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536B1 -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 Google Patents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536B1
KR101902536B1 KR1020170007957A KR20170007957A KR101902536B1 KR 101902536 B1 KR101902536 B1 KR 101902536B1 KR 1020170007957 A KR1020170007957 A KR 1020170007957A KR 20170007957 A KR20170007957 A KR 20170007957A KR 101902536 B1 KR101902536 B1 KR 10190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ainwater
coupling
bellow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4396A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17000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536B1/en
Publication of KR2018008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가 개시된다. 개시된 빗물받이는 연결관에 의해 하수본관과 접속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부에 빗물유입구와 측면하부에 빗물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자바라결합부가 매립설치된 빗물받이본체;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연장되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후단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자바라;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몸체와 상기 주름부가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바라는 상기 빗물받이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빗물유출구에 삽입된 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자바라결합부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ain gutters equipped with a bellows are disclosed.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nwater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by a connection pipe, the rainwater collector having a rainwater inlet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nwater outlet at a lower portion of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bellows coupling portion embedd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rainwater outlet; And a bellows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a wrinkle portion extending to the cylindrical body, and a flange portion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wrinkle portion, wherei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wrinkle portion are located inside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rainwater outlet. The bellows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in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and then the flange portion is bolted to the bellows- In a manner to be described later.

Description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having an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a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using the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관을 각도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용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collector having a connecting bellows and a rainwater collector using the rainwater collector.

일반적으로 하수관거에는 우수관거와 오수관거로 구분하고 있어며, 우수관거와 오수관거의 분리여부에 따라 합류식 및 분류식으로 구분된다. Generally, sewer pipes are classified into excellent pipes and sewer pipes,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joining type and classification type depending on whether the sewer pipes are almost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 분류식 하수관거에서 우수관거는 가정오수나 공장폐수를 배출하는 오수관거와는 달리, 도로의 우수나 지표수만을 배수 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차도의 양측에 빗물받이를 설치하고 있다.Unlike the sewage pipe that discharges domestic sewage or factory wastewater, this type of sewer pipe is constructed to drain only the excellent or surface water of the road, and rainwater collecto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way for this purpose.

이 우수관거용 차도측 빗물받이는 통상적으로 유입되는 지표수에 오물이 포함되는 유입수를 걸러서 일정 기간동안 저장시키고, 물만을 우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이 빗물받이는 퇴적물이 일정 수준에 다다르기 전에 준설하여야 오물을 걸러내고 물만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This rain gutterside roadway side rain gutters are usually configured to filter inflow water containing dirt in inflowed surface 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drain water only into the river through the rain gutters. This rain gutters must be dredged before the sediment reaches a certain level, so that the water can be drained out smoothly.

통상적으로 도로의 우수나 지표수 등은 빗물받이로부터 연결관을 통해 하수관으로 유출된다. Typically, road surface water or surface water flows out of the storm drain to the sewage pipe through the connecting pipe.

유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하수본관에 빗물받이로부터의 우수가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빗물받이보다 지표면으로부터 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받이의 유출구와 하수본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은 경사지게 연결된다. 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spillage, it will be located further down the ground than the rain gutters so that the stormwater from the rainwater basin can easily flow down to the main sewer. Accordingly,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outflow port of the rainwater receiver and the main pipe of the sewage pipe is connected in an inclined manner.

하지만, 종래에는 빗물받이의 유출구와 연결관의 인단부를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작업이었다. However, in the past,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rain gutters to the inlets of the connecting pipes was a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task.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495846호에서 빗물받이의 유출구와 하수본관에 경사지게 연결된 연결관을 견고하게 연결하면서도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빗물받이와 하수본관의 연결관 연결용 슬리브소켓을 제시하였다.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ainwater collector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sleeve for connecting the rainwater collector and the sewage main pipe to each other while firmly connecting the outlet pipe of the rainwater collector and the connection pipe slantly connected to the main water pipe, Socket.

다만,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495846호는 연결관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소켓을 슬리브에 삽입시켜 끼움각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이 다소 불편하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However, the applicant'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495846 has a drawback that the operation is somewhat inconvenient because the angle of the fitting is adjusted by inserting the socket into the sleeve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ipe.

또한, 하수본관과 빗물받이 사이 거리가 길어 복수의 연결관을 끼움형태로 이어서 연결해야 할 때는 보통, 연결관들을 하수본관에서부터 설치하고 최후단의 연결관을 빗물받이에 연결하였다. 하지만, 기존 슬리브 소켓으로 설치시 에는 역순으로 연결관 연결을 시공하므로 작업자들로부터 설치방법이 기존설치에 비해 적응기가 필요하며, 단본 연결시에는 상당히 편리하다.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sewer pipe and the rain gutters is long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ar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ipes are usually installed from the sewer main pipe, and the last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sink. However, in case of installation with existing sleeve socket, connection pipe connection is constructed in reverse order, so the installation method from the workers requires an adaptation device compared to the existing installation, and it is quite convenient in case of single connection.

