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623B1 - Insulated cup - Google Patents
Insulated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2623B1 KR101902623B1 KR1020160099688A KR20160099688A KR101902623B1 KR 101902623 B1 KR101902623 B1 KR 101902623B1 KR 1020160099688 A KR1020160099688 A KR 1020160099688A KR 20160099688 A KR20160099688 A KR 20160099688A KR 101902623 B1 KR101902623 B1 KR 101902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ing
- cover
- cover portion
- extending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4—Net-like containers made of plastic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은 바닥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측부와 이격되어 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to form a storage space capable of containing a beverage;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to provide a region that the user can grasp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portion to form a spacing space therebetween .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에 담겨진 음료의 단열을 구현할 수 있는 단열컵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라 현재 커피, 주스, 진주 우유 차(pearl milk tea) 및 각종 차 음료 등 휴대하기 편리한 음료가 매우 유행되고 있다. Depending on lifestyle changes, coffee, juice, pearl milk tea, various kinds of tea beverages and the like are very popular.
휴대하기 편리함과 원가를 고려하여 현재의 휴대식 음료는 일반적으로 종이로 만든 컵에 담고 있다.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the cost, current portable drinks are usually contained in paper cups.
그런데 종이재질의 음료 컵은 단열효과가 좋지 않아 쉽게 탕상(scalding)을 입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 보온기능이 매우 약하여 만약 사용자가 빨리 마시지 않는다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원래 차갑거나 뜨겁던 음료는 바로 실내온도 상태로 돌아가 음료의 맛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단열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컵의 외면을 둘러싸는 종이 재질의 커버를, 컵의 하단부에서부터 씌움으로써 커버를 컵의 일 영역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음료 컵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의 사용은 다양한 불편을 초래한다.
커버는 음료가 담긴 컵과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료 컵 외에 커버를 따로 챙겨야 하고, 커버를 컵에 씌우는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아직 커버가 씌워지지 않은 상태의 음료 컵을 파지해야 하며, 음료컵을 통해 불편한 열감 또는 냉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를 항상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However, the beverage cup made of paper does not have a good thermal insulation effect and can be easily scalded. In addition, since the heat insulating function is very weak, if the user does not drink quickly, the originally cold or hot drink, To affect the taste of the beverag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adiabatic effect, it is common to provide a beverage cup in such a manner that the cover is placed in one area of the cup by covering the cover of paper from the lower end of the cup, which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However, the use of such covers results in various inconveniences.
Since the cover is provid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the user must take the cover separately in addition to the beverage cup, and perform the operation of covering the cover with the cup. In this process, the user must grip the beverage cup which is not yet covered, and feel the uncomfortable feeling of heat or cold feeling through the beverage cup. In addition,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always carrying the cover separately.
따라서, 별도의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단열 효과가 향상되며, 그립감이 향상되어 파지가 용이한 음용컵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단열컵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실용신안 출원번호 KR20050011840U가 있다.Therefore, the heat insulating effect is improved and the grip feeling is improved so that a separate cover is not required, and the demand of the user for the drinking cup which is easy to grasp is increasing.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heat insulating cup, there is a utility model application number KR20050011840U.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효과를 증진시키는 커버부를 컵에 씌우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 없는 동시에, 단열효과를 증진시키며, 사용자의 그립성을 보완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heat insulating effect and a user's gripability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work such as covering a cup for improving the heat insulating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은 바닥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측부와 이격되어 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to form a storage space capable of containing a beverage;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to provide a region that the user can grasp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portion to form a spacing space therebetwee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측부와 상기 커버부 간에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더 큰 거리인 제2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이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pacing space of the heat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pacing space formed by a first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sid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nd a second spacing spacing by a second spacing And a second spacing sp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ac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은, 상기 측부의 둘레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acing space and the second spacing space of the heat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제1 이격공간은, 상기 측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측부가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acing space of the heat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sid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virtual axis located between the sid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by the first spacing distance in the storage space direction .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제2 이격공간은, 상기 측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측부가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저장공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3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이격거리와 상기 제3 이격거리의 합인 상기 제2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spacing space of the heat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maginary axis located between the sid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by the first spacing distance in the storage space direc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maginary axis by a third spacing distan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pacing distance by a sum of the first spacing distance and the third spacing distance.