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125B1 - Sealed container - Google Patents

Seale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125B1
KR101902125B1 KR1020170108689A KR20170108689A KR101902125B1 KR 101902125 B1 KR101902125 B1 KR 101902125B1 KR 1020170108689 A KR1020170108689 A KR 1020170108689A KR 20170108689 A KR20170108689 A KR 20170108689A KR 101902125 B1 KR101902125 B1 KR 10190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fastening
guid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문식
Original Assignee
조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식 filed Critical 조문식
Priority to KR102017010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1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A47G19/10Devices for securing plates to the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Moreover, the sealed container is formed in an assembly type such that the sealed container can be easily washed by simp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ealed container.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detachably formed such that endocrine disrupters such as di-ethylhexyl phthalate (DEHP), bisphenol A, and the like emitted by synthetic resi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to content. In addition, various shap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can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uch that a user is able to easily use the sealed container on purposes.

Description

밀폐형 용기{SEALED CONTAINER}[0001] SEALED CONTAINER [0002]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측면이 바닥면에 밀착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며,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여 세척이 용이한 밀폐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closed container which is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a bottom surface and is not moved by an external impact,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etach, thereby facilitating cleaning.

일반적으로 그릇은 밥, 국, 반찬, 음식 등을 담는 용기로 예전에는 단순히 크기와 재질에 따른 분류와 간단한 외형의 제품만 있었으나, 많은 사용자들의 취향과 용도가 반영되어 현재의 그릇은 다양한 크기와 재질이 적용되면서 외형도 복잡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the bowl is a container for rice, soup, side dish, food, etc. In the past, there was only a simple size an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 simple appearance, but the taste and use of many users were reflected. As a result, products with complex shapes are being developed.

한편, 유아, 어린이, 노인 및 환자와 같은 노약자들은 일반 성인에 비해 감각이 떨어지고 주의력도 부족하여,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쏟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elderly people such as infants, children, elderly people and patients are often less sensitive than ordinary adults and have less attention, so they often pour the food in the bowl.

또한, 일반 성인들 중에서도 성격이 급하거나 그릇을 놓은 위치가 불안정하면 그릇의 뒤집어짐 또는 미끄러짐으로 음식물을 쏟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Also, among ordinary adults, when the personality is urgent or the position where the bowl is placed is unstable, it often occurs that the food is poured by the upside down or slipping of the bowl.

예를 들면, 대형 매장의 푸드 코트 또는 역과 터미널과 같은 대합실 식당의 경우에는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이용하기 때문에 식당 내부가 복잡해서 종종 그릇의 뒤집어짐 또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For example, in a food court of a large store, or in a waiting room such as a station and a terminal, many people use the restaurant in a narrow space. Therefore, the inside of the restaurant is complicated and often accidents caused by the upside down or slipping of the bowl are occurring.

이처럼 그릇이 외부충격에 의해 가압되어 측 방향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비 안정한 문제로 인한 화상, 미끄러짐, 타박상 등과 같은 이차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Secondary accidents such as burns, slips, bruises, and the like are often caused by unstable problems in which the bowl is pressed by an external impact and falls sideways or falls to the floo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2795호(이하 ‘선행문헌 1’)의 “컵 받침 장치”에서 컵의 하부에 결합되어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된 컵 받침 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받침 본체의 저면이 결합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개방된 공기실을 가지고 받침 본체의 저면을 통해 공기실의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진공 압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바닥부재를 포함한 컵 받침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conventional techniqu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2016-00027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to have an air chamber opened to the bottom surface to allow the air in the air chamber to flow or close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a bottom member adapted to form or release a vacuum pressure to the surface of the coasters.

선행문헌 1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하는 컵 또는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진공흡입력을 통해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증대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무단으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a cup or a container used for drinking beverage is combined wit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increase the adhesion with the bottom surface through vacuum suction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그러나 컵을 바닥면과 밀착시키기 위해서 컵 받침 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컵 받침 장치와 바닥면의 밀착을 해제시킬 때 사용자의 힘이 과도하게 들어가므로 컵에 담긴 음료를 쏟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the coasters in order to bring the cup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when the coasters are released from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the user's power is excessively introduced,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중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4105618호(이하 ‘선행문헌 2’)의 “컵 몸체 구조”에서 컵 몸체에 흡착기구가 포함됨으로써 컵을 흡착하여 평면에 놓아둘 수 있도록 형성된 컵 몸체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the cup body structure of the Chi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1056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the cup body is adsorbed by the adsorption mechanism, And a cup body structure formed to be able to be placed on a flat surface.