이에, 본 출원인은 연결관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하수본관에서부터 복수의 연결관을 연결할 때 빗물받이에 무난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내구성이 확보된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슬리브를 구비한 빗물받이를 실용신안출원하여 등록하였습니다(등록실용신안 0480536호).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pipe and can connect the rainwater receiver to the rainwater receiver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are connected from the sewage main pipe. In addition, the angle adjustable bellows sleev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80536).

등록실용신안 0480536호에 개시된 빗물받이는 자바라 슬리브가 빗물받이본체의 빗물유출구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다수의 콘크리트 우수관거의 시공시는, 하수본관에서부터 연결관을 설치하고, 최후단의 연결관을 빗물받이에 연결할 때, 최후단의 연결관에 빗물받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자바라 슬리브를 최대로 끼운 다음, 최후단 연결관을 후퇴시켜 이전 연결관의 끼움부에 끼워서 접속하면서, 최후단 연결관에 자바라 슬리브가 삽입연결된 상태에서, 자바라 슬리브와 빗물유출구 사이의 공간에 몰탈을 채워야 하지만 시공의 불편함 때문에 현장에서는 작업을 역순으로 시공하였다. The rainwater receiver disclosed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048053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ellows sleeve is integrated with the rainwater outlet of the rainwater collector main body. When a large number of concrete rainwater pipes are to be installed, a connection pipe is installed from the sewage main pipe, When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receptacle, the bellows sleeve integrally formed on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is fully inserted into the rear end connection pipe, the rear end connection pipe is retracted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previous connection pipe, With the bellows sleeve inserted into the pipe, the mortar must b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bellows sleeve and the rainwater outlet, but due to the inconvenience of construction, the work was carried out in reverse order on the site.

하지만, 등록실용신안 0480536호에 개시된 빗물받이는 자바라 슬리브가 빗물받이본체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구성이므로, 콘크리트 재질인 다갯수의 연결관 시공시, 최후단 연결관유입구를 통해 빗물받이본체 내부로 삽입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최후단의 연결관을 자바라 슬리브의 끝단까지만 전진하였다가 후퇴시켜 이전 연결관에 접속할 수 밖에 없게 됨으로써, 최후단의 연결관으로 자바라 슬리브와 이전 연결관을 접속연결시키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웠다. 그러나, 단본 시공이 가능한 PE, PVC 재질의 연결관은 매우 편리하다. However, since the rain gutters disclosed in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480536 are constructed such that the bellows sleeves are integrated with the rain gutters main body, they are inserted into the rain gutters through the inlet of the last connecting gutters when constructing a plurality of the concrete gutters.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bellows sleeve and the previous connector with the rear end connector by connecting the rear end connector to the end of the bellows sleeve and then retracting to connect to the previous connector It was very difficult. However,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PE and PVC connectors which can be used as a single uni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연결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연결관과 빗물받이를 용이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configuration for easily connecting a connection pipe and a rainwater receiv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harbors equipped with a bellows and a rainwater harvesting method using the rainwater collector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빗물받이는 연결관에 의해 하수본관과 접속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부에 빗물유입구와 측면하부에 빗물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자바라결합부가 매립설치된 빗물받이본체;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연장되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후단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자바라;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몸체와 상기 주름부가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바라는 상기 빗물받이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빗물유출구에 삽입된 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자바라결합부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inwater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by a connection pipe. The rainwater collector includes a rainwater inlet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nwater outlet at a low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 rainwater catching main body provided with additional landfill; And a bellows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a wrinkle portion extending to the cylindrical body, and a flange portion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wrinkle portion, wherei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wrinkle portion are located inside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rainwater outlet. The bellows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in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and then the flange portion is bolted to the bellows- In a manner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매립되며,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볼트통과홀이 형성된 결합몸체; 상기 볼트통과홀의 전단부에 인서트결합되는 너트; 상기 빗물받이본체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안착되며, 상기 볼트통과홀의 후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플랜지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통과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bellows coupling part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is e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nd has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 nut inserted in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lt through hole; And a flange seating part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ainwater catching body so that the flange part is seated and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olt through hole, The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flang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hole, and is fastened to the nut, so that the flange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body.

상기 플랜지안착부는,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링과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lang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a protruding ring integrally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nd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ellows coupl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fins extending integrally forward from the coupl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body.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시, 상기 플랜지와 상기 결합몸체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에 패킹재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 packing material may b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to prevent water leakage between the flange and the coupling body wh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upling body are coupled.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시, 상기 패킹재와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bellows coupling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nhances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nge part and the coupling body when the coupling body and the coupling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 ≪ / RTI >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복수의 볼트통과홀 중 이웃하는 복수의 통과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riction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connect a plurality of neighboring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bolt holes.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부는 하단부 길이보다 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may be longer than the lower end length.

