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24B1 - 소총 - Google Patents

소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24B1
KR101901224B1 KR1020160144563A KR20160144563A KR101901224B1 KR 101901224 B1 KR101901224 B1 KR 101901224B1 KR 1020160144563 A KR1020160144563 A KR 1020160144563A KR 20160144563 A KR20160144563 A KR 20160144563A KR 101901224 B1 KR101901224 B1 KR 10190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ng plate
coupled
pressing port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809A (ko
Inventor
권혁명
Original Assignee
신원엠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엠에스(주) filed Critical 신원엠에스(주)
Priority to KR102016014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1/00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s; Modular concepts; Articulated or collapsible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3/00Butts; Butt plates; St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총열을 포함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지지하며, 손잡이 및 방아쇠를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핀, 상기 지지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된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상기 지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에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총{RIFLE}
본 발명은 소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의도하지 않게 사격 중 또는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소총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이나 경찰 등이 사용하는 소총에는 K1, K2 등이 있다.
이러한 소총은 총열, 총신, 개머리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총신 하부에는 손잡이, 방아쇠 등이 형성되어 있고, 총신 상부에는 가늠쇠와 함께 표적을 조준하기 위한 가늠자가 형성되어 있다.
소총을 이용한 사격은 상기 개머리판을 사용자의 어깨에 받쳐준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가늠자, 가늠쇠가 목표물과 일치되게 조준한 상태로 사격하게 된다.
유사시에 소총을 즉시 사용하기 위해, 소총을 분해하여 수리, 점검, 청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소총을 분해하면, 소총 내부에 있는 총열, 약실 등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소총에는, 사용하는 동안 소총이 분리되지 않도록 소총의 분리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 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게 되는데, 사용자가 부주의로 차단 장치를 건드리거나, 또는 탄환이 발사되면서 반동에 의해 소총이 분리되면, 소총 내부의 스프링 등이 팽창되어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에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격 시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소총이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소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총열을 포함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지지하며, 손잡이 및 방아쇠를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핀, 상기 지지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된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상기 지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에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돌기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판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가압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 몸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제1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핀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핀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소총에 의하면, 사격시 소총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체결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전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비교예의 회전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도 1의 체결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총은, 제1 몸체(100), 제2 몸체(300) 및 체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부(500)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가 사용 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를 서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부(500)는 회전판(590, 도 6 참조) 및 가압부(520, 도 6 참조)를 포함하는데, 회전판(590, 도 6 참조)이 제1 몸체(100)를 향하도록 가압부(520, 도 6 참조)가 회전판(590, 도 6 참조)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총은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는 제2 회전축(7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는 서로 힌지 결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총은, 사격시에는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소총을 수리 또는 점검을 하는 경우, 제2 회전축(700)을 중심으로 제1 몸체(100)를 제2 몸체(300)에 대해 회전시켜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를 서로 분리시키면, 제1 몸체(100) 내부에 있는 약실 등을 수리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다.
제1 몸체(100)는 총열, 총열 덮개, 가늠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총열은 탄환이 발사될 때 탄환이 통과되는 금속관으로, 총열은 총열 덮개에 의해 덮힌다. 가늠쇠는 제1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총열을 표적물과 일치시킬 수 있는 조준 장치이다.
제2 몸체(300)는 제1 몸체(100)와 결합하는 것으로, 탄창, 손잡이, 방아쇠, 개머리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창은 총열을 통해 발사되는 탄환을 공급할 수 있으며, 손잡이는 방아쇠를 잡아 당길 때 손이 견고하게 파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개머리판은 사용자의 어깨와 부착되는 부분으로, 약실 폭발의 반동을 받아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부(500)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500)의 위치에 따라,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가 고정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500)는 지지핀(510), 지지 몸체(550), 삽입 돌기(570) 및 제2 코일 스프링(5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핀(510)은 제1 방향(X축)을 따라 연장된 총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지지핀(51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핀(5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기둥,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각형 기둥일 수도 있다.
