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699B1 - Local ventil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Local ventila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699B1
KR101902699B1 KR1020170058297A KR20170058297A KR101902699B1 KR 101902699 B1 KR101902699 B1 KR 101902699B1 KR 1020170058297 A KR1020170058297 A KR 1020170058297A KR 20170058297 A KR20170058297 A KR 20170058297A KR 101902699 B1 KR101902699 B1 KR 10190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intake
operated
dam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훈
김원태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6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6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ocal ventilation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main suction port formed to be penetrated through a lower portion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orming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er air to the accommodating space;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forming a flow for sucking the outer ai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 eddy flow form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forming an eddy flow so as to induce suction of the outer air through the main suction port; a subsidiary suction port formed to be penetra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suction port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a passage for introducing the outer air 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ubsidiary suction port.

Description

국소 배기 장치{LOCAL VENTILATION EQUIPMENT}[0001] LOCAL VENTILATION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국소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국소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exhaus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l exhaust system used for suctioning contaminants floating in a room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굽는 등 요리를 하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가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Generally, a kitchen is provided with a cooking table on which a heat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heater or a gas range for cooking, such as boiling or baking, is provided by applying high-temperature heat to food.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가열기구의 고열에 의해 가열되는 피조리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에 의해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확산된 오염물질은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고,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작업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At this time, the food to be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chanism disposed on the counter top generates contaminants such as smoke, odor and oil vapor during the heating process. Such contaminants may float by heat and spread throughout the kitchen or the entire room, and thus the dispersed contaminants provide an unpleasant odor, causing an aversion, and especially in a closed kitchen, such contaminants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worker It is a factor that harms the health of the worker.

이에 따라, 주방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Accordingly, the kitchen hood is provided with a range hood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such as smoke, odor, and oil vapor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outdoors.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 또는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nge hood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uter appearance, a blower for generating airflow for sucking air into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filt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filtering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a duct or duct that form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passageway.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굽는 등 요리를 하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가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Generally, a kitchen is provided with a cooking table on which a heat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heater or a gas range for cooking, such as boiling or baking, is provided by applying high-temperature heat to food.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가열기구의 고열에 의해 가열되는 피조리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에 의해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확산된 오염물질은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고,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작업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At this time, the food to be heated by the high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chanism disposed on the counter top generates contaminants such as smoke, odor and oil vapor during the heating process. Such contaminants may float by heat and spread throughout the kitchen or the entire room, and thus the dispersed contaminants provide an unpleasant odor, causing an aversion, and especially in a closed kitchen, such contaminants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worker It is a factor that harms the health of the worker.

이에 따라, 주방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Accordingly, the kitchen hood is provided with a range hood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such as smoke, odor, and oil vapor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outdoors.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레인지 후드의 외관을 이루며 하부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후드본체와, 후드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후드본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ange hood includes a hood body having an intake por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ange hood and a suction fan for generating airflow for sucking air into the hood body to discharge air into the hood body,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pipe for form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il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인지 후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ange hoo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조리대에서 피조리물이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주변 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인하여 자체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레인지 후드의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오염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외부덕트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출된다.The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food to be cooked by the heating mechanism in the cooking compartment are raised by self-buoyancy due to th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mbient air or forcedly raised by the airflow formed by the suction fan of the range hood, The polluta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through the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duct.

상기 레인지 후드는, 후드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흡입구 근처의 공기 및 오염물질은 어느 정도 흡입할 수 있으나, 흡입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공기 및 오염물질은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The range ho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ir and contaminants near the suction po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main body can be inhaled to some extent but air and contaminants far from the suction port can not be sucked properly.

이는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흡입구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흡입 기류의 유속 감소가 발생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킨다고 해서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그에 비례하여 증가되지는 않는다.This is because, as the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intake air flow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Therefore, increasing the suction flow rate of the suction fan does not increase the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pollutant proportionally Do not.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레인지 후드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겠으나,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2배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흡입팬의 소비전력을 23, 즉 8배로 올려주어야 하므로, 전력 소모량이 지나치게 증가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Nevertheless,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range hood by increasing the suction flow speed of the suction fan.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uction flow speed of the suction fan twi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uction fan must be increased to 2 3 , that is, 8 times ,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noise is greatly increased.

본 발명은 큰 폭의 전력 소모량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국소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pollutants without a large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소모, 소음, 진동을 감소시키면서도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국소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l exhaust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pollutants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noise and vibration.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흡기구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흡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장치와; 상기 메인흡기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흡기구;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A local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 main intake port formed to penetrat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blow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m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A vortex form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forming a vortex so as to induce sucking of outside air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 auxiliary intake port formed to pas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또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흡입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흡기구와 상기 보조흡기구가 형성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ncludes a suction duct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intake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suction duct and the lower panel to allow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flow toward the blower.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ncludes a damper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take passage and opens and closes the intake passage.

또한 상기 댐퍼부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입덕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흡입덕트와 결합된 길이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과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mper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damper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ction duct and the other end of the damp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at a position where the damp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ivoted to a position away from the lower panel to open the intake passage.

또한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하부패널과 접촉되는 하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흡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amper member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that tilts toward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ath toward the lower end side in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또한 상기 댐퍼부재와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부재와 상기 하부패널 간의 접촉점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damper member and the lower panel to seal a contact point between the damper member and the lower panel.

또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메인흡기구 및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모드와 상기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도록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blow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igh air flow mode for forming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d a low air volume mode for forming an air flow relatively weaker than the high air volume mode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pens the intake flow passage when the blowing device is operated in the high air flow mode and closes the intake flow passage when the blowing device is operated in the low air flow mode, .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입덕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며,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과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댐퍼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만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mper member may include a damper member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suction duct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damper member having a length And the damper member is configured to open the intake passage at a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valve closes the intake passage at a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passag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And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to open the intake passage by the airflow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only when the blower device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댐퍼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동작되는 댐퍼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pening / closing unit further includes a damper driving unit operabl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amper member.

또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메인흡기구 및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모드와 상기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메인흡기구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댐퍼구동부는,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blow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igh air flow mode for forming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d a low air volume mode for forming an air flow relatively weaker than the high air volume mode Wherein the vortex forming device is operated to form a vortex in a region around the main intake port when the blower device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댐퍼부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입덕트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패널과 결합된 길이방향 타측을 중심으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입덕트와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댐퍼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입덕트와 접촉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댐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mper member closes the intake passage at a position where one side of the damper member contacts the suction duct,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nel, and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member, The damper member is pivo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duct so as to open the intake passage,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damper member such th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amp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And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구;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며, 상기 기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게 동작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되는 상기 기류의 세기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또는 흡입 면적이 조절되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l exhaust system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housing space therein; An intake port formed to penetrat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blow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m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and operating to change the intensity of the air flow, The flow path or the suction area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is adjusted.