한편, 본 발명의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은 상부에 빗물유입구와 측면하부에 빗물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자바라결합부가 매립설치된 빗물받이본체와,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연장되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후단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자바라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수 본관에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수 본관에 연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최후단 연결관을 상기 빗물유출구를 통해 상기 빗물받이본체 내부로 삽입하였다가 후퇴하여 상기 연결관의 끼움부에 끼워서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자바라를 상기 빗물받이본체 내부에 넣어, 상기 빗물받이본체 내부에서 상기 빗물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삽입하고, 상기 원통몸체를 상기 최후단 연결관에 삽입하여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자바라결합부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원통몸체 및 상기 주름부와 상기 빗물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몰탈을 채워 고정시켜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orm drain pipe using a rainwater harness with a be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mwater receiver main body having a rainwater inlet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nwater outlet at a low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nd having a bellows coupling portion embedd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rainwater outlet,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orm watercourse using rainwater troughs comprising a cylindrical body into which a pipe is inserted, a wrinkle portion extending to the cylindrical body, and a flange portion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wrinkle portion, Connecting the tubes; Inserting the rear end connection pipe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port and then retracting and connecting the rear end connection pipe 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with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Inserting the bellows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inserting the bellows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port, inserting the cylindrical body into the reheater connection pipe and connecting the bellows; The flange portion is coupled to the bellows coupling portion by a bolt tightening method,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wrinkle portion and the rainwater outlet is filled with mortar to cure.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바라가 빗물받이본체와 별도로 구성되어, 우수관거 시공시 결합되는 형태로서, 자바라가 빗물받이본체의 내측에서 빗물유출구에 삽입되어, 빗물받이본체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우수관거 시공시 연결관을 먼저 빗물유출구를 통해 빗물받이본체 내부로 삽입하였다가 후퇴시켜, 이전 연결관에 접속시키는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어 우수관거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ellows is separately formed from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receiver body at the inner side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when the bellows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main bod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work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to the previous connection pipe by inserting the connecting pipe into the rainwater receiving body first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when the rain water pipe is construc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자바라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후면을 바라본 상태이고, (b)는 전면을 바라본 상태이며, (c)는 (a)에 표시된 G-G단면도이고, (d)는 (a)에 표시된 J-J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바라의 분리도이고,
도 4는 도 3의 후방플랜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후면을 바라본 상태이고, (b)는 전면을 바라본 상태이며, (c)는 (a)에 표시된 G-G단면도이고, (d)는 (a)에 표시된 J-J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전방플랜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후면을 바라본 상태이고, (b)는 전면을 바라본 상태이며, (c)는 (a)에 표시된 G-G단면도이고, (d)는 (a)에 표시된 J-J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rain gutters equipped with a bel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front view,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in FIG. 1 (a), and FIG. 2 (a).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bellows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the rear flange of Fig. 3, wherein (a) is a rear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GG cross- (a).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flange of Fig. 3, wherein (a) is a rear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GG cross- (a).
6 to 9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orm drainage system using a rainwater harness with a be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shown in Fig. 9. Fig.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10)에 대해 설명한다. 1 to 6, a rainwater collector 10 having a bel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빗물받이(10)는 도로 가변 등에 매립설치되며, 연결관(21,23)에 의해 하수본관(20)과 연결되어 빗물을 배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rainwater receiver 10 is embedded in a road variable or the like and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20 by the connection pipes 21 and 23 to be used for draining rainwater.

빗물받이(10)는 빗물받이본체(100)와 자바라(200)를 포함한다. The rain gutters (10) include a rain gutters main body (100) and a bellows (200).

빗물받이본체(10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빗물유입구(112)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빗물유출구(113)가 형성된다. 빗물유입구(112)는 통상의 빗물받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빗물유입구(112)에는 비교적 큰 오물들을 걸러주기 위한 스틸그레이팅(미참조부호)이 장착될 수 있다.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is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nd a rainwater inflow port 1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nwater outflow port 113 is formed at a lower side. The rainwater inlet 112 may be configured to be identical to a conventional rainwater sink 112, and a steel grating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rainwater inlet 112 to filter relatively large sludge.

빗물유출구(113)는 빗물받이본체(10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점점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빗물유출구(113)의 최소직경 즉 내측단의 직경은 우수관거 시공시 연결할 연결관(23, 도 6참조)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도록 구성되어, 연결관(23)이 빗물유출구(1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ainwater outlet 1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fall-off pi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rainwater outlet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23 (see FIG. 6) 11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빗물받이본체(100)는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부에 자바라결합부(120)가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1 and 2, the rainwater catching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is e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ainwater outflow opening 113.

자바라결합부(12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자바라결합부(120)는 빗물받이본체(1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예로 발명의 빗물받이본체(100)는 거푸집에 자바라결합부(120)를 인서트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양생시켜 줌으로써 자바라결합부(120)가 빗물받이본체(1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rainwater collector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inserting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into a mold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can be integrally formed in the rain catcher main body 100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formwork.

자바라결합부(120)는 결합몸체(121), 돌출링(124), 돌출핀(128)으로 구성된다. The bellows engaging portion 120 is composed of an engaging body 121, a protruding ring 124, and a protruding pin 128.