선행문헌 2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빨판과 압력판 간의 협력이 평면과 물컵 밑면의 흡착을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컵 몸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컵과 평면의 밀착을 해제시킬 때 사용자의 힘이 과도하게 들어가게 되어 화상 등의 2차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면의 세척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게 됨으로써 밀착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When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2 is us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uction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forms an adsorption on the fla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up, which prevents the cup body from falling due to external force. However, The user's force is excessively entered, which may cause a secondary accident such as an image, and is formed in a complicated structure,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not easily cleaned, and thus the adhesion is deterio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2035호(이하 ‘선행문헌 3’)의 “흡착이 용이한 컵”에서는 각종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단차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저면으로 다수 개 원형배열 형성되는 걸림부재로 더 포함하는 컵과, 상기 컵의 삽입부와 상호 대응하여 삽입가능하게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컵의 걸림부재와 상호 대응하여 관통결합가능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간과, 저면에 형성되는 통공을 더 포함하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 저면으로 설치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컵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 20-2016-000203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in which "cups easy to adsorb" A cup having an insertion portion formed with a space and a step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latching member formed in a plurality of circular arrangements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 lower body which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engaging space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be capable of penetratingly engaging with the engaging members of the cup,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face, and a suction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body bottom face, Lt; / RTI >

선행문헌 3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컵이 미끄러져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컵을 수직상향 이동시킬 때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게 되어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는 위험이 있고, 하부체와 흡착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흡착부재의 교환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When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3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of the cup slipping down due to the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However, when the user moves the cup vertically upward, excessive force is applied, In addition, since the lower body and the adsorption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it is not easy to clean the adsorption member, so that the exchange of the adsorption member is not eas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0590호(이하 ‘선행문헌 4’)의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음료용기”에서는 음료용기의 몸체가 터치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전도되거나 테이블 등으로부터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음료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detachment means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505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4"), And prevents a falling from the table or the like to the floor due to a touch, an impact, or the like.

선행문헌 4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음료용기의 무게에 의해 착탈수단인 흡착패드가 용이하게 로킹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흡착패드가 음료용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착패드에 흡착될 경우, 흡착력이 저하되며 흡착패드 내부까지 세척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When the technique of the prior art document 4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sorption pad as the detachment means can be easily locked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r, but the adsorption pa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verage container, When adsorbed, the adsorption force is lowered and the inside of the adsorption pad is not easily washed.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2795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2795

중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4105618호Chi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10561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2035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203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059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0590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밀착부에 의해 지면에 밀착 및 이동이 용이하고,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 및 분리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한 밀폐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closed container which is easy to close and move to the ground by a bottom close part and which is easily assembled and assembled and separated by a simple operation, .

또한, 제1수용부가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합성수지에 의해 방출되는 DEHP(Di-EthylHexyl Phthalate), 비스페놀A 등과 같은 환경호르몬이 내용물에 유입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제1수용부를 제2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밀폐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since the first storage portion is detachably formed and environmental hormones such as Di-Ethyl Hexyl Phthalate (DEHP) and bisphenol A released by the synthetic resin are not introduced into the contents, and various types of first storage portions are selectively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ortion Which can be easily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용부걸림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가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부의 외측 하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capable of storing or receiving contents and protruding outward along an upper edge;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an be detach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수용부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구획별로 저장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protrud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so as to store or accommodate one or more pieces of content in the compartments.

더욱이, 상기 제2수용부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외측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 handle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to one of the selected one side or the other side.

나아가, 상기 손잡이 내측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손잡이패드고정부; 및 상기 손잡이패드고정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 grip pad fixing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groove on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a handle pad formed to be able to be pulled into the handle pad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제2수용부의 외측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바닥밀착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밀착부돌출부의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닥밀착부통공부를 포함하며, 테두리는 상기 제2수용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바닥밀착부; 및 상기 바닥밀착부가 상기 제2수용부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밀착부통공부를 관통하도록 상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고정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bottom seal unit cylinder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econd housing uni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econd housing unit and penetrating the edge of the bottom seal unit protrusion, A bottom contact pa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art; And a fastening part including at least one fastening fastening part protruding upward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side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contact cylinder part so that the bottom fastening part is tightly fix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

나아가, 상기 바닥밀착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 되어 상기 밀폐형 용기를 상측으로 올림과 동시에 상기 바닥밀착부에 틈을 제공하여 지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밀착부가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진공해제부; 및 상기 제2수용부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밀착부의 외주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밀착부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된 바닥밀착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bottom of the vacuum cleaner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and protrude upward so as to raise the closed container and to provide a gap in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part; And a bottom contact part guid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receiving part lower side and being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close part so as to prot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close part.