또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흡기구, 및 상기 메인흡기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국소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세기 이상의 세기로 형성된 상기 기류의 작용에 의해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도록 동작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ake port may include a main intake port formed to pas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passage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forming a passage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n intake flow path for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flow to the fan device i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The local exhaus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intake passage, And a damper member which is operated to open the intake passage by means of the damper member It is preferred.

또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흡기구, 및 상기 메인흡기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국소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유로를 개폐하도록 동작되는 댐퍼부재, 및 상기 댐퍼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동작되는 댐퍼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ake port may include a main intake port formed to pas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passage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forming a passage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n intake flow path for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flow to the fan device i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The local exhaus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The opening / closing unit includes a damper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intake passage, And a damper member (22) operat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damper memb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eastern part.

본 발명의 국소 배기 장치는, 메인흡기구의 양측에 흡기를 위한 보조흡기구를 더 마련하여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가 넓은 면적의 흡기구를 통해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큰 폭의 전력 소모량 증가 없이도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local exhau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provide auxiliary intake ports for intake air on both sides of the main intake port so that the intake air flow at a high flow rate can be acted through the intake ports having a large are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llec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보조흡기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고풍량모드 동작시에는 메인흡기구와 보조흡기구 모두를 개방하여 흡기에 이용되는 흡기구의 개수 및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흡기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저풍량모드 동작시에는 보조흡기구를 폐쇄하여 와류의 작용에 따른 영향력이 미치는 영역인 메인흡기구를 통해서만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 closing unit that can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as needed, thereby opening both the main intake port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expand the number and area of the intake port used for intake, And in the low airflow mode operation,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closed so that the intake air can be made only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which is an area where the influence of the vortex is exerted. Thus, even when the speed of the intake airflow is low,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또한 본 발명은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 소음, 진동을 감소시키면서도 향상된 흡입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llect pollutants even when the speed of the intake air stream is low,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suction performance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noise, and vib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국소 배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개폐부의 보조흡기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개폐부의 보조흡기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개폐부의 보조흡기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ocal exhaust system shown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 III-III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n apparatus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3 separated.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rtion "VI" in Fig. 3 on an enlarged scale.
FIG. 7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intake port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rtion "IX" of Fig. 8 on an enlarged scale.
FIG. 10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intake port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8;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intake port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10;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국소 배기 장치 전체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whole exhaus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국소 배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ocal exhaust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1)는 본체부(100)와 송풍장치(200)를 포함한다.1 to 3, a local exhaust system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blower 200.

본체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하우징(110) 및 상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forms an appearance of the local exhaus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include a lower housing 110 and an upper housing 120.

하부하우징(110)은 본체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흡기구(110a,110b)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하우징(110)은 높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와 좌우방향 폭이 긴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lower housing 11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space for allowing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to flow therein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housing 1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flat box shape having a longitudinal length and a lateral width in comparison with a height.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110)의 하부면에는 흡기구(110a,110b)가 형성된다. 흡기구(110a,110b)는, 하부하우징(110)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1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re formed.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0 to form a passage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be sucked into the space inside the lower housing 110. [

본 실시예에서, 흡기구(110a,110b)는 메인흡기구(110a)와 보조흡기구(1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main intake port 110a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이에 따르면, 메인흡기구(110a)는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1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한다.The main intake port 110a is dispos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10 so that a passage for sucking the outside air into the space inside the lower housing 110 is formed in the widthwise center of the lower housing 110 .

그리고 보조흡기구(110b)는,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흡기구(110b)는,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을 따라 메인흡기구(110a)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1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한다.The auxiliary intake ports 110b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10, respectively. Each auxiliary intake port 110b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1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10 so that the passage for sucking the outside air into the space inside the lower housing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이로써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메인흡기구(110a) 주변 영역뿐 아니라 보조흡기구(110b) 주변 영역까지 흡기 가능 영역을 그 폭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영역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local exhaus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xpand the intake-enabling region in the width direction not only to the region around the main intake port 110a but also to the region arou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So that it can be collected and discharg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하우징(110)은 흡입덕트(111)와 하부패널(115)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duct 111 and a lower panel 115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흡입덕트(111)는, 하부면이 개방된 납작한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흡입덕트(111)의 개방된 하부면에는 하부패널(115)이 결합되며, 흡입덕트(111)의 내부에는 상부 및 측부가 흡입덕트(111)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부가 하부패널(11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덕트(111)의 상부에는 상부하우징(120)이 연결되며, 흡입덕트(111)의 상부하우징(120)과의 연결부위는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와 상부하우징(120)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suction duct 11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box with its lower surface opened. A lower panel 115 is coupled to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duct 111. An uppe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are surrounded by a suction duct 111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is surrounded by a lower panel 115 An enclosed space portion is formed. The upper housing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with the upper housing 12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110 and the inside of the upper housing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하부패널(115)은, 흡입덕트(111)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하우징(1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하부패널(115)은 흡입덕트(111)에 비해 폭방향 길이가 짧게 마련되며, 그 폭방향 중심이 흡입덕트(111)의 폭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흡입덕트(111)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하부패널(115)의 폭방향 단부와 흡입덕트(111)의 폭방향 단부 사이에는 각각 갭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갭이 보조흡기구(110b)로 제공될 수 있다.The lower panel 115 is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0. The lower panel 115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such that the width of the lower panel 115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uction duct 111 and the center of the lower panel 115 is positioned in the widthwise center of the suction duct 111. A gap is formed between the width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lower panel 115 and the width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suction duct 111. The gap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10 are formed in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Lt; / RTI >

상기 하부패널(115)에는 홈부(116)가 마련된다. 홈부(116)는 하부패널(115)의 대략 중앙 부분에 하부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홈부(116)에는 메인흡기구(110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lower panel 115 is provided with a groove 116. The groove portion 11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anel 115 to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110. A main air inlet 110a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116 so as to pass through the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부하우징(12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하우징(12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120)의 개방된 하부는 하부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며, 이로써 하부하우징(1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하우징(12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12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12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n open bottom.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20 is connected 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10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lower housing 110 can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upper housing 120 .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2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송풍장치(200)가 설치된다. 송풍장치(200)는, 상부하우징(120) 내부, 즉 본체부(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구(110a,110b)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한다.In the housing space inside the upper housing 120, a blowing device 200 is installed.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is installed in a housing space inside the upper housing 120, that is,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forms an air flow for sucking the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do.

아울러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와류형성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300)는,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구(110a,110b)를 통한 본체부(100) 내부로의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흡기구(110a,110b)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local exhaus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vortex forming device 300.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lower housing 110 so that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 vortex is formed in a region around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so as to be guided.