결합몸체(121)는 중앙에 중공부(122)가 관통형성된 원형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져, 빗물받이본체(100)의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결합몸체(121)는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볼트통과홀(125)이 형성된다. 각각의 볼트통과홀(125)의 전단부에는 너트(n)가 인서트형태로 매립설치된다.The coupling body 1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disk having a hollow portion 122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113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bolt holes 125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body 121. At the front end of each bolt through-hole 125, a nut (n) is buried in an insert form.

본 실시 예에서는 볼트통과홀(125)은 4개가 구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수는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embodiment, four bolt holes 125 ar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may be varied.

돌출링(124)은 결합몸체(1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원형링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돌출링(124)과 결합몸체(121)는 서로 직각되어 돌출링(124)의 내측으로 결합몸체(121)와의 사이에 플랜지 안착부(124a)가 형성된다. 이 플랜지안착부(124a)는 빗물받이본체(100)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이 플랜지안착부(124a)는 볼트통과홀(125)의 후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protruding ring 124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engaging body 121 to form a circular ring. The protruding ring 124 and the engaging body 12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form a flange seating portion 124a between the engaging body 121 and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ring 124. [ The flange seating portion 124a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ain catcher main body 100 and the flange seating portion 124a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lt through hole 125. [

돌출핀(128)은 원형봉형태로 이루어지며, 결합몸체(12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결합몸체(121)의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돌출핀(128)는 4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수는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otruding pins 128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bar and protrude integrally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ngaging body 121 and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ngaging body 121.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projecting pins 128 is shown to be four, but the number may be varied.

아울러, 결합몸체(121)의 전면에는 볼트삽입관(127)이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이 볼트삽입관(127)은 빗물받이본체(100)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In addition, a bolt insertion tube 127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121 so as to integrally project forward. The bolt insertion tube 127 is embedded in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이 볼트삽입관(127)은 볼트통과홀(125)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볼트통과홀(125)에 설치된 너트(n)에 나사체결되어 볼트통과홀(125)의 전방으로 돌출된 볼트(b)의 끝단이 볼트삽입관(127)에 삽입되게 된다. The bolt insertion tube 127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olt through hole 125 and is screwed to the nut n provided in the bolt through hole 125 to form a bolt b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tube 127.

또한, 본 발명의 자바라결합부(120)는 결합몸체(121)의 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찰돌기(1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마찰돌기(126)는 이웃하는 두 볼트통과홀(125)을 연결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된다.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12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two boss holes 125 ) In a circular arc shape.

자바라(200)는 빗물받이본체(10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관체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부구간에 주름부(213)가 형성되어 연결관(23)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bellows 20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 wrinkle portion 213 is formed in a part of its lengthwise direction, Can be easily adjusted.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바라(200)는 자바라본체(210), 플랜지부(220)를 포함한다. 1, 3 to 5, the bellow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llows main body 210 and a flange portion 220.

자바라본체(210)는 원통몸체(211)와, 이 원통몸체(211)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주름부(213)로 이루어진다. The bellows main body 21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211 and a corrugated portion 213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1.

이때, 원통몸체(211)와 주름부(213)로 이루어진 자바라본체(210)의 외경은 빗물유출구(113)의 최소직경 즉,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단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성되어, 자바라본체(210)가 빗물받이본체(100) 내부에서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단을 통과하여 빗물유출구(1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bellows main body 210 made of the cylindrical body 211 and the wrinkle 213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diameter of the rainwater outlet 113 or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rainwater outlet 113 The bellows main body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113 through the inside end of the rainwater outlet 113 in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몸체(211)의 상단길이가 하단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이는 원통몸체(211)의 상단 및 하단길이가 동일할 경우, 연결관(23)의 설치각도가 수평에 대해 큰 각도를 이루게 되면, 원통몸체(211)가 연결관(23)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원통몸체(211)의 상단부는 연결관(23)의 상단에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원통몸체(211)의 상단길이가 하단길이보다 길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관(23)의 설치각도가 수평에 대해 큰 경우에도 원통몸체(211)가 연결관(23)에 노출되는 부분 없이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어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lso, as shown in FIG. 1,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longer than the lower end. This is because, wh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ylindrical body 211 have the same length, i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pipe 23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angle, the cylindrical body 211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3 ,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ex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23, so that the connection can not be normally performed. However, even whe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pipe 23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ylindrical body 211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23 It can be inserted as a whole without an exposed por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normal connection is established.

주름부(213)는 원통몸체(211)의 직경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주름부(213)는 원통몸체(211)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주름부(213)의 골은 원통몸체(211)의 직경과 동일하고, 주름부(213)의 산은 원통몸체(213)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름부(213)가 원통몸체(211)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구성이면 주름부(213)의 골과 산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The wrinkle portion 213 is configured to be formed outside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211. That is, the corrugated portion 213 is extended from the cylindrical body 211, the corrugation of the corrugated portion 213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211, Diameter. ≪ / RTI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wrinkle portion 21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ylindrical body 211, the size of the ridge and the mountain of the wrinkle portion 213 can be variously adjusted.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자바라(200)가 자바라결합부(120)에 결합된 경우, 주름부(213)는 빗물유출구(113) 내에 위치하고, 원통몸체(211)의 후단은 빗물유출구(113)에 위치하며, 원통몸체(211)의 전단부 측은 연결관(23)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10, when the bellows 200 is coupled to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the wrinkle part 213 is located in the rainwater outlet 113 and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outlet 113 And the front end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coupling tube 23. [

플랜지부(220)는 주름부(213)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편(215)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플랜지안착부(124a)에 안착된 상태로 자바라결합부(120)의 결합몸체(121)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lange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ngaging piece 21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rrugated portion 213. The flange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engaging body 121 of the bellows engaging portion 120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flange seating portion 124a Bolt fastening method.

