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133B1 -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133B1
KR101903133B1 KR1020160121519A KR20160121519A KR101903133B1 KR 101903133 B1 KR101903133 B1 KR 101903133B1 KR 1020160121519 A KR1020160121519 A KR 1020160121519A KR 20160121519 A KR20160121519 A KR 20160121519A KR 101903133 B1 KR101903133 B1 KR 10190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structure
leakage
sealing member
tensio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383A (ko
Inventor
류용희
김현석
서성원
이윤한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1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1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e.g. due to gaseous ac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는,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실링부재와, 실링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잡아당겨짐으로써 실링부재와의 연결 상태가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일단은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로 연장되어 실링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결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제공부, 및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폐쇄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LEAKAG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과 같은 극저온 액화물은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이하)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극저온 액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배관의 몸체에 손상이 발생하여 액화물의 누출이 발생하면, 누출된 극저온 액화물이 주변의 구조물과 접촉하면서 구조물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6639호(2015.07.07, 열선을 사용한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저장설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관과 같은 폐쇄형 구조물에서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화물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실링부재; 실링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잡아당겨짐으로써 실링부재와의 연결 상태가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일단은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로 연장되어 실링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결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제공부; 및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폐쇄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장력 제공부는,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축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방향 운동이 가능한 스크류 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류 바디는 폐쇄형 구조물과 하우징부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장력 제공부는,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에 의해 연결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제공부는,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압축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압축이 해제됨으로써 자체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제공부는, 탄성부재의 압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걸림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유동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관과 같은 폐쇄형 구조물에서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화물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폐쇄형 구조물의 손상된 누출 지점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상기 누출 지점의 표면에 밀착이 가능한 실링부재를 구현함으로써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화물의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누출액을 차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관과 같은 폐쇄형 구조물에서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화물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폐쇄형 구조물의 손상된 누출 지점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상기 누출 지점의 표면에 밀착이 가능한 실링부재를 구현함으로써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화물의 누출사고로 인한 주변 시설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누출액을 차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100)는 실링부재(110)와 연결부재(120)와 장력 제공부(130)와 하우징부(140)를 포함한다.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100)는 액화물 이송 배관과 같은 폐쇄형 구조물(10)에서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극저온의 액화물이 누출되더라도 폐쇄형 구조물(10)의 누출지점으로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한 실링부재(110)를 이용하여 상기 누출지점에 상기 실링부재(110)를 밀착시킴으로써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누출지점을 원천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극저온 액화물 누출사고로 인한 화재나 폭발 등 2차 재앙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폐쇄형 구조물(10)은 예를 들어 다수개의 배관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라인이거나 저장 컨테이너 형태일 수 있으며,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다양한 액화물을 저장, 보관 또는 이송하기 위한 구조물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폐쇄형 구조물(10)은 극저온 액체에 견딜 수 있는 고가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형 구조물(10)이 파이프라인인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폐쇄형 구조물(10)이라 함은 내부에 액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실링부재(110)는 이러한 폐쇄형 구조물(10)의 표면이 손상될 경우 상기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통한 액화물의 누출을 보다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재(110)는 유동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링부재(110)는 유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어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영역을 밀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링부재(110)는 탄성재질의 외피(미도시)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는 젤리형 충진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부재(110)의 형태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면, 그 재질이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링부재(11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실링부재(11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실링부재(110)를 폐쇄형 구조물(10)의 내부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부재(120)는 폐쇄형 구조물(10)에 구비된 구멍(식별 부호 미표기)을 통해 폐쇄형 구조물(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실링부재(110)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멍의 직경은 연결부재(120)의 직경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을 통해 폐쇄형 구조물(10) 내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실리콘 구리스와 같은 밀봉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20)는 실링부재(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실링부재(110)와의 연결 상태가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20)는 허용 기준치 이상의 장력이 연결부재(120)에 가해질 경우 연결부재(120)의 특정 부위가 끊어지도록 구성된 와이어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된 폐쇄형 구조물(10)에서 특정 영역이 손상되더라도 감지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는 후술할 장력 제공부(130)에 작동명령을 주어 연결부재(120)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제공되는 장력에 의해 특정 부위가 끊어짐으로써 폐쇄형 구조물(10) 내부에 위치한 실링부재(110)를 분리시킬 수 있고, 이렇게 분리된 실링부재(11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통한 액화물의 누출을 보다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장력 제공부(130)는 연결부재(120)의 일단이 폐쇄형 구조물(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실링부재(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결부재(120)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장력 제공부(130)는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축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방향 운동이 가능한 스크류 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 바디(131)는 폐쇄형 구조물(10) 또는 하우징부(140)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류 바디(131)는 하우징부(14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축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방향 운동(도면의 화살표 참조)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류 바디(131)가 폐쇄형 구조물(10) 또는 하우징부(140) 상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 바디(131)가 축회전 운동함에 따라 스크류 바디(131)에 결합된 연결부재(120)에 길이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연결부재(120)는 제공되는 장력에 의해 특정 부위가 끊어짐으로써 폐쇄형 구조물(10) 내부에 위치한 실링부재(110)를 분리시킬 수 있고, 이렇게 분리된 실링부재(11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통한 액화물의 누출을 보다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바디(131)가 폐쇄형 구조물(10) 또는 하우징부(140)에 지지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재(120)에 장력에 제공되도록 스크류 바디(131)가 길이방향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면, 스크류 바디(131)는 폐쇄형 구조물(10)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구조체(미도시)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지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 제공부(130)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는 예를 들어 기어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미도시)을 통해 동력을 스크류 바디(131)에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부(14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밀한 공간부(141)가 형성되도록 상기 폐쇄형 구조물(10) 상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그 공간부(141) 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한 중간 연결부(15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밀한 공간부(141)를 형성하는 하우징부(140)가 폐쇄형 구조물(10) 상에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폐쇄형 구조물(10)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폐쇄형 구조물(10) 내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더라도 상기 액체의 누출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방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40)는 상술한 장력 제공부(130)의 스크류 바디(131)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132)를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누출 차단 장치는 중간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결부(150)는 다수개의 실링부재(110)와 그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120)를 하나의 장력 제공부(130)에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중간 연결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곡선부를 갖는 막대부재일 수 있으며, 다수의 연결부재(120)를 하나의 장력 제공부(1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장력 제공부(130)가 연결부재(1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연결부재(120)에 동시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부재(120)와 하나의 장력 제공부(130) 사이에 중간 연결부(150)가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크류 바디(131)는 스크류 바디(13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중간 연결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바디(13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중간 연결부(150)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120)에 장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10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와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장력 제공부(130)의 세부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력 제공부(130)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132)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32)에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압축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132)는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132)는 전술한 실시예의 스크류 바디(131)와 달리, 중간 연결부(150)에 직접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실린더(132)의 신축 운동에 의해 중간 연결부(150)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120)에 장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132)가 하우징부(140)를 통해 폐쇄형 구조물(10)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132)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에 따라 중간 연결부(150)에 결합된 다수개의 연결부재(120)에 길이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연결부재(120)는 제공되는 장력에 의해 특정 부위가 끊어짐으로써 폐쇄형 구조물(10) 내부에 위치한 실링부재(110)를 분리시킬 수 있고, 이렇게 분리된 실링부재(11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통한 액화물의 누출을 보다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200)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와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장력 제공부(130)의 세부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력 제공부(130)는 탄성부재(133) 및 상기 탄성부재(133)의 압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걸림쇠(134)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쇠(134)의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압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자체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133)로는 용수철이 활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평상시 탄성부재(133)는 걸림쇠(134)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가압된 상태(압축상태)의 탄성부재(133)는, 하우징부(140)의 공간부(141) 내에 수용된 체로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써 실링부재(110)를 폐쇄형 구조물(10)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33)를 가압된 상태로 잡고 있던 걸림쇠(134)의 걸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33)가 자체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33)에 연결된 연결부재(120)에 허용 기준치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연결부재(120)는 제공되는 장력에 의해 특정 부위가 끊어짐으로써 폐쇄형 구조물(10) 내부에 위치한 실링부재(110)를 분리시킬 수 있고, 이렇게 분리된 실링부재(110)는 폐쇄형 구조물(10)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폐쇄형 구조물(10)의 손상된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통한 액화물의 누출을 보다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폐쇄형 구조물
100, 101, 200: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110: 실링부재 120: 연결부재
130: 장력 제공부 131: 스크류 바디
132: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 133: 탄성부재
134: 걸림쇠 140: 하우징부
141: 공간부 150: 중간 연결부

