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555B1 -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 Google Patents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555B1
KR101902555B1 KR1020170037902A KR20170037902A KR101902555B1 KR 101902555 B1 KR101902555 B1 KR 101902555B1 KR 1020170037902 A KR1020170037902 A KR 1020170037902A KR 20170037902 A KR20170037902 A KR 20170037902A KR 101902555 B1 KR101902555 B1 KR 10190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hardness
arch
forefoo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011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야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야크
Priority to KR102017003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5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발바닥 중간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와, 아치를 기준으로 전방의 앞꿈치를 지지하는 전족부와, 후방의 뒤꿈치를 지지하고 상기 전족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후족부로 이루어지는 키높이 깔창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 깔창은 신발 내의 바닥에 밀착되는 제1인솔과, 상기 제1인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발바닥 전체가 접촉되는 제2인솔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인솔의 후족부의 두께는 상기 제1인솔의 후족부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이며, 상기 제1인솔의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상기 제2인솔의 완충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인솔의 경도가 상기 제2인솔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Dual hardness shoe insole for rising stature}
본 발명은 키높이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속에 삽입하여 착용자의 발에 쿠션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작은 키를 보완할 수 있는 키높이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장이 작거나 자신의 키를 더 크게 보이고 싶어하는 경우, 사람들은 신발 내부의 발뒤꿈치 부분이 통상의 신발보다 높게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일반 신발과 비슷한 굽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신발을 신는 사람의 키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키높이 신발을 착용한다.
초기에 별도의 키높이 패드를 신발 깔창의 발꿈치 부분에 삽입하는 타입이 있었지만, 최근 깔창(인솔) 자체를 키높이 깔창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깔창의 발뒤꿈치 부분은 두껍게 성형하여 깔창으로 깔게 되면 키높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키높이 깔창의 경우 단일 경도를 가지는 단일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마모성과 완충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내마모성을 보강하려면 경도가 높은 경질의 재질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완충성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완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면 내마모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6938(2007.1.4) "키높이 이중인솔"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9794(2014.1.3) "이중구조의 신발용 아웃솔"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8718(2008.7.21) "다기능 신발 밑창"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에 삽입하는 키높이 깔창의 구조를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재질을 적층함으로써 내마모성과 완충성이 뛰어난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목적은 신발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고 깔창의 제거가 용이한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은, 발바닥 중간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와, 아치를 기준으로 전방의 앞꿈치를 지지하는 전족부와, 후방의 뒤꿈치를 지지하고 상기 전족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후족부로 이루어지는 키높이 깔창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 깔창은 신발 내의 바닥에 밀착되는 제1인솔과, 상기 제1인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발바닥 전체가 접촉되는 제2인솔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인솔의 후족부의 두께는 상기 제1인솔의 후족부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이며, 상기 제1인솔의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상기 제2인솔의 완충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인솔의 경도가 상기 제2인솔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인솔은 쇼어 경도(shore hardness) 55 ~ 65(C type)의 경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인솔의 경도는 쇼어 경도 30 ~ 40(C type)의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인솔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인솔의 하부면에는 육각형 단면의 돌출부가 다수개 배열되고, 각 돌출부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솔의 아치부 및 후족부의 측면에는 홈 형상의 그루브 (groove)가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루브는 물결 형상 또는 상하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톱니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의 제1인솔과 연질의 제2인솔의 이중 층으로 이루어져 내마모성과 완충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인솔에만 통기공을 형성시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압축하중에 의해 깔창의 완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루브를 형성시킴으로 깔창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CC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DD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인솔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바닥의 전방에 해당하는 발가락을 포함하는 앞꿈치를 지지하는 전족부(110)와, 발바닥의 후방에 해당하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후족부(130) 및 상기 전족부(110)와 후족부(130) 사이를 연결하면서 발바닥의 아치(족궁)를 지지하는 아치부(120)로 이루어진 키높이 깔창에 관한 것으로, 기술적 특징으로는 경도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인솔(10)과 제2인솔(20)의 이중 층 구조를 가진 것이다.
