 또한 통신 모듈 등이 없어 모바일 기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전기저항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특별한 온도 기준접점 없이 저항에 따라서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저항식 온도계는 비교적 감도가 크고 안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온도와 저항과의 관계가 대체로 직선적 변화를 보인다. 측정저항계는 백금, 동, 니켈(Nickel) 등이 있으며, 그 중 백금선이 온도변화에 예민하게, 전기저항이 증감하므로 현재 널리 이용되며 사용온도범위는 -200℃ ~ 600℃이다. 백금은 화학적, 열적으로 안정하여 전기저항식 온도센서에 표준 전극으로 KS C 1603, KS1603-1991, IEC751-1983등의 규격에 맞춰 사용 되고 있다.
금속 나노선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를 대체하여 차세대 전자기기 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기태양전지 및 터치스크린에 사용가능한 투명전극으로 각광 받고 있다. 종래기술(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1410호)에서는 1차원 은 나노와이어를 고분자 전도체와 혼성화 하여 높은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보임으로써 금속 나노선을 전극으로써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금속 나노선 패터닝 방식에 대한 기술에 대한 한국등록특허 제10-1310864호에서는 터치스크린의 시안성 확보를 위해 습식 식각공정을 사용하여 금속 나노선 네트워크를 메쉬형태로 패터닝 하였다. 또 다른 종래기술(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2626호)에서는 나노와이어 기반의 투명 도전체의 패터닝 방식방법을 광패터닝과 열패터닝 방법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리소그래피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이다.
온도유지가 필요한 혈액 및 음식물 또는 관리가 필요한 영, 유아 혹은 중환자에게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를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저항식 온도측정 센서는 저항이 너무 낮으면 감도가 나쁘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힘들다. 따라서 적당한 수준의 저항체를 선정해야 하지만 주로 사용 되고 있는 백금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대체 재료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금속 나노선의 경우는 안정적인 내산화성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높은 전기전도 특성으로 인해 온도센서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이러한 재료적 한계를 극복한다면 금속 나노선의 새로운 응용분야를 개척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은, 3차원 주형을 이용하여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기판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결정되는 저항을 가지며, 상기 저항과 상기 기판의 온도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은 투과도 50% ~ 99%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구성하는 전도성 나노선은 Ti, Ni, Cu, Ag, Ru, Rh, Pd, Ir 및 A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구성하는 전도성 나노선의 두께는 10 내지 200 nm의 범위에 포함되고, 길이는 1 내지 500 μ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속적인 형태로써 선형, 원형, 나선형, 계단형, 지그재그형, ㄷ자형 및 ㄹ자형의 기설정된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은 상기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에 부분적으로 내장되거나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3차원 주형은 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 아세탈(Acetal), 아크릴(PMMA, Polymethylmethacrylate), 셀룰로오스 (Cellulose), 불화탄소 (Fluorocarbon), 폴리아미드 (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Polyester),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폴리술폰 (Polysullfone) 및 PVC (Polyvinyl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선 폭은 100 μm 내지 10 m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은 저항 측정을 위해 최소 2개 이상에서 4개 이하의 전기적 접촉이 가능 한 전극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전기 저항은 500 내지 10000 Ω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을 포함하고, 사물 및 인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제공한다.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전도성 나노선을 합성하는 단계; (b) 3차원 주형을 제작하는 단계; (c) 상기 3차원 주형을 이용한 양각 전사방식 또는 음각 전사방식을 통하여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패터닝 하는 단계; 및 (d) 상기 패터닝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유연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폴리올 (polyol) 공정, 수열합성법, 전기방사법 및 전기도금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3D 프린터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주형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음각 전사방식을 통하여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패터닝 하기 위해, 상기 3차원 주형의 빈 공간에 액체에 분산 된 나노선 용액 채운 후, 용매를 제거하여 빈 공간에 나노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빈 공간에 형성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원하는 기판 위에 전사 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양각 전사방식을 통하여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패터닝 하기 위해, 고분자 막 상부에 전도성 나노선 