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610B1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610B1
KR101797610B1 KR1020100119963A KR20100119963A KR101797610B1 KR 101797610 B1 KR101797610 B1 KR 101797610B1 KR 1020100119963 A KR1020100119963 A KR 1020100119963A KR 20100119963 A KR20100119963 A KR 20100119963A KR 101797610 B1 KR101797610 B1 KR 10179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low
flash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263A (ko
Inventor
박종현
조두현
정회민
김지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6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02M21/0212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comprising at least 3 C-Atoms, e.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propane or but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025/0881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with means to heat or cool the cani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가스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플랜트 또는 LNG FPSO 등과 같은 설비 내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여 가스터빈 등의 연료가스로 이용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한 저압증발가스가 이송되는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저압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공급라인; 상기 압축유닛의 타측에 연결된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 및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도중에 설치되는 냉열회수 열교환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에는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저압증발가스와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고압증발가스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FUEL GAS SUPPLY SYSTEM AND RELIQUEFIED METHOD FOR BOIL OFF GAS}
본 발명은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플랜트 또는 LNG FPSO 등과 같은 설비 내에서 발생하는 플래쉬가스(flash gas) 및 BOG(Boil Off Gas)를 압축하여 가스터빈 등의 연료가스로 이용하는 중 냉열을 회수하고, 일부 증발가스를 다시 액화시켜 저장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LNG의 이송을 위한 설비에는 LNG 수송선(LNG CARRIER),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Floating)-LNG 플랜트 등이 있다.
한편, 액화가스 플랜트에서 LNG, 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가 액화장치에 의해 생산된 후에 플래시 드럼(flash drum)에서 그 저장에 적당한 압력으로 감압 됨과 더불어 불필요한 가스성분이 제거된 후에 런다운 라인(rundown line)을 거쳐 복수의 카고탱크(Cargo Tank)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액화가스 플랜트에서는 각종 증발가스가 발생하며, 이러한 증발가스로는 엔드 플래시 드럼(End Flash Drum)에서 발생하는 엔드 플래시 가스(End Flash Gas), 카고탱크에서 발생하는 BOG(Boil Off Gas) 등이 있다.
한편, 액화가스 플랜트에서는 엔드 플래시 가스, BOG 등과 같은 증발가스를 압축시킨 후에 이를 가스터빈, 보일러 등의 연료가스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증발가스의 압축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하고, 이러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증발가스의 재액화 시에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엔드 플래시 가스, BOG와 같은 증발가스의 전량이 연료가스로 이용될 경우, 연료가스의 소비에 따른 유연성이 저하되어 연료가스의 공급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저압증발가스로부터 냉열을 회수하여 고압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증발가스의 일부를 에너지 낭비 없이 재액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가스의 소비에 따른 재액 부하(load)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액화플랜트 내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여 이를 연료가스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으로,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한 저압증발가스가 이송되는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저압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공급라인; 상기 압축유닛의 타측에 연결된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 및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도중에 설치되는 냉열회수 열교환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에는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저압증발가스와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고압증발가스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상류측에는 액화가스 플랜트의 카고탱크에서 발생한 BOG가 리턴되는 BOG 라인, 액화가스 플랜트의 엔드 플래시 드럼(End Flash Drum)에서 발생한 엔드 플래시 가스가 이송되는 플래시 가스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OG 라인에는 BOG를 이송시키는 BOG 블러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유닛은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하류단에 연결된 압축라인 및 상기 압축라인의 도중에 설치된 1차 압축기 및 2차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압축기의 흡입측에는 1차 녹아웃 드럼(Knock Out drum)이 설치되고, 상기 2차 압축기의 흡입측에는 2차 녹아웃 드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압축기의 토출측에 제1쿨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라인은 상기 제1쿨러의 하류측에서 연료가스 공급라인과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으로 분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의 도중에는 3차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3차 압축기의 흡입측에는 3차 녹아웃 드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압축기의 토출측에는 제2쿨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하류단에는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이 설치되고,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의 일단에는 리턴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의 타단에는 재액화가스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의 재액화가스 라인에는 런다운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액화플랜트 내에서 발생하는 저압증발가스를 압축하여 연료가스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방법으로, 액화가스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저압증발가스를 압축하여 고압증발가스로 변환시키는 압축단계; 상기 압축단계에서 생성된 고압증발가스의 일부를 연료가스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단계; 및 상기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상기 압축단계에서 생성된 고압증발가스의 나머지를 재액화시켜 재액화가스를 생성하는 냉열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압증발가스는 엔드 플래시 탱크에서 발생된 엔드 플래시 가스 및 카고탱크에서 발생된 BO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열회수단계에서 생성된 재액화가스를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측으로 공급하고, 밸브의 개폐작동에 의해 상기 재액화가스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일부의 고압증발가스(대략 10% 정도)를 재액화함에 따라 별도의 에너지낭비가 없이 효과적인 재액화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증발가스의 일부를 카고탱크측에 별도의 에너지 낭비 없이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드 플래시 가스, BOG 등의 증발가스 전량을 연료가스로서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도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을 통해 재액화의 부하(load)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더욱 유연한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유닛 및 연료가스 공급라인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적용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LNG FPSO 등과 같은 액화가스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고, 이렇게 압축된 증발가스를 플랜트 내의 가스터빈, 보일러 등으로 공급하여 연료가스로 이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한 저압증발가스가 이송되는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저압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유닛(20), 상기 압축유닛(20)의 일측에 연결된 연료가스 공급라인(23), 상기 압축유닛(20)의 타측에 연결된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의 도중에 설치되는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을 포함한다.