이때, 플랜지부(220)는 빗물유출구(113)의 최소직경, 즉,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단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자바라본체(210)를 빗물받이본체(100) 내부에서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단에 삽입하면, 플랜지부(220)가 자바라결합부(120)의 플랜지안착부(124a)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The flange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minimum diameter of the rainwater outlet 113, that is,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rainwater outlet 113, so that the bellows main body 210 is disposed inside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The flange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flange seating portion 124a of the bellows coupling portion 120. [

플랜지부(220)는 후방플랜지(221)와 전방플랜지(225)를 포함하며, The flange portion 220 includes a rear flange 221 and a front flange 225,

후방플랜지(221)는 중공부(221a)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며,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볼트통과공(223)이 관통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끼움결합돌기(224)가 형성된다. 이 끼움결합돌기(224)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플랜지(221)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단턱(222)이 형성되며, 이 단턱(222)에는 결합편(215)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The rear flange 2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having a hollow portion 221a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bolt holes 223 are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221. A front fitting engagement protrusion 224 is formed do. A plurality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24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 step 222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ar flange 22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piece 215 is seated on the step 222.

전방플랜지(225)는 중공부(225a)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며,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2볼트통과공(226)이 형성되며, 또한, 끼움결합돌기(224)에 억지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홀(227)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플랜지(225)의 전면에는 스펀지나 고무, 실린콘 등과 같은 패킹재(228)가 부착되거나 도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볼트통과공(226) 및 끼움결합홀(227)은 패킹재(228)까지도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flange 225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hollow portion 225a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 holes 226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k, An engaging hole 227 is formed. The front flange 225 may be formed with a packing material 228 such as a sponge, a rubber, or a silicon cone. At this time, the second bolt passage hole 226 and the fitting hole 227 are configured to form the packing material 228 as well.

본 발명은 플랜지부(220)와 결합몸체(121)의 결합시 플랜지부(220)의 전면에 형성된 패킹재(228)가 결합몸체(121)의 후면과 접촉되면서 플랜지부(220)의 전면과 결합몸체(121)의 후면 사이에 패킹재(228)가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플랜지부(220)와 자바라결합부(12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acking member 228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0 when the flange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body 121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121, A packing material 228 is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s of the coupling body 121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flange portion 220 and the bellows coupling portion 120.

아울러, 플랜지부(220)와 결합몸체(121)의 결합시 플랜지부(220)의 전면에 형성된 패킹재(228)가 결합몸체(121)의 후면에 접촉되고, 결합몸체(121) 후면에 형성된 마찰돌기(126)가 패킹재(228)와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플랜지부(220)의 전면에 형성된 패킹재(228)와 상기 결합몸체(121)의 후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플랜지부(220)와 결합몸체(121)을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게 된다. A packing material 228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0 when the flange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body 121 are coupl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121,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cking material 228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art 2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ngaging body 121 is improved by the frictional protrusions 126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material 228, And the coupling body 121 can be relatively firmly fixed.

본 발명은 후방플랜지(221)의 단턱(222)에 주름부(213)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편(215)을 안착된 형태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후방플랜지(221)의 끼움결합돌기(224)가 전방플랜지(225)의 끼움결합홀(227)에 억지끼움되어져, 전방플랜지(225)가 후방플랜지(221)에 결합되어, 자바라본체(210)의 후단에 플랜지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member 21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rrugated portion 213 is attached to the step 222 of the rear flange 221 by an adhesive and is fitted to the fitting flange 221 of the rear flange 221 The front flange 225 is engaged with the rear flange 221 and the flange portion 22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ellows main body 210. The front flange 225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27 of the front flange 225,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바라(200)가 빗물받이본체(1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우수관거 시공시 결합되는 형태이며, 자바라(200)가 빗물받이본체(100)의 내측에서 빗물받이본체(100)의 빗물유출구(113)에 삽입되어, 빗물유출구(113)의 내측에 매립설치된 자바라결합부(120)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우수관거 시공시, 연결관(23)을 먼저 빗물유출구(113)를 통해 빗물받이본체(100) 내부로 삽입하였다가 후퇴시켜, 이전 연결관(21)에 접속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우수관거 시공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bellows 200 is constructed separately from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when the rainwater collector 200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collector. The connection pipe 23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113 of the main body 100 and bolted and coupled to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embedded in the rainwater outlet 11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rainwater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113 and then to move back to the previous connection pipe 21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easily and quickly constructed .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10)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6 to 9,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orm sewer using a storm water receiver 10 having a bellow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우수관거 시공방법은 하수본관(20)에 연결관(21)을 연결하고, 이후 최후단 연결관(23)으로 빗물받이(10)와 이전 연결관(21)을 연결할 수 있다.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the rainwater collector 10 to the previous connection pipe 21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21 to the main water pipe 20 and then connecting the rainwater pipe 10 to the rear connection pipe 23.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pecificall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먼저, 하수 본관(20)에 연결관(21)들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관(21)에 형성된 끼움부(22)에 연결관(21)의 단부를 끼워서 연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결관(21)과 끼움부(22) 사이에 몰탈마감을 할 수도 있다. First, the connection pipes 21 are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20.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upling pipe 21 can be connected to the fitting portion 22 formed in the coupling pipe 21, and if necessary, the mortar can be applied between the coupling pipe 21 and the fitting portion 22 have.

