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782B1 - 변기 세척 기구 - Google Patents

변기 세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782B1
KR101900782B1 KR1020170158683A KR20170158683A KR101900782B1 KR 101900782 B1 KR101900782 B1 KR 101900782B1 KR 1020170158683 A KR1020170158683 A KR 1020170158683A KR 20170158683 A KR20170158683 A KR 20170158683A KR 101900782 B1 KR101900782 B1 KR 10190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crew member
rotating
rotating rod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원
김은진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브러시를 포함하는 변기 세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척 기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유닛과, 상기 손잡이유닛의 하단에 형성되며,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브러시를 구비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기 세척 기구 {TOILET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변기 세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브러시를 포함하는 변기 세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를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청소용 솔은 솔 털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상면이나 측면에 손잡이 기능을 하는 봉이 장착되거나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청소용 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위한 각 부분을 직접 문질러야 하기 때문에 청소가 쉽지 않았으며, 여러번 솔을 문질러 청소를 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변기 청소용 솔의 경우 편의성 또는 위생상태를 개선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량되어 왔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10-2015-0011988호에는 반자동 변기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변기 세척기는 모터에 의해 솔의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483303호에는 다용도 봉 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세척기구로 사용하면서도 변기가 막혔을 때, 변기를 뚫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의 경우 단시간에 변기를 세척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1988호 : 반자동 변기 세척기 한국등록특허 제10-0483303호 : 다용도 봉 솔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변기의 내부와 외부 및 상면을 동시에 세척하여 변기의 세척 과정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변기 세척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척 기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유닛과, 상기 손잡이유닛의 하단에 형성되며,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브러시를 구비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로드부는 상단이 상기 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세척유닛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파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를 감싸도록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내경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1 로드커버부재와,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상기 세척유닛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부를 감쌀 수 있게 내경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로드커버부재와,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와 제2 로드커버부재의 이격 위치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영역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스크류부재와 나사결합이 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손잡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도록 연장되는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와, 상기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의 일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로 전달하는 제1 종동기어 및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의 타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하는 제1 보조바디와 제2 보조바디, 상기 제1 보조바디와 제2 보조바디의 내부에 각각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기어 및 제2 회전기어와, 상기 제1 보조바디 및 제2 보조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 상기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며 제1 보조바디와 제2 보조바디의 내부에서 각각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제2 회전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로 전달하는 제1 피동기어 및 제2 피동기어와, 상기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에 각각 설치되고 변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브러시가 마련되어 있는 제1 회전브러시 및 제2 회전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손잡이부재는 상기 노출영역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회전로드가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상기 메인바디를 통과해 연장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 외측에 상기 보조회전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브러시 및 제2 회전브러시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변기 표면을 세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보조세척브러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기 세척 기구는 손잡이를 상하로 진퇴 구동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변기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 회전브러시를 구동하여 용이하게 변기 세척을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변기의 내측과 외측 및 상면의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져 변기 세척 시간을 단축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척 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변기 세척 기구를 이용해 변기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변기 세척 기구의 손잡이 및 구동작업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회전브러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세척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변기 세척 기구(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유닛(100)과, 변기(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유닛(100)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사용자가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파지부(110)와, 상기 파지부(1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연장로드부(120)를 포함한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원통형 또는 파지가 용이한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10)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장로드부(120)는 파지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크류부재(121)와, 스크류부재(121)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감싸는 제1 로드커버부재(131) 및 제2 로드커버부재(132)와, 스크류부재(121)에 나사결합되는 승강손잡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부재(121)는 상단이 파지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파지부(110)의 내부 하단에 스크류부재(121)를 지지하는 상부베어링(122)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121)가 파지부(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크류부재(12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산은 스크류부재(121)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제1 로드커버부재(131)와 제2 로드커버부재(132)의 사이에서 스크류부재(121)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131)는 파지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데, 제1 로드커버부재(131)의 내경이 스크류부재(12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제1 로드커버부재(131)는 스크류부재(121)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도 상기 스크류부재(121)가 회전하는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2 로드커버부재(132)는 후술하는 세척유닛(200)으로부터 스크류부재(121)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데, 제2 로드커버부재(132) 역시 제1 로드커버부재(131)와 마찬가지로 스크류부재(12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중공을 갖는다. 