한편, 일 예로써,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에서 이송되는 저압증발가스의 압력 값은 대략 1.240 bar일 수 있고,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에서 이송되는 고압증발가스의 압력 값은 대략 15.70 bar 일 수 있다.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은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을 통과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의 상류측에는 액화가스 플랜트의 카고탱크(18)에서 발생한 BOG(Boil Off Gas)가 리턴되는 BOG 라인(13), 액화가스 플랜트의 엔드 플래시 드럼(End Flash Drum)에서 발생한 엔드 플래시 가스(End Flash Gas)가 이송되는 플래시 가스 라인(FLash Gas Line, 14)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BOG 라인(13)에는 BOG를 이송시키는 BOG 블러워(BOG Blower, 1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BOG 및 엔드 플래시 가스와 같은 저압증발가스가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에 의해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을 통과하고,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은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유닛(20)은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을 통해 이송된 저압증발가스를 압축하여 고압증발가스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축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라인(22), 상기 압축라인(22)의 도중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1차 압축기(25a) 및 2차 압축기(25b)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라인(22)은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의 하류단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라인(22)의 도중에는 삼기 1차 압축기(25a) 및 2차 압축기(25b)가 설치되며, 상기 1차 압축기(25a) 및 2차 압축기(25b)에 의해 저압증발가스는 단계적으로 압축되어 고압증발가스가 된다.
상기 1차 압축기(25a)의 흡입측에는 1차 녹아웃 드럼(21a; 1st Knock Out drum)이 설치되고, 상기 2차 압축기(25b)의 흡입측에는 2차 녹아웃 드럼(21b)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1차 및 2차 녹아웃 드럼(21a, 21b)에 의해 상기 1차 및 2차 압축기(25a, 25b)의 흡입측으로 미스트(mist) 또는 액적(droplet) 등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압축기(25b)의 토출측에는 제1쿨러(26a)가 설치되고, 상기 제1쿨러(26a)는 1차 및 2차 압축기(25a, 25b)에 의해 1차 및 2차로 압축된 고압증발가스를 냉각시킨다. 특히, 상기 제1쿨러(26a)는 해수, 공기 또는 청수를 냉각수로 이용하는 열교환기이다.
한편, 상기 제1쿨러(26a)의 하류측에서 상기 압축라인(22)은 고압증발가스를 가스터빈, 보일러 등으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라인(23), 고압증발가스를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으로 이송하는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으로 분기 된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23)은 고압증발가스를 가스터빈, 보일러 등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23)의 도중에는 3차 압축기(25c)가 설치되고, 상기 3차 압축기(25c)에 의해 증발가스는 3차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3차 압축기(25c)의 흡입측에는 3차 녹아웃 드럼(21c)이 설치되고, 상기 3차 녹아웃 드럼(21c)에 의해 상기 3차 압축기(25c)의 흡입측으로 미스트(mist) 또는 액적(droplet) 등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3차 압축기(25c)의 토출측에는 제2쿨러(26b)가 설치되고, 제2쿨러(26b)는 3차로 압축된 고압증발가스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2쿨러(26b)는 해수, 공기 또는 청수를 냉각수로 이용하는 열교환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은 도 2와 같이 상기 압축유닛(20)의 상기 압축라인(22)에서 분기 되고,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의 도중에는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이 설치된다.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이 연결되고,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의 저압증발가스와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의 고압증발가스가 서로 열교환 한다. 특히,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을 통과하는 저압증발가스는 그 온도가 낮으므로,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을 통과하는 고압증발가스는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에 의해 재액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에는 밸브(24a)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24a)는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으로 이송되는 재액화가스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브(24a)는 재액화가스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벨브(24a)가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의 상류측에 설치될 경우에는 고압증발가스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벨브(24a)는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의 하류단에는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이 설치되고,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의 상단에는 리턴라인(16a)이 연결되며,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의 하단에는 재액화가스 라인(16b)이 연결된다.