먼저, 상기 제1인솔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인솔(10)은 이중 층 구조상에서 하층에 위치하는 것으로 신발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발바닥의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인솔(10)은 폴리우레탄(PU) 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에 의해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인솔(10)의 경도는 상기 제2인솔(20)의 경도보다 크도록 상기 제1인솔(10)은 경질의 합성수지이고 상기 제2인솔(20)은 상대적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1인솔(10)은 내마모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제2인솔(20)은 쿠션력 즉, 완충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인솔(10)의 경도는 쇼어 경도(shore hardness) 기준으로 55 이상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쇼어 경도계의 타입은 C 타입으로 측정한 값에 해당한다.
참고로 쇼어 경도는 재료의 단단한 정도를 맨 끝에 다이어몬드 또는 강철구 형상의 인덴터를 가진 해머를 시료 표면에 떨어뜨렸을 때 튀어 오르는 높이로 나타내는 경도를 말한다. 타입은 인덴터의 단부 형상에 따라 분류되는 것으로 A, B, C, D, DO, O, OO, OOO, M 등이 있다. 따라서, 인덴터의 종류 즉, 경도계 타입에 따라서 동일한 재질이라도 경도 측정값에 차이가 난다.
본 발명에서 제1인솔(10)의 경도가 55 ~ 65인 것은 55 이하인 경우 내마모성이 떨어지고 65 이상이 되면 기본적은 충격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상술한 범위 내의 경도를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도를 조절하는 것은 선택된 합성수지를 발포할 때 물성치를 조절하여 쇼어 경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1인솔(10)과 제2인솔(20)을 별도로 제작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 접착하거나 열융착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도 3, 4, 5를 함께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BB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CC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DD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인솔(10)의 전족부(110)를 제1전족부(110), 제1인솔(10)의 아치부(120)를 제1아치부(12), 그리고 제1인솔(10)의 후족부(130)를 제1후족부(13)라고 칭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전족부(110)는 발가락을 포함하는 앞꿈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후족부(13)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역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족부(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후족부(13)는 양측면에 상기 제2인솔(20)의 후족부(130)를 수용하면서 발뒤꿈치의 일부를 감싸고 동시에 신발의 내부 측면에 상기 제1인솔(10)이 밀착되도록 상부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후족연장편(13a)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1아치부(12)는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역시 상기 제1전족부(110) 및 제1후족부(1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전족부(110)와 제2전족부(21)를 연결한다.
상기 제1아치부(12)의 양측면에도 상기 제2인솔(20)의 아치부(120)를 수용하면서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감싸면서 동시에 신발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제1아치연장편(1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아치연장편(12a)의 경우 발바닥의 아치 측에 형성되는 제1아치연장편이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 4,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인솔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인솔(20)은 이중 층 구조상에서 상층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인솔(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발바닥에 밀착되는 것으로 발바닥의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인솔(20)도 폴리우레탄(PU) 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에 의해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인솔(20)의 경도는 상기 제1인솔(10)의 경도보다 작도록 제1인솔(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2인솔(20)의 쿠션력 즉, 완충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인솔(20)의 경도는 쇼어 경도(shore hardness) 기준으로 3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쇼어 경도계의 타입은 C 타입으로 측정한 값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제2인솔(20)의 경도가 30 ~ 40인 것은 30 이하인 경우 압축률이 높아 일정 높이를 유지해야 하는 키높이 깔창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40 이상이 되면 압출률이 저하되어 충분한 충격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 내의 경도를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인솔(20)의 전족부(110)를 제2전족부(21), 제2인솔(20)의 아치부(120)를 제2아치부(22), 그리고 제2인솔(20)의 후족부(130)를 제2후족부(23)라고 칭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전족부(21)는 발가락을 포함하는 앞꿈치를 직접 지지하는 부분으로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후족부(23)는 발뒤꿈치를 직접 지지하는 부분으로 역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전족부(21) 두께의 3배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후족부(23)에 의해 키높이 기능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제2후족부(23)도 양측면에 상기 제1인솔(10)의 제1후족부(13)에 수용되면서 발뒤꿈치의 일부를 감싸고 동시에 상기 제1후족연장편(13a) 내부 측면에 상기 제2후족부(23)가 밀착되도록 상부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후족연장편(2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후족연장편(23a)은 상기 제1후족연장편(13a)과 동일한 높이로 결합된다.
