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798B1 - 복합 증기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증기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98B1
KR101902798B1 KR1020140113876A KR20140113876A KR101902798B1 KR 101902798 B1 KR101902798 B1 KR 101902798B1 KR 1020140113876 A KR1020140113876 A KR 1020140113876A KR 20140113876 A KR20140113876 A KR 20140113876A KR 101902798 B1 KR101902798 B1 KR 10190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il
liquid separator
compressor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066A (ko
Inventor
박진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7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가열하는 가스 히터; 상기 가스 히터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와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suction scrubber); 상기 기액 분리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가스를 압축하는 가스 압축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증발 가스를 감소시키고 막대한 비용, 투입 공수 및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증기 회수 장치 {COMBINED VAPOR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복합 증기 회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선박 상에 각각의 탱크 별로 설치되는 재액화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복합 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는 최근 생산과 이송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거나 이송하기 위하여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저장 및 생산 설비들이 등장하고 있다.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설비는 해상 LNG 가스전 근처에 위치하여 생산되는 가스를 처리, 저장 및 하역하는 해상구조물로서, LNG의 생산, 처리 및 보관 등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종래에는 냉매 탱크 및 카고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 가스(Boil-Off Gas) 및 플래쉬 가스(Flash Gas)를 처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탱크 별로 재액화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하지만 각각의 탱크 별로 재액화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해당 장비를 설계, 구매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과다한 비용과 공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LPG 선박의 경우에는 각 카고 탱크 별로 재액화 시스템을 구성해왔으나, FLNG 선박의 경우에는 카고 및 냉매의 종류가 많아 동일한 원리로 재액화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데크와 모듈 설치 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15458호는 LNG운반선의 BOG 재액화 시스템 및 재액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BOG를 압축하고 일부는 엔진으로 공급하며 나머지를 재액화시키는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각 카고 탱크 별로 재액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점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15458호 (2009.02.12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탱크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하나의 복합 증기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된 증발 가스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주 가스 공정 또는 상부 연료 가스 탱크로 송부하여 전처리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플랜트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탱크 별로 구성되는 재액화 시스템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과 투입 공수를 절감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크와 모듈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체 연료 생산량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가열하는 가스 히터, 상기 가스 히터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와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Suction Scrubber), 상기 기액 분리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가스를 압축하는 가스 압축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과 상기 가스 히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취합하여 상기 가스 히터로 제공하는 컬렉션 헤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액 분리기는 상온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히터에서 가열된 가스와 상기 상온 탱크에서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압축기는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스를 제1 압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기; 및 상기 제1 압축기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가스를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압축하여 오일을 생성하는 제2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상기 제2 압축기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에서 증발되는 가스와 상기 오일을 분리하는 가스 분리기(Separ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분리기는 상기 분리된 가스를 주 가스 공정 또는 상부 연료 가스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상기 기액 분리기의 타단과 상기 오일 저장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오일을 흡입하는 오일 리턴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복수의 탱크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하나의 복합 증기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된 증발 가스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주 가스 공정 또는 상부 연료 가스 탱크로 송부하여 전처리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플랜트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각각의 탱크 별로 구성되는 재액화 시스템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과 투입 공수를 절감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데크와 모듈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체 연료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증기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증기 회수 장치에서 수행되는 증기 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증기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 증기 회수 장치(100)는 컬렉션 헤더(110), 가스 히터(120), 기액 분리기(130), 가스 압축기(140), 오일 리턴 펌프(150), 오일 저장소(160) 및 가스 분리기(170)를 포함한다.
컬렉션 헤더(110)는 복수의 저온 탱크들(10)과 가스 히터(12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에서 배출되는 가스(즉, 증발 가스 및 플래쉬 가스)를 취합하여 가스 히터(120)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은 에탄, 프로판 또는 부탄을 수용하여 선박에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은 -100℃ 이하의 저온 상태로 저장되고 상온 탱크(20)는 상온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탱크 내에서 항시 액화된 화물이 증발하며, 이러한 증발 가스는 보일 오프 가스 (Boil-Off Gas)에 해당한다. 또한, LNG 또는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적재하는 경우, 액화 가스의 과냉각이 부족하여 이송 중에 액화가스의 일부가 기체로 변환되어 플래쉬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복합 증기 회수 장치(100)는 보일 오프 가스 및 플래쉬 가스를 압축하여 주 가스 공정(즉, 전처리 및 액화 공정)으로 제공하거나 고압 연료 가스로 사용할 수 있다.