더 나아가, 상기 제2수용부 하측면에 상기 바닥밀착부돌출부가 인입되어 감싸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고정부가이드; 상기 체결부고정부가이드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 형성된 회전가이드부; 및 상기 체결부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fastening portion guide protruding downwardly to receive and project the bottom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portion o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lower side surface; At least one rotation guide portion protruding inward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fixing guide; And a coupling part handle protruding downward from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더욱이, 상기 체결부 하측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 내측에 수저, 젓가락 또는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저고정가이드; 및 상기 수저고정가이드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부 하측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lower fixing guide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one side selected from the bottom, the chopstick, and the fork can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And a coupling part cover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level fixing guide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art.

또한,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사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 하측면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해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releasing guid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lower side.

더욱이,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보호하고,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id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protect the stored object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ven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

본 발명은 바닥밀착부에 의해 지면에 밀착 및 이동이 용이하고,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 및 분리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며, 제1수용부가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합성수지에 의해 방출되는 DEHP(Di-EthylHexyl Phthalate), 비스페놀A 등과 같은 환경호르몬이 내용물에 유입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제1수용부를 제2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P (Di-Di-tert-butyl-4-hydroxyphenyl) dihydroxy compound, which is easily removable by synthetic resin, Ethyl Hexyl Phthalate), bisphenol A and the like are not introduced into the contents,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various types is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use purpose There are advantages.

더욱이, 일측에 진공해제부를 포함하여 제2수용부를 상측으로 올림과 동시에 바닥밀착부에 틈이 생겨 바닥밀착부와 지면에 형성된 진공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since the vacuum release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to rais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upward, a clearance is formed in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and vacuum formed on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and the ground can be easily rel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수용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수용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용기의 부분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제1수용부, 110: 제1수용부걸림부, 120: 내측돌출부, 130:제1수용부해제가이드, 140: 제1수용부돌출부
200: 제2수용부, 210: 손잡이, 211: 손잡이패드고정부, 212: 손잡이패드, 213: 손잡이패드돌출부, 220: 바닥밀착부가이드, 230: 체결부고정부가이드, 231: 회전가이드부, 232: 체결부회전방지부, 240: 뚜껑걸림부, 250: 분리통공
300: 바닥밀착부, 310: 바닥밀착돌출부, 320: 바닥밀착통공부, 330: 진공해제부
400: 체결부, 410: 체결부고정부, 420: 체결부회전부, 430: 체결부손잡이, 440: 수저고정가이드, 441: 체결부덮개, 442: 회전축, 443: 덮개고정홈
500: 뚜껑, 510: 요홈부, 520: 밀폐링, 530: 뚜껑제어부, 531: 뚜껑고정부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front view of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Symbo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assembly for an automobile which is provided with a handle 210 and a handle 210 which are fix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 Fastening part for front fastening part, 240: lid holding part, 250:
300: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10: bottom close contact projection, 320: bottom close contact, 330: vacuum releas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500: lid, 510: recessed portion, 520: sealing ring, 530: lid control portion, 531: lid fixing portio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all transform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the element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the element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somewhat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Further,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modifi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s.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re is no clear counterpoint. Any feature that is specifically or advantageously indicated as being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or feature that is indicated as being preferred or advantageou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용기는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수용부(100)는 제1수용부걸림부(110)를 포함하여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engaging portion 110 to store or accommodate the contents.

제1수용부(100)는 외부환경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온도 변화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계열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minimiz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therein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may preferabl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더욱이, 제1수용부걸림부(110)는 제1수용부(10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될 제2수용부(200)의 상측에 걸림으로써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가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engaging portion 110 protrudes outwar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and is hoo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can be easily assembled or disassembled.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걸림부(110)의 단면은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말리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수용부걸림부(110)가 제2수용부(200)의 상측에 용이하게 걸림으로써 얹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3, the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latching portion 110 is formed so that the end portion thereof is curled inward, so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latching portion 1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So as to be able to be laid down.