또 상기 제2아치부(22)는 발바닥의 아치에 직접 밀착되어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2전족부(21)와 제2후족부(23)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아치부(2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전방은 상기 제2전족부(2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지만 후방은 상기 제2후족부(23)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아치부(22)의 양측면에도 상기 제1인솔(10)의 제1아치부(12)에 수용되면서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감싸고 동시에 제1아치연장편(12a) 내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아치연장편(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아치연장편(22a)의 경우 발바닥의 아치 측에 형성되는 제2아치연장편(22a)이 반대측 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인솔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인솔(1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14)은 신발 내부에 적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인데, 종래에는 깔창 전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통기공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종래 구조는 통기 효과는 발휘되나 깔창 전체가 반복적인 압축하중을 받게 될 때 쿠션력이 점차 감소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완충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인솔(10)에만 통기공(14)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통기 효과를 주면서 동시에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제2인솔(20)에 의해 지속적인 완충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4)에 충진된 공기는 압축되는 순간 배출되었다가 압축이 해제되는 순간 다시 공기가 흡입될 수 있어 통기 기능이 구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기공(14)은 완벽하지는 않지만 흡입된 공기가 에어쿠션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완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솔(10)의 하부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육각돌출부(15)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벌집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육각돌출부(15)는 서로 밀착된 구조가 아니라 서로 이격되어 각 육각돌출부(15) 사이에 통기로(16)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로(16)는 상기 통기공(14)에서 배출된 공기들이 외부로 잘 배출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상기 통기공(14)에서 순간적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통기로(16)를 타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인솔(10)의 제1아치부(12)와 제1후족부(13)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그루브(groove)가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아치부(12)의 제1아치연장편(12a)과 제1후족부(13)의 제1후족연장편(13a)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골 형상의 그루브(17)가 상기 제1아치부(12)의 일측면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1후족부(13)의 양측면을 지나 상기 제1아치부(12)의 타측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17)는 상기 통기로(16)와 같이 공기의 유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지만, 깔창을 신발 내에서 손쉽게 제거하는 것을 도와주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상기 그루브(17)가 없는 종래의 깔창은 신발 내에 밀착되어 있고 지속적인 압축에 의해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손가락으로 빼내는 것이 불편했다.
