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094B1 - Sleeve for Grating - Google Patents

Sleeve for Gr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094B1
KR101903094B1 KR1020170104961A KR20170104961A KR101903094B1 KR 101903094 B1 KR101903094 B1 KR 101903094B1 KR 1020170104961 A KR1020170104961 A KR 1020170104961A KR 20170104961 A KR20170104961 A KR 20170104961A KR 101903094 B1 KR101903094 B1 KR 10190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rating
rail
plates
sleev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leeve for a grating. The sleeve can adjust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to be fitted to the size of a penetration part penetrated through a part of a grating, and can be easily combined and installed. The sleeve for a grating comprises: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which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penetration part of the grating, and are capable of being extended by being coupled in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s; a first rail part which is formed by indent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eahch of the sleeve plates, and which is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an insertion member which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art and has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ail part; a connection member which has a hole allowing the insertion member to penetrate, and connects the sleeve plates; a connection unit which includes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penetrating the hole and fixing the connection member; a cover part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s of the sleeve plates; and an angle bracket which fixes the sleeve plates and the cover part.

Description

그레이팅용 슬리브{Sleeve for Grating}Sleeve for Grating

본 발명은 그레이팅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레이팅의 일부분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의 크기에 맞도록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결합하여 설치 가능한 그레이팅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slee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ting sleeve capable of adjusting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match a size of a penetration portion penetrating a part of a grating, .

일반적으로 그레이팅(grating)은 옥외 배수구 또는 환풍구 등의 뚜껑 등에 쓰이는 것으로, 격자모양의 철물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뜻하며, 선박 및 해양구조물 설계 시 중량의 경감 및 유체, 기체의 배출을 위해 데크나 플랫폼에 플레이트를 대체하여 많이 사용된다. Generally, grating is used for lids of outdoor outlets or ventilation openings. It is a structure made of grid-shaped hardware. It is used for designing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reducing weight and discharging fluid and gas. It is widely used to replace plates.

그레이팅은 인도와 차도의 빗물받이나 지하철 내의 환기목적으로 쓰는 환기구, 전력공급용으로 쓰는 전력구, 통신선로구성을 위한 통신구 등으로도 사용되며, 대부분이 복수 개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그레이팅에는 배관 및 전계장 등이 지나가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관통부를 보호하고 배관, 전계장 등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리브판이 설치된다. Gratings are also used as ventilation openings for ventilation in subway, for power supply for electric power supply, and for communication line construction in India and roadway, and most of them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tangular grid structures. In such a grating,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piping and electrical components pass is formed, and a sleeve plate for guiding the piping, electric field, and the like is provided.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슬리브판은 그레이팅의 상부에 격벽의 형태로 설치되며, 그레이팅의 상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슬리브판이 그레이팅에 미리 용접이 되어 제공됨에 따라, 배관 및 전계장 등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작업현장 여건에 맞지 않게 제작될 경우 그레이팅 자체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을 재 발주 함으로써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sleeve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ating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through welding,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working time is long. In addition, since the sleeve plate is previously welded to the grating, when the position of the piping, the electric field, etc. is changed or made to be incompatible with the worksite conditions, a problem has arisen that the grating itself must be newly manufactured. As a result, not only the working time is delayed but also the cost is increased by re-ordering the grating.

따라서, 그레이팅의 다양한 크기의 통로에 적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그레이팅용 슬리브를 필요로 하였다.Therefore, a grating sleeve is required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sizes of grating passages, is easy to install, and reduces installation cost and tim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1399호, (2003.10.17)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1399, (Oct. 17, 20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레이팅의 일부분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의 크기에 맞도록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결합하여 설치 가능한 그레이팅용 슬리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ating sleev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match the size of the penetrating portion passing through a part of the grating, I want to.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그레이팅용 슬리브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레이팅의 관통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복수 개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장 가능한 복수 개의 슬리브판과, 상기 슬리브판의 내측면이 만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레일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레일부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홀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유닛과,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슬리브판과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는 앵글브라켓을 포함한다.A grating sleeve according to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which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perforations of the grating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can be coup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 first rai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an insertion member having one e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rail, A connecting unit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member penetrates to connect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hole to fix the coupling member, A lid portion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and an angle bracket fixing the sleeve plate and the lid portion.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형상의 제1 연결부재와, 굴절된 판 형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bent plate.