제1수용부걸림부(110)에 의해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ngaging portion 110. [

더욱이, 후술될 제1수용부(100)와 뚜껑(500)의 결합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뚜껑(500)이 결합되었을 때 외부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고,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의 결합이 긴밀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d 500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lid 500 can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are closely hel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00)의 상측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용부돌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protruding portion 140 protruding outward.

만약, 시력이 낮거나 보이지 않는 사용자가 제1수용부(100)의 상측을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수용부(100)의 이동,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f the user is low in vision or invisibl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moved, separated, and assembled.

이때, 제1수용부걸림부(110)는 제1수용부돌출부(14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latch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portion 140.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00)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구획별로 저장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측돌출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protruding portion 120 form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so as to store or accommodate one or more contents in the compartments.

제2수용부(200)는 제1수용부(100)가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제1수용부(100)의 외측 하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therein.

제2수용부(200)에 의해 제1수용부(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로 인해 방출되는 열기를 단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released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hou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can be insulated by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제2수용부(200)는 인체에 무해하며, 단열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excellent in heat ins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더욱이, 사출성형 시 열 변형 및 수축률이 낮다고 알려진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수지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it may be formed of an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resin known to have low thermal deformation and shrinkage ratio during injection mo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수용부(100)가 제2수용부(200)의 내측에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합성수지로 형성된 제2수용부(200)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DEHP(Di-EthylHexyl Phthalate), 비스페놀A 등과 같은 환경호르몬이 내용물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i-Ethyl Hexyl Phthalate (DEHP), bisphenol A, and the like, which can be releas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me environmental hormon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ontents in advance.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제1수용부(100)를 제2수용부(200)에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is formed to be selectively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user.

더욱이, 제1수용부(100)가 제2수용부(200) 내측에 겹쳐짐으로써 분리가 용이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뜨거운 물을 붓는 등의 열팽창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urther,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is not easily separated by overlapping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it is generally known to separate using thermal expansion such as pouring hot water.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 등의 사고 위험이 있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수용부(200)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used, there is a risk of accident such as burns due to hot water,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eforma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made of synthetic resin can occur.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 사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수용부(100) 하측면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해제가이드(13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isadvantages, as shown in FIG. 8,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And a first receiving portion releasing guide 130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일 실시예로서, 제1수용부해제가이드(130)는 제1수용부(100)의 상측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may extend upwar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releasing guide 130.

이때, 제1수용부해제가이드(130)의 소재는 후술될 뚜껑(500)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releasing guide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bent by a lid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제1수용부해제가이드(130)를 더 포함하여 제1수용부해제가이드(130)의 단부를 상측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releasing guide 130 may be further provided to raise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releasing guide 130 upward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can be easily separated .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분리통공(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25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분리통공(250)은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1수용부(100)를 제2수용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separating opening 250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예를 들면, 제1수용부(100)가 제2수용부(2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분리통공(250)을 관통하여 제1수용부(100)를 눌러줌으로써 분리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the user can separat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by push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through the separation hole 250.

제2수용부(200)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외측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2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receptacle 20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210 protruding outwardly in a selecte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손잡이(210)가 포함됨으로써 제1수용부(100)로부터 방출된 온도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온도변화가 일어난 제2수용부(200)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which is heated or cooled by the temperature emit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0 by the inclusion of the handle 210, change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easily.

이때, 손잡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패드고정부(211) 및 손잡이패드(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le 21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ad fixing portion 211 and a handle pad 212, as shown in FIG.

이로 인해 제2수용부(200)의 이동이 용이하고, 후술될 바닥밀착부(300)가 제2수용부(200)의 이동과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can be easily moved, and the bottom contact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round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손잡이패드고정부(211)는 손잡이(210)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ad fixing portion 211 may be formed to include one or more grooves in the handle 210.

손잡이패드고정부(211)에 의해 간단한 조립으로 손잡이패드(212)가 손잡이(2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rip pad 212 can be easily fixed to the grip 210 with a simple assembly by the grip pad fixing portion 211. [

손잡이패드(212)는 손잡이패드고정부(211)에 하측이 인입되고, 상측이 손잡이(21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ad 21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side thereof is drawn into the knob pad fixing portion 211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higher than the knob 210.

이때, 손잡이패드(212)의 하측은 손잡이패드고정부(211)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손잡이패드돌출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grip pad 212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andle pad protrusion 213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grip pad fixing part 211 and to be easily fixed.