따라서 스크류부재(121)가 회전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스크류부재(121)의 하부를 감싸 보호한다.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131)의 하단과 제2 로드커버부재(132)의 상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제1 로드커버부재(131)의 하단과 제2 로드커버부재(132)의 상단 사이에 스크류부재(12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노출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승강손잡이부재(140)는 상기 노출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스크류부재(121)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스크류부재(121)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손잡이부재(140)는 상하 연장길이가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131)와 제2 로드커버부재(132)의 이격에 의한 노출영역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기 노출영역 내에서 스크류부재(121)를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면은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10)를 잡지 않은 나머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손잡이부재(14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131)와 제2 로드커버부재(132)의 하단과 상단 외주면을 덮는 연장커버(1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장커버(141)는 내경이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131)와 제2 로드커버부재(13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영역에서 승강손잡이부재(140)가 체결되지 않는 스크류부재(121)의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사용자는 상기 승강손잡이부재(140)를 잡고 상하로 승강되도록 움직일 수 있고, 승강손잡이부재(140)의 승강 구동에 의해 스크류부재(121)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세척유닛(200)은 스크류부재(121)의 회전력을 통해 변기(1)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류부재(121)의 하단이 지지되는 메인바디(210)와, 메인바디(210)의 양측에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 메인바디(210)와 제1 보조바디(220) 및 제2 보조바디(230)를 각각 연결하는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변기(1)의 표면을 닦는 제1 회전브러시(281) 및 제2 회전브러시(28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210)는 스크류부재(121)의 하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태로서, 상기 스크류부재(121)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22)이 내장되어 있다. 아울러 메인바디(210)의 내부로 진입한 스크류부재(121)의 하단에는 구동기어(2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는 각각 메인바디(210)와 제1 회전로드(251) 및 제2 회전로드(252)에 의해 연결되는데,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는 양단이 각각 메인바디(210) 및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는 메인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 상기 구동기어(240)와 치합되는 제1 종동기어(241) 및 제2 종동기어(2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는 상기 스크류부재(121)와 교차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기어(240)와 제1 종동기어(241) 및 제2 종동기어(242)는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의 타측 단부에는 각각 제1 회전기어(261)와 제2 회전기어(2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작동로드(271)와 제2 작동로드(272)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작동로드(271)와 제2 작동로드(272)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회전기어(261)와 제2 회전기에어 치합되는 제1 피동기어(263)와 제2 피동기어(26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기어(261)와 제1 피동기어(263) 및 제2 회전기어(262)와 제2 피동기어(264)는 각각 직각방향으로 회전축이 교차하기 때문에 역시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1 작동로드(271)와 제2 작동로드(272)는 각각 제1 보조바디(220)와 제2 보조바디(230)로부터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며, 제1 작동로드(271)와 제2 작동로드(272)에 제1 회전브러시(281)와 제2 회전브러시(28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회전브러시(281)와 제2 회전브러시(28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변기(1)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되어서 회전하면서 변기(1) 표면을 세척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바디(210)의 하부에는 변기(1)의 수평방향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보조세척브러시(29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어(240)로부터 하방으로 보조회전로드(291)가 연장되어 메인바디(2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고, 이 보조회전로드(291)에 보조세척브러시(292)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세척브러시(292)는 스크류부재(121)와 함께 회전 구동하게 되면서 제1 회전브러시(281)와 제2 회전브러시(282)의 사이에서 변기(1)의 수평방향 표면을 세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변기(1) 세척 장치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부(1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승강손잡이부재(140)를 잡은 상태에서 승강손잡이부재(140)를 스크부재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 스크류부재(121)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부재(121)의 회전은 구동기어(240)와 제1 종동기어(241), 제2 종동기어(242)를 통해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로 전달되며, 제1 회전로드(251)와 제2 회전로드(252)의 회전은 제1 회전기어(261)와 제1 피동기어(263)의 치합 및 제2 회전기어(262)와 제2 피동기어(264)의 치합을 통해 제1 작동로드(271)와 제2 작동로드(272)로 전달된다.
따라서 스크류부재(121)의 구동을 통해 제1 회전브러시(281)와 제2 회전브러시(282)가 회전하면서 변기(1)의 표면을 세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보조세척브러시(292) 역시 스크류부재(121)의 회전에 따라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기(1)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변기(1) 세척기구는 승강손잡이부재(140)를 상하로 승하강 구동하는 것을 통해 제1 회전브러시(281)와 제2 회전브러시(282) 및 보조세척브러시(292)가 동시에 변기(1)의 세 표면을 세척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기(1)를 세척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변기
10: 변기 세척 기구
100: 손잡이유닛
110: 파지부 120: 연장로드부
121: 스크류부재 122: 베어링
131: 제1 로드커버부재 132: 제2 로드커버부재
140: 승강손잡이부재 141: 연장커버
200: 세척유닛
210: 메인바디 220: 제1 보조바디
230: 제2 보조바디 240: 구동기어
241: 제1 종동기어 242: 제2 종동기어
251: 제1 회전로드 252: 제2 회전로드
261: 제1 회전기어 262: 제2 회전기어
263: 제1 피동기어 264: 제2 피동기어
271: 제1 작동로드 272: 제2 작동로드
281: 제1 회전브러시 282: 제2 회전브러시
291: 보조회전로드 292: 보조세척브러시