상기 제1 레일부는 복수 개가 상기 내측면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rail portions may be form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ide surface.

상기 제1 레일부는 상기 삽입부재가 수용되는 내측 공간부의 폭이 입구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rail portion may have a width of an inner space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is received, which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inlet portion.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일단부가 두께는 입구부의 폭보다 작고 폭은 상기 입구부 폭보다 크게 확장될 수 있다.The insertion member may have the one end portion of which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portion and the width of which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portion.

삭제delete

상기 슬리브판의 상면과 하면에 만입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rail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rail portion.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은 상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의 상기 제2 레일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을 고정하는 이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may be stacked upwards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s of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to fix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용 슬리브는,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레이팅의 통로에 복수 개의 슬리브판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그레이팅의 위치와 크기에 맞게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여, 그레이팅의 통로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 되더라도, 복수 개의 그레이팅을 결합하여 크기를 넓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rating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adjusted in the passage of the grating while the grating is installed. That is, it is easy to adjust the length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grating. Even if the grating passages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gratings can be combined to enlarge the size.

아울러, 복수 개의 슬리브판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특징이 있으며, 그레이팅 통로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복수 개의 슬리브판을 분리한 후 재결합 하여 사용 가능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grating passage is changed,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can be separated and reassembled to be usable, There is an advantage of sa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덮개부와 앵글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리브판에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복수 개의 슬리브판을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sleeve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portion and an angle bracket of a grating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to the sleeve plate of FIG. 1;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combin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grating sleeve of Fig. 4;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grating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용 슬리브(1)는 그레이팅(G)의 일부분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관통부의 위치 및 크기에 맞도록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간편하게 결합하여 설치 가능하다.A grating slee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surround a penetration portion penetrating a part of a grating G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match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penetration portion.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grating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덮개부와 앵글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sleeve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lid portion and an angle bracket of a grating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용 슬리브(1)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과, 슬리브판(10)에 형성되는 제1 레일부(20)와,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을 포함한다.1 and 2, a grating slee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 first rail portion 10 formed on the sleeve plate 10 20, and a connection unit 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슬리브(1)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레이팅(G)의 관통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과, 슬리브판(10)의 내측면이 만입되어 형성되며, 내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20)와, 일단부가 제1 레일부(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 레일부(20)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부재(31)와, 삽입부재(31)가 관통하는 홀(320)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슬리브판(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와, 홀(320)을 관통한 삽입부재(31)에 결합되어 연결부재(32)를 고정하는 결합부재(33)를 포함하는 연결유닛(30)을 포함한다.The grating sleev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which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grating G and a plurality of A first rail part 20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rail part 20 and a second rail part 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ail part 20, A connecting member 32 formed with a hole 320 through which the insertion member 31 passes and which connects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nd a coupling unit (30) including a coupling member (33)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31) and fixing the coupling member (32).

슬리브판(10)은 그레이팅(G)의 관통부에 설치되어 그레이팅(G)을 관통하는 배관, 전계장 및 케이블 등을 보호하고 가이드하는 부재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관통부라 함은, 그레이팅(G)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그레이팅(G)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전계장 등이 지나가는 통로를 의미한다. 계속해서 설명하면, 슬리브판(10)은 복수 개가 그레이팅(G)의 관통부를 둘러싸도록 그레이팅(G)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레이팅(G)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배관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슬리브판(10)은 관통부가 형성되는 그레이팅(G)의 위치나 관통부의 크기에 맞도록 복수 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슬리브판(1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거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The sleeve plat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a member provided on a penetrating portion of the grating G and guiding and guiding piping, electric field, and cables passing through the grating G. In this specification, the penetrating portion means a passage through which piping and electric equipment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G through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grating G pass. The sleeve plate 1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ating G so that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10 surround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grating G to protect the piping and the lik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rating G. [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10 may be used in combination so as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grating G formed with the penetrating portion or the size of the penetrating portion. Although the sleeve plate 10 in FIG.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rectangular plates are formed to be the same size,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t least partially bent or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관통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슬리브판(10)의 내측면에는 제1 레일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슬리브판(10)의 내측면은, 슬리브판(10)이 관통부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었을 때, 슬리브판(10)이 배관 및 전계장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한다.The first rail part 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arranged to surround the penetrating part.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facing the pipe and electric field when the sleeve plate 1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penetration.