따라서 손잡이패드(212)는 손잡이패드고정부(211)에 고정이 용이하며, 제2수용부(200) 이동 시 미끄러지지 않고, 높은 단열효율을 유지하여 화상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연질의 합성수지로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the grip pad 212 can be easily fixed to the grip pad fixing portion 211 and can be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slip when moving the second storage portion 200, .

선택적으로, 바닥밀착부(300) 및 체결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ottom contact part 300 and the fastening part 400 may be further included.

바닥밀착부(300)는 바닥밀착돌출부(310) 및 바닥밀착통공부(320)를 포함하고, 제2수용부(2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contact portion 300 includes the bottom contact projection 310 and the bottom contact opening portion 32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00.

바닥밀착부(300)는 밀폐형 용기가 지면으로부터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contact portion 300 can be formed so that the closed container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다시 말하면, 내용물,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의 무게에 의해 바닥밀착부(300)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바닥밀착부(300)와 지면 사이가 진공상태가 되어 밀폐형 용기와 지면의 밀착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00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the vacuum between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00 and the ground becomes a vacuum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closed container and the ground can be maintained tightly.

바닥밀착돌출부(310)는 상측이 제2수용부(200)의 외측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바닥밀착부(300)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contact projection 310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ttom adhesion portion 300 so that the upper sid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low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이때, 바닥밀착돌출부(31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체결부(400)가 바닥밀착부(300)와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contact projection 310 may protrude upwar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400 can engage with the bottom adhesion portion 300.

바닥밀착통공부(320)는 바닥밀착돌출부(310)의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The bottom contact cylinder 3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ottom contact projection 310 and the bottom contact projection 310.

바닥밀착통공부(320)에 의해 바닥밀착부(300)와 체결부(400)가 결합 되어 바닥밀착부(300)가 제2수용부(2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00 by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20 so that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00 can be easily fix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00.

더욱이, 바닥밀착부(300)는 진공해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bottom contact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release part 330. [

진공해제부(330)는 바닥밀착부(30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 되어 밀폐형 용기를 상측으로 올림과 동시에 바닥밀착부(300)에 틈을 제공하여 지면으로부터 바닥밀착부(300)가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vacuum release part 33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300 and protrudes upward to lift the closed container upward and to provide a clearance to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300, (300) can be released.

바람직하게 진공해제부(330)는 손잡이(210)와 하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단부가 손잡이(2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acuum release portion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21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may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210.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210)를 잡음과 동시에 진공해제부(330)의 말단이 손잡이(210)의 하측면에 밀착하게 되어 진공해제부(330)의 상측이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le 210, the end of the vacuum release part 3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210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vacuum release part 33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200 Can be formed.

이로 인해 바닥밀착부(300)에 제2수용부(200)를 상측으로 올림과 동시에 틈이 제공되어 바닥밀착부(300)와 지면에 형성된 진공이 용이하게 해제됨으로써, 밀폐형 용기를 별도의 외력 없이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lifted up to the bottom of the bottom contact portion 300 and a gap is provided to easily release the vacuum formed on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300 and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to move.

더욱이, 바닥밀착부(300)에 이물질이 붙거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외주면이 손상됨으로써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밀착부가이드(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the bottom contact part guide 220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adhesion of the foreign substance to the bottom contact part 300 or the external circumference due to frequent use.

따라서 바닥밀착부가이드(220)는 바닥밀착부(300) 외주면보다 크고, 제2수용부(200)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bottom contact part guide 220 is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300, and can be protruded downwar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체결부(400)는 바닥밀착부(300)가 제2수용부(20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부고정부(4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fastening fastening part 410 so that the bottom fastening part 30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

바람직하게 체결부(400)는 바닥밀착부돌출부(310)의 하측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astening part 400 may be formed to be pulled downward from the bottom fitting part protruding part 310.

더욱이, 체결부고정부(410)는 바닥밀착부통공부(320)를 관통하도록 체결부(400)의 상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and retaining part 410 may be formed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400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bottom-closing part 320,

이때, 체결부고정부(410)의 말단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회전부(420)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후술될 제2수용부(200)와 후술될 회전가이드부(231) 사이에 인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coupling concaved portions 420 having ends of the coupling and holding portions 410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rotation guide portion 231 to be described later, . &Lt; / RTI &gt;

체결부고정부(410)에 의해 제2수용부(200)로부터 바닥밀착부(300)의 탈락 또는 이탈을 방지하고, 제2수용부(200)로부터 바닥밀착부(300) 및 체결부(400)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300 and the coupling portion 400 are prevented from coming off or coming off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00 by the coupling and fixing portion 410, Can be easily separated.