용액을 이용하여 나노선 네트워크 층을 형성하고, 상기 고분자 막 하부에는 3차원 주형을, 상부에는 평평한 기판을 놓고 압력을 가해 양각 부분이 평평한 기판 위에 전사되어,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가 목표 기판에 패터닝 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음각 전사방식은 감압 제조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 제조 방식을 통해 제조되는 전도성 나노선 전극은 연속적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물 및 인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밴드타입으로 제작된 센서를 원하는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b) 센서 전위차 값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c) 신호 처리 및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센서와 스마트폰이 통신하는 단계; 및 (d) 스마트폰에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는 온도센서전극의 수동저항소자 및 저항 온도계수의 차이에 기인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에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물 및 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는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에 있어서, 3차원 주형을 이용하여 패터닝된 나노선 유연전극; 및 일 방향으로 휘는 폴리이미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이 상기 폴리이미드 기판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은 상기 플리이미드 기판의 양면 중 어느 한쪽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3차원 주형은 3D 프린터 또는 형틀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3차원 주형은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 아세탈(Acetal), 아크릴(PMMA, Polymethylmethacrylate), 셀룰로오스(Cellulose), 불화탄소(Fluorocarbo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열가소성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술폰(Polysullfone) 및 PVC(Polyvinyl Chlorid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은 연속적인 형태로써 선형, 원형, 나선형, 계단형, 지그재그형, 한글 자모 'ㄷ'(디귿) 자형, 한글 자모 'ㄹ'(리을) 자형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의 선 폭은 100 μm 내지 10 m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은 2개 이상, 4개 이하의 전극 접촉 수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은 금, 은, 구리, 니켈, 티타늄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의 저항은 50 내지 5000 Ω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3차원 주형의 형태에 따라 상기 나노선 유연전극의 패터닝 방식이 음각 방식 및 양각 방식 중 하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양각 방식은 감압방식, 스핀코팅방식 및 바코팅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각 방식은 감압 제조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나노선 전극을 이용한 온도센서를 제공한다. 유연한 전극 형태 기반의 온도유지가 필요한 혈액 및 음식물 또는 관리가 필요한 영, 유아 혹은 중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유연한 형태를 요구하는 기기 또는 인체의 신뢰 높은 온도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 가능한 전극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3D 프린터로 제조된 주형을 이용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의 패터닝 제조 공정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은 나노선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은 나노선 투과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법에 의해 제조 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코팅법에 의해 제조 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법에 의해 제조 된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코팅법에 의해 제조 된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함량별 투과도 그래프(좌: 유리기판, 우: 투명폴리이미드기판)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투과도 vs. 표면저항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사용 된 3D 주형 및 패터닝된 은 나노선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패터닝 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의 저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패터닝 된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전극을 올린 패터닝 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온도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은 나노선 네트워크의 저항과 온도의 선형관계 그래프와 밴딩테스트 기계적 안정성 평가 그래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온도측정을 위한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위차에 의한 온도센서 출력 값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선 네트워크 스마트 온도계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선 네트워크 스마트 온도계의 프로토타입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선 네트워크 동작 순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 나노선 네트워크 온도계의 휴대폰 연동 값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가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의 제조 공정도를 보여준다. 