제1 레일부(20)는 슬리브판(10)의 내측으로부터 만입 형성되는 홈을 의미하며, 슬리브판(10)의 내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일부(20)는 슬리브판(10)의 내측면에 만입되어 형성된 입구부(200a)와 공간부(2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구부(200a)는 후술할 삽입부재(31)가 삽입되는 입구를 의미하고, 공간부(200b)는 삽입부재(31)가 입구부(200a)를 지나 수용되는 내측 공간을 의미한다. 제1 레일부(20)의 내측의 공간부(200b)는 입구부(200a)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후술할 삽입부재(31)가 제1 레일부(20)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공간부(200b)는 입구부(200a)로부터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 레일부(20)는 슬리브판(10)의 내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삽입부재(31)가 제1 레일부(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일부(20)의 수평방향이라 함은 중력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제1 레일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포함하여 상부에 배치된 제1 레일부(20)와 하부에 배치된 제1 레일부(20a)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제1 레일부(20, 20a)는 슬리브판(10)의 내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하나 또는 다수의 제1 레일부(20)가 슬리브판(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지 않고 슬리브판(10)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만입홈(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0)는 슬리브판(10)의 내측면이 아닌 외측면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이 외측에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rail 20 is a groove formed by being indented from the inside of the sleeve plate 10, and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leeve plate 10. The first rail part 20 may include an inlet part 200a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and a space part 200b. And the space portion 200b mean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31 is received through the inlet portion 200a. The space 200b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rail part 20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part 200a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31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first rail part 20. [ That is, the space portion 200b can be extended from the inlet portion 200a. The first rail part 20 formed in this manner extends horizont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31 can slide along the first rail part 20, They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and upside down.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part 20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vity. The first rail part 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ail part 20, And includes a rail portion 20 and a first rail portion 20a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two first rail portions 20 and 20a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but one or a plurality of the first rail portions 2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And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oves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without being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rail part 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rather than on the inner sid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may be coupled from the outside. .

한편, 제1 레일부(20)에는 연결유닛(30)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unit 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ail 20.

연결유닛(30)은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연결하는 부재로, 제1 레일부(20)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삽입부재(31)와, 삽입부재(31)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에 동시에 배치되는 연결부재(32)와, 연결부재(32)를 삽입부재(31)에 완전하게 고정하는 결합부재(33)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unit 30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nd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31 which is inserted and bound to the first rail portion 20, And a coupling member 33 for completely fixing the coupling member 32 to the insertion member 31. As shown in Fig.

삽입부재(31)는 제1 레일부(20)에 삽입되어 연결부재(32)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종의 나사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31)는 일단부의 두께(도 2의 z축 방향 참조)가 입구부(200a)의 폭(도 2의 z축 방향 참조)보다 작고, 일단부의 폭(도 2의 x축 방향 참조)은 입구부(200a)의 폭보다 크게 확장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31) 일단부의 z축방향의 길이보다 x축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삽입부재(31)는 일단부가 제1 레일부(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 레일부(2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된다. 이때, 삽입부재(31)의 타단부는 나사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부(200b)가 아닌 입구부(200a)의 방향으로 돌출 배치된다. 삽입부재(31)는 제1 레일부(20)에 삽입되고 제1 레일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삽입부재(31)는 제1 레일부(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슬리브판(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2)가 배치될 위치에 90°회전함으로써 제1 레일부(2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31)의 타단부는 제1 레일부(2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연결부재(32)가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ortion 20 to support the connection member 32 and may be formed of a screw member of a kind. 2) is smaller than the width (refer to the z-axis direction in Fig. 2) of the inlet portion 200a and the width of the one end portion (see the x-axis direction in Fig. 2)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portion 200a.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length of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31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On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31 thus forme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rail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31 is protruded from the first rail portion 2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member 31 may be formed of a screw member and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portion 200a, not the space portion 200b. 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art 20 and can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part 20. The insertion member 31 is slidable along the first rail 20 and rotates 90 degrees to a position at which the connecting member 32 connecting the sleeve plate 10 is to be disposed, Can be bound.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member 31 is protruded outside the first rail part 20 and the connection member 32 can be inserted.