한편,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개폐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00)는,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조흡기구(110b)를 개폐한다. 개폐부(400)의 구조 및 작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40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Details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송풍장치의 구조][Structure of blower devic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n apparatus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풍장치(200)는 스크롤 하우징(210)과 임펠러(220) 및 제1구동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blower 200 may include a scroll housing 210, an impeller 220, and a first driving unit 230.

스크롤 하우징(210)은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이루며, 스크롤 하우징(210)의 측부에는 외부 공기가 임펠러(220)의 내부 측으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스크롤 하우징(210)이 형성된다. 스크롤 하우징(210)은 스크롤 하우징(2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스크롤 하우징(210)은 송풍장치(200)가 그 양측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가 된다.The scroll housing 21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an unit 200 and a scroll housing 21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croll housing 210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impeller 220. The scroll housing 21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croll housing 210. The scroll housing 210 serves as a suction passage for sucking air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blower 200. [

본 실시예에서, 스크롤 하우징(210)은 양측부가 개방된 누운 원통 형상을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스크롤 하우징(210)의 개방된 양측부가 스크롤 하우징(210)로 제공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croll housing 2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open, and both open sides of the scroll housing 210 are provided with the scroll housing 210.

스크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임펠러(2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스크롤 하우징(210)의 내주면은 임펠러(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으로 형성된다.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mpeller 220 is formed inside the scroll housing 21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oll housing 210 facing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mpeller 220.

토출부(215)는, 스크롤 하우징(210)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토출부(215)의 내부에는 스크롤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토출구는 상기 임펠러(2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장치(20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discharge portion 215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oll housing 210.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receiving space inside the scroll housing 210 is formed in the discharging unit 215 so that air sucked into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impeller 220 is accommodated passes through the blowing unit 200, Thereby forming a pass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토출부(215)는 상부하우징(120)을 상부방향으로 관통하여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외부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임펠러(2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부(215)에 형성된 토출구 및 이와 연결된 외부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ing unit 2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upper housing 120 in an upward dire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uct (not sh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air sucked into the housing space in which the impeller 220 is accommodate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215 and the external duct connected thereto.

임펠러(2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임펠러(220)의 내부에는 임펠러(220)의 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The impeller 220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laterally extending axis. The impeller (220) has a space portion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side of the impeller (220) flows.

상기 임펠러(220)는, 제1구동부(23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부를 갖는 허브(221)를 포함한다. 이러한 허브(221)를 통해 제1구동부(23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임펠러(2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제공된다.The impeller 220 includes a hub 221 having a rotation shaft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 rotation shaft of a motor provided in the first drive portion 230 is connected. The impeller 220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230 through the hub 221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laterally extending axis.

또한 임펠러(220)는, 허브(221)의 일측면, 즉 허브(221)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1블레이드(223)와, 허브(221)의 타측면, 즉 허브(221)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블레이드(2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impeller 220 includes a first blade 223 formed on one side of the hub 221, that is, a left side surface of the hub 221, and a second blade 22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ub 221, And the second blade 225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임펠러(220)는, 터보팬이나 시로코팬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20)가 터보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223)와 제2블레이드(225)는 터보팬의 후곡형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임펠러(220)가 시로코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223)와 제2블레이드(225)는 시로코팬의 다익형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peller 220 may include a turbo fan, a sirocco fan, or the like. When the impeller 220 is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turbo fan, the first blade 223 and the second blade 225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ar blade of a turbo fan. When the impeller 220 is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sirocco fan, the first blade 223 and the second blade 225 may be configured as multi-blade blades of a sirocco fan.

제1블레이드(223)는, 허브(221)의 좌측면과 스크롤 하우징(210)의 좌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스크롤 하우징(210)의 좌측면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225)는, 허브(221)의 우측면과 스크롤 하우징(210)의 우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스크롤 하우징(210)의 우측면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blade 223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ub 221 and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scroll housing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scroll housing 210 have. The second blade 225 is installed betwee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hub 221 and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croll housing 2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croll housing 210.

제1구동부(230)는, 임펠러(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1구동부(230)는, 모터의 회전 부분인 로터(231)와, 모터의 정지 부분인 스테이터(233)와, 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로터(231) 및 스테이터(233)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터케이스(235), 및 로터(231)와 함께 회전되는 샤프트(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구동부(230)와 임펠러(220) 간의 연결은 샤프트(237)와 허브(22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로써 제1구동부(23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샤프트(237) 및 허브(221)를 통해 임펠러(220)에 전달되어 임펠러(2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first driving unit 230 is provided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impeller 220. The first driving part 230 includes a rotor 231 serving as a rotating part of the motor, a stator 233 serving as a stop part of the motor, and a rotor 231 and a stator 233 A motor case 235 for rotating the rotor 231, and a shaft 237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or 231.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driving unit 230 and the impeller 220 is achieved by coupling between the shaft 237 and the hub 221 so that the power genera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shaft 237 and the hub 221 To the impeller 220 so that the impeller 220 can be rota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송풍장치(200)는, 송풍장치(200)가 공기를 흡입하는 풍량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The air blowing device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operat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modes in which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to which air is sucked.

예를 들어 송풍장치(200)는, 높은 수준의 풍량으로 흡기구(110a,110b)를 통해 외부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고,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ir blowing device 200 may be operated in a high airflow mode that forms an air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t a high level of air volume, Mode, which forms an intake air flow at a relatively low flow rate as compared with the mode.

이때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는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는지 여부는, 임펠러(22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230)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230)가 임펠러(22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됨에 따라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임펠러(220)를 회전시키도록 제1구동부(230)가 동작됨에 따라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Whether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or the low airflow mode may be determin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unit 230 that rotates the impeller 220. That is, since the first driving unit 230 is operated to rotate the impeller 220 at a high speed, the fan apparatus 200 can be operated in a high airflow mode and the impeller 220 can be rotated at a relatively low speed The fan unit 200 can be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먼 거리의 오염 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it is possible to form an intake air flow at a high flow rate, so that contaminants of a greater distance can be sucked, so that the trapping of pollutants in the local exhaust device 1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고풍량모드에 비해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아져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은 낮아지지만, 송풍장치(20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the speed of the intake airflow is lower than that in the high airflow mode, so that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the pollutants in the local exhaust 1 is lowered. However, Thereby reducing noise and power consump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300)는, 흡기구(110a,1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도넛 형상과 같은 형상의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can be performed together when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generates a vortex in the form of a donut shape around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nd more specifically around the main intake port 110a to enlarge the intake area of the exhaust device, Even when the speed is low, the pollutants and air can be sucked in more efficiently.

