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315B1 -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315B1
KR101902315B1 KR1020170099064A KR20170099064A KR101902315B1 KR 101902315 B1 KR101902315 B1 KR 101902315B1 KR 1020170099064 A KR1020170099064 A KR 1020170099064A KR 20170099064 A KR20170099064 A KR 20170099064A KR 101902315 B1 KR101902315 B1 KR 10190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smartphone
exhibit
specta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781A (ko
Inventor
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프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프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프미디어
Priority to KR102017009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58Virtual breeding, e.g. tamagotch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관람자 스마트폰(11)과 위치 알림 장치(12)와 관리PC(21)와 도감DB서버(2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알림 장치(12)는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감DB서버(22)는 전시물의 도감을 저장하며;
관람자 스마트폰(11)은, 관람한 전시물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저장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과, 관람한 전시물 관련 게임을 저장하는 게임 모듈(17)과, 관람한 전시물의 도감을 저장하는 도감 모듈(19)과, 관람한 특정 전시물의 증강현실 콘텐츠와 도감적인 설명을 열람할 수 있고 관람한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을 하기 위한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을 포함하며;
관리PC(21)은, 위치 알림 장치(12)에 의해 획득되는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을 통해 관람해야 하는 전시물의 순서에 입각하여 관람자를 해당 전시물로 유도하고, 도감DB서버(22)에서 관람하는 전시물의 도감을 도출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에 제공하고 전시물의 증강현실 캐릭터를 저장하는 전시물 정보 모듈(23)을 포함하며;
전시관 관람 후에, 나만의 전시관 화면의 도감 리스트에서 특정 전시물이 선택되면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은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서 특정 전시물의 3차원 증강현실 콘텐츠를 추출하고 도감 모듈(19)에서 도감적인 설명을 추출하여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하고, 나만의 전시관의 나만의 생태계에서 특정 전시물이 선택되면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이 스마트폰(11)을 통해 실행되어, 특정 전시물에 대한 학습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Participatory Exhibition Guid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박물관이나 전시장에 있는 전시물(예: 박제 동물이나 식물, 그림이나 조각)은 문자나 그림 형태의 설명이 존재하는 안내판에 의해 안내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안내판에 의한 설명을 읽어보는 것만으로는 관람자가 명확히 전시물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 특허 공보 10-2014-82610호(2014년 7월 2일 공개)과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관람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전시물 관련 문자 및 그림 형태의 설명을 표시하여 관람자가 보다 잘 전시물을 이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관람자가 임의 순서로 관람을 하기 때문에 전시물의 분류별 체계적인 관람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학습 효과도 낮게 되고, 관람자가 관람시 증강현실을 이용한 설명을 열심히 살펴보더라도 기억력의 한계 및 많은 전시물 관람 문제로 인하여 곧 대부분의 설명이 기억나지 않게 되어 추후에 학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한국 공개 특허 공보 10-2014-82610호(2014년 7월 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관람 현장에서 관람자의 체계적인 관람이 이루어지게 하고, 관람한 전시물들의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저장하여 추후에 저장된 리스트를 통해 전시물 관련 게임을 하여 전시물 관련 체험을 하게 하여 전시물 관련 사항을 추후에 충분히 학습하게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관람자 스마트폰(11)과 위치 알림 장치(12)와 관리PC(21)와 도감DB서버(2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알림 장치(12)는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감DB서버(22)는 전시물의 도감을 저장하며;
관람자 스마트폰(11)은, 관람한 전시물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저장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과, 관람한 전시물 관련 게임을 저장하는 게임 모듈(17)과, 관람한 전시물의 도감을 저장하는 도감 모듈(19)과, 관람한 특정 전시물의 증강현실 콘텐츠와 도감적인 설명을 열람할 수 있고 관람한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을 하기 위한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을 포함하며;
관리PC(21)은, 위치 알림 장치(12)에 의해 획득되는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을 통해 관람해야 하는 전시물의 순서에 입각하여 관람자를 해당 전시물로 유도하고, 도감DB서버(22)에서 관람하는 전시물의 도감을 도출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에 제공하고 전시물의 증강현실 캐릭터를 저장하는 전시물 정보 모듈(23)을 포함하며;
전시관 관람 후에, 나만의 전시관 화면의 도감 리스트에서 특정 전시물이 선택되면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은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서 특정 전시물의 3차원 증강현실 콘텐츠를 추출하고 도감 모듈(19)에서 도감적인 설명을 추출하여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하고, 나만의 전시관의 나만의 생태계에서 특정 전시물이 선택되면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이 스마트폰(11)을 통해 실행되어, 특정 전시물에 대한 학습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관람 현장에서 관람자의 체계적인 관람이 이루어지게 하고, 관람한 전시물들의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저장하여 추후에 저장된 리스트를 통해 전시물 관련 게임을 하여 전시물 관련 체험을 하게 하여 전시물 관련 사항을 추후에 충분히 학습하게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함.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함.