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 내에서 재액화가스는 기액분리되어 증기는 상기 리턴라인(16a)을 통해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으로 리턴되고, 액상은 상기 재액화가스 라인(16b)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의 상기 재액화가스 라인(16b)에는 런다운 펌프(17)가 설치되고, 상기 런다운 펌프(17)를 통해 재액화가스가 카고탱크(18)에 런다운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 상기 재액화가스 라인(16b), 상기 런다운 펌프(17) 및 상기 카고탱크(18)는 별도의 설비를 배치하지 않고 선박에 배치되는 대형 액화 플랜트의 엔드 플래쉬 드럼(미도시)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상기 대형 액화 플랜트의 엔드 플래쉬 드럼(미도시)에 상기 재액화가스 라인(16b)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액화가스 플랜트의 엔드 플래시 드럼, 카고탱크 등에서 증발가스(엔드 플래시 가스, 보일오프가스 등)가 발생하면, 이 증발가스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저압증발가스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저압증발가스를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11)을 통해 압축유닛(20)측으로 이송시키고, 압축유닛(20)은 1차 압축기(25a), 2차 압축기(25b)를 통해 압축되며, 이러한 1차 및 2차 압축기(25a, 25b)에 의해 1차 및 2차 즉, 2단계로 압축된 고압증발가스는 제1쿨러(26a)에 의해 냉각되는 압축단계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1차 및 2차 압축기(25a, 25b)에 의해 2단계로 압축된 고압증발가스를 연료가스 공급라인(23)을 통해 가스터빈, 보일러 등의 연료가스로서 공급함으로써 증발가스를 연료가스로 재활용하는 공급단계를 갖는다.
이때, 연료가스 공급라인(23)를 통과하는 일부의 고압증발가스는 3차 압축기(25c)에 의해 3차로 압축되고, 제2쿨러(26b)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나머지 일부의 고압증발가스가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을 통해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고압증발가스를 냉열회수 열교환유닛(10)에서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에 의해 냉각시킴으로써 재액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열회수작용에 의해 생성된 재액화가스는 밸브(24a)의 개폐작동에 의해 그 공급유량이 적절히 조절되면서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측으로 이송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재액화가스가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16) 내에서 기액분리되고, 기액분리에 의해 생성된 액상의 재액화가스가 런다운 펌프(17)를 통해 카고탱크(18)에 런다운되어 저장되는 냉열회수단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여 일부의 고압증발가스(대략 10% 정도)를 재액화함에 따라 별도의 에너지낭비가 없이 효과적인 재액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 플래시 가스, BOG 등의 증발가스 전량을 연료가스로서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도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24)을 통해 재액화의 부하(load)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더욱 유연한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냉열회수 열교환유닛 11: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
13: BOG 라인 14: 엔드 플래시 가스 라인
16: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 17: 런다운 펌프
18: 카고탱크 20: 압축유닛
21a, 21b, 21c: 1차, 2차, 3차 압축기
22: 압축라인 23: 연료가스 공급라인
25a, 25b, 25c: 1차, 2차, 3차 녹아웃 드럼
24: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
26a, 26b: 제1 및 제2 쿨러

Claims (14)

  1. 증발가스 또는 플래쉬가스(flash gas)를 압축하여 연료가스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으로,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에 마련되며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한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는 냉열회수 열교환유닛;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을 통과한 저압증발가스를 다단(multistage)으로 압축시키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며 다단으로 압축된 증발가스가 연료가스 공급 압력이 되도록 더 압축시켜 연료 수요처로 이송하는 연료가스 공급라인; 및
    상기 압축유닛을 통과하여 압축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켜 회수하는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은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한 저압증발가스는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증발가스 중 연료가스로 공급할 증발가스는 더 압축시켜 연료가스로 공급하되,
    상기 압축유닛에서 압축된 증발가스 중 연료가스로 공급하기 위해 더 압축시키기 전의 나머지 증발가스는 상기 압축유닛으로 공급되는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함으로써 자가열교환시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며,
    상기 냉각된 증발가스를 감압시켜 생성된 재액화 증발가스를 카고탱크로 회수하되,
    상기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면서 생성된 플래쉬가스는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으로 공급되는 저압증발가스 흐름에 합류시키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의 상류측에는 액화가스 플랜트의 카고탱크에서 발생한 BOG가 리턴되는 BOG 라인, 액화가스 플랜트의 엔드 플래시 드럼(End Flash Drum)에서 발생한 엔드 플래시 가스가 이송되는 플래시 가스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BOG 라인에는 BOG를 이송시키는 BOG 블러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닛은 1차 압축기 및 2차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에는 상기 1차 압축기 및 2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를 더 압축시키는 3차 압축기가 마련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압축기의 흡입측에서는 1차 녹아웃 드럼(Knock Out drum)이 설치되고, 상기 2차 압축기의 흡입측에는 2차 녹아웃 드럼이 설치되고, 상기 3차 압축기의 흡입측에는 3차 녹아웃 드럼이 설치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6.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압축기의 토출측에 제1쿨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7.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은 상기 3차 압축기 전단에서 분기되어,