최후단의 연결관(23)을 제외한 나머지 연결관(21)들이 하수 본관(20)에서부터 연결된 상태에서, 최후단의 연결관(23)을 도 6과 같이, 빗물받이본체(100)의 빗물유출구(113)를 통해 빗물받이본체(100) 내부로 삽입하였다가 후퇴시켜 도 7과 같이, 이전 연결관(21)의 끼움부(22)에 끼워서 접속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ion pipe 23 at the rearmost end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outlet 100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ipes 21 other than the rearmost connection pipe 23 are connected from the main water pipe 20, And then inserted into the rainwater catcher main body 100 through the guide pipe 113 and retracted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22 of the previous connection pipe 21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자바라(200)를 빗물유입구(112)를 통해 빗물받이본체(100) 내부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도 8와 같이, 자바라(200)의 자바라본체(210)를 빗물받이본체(100)의 내부에서 빗물받이본체(100)의 빗물유출구(113)의 내측단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하고, 원통몸체(211)를 최후단의 연결관(23)에 삽입하여 접속시킨다. 이때, 자바라(200)의 플랜지부(220)가 자바라결합부(120)의 플랜지안착부(124a)에 안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원통몸체(211)를 최후단의 연결관(23)에 삽입하는 경우, 주름부(213)에 의해 원통몸체(211)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최후단 연결관(23)의 설치각도를 쉽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bellows body 200 of the bellows 200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through the rainwater inlet port 112 as shown in FIG. 7,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through the inner end of the rainwater outlet 113 of the rainwater collector main body 100 and the cylindrical main body 21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3 at the rearmost end .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220 of the bellows 200 is seated on the flange seating portion 124a of the bellows coupling portion 120. In addition, when the cylindrical body 21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3 at the rear end, the angle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easily adjusted by the wrinkle portion 213, Can be adjusted easily.

본 발명은 자바라본체(210)를 빗물유출구(113)에 삽입하여 끼운 경우, 원통몸체(211)의 후단은 빗물유출구(113) 내에 배치되고, 원통몸체(211)의 전단부가 빗물유출구(113)의 외부에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최후단 연결관(23)에 원통몸체(211)가 완전히 삽입되어, 최후단연결관(23)의 끝단이 빗물유출구(113) 내에 배치되게 된다. When the bellows main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113,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disposed in the rainwater outlet 113 and the front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outlet 113, The cylindrical body 21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ar end connecting pipe 23 and the end of the last end connecting pipe 23 is disposed in the rainwater outlet 113. In this case,

이러한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볼트(b)를 플랜지부(220)의 볼트통과공(223,226)을 통과시키고, 볼트통과홀(125)에 삽입하여, 볼트통과홀(125)에 인서트된 너트(n)에 나사체결함으로써, 플랜지부(220)를 자바라결합부(120)의 결합몸체(121)에 결합시키고, 자바라본체(210)와 빗물유출구(113) 사이의 공간에 몰탈(M)을 채워 고정 양생시켜 줌으로써 자바라본체(210)와 최후단 연결관(23) 끝단의 접속부분이 몰탈(M)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우수관거 시공이 완료되게 된다.9 and 10, the bolts b are pass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223 and 226 of the flange portion 220 and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s 125 to be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s 125 The flange 220 is coupled to the engaging body 121 of the bellows coupling part 120 and the morta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ellows body 210 and the rainwater outlet 113 M,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ellows main body 210 and the end of the rearmost connecting pipe 23 is stably fixed by the mortar M, thereby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good conduit.