도3-6은 본 발명에서 게임 방식으로 나만의 생태계용 아이템을 찾는 과정 관련 도면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람 방법과 나만의 전시관용 아이템 도출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도감 리스트 화면을 도시함.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도감 리스트에서 북극 여우를 선택시 스마트폰 화면에 나타나는 도감적인 설명을 도시함.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만의 생태계에서 북극 여우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쥐잡기 게임의 도입 화면을 도시함.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만의 생태계에서 북극 여우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쥐잡기 게임의 진행 화면을 도시함.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만의 생태계 화면을 도시함.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만의 생태계에서 화면을 확대하여 동물들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육성하기 게임의 진행 화면을 도시함.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만의 전시관의 메뉴들을 도시함.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만의 전시관의 설정 메뉴들을 도시함.
이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관람자가 박제 동물들이 전시된 박물관(전시관) 내부를 관람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혐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관람자 스마트폰(11)과 비콘(12)으로 구성된 전시 안내 시스템(10)과, 관리 PC(21)와 도감 DB서버(22)를 포함하고 전시 안내 시스템(10)과 연동하는 전시물 통합 관리 시스템(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콘(12)는 박물관 내에 전시실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비콘(12)에는 고유ID가 존재하므로, 각 비콘(12)는 각 전시실의 특정 위치 또는 전체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그래서 스마트폰(11)이 수신하는 각 비콘(12) 신호 중에서 3개를 선택(바람직하게는 가장 신호 세기가 큰 3개를 선택함)하여 삼각법으로 계산하면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정확한 위치가 도출되게 된다. 또한 전시물이 실외에 존재하는 경우(예: 조형물 전시)에는 비콘(12) 대신에 스마트폰(11)의 GPS장치가 사용되어, GPS장치에서 수신되는 스마트폰(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시물 근처에 관람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게 된다.
그래서, 관람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1)에 관련 앱을 다운받아서 구동시키게 되고, 비콘(12)에 의해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가 파악되며, 관람자가 선택한 전시물에 대응하는 3차원 캐릭터 증강현실 객체(13)가 스마트폰(11)의 화면에 나타나게 하며, 선택한 전시물들의 리스트는 스마트폰(11) 내의 관람자(나)만의 전시관(14)에 저장된다.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되는 3차원 캐릭터 증강현실 객체(13)와 관람자(나)만의 전시관(1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시물 통합 관리 시스템(20)에는 관리자가 관리하기 위한 관리 PC(21)와, 전시물인 박제 동물에 대한 도감을 저장하고 있는 도감 DB 서버(22)를 포함한다.