이 때, 체결부(400)가 제2수용부(2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고정가이드(230), 회전가이드부(231) 및 체결부손잡이(4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fixing guide 230, the rotation guide part 231 and the fastening part handle 430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fastening part 400 can be easily fix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체결부고정부가이드(230)는 제2수용부(200) 하측면에 바닥밀착돌출부(310)가 인입되어 감싸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and fixing part guide 230 may protrude downward so as to enclose and bond the bottom contact protruding part 310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체결부고정부가이드(230)에 의해 체결부(400)가 고정됨으로써, 제2수용부(200)로부터 바닥밀착부(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upling part 400 is fixed by the coupling and fixing part guide 230 so that the bottom fitting part 300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200. [

더욱이, 종래에는 제2수용부(200)의 하측면이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2수용부(200) 하측 및 바닥밀착부(300) 내측을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Further, conventionally,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lea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tight contact portion 300.

그러나 밀폐형 용기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고정부가이드(230)를 더 포함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체결부(400)와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2수용부(200) 하측 및 바닥밀착부(300) 내측의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s shown in FIG. 7, the fastening part includes the fastening fastening part 230 and is formed so as to be assembl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art 400 by a simple operation,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contact part 300 can be easily cleaned.

더욱이, 체결부고정부가이드(230)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가이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rotation guide portions 231 protruding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fixing guide 230.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회전가이드부(231)는 체결부(400)의 회전에 의해 체결부회전부(4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2수용부(200)의 하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guide portion 23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so that the engaging recess portion 420 may be drawn by the rotation of the engaging portion 400.

이때, 체결부회전부(420)의 상측면이 제2수용부(200)의 하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부(231)가 둘 이상 포함될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rotation guide part 231 includes two or more rotation guide parts so that rot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art 4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200, .

또한, 회전가이드부(231)의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단부에 연장 형성된 체결부회전방지부(2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securely fix the rotation guide portion 231,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astening crown front branch portion 232 formed at an end portion thereof.

체결부회전방지부(232)는 회전가이드부(231)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2수용부(200) 하측면과 체결부고정가이드(230) 내측면 일측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4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end of the rotation guide part 231 and be bent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and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fixing guide 230.

체결부회전부(420)가 회전가이드부(231)에 인입되어 회전될 경우, 단부가 체결부회전방지부(232)에 걸림으로써 과회전을 방지하고, 체결부(400)의 회전에 의해 진공해제부(330)가 손잡이(210)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coupling subsection 420 is pulled into the rotation guide portion 231 and rotated, the end portion is caught by the coupling portion 241 to prevent over rotation, and when the coupling portion 400 is rotated, (330) can be located below the handle (210).

이때, 체결부(400)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손잡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40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handle 430 protruding downward on the lower side for easy rot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부손잡이(430)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부회전부(420)가 회전가이드부(231)에 인입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fastening part turn 420 to be pull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rotation guide part 231 by rotating the fastening part handle 430.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400)는 수저고정가이드(440) 및 체결부덮개(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the fastening portion 40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fixing guide 440 and a fastening cover 441.

수저고정가이드(440)는 체결부(400) 하측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400) 내측에 수저, 젓가락 또는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guide 440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art 400 is depressed upwardly and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400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any one of the cutlery, Can be formed.

수저고정가이드(440)에 의해 야외활동 시 수저,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을 따로 챙기거나 잃어버리지 않고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ater level fixing guide 440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carried without taking or losing the water level, the chopsticks or the fork during outdoor activities.

체결부덮개(441)는 수저고정가이드(440)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44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체결부(400)의 하측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cover 441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442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er guide 440 so as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400.

회전축(442)은 바람직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체결부덮개(441)에 의해 체결부(400) 하측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442 is preferably hing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art 4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upling part cover 441.

더욱이, 체결부덮개(441)의 체결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덮개(441)의 단부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홈이 형성된 덮개고정홈(443)이 포함될 수 있다.Furthermore, a cover fixing groove 443 formed upwardly along the end of the coupling cover 441 and formed with a groove may be included to firmly hold the coupling cover 441.