    재액화시킬 고압증발가스는 2단 압축된 증발가스인,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압축기의 토출측에는 제2쿨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증발가스 이송라인에는,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에서 냉각된 고압증발가스를 감압시키는 밸브;가 더 마련되고,
    상기 밸브의 제어에 의해 재액화시킬 증발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의해 감압된 증발가스를 기액분리하는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이 더 마련되고,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은,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의 전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에서 분리된 기체를 상기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으로 합류시키는 리턴라인; 및
    상기 재액화용 플래시 드럼에서 분리된 액체 상태의 재액화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재액화가스 라인;이 연결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12. 증발가스 또는 플래쉬가스(flash gas)를 압축하여 이를 연료가스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으로,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저압증발가스의 냉열을 회수하고,
    상기 냉열을 회수한 저압증발가스를 다단으로 압축시키며,
    상기 다단 압축단계를 통과한 고압증발가스 중 연료가스로 공급할 증발가스는 연료가스 공급 압력이 되도록 더 압축시켜 연료가스로 공급하고,
    상기 고압증발가스 중 연료가스로 공급하고 남은 증발가스는 상기 고압증발가스를 더 압축시키기 전에 분기시켜 상기 저압증발가스의 냉열로 냉각시킴으로써 자가열교환에 의해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며,
    상기 냉각된 증발가스를 감압시켜 생성된 재액화 증발가스를 카고탱크로 회수하되,
    상기 감압에 의해 생성된 플래쉬가스는 냉열회수 열교환유닛으로 공급되는 저압증발가스 흐름에 합류시키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증발가스는 엔드 플래시 탱크에서 발생한 엔드 플래쉬 가스 및 카고탱크에서 발생한 BOG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14.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증발가스의 냉열로 냉각된 고압증발가스를 감압시키고,
    상기 감압 증발가스를 플래시 드럼으로 공급하여 기액분리하고,
    분리된 액체 상태의 재액화 가스를 회수하되,
    상기 플래시 드럼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재액화 부하를 조절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KR1020100119963A 2010-11-29 2010-11-29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KR10179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63A KR101797610B1 (ko) 2010-11-29 2010-11-29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63A KR101797610B1 (ko) 2010-11-29 2010-11-29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263A KR20120058263A (ko) 2012-06-07
KR101797610B1 true KR101797610B1 (ko) 2017-12-13

Family

ID=4660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963A KR101797610B1 (ko) 2010-11-29 2010-11-29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2331A1 (en) 2013-05-30 2014-12-04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Liquefied gas treatment system
FR3038964B1 (fr) 2015-07-13 2017-08-18 Technip France Procede de detente et de stockage d'un courant de gaz naturel liquefie issu d'une installation de liquefaction de gaz naturel, et installation associ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263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617B2 (ja) 再液化機能を有する電気推進lng運搬船の蒸発ガス処理装置
KR101617021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US200802640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d liquefying boil-off gas
JP2018516347A (ja) 蒸発ガスの再液化システム
CA3056587C (en) Artic cascade method for natural gas liquefaction in a high-pressure cycle with pre-cooling by ethane and sub-cooling by nitrogen, and a plant for its implementation
KR101701713B1 (ko) 연료공급시스템
MX2010010706A (es) Metodos y configuracion del manejo de gases de evaporacion en terminales de regasificacion de gas natural licuado.
JP2019529218A (ja) 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装置及び蒸発ガス再液化方法
JP6741691B2 (ja) 船舶
KR20170112946A (ko) 선박
US202003931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boil-off gas in liquefied gas regasification system
CN103075869A (zh) 一种天然气的双冷剂液化系统和液化方法
KR101797610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CN212720484U (zh) 一种天然气液化系统
KR200493118Y1 (ko)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KR20160074965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70112947A (ko) 선박
KR20160121948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9326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1858510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WO2009151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d liquefying boil-off gas
KR20160073537A (ko)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KR101602209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의 보그 압축용 냉각시스템
KR101938911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852132B1 (ko) 액화천연가스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