이처럼, 본 발명의 빗물받이(10)는 빗물받이본체(100)와 자바라(200)가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구성된 것으로서, 시공시 최후단의 연결관(23)을 빗물받이본체(100)의 빗물유출구(113)를 통해 내부로 깊숙이 삽입한 후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최후단의 연결관(23)으로 이전연결관(21)과 빗물받이(10)를 연결하는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시공비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The rainwater coll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rainwater collector main body 100 and the bellows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pipe 23 at the last end of the rainwater collector 100 is separated from the rainwater outlet 100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connecting pipe 21 and the rainwater receiver 1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23 at the rear end,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horten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빗물받이본체
112...빗물유입구
113...빗물유출구
120...자바라결합부
121...결합몸체
124...돌출링
124a...플랜지안착부
125...볼트통과홀
127...볼트삽입관
128...돌출핀
200...자바라
210...자바라본체
211...원통몸체
213...주름부
220...플랜지부
221...후방플랜지
223...제1볼트통과공
225...전방플랜지
226...제2볼트통과공
100 ... rainwater body
112 ... rainwater inlet
113 ... rainwater outlet
120 ... bellows coupling part
121 ... coupling body
124 ... protruding ring
124a ... flange seat portion
125 ... bolt through hole
127 ... bolt insertion tube
128 ... projecting pin
200 ... Bellows
210 ... bellows body
211 ... cylindrical body
213 ... crease
220 ... flange portion
221 ... rear flange
223 ... first bolt passage hole
225 ... front flange
226 ... second bolt through hole

Claims (9)

연결관에 의해 하수본관과 접속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부에 빗물유입구와 측면하부에 빗물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자바라결합부가 매립설치된 빗물받이본체;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연장되며 후단에 결합편이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결합편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자바라;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몸체와 상기 주름부가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바라는 상기 빗물받이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빗물유출구에 삽입된 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자바라결합부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매립되며,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볼트통과홀이 형성된 결합몸체;
상기 볼트통과홀의 전단부에 인서트결합되는 너트;
상기 빗물받이본체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안착되며, 상기 볼트통과홀의 후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플랜지안착부;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핀;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에 패킹재가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시, 상기 패킹재와 상기 결합몸체 후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통과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안착부는,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링과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복수의 볼트통과홀 중 이웃하는 복수의 통과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부는 하단부 길이보다 길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볼트통과공이 관통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복수의 끼움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결합편이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된 후방플랜지; 및,
중공부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볼트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결합돌기에 억지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홀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패킹재가 부착형성된 전방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단턱에 상기 결합편이 안착된 형태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끼움결합돌기가 상기 끼움결합홀에 억지끼움되어져 상기 전방플랜지와 상기 후방플랜지가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A rainwater receiver connected to a sewage main pipe by a connection pipe,
A rainwater collecting body having a rainwater inlet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nwater outlet at a low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nd a bellows coupling portion embedd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rainwater outlet;
And a flange part extending from the cylindrical body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and a flange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wrinkle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ainwater outlet, and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ainwater outlet, wherein the bellows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outlet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ellows coupling portion in a bolt fastening manner,
The bellows-
An insertion body formed in a disk shape and e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A nut inserted in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lt through hole;
A flange seating part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the flange part being seated and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olt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fins extending integrally forward from the coupl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body,
A packing material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upling body wh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upling body are coupled,
The bellows coupl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cludes a friction protrusion for improving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nge part and the coupling body when the coupling body and the coupling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body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 through the flange portion and being fastened to the nut while the flange portion is seated on the flange seating portion,
Wherein the flange sea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a protruding ring integrally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nd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Wherein the friction protrusions are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connect a plurality of neighboring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is longer than the lower end,
The flang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bolt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 and a step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isc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iec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Rear flange;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in the fitting hole, the packing flange be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 RTI >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attached to the flange portion by an adhesive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iece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the fitting flange is engaged with the fitting flange so that the front flange and the rear flange are combined. Rainwater catc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에 빗물유입구와 측면하부에 빗물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자바라결합부가 매립설치된 빗물받이본체; 및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에 연장되며 후단에 결합편이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결합편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자바라;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수 본관에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하수 본관에 연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최후단 연결관을 상기 빗물유출구를 통해 상기 빗물받이본체 내부로 삽입하였다가 후퇴하여 상기 연결관의 끼움부에 끼워서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자바라를 상기 빗물유입구를 통해 상기 빗물받이본체 내부에 넣어, 상기 빗물받이본체 내부에서 상기 빗물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삽입하고, 상기 원통몸체를 상기 최후단 연결관에 삽입하여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자바라결합부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원통몸체 및 상기 주름부와 상기 빗물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몰탈을 채워 고정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빗물유출구의 내측부에 매립되며,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볼트통과홀이 형성된 결합몸체;
상기 볼트통과홀의 전단부에 인서트결합되는 너트;
상기 빗물받이본체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안착되며, 상기 볼트통과홀의 후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플랜지안착부;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원주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핀;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에 패킹재가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결합부는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시, 상기 패킹재와 상기 결합몸체 후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통과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안착부는,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링과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복수의 볼트통과홀 중 이웃하는 복수의 통과홀 사이를 연결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부는 하단부 길이보다 길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볼트통과공이 관통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복수의 끼움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결합편이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된 후방플랜지; 및,
중공부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볼트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결합돌기에 억지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홀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패킹재가 부착형성된 전방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단턱에 상기 결합편이 안착된 형태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끼움결합돌기가 상기 끼움결합홀에 억지끼움되어져 상기 전방플랜지와 상기 후방플랜지가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관거 시공방법.