[와류형성장치의 구조][Structure of Vortex Forming Apparatus]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3 separated.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와류형성장치(300)는 제2구동부(310)와 회전판(320) 및 날개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ncludes a second driving unit 310, a rotating plate 320, and a wing 330.

제2구동부(310)는, 회전판(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구동부(310)는, 와류형성장치(300)의 구성 중에서 가장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310 is provided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32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housing 110. The second driving unit 310 may include a motor disposed at the top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and having a shaft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흡기구(110a)가 형성된 홈부(116)의 상부에는 장착브라켓(315)이 설치되며, 제2구동부(310)는 장착브라켓(315)과의 결합을 매개로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장착브라켓(315)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그 테두리 부분이 홈부(116)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장착브라켓(315)의 내부에는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ounting bracket 315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ove 116 formed with the main air inlet 110a and the second driving part 310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mounting bracket 31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and its rim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116. In the interior of the mounting bracket 315, air sucked through the main air inlet 110a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for pass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회전판(320)은, 메인흡기구(110a)보다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되, 하부패널(115)의 홈부(116)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판(320)은 그 중심부가 제2구동부(310)의 샤프트와 연결되며, 이 샤프트,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swash plate 320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main air inlet 110a but to be disposed in a region surrounded by the groove portion 116 of the lower panel 115. [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320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second driving unit 310, and is rotatable around the shaft, that is, the rotation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회전판(320)의 중심에는 회전판(320)을 제2구동부(310)의 샤프트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321)가 마련되며, 회전판(320)의 내부에는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A coupling portion 321 for coupling the rotary plate 320 with the shaft of the second driving portion 31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320 and air sucked into the rotary shaft 320 through the main air inlet 110a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for passing.

본 실시예에서, 회전판(320)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회전판(320)의 관통공은 회전판(320)의 외주면과 결합부(321)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결합부(321)는 관통공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회전판(320)의 중심부에 마련되되, 회전판(320)의 외주면과 결합부(321)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부(323)에 의해 회전판(3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회전판(320)은 회전판(320)의 외주면과 결합부(321)와 연결부(323)가 "ⓧ"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plate 32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through hole of the rotating plate 320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320 and the engaging portion 321 and the engaging portion 321 is formed at a position surrounded by the through hole, And may be fixed on the rotating plate 320 by a connecting portion 323 which crosse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320 and the engaging portion 321. As an example, the rotary plate 3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plate 320, the coupling portion 3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23 are connected in a "spiral" shape.

날개부(330)는, 회전판(320)의 지름방향 외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날개부(330)는, 평면부(331)와 절곡날개(333,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ng portion (33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320). The wing portion 330 may include a flat surface portion 331 and bending wings 333 and 334.

평면부(331)는, 회전판(32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평면부(331)는, 회전판(320)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회전판(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The flat surface portion 331 is formed to be flush with the rotating plate 320. A plurality of such flat surface portions 331 are arranged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320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late 320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서로 인접한 두 평면부(331) 사이에는 통과홀부(335)가 형성된다. 통과홀부(335)는, 평면부(331)와 평면부(331)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회전판(32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날개부(330)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회전판(320)의 지름방향 외측에는, 회전판(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평면부(331)와 통과홀부(335)가 교번되게 배치된다.A through-hole 335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lanar portions 331. The through hole portion 335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flat surface portion 331 and the flat surface portion 331 so that the through hole portion 335 penetrates the wing portion 330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320, Thereby forming a passage. That is, the planar portion 331 and the through hole portion 335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plate 320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plate 320.

절곡날개(333,334)는, 평면부(331)로부터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날개(333,334)는, 회전판(320)과 함께 회전되면서 공기를 회전판(32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며, 와류형성장치(300)는 이러한 절곡날개(333,334)의 작용에 의해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bending wings 333 and 334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lat surface portion 33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that is, the downward direction. The swirling vanes 333 and 334 rotate together with the swing plate 320 to push the air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wing plate 320. The swirling vanes 333 and 334 act on the swirling vanes 333 and 334, A vortex can be generated around the intake port 110a.

상기 절곡날개(333,334)는 회전판(320)의 지름방향 외측을 에워싸도록 회전판(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즉 각각의 평면부(331)마다 절곡날개(333,334)가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절곡날개(333,334)는, 평면부(331)의 일부분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bending wings 333 and 334 are disposed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320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late 320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bending wings 333 and 334 are disposed for the respective flat portions 331, respectively. Each of the bending wings 333 and 334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flat surface portion 331 downwar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절곡날개(333,334)는 제1절곡날개(333)와 제2절곡날개(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절곡날개(333)는 회전판(320)의 회전방향에 따른 평면부(331)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제2절곡날개(334)는 회전판(320)의 회전방향에 따른 평면부(331)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즉 평면부(331)의 일측이 절곡되어 제1절곡날개(333)가 형성되고, 평면부(331)의 타측이 절곡되어 제2절곡날개(334)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bending wings 333 and 334 may include a first bending wing 333 and a second bending wing 334. The first bending wing 33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anar portion 331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320 and the second bending wing 334 is disposed on the planar portion 331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320 As shown in Fig. That is,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331 is folded to form a first folding blade 333, and the other sid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331 is folded to form a second folding blade 334.

[개폐부 구조의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도 3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110)의 내부, 즉 흡입덕트(111)와 하부패널(115) 사이에는, 보조흡기구(110b)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송풍장치(200)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인 흡기유로(a)가 형성된다.3,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lower housing 110, that is, between the intake duct 111 and the lower panel 115, (A) is formed.

그리고 개폐부(400)는, 상기 흡기유로(a)에 배치되도록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유로(a)를 개폐하는 댐퍼부재(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may include a damper member 41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part 100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take passage a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passage a.

본 실시예에서, 댐퍼부재(410)는 흡기유로(a)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흡기유로(a)의 상하방향 길이 이상의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er member 4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direction width of the intake passage a and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take passage a .

이러한 댐퍼부재(410)는, 그 길이방향 일측, 즉 상단측이 흡입덕트(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 즉 하단측이 하부패널(115)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흡기유로(a)를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댐퍼부재(410)는,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있던 상태에서 흡입덕트(111)와 결합된 상단측을 중심으로 하단측이 하부패널(115)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흡기유로(a)를 개방할 수 있다.The damper member 4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ction duct 111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at is, at the upper end thereof, at a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member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n be closed. The damper member 410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end side of the damper member 4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nel 115 with the upper end side coupled to the suction duct 111 as the cen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intake passage a is closed, (a) can be opened.