Claims (2)

  1.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유닛과;
    상기 손잡이유닛의 하단에 형성되며,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브러시를 구비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로드부는 상단이 상기 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세척유닛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파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를 감싸도록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내경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1 로드커버부재와,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상기 세척유닛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부를 감쌀 수 있게 내경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로드커버부재와,
    상기 제1 로드커버부재와 제2 로드커버부재의 이격 위치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영역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스크류부재와 나사결합이 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손잡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류부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도록 연장되는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와,
    상기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의 일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로 전달하는 제1 종동기어 및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의 타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하는 제1 보조바디와 제2 보조바디,
    상기 제1 보조바디와 제2 보조바디의 내부에 각각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기어 및 제2 회전기어와,
    상기 제1 보조바디 및 제2 보조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
    상기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며 제1 보조바디와 제2 보조바디의 내부에서 각각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제2 회전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로 전달하는 제1 피동기어 및 제2 피동기어와,
    상기 제1 작동로드와 제2 작동로드에 각각 설치되고 변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브러시가 마련되어 있는 제1 회전브러시 및 제2 회전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손잡이부재는 상기 노출영역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회전로드가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상기 메인바디를 통과해 연장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 외측에 상기 보조회전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브러시 및 제2 회전브러시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변기 표면을 세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보조세척브러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 기구.
KR1020170158683A 2017-11-24 2017-11-24 변기 세척 기구 KR10190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83A KR101900782B1 (ko) 2017-11-24 2017-11-24 변기 세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83A KR101900782B1 (ko) 2017-11-24 2017-11-24 변기 세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782B1 true KR101900782B1 (ko) 2018-09-20

Family

ID=6371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683A KR101900782B1 (ko) 2017-11-24 2017-11-24 변기 세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7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996A (zh) 2016-01-06 2016-04-20 陈佳伟 一种智能洁厕刷
CN107212795A (zh) 2017-06-23 2017-09-29 柳州市全品贸易有限公司 电动马桶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996A (zh) 2016-01-06 2016-04-20 陈佳伟 一种智能洁厕刷
CN107212795A (zh) 2017-06-23 2017-09-29 柳州市全品贸易有限公司 电动马桶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5662A (zh) 一种用于管状内壁清洗装置的清洗刷头
US9750386B2 (en) Foldable spin flat mop and cleaning tool including same
KR200471733Y1 (ko) 컵 세척기
KR200426839Y1 (ko) 세척용 전동브러쉬
JP2020137977A (ja) セルフクリーニング洗浄ブラシ
KR101900782B1 (ko) 변기 세척 기구
AU2009238730B2 (en) Ceiling fan cleaner with rotatable roller cleaner
JP2007070863A (ja) 配管用清掃治具
US3947909A (en) Power-driven kitchen utility tool
CN206499094U (zh) 一种伸缩型试管刷
KR101150175B1 (ko)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CN207042894U (zh) 新型轴承清洗装置
CN108354311A (zh) 一种便于更换刷头的电动滚刷装置
CN103876691A (zh) 手压式双速旋转拖把
CN211027392U (zh) 一种纸箱制作清洁装置
CN211816720U (zh) 一种坐便器内部清洁装置
CN106955080B (zh) 一种升降桶平板拖把清洁工具
CN205433613U (zh) 餐饮具清洗机毛刷
CN217570069U (zh) 一种玻璃器皿消毒清洗设备
KR102632058B1 (ko) 돌솥 세척장치
US1120812A (en) Rotary hand-operated brush.
CN218133690U (zh) 一种清洗器
WO2023060522A1 (zh) 在清洁部件设置区段的整个圆周表面全方位覆盖清洁部件的手压旋转清洁构件
CN219850971U (zh) 一种弹簧用清洗装置
US20180235430A1 (en) Wringer device for a mopp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