연결부재(32)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연결하는 부재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2)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과 같이 연결하는 방향에 따라 다른 형상의 연결부재(32)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32)는 슬리브판(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32a)와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3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2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onnecting member 32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32 having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3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32a for connecting the sleeve plat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32b for connecting the sleeve plat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 연결부재(32a)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2)로,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2a)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부재(32a)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홀(320)의 직경은 삽입부재(3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홀(320)에 삽입부재(31)가 삽입되어 제1 연결부재(32a)를 삽입부재(31)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2a)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The first linking member 32a is a connecting member 32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The first linking member 32a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holes 320 passing through the first linking member 32a may be formed. The diameter of the hole 32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member 31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hole 320 to dispo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2a on the insertion member 31 .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inking members 32a are arranged vertically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2 연결부재(32b)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2)로, 슬리브판(10)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한번 굴절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ㄱ'자 형상으로 배치한다면 제2 연결부재(32b)는 적어도 한번 굴절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두 개의 슬리브판(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이 'ㅡ'자 형상으로 배치된다면, 제2 연결부재(32b)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부재(32b)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2)를 의미하되, 제2 연결부재(32b)는 두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리브판(10)을 연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연결부재(32b)에는 제2 연결부재(32b)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b)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320)에는 삽입부재(31)가 삽입되어 제2 연결부재(32b)를 삽입부재(31)에 고정시키므로, 홀(320)의 직경은 삽입부재(3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b)는 제1 연결부재(3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부재(31)와 결합부재(33)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에 동시에 고정되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is a connecting member 3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bent at least o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leeve plate 10 is disposed, Or the like. For example, if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re arranged in a letter 'A' shape,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may be formed at least once in a bent plate shape so that two different sleeve plates 10 can be connecte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b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to each other.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means a linking member 3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is formed in two shapes, ) Can be connected. Subsequently, a plurality of holes 320 passing through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Since 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320 formed in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is fixed to the insertion member 31,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mber (31). The second linking member 32b is disposed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31 and the engaging member 33 as described in the first linking member 32a and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t the same time,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슬리브판(10)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경우, 제1 연결부재(32a) 이외에도 이음부재(22)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더욱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슬리브판(10)의 상하부에는 제2 레일부(21)가 형성되며, 제2 레일부(21)에는 이음부재(2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sleeve plate 10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can be more completely fixed by using the coupling member 22 in addition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32a. A second rail port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leeve plate 10 and a joint member 22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econd rail portion 2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레일부(21)는 슬리브판(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로, 슬리브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만입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부(21)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판(1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만입 형성되는 입구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부(21)는 본 명세서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긴 레일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리브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만입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레일부(21)에는 이음부재(22)가 삽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rail 21 is a rail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leeve plate 10, and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leeve plate 10. The second rail part 21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leeve plate 1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can be extended from an inlet formed in the recessed part to an inner space. The second rail part 21 means a long rail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mean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sleeve plate 10. The joint member 22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part 21 thus formed.

이음부재(22)는 길게 형성되어 슬리브판(10)의 상부 및 하부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이어줄 수 있는 부재로, 제2 레일부(2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음부재(22)는 제2 레일부(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레일부(21)의 내측 공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재(22)는 제2 레일부(21)에 삽입될 경우 일부는 제2 레일부(21)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부에 배치된 슬리브판(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레일부(21)에 이음부재(22)의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돌출 배치되었을 경우, 나머지 일부가 다른 슬리브판(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레일부(21)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상하부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이음부재(22)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2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21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leeve plate 10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The joint member 2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rail 21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econd rail 21. When the joint member 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portion 21, a part of the joint member 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portion 21 and the remaining portion thereof is projected outwardly. 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joint member 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part 2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eeve plate 10 disposed at the lower part and the other part is projected, 10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t this time, the joint member 2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ilicon.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레일부(20)에는 연결부재(32) 이외에도 앵글브라켓(41)이 고정될 수 있다.3, an angle bracket 41 may be fixed to the first rail 20 in addition to the connecting member 32. [