그러나 상기 그루브(17)가 형성됨으로써 신발의 내측면과 상기 제1아치연장편(12a) 혹은 제1후족연장편(13a)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제1아치연장편(12a) 혹은 제1후족연장편(13a)을 잡고 당기면, 상기 그루브(17) 내에 공기가 삽입되어 진공이 해제됨으로써 깔창 전체를 쉽게 빼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그루브(17)는 물결 형상 또는 상하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단순히 직선 형상보다 길어지게 함으로써 진공해제가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 실시 예 >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인솔(10)의 두께는 4mm로 일정하게 성형할 수 있다. 즉 제1전족부(110), 제1아치부(12), 제1후족부(13) 모두 약 4mm의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고 상기 제1아치연장편(12a)과 제1후족연장편(13a)은 4mm 두께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인솔(20)의 두께에 있어서, 상기 제2전족부(21)는 4mm의 두께로 성형하고, 상기 제2후족부(23)는 3배 이상인 12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키높이 기능을 하면서 완충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2후족부(23)의 두께는 19mm로 성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제1인솔
11 : 제1전족부 12 : 제1아치부
12a : 제1아치연장편 13 : 제1후족부
13a : 제1후족연장편 14 : 통기공
15 : 육각돌출부 16 : 통기로
17 : 그루브
20 : 제2인솔
21 : 제2전족부 22 : 제2아치부
22a : 제2아치연장편 23 : 제2후족부
23a : 제2후족연장편
100 : 깔창 110 : 전족부
120 : 아치부 130 : 후족부

Claims (6)

  1. 발바닥 중간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와, 아치를 기준으로 전방의 앞꿈치를 지지하는 전족부와, 후방의 뒤꿈치를 지지하고 상기 전족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후족부로 이루어지는 키높이 깔창에 있어서,
    상기 키높이 깔창은 신발 내의 바닥에 밀착되는 제1인솔과, 상기 제1인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발바닥 전체가 접촉되는 제2인솔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인솔의 후족부의 두께는 상기 제1인솔의 후족부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이며, 상기 제1인솔의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상기 제2인솔의 완충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인솔의 경도가 상기 제2인솔의 경도보다 크게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인솔의 경도는 쇼어 경도(shore hardness) 55 ~ 65(C type)의 경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인솔의 경도는 쇼어 경도 30 ~ 40(C type)의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인솔의 아치부 및 후족부의 측면에는 홈 형상의 그루브 (groove)가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으로 물결 형상 도는 상하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톱니 형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솔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솔의 하부면에는 육각형 단면의 돌출부가 다수개 배열되고, 각 돌출부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5. 삭제
  6. 삭제
KR1020170037902A 2017-03-24 2017-03-24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KR101902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02A KR101902555B1 (ko) 2017-03-24 2017-03-24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02A KR101902555B1 (ko) 2017-03-24 2017-03-24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011A KR20180109011A (ko) 2018-10-05
KR101902555B1 true KR101902555B1 (ko) 2018-10-08

Family

ID=6386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02A KR101902555B1 (ko) 2017-03-24 2017-03-24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51013A1 (en) * 2021-08-20 2023-02-21 Cenesy Ab Balance training inso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38B1 (ko) * 2006-03-31 2007-01-10 안광우 키높이 이중인솔
KR100881769B1 (ko) * 2008-05-09 2009-02-04 정용희 신발깔창
KR100933527B1 (ko) * 2009-06-04 2009-12-23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인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38B1 (ko) * 2006-03-31 2007-01-10 안광우 키높이 이중인솔
KR100881769B1 (ko) * 2008-05-09 2009-02-04 정용희 신발깔창
KR100933527B1 (ko) * 2009-06-04 2009-12-23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인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51013A1 (en) * 2021-08-20 2023-02-21 Cenesy Ab Balance training ins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011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272B2 (en)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US6976319B2 (en) Footwear construction
US7100308B2 (en) Footwear with a heel plate assembly
US746748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multiple layers
JP5175340B2 (ja) 靴用の支援プレート具
US20090139114A1 (en)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80148598A1 (en) Footwear sole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US20110197469A1 (en) Shoe sole suitable for suppressing pronation
US20110179669A1 (en)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EP1728446A1 (en) Footwear sole (trailspring II dual)
KR20090082292A (ko) 신발용 보강 케이지
US7178271B2 (en) Sole with improved construction
GB2522923A (en) Insoles and production methods
US20190343227A1 (en) Sole structure and an article of footwear
US7707746B2 (en) Footwear outsole construction
CN113490435A (zh) 具有通道缓冲部的跑鞋鞋底
US20150257485A1 (en) Insole for Mid- to High-Heel Shoes
KR101902555B1 (ko) 이중 경도 구조를 가지는 키높이 깔창
US10231509B2 (en) Item of footwear
TWI809141B (zh) 鞋底
US11122860B2 (en) Item of footwear
CN219781721U (zh) 一种运动鞋及其足弓舒适度自适应鞋底结构
US20220022599A1 (en) Multi-function sneaker
KR200428449Y1 (ko) 전후의 밀도가 다른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