가스 히터(120)는 복수의 저온 탱크들(10)과 기액 분리기(130)사이에 배치되어 저온 상태의 가스를 상온까지 가열할 수 있다.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의 가스는 가스 히터(120)를 통해 약 20℃까지 가열될 수 있다. 상온 탱크(20)에서 배출된 가스는 응축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액 분리기(130)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히터(120)는 컬렉션 헤더(110)와 기액 분리기(130) 사이에 배치되어 컬렉션 헤더(110)에서 취합된 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기액 분리기(Suction Scrubber, 130)는 상온 탱크(20)와 연결되어 가스 히터(120)에서 가열된 가스와 상온 탱크(20)에서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액 분리기(130)는 미스트 익스트랙터(Mist Extractor) 장치를 부착하고 응집의 원리를 이용하여 가스와 오일을 분리시킬 수 있다. 기액 분리기(130)에 유입된 가스는 미세한 오일을 포함하고 있고 미스트 익스트랙터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오일이 분리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서 걸러진 오일의 양은 증가하여 응집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밀도가 증가한 오일은 응축되어 기액 분리기(130)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가스 압축기(140)는 제1 압축기(141) 및 제2 압축기(14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압축기(141)는 기액 분리기(130)의 일단에 연결되어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가스를 제1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다. 제2 압축기(142)는 제1 압축기(141)와 직렬로 연결되어 제1 압축기(141)에서 압축된 가스를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압축하고 오일을 생성(즉, 가스가 액화되어 오일이 생성된다)할 수 있다.
오일 리턴 펌프(150)는 기액 분리기(1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 리턴 펌프(150)는 기액 분리기(130)가 동작하는 경우,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오일이 가스 압축기(1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된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즉, 오일 리턴 펌프(150)는 가스 압축기(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오일은 가스 압축기(140)로 흡수되지 않는다.
오일 저장소(160)는 오일 리턴 펌프(150)와 컨덴세이트 안정화 시스템(50)(Condensate Stabilization System) 사이에 배치되어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오일 리턴 펌프(150)는 오일 저장소(160)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오일 저장소(160)에 저장된 오일은 컨덴세이트 안정화 시스템(50)에 제공될 수 있다.
가스 분리기(Separator, 170)는 제2 압축기(142)와 주 가스 공정(30) 또는 상부 연료 가스 시스템(40) 사이에 연결되어 오일에서 증발되는 가스를 오일과 분리할 수 있다. 주 가스 공정(30)은 전처리 및 액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 분리기(170)는 제2 압축기(142)에서 압축된 증발 가스와 플래쉬 가스를 오일과 분리하여 주 가스 공정(30) 또는 상부 연료 가스 시스템(4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증기 회수 장치에서 수행되는 증기 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에는 에탄, 프로판 또는 부탄이 저장될 수 있으며, 가스(즉, 증발 가스와 플래쉬 가스)가 발생한다(단계 S201).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에서 발생된 가스는 컬렉션 헤더(110)에서 취합되어 가스 히터(120)에서 가열된다(단계 S201). 가스 히터(120)에서 가열된 가스와 상온 탱크(20)에서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오일은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다(단계 S203).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가스는 가스 압축기(140)에 유입되며, 분리된 오일은 오일 리턴 펌프(150)에 의해 흡입된다(단계 S204). 제1 압축기(141)는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가스를 제1 압력으로 압축한다(단계 S205). 제2 압축기(142)는 제1 압축기(141)에서 압축된 가스를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압축한다(단계 S206). 가스 분리기(170)는 제2 압축기(142)로부터 압축된 가스와 오일을 제공 받아 기액 분리를 실시한다(단계 S207). 가스 분리기(170)에서 분리된 증발 가스는 주 가스 공정(30) 또는 상부 연료 가스 시스템(40)으로 제공된다(단계 S208). 한편, 기액 분리기(130)에서 분리된 오일은 오일 리턴 펌프(150)를 통해 흡입된다(단계 S209). 오일 리턴 펌프(150)를 통해 흡입된 오일은 오일 저장소(160)에 저장된다(단계 S210). 저장된 오일은 컨덴세이트 안정화 시스템(50)에 제공된다(단계 S211).