상기 댐퍼부재(410)는, 흡입덕트(11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측과 하부패널(115)과 접촉되는 하단측이 흡입덕트(111) 및 하부패널(115)과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damper member 410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111 and the lower panel 115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pivotally coupled to the suction duct 111 and the low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lower panel 115 are perpendicular to the suction duct 111 and the lower panel 115 O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본 실시예에서, 댐퍼부재(410)는 흡입덕트(11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 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갈수록 보조흡기구(1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er member 41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such a form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as it goes from the upper end side to the lower end side so as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intake duct 111 .

즉 댐퍼부재(410)는, 보조흡기구(110b)를 통해 흡입되어 흡기유로(a)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서, 하부패널(115)과 접촉되는 하단측으로 갈수록 흡기유로(a)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로 흡기유로(a)를 폐쇄할 수 있게 설치된다.That is, the damper member 4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nel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115, on the flow path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and flowing through the intake passage a,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lose the intake passage (a) in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nclining toward the flow direction of the flowing air is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부재(410)는 하단측이 하부패널(115)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있던 상태에서 보조흡기구(110b)를 통한 흡기가 이루어질 때 보조흡기구(110b)로부터 흡기유로(a)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댐퍼부재(410)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회동되어 흡기유로(a)를 개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take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intake path a is cl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damper member 410 contacts the lower panel 115, The air flowing from the intake passage 110b toward the intake passage a is rotated by the force pushing the damper member 410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댐퍼부재(410)는 흡기유로(a)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로써, 보조흡기구(110b)로부터 흡기유로(a)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댐퍼부재(410)를 밀어내는 힘이 댐퍼부재(410)에 좀 더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흡기유로(a)의 개방을 위한 댐퍼부재(410)의 회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damper member 41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ing to the flow direction sid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assage a.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damper member 410 to more effectively act on the damper member 410 by the air that flows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toward the intake air passage a so that the opening of the intake passage a The damper member 410 can be rotated more smoothly.

한편, 상기 댐퍼부재(410)는 자중에 의해 하단측이 하부패널(115)과 접촉되는 위치로 회동하여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송풍장치(200)가 일정 수준 이상의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하도록 동작될 때에만 흡기유로(a)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amper member 410 rotates to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damper member 4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115 to close the intake passage a and the fan device 200 (A) only when it is operated to form the intake passage (a).

예를 들어 댐퍼부재(410)는, 송풍장치(200)가 동작되지 않거나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흡기유로(a)를 개방할 수 있는 중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mper member 410 closes the intake passage a when the blower 200 is not operated or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and when the blower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weight capable of opening the opening (a).

이에 따르면, 댐퍼부재(410)는 송풍장치(200)가 동작되지 않거나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즉 송풍장치(200)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기류의 유속이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보다 낮을 때에는 댐퍼부재(410)의 자중에 의해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발생되는 흡입 기류에 의해서는 그 흡입 기류에 밀려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다.When the fan device 200 is not operated or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that is, when the flow rate of the suction airflow formed by the fan device 200 is higher than the flow rate of the airflow device 200 in the high airflow mode The intake air flow path a is closed by the self weight of the damper member 410 and the intake air flow generated when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 volume mode is pushed against the intake air flow Is formed to have a weight that can be pivo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intake passage (a).

도 6은 도 3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rtion "VI" in Fig. 3 on an enlarged scale.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부(400)는 상기 댐퍼부재(410)와 하부패널(115)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6,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420 provided between the damper member 410 and the lower panel 115.

실링부재(420)는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완충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부재는 댐퍼부재(410)와 하부패널(115) 사이에 구비되어 댐퍼부재(410)와 하부패널(115) 간의 접촉점을 실링하는 작용을 하는 한편, 흡기유로(a)를 개방하고 있던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폐쇄하기 위해 회동되어 하부패널(115)과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댐퍼부재(410)의 개폐 동작시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420 may be formed of a shock absorbing material such as rubber or sponge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amper member 410 and the lower panel 115 to prevent the damper member 410 and the lower panel 115 While the damper member 410 that has opened the intake passage a absorb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damper member 410 is rotated to close the intake passage a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115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act nois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amper member 410. [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재(420)가 댐퍼부재(410)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와 다르게 실링부재(420)가 댐퍼부재(410)의 하단측과의 접촉점에 위치하도록 하부패널(115) 상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실링부재(420)의 설치 위치가 어느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aling member 42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amper member 410 so that the sealing member 420 is positioned at the contact point with the lower end of the damper member 410. However, 115, or the lik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420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position.

[개폐부의 작용][Operation of opening / closing part]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개폐부의 보조흡기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intake port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5;

이하, 도 3 및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3을 참조하면, 국소 배기 장치(1)의 작동이 개시될 때 송풍장치(200)의 동작이 시작되고, 이에 따라 국소 배기 장치(1) 외부의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200) 측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eration of the local exhaust device 1 is started,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started, and the air outside the local exhaust device 1 is blown into the main body 100, An intake air flow for sucking the air into the apparatus 200 side is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110a,110b)를 통해 흡입 대상이 되는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되며, 흡기구(110a,110b) 주변의 외부 공기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110a,110b)를 통과하여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된다.The suction air flow thus formed acts on the external air to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s 110a and 110b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external air around the suction ports 110a and 110b is sucked Passes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110b) by the airflow, and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 및 이와 함께 흡입된 오염물질은, 송풍장치(200) 양측을 통해 송풍장치(200) 내부로 흡입된 후, 송풍장치(200)의 상부로 개방된 토출부(215) 및 이와 연결된 외부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taminant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are sucked into the ventilator 200 through both sides of the ventilator 20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ing unit 215 and the external duct connected thereto.

이때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면,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가 형성되어 더욱 먼 거리의 오염 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 flow mode, a suction flow of a high flow rate is formed and contaminants of a longer distance can be sucked, so that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pollutants in the local exhaust device 1 increases .

이와 다르게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고풍량모드에 비해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아져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은 낮아지지만, 송풍장치(20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the speed of the intake airflow is lower than that in the high airflow mode, so that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the pollutants in the local exhaust 1 is lowered. Noise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driving can be reduc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300)는, 흡기구(110a,1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can be performed together when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generates a vortex around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and more particularly around the main intake port 110a to enlarge the intake region of the exhaust system so that even when the intake air flow velocity is low, So that the suction of the material and the air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이와 같이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고 와류형성장치(300)가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될 때에는, 메인흡기구(110a)와 보조흡기구(110b) 모두를 통해 흡기가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와류형성장치(300)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서만 흡기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and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s operated to generate a vortex around the main air inlet 110a, both the main air inlet 110a and the auxiliary air inlet 110b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s sucked only through the main air inlet 110a located in the region where the vortex is formed by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rather than the air.

