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680B1 -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680B1
KR101900680B1 KR1020120078127A KR20120078127A KR101900680B1 KR 101900680 B1 KR101900680 B1 KR 101900680B1 KR 1020120078127 A KR1020120078127 A KR 1020120078127A KR 20120078127 A KR20120078127 A KR 20120078127A KR 101900680 B1 KR101900680 B1 KR 10190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terminal
contact portion
recogni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617A (ko
Inventor
손경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680B1/ko
Priority to US13/943,040 priority patent/US9426557B2/en
Publication of KR2014001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 삽입을 위한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이어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어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 장치가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때 특정 저항 값을 제공하여 이어폰 장치 삽입을 상기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인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Ear-phone System and Ear-phon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폰 접속 지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 장치 및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이어폰 접속을 인식하기 위한 소자를 배치하여 이어폰 장치의 부분적인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는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자 간의 통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도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오디오 출력 과정에서 타인에게 방해를 주거나 또는 오디오 청취를 혼자 즐기기 위하여 이어폰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어폰 장치를 이용하여 시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음악 청취나 방송 청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이어폰 시스템은 이어폰 장치의 헤드가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 변화에 따라 단말기가 이어폰의 접속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종래 이어폰 시스템은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에 이어폰 장치가 삽입되는 경우 이어폰 장치의 구성 중 특정 구성과의 연결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도록 지원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구조의 이어폰 시스템은 이어폰의 특정 부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적절한 전기적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이어폰 기능 지원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이어폰 장치의 형태가 가늘고 긴 전선 끝부분에 일정 크기와 무게를 가지는 이어스피커를 장착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 해당 이어폰 구성들은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들 예를 들면 이어폰 장치의 헤드나, 제어 모듈 등에 비하여 물리적으로 약한 특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상술한 이어스피커 등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특정 이어스피커가 단선되는 경우 해당 이어스피커와의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인식하도록 설정된 단말기와는 정상적인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술한 이어스피커의 단선 문제는 이어폰 장치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제 이용 환경에서 매우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는 이어폰 장치의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고 다른 부분들이 이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이어폰 장치의 이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들의 욕구가 보다 나은 음질의 오디오 신호 청취로 변해가면서 이어폰 장치의 가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비용적인 면에서 사용자에게 더욱 큰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청취와 함께 주위에 대한 경계가 필요한 사용자의 경우 두 개의 이어스피커 중 특정 이어스피커만을 착용 및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에서 착용되지 않은 이어스피커는 상대적으로 다른 사물들로부터 보다 쉽게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장이 자주 그리고 잘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착용되지 않은 이어스피커가 해당 이어폰 장치를 식별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구성인 경우 결과적으로 해당 이어스피커의 이용불가능 뿐만 아니라 이어폰 장치 자체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 고장난 이어스피커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어폰 장치를 쓸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안정적인 이어폰 장치 연결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자들을 가지는 이어폰 헤드, 상기 이어폰 헤드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출력부, 상기 이어폰 헤드 및 상기 이어폰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이어폰 장치 인식을 지원하는 장치 인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어폰 장치가 삽입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장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장치의 기능 지원을 수행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어폰 장치의 헤드와 접촉되는 단자 접촉부들, 상기 이어폰 헤드 삽입에 따라 상기 이어폰 헤드의 특정 단자에 접속되는 소자 접촉부 및 상기 소자 접촉부에 연결되는 장치 인식 소자, 이어폰 장치 접속 인식을 위해 상기 소자 접촉부가 접촉한 특정 단자에 접촉되는 인식 접촉부 및 상기 인식 접촉부에 연결되는 풀업 전압 및 분배 저항, 상기 분배 저항에 연결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지원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어폰 장치 삽입을 위한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이어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어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 장치가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때 특정 저항 값을 제공하여 이어폰 장치 삽입을 상기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인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간의 접속 인식을 보다 안정적이고 공고히 할 수 있으며, 이어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이어폰 장치 접속을 인식하고 지원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시스템 구성 중 이어폰 장치의 헤드와 단말기의 이어폰 인터페이스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이어폰 장치 구성 중 헤드 부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어폰 시스템(10) 구성 중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삽입된 상태와 관련된 구성만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이어폰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어폰 시스템(10)은 이어폰 장치(200)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 인식 소자(Rs)가 배치되거나 단말기(100)에 장치 인식 소자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어폰 장치(200)의 일부 구성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과 관계없이 이어폰 장치(200) 접속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 및 오디오 신호 수집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이어폰 헤드(210)와, 이어폰 헤드(210)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출력부(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 장치(200)는 장치 특성에 따라 마이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220)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인쇄회로 기판 