도 1의 제조 공정은 은 나노선을 합성하는 단계(S110), 3차원 주형을 제작하는 단계(S120), 3차원 주형을 이용하여 은 나노선 전극을 패터닝하는 단계(S130) 및 패터닝 된 은 나노선 전극을 폴리이미드 기판에 내장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제조 공정에서는 우선 은 나노선을 합성하여 분산에 유리한 용매에 보관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조된 3차원 주형을 이용하여 은 나노선 전극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이때, 패터닝 방식은 음극형과 양극형으로 나뉠 수 있다. 패터닝 된 은 나노선 전극은 폴리이미드 전구체와 함께 내장시켜 최종적으로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힌, 나노선 유연전극이 폴리이미드 기판에 내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전기 저항식 측온저항체인 백금을 다른 종류의 나노선으로 대체하였다. 온도센서는 1k Ω 이상의 저항을 가져야 하는데 은 나노선은 본질적으로 매우 낮은 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저항 수준을 달성 하지 위해서는 금속 나노선 네트워크의 밀도가 낮아야 한다. 그렇지만 금속 나노선 네트워크의 밀도가 낮을 경우 와이어간 컨택이 적어져 전기적 노이즈가 심해지기 때문에 불안정한 전기적 신호를 얻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금속 나노선 네트워크가 주는 플렉서블 특징과 전도도 특성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새로운 패터닝 방식을 적용하여 금속 나노선의 저항 범위를 확장시켜서 측정 감도를 향상시켰다. 한편, 나노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나노선 유연전극은 실시예에 따라 은(Ag)뿐만 아니라 금, 구리, 니켈, 백금, 티타늄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2는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의 단면(a) 및 평면(b) 모식도를 보여준다. 은 나노선 전극이 네트워크를 이루어 전극 폭이 100 μm 내지 10 mm 범위에서 형성 되며 폴리이미드 기판에 내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평면 모식도에서 보여지듯이 일정한 두께로 연속적인 전극 형태를 보이고 우상단과 좌하단에 접촉 전극 지점이 보여진다. 상기 나노선 전극의 형태는 도 3과 같은 주형 형태를 하나 이상의 모형을 포함시켜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이때의, 전극 형태는 양각 및 음각 공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 된 3차원 주형을 음각 및 양각 공정에 따른 제조 공정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터닝되지 않은 유연한 금속 나노선 네트워크는 온도센서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의 흐름 경로를 늘리거나 바꾸기 위해서는 금속 나노선 패터닝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온에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플라스틱을 얇은 선 형태로 성형압출하여 패터닝을 위해 양각형과 음각형 주형을 제작하였다.
음각공정의 경우, 넓은 면적의 나노선 네트워크 형성 단계 없이 감압방식에 의해 주형 빈공간에 패터닝 된 나노선 전극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는 도 3에서 전극 형태(검정색)를 제외한 부분에 주형 틀을 잡아 만들 수 있다. 반면 양각 공정의 경우, 우선 감압코팅 방식을 선택하여 넓은 면적의 나노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3차원 주형 형태를 바로 원하는 기판에 전사 시킨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 기재한다.
상기 주형은 매트릭스, 몰드, 모체, 모형 같은 뜻과 동일하게 쓰일 수 있으며, 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 아세탈(Acetal), 아크릴(PMMA, Polymethylmethacrylate), 셀룰로오스 (Cellulose), 불화탄소 (Fluorocarbon), 폴리아미드 (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Polyester),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폴리술폰 (Polysullfone), PVC (Polyvinyl Chloride)과 같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주형 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현 시점의 3D 프린터 기술에 있어 성형압출 되는 해상도 한계 및 안정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형 선의 두께를 1-3 mm 로 고정하였으나 보다 정밀한 미세 패터닝이 가능한 3D 프린터를 사용한다면 주형 선의 두께를 1 mm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양각형 주형을 사용하면 스탬프(Stamp) 방식으로 금속 나노선의 패터닝 가능하고 음각형 주형을 사용하게 되면 금속 나노선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서 패터닝이 가능하다. 각 방식은 공정 조건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채택하여 전극 선 폭은 100 μm 내지 10 mm 의 범위에서 제작 가능하다.
상기 3D 프린터에 의해 패터닝 된 나노선 전극의 형태는 도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원형, 나선형, 계단형, 지그재그형, 한글 자모 디귿(ㄷ) 자형, 한글 자모 리을 'ㄹ' 자형의 모형 중 최소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제작 가능하다. 온도 센서의 형태에 따라서 전극의 접촉 수가 최소 2개에서 4개 이하의 접촉이 가능 한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 시점 기술 수준에서 대량 생산 기술이 가능한 은 나노선을 가지고 전극을 제조 하였지만 은을 포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 구리, 니켈, 티타늄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나노선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극의 저항은 2점 사이의 저항을 읽는다. 이때의 저항은 500에서 10000 Ω 사이가 적당하며 저항 크기가 커질수록 민감도는 증가하지만 저항열 발생으로 인한 오차도 생기게 되기 때문에 나노선 원소의 종류에 맞추어 적절히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판 재료로 사용 되는 폴리이미드는 전구체인 폴리아믹엑시드로부터 열 또는 광원에 의한 처리를 거쳐 만들어지거나 폴리이미드 필름을 직접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은 나노선과 투명폴리이미드를 이용하여 은 나노선이 기판에 내장된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극을 구성하는 은 나노선과 기판을 이루는 투명 폴리이미드 용액을 합성한다.