만약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고 와류형성장치(300)가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될 때 메인흡기구(110a)와 보조흡기구(110b) 모두를 통해 흡기가 이루어지게 된다면, 흡입 기류의 작용이 여러 갈래로 분산되어 이루어지고 와류가 형성되는 영역에 집중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는 국소 배기 장치(1)의 흡입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If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a low airflow mode and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s operated to generate a vortex around the main air intake port 110a, the intake air flows through both the main air intake port 110a and the auxiliary air intake port 110b, The action of the intake airflow is dispers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is not concentrated in a region where the vortex is formed, which causes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local exhaust device 1 to be deteriorated.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고 와류형성장치(300)가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될 때에는, 개폐부(400)가 보조흡기구(110b)를 폐쇄하여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서만 흡기가 이루어지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and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s operated to generate a vortex around the main air inlet 110a, The intake valve 110b is closed and the intake air is made only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a.

이를 위해 개폐부(400)의 댐퍼부재(410)는,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그 자중에 의해 흡기유로(a)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댐퍼부재(410)는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흡기유로(a)를 통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서는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 중량을 갖도록 마련된다.The damper member 4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not rotated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intake air passage a when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 volume mode,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damper member 410 is configured to have a weight that can not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intake passage a by the intake air flow acting through the intake passage a when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

이러한 개폐부(400)의 작용에 의해,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고 와류형성장치(300)가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될 때에는 보조흡기구(110b)가 폐쇄되어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서만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and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is operated to generate a vortex around the main air inlet 110a by the a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the auxiliary air inlet 110b So that the intake air can be made only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a, so that the intake of pollutants and air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even when the speed of the intake air stream is low.

이로써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저풍량모드 동작시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면서도 보다 향상된 흡입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local exhaus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improved suction performance while reducing noise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low airflow mode operation.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면,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부(400)의 댐퍼부재(410)는 흡기유로(a)를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밀려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보조흡기구(110b)와 연결된 흡기유로(a)가 개방되어 메인흡기구(110a) 뿐 아니라 보조흡기구(110b)를 통해서도 흡기가 이루어지게 된다.7, when the fan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the damper member 410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which has closed the intake passage a, acts on the intake passage a And is pivoted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The intake passage a connected to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is opened so that the intake air is introduced not only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a but also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즉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메인흡기구(110a)와 보조흡기구(110b) 모두가 개방됨으로써 흡기에 이용되는 흡기구(110a,110b)의 개수 및 면적이 확장되고, 이에 따라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가 넓은 면적의 흡기구(110a,110b)를 통해 작용되어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air blow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 flow mode, both the main air intake port 110a and the auxiliary air intake port 110b are opened, thereby expanding the number and area of the air intake ports 110a and 110b used for the air intake, The intake airflow of the flow rate can be acted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having a large area, so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ollutants of the local exhaust system 1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상기와 같이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와류형성장치(300)를 통해 형성되는 와류의 작용 없이도 충분한 흡입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에서는,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와류형성장치(300)가 작동되지 않고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만 와류형성장치(300)가 작동되도록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설정될 수 될 수 있다.When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 flow mode as described above, sufficient suction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without the action of the vortex formed through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Therefore, in the local exhau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only when the vortex generator 300 is not operated and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may be set so that the forming apparatus 300 is operated.

즉 개폐부(400)의 개폐 동작은,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어 와류형성장치(300)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흡기유로(a)를 개방하고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어 와류형성장치(300)가 작동될 때에는 흡기유로(a)를 폐쇄하는 형태로,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연동되어 이루어진다고 할 수도 있다.That is, the open / clos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400 is performed by opening the intake passage a when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 volume mode and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s not operated, When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is operated, the intake flow path a is closed when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is oper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300)에 따르면, 메인흡기구(110a)의 양측에 흡기를 위한 보조흡기구(100b)를 더 마련하여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가 넓은 면적의 흡기구(110a,110b)를 통해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al exhaust device 1 and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intake port 100b for intak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intake port 110a, By allowing the airflow to act through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having a large area,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pollutant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300)는, 필요에 따라 보조흡기구(100b)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400)를 구비함으로써, 고풍량모드 동작시에는 메인흡기구(110a)와 보조흡기구(110b) 모두를 개방하여 흡기에 이용되는 흡기구(110a,110b)의 개수 및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흡기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저풍량모드 동작시에는 와류형성장치(300)를 동작시켜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보조흡기구(110b)를 폐쇄하여 와류의 작용에 따른 영향력이 미치는 영역인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서만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local exhaus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provided therein are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intake port 100b as required, By opening both the intake port 110a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so as to expand the number and area of the intake ports 110a and 110b used for intake, the intake air can be expanded. In the low airflow mode operation, (300) is operated to form a vortex,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10b) is closed so that the intake air can be made only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a), which is an area where the influence of the vortex is exer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llutant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또한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300)는,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 소음, 진동을 감소시키면서도 향상된 흡입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local exhaus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provided therein can effectively collect contaminants even when the speed of the intake air stream is low, thereby improving power consumption, noise and vibration, Performance can be provided.

[개폐부 구조의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Opening / Closing Structur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국소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al exhaus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e vortex forming device provided therein are mere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replace them are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개폐부의 보조흡기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개폐부의 보조흡기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X" of FIG. 8,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open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al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of an auxiliary intake port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shown in FIG.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FIG.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국소 배기 장치(1; 도 3 참조)와 비교하여 개폐부(500)의 구성이 상이한 형태로 제공된다.8 to 10, the local exhaust syste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l exhaust system 1 (see FIG. 3)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개폐부(500)는 댐퍼부재(510)와 실링부재(520) 및 탄성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damper member 510, the sealing member 520, and the elastic member 530.

댐퍼부재(510)는, 이러한 댐퍼부재(410)는, 그 길이방향 일측, 즉 상단측이 흡입덕트(111)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그 길이방향 타측, 즉 하단측이 하부패널(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댐퍼부재(510)는 그 회동 중심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댐퍼부재(410; 도 3 참조)의 회동 중심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형태로 마련된다.The damper member 5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amper member 410 closes the intake passage a at a position where one longitudinal side thereof, that is, the top side thereof contacts the suction duct 111, And the lower panel 115 is rotatably coupled. That is, the damper member 51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its pivotal center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vot center of the damper member 410 (see FIG. 3)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리고 실링부재(520)는, 댐퍼부재(410)의 상단측과 흡입덕트(111) 사이에 구비되어 댐퍼부재(510)의 상단측과 흡입덕트(111) 간의 접촉점을 실링하고, 댐퍼부재(510)의 개폐 동작시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sealing member 52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amper member 410 and the suction duct 111 to seal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amper member 510 and the suction duct 111, Which is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탄성부재(530)는, 댐퍼부재(510)의 길이방향 일측, 즉 댐퍼부재(510)의 상단측이 흡입덕트(111)와 접촉되어 흡기유로(a)를 폐쇄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댐퍼부재(5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elastic member 530 urges the damper member 510 to maintain the position at which one side of the damper member 5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end side of the damper member 5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111 to close the intake passage a. 510).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30)는 하부패널(115)과 댐퍼부재(510) 간의 회동 가능한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탄성부재(530)는, 하부패널(115)과 댐퍼부재(510) 간의 연결각을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댐퍼부재(510)의 상단측이 흡입덕트(111)와 접촉되어 흡기유로(a)를 폐쇄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댐퍼부재(5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53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that is provided at a pivotabl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er panel 115 and the damper member 510. This elastic member 530 provides an elastic force acting in a direction to open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lower panel 115 and the damper member 510 so that the upper end side of the damper member 510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111 The damper member 51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maintain the position for closing the intake passage a.