Claims (6)

  1.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실링부재;
    상기 실링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와의 연결 상태가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제공부; 및
    상기 폐쇄형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폐쇄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제공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축회전 운동에 의해 길이방향 운동이 가능한 스크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바디는 상기 폐쇄형 구조물과 상기 하우징부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유동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KR1020160121519A 2016-09-22 2016-09-22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KR10190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19A KR101903133B1 (ko) 2016-09-22 2016-09-22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19A KR101903133B1 (ko) 2016-09-22 2016-09-22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83A KR20180032383A (ko) 2018-03-30
KR101903133B1 true KR101903133B1 (ko) 2018-10-01

Family

ID=6190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519A KR101903133B1 (ko) 2016-09-22 2016-09-22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1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83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8507T3 (es) Acoplamiento para la unión de tuberías conductoras de fluidos
JP2006038223A (ja) パイプ装置のためのシール
US8336570B2 (en) High-pressure fluid conduit
US20110214750A1 (en) Fluid Conduit Safety System
US6178989B1 (en) Safety element for a duct
KR101903133B1 (ko) 누출액의 누출 차단 장치
JP6596023B2 (ja) 流体システムのための圧力吸収装置及び使用方法
RU2379643C2 (ru)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эвакуирован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JP2024503590A (ja) 緊急解放結合デバイス
US4512369A (en) Emergency disconnector for fluid loading and unloading lines
US8800588B2 (en) Glass bulb thermally-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safety inspection method, and equipment
RU2333137C1 (ru) Заправочно-дрен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авки бортовой емкости криогенными, взрывоопасными или токсичны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топлива
KR102392969B1 (ko) 가스저장탱크 밸브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장치
RU2646781C1 (ru) Бак топливный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дачи жидких компонентов
KR102245348B1 (ko) 유체탱크의 진공단열장치
CA2915836C (en) High-pressure fluid conduit
KR10208733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방지를 위한 유로차단 기능이 강화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안전장치
CN105650403A (zh) 一种管道封堵装置
KR20170143323A (ko) 액체 봉입형 유리벌브를 이용한 압력용기 밸브의 압력 해제장치
US3295545A (en) Liquid storage tank venting device for zero gravity environment
FR3078133A1 (fr) Compensateur de dilatatation pour conduits avec ensemble de secours et procede correspondant.
JP4474014B2 (ja) 管路の耐震構造
RU2779683C1 (ru) Разрывная муфта
RU2779806C1 (ru) Приводная муфта аварийного разъединения
RU2813001C1 (ru) Муфта аварийного разъеди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