은 나노선은 폴리올(polyol) 방식에 의해서 합성되었고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용액 1. 3-neck 둥근 플라스크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EG) 200 mL에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6.68 g을 녹이고 170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준다. 용액 2. 다른 용기에 AgCl 0.5 g을 EG 10 mL에 녹여 상온에서 녹여준다. 용액 3. 또 다른 용기에 AgNO3 2.2 g을 EG 5 mL에 완전히 녹여준다. 용액 1에 용액 2와 3을 순서대로 5 mL/hour의 속도로 천천히 주입시켜 2 시간 동안 반응 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은 나노선의 PVP와 반응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탈이온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해준다. 세척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이온수를 넣어 2000 rpm에서 4회, 에탄올에서 4회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은 나노선을 획득하였다. 도 5과 6은 각각 주사전자현미경 사진과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50-100 nm의 매우 가는 은 나노선이 10 μm 이상의 길이로 대면적으로 성장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고, 회절패턴으로 은의 (200)이 0.207 nm의 면 지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시로 투명 폴리이미드 전구체인 폴리아믹엑시드(Polyamicacid, PAA)를 합성하였다. 용매로써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3.5 mL에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thalic anhydride (6FDA) 1.018 g과 diaminodiphenyl sulfone (APS) 0.569 g을 4시간 동안 마그네틱 바를 넣어 500 rpm의 속도 그리고 상온에서 녹여주었다.
본 발명에서 은 나노선 네트워크는 2가지 방식에 의해 제조 되었다. 첫 번째 방식은 여과법(도 7)에 의해 제조 되었다. 에탄올에 희석 되어 있는 은 나노선 용액을 나일론 여과지 위에 진공펌프를 이용해 여과시켜 전극을 얻는다. 여과 후 나일론 여과지 위의 은 나노선 네트워크를 유리기판에 옮기기 위해서 에탄올이 마르지 않을 정도의 시간(1 분 이내)에 2면 압착기에 나일론 여과지와 30 × 30 mm 유리기판을 맞대어 수 초 동안 30 MPa의 압력을 주게 되면 나일론 여과지의 은 나노선 네트워크가 유리기판 위로 옮겨진다. 또 다른 방식은 스핀코팅법에 의해 제조 되었다. 스핀코터에 30 × 30 mm 유리기판을 올리고 3000 rpm 속도에서 에탄올에 희석 되어 있는 은 나노선 용액을 5초에 한 방울씩 떨어뜨려 은 나노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도 8) 은 나노선의 밀도는 코팅 시간, 용액의 농도에 비례하고 기판 면적에 반비례 한다.
상기의 유리기판 위에 코팅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를 투명폴리이미드 기판에 상기의 폴리아믹엑시드 고분자 용액을 도포하여 전극과 기판을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기판 위해 은 나노선 네트워크가 노출된 면에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를 이용하여 폴리아믹엑시드 고분자 용액을 얇게 코팅시켜주고 진공펌프에서 10분간 두어 기포를 제거한 뒤에 상압 및 공기 분위기와 함께 100, 200 그리고 230도에서 30, 30 그리고 60분 동안 2 ℃/분의 승온속도와 함께 열처리를 진행해준다. 이 과정을 거쳐 제조된 유리기판 위의 유연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탈이온수에 담지시켜 유리기판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을 제조한다. (도 9, 10)
스핀코팅법은 기판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도 8의 주사전자현미경에서 보듯이 돌출 된 은 나노선이 발견 되지 않았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독특한 경향을 보였다. 스핀코팅 방식에 의해 제조된 전극을 유연기판에 내장하게 되면 도 10에서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은 나노선의 한 쪽 면이 점이 아닌 선의 형태로 외부에 노출하게 된다. 이때 감압법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도 7 및 도 9)와는 확연히 다른 형태의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은 나노선 용액의 농도에 따른 투과도를 투명기판과 유리기판에 따라서 UV-Visable 분석을 진행하였다. 은 나노선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투과도가 낮아졌으며 0.2 mL 용액을 넣었을 경우, 유리기판은 88 % 투명폴리이미드 에서는 80% 수준의 투과도를 나타냈으며 약 76% 투과도에서의 저항은 6 ohm/sq로 나타났다. (도 11, 12)
[실시예 2] 3D 프린터로 제조된 주형을 이용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의 패터닝
3D 프린터를 이용한 은 나노선 네트워크 패터닝은 양각방식과 음각방식으로 나뉘어진다(도 4 참고).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된 3D 프린터는 ANC사의 메이커봇 리플리케이터 2(Makerbot replicator 2)를 사용했으며 주형의 형태는 3Ds max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3차원적으로 전극의 형태와 모양에 맞추어 제작하였다. 상기 3Ds max 프로그램으로 제도한 전극을 3D printer 프로그램에 맞추어 컨버팅 한 후에 프린터 자체의 기본 세팅 값에 맞추어 주형을 제작하였다.