앵글브라켓(41)은 슬리브판(10)의 상부에 덮개부(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삽입부재(31)와 결합부재(33)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앵글브라켓(41)은 'ㄱ'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철제 쇠붙이로, 제1 레일부(20)에 삽입된 삽입부재(31)에 고정될 수 있다. 앵글브라켓(41)은 연결부재(32)와 같은 방식으로, 삽입부재(31)가 제1 레일부(20)에 삽입하여 회전 결속된 후 삽입부재(31)에 결합되어 결합부재(33)로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앵글브라켓(41)은 제1 레일부(20)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레일부(20)에 고정된 앵글브라켓(41)의 상부에는 덮개부(40)가 배치되어 덮개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글브라켓(41)은 슬리브판(10)의 상면에 덮이는 덮개부(4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bracket 41 i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id portion 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plate 10 and can be coupled and fixed by the insertion member 31 and the engaging member 33. The angle bracket 41 may be fixed to the insertion member 31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ortion 20 by an iron metal member bent in an a-shape. The angle bracket 41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31 after 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ortion 20 and is rotationally coup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member 32, And can be completely fixed. A plurality of angle brackets 4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ail portion 20. A lid portion 4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bracket 41 fixed to the first rail portion 20, 40). Accordingly, the angle bracket 41 can be formed to have a length enough to support the lid 4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10.

한편, 덮개부(40)의 하면에는 이음부재(22)가 삽입되는 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덮개부(40)의 하면과 접하는 앵글브라켓(41)의 일부분은 삽입부재(31) 및 결합부재(33)가 삽입되어 덮개부(40)에 완전하게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A part of the angle bracket 4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art 4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art 40 by the insertion member 31, (33) may be inserted and completely fixed to the lid part (4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제1 레일부에 고정 결합되는 작동과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rai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1의 슬리브판에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to the sleeve plate of FIG. 1;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 1의 슬리브판(10)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부(20)와 제2 레일부(21)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레일부(20)와 제2 레일부(21)는 슬리브판(10)의 내측면으로부터 만입 형성 되어있다. 이때, 제1 레일부(20)와 제2 레일부(21) 모두 입구부(200a)로부터 공간부(200b)로 확장 형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a),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eeve plate 10 of Fig. 1 cut in a vertical direction is shown. The first rail part 20 and the second rail part 21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rail part 20 and the second rail part 21 are fixed to the sleeve plate 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both the first rail portion 20 and the second rail portion 21 are extended from the inlet portion 200a to the space portion 200b.

계속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레일부(20)와 제2 레일부(21)에 연결유닛(30)이 결합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레일부(20)에 삽입부재(31)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연결부재(32)를 고정시킬 위치에 삽입부재(31)를 이동시킨다. 삽입부재(31)가 이동한 후, 삽입부재(31)를 90°회전시켜 제1 레일부(20)에 결속시킨다. 제1 레일부(20)에 결속된 삽입부재(31)의 나사부에 연결부재(32)를 삽입한 후, 삽입부재(31)의 타단부에 결합부재(33)를 결합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를 제1 레일부(20)에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레일부(21)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유닛(30)을 결합시킬 수 있다.4 (b), the connect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first rail part 20 and the second rail part 21.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ortion 20 and the insertion member 31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member 32 is to be fixed. After the insertion member 31 is moved, the insertion member 31 is rotated by 90 ° to be bound to the first rail 20. 4 (c), when the connecting member 32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31 bound to the first rail portion 20 and the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31 is engaged, The connecting member 32 can be completely fixed to the first rail 20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unit 30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rail part 21 in the same manner.