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제1 측부,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측부,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3 측부,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측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4 측부 및 상기 제4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5 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ide portion of the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 second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portion toward the storage space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the spaced- A third side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to form the storage space, a fourth side extending from the third side to form the spac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 fifth side extending from the fourth side and providing an area where the cover part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부와 연결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커버부,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커버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4 커버부 및 상기 제4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부와 연결되는 제5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rage space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to form the space A third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ver portion, a fourth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third cover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torage space direction so as to form the spacing space, And a fifth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ourth cove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닥부, 상기 측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상기 제공하도록 제1 바닥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바닥부 및 상기 커버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3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 상기 제2 바닥부 및 상기 제3 바닥부는, 상기 측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bottom portion of the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ttom portion forming the storage space, a second bottom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ottom portion to provide an area where the side portion can be connected, A second bottom portion and a third bottom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bottom portion to provide an area in which the second bottom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can be connected, and the cover portion, the second bottom portion, There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ide portion can be dis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열효과를 증진시키는 커버부를 컵에 씌우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없고, 단열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그립감을 좋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eat insulat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additional work such as covering the cup on the cup for promoting the heat insulating effect, further enhancing the heat insulating effect and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벌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확대 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ide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벌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분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개략 사시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n insulating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컵(10)은 음료의 단열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서, 바닥부(100),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Q)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측부(200) 및 상기 측부(2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측부(200)와 이격되어 측부(20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S)을 형성하는 커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일례로. 이에 추가하여 상기 저장공간(Q)을 커버하는 뚜껑(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ddition, the
상기 바닥부(100), 상기 측부(200) 및 상기 커버부(300)는 종이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뚜껑(400)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The
다만, 상기 구성들의 재질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바닥부(100), 상기 측부(200) 및 상기 커버부(30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일례로, 상기 바닥부(100) 및 상기 측부(200)는 상기 저장공간(Q)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저장공간(Q)의 하측 영역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부(200)는 상기 저장공간(Q)의 옆측 영역 및 상측영역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측부(200)는 하단영역에서 상기 바닥부(10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측부(200)와 상기 바닥부(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커버부(3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측부(200)와 이격되어 상기 측부(200) 및/또는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결과적으로, 상기 측부(200)와 상기 커버부(300)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a spacing space S may be formed at least partially between the
일례로,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측부(200) 및 상기 커버부(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ing space S may be formed by the
일례로, 상기 커버부(300)의 하단영역은 상기 측부(200) 및/또는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0)의 상단영역은 상기 측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end region of the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음료의 단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spacing space S may have a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beverage.
상기 이격공간(S)에는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다.
An air gap may be formed in the spacing space S.
일례로,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측부(200)와 상기 커버부(300) 간에 제1 이격거리(K1)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이격공간(S1) 및 상기 제1 이격거리(K1)보다 더 큰 거리인 제2 이격거리(K2)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이격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ed apart space S may include a first spaced-apart space S1 spaced apart by a first spaced distance K1 between the
일례로, 상기 제1 이격공간(S1)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부(300)의 부분의 온도는 상기 제2 이격공간(S2)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부(300)의 부분의 온도보다 상기 음료의 온도와 더 가까울 수 있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이격공간(S1)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부(300)의 부분 또는 상기 제2 이격공간(S2)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부(300)의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Optionally, therefore, the user can grip a portion of the
일례로, 상기 제1 이격공간(S1) 및 상기 제2 이격공간(S2)은 상기 측부(200)의 둘레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pacing space S1 and the second spacing space S2 may be repeated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즉, 상기 제1 이격공간(S1) 및 상기 제2 이격공간(S2)은 상기 측부(200)의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pacing space S1 and the second spacing space S2 may be alternate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상기 둘레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상하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refer to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viewed in FIG.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이격공간(S1)은 상기 측부(200)와 상기 커버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측부(200)가 상기 저장공간(Q) 방향으로 상기 제1 이격거리(K1)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pacing space S1 may be formed so that the
일례로, 상기 가상의 축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상기 측부(200) 및 상기 커버부(300)사이에 파선으로 표시된 축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hypothetical axis may be a dashed axis between th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가상의 축은 상기 측부(200)의 외면과 상기 커버부(300)의 내면 사이의 중심축을 의미할 수 있다.6 to 8, for example, the virtual axis may mean a central axis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일례로, 상기 측부(200)와 상기 커버부(300)가 하단의 영역에서 접합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300)와 접합되는 상기 측부(200)의 외면 또는 상기 측부(200)와 접합되는 상기 커버부(300)의 내면이 연장되는 선이 상기 가상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할 때, 상기 제1 이격공간(S1)은 상기 측부(200)가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 즉 상기 음료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6 to 8, the first spacing space S1 is formed as the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이격공간(S2)은 상기 측부(200)와 상기 커버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측부(200)가 상기 저장공간(Q) 방향으로 상기 제1 이격거리(K1)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3 이격거리(K3)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spacing S2 may be a distance from the imaginary axis located between the
따라서, 상기 제2 이격공간(S2)의 상기 제2 이격거리(K2)는 상기 제1 이격거리(K1)와 상기 제3 이격거리(K3)의 합일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spacing distance K2 of the second spacing space S2 may be the sum of the first spacing distance K1 and the third spacing distance K3.