도 4와 같은 공정에 따라서 AgNW를 패터닝 하였고 이때 사용된 은 나노선 용액의 농도는 은 나노선 네트워크에 비해 묽은 용액을 사용하였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음각공정의 경우 필터 상단에 필터종이를 올리고 그 위해 음각주형을 올려 실시예1에서 합성한 은 나노선 용액을 감압방식으로 필터를 하고 이후에 원하는 기판에 압착 방식으로 전사시킨다. 양각공정의 경우, 은 나노선 네트워크를 기판 위에 형성시키고 음각주형의 돌출 된 부분에 은 나노선과 목표 기판을 맞닿게 하여 그 부분을 전사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전사시킬 때의 압력을 약 5 Mpa로 정하여 사용 했으며 기판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음극 및 양극 주형과 패터닝 된 은 나노선 전극을 도 13 에서 보여주고 있다. 전극 형태는 주형의 크기와 유사하게 제조되었고 전극의 저항을 확인해본 결과 도 14와 같이 593 ohm 수준의 저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패터닝 된 은 나노선을 유연한 기판 위에 내장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내장 방식을 그대로 사용 했으며 이때의 전극은 도 15와 같이 유연한 나노선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3] 은 나노선 네트워크는 실시예 2의 3D 프린터로 제조된 주형을 이용하여 전사방법을 활용할 수 있지만, AgNW를 패터닝이 없이 은 나노선 네트워크를 유연기판에 전사를 하고, 후 처리를 통하여 레이저커터로 은 나노선 식각을 활용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용 포토공정을 통하여 패턴 후 Dry etching의 식각방식으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인체 체온측정, 혈액 팩, 생체실험샘플, 와인 등의 실시간 온도 측정
본 발명은 대상의 표면온도를 측정할 때 신체 및 사물의 원하는 부분에 부착이 가능한 유연소재 온도센서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온도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띠 형태로 온도계를 제작하여 와인병 혹은 혈액팩 등에 감싸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폴리이미드에 내장된 은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면 저항은 4 Ω/sq 으로써, 저항의 온도계수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가 0.0029 - 0.0032 (ppm/℃)로 기존의 은 나노선 전극을 사용할 경우, 외부 충격이나 오차 등에 민감하여 센서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은 나노선 전극의 면적(W)을 줄이고, 길이(L)을 늘리는 형태로 변형 제작을 한다. 제작 시 은 나노선 전기적 측정을 위해 Au, Ti, Cu, Ag와 같은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도 16에 제작된 은 나노선에 본딩을 위한 금속 전극을 올린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작된 은 나노선 전극의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저항을 측정한 값과 밴딩 테스트의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은 길이와 넓이가 다른 은 나노선들을 측정한 것이다. 온도의 증가에 따른 저항 값을 확인해보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들은 밴딩 반지름 5 mm의 구부림에서 2000번까지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저항 값에 변화가 크지 않고,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은 온도센서 회로 구성하였다. 도 19에서는 온도센서와 수동저항소자(Rs)의 저항의 온도 계수 (TCR)의 차이에 기인한 전위차가 온도에 선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선형성으로 측정하는 물체의 온도를 알 수 있다. 선형적인 값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그래프에서 기울기와 절편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전위차를 신호 처리 부분에 전달하여, 해당 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로 변환한다. 변환된 신호를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도 20).