이때, 회전가이드부(231)의 하측단부가 덮개고정홈(443)에 인입되어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체결부덮개(4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guide part 231 is inserted into the lid fixing groove 443 so as to be enclosed, so that the fastening lid 441 can be fixed.

선택적으로 덮개고정홈(443)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돌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회전가이드부(231)와 덮개고정홈(443)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Not shown)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fixing groove 443 so as to firmly hold the coupling between the rotation guide portion 231 and the cover fixing groove 443.

선택적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용기는 제1수용부(10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보호하고, 제2수용부(200)로부터 제1수용부(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 상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뚜껑(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may protect the stored contents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and prevent the escap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The lid 500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to preven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from contacting each other.

뚜껑(500)은 요홈부(510), 밀폐링(520), 뚜껑제어부(530) 및 뚜껑고정부(5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lid 500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recessed portion 510, the sealing ring 520, the lid control portion 530, and the lid fixing portion 531.

요홈부(510)는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단부와 후술될 밀폐링(520)이 인입될 수 있도록 단부에 홈을 구비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recessed groove portion 510 has a groove at an end portion thereof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0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0 and the sealing ring 52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As shown in FIG.

선택적으로, 홈의 내측은 외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주면과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outer sid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or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have.

따라서 뚜껑(500)이 결합되었을 때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탈을 방지하고, 내용물을 외부환경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lid 500 is coup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on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contents can be protect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밀폐링(520)은 요홈부(510) 내측에 인입되고, 뚜껑(500)과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 면과 긴밀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ring 52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510 and is capable of maintaining a tight engagement with the lid 500 and any one of the upper surfaces selec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00 or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00 .

이때, 상측면 및 하측면에 하나 이상의 밀폐링돌출부(미도시)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aling ring protrusion (not shown) selectively.

더욱이, 밀폐링(520)은 뚜껑(500)과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ring 520 may b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to firmly hold the lid 500 and any on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0 or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00.

뚜껑제어부(530)는 뚜껑고정부(531)를 포함하여 뚜껑(500)의 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lid control unit 530 may include at least one lid fixing unit 531 and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end surface of the lid 500,

뚜껑제어부(530)는 뚜껑(500)의 단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하운동을 함으로써 뚜껑(500)을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The lid control unit 530 can vertically move the lid 500 by the user's control about the end of the lid 500 to fix or separate the lid 500. [

뚜껑고정부(531)는 뚜껑제어부(530)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id fixing part 53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control part 530.

이때,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측 일측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뚜껑걸림부(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0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capping part 240 protruding outwardly.

다시 설명하면, 뚜껑(500)을 제1수용부(100) 또는 제2수용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이 요홈부(510)에 인입되도록 얹은 후, 뚜껑제어부(530)를 하측방향으로 제어하여 뚜껑고정부(531)가 뚜껑걸림부(240)의 하측에 걸릴 수 있도록 체결하여 뚜껑(500)읠 밀폐형 용기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다.The lid 5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00 or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00 so as to be drawn into the recessed portion 510 and then the lid control portion 530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lid fixing part 531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d latching part 240 and can be fixed from the lid 500 to the hermetically closed container.

반대로 뚜껑(500)을 밀폐형 용기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밀폐형 용기로부터 고정시키는 방법과 반대로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Conversely, when the lid 500 is separated from the hermetically closed container, it is apparent that the method can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method of securing the lid 500 from the hermetically closed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밀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여 세척이 용이하여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which is easily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ground, easy to move and fix,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easy to clean.