일례로,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 이격거리(K3)로 이격되는 것은 상기 커버부(300)의 상기 둘레방향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상기 둘레방향으로 일정영역에서는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일정영역에서는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 이격거리(K3)로 이격될 수 있다.That is, in a certain reg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부(300)의 외면은 상기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outer surface of the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단열컵(10)을 파지할 때, 손가락의 방향은 상기 둘레방향으로 따른다.Generally, when the user grasps the
즉, 손가락의 방향은 상기 돌출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따른다.That is, the direction of the finger follow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커버부(300)를 가압하는 손가락의 끝 마디부분은 여러 개의 상기 돌출부 상에 안착되어 상기 커버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Here,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 pressing the
그 결과,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여러 개의 돌출부로 분산되어, 상기 돌출부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protrusions is dispersed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so that the protrusions may not be deformed.
일례로, 상기 돌출부는 손가락의 끝 마디 영역상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intervals such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be formed on the end node region of the finger.
일례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 및 상기 돌출부와 이웃하는 또 다른 돌출부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and another adjacent protrus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protrusion.
일례로, 상기 측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와 연결되는 제1 측부(210),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부(21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측부(220), 상기 제2 측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장공간(Q)을 형성하는 제3 측부(230),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측부(23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4 측부(240) 및 상기 제4 측부(24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5 측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1 측부(210)는 상기 바닥부(100)와 프레스 및/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2 측부(220)는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부(21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2 측부(220)가 형성하는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제1 이격공간(S1)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ing S formed by the
일례로, 상기 제3 측부(230)는 상기 제2 측부(22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4 측부(240)는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측부(23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4 측부(240)가 형성하는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제1 이격공간(S1)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ing S formed by the
일례로, 상기 제5 측부(250)는 상기 커버부(300) 및 상기 뚜껑(400)이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5 측부(250)는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일 수 있으며, 감촉을 위해 소정의 각도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측부(200)와 연결되는 제1 커버부(310),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31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커버부(320), 상기 제2 커버부(320)로부터 연장되는 제3 커버부(330),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커버부(33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4 커버부(340) 및 상기 제4 커버부(34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부(200)와 연결되는 제5 커버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제1 커버부(310)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부(210)의 적어도 일부와 프레스 및/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일례로, 상기 제2 커버부(320)는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31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2 커버부(320)가 형성하는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제2 측부(220)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이격공간(S2)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ing S formed by the
상기 제2 커버부(320)는 상기 제2 측부(220)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제3 커버부(330)는 상기 제2 커버부(32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4 커버부(340)는 상기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커버부(330)로부터 상기 저장공간(Q)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4 커버부(340)가 형성하는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제4 측부(240)와 협력하여 상기 제2 이격공간(S2)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ing space S formed by the
상기 제4 커버부(340)는 상기 제4 측부(240)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제5 커버부(350)는 상기 제5 측부(250)에 프레스 및/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5 커버부(350)는 상기 제5 측부(250) 상에 절곡되지 않고 접합될 수도 있으나,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5 측부(250)의 형상을 따라 절곡되어 접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8 (a), the
일례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커버부(320), 상기 제3 커버부(330) 및 상기 제4 커버부(3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the
일례로, 상기 제3 측부(230)와 상기 커버부(300) 사이에는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격공간(S1)만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이격공간(S2)이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only the first spacing space S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일례로, 상기 제1 이격공간(S1)은 상기 제3 측부(230)의 상하방향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격공간(S2)은 상기 제3 측부(230)의 상하방향으로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pacing S1 may be formed in the entire upper and lower direction of the
일례로, 상기 바닥부(100)는 상기 저장공간(Q)을 형성하는 제1 바닥부(110), 상기 측부(200)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상기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바닥부(11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바닥부(120) 및 상기 커버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바닥부(120)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3 바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1 바닥부(110)에는 상기 음료가 접촉되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verage may be stored in contact with the
일례로, 상기 제2 바닥부(120)는 상기 제1 바닥부(11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측부(210)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2 바닥부(120)와 상기 제1 측부(210)는 프레스 및/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제3 바닥부(130)는 상기 제2 바닥부(12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커버부(30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일례로, 상기 제3 바닥부(130)의 단면은 상기 제1 커버부(310)에 접할 수 있다.For example, a cross section of the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부(300), 상기 제2 바닥부(120) 및 상기 제3 바닥부(130)는 상기 측부(2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 커버부(310), 상기 제2 바닥부(120) 및 상기 제3 바닥부(130)는 상기 제1 측부(2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제1 측부(210)는 양 방향으로 상기 제1 커버부(310) 및 상기 제2 바닥부(120)와 접합될 수 있다.Here, the
일례로, 상기 제1 측부(210)와 상기 제1 커버부(310)간의 연결 및 상기 제1 측부(210)와 상기 제2 바닥부(120) 간의 연결은 프레스 및/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제3 바닥부(130)가 상기 제1 측부(210)를 커버하여 상기 제1 커버부(310)와 접합된다는 점에서, 상기 저장공간(Q)에 저장된 상기 음료의 실링이 보다 완벽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sealing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Q is more perfect in that the thi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바닥부
200: 측부
300: 커버부
400: 뚜껑100:
200: side
300:
400: lid
Claims (8)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부; 및
상기 측부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측부와 이격되어 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3 커버부,
상기 제3 커버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4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가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따라 상기 제4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5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측부가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이격 공간 및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측부가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가상의 축으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저장공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3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이격거리와 상기 제3 이격거리의 합인 제2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은, 상기 측부의 둘레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제3 커버부는 상기 사용자의 파지 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사용자에 접촉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단열컵.
