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397B1 - 곡블록 지지구 - Google Patents

곡블록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97B1
KR101903397B1 KR1020170111083A KR20170111083A KR101903397B1 KR 101903397 B1 KR101903397 B1 KR 101903397B1 KR 1020170111083 A KR1020170111083 A KR 1020170111083A KR 20170111083 A KR20170111083 A KR 20170111083A KR 101903397 B1 KR101903397 B1 KR 10190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base
block
suppor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B63B273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곡블록 지지구는 지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서포터, 베이스에 일단이 접하고, 타단이 제1서포터에 결합되는 제2서포터 및 제1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곡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제1서포터, 제2서포터 및 베이스를 통해 지탱되어 지지플레이트가 일정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곡블록 지지구{SUPPORTET FOR CURVED BLOCK}
본 발명은 곡면을 지닌 구조물의 하부를 지탱하여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선저의 만곡된 곡블록이 일정 높이에서 고정된채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곡블록의 저면에 접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곡블록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은 그 건조 과정의 복잡성과 큰 규모에 의해 다양한 공정들이 세분화되고 이들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선박은 수상에 부유하는 구조물로서, 수상에 부유한 채로 일정한 방향으로 항해를 진행하기 위한 저항력을 줄이기 위해 선저가 일정 곡률을 지니고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선박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장치 없이 지상에 바로 세워 고정할 수가 없다.
종래에는 선박을 지상에 바로 세워 고정한 후 건조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저의 곡면을 이루는 곡블록 저면에 다수 개의 지지구가 배치되어 하중을 분산하여 지탱하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실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외관(14)이 지면과 접하여 지지되고, 외관(14)에 일부가 수용되어 상부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관(12)이 블록(b)의 저면과 접하여 하중이 전달되었다.
내관(12)의 높이는 내관(1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16)의 위치를 조절함으로 수행되었고, 내관(12)의 상단이 블록(b)의 저면과 하나의 점에서 접하여 하중을 지탱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구가 오와 열을 맞추어 다수 개 배치되어 각기 블록(b)의 저면에서 블록(b)의 곡률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하중을 지탱하며 종국적으로 선박이 지상에 바로서서 고정되도록 작동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모든 지지구가 블록(b)의 저면과 접하여 블록(b)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지탱될 수가 없었다.
상세하게는, 지지구의 내관(12)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블록(b)의 저면과 접하도록 조절할 수가 없었고, 이로인해 다수 개의 지지구가 배치되어 블록(b)을 지탱하는 경우 블록(b)과 접하지 않는 지지구가 발생되어 일부 지지구에만 하중이 과도하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b)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내관(12)의 상단에 전달되나, 일정한 곡률을 지닌 곡블록의 형태적인 특징으로 인해 내관(12)의 상단에 수직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지닌 하중이 가해지므로 외관(14) 및 내관(12)이 결합된 위치에서 내관(12)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곡블록의 저면과 면접하여 하중을 지탱할 수 있고, 곡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곡블록 지지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블록 지지구는 지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서포터, 베이스에 일단이 접하고, 타단이 제1서포터에 결합되는 제2서포터 및 제1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곡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제1서포터, 제2서포터 및 베이스를 통해 지탱되어 지지플레이트가 일정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서포터 및 제2서포터는 각기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제1서포터는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서포터는 타단이 제1서포터의 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서포터의 일단이 베이스와 접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서포터의 기립 각도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는 상면에 제2서포터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는, 지지플레이트는 양측에 결합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지지윙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는 곡블록의 저면과 면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플레이트는 제1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블록 지지구는 곡블록의 저면과 면접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곡블록의 하중을 지탱하는 효과가 있고, 지지플레이트가 제1서포터 및 제2서포터에 의해 지탱되어 하중이 분산되므로 사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부 지지구에만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거나 일부 지지구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곡블록을 지탱하기 위한 종래 지지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가 곡블록의 저면에 배치되어 곡블록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가 곡블록의 저면에 배치되어 곡블록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0), 베이스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100)의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제1서포터(200), 일단이 베이스(100)에 접하고, 타단이 제1서포터(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100)와 접하는 지점이 조절되어 제1서포터(200)의 기립 각도가 조절되도록 작동되는 제2서포터(300) 및 제1서포터(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지지플레이트(400)가 포함되고, 곡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제1서포터(200), 제2서포터(300) 및 베이스(100)를 통해 지탱되어 지지플레이트(400)가 일정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는 선박의 건조 시 일정한 곡률을 지니는 선박의 선저를 이루는 곡블록을 거치하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박의 특성상 곡블록의 외형이 지닌 만곡 정도가 각 위치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건조되는 선박의 종류에 따라서도 일정한 곡블록의 외형이 정형화 되어 있지 않아 이에 맞추어 지지구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부담이 발생된다.