도 21에서 밴드타입의 패치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 22에는 상기 밴드타입으로 제작된 센서의 구동 원리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나타내었다. 도 22에서의 센서를 이용한 온도 정보 제공 방법의 구동 원리는 밴드타입으로 제작된 센서를 원하는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2210), 센서 전위차 값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S2220), 신호 처리 및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센서와 스마트폰이 통신하는 단계(S2230) 및 스마트폰에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실제 시뮬레이션 진행 결과를 보여준다. 블루투스와 아두이노 모듈, 수동저항소자(Rs)와 온도센서, 배터리를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온을 측정하였고, 열을 가해주어 더 높은 온도를 얻은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센서부와 연결되어있는 IC(Integrated Circuit)칩의 블루투스와 연동되어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온도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은 나노선 전극 온도계는 유연한 환경,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대면적화가 가능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끈 형태의 온도계 디자인이 가능하다. 고무줄과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해 물체 표면에 감싸서 사용을 하는 형태로 대상의 표면온도 측정 시 물체의 표면적 및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3차원 주형을 이용하여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기설정된 모양의 내부에 다수의 전도성 나노선에 의해 구성되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이 포함됨에 따라,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기설정된 모양으로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기판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결정되는 저항을 가지며,
    상기 저항과 상기 기판의 온도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2. 제1항에 있어,
    상기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은 투과도 50% ~ 99% 범위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3.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구성하는 전도성 나노선은 Ti, Ni, Cu, Ag, Ru, Rh, Pd, Ir 및 A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4.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에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도성 나노선 각각의 두께는 10 내지 200 nm의 범위에 포함되고, 길이는 1 내지 500 ㎛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5.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속적인 형태로써 선형, 원형, 나선형, 계단형, 지그재그형, ㄷ자형 및 ㄹ자형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상기 기설정된 모양으로서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6.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은 상기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에 부분적으로 내장되거나 전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7. 제1항에 있어,
    상기 3차원 주형은 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 아세탈(Acetal), 아크릴(PMMA, Polymethylmethacrylate), 셀룰로오스 (Cellulose), 불화탄소 (Fluorocarbon), 폴리아미드 (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Polyester),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폴리술폰 (Polysullfone) 및 PVC (Polyvinyl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8.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선 폭은 100 μm 내지 10 m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9.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은 저항 측정을 위해 최소 2개 이상에서 4개 이하의 전기적 접촉이 가능 한 전극 구조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10. 제1항에 있어,
    상기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의 전기 저항은 500 내지 10000 Ω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을 포함하고, 사물 및 인체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12.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다수의 전도성 나노선을 합성하는 단계;
    (b) 3차원 주형을 제작하는 단계;
    (c) 상기 3차원 주형을 이용한 양각 전사방식 또는 음각 전사방식을 통하여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기설정된 모양의 내부에 상기 다수의 전도성 나노선에 의해 구성되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이 포함됨에 따라,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상기 기설정된 모양으로 패터닝 하는 단계; 및
    (d) 상기 패터닝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유연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내장 또는 전사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
    상기 (a) 단계는,
    폴리올 (polyol) 공정, 수열합성법, 전기방사법 및 전기도금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선을 제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
    상기 (b) 단계는,
    3D 프린터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주형을 제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
    상기 (c) 단계는, 상기 음각 전사방식을 통하여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패터닝 하기 위해,
    상기 3차원 주형의 빈 공간에 상기 다수의 전도성 나노선이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전도성 나노선 용액을 채운 후,
    용매를 제거하여 빈 공간에 나노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상기 빈 공간에 형성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원하는 기판 위에 전사 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
    상기 (c) 단계는, 상기 양각 전사방식을 통하여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를 패터닝 하기 위해,
    고분자 막 상부에 전도성 나노선 용액을 이용하여 나노선 네트워크 층을 형성하고,
    상기 고분자 막 하부에는 3차원 주형을, 상부에는 전사하고자 하는 기판을 놓고 압력을 가해 양각 부분이 상기 기판 위에 전사되어,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가 목표 기판에 패터닝 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
    상기 음각 전사방식은 감압 제조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 제조 방식을 통해 제조되는 전도성 나노선 전극은 연속적인 형태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용 부착형 유연전극의 제조 방법.