지지핀(510)에는 제2 코일 스프링(53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코일 스프링(530)은 지지핀(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 스프링(530)에 의해 후술하는 지지 몸체(550)가 우측으로 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 몸체(550)를 좌측으로 밀지 않으면, 제2 코일 스프링(530)에 의해 지지 몸체(550)는 우측에 위치한 제2 몸체(300)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핀(510)의 단부에는 지지 몸체(55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몸체(550)의 상측 일부가 제1 몸체(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노출된 지지 몸체(550)를 제1 방향(X축)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몸체(550)에 결합된 지지핀(510) 및 삽입 돌기(570)를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노출된 지지 몸체(550)의 상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사용자가 노출된 지지 몸체(550)의 상면을 밀어 지지 몸체(550)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의 손이 지지 몸체(55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몸체(550)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 돌기(570)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 돌기(570)는 지지 몸체(550)를 중심으로 지지핀(510)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삽입 돌기(570)는 제2 몸체(30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돌기(570)는 제2 몸체(300)에 형성된 수용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 돌기(570)는 제2 몸체(300)의 수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가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 돌기(570)가 제2 몸체(300)의 수용홈(미도시)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돌기(570)가 수용홈(미도시)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몸체(100) 또는 제2 몸체(300)가 제2 회전축(70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삽입 돌기(57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삽입 돌기(570)가 수용홈(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몸체(100) 또는 제2 몸체(300)가 제2 회전축(7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중에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300)는 체결부(500)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체결부(500)는 회전판(590) 및 가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590)은 지지 몸체(550)의 상측에 형성된 절개홈(557, 도 3 참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590)은 제1 회전축(58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은 제1 방향(X축)과 교차하는 제2 방향(Z축)과 나란할 수 있다.
회전판(590)은 제1 돌기(593) 및 제2 돌기(5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593)는 제1 회전축(580)이 관통하는 회전판(59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기(595)도 회전판(59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돌기(595)는 제1 돌기(593)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각도는 0 도 보다 크고 90 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회전판(590)의 제1 돌기(593) 및 제2 돌기(595)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룬 채, 제1 회전축(58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593)는 체결부(500)가 제1 방향(X축)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90)의 제1 돌기(593)가 대략 9시 방향에 위치하면, 제1 돌기(593)와 제1 몸체(100)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지지 몸체(550), 삽입 돌기(570) 등이 좌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삽입 돌기(570)가 제2 몸체(300)의 수용홈(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어,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될 수 없다.
한편, 제2 돌기(595)는 제1 돌기(59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레버(lever)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돌기(59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돌기(593)가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돌기(59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돌기(593)가 12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돌기(59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돌기(593)가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지지 몸체(550) 및 삽입 돌기(570) 등이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돌기(570)가 제2 몸체(300)의 수용홈(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돌기(593)가 9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분리되지 않고, 제1 돌기(593)가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사격 중에는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593)를 9시 방향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부주의로 제1 돌기(593)를 12시 방향에 위치시키는 경우, 약실 폭발 등의 반동에 의해 삽입 돌기(570)가 제2 몸체(300)의 수용홈(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 내부에 있는 부품들이 튕겨져 나와 사용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90)에 가압부(520)가 결합되어, 제1 회전축(58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판(59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판(590)에는 제1 고정홈(591)이 형성되고, 지지 몸체(550)에는 제2 고정홈(55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520)의 일측 단부는 제1 고정홈(591)에 삽입 고정되고, 가압부(520)의 타측 단부는 제2 고정홈(55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520)는 탄성 부재인 제1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스프링이 압축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1 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제1 고정홈(591)에 삽입 고정되고, 제1 코일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제2 고정홈(55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판(590)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593)는 대략 9시 방향에 위치하고, 제2 돌기(595)는 대략 12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압부(520)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회전판(590)에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돌기(593)는 9시 방향에 위치하여, 제1 돌기(593)는 제1 몸체(100)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약실 폭발 등의 반동에 의해 삽입 돌기(570)가 제2 몸체(300)의 수용홈(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로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제2 돌기(59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제2 돌기(595)로부터 손을 떼면, 제2 돌기(595)는 가압부(52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돌기(593)는 9시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회전판(590)의 일측 모서리는 대략 90도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6에서 제1 돌기(593)와 제1 몸체(100)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제1 돌기(593)가 대략 12시 방향으로 위치 변경된 경우, 제1 돌기(593)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회전판(590)의 상기 형상에 의해, 제1 돌기(593)가 대략 9시 방향에서 대략 12시 방향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제1 돌기(593)이 대략 12시 방향을 넘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판(590) 내부에 위치한 가압부(520)의 스프링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판(590)의 일측 모서리가 대략 90도 각도를 가지면, 가압부(530)의 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회전판(590)의 모서리가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총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회전판(59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가압부(520)에 의해 회전판(590)의 제1 돌기(593)는 항상 제1 몸체(100)와 접촉하게 되어 제1 몸체(100) 및 제2 몸체(3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제1 몸체
300 제2 몸체
500 체결부
510 지지핀
520 가압부
530 제2 코일 스프링
551 제2 고정홈
550 지지 몸체
557 절개홈
570 삽입 돌기
580 제1 회전축
590 회전판
591 제1 고정홈
593 제1 돌기
595 제2 돌기
700 제2 회전축