한편,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연결유닛(30)을 모두 결합한 후에 제1 레일부(20)에 결속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레일부(20)에 삽입부재(31)를 삽입하기 전에 삽입부재(31)에 연결부재(32)를 삽입한 후, 결합부재(33)로 삽입부재(31)와 연결부재(32)를 결합시킨다. 삽입부재(31)에 연결부재(32)와 결합부재(33)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재(31)의 일단부를 제1 레일부(20)에 삽입한 후에 90°회전시켜 제1 레일부(20)와 연결유닛(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연결유닛(30) 이외에의 앵글브라켓(41)도 이와 같은 두 방법으로 제1 레일부(20)에 결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nection unit 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ail portion 20 after being combined. Specifically, after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32 into the inserting member 31 before inserting the inserting member 31 into the first rail 20, the inserting member 31 And the connecting member 32 is engaged. On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ortion 20 in the state where the coupling member 32 and the coupling member 33 are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31 and then rotated by 90 degrees, 20 and the connection unit 30 can be connected.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can be connected in this way and the angle bracket 41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unit 3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rail 20 in the same manner.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슬리브판이 결합되는 다양한 방법과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사용 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methods of combining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 examples of the grating slee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도 5 및 도 6은 복수 개의 슬리브판을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그레이팅용 슬리브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coupled together,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grating sleeve of FIG.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그레이팅(G)의 관통부의 크기는 배관 및 전계장 등의 크기에 따라 크거나 작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될 경우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이용하여 관통부의 크기에 맞도록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이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결합되거나 'ㄱ'자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 결합 방식에 맞는 제2 연결부재(32b)를 이용하여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며, 삽입부재(31)와 결합부재(33)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ize of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grating G is formed to be larger or small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iping and electric field. As shown in FIG. 5, when the size of the penetration portion is large,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10 may be used to fit the size of the penetration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re linearly coupled or horizontally coupled in a "? &Quot; shape, the second coupling member 32b can be easily coupled using the coupling member 32b, 31 and the engaging member 33. In addition,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그레이팅(G)의 관통부에 설치된 배관 또는 전계장이 그레이팅(G)의 상부로 돌출 배치되어 배관 또는 전계장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은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위아래로 결합하기 위해 제1 연결부재(32a)를 두 개의 슬리브판(10)과 모두 접하도록 배치한 후, 상부에 배치되는 슬리브판(10)의 제1 레일부(20a)에 삽입부재(31)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슬리브판(10)의 제1 레일부(20)에 삽입부재(31)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31)는 외부로 돌출 배치되므로, 삽입부재(31)에 제1 연결부재(32a)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연결부재(32)는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에 동시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결합부재(33)를 통하여 제1 연결부재(32a)를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re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may be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pipe or an electric field provid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grating G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rating G so as to guide the pipe or electric fie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2a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the two sleeve plates 10 in order to couple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up and down, and then the sleeve plate 10 The insertion member 31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part 20a and fixed to the first rail part 20 of the other sleeve plate 10 disposed below the first rail part 20a . At this time, since the insertion member 31 is protruded outward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2a can be disposed on the insertion member 31. FIG. The connecting member 32 arranged in this manner is arranged to contact the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10 at the same tim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2a can be completely fixed via the connecting member 33. [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그레이팅(G)의 상부에 관통부의 크기에 맞도록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이 결합한 도면을 살펴볼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관통부의 크기 및 위치나, 배관의 길이에 관계없이 다양한 사이즈로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그레이팅(G)을 새로 제작하여 슬리브판(10)을 결합할 필요 없이,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분리하고, 새로운 위치에 복수 개의 슬리브판(10)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비용 절감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7,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ating G to match the size of the penetrating portion.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can be used in combin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can be used in various sizes regardless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pip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is changed,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re separated and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10 are reused at a new position without having to newly manufacture the grating G to join the sleeve plate 10 So that it is easy to separate and combine. Thus, it is advantageous in cost reduction and convenien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그레이팅용 슬리브 10: 슬리브판
20, 20a: 제1 레일부 21: 제2 레일부
22: 이음부재 30: 연결유닛
31: 삽입부재 32: 연결부재
32a: 제1 연결부재 32b: 제2 연결부재
33: 결합부재 40: 덮개부
41: 앵글브라켓 200a: 입구부
200b: 공간부 320: 홀
G: 그레이팅
1: Sleeve for grating 10: Sleeve plate
20, 20a: first rail part 21: second rail part
22: joint member 30: connecting unit
31: insertion member 32: connecting member
32a: first connecting member 32b: second connecting member
33: coupling member 40:
41: Angle bracket 200a:
200b: space part 320: hole
G: Grating