A rainwater collecting body having a rainwater inlet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nwater outlet at a low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nd a bellows coupling portion embedd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rainwater outlet; And a bellows extending from the cylindrical body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and a flange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s to the sewage main pipe;
Inserting the rear end connection pipe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port and then retracting and connecting the rear end connection pipe 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with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Inserting the bellows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through the rainwater inflow port and inserting the bellows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port into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and inserting the cylindrical body into the reheater end connection pipe to connect the bellows;
And connecting and fixing mortar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wrinkle part and the rainwater outflow port after fixing the flange part to the bellows coupling part by the bolt fastening method,
The bellows-
An insertion body formed in a disk shape and e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ainwater outlet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A nut inserted in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bolt through hole;
A flange seating part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rainwater receiver main body, the flange part being seated and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olt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fins extending integrally forward from the coupl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body,
A packing material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upling body wh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upling body are coupled,
The bellows coupl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cludes a friction protrusion for improving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nge part and the coupling body when the coupling body and the coupling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body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 through the flange portion and being fastened to the nut while the flange portion is seated on the flange seating portion,
Wherein the flange sea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a protruding ring integrally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nd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Wherein the friction protrusions are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connect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through holes of the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is longer than the lower end,
The flang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bolt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 and a step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isc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iec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Rear flange;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in the fitting hole, the packing flange be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 RTI >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attached to the flange portion by an adhesive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iece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the fitting flange is engaged with the fitting flange so that the front flange and the rear flange are combined. Construction method of storm water wells.


KR1020170007957A 2017-01-17 2017-01-17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KR101902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57A KR101902536B1 (en) 2017-01-17 2017-01-17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57A KR101902536B1 (en) 2017-01-17 2017-01-17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96A KR20180084396A (en) 2018-07-25
KR101902536B1 true KR101902536B1 (en) 2018-09-28

Family

ID=6305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957A KR101902536B1 (en) 2017-01-17 2017-01-17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53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638B1 (en) 2018-10-18 2019-11-13 이상섭 Street inlet having earth and sand sedimentation space at upper portion
KR102213360B1 (en)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Street inlet for improving environment of crosswal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213359B1 (en)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Street inlet with rapid constr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2358420B1 (en) 2021-09-07 2022-02-08 박윤구 Rain plumb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63Y1 (en) * 2005-06-22 2005-09-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Connecting Flange for Manhole Drain Pipe
JP2008248601A (en) * 2007-03-30 2008-10-16 Kubota Ci Kk Sewer conduit
JP2012002434A (en) 2010-06-17 2012-01-05 Panasonic Corp Ventilation sleeve
KR101188709B1 (en) * 2010-01-29 2012-10-09 김정열 Anchor hole sealing apparatus in an diaphragm walls
KR200480536Y1 (en) * 2015-09-09 2016-06-03 이상섭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slee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63Y1 (en) * 2005-06-22 2005-09-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Connecting Flange for Manhole Drain Pipe
JP2008248601A (en) * 2007-03-30 2008-10-16 Kubota Ci Kk Sewer conduit
KR101188709B1 (en) * 2010-01-29 2012-10-09 김정열 Anchor hole sealing apparatus in an diaphragm walls
JP2012002434A (en) 2010-06-17 2012-01-05 Panasonic Corp Ventilation sleeve
KR200480536Y1 (en) * 2015-09-09 2016-06-03 이상섭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slee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638B1 (en) 2018-10-18 2019-11-13 이상섭 Street inlet having earth and sand sedimentation space at upper portion
KR102213360B1 (en)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Street inlet for improving environment of crosswal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213359B1 (en)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Street inlet with rapid constr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2358420B1 (en) 2021-09-07 2022-02-08 박윤구 Rain plumb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96A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536B1 (en)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and rainwater condui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same
US8496405B1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US20050281617A1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KR200480536Y1 (en) Street inlet having angle adjustable bellows sleeve
US7695216B2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US6942425B2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US10012338B2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KR100733608B1 (en) Pipe assembly of culvert for seperating raindrops and sewage
JP3929597B2 (en) Connecting device for temporary drain hose for roof drain
KR101641114B1 (en) Manholes equipped with pipe connectors
KR200416955Y1 (en) A connection pipe device
JP7488756B2 (en) Fittings
KR100955478B1 (en) Collection unit of rainwater and sewage with convenient construction structure
CN219888970U (en) Visual sleeve joint for connecting corrugated pipes
KR20190074056A (en) Drain connection joint
JP7385250B2 (en) drainage basin
KR101987910B1 (en) Assembly Type Concrete Structre Having Water Permeable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re
KR100954800B1 (en) Boundary Part with Drainageway
KR101719066B1 (en) Connecting member for drain pipe
KR20170075077A (en) Road drainge system
KR101798171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the drainage of the sump
KR200260099Y1 (en) Waterway pipe for drainage
KR101495846B1 (en) Sleeve socket for connecting streetinlet and connection pipe of drainwater-main conduit line
KR200372694Y1 (en) Device for connecting pipe
KR200224190Y1 (en) branch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wastewater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