Claims (13)

  1.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총열을 포함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지지하며, 손잡이 및 방아쇠를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핀;
    상기 지지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된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상기 지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에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판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가압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 몸체에 삽입 고정되는, 소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돌기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소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소총.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소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제1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소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인, 소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핀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소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소총.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 소총.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0도 내지 90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한, 소총.
  12.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총열을 포함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지지하며, 손잡이 및 방아쇠를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핀;
    상기 지지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된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상기 지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에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판이 상기 제1 몸체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힘을 가하는, 소총.
  13.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총열을 포함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지지하며, 손잡이 및 방아쇠를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핀;
    상기 지지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된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
    상기 지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에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판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힘을 가하는, 소총.
KR1020160144563A 2016-11-01 2016-11-01 소총 KR10190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563A KR101901224B1 (ko) 2016-11-01 2016-11-01 소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563A KR101901224B1 (ko) 2016-11-01 2016-11-01 소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09A KR20180047809A (ko) 2018-05-10
KR101901224B1 true KR101901224B1 (ko) 2018-10-10

Family

ID=6218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563A KR101901224B1 (ko) 2016-11-01 2016-11-01 소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2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452A (en) * 1912-05-22 1913-09-16 White Merrill Company Firearm.
FR573151A (fr) * 1923-11-12 1924-06-19 Dansk Rekylriffel Syndikat As Perfectionnements aux mitrailleuses à canon interchangeable
US3318192A (en) * 1965-02-12 1967-05-09 Armalite Inc Locked action rifle for automatic and semi-automatic selective firing
EP3017262B1 (en) * 2013-07-01 2018-08-22 Sturm, Ruger & Company, Inc. Firearm with pivoting barrel-receiv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09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105B1 (en) Floating side rail clamp weapon accessory mount adaptor
US20190249952A1 (en) Sighting system with foldable front sight with aperture post
USRE46200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US9464857B2 (en) Sound suppressor for a firearm
US9121651B1 (en) Ambidextrous magazine lock and release mechanism
US10175019B1 (en) Trigger mechanism for hammer fired-firearm
US20070180984A1 (en) Firearm fire control selector
KR102400601B1 (ko) 회전에 대한 가변적인 저항을 가지는 광학 장치 노브
US20090038199A1 (en) Firearm handgrip with a horizontal angle tracking bipod
BR112013018021B1 (pt) Arma de fogo e sistema de arma de fogo
US9863728B2 (en) Cylinder breech block device of a repeating firearm
US20130269233A1 (en) Exhangeable Triggers
US9777978B2 (en) Rotational safety device for firearm
US8186087B2 (en) Rifle trigger safety block
US20160047617A1 (en) Universal remote trigger actuator
US7765731B1 (en) Quick release gun sight adapter
US20170370668A1 (en) Rotational safety device for firearm
US20060162221A1 (en) Locking device for a firearm
US20210223002A1 (en) Fast Overturning Bracket for A Gun Sight
ITBS20130170A1 (it) Arma da fuoco azionabile con il pollice
KR101901224B1 (ko) 소총
US7779740B1 (en) Revolving firing pin assembly
US9772156B1 (en) Method of installing and removing a safety selector
WO2021091500A1 (en) Double-sided magazine change mechanism
US20230071164A1 (en) Locking adjus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n optical ai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