그래서, 관리자는 관리PC(21)에 전시물을 등록하고 전시관 안내 등에 필요한 정보(3차원 캐릭터 증강현실 객체 콘텐츠, 도감 정보 등)를 입력하고, 이러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리PC(21)를 통해 변경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11)에서는 관람자가 관람을 하면서 스마트폰(11)을 통해 선택한 동물(예: 북극 여우)에 대한 증강현실(AR) 콘덴츠들이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 저장되고, 선택된 동물 관련 스토리들이 스토리 라인 모듈(16)에 저장되며, 선택된 동물 관련 게임은 게임 모듈(17)에 저장되며, 선택된 동물 관련 도감이나 게임이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에서 선택되며, 선택된 동물들에 대한 도감적인 설명이 도감 모듈(19)에 저장된다. 여기서, 증강현실 콘텐츠는 사진 형태의 3차원 증강현실 콘텐츠일 수도 있고 동영상 형태의 3차원 증강 현실 콘텐츠일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렌더링 되는 3D 형태의 증강현실 콘텐츠일 수도 있다.
또한, 관리PC(21)에는, 도감DB서버(22)에 존재하는 도감들을 관리하고 전시물의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시물 정보 관리 모듈(23)과, 게임시의 포인트/난이도/포상을 관리하는 게임 관리 모듈(24)과, 스마트폰(11)에 각종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모듈(25)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관람자가 스마트폰(11)을 통해 선택한 동물에 대한 설명은 전시물 관리 모듈(23)에 의해 도감 DB 서버(22)에서 읽혀져서 전시물 관리 모듈(23)에 저장된 선택된 동물에 대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와 함께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되어, 관람자가 스마트폰(11)에 표시된 선택된 동물에 대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및 도감 설명을 보면서 선택된 동물 관련 지식을 습득하게 하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는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 저장되고 설명은 도감 모듈(19)에 저장된다.
또한, 게임 관리 모듈(24)에서는 선택된 동물 관련 게임(예: 도10에 나타난 북극 여우의 쥐잡기 습성을 체험하는 게임)을 통해 관람자가 획득하는 포인트를 관리하고 게임 난이도/단계를 관리하며 포인트에 따른 포상을 관리하며, 관련 메시지를 푸시 메시지 모듈(25)을 통해 스마트폰(11)으로 피드백 시켜서 게임을 하는 관람자가 현재의 게임 포인트와 난이도/단계와 포인트에 따른 포상을 알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3 내지 도7을 참고로 하여, 관람자가 체계적으로 전시물을 관람하면서 나만의 전시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관람자는 전시관에 도착하여 박물관 내부 곳곳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의 WIFI를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앱스토어에서 관련 앱을 검색하여 다운받아 구동시킨다(S1).
그러면, 박물관 내부에 설치된 각 비콘(12)(외부 전시의 경우에는 스마트폰(11)의 GPS 장치)을 통해 관람자의 스마트폰(11)의 위치가 파악되어 관리 PC(21)에 전달되기 시작한다(S2).
다음으로, 스마트폰(11)은 관람자에게 다양한 메뉴(예: 북극 지역 동물들, 온대 지역 동물들, 열대지역 동물들, 남극지역 동물들)를 제공하여 관람자가 선택한 메뉴(예:북극 지역 동물들)가 관리PC(21)에 전달된다(S3). 여기서 관리PC(21)에는 각 메뉴에 대응하는 박제 동물들이 존재하는 전시실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제, 관리PC(21)은 관람자의 스마트폰(11)을 통해 관람자의 동선을 유도(음성 안내를 통한 유도 또는 전시관 내부 지도 표시상의 현재 위치와 이동 방향 안내를 통한 유도)를 하여,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첫 번째 동물(예:북극 여우)이 존재하는 전시실(관람 시작 전시실) 내로 이동하게 한다(S4).
이제, 관람자가 첫 번째 전시실에 도착하면 스마트폰(11)의 화면에는 도3과 같이 내장 카메라의 화면이 나타나고 도3의 하단 좌우측의 도우미 동물들(두루미, 진돗개)이 북극 여우에 대한 설명(도3에서는 “어휴, 추워. 이렇게 추운 곳에서 또 누가 살고 있다는 거야.”라고 표시하여 북극 여우가 추운 지역에 산다는 힌트를 준다)을 하여 첫 번째 동물인 북극 여우의 찾기를 시작하게 된다(S5).