따라서,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여 지면으로부터 곡블록이 소정의 높이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지지구가 배치되고 곡블록은 다수 개의 지지구 상부에 거치되며, 각각의 지지구는 곡블록의 만곡된 저면에 맞추어 가기 다른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는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는 지지플레이트(400)가 구비되고, 지지플레이트(400)의 높이가 조절되고, 곡블록의 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효율적으로 지면에 전달되어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서포터(200), 제2서포터(300) 및 베이스(100)가 안정적인 구조로 결합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로서 베이스(10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저면이 지면에 넓게 접하여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의 마찰력 및 상부로부터의 하중에도 견고하게 지탱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강성이 높고 변형이 적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서포터(200)는 베이스의 상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힌지(110)에 의해 일단이 베이스(100)와 결합되고,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서포터(200)는 힌지(110)에 구속된 일단으로부터 상부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포터(200)는 제1외관(210), 제1내관(22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제1외관(210)이 구비되고, 제1외관(210)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제1내관(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내관(220)은 제1외관(210)의 내측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수용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1내관(220)이 제1외관(210)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는 정도에 따라서 종국적으로 제1서포터(2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제1내관(220)이 제1외관(210)에 수용되는 정도는 제1내관(220)을 관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에 제1고정수단(230)이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1서포터(20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서포터(300)는 일단이 베이스(100)의 상면과 접하고, 타단은 제1서포터(200)의 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서포터(300)의 베이스(100)와 접하는 위치에 따라서 제1서포터(200)의 기립된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제2서포터(300) 또한 제1서포터(200)와 같은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서포터(200)가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기립된 각도는 제2서포터(300)의 일단이 베이스(100)와 접하는 지점이 조절됨으로 일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제2서포터(300)의 길이가 변화시킴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제2서포터(300)의 일단이 접하여 지지되되 일정한 위치에 접하여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0)는 제1서포터(200)가 베이스(100)와 결합된 지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점차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서포터(300)의 일단이 제1서포터(200)와 인접한 걸립부(120)에 지지되어 베이스(100)와 접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제1서포터(200)의 기립된 각도가 크게 형성되고, 제2서포터(300)의 일단이 제1서포터(200)와 점차 멀리 떨어져 있는 걸림부(120)에 지지되어 베이스(100)와 접하게 될 수록 제1서포터(200)의 기립되는 각도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제2서포터(30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은 제1서포터(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상술 하였으나,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여보면 제2서포터(300)는 제2외관(310) 및 제2내관(3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외관(310)은 제2내관(32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지니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2내관(320)이 슬라이딩되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내관(320)은 제2외관(310)에 슬라이딩되어 수용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제2서포터(30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작동되고, 제2내관(320)이 제2외관(310)에 수용되는 길이는 제2내관(32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관통공에 제2고정수단(330)이 끼워져 결정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00)는 제1서포터(2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00)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정한 곡률을 지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이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여 지탱하도록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00)는 일면에 접하는 곡블록의 만곡된 각도 및 곡률에 따라서 각도가 변화될 수 있어 곡블록의 저면과 최대한 대응되어 면이 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400)의 양측에는 지지윙(410)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윙(410)은 지지플레이트(400)와 힌지결합되나, 일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탄성힌지(420)로 결합도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플레이트(400)와 결합되는 지지윙(410)은 지지플레이트(400)의 곡블록과 접하는 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접힐 수 있도록 탄성힌지(420)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고, 곡블록이 지지플레이트(400) 및 지지윙(410)에 접함에 따라서 지지윙(410)이 곡블록 저면의 형상적인 특징에 따라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곡블록의 만곡된 저면과 지지플레이트(400)의 일면이 면접함과 아울러 지지윙(410)이 곡블록의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접혀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는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블록 지지구는 다수 개가 마련되어 곡블록의 저면에 배치된 각 위치에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조작되어 곡블록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b: 블록
10: 핀지그 12: 내관
14: 외관 16: 고정핀
100: 베이스 110: 힌지
120: 걸림부
200: 제1서포터 220: 제1내관
230: 제1고정수단
300: 제2서포터 310: 제2외관
320: 제2내관 330: 제2고정수단
400: 지지플레이트 410: 지지윙
420: 탄성힌지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서포터;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서포터에 결합되는 제2서포터; 및
    상기 제1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고, 곡블록의 저면과 접하여 하중이 가해지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곡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제1서포터, 상기 제2서포터 및 상기 베이스를 통해 지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양측에 결합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지지윙을 포함하는 곡블록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터 및 상기 제2서포터는 각기 길이가 조절되는 곡블록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터는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서포터는 타단이 상기 제1서포터의 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서포터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접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1서포터의 기립 각도가 변하는 곡블록 지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제2서포터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걸림부;
    를 포함하는 곡블록 지지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곡블록의 저면과 면접하도록 형성되는 곡블록 지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제1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곡블록 지지구.