이때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은, 송풍장치(200)가 동작되지 않거나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흡기유로(a)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0 is set such that the damper member 410 does not rotate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when the blower 200 is not operated or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damper member 410 is set to a level that allows the damper member 410 to rotate in a direction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when the fan apparatus 200 is operated in the high airflow mo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개폐부(500)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댐퍼부재(410)와 비교하여 댐퍼부재(510)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의 중량에 따른 제약의 범위가 줄어들게 된다.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part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damper member 510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the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damper member 510 as compared with the damper member 410 exemplified in the above- The range is reduced.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댐퍼부재(410)에서는 흡입 기류의 작용에 의한 댐퍼부재(410)의 회동 가능 여부가 댐퍼부재(410)의 중량에만 연관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댐퍼부재(510)에서는 흡입 기류의 작용에 의한 댐퍼부재(510)의 회동 가능 여부가 댐퍼부재(510)의 중량보다는 주로 탄성부재(530)의 탄성력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댐퍼부재(510)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의 중량에 따른 제약이 사실상 없게 된다.That is, in the damper member 410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possibility of turning the damper member 410 due to the action of the intake air flow is related to the weight of the damper member 410, Since the possibility of turning the damper member 510 due to the action of the intake air stream is mainly relat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0 rather than the weight of the damper member 510, There is practically no restric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material us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부재(510)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의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흡기유로(a)를 폐쇄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댐퍼부재(510)가 적용될 수 있고, 개폐부(500)의 흡기유로(a) 개폐의 기준이 되는 흡입 기류의 세기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530)를 채택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개폐 성능을 제공하는 개폐부(5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various types of damper members 510 using various materials suitable for closing the intake passage (a)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damper member 51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ening / closing part 500 that provides the opening / closing performance that is further improved by adopting the elastic member 530 having the elasticity suitable for the intensity of the intake air flow which is a referen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flow path (a) .

[개폐부 구조의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of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3)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국소 배기 장치(1; 도 3 참조)와 비교하여 개폐부(600)가 댐퍼구동부(64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11 and 12, the local exhaust system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l exhaust system 1 (see FIG. 3) illu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opening / closing unit 600 And further includes a damper driving unit 640.

댐퍼구동부(640)는,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동작된다. 일례로서, 댐퍼구동부(640)는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가 댐퍼부재(410)와 연결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mper driver 640 is operat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amper member 410. [ As an example, the damper driving unit 640 may include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damper member 410 such that the rod may be elastically stretchable.

이러한 댐퍼구동부(640)는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로드의 길이를 축소시켜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축소된 로드의 길이를 다시 신장시켜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킬 수 있다.The damper drive unit 640 reduces the length of the rod in a state in which the damper member 410 closes the intake passage a so that the damper member 410 moves the damper member 410 in a direction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And the damper member 410 can rotate the damper member 4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amper member 410 closes the intake passage a.

다른 예로서, 댐퍼구동부(640)는 로드의 길이를 신장시켜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개방시키도록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키고 로드의 길이를 축소시켜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폐쇄하도록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댐퍼구동부(64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댐퍼부재(410)에 전달하여 댐퍼부재(410)를 회전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등, 댐퍼구동부(640)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damper driver 640 may extend the length of the rod so that the damper member 410 rotates the damper member 410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and reduces the length of the damper member 410, The damper driving unit 64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ncludes a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amper member 410. [ The damper drive unit 64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gear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amper member 410 to the member 410 so as to rotate the damper member 410.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amper drive unit 640 are possible.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구동부(640)가 와류형성장치(300)의 제2구동부(310)와 별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제2구동부(31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키는 형태로 개폐부(6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damper driving unit 640 is illustrated as being separate from the second driving unit 310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410 may be rotated.

이때, 댐퍼구동부(640)가 와류형성장치(300)의 제2구동부(310)와 별개로 구비되는 경우와 제2구동부(31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키는 형태로 개폐부(600)를 구성하는 경우 모두, 개폐부(600)의 동작이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amper driving unit 6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driving unit 310 of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and when the damper member 410 is rotated using the power provid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310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0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

예를 들어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댐퍼구동부(640)가 댐퍼부재(410)를 흡기유로(a)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헝태로 동작되도록 댐퍼구동부(64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작동되는 제2구동부(310)의 동력에 의해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와류형성장치(300) 및 제2구동부(310)의 작동이 정지되면 댐퍼부재(410)가 흡기유로(a)를 폐쇄하도록 복귀되는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제2구동부(310)와 댐퍼부재(410) 간의 동력전달구조가 제2구동부(310)와 댐퍼부재(410) 사이에 적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device 300 is performed, the operation of the damper driving unit 640 is controlled such that the damper driving unit 640 is operated in a state of rotating the damper member 410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intake path a. And the damper member 4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intake passage a by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310 operated when the vortex forming apparatus 300 is opera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300 and the second driving part 310 is stopped, the damper member 410 is returned to close the intake path a, May be appli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unit 310 and the damper member 410. [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개폐부(600)에 따르면, 댐퍼구동부(640) 또는 제2구동부(310)의 동력을 이용하여 댐퍼부재(410)를 회동시킴으로써 흡입 기류의 세기에 구애받지 않고 흡기유로(a)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송풍장치(200)의 상태 변화로 인해 흡입 기류의 세기에 어느 정도 변화가 생기더라도 이에 영향받지 않고 송풍장치(200)의 동작 모드에 적합한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rotating the damper member 410 using the power of the damper driving part 640 or the second driving part 310, Even if a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intake air flow due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occurs,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suitable for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blowing apparatus 200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2,3 : 국소 배기 장치
100 : 본체부
110 : 하부하우징
110a : 메인흡기구
110b : 보조흡기구
111 : 흡입덕트
113 : 흡기유로
115 : 하부패널
116 : 홈부
120 : 상부하우징
200 : 송풍장치
210 : 스크롤 하우징
210a : 흡입홀
215 : 토출부
220 : 임펠러
221 : 허브
223 : 제1블레이드
225 : 제2블레이드
230 : 제1구동부
231 : 로터
233 : 스테이터
235 : 모터케이스
235a : 케이스본체부
235b : 결합부
237 : 샤프트
240 : 장착부
241 : 지지부재
300 : 와류형성장치
310 : 제2구동부
315 : 장착브라켓
320 : 회전판
321 : 결합부
323 : 연결부
330 : 날개부
331 : 평면부
333 : 절곡날개
333a : 제1절곡날개
333b : 제2절곡날개
335 : 통과홀부
400,500,600 : 개폐부
410,510 : 댐퍼부재
420,520 : 실링부재
530 : 탄성부재
640 : 댐퍼구동부
1,2,3: Local exhaust system
100:
110: Lower housing
110a: main intake port
110b: auxiliary intake port
111: Suction duct
113:
115: Lower panel
116:
120: upper housing
200: blower
210: scroll housing
210a: suction hole
215:
220: Impeller
221: Hub
223: First blade
225: second blade
230: first driving unit
231: Rotor
233:
235: Motor case
235a:
235b:
237: Shaft
240:
241: Support member
300: vortex forming device
310:
315: Mounting bracket
320:
321:
323: Connection
330: wing portion
331:
333: Bending wing
333a: 1st bending wing
333b: second bending wing
335: through hole portion
400, 500, 600:
410, 510: damper member
420, 520: sealing member
530: elastic member
640:

Claims (14)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흡기구;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장치;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흡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장치;
상기 메인흡기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흡기구;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흡입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흡기구와 상기 보조흡기구가 형성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부재, 및 상기 댐퍼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동작되는 댐퍼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메인흡기구 및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모드와 상기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메인흡기구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댐퍼구동부는,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국소 배기 장치.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main air inlet formed to penetrat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assageway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eceiving space;
A blow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m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A vortex form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m a vortex so as to induce sucking of outside air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 auxiliary intake port formed to pas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The main body includes a suction duct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lower panel coupled to an opened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 RTI >
An intake duct for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flow to the blower is formed between the intake duct and the lower panel,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damper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take passage and opening / closing the intake passage, and a damper driver operativ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amper member,
The air blowing device may include a high air flow mode for forming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d a low air volume mode for forming a relatively weak air flow compared to the high air volume mode Operated in one mode,
Wherein the vortex forming device is operated to form a vortex in a region around the main air inlet when the air blower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Wherein the damper driving portion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흡입덕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흡입덕트와 결합된 길이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패널과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는 국소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er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damper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ction duct and the other end of the damp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at a position where the damp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ivo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nel to open the intake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하부패널과 접촉되는 하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흡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국소 배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amper member is provided so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that tilts toward a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assage toward the lower end side in contact with the lower pan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와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댐퍼부재와 상기 하부패널 간의 접촉점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국소 배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damper member and the lower panel to seal a contact point between the damper member and the lower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흡기유로를 폐쇄하도록 동작되는 국소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s operated to open the intake passage when the blowing device is operated in the high air flow mode, and to close the air flow passage when the blowing device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구;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며, 상기 기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게 동작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되는 상기 기류의 세기에 따라 동작 여부가 조절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또는 흡입 면적이 조절되는 국소 배기 장치.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 intake port formed to penetrat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blow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m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and operating to change the intensity of the air flow; And
And a vortex form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m a vortex so as to induce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inlet,
The vortex forming device may be operated or not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formed in the blower,
Wherein a flow path or an intake area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s sucked is controlled depending on whether the vortex forming device is operated or no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흡기구, 및 상기 메인흡기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국소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세기 이상의 세기로 형성된 상기 기류의 작용에 의해 상기 흡기유로를 개방하도록 동작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국소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take port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by a distance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forming a passage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 intake flow path for allow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flow to the air blowing device side i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The local exhaus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ncludes a damper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intake passage, and operated to open the intake passage by an action of the airflow formed at an intensity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intensit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흡기구, 및 상기 메인흡기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보조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국소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유로를 개폐하도록 동작되는 댐퍼부재, 및 상기 댐퍼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동작되는 댐퍼구동부를 포함하는 국소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take port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formed to pass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intake port by a distance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forming a passage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 intake flow path for allow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flow to the air blowing device side i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The local exhaus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intake por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damper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take passage and being operated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assage and a damper driver operative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damper member,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메인흡기구 및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모드와 상기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고,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상기 송풍장치가 상기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상기 메인흡기구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댐퍼구동부는, 상기 와류형성장치의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국소 배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blowing device may include a high air flow mode for forming an air fl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d a low air volume mode for forming a relatively weak air flow compared to the high air volume mode Operated in one mode,
Wherein the vortex forming device is operated to form a vortex in a region around the main air inlet when the air blower is operated in the low airflow mode,
Wherein the damper driving portion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vortex form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8297A 2017-05-10 2017-05-10 Local ventilation equipment KR1019026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97A KR101902699B1 (en) 2017-05-10 2017-05-10 Local ventila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97A KR101902699B1 (en) 2017-05-10 2017-05-10 Local ventilation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699B1 true KR101902699B1 (en) 2018-09-28

Family

ID=637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297A KR101902699B1 (en) 2017-05-10 2017-05-10 Local ventila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69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842A (en) *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ir cleaner
JP2007057225A (en) * 2005-07-26 2007-03-08 Watanabe Seisakusho:Kk Range hood fan and cooking gas collecting exhaust method
KR101029330B1 (en) * 2009-10-14 2011-04-13 김경철 Pollutant absorption and exhaus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842A (en) *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ir cleaner
JP2007057225A (en) * 2005-07-26 2007-03-08 Watanabe Seisakusho:Kk Range hood fan and cooking gas collecting exhaust method
KR101029330B1 (en) * 2009-10-14 2011-04-13 김경철 Pollutant absorption and exhaus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3954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180122273A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and swirler therein
JPWO2004055380A1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centrifugal blower
JP3720452B2 (en) Range hood fan
WO2008091926A1 (en) Fan damper
KR102060144B1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US20190277521A1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JPH0158425B2 (en)
KR101902699B1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CN207648894U (en) Smoke exhaust ventilator
KR102556968B1 (en)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KR100714591B1 (en) Inner-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H0731564A (en) Sound suppress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JP2000097446A (en) Air conditioner
JP3217517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3893840B2 (en) Method for correcting swirling component of blown airflow and blower
JP2010112600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KR20180122258A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and blower therein
KR102024566B1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KR20180037514A (en) An air conditioner
JPH10252682A (en) Centrifugal blower
CN217441725U (en) Fume exhaust fan
JP4314692B2 (en) Blower unit
KR20060135250A (en) Turbo fan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