따라서, 복합 증기 회수 장치(100)는 복수의 저온 탱크들(10)에서 발생하는 증발 가스를 반복적인 압축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증기 회수 장치(100)는 각각의 탱크 별로 구성되는 재액화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재액화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막대한 비용과 투입 공수를 절감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복합 증기 회수 장치는 한정된 데크와 모듈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체 연료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저온 탱크 20: 상온 탱크
30: 주 가스 공정 40: 상부 연료 가스 시스템
50: 컨덴세이트 안정화 시스템
100: 복합 증기 회수 장치 110: 컬렉션 헤더
120: 가스 히터 130: 기액 분리기
140: 가스 압축기 141: 제1 압축기
142: 제2 압축기 150: 오일 리턴 펌프
160: 오일 저장소 170: 가스 분리기

Claims (7)

  1.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가열하는 가스 히터;
    상기 가스 히터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와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suction scrubber);
    상기 기액 분리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분리된 가스를 제1 압력으로 압축하는 제1 가스 압축기 및 상기 제1 가스 압축기와 직렬로 연결되어 압축된 가스를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으로 압축하여 오일을 생성하는 제2 가스 압축기를 포함하는 가스 압축기;
    상기 제2 가스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오일에서 증발 가스 및 플래시 가스를 상기 분리된 오일에서 분리하여 주 가스 공정 또는 상부 연료 가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가스 분리기;
    상기 기액 분리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소; 및
    상기 기액 분리기의 타단 및 상기 오일 저장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오일을 흡입해 상기 제1 가스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 리턴 펌프를 포함하는 복합 증기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과 상기 가스 히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저온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취합하여 상기 가스 히터로 제공하는 컬렉션 헤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증기 회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기는
    상온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히터에서 가열된 가스와 상기 상온 탱크에서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증기 회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13876A 2014-08-29 2014-08-29 복합 증기 회수 장치 KR10190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76A KR101902798B1 (ko) 2014-08-29 2014-08-29 복합 증기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76A KR101902798B1 (ko) 2014-08-29 2014-08-29 복합 증기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66A KR20160026066A (ko) 2016-03-09
KR101902798B1 true KR101902798B1 (ko) 2018-10-01

Family

ID=5553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876A KR101902798B1 (ko) 2014-08-29 2014-08-29 복합 증기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140B1 (ko) 2017-12-26 2019-07-18 (주)유원산업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온수 및 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37B1 (ko) * 2001-02-26 2004-03-3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저온액화가스의 보일오프가스 처리장치
KR20090015458A (ko) 2007-08-08 2009-02-12 신영중공업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bog 재액화 시스템 및 재액화 방법
KR101245644B1 (ko) * 2011-05-04 2013-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천연가스 공급 시스템의 펌프 연결구조
KR101335610B1 (ko) * 2011-07-29 2013-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20140075574A (ko) * 2012-12-11 2014-06-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부분재액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66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08561A1 (en)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including same
US11255602B2 (en) Method for liquefying natural gas and for recovering possible liquids from the natural gas, comprising two refrigerant cycles semi-open to the natural gas and a refrigerant cycle closed to the refrigerant gas
RU23047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жения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US200901008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boil-off gas
KR101742284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60095597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US78333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gas emissions from oil storage vessel
NO20181643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recovery apparatus
KR101801733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JP2011245995A (ja) 液化ガス輸送船
KR101902798B1 (ko) 복합 증기 회수 장치
KR101661929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50062826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40096446A (ko) 유증기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35969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KR20160142421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436048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51339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785020B1 (ko) 선박의 유증기 회수 및 재활용 시스템
KR102477625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722368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895490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 및 공급시스템
KR101797610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KR20160073537A (ko)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KR102066633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선박 및 액화가스 재기화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