그리고 나서, 도4와 같이 스마트폰(11)의 카메라 버튼을 터치하게 유도하여 관람자가 카메라 버튼을 터치하면 도5와 같이 북극 여우의 가이드 윤곽을 제공한다(S6). 이때에도 추가적인 북극 여우 관련 설명(도5에서는 “내가 사는 굴로 같이 가주겠지”라고 표시하여 북극 여우가 굴에 산다는 힌트를 준다)이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제, 스마트폰(11)을 움직이면서 카메라에 비친 북극여우에 가이드 윤곽선을 맞추면 도6과 같이 북극 여우의 증강현실 3차원 캐릭터가 나타나게 된다(S7). 이때에도 추가적인 북극 여우 관련 설명(도5에서는 “눈 속에 숨은 쥐를 잡아 먹는다구”라고 표시하여 북극 여우가 눈 속의 쥐를 잡아 먹는다는 힌트를 준다)이 표시된다.
이렇게 하면 스마트폰(11)의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에 북극 여우(첫번째 동물)가 전시된 전시관 번호가 저장되고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의 도감 리스트의 해당 동물 정보가 활성화된다(S8). 그래서 도8에 나타난 도감 리스트 화면에서 동물 정보가 활성화된 동물(예: 북극여우)는 활성화되어 동물 모습이 나타나 있고, 활성화되지 않은 동물들은 물음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제, 단계(S4) 내지 단계(S8)을 수행하여 두 번째 동물을 찾으면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에 두 번째 동물의 전시관 번호가 저장되고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의 도감 리스트에서 두 번째 동물의 정보가 활성화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선택한 메뉴(북극 지역 동물들)에 대응하는 모든 동물들의 전시관 번호가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에 저장되고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의 도감 리스트에서 해당 동물들의 정보들이 활성화된다.
다음으로, 관람자가 다른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물들의 전시관 번호들이 모두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에 저장되고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의 도감 리스트에서 해당 동물들의 정보들이 활성화된다.
결국, 이상과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각 메뉴에서 선택된 동물들의 전시관 번호가 모두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에 저장되고, 나만의 전시실 모듈(18)의 도감 리스트에서 해당 동물들의 정보들이 활성화된다.
그래서, 나만의 전시관 모듈(18)(나만의 전시관 메뉴)을 실행하면 도14와 같은 나만의 전시관 화면에 나타나서, 도감 메뉴를 선택하면 도8과 같이 관람한 동물들을 나타내는 도감 리스트 화면(관람한 전시물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로 표시되고, 미관람한 전시물은 물음표로 표시됨)이 나타나고, 나만의 생태계 메뉴를 선택하면 도12와 같이 관람이 이루어져서 도감 리스트에서 활성화된 모든 동물이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서 추출되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로 스마트폰(11)의 화면에 나타난다. 여기서, 도8의 도감 리스트에는 각 메뉴에 따라 분류되어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물들의 리스트가 나타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관람자가 전시관 관람을 종료하고 나서 추후에 박물관에서 관람한 동물들을 추가 학습하기 위해 도14의 나만의 전시관 화면에서 도감 메뉴를 선택하면 도8의 도감 리스트가 나오고, 예를 들어 북극여우를 선택하면 도9와 같이 북극 여우가 존재했던 전시관 번호(제1전시관)와 북극여우의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서 추출됨)와 도감적인 설명(도감 모듈(19)에서 추출됨)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보다 흥미롭게 게임적인 방법으로 북극 여우에 대해 체험(학습)하기 위해, 도14의 나만의 전시관 화면에서 나만의 생태계 메뉴를 선택하면 도12의 나만의 생태계 화면이 나오고 이 화면에서 북극 여우 부근 화면을 확대하여 북극 여우의 상부에 있는 게임으로 학습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게임 모듈(17)을 통해 북극 여우 쥐잡기 게임이 진행되게 되고, 육성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도13과 같이 북극 여우를 키우면서 먹이도 주고 계절 별로 살아가는 과정을 학습(체험)시키는 게임이 진행되며, 정보보기 메뉴를 누르면 도9의 해당 동물의 도감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도록 하여, 북극 여우를 보다 잘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게임을 통해 획득한 포인트 정보나 이러한 게임의 레벨/난이도 정보나 획득한 포인트에 대응하는 포상 정보(예: 쿠폰)는 관리PC(21)에서 관리되고, 이러한 포인트나 포상 정보는 도14의 나만의 전시관 화면에서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나오는 도15와 같은 설정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관람자가 선택한 메뉴에 따라 관련 전시실로 유도됨으로써 체계적인 관람이 가능해지고, 관람한 전시물들의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저장하여 추후에 원하는 시기에 관람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관람 전시물 리스트를 통해 특정 전시물을 선택하여 관련 설명을 보고 전시물 관련 게임을 하여 전시물 관련 체험을 하게 하여 전시물 관련 사항을 추후에도 충분히 반복 학습하게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이 된다.