Claims (8)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레이팅의 관통부를 둘러싸도록배치되며, 복수 개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장 가능한 복수 개의 슬리브판;
상기 슬리브판의 내측면이 만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
일단부가 상기 제1 레일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레일부 외부로 돌출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홀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유닛;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슬리브판과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는 앵글브라켓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용 슬리브.
A plurality of sleeve plates which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perforations of the grating,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are combin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 first rai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An insertion member having one e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rail,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hole formed therethrough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insertion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to fix the coupling member;
A lid covering a top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And
And an angle bracket for fixing the sleeve plate and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형상의 제1 연결부재와, 굴절된 판 형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그레이팅용 슬리브.The grating slee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ben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는 복수 개가 상기 내측면에 나란히 형성되는 그레이팅용 슬리브.The grating slee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aid first rail portions are formed side by side on said inner sid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는 상기 삽입부재가 수용되는 내측 공간부의 폭이 입구부의 폭보다 큰 그레이팅용 슬리브.The sleeve for grat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ail portion has a width of an inner space portion where the insertion member is received is larger than a width of an inle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일단부가 두께는 입구부의 폭보다 작고 폭은 상기 입구부 폭보다 크게 확장된 그레이팅용 슬리브.5. The gratin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sert member has the one end portio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portion and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판의 상면과 하면에 만입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2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그레이팅용 슬리브.The grating sleev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ail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leeve plat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rail.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은 상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의 상기 제2 레일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슬리브판을 고정하는 이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그레이팅용 슬리브.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are stacked upwar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s of the plurality of sleeve plates at the same time to fix a plurality of the sleeve plates.
KR1020170104961A 2017-08-18 2017-08-18 Sleeve for Grating KR101903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61A KR101903094B1 (en) 2017-08-18 2017-08-18 Sleeve for Gr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61A KR101903094B1 (en) 2017-08-18 2017-08-18 Sleeve for Gra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094B1 true KR101903094B1 (en) 2018-10-01

Family

ID=6387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961A KR101903094B1 (en) 2017-08-18 2017-08-18 Sleeve for Gr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0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707B2 (en) * 1991-07-25 1999-04-26 松下電工株式会社 External wall panel connection structure
KR200331399Y1 (en) * 2003-07-03 2003-10-30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Variable slee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707B2 (en) * 1991-07-25 1999-04-26 松下電工株式会社 External wall panel connection structure
KR200331399Y1 (en) * 2003-07-03 2003-10-30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Variable slee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806B1 (en)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member for cable tray support member
CN101399434B (en) Sealing assembly
US8733798B2 (en) Conduit connector device and conduit system
US9391440B1 (en) Electrical panel structures
US11437797B2 (en) Bracket for electrical devices
US7501576B2 (en) Ceiling raceway
GB2521837A (en) Connector
US10439378B2 (en) Poke-through device
US20130152497A1 (en) Modular Frame for Fastening a Conduit at a Construction Part
JP3207293U (en) Support stand for rising cable rack
KR101263365B1 (en) Mount member for aluminum profile
KR101903094B1 (en) Sleeve for Grating
JP6478656B2 (en) Roof wiring structure
KR101930368B1 (en) Non bolt joint connector apparatus for sleeve of standing cable tray
KR101859753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eporator of cable tray
KR20150004375U (en) Standing pipe fixing device
JP4478987B2 (en) Vertically movable cover for wiring duct
AU2018256603A1 (en) Interlockable parti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KR200456526Y1 (en) Common cover for outlet box
KR101675635B1 (en) Cable Tray
US9627871B2 (en) Fire classified floor box assembly
KR101545685B1 (e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insulators
CN217891866U (en) Gas expands positioner
JP6370665B2 (en) Door with electrical components
KR200448211Y1 (en) Device for helping fixing space damper to power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