  18. 사물 및 인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밴드타입으로 제작된 센서를 원하는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b) 센서 전위차 값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c) 신호 처리 및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센서와 스마트폰이 통신하는 단계; 및
    (d) 스마트폰에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3차원 주형을 이용하여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기설정된 모양의 내부에 다수의 전도성 나노선에 의해 구성되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이 포함됨에 따라,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이미드 기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기설정된 모양으로 패터닝 된 전도성 나노선 네트워크 전극을 포함하는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
    상기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는 온도센서전극의 수동저항소자 및 저항 온도계수의 차이에 기인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
    상기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에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타입형 온도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
KR1020170011236A 2017-01-24 2017-01-24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190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36A KR101903875B1 (ko) 2017-01-24 2017-01-24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36A KR101903875B1 (ko) 2017-01-24 2017-01-24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44A KR20180087044A (ko) 2018-08-01
KR101903875B1 true KR101903875B1 (ko) 2018-11-13

Family

ID=6322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36A KR101903875B1 (ko) 2017-01-24 2017-01-24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933A (ko) 2020-10-26 2022-05-03 한국화학연구원 유연전극용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199A (ko)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
CN109764971B (zh) 2019-01-14 2021-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温度传感器及其制作方法和柔性设备
KR102245624B1 (ko) * 2019-06-07 2021-04-2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광 및 온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일체형 화재감지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CN112880851B (zh) * 2021-01-17 2024-02-06 西北工业大学 一种可穿戴式温度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933A (ko) 2020-10-26 2022-05-03 한국화학연구원 유연전극용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44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875B1 (ko) 부착형 온도측정 유연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09883583B (zh) 一种弹性体薄膜及其制备方法与包含该弹性体薄膜的柔性压力传感器
Cai et al. Flexible temperature sensors constructed with fiber materials
Mirjalali et al. Wearable sensors for remote health monitoring: Potential applications for early diagnosis of COVID‐19
Delipinar et al. Fabrication and materials integration of flexible humidity sensors for emerging applications
Zhou et al. Rapid response flexible humidity sensor for respiration monitoring using nano-confined strategy
Costa et al. Flexible sensors—from materials to applications
Barmpakos et al. A review on humidity, temperature and strain printed sensors—Current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Zhang et al. Conformal manufacturing of soft deformable sensors on the curved surface
TWI644649B (zh) 溫度感應器貼片與包含其的黏著式溫度計
CN111248888B (zh) 具有表面多级微结构的弹性体薄膜及其制备方法与含该弹性体薄膜的柔性压力传感器
CN109752029B (zh) 一种纸基电容型柔性传感器的制备方法
CN110082010A (zh) 柔性触觉传感器阵列及应用于其的阵列扫描系统
Nyabadza et al. Review of materials and fabrication methods for flexible nano and micro-scal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sensors
US20190331536A1 (en) Temperature sensor
Khan et al. Wearable printed temperature sensors: Short review on latest advanc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N103515045B (zh) 一种柔软压敏电涡流线圈的研制方法
CN108514405B (zh) 一种体温贴片及体温检测系统
CN104246676A (zh) 触摸面板构件以及其制造方法
Gupta et al. Cosmetically adaptable transparent strain sensor for sensitively delineating patterns in small movements of vital human organs
Sajid et al. Development of 3D-printed embedded temperature sensor for both terrestrial and aquatic environmental monitoring robots
Zhang et al. Review on microscale sensors with 3D engineered structures: Fabrication and applications
Wu et al. Low-dimensional material based wearable sensors
CN109357796A (zh) 可穿戴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Khuje et al. Flexible copper nanowire electronics for wireless dynamic pressure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