또한, 전시관에서 관람한 전시물만 저장되기 때문에 리스트에 없는 전시물들을 학습하기 위해 전시관을 재방문하게 하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

Claims (8)

  1.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관람자 스마트폰(11)과 위치 알림 장치(12)와 관리PC(21)와 도감DB서버(2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알림 장치(12)는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감DB서버(22)는 전시물의 도감을 저장하며;
    관람자 스마트폰(11)은, 관람한 전시물의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저장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과, 관람한 전시물 관련 게임을 저장하는 게임 모듈(17)과, 관람한 전시물의 도감을 저장하는 도감 모듈(19)과, 관람한 특정 전시물의 증강현실 콘텐츠와 도감적인 설명을 열람할 수 있고 관람한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을 하기 위한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을 포함하며;
    관리PC(21)은, 상기 관람자 스마트폰(11)에 전시물 분류별 메뉴를 제공하여 관람자가 선택하는 메뉴가 전달되면, 위치 알림 장치(12)에 의해 획득되는 관람자 스마트폰(1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을 통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전시물들의 순서에 입각하여 관람자를 순차적으로 해당 전시물로 유도하고, 유도된 각 전시실에 관람자가 도착하면, 관람자가 해당 전시물을 찾게 하기 위하여 해당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관람자 스마트폰(11)에 제공하여 관람자가 해당 전시물을 찾으면 도감DB서버(22)에서 관람하는 전시물의 도감 및 증강현실 캐릭터를 도출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에 제공하여 저장하는 전시물 정보 관리 모듈(23)을 포함하며;
    박물관 관람 종료 후에, 관람자 스마트폰(11)을 통해 나만의 전시관 화면의 도감 리스트에서 특정 전시물이 선택되면 나만의 전시관 모듈(18)은 증강현실 콘텐츠 모듈(15)에서 특정 전시물의 3차원 증강현실 콘텐츠를 추출하고 도감 모듈(19)에서 도감적인 설명을 추출하여 관람자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하고, 나만의 전시관 화면에서 특정 전시물이 선택되면 특정 전시물을 학습시키는 게임이 관람자 스마트폰(11)을 통해 실행되어 특정 전시물에 대한 학습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장치(12)는 비콘이고 이 비콘은 각 전시실 또는 전시물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장치(12)는 상기 관람자 스마트폰(11)에 내장되는 GPS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시물은 박제 동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은 해당 동물의 먹이 획득 과정 관련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시물 관련 게임은 해당 동물을 기르는 과정 관련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PC(21)는 상기 특정 전시물 학습 게임의 포인트나 난이도/레벨이나 포인트별 포상을 관리하는 게임 관리 모듈(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전시물에 대한 정보는 해당 전시물의 가이드 윤곽선과 설명이고, 상기 관람자 스마트폰(11)의 화면상의 특정 전시물에 상기 가이드 윤곽선을매칭시키는 과정을 통해 해당 전시물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KR1020170099064A 2017-08-04 2017-08-04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KR10190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64A KR101902315B1 (ko) 2017-08-04 2017-08-04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64A KR101902315B1 (ko) 2017-08-04 2017-08-04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781A KR20170095781A (ko) 2017-08-23
KR101902315B1 true KR101902315B1 (ko) 2018-09-28

Family

ID=5975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064A KR101902315B1 (ko) 2017-08-04 2017-08-04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8504A (zh) * 2019-10-10 2020-03-24 浙江大学 一种基于用户-展品距离的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KR102208634B1 (ko) 2020-01-23 2021-01-29 최영승 전시관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83288B1 (ko) 2022-03-02 2023-01-02 광주도시관리공사 증강 현실 기반의 체험형 학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45B1 (ko) * 2017-12-26 2020-03-10 신창중 문화예술 감상을 위한 소통방식 기반의 판매시스템
KR102055627B1 (ko) 2018-03-07 2019-12-13 케이애드에스엔씨 주식회사 전시관 증강현실 안내시스템
DE102018217032A1 (de) 2018-10-04 2020-04-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Anmerkungen in der erweiterten Realität