Bottom;
A side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form a storage space capable of containing a beverage; A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is covered to provide an area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a cover portion at least partly spaced apart from the side portion and defining a spacing space therebetween,
The cover portion
A first cover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ide portion,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rage space direction,
A third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ver portion and projecting to the outside,
A fourth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third cover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 fifth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ourth cover portion along an imaginary axis along which the first cover portion extends, the fifth cover portion being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The spacing space
A first spacing space in which the sid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hypothetical axis by a first spacing distance in the storage space direction and
Wherein the sid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maginary axis by the first spacing distance from the imaginary axis and the cover portion is spaced from the imaginary axis by a third spacing distan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rage space direction, And a second spacing space spaced apart from a second spacing distance that is a sum of the spacing distance and the third spacing distance,
The first spacing space and the second spacing space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so that the third cov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cover portion can be in contact with the user
Insulation cup.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제1 측부,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측부,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3 측부, 상기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측부로부터 상기 저장공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4 측부 및 상기 제4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5 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ortion
A second side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in a direction at an angle to the storage space to define the spacing, a second side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to form the storage space A third side, a fourth side extending from the third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rage space direction so as to form the spacing space, and an area extending from the fourth side to connect the cover par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shape.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닥부, 상기 측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바닥부 및 상기 커버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3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 상기 제2 바닥부 및 상기 제3 바닥부는,
상기 측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ortion
A second bottom portion extending at an angle from the first bottom portion to provide an area to which the side portion can be connected, and a second bottom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ottom portion to provide an area to which the cover portion can be connected, And a third bottom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bottom portion,
The cover portion, the second bottom portion, and the third bottom portion,
Wherein the side wall is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the side portion can be dispo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688A KR101902623B1 (en) | 2016-08-04 | 2016-08-04 | Insulated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688A KR101902623B1 (en) | 2016-08-04 | 2016-08-04 | Insulated cu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981A KR20180015981A (en) | 2018-02-14 |
KR101902623B1 true KR101902623B1 (en) | 2018-10-01 |
Family
ID=6122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9688A KR101902623B1 (en) | 2016-08-04 | 2016-08-04 | Insulated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6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51043B (en) * | 2021-02-26 | 2021-12-21 | 蕭富林 | Insulation paper cup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531070A (en) * | 2008-03-12 | 2009-09-16 | Ptm包装工具机器私人有限公司 | Double-wall cup |
-
2016
- 2016-08-04 KR KR1020160099688A patent/KR1019026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531070A (en) * | 2008-03-12 | 2009-09-16 | Ptm包装工具机器私人有限公司 | Double-wall cu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981A (en) | 2018-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25989A1 (en) | Cup Assembly | |
US20070295738A1 (en) | Double rimmed beverage cup and holder | |
US20080105692A1 (en) | Dual container for heating and heat retaining | |
TWM510900U (en) | Stacking type cup lid structure | |
KR101902623B1 (en) | Insulated cup | |
US9856068B2 (en) | Adjustable thermally insulating beverage jacket | |
KR200445973Y1 (en) | Paper cup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 |
JP4294579B2 (en) | Insulated container | |
KR102289413B1 (en) | Paper cup of du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3173094U (en) | Synthetic resin cup | |
JP4391908B2 (en) | Cup-shaped container | |
US20090242574A1 (en) | Heat-insulating cup | |
JP6130140B2 (en) | Simple cup for beverage | |
KR20110003713U (en) | Cup holder | |
KR20130106233A (en) | Holder for cup ramen cover | |
CN221888040U (en) | Scald-proof drink cup | |
KR20150117242A (en) | Cup Holder with Improved Insulation | |
US8839985B1 (en) | Coffee cup plug | |
CN209203013U (en) | Cup lid subassembly and cooking machine | |
KR200246080Y1 (en) | A paper-cup for one time use | |
CN209846784U (en) | Scald preventing mug | |
CN107010325A (en) | A kind of paper container insulator overcoat | |
CN209915602U (en) | Portable single-layer cup | |
CA2751255A1 (en) | Cupping device | |
JP3193825U (en) | Container for hot f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