Claims (10)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용부걸림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제1수용부; 및
제1수용부가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제1수용부의 외측 하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제2수용부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외측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손잡이 내측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손잡이패드고정부; 및
손잡이패드고정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패드;를 포함하고,
제2수용부의 외측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바닥밀착부돌출부를 포함하고, 바닥밀착부돌출부의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닥밀착부통공부를 포함하며, 테두리는 제2수용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바닥밀착부; 및
바닥밀착부가 제2수용부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바닥밀착부통공부를 관통하도록 상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고정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바닥밀착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 되어 밀폐형 용기를 상측으로 올림과 동시에 바닥밀착부에 틈을 제공하여 지면으로부터 바닥밀착부가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진공해제부; 및
제2수용부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바닥밀착부의 외주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바닥밀착부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된 바닥밀착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제2수용부 하측면에 바닥밀착부돌출부가 인입되어 감싸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고정부가이드;
체결부고정부가이드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 형성된 회전가이드부; 및
체결부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손잡이;를 포함하며,
제1수용부 상측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용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진공해제부는 손잡이와 하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음과 동시에 진공해제부의 말단이 손잡이의 하측면에 밀착하게 되어 진공해제부의 상측이 제2수용부의 외주면과 맞닿게 형성되고,
회전가이드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2수용부 하측면과 체결부고정가이드 내측면 일측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체결부고정부의 말단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수용부와 회전가이드부 사이에 인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부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기.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be capable of storing or accommodating contents and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long an upper edge; And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med so as to surround an outer lower side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an be detached and inserted there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andle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of the selected one side or the other side,
A grip pad fixing part including at least one groove on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And a grip pad formed to be pulled into the grip pad fixing portion,
And one or more bottom contact cylinder bores formed to penetrate the rim of the bottom contact portion protruding por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low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rim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A bottom adhered portion; And
And a fastening part including at least one fastening fastening part protruding upward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ide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contact cylinder part so that the bottom fastening part is tightly fix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 vacuum release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and projecting upward to raise the sealed container upward and to provide a gap in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so that the bottom close contact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And a bottom contact portion guid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lower side to be larger tha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so as to prot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face of the bottom close contact portion,
A fastening fastening portion guide protruding downwardly to receive and project the bottom fastener protruding portion o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lower side;
At least one rotation guide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and fixing portion guide; And
And a fastening portion handle projected downward from a lower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a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vacuum release port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and the end of the vacuum release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handle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vacuum releas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And a fastening part forward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rotation guide part and formed in a bent shape on one side of the in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fixing guide,
Wherein the end of the fastening and secur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rotation guide par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otation receiv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수용부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구획별로 저장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protrud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able to store or accommodate one or more contents inside the compart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체결부 하측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 내측에 수저, 젓가락 또는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저고정가이드; 및
수저고정가이드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체결부 하측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부덮개;를 포함하고,
체결부덮개의 체결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덮개의 단부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홈이 형성된 덮개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ottom fixing guide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art is recess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one of the bottom, chopsticks or fork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And a fastening cover which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ter level fixing guide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And a lid fixing groove formed upwardly along the end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lid and formed with a groove so as to firmly hold the fastening portion lid.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사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수용부 하측면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해제가이드를 포함하고,
제1수용부해제가이드는 단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1수용부의 상측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releasing guid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lower side,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releasing guide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an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extended upward in order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by raising the en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보호하고, 제2수용부로부터 제1수용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d formed to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protect the stored contents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ven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Vessel.
KR1020170108689A 2017-08-28 2017-08-28 Sealed container KR101902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89A KR101902125B1 (en) 2017-08-28 2017-08-28 Seale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89A KR101902125B1 (en) 2017-08-28 2017-08-28 Sealed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125B1 true KR101902125B1 (en) 2018-11-08

Family

ID=6432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689A KR101902125B1 (en) 2017-08-28 2017-08-28 Sealed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1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766B1 (en) * 2016-09-09 2017-05-11 조문식 Cup
KR101734777B1 (en) * 2016-07-08 2017-05-11 조문식 The food t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777B1 (en) * 2016-07-08 2017-05-11 조문식 The food tray
KR101731766B1 (en) * 2016-09-09 2017-05-11 조문식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040B2 (en) Food storage container with quick access lid
US6763964B1 (en) One hand open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9538881B2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3302865U (en) Kitchen utensil
CA2758615C (en) Suction plate or bowl holder
US5573139A (en) Drinking mug with lid and mug body formed from one piece
US8251340B2 (en) Gripping mat
CA2460835C (en) Removable tray insert and tray set
US20050242632A1 (en) Infant support with selectively covered tray
JP2007509699A (en) Ceramic metal liquid holding container
KR20150000128A (en) Safety cup
KR101664779B1 (en) Container with a vacuum suction device
KR101902125B1 (en) Sealed container
JP3171600U (en) Lid
CN109077565B (en) Detachable tumbler baby bowl
JPH07275128A (en) Pot and pot with spoon
KR101731766B1 (en) Cup
JPS592720A (en) Pot with seal lid
KR101852717B1 (en) Bowl
KR101494960B1 (en) Food storage container with quick access lid
WO2008072863A1 (en) Detachable handles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KR101905973B1 (en) Bowl
KR102714062B1 (en) Cookware lid that can be mounted on cookware
TWI788185B (en) microwave cover
KR102718085B1 (en) Cover for pot handle and pot with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