KR102134744B1 (ko) * 2018-11-27 2020-07-16 문지원 가상현실을 통해 가상의 박람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22102803A1 (ko) * 2020-11-11 2022-05-19 엔티콘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CN116483300B (zh) * 2023-04-24 2024-03-01 广州市水一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化展馆展示信息显示系统
CN117115402B (zh) * 2023-10-25 2024-01-26 江苏惊蛰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展厅展馆智能引导系统及引导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8504A (zh) * 2019-10-10 2020-03-24 浙江大学 一种基于用户-展品距离的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CN110908504B (zh) * 2019-10-10 2021-03-23 浙江大学 一种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KR102208634B1 (ko) 2020-01-23 2021-01-29 최영승 전시관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83288B1 (ko) 2022-03-02 2023-01-02 광주도시관리공사 증강 현실 기반의 체험형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781A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315B1 (ko) 체험형 전시물 안내 시스템
Godwin-Jones Augmented reality and language learning: From annotated vocabulary to place-based mobile games
US10613699B2 (en) Multi-view display cueing, prompting, and previewing
Bonacini et al. Gamification and cultural institutions in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 successful example from Italy
Andrade et al. A phygital approach to cultural heritage: Augmented reality at regaleira
Froschauer et al. Towards an online multiplayer serious game providing a joyful experience in learning art history
Hennig et al. User-centred map applications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experiences gained during the ‘YouthMap 5020’project
Cocciolo et al. Does place affect user engagement and understanding? Mobile learner perceptions on the streets of New York
KR20180097853A (ko) 지식 맵 기반의 멀티 유저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Vassilakis et al. Learning history through location-based games: The fortification gates of the Venetian Walls of the City of Heraklion
McGookin et al. Shaking the dead: multimodal location based experiences for un-stewarded archaeological sites
Arce-Nazario Translating land-use science to a museum exhibit
Baxter et al. Reflections on Interdisciplinarity in the Study of Childhood in the Past
Okvuran et al. Teacher’s impact on museum education and design of new-generation school and museum collaboration in Turkey
Salas A collection of narrative practices on cultural heritage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and creative strategies
Zaibon et al. User requirements on mobile AR for cultural heritage site towards enjoyable informal learning
Arkenson et al. Tag and seek: a location-based game in tainan city
Holm et al. Designing ActionTrack: A state-of-the-art authoring tool for location-based games and other activities
JP2014045957A (ja) 位置当てゲーム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Guribye et al. The practical accomplishment of location-based game-play: design and analysis of mobile collaborative gaming
CN114511671A (zh) 展品展示方法、导览方法、装置、电子设备与存储介质
Weiss Museum Signage Design and Implementation
KR20100063317A (ko) 온라인 바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Smiley Teaching cultural geography with the amazing race
US20170080330A1 (en) Location-based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