KR1020170111083A 2017-08-31 2017-08-31 곡블록 지지구 KR10190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83A KR101903397B1 (ko) 2017-08-31 2017-08-31 곡블록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83A KR101903397B1 (ko) 2017-08-31 2017-08-31 곡블록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397B1 true KR101903397B1 (ko) 2018-10-02

Family

ID=6386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083A KR101903397B1 (ko) 2017-08-31 2017-08-31 곡블록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663A (zh) * 2018-11-20 2019-01-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铝模板加固装置
CN112960077A (zh) * 2021-03-31 2021-06-15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船体建造升降调节支撑装置
CN113756608A (zh) * 2021-09-06 2021-12-07 湖北茂捷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钢结构中心支撑装置
KR102541903B1 (ko) 2022-12-19 2023-06-13 (주)엠테스 유압방식의 서포트 잭업장치
KR102606371B1 (ko) 2022-12-16 2023-11-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서포트 잭업 장선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663A (zh) * 2018-11-20 2019-01-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铝模板加固装置
CN112960077A (zh) * 2021-03-31 2021-06-15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船体建造升降调节支撑装置
CN113756608A (zh) * 2021-09-06 2021-12-07 湖北茂捷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钢结构中心支撑装置
KR102606371B1 (ko) 2022-12-16 2023-11-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서포트 잭업 장선기
KR102541903B1 (ko) 2022-12-19 2023-06-13 (주)엠테스 유압방식의 서포트 잭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397B1 (ko) 곡블록 지지구
US7588228B2 (en) Adjustable tripod stand
GB2222364A (en) Adjustably tiltable tripod stand
HUP0203967A2 (en) Antenna mast and device for adjusting an antenna orientation
RU2018115671A (ru) Опорная головка, потолочная опора и потолочная опалубка, имеющая такую потолочную опору
CN103477159A (zh) 面板支撑结构的锚固装置
WO2015076507A1 (ko) 농작물 다기능 지주대
US4356637A (en) Device for holding a surveyor's range pole
US4373279A (en) Frame straightening and supporting device
RU96100046A (ru)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CN214064024U (zh) 一种新型水利施工设备支撑装置
US5413303A (en) Supporting assembly for a vehicle chassis
FR2794290B1 (fr) Antenne a polarisation verticale
CN105140169B (zh) 一种支撑结构及真空设备
CN107767844B (zh) 一种吉他支撑架
KR100865038B1 (ko) 전천후 스케이트장용 패널 지지장치
US20180172203A1 (en) Spacer parts carrying element
JP2018099249A (ja) 壁面収納舞台
KR20044605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박블록 지지대
KR20140003550U (ko) 삼각대의 고정 장치
CN104135834A (zh) 一种带热通道的底座
US20140215801A1 (en) Method of securing a musical instrument stand to a flat surface
CN220171701U (zh) 一种森林防火用警示装置
KR200397697Y1 (ko) 탁상일기
EP1106748A3 (en) Supporting and holding device for positioning form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