등을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200)의 입력 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헤드(210)는 이어폰 장치(200)의 설계 형태에 따라 3개 내지 4개의 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어폰 헤드(210)는 이어폰 좌측 단자(L), 이어폰 우측 단자(R), 이어폰 접지 단자(G)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이어폰 마이크 단자(M)를 해당 이어폰 장치(200)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헤드(210)는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착탈 가능한 형태 예를 들면 일정 직경의 원통형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압에 의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헤드(21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의 특정 단자와 접촉되는 경우 이어폰 장치(200)에 연결된 장치 인식 소자(Rs)의 저항 값을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거쳐 단말기(100)의 특정 회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어폰 헤드(210)는 단말기(100)가 이어폰 장치(200) 삽입을 인식할 수 있는 특정 패스를 인식하는 일부 구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연결되어 좌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와, 이어폰 우측 단자(R)와 연결되어 우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각각 좌측 및 우측을 구분하여 출력하며, 모노 타입으로 구성된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는 좌우측 구분 없이 좌우측 출력부(230, 2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는 수 옴의 고유 저항 값 예를 들면 32옴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역시 스피커 자체 구성이 가지는 고유 저항 값인 32옴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의 각 저항 값은 해당 이어폰 장치(200)의 스피커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이어폰 장치(200)가 보다 높은 사양의 또는 보다 낮은 사양의 오디오 청취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사양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소재들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소재의 상이성이나 소자들의 배치, 정교성 등에 따라 각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고유 저항 값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50)은 이어폰 헤드(210)와 이어폰 출력부(230, 240) 사이에 배치되어 이어폰 헤드(210)의 특정 단자와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각 출력부들을 연결함과 아울러 마이크(220)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추가로 제어 모듈(250)은 이어폰 장치(2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특정 버튼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버튼 눌림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이어폰 헤드(210)가 접속된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단말기(100)의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250)은 이어폰 헤드(210)의 특정 단자와 연결되는 이어폰 출력부(230, 240) 사이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배치함으로써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어폰 장치(200)를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장치(200)의 오디오 출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인식 소자(Rs)는 각 실시 예별로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에 연결되거나,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에 연결되거나 둘 모두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이어폰 장치(200) 접속을 마이크 단자 확인에 따라 검출하도록 단말기(100)가 설계된 경우 장치 인식 소자(Rs)는 제어 모듈(250) 내에서 마이크(220)에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제어부(160) 및 오디오 처리부(130)의 구성을 포함하며 추가로 통신부와 저장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단말기(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헤드(210)가 접속되면 이어폰 장치(200)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장치 인식 소자(Rs)를 이어폰 장치(200)의 장치 식별을 위해 인식함으로써 이어폰 장치(200)의 접속을 보다 공고히 인식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출력부(230, 240) 고유 저항의 접속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 접속을 인식하도록 설계된 경우 이어폰 출력부(230, 24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배치하여 인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예를 들어,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접속에 따른 고유 저항 연결을 기반으로 설계된 상황에서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가 단선된 경우라 하더라도 장치 인식 소자(Rs)가 해당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연결 라인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말기(100)는 장치 인식 소자(Rs)의 저항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장치 인식 소자(Rs) 연결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 접속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에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에 배치된 장치 인식 소자(Rs)의 저항 값과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의 고유 저항 값의 병렬 저항 값이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장치 인식 소자(Rs)의 저항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의 고유 저항과의 병렬 저항 값을 제공하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발생 없이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 인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헤드(210)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삽입홀의 내측면에 3극 또는 4극 극성을 가진 이어폰 장치(200)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개수의 단자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에 4개의 극성을 각각 인식하기 위한 단자 접촉부들(171, 172, 173, 174)과 이어폰 장치(200)의 접속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접촉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자 접촉부들(171, 172, 173, 174)은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마이크 단자(M), 이어폰 접지 단자(G), 이어폰 좌측 단자(L), 이어폰 우측 단자(R)와 각각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이다. 여기서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좌측 단자(L)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저항들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우측 단자(R)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연결되는 선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어 풀업 전압(Vf)을 분배하는 분배 저항(Rd) 및 입력된 분배 전압에 따른 결과 값을 출력하는 비교기(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비교기(177)의 출력과 연결되는 검출 포트(Detect)를 포함하고, 검출 포트(Detect)에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검출 포트(Detect) 확인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면,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단말기(100)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이어폰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검출 포트(Detect) 확인을 통하여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면,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이어폰 장치(20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거나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타 단말기 전송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검출 포트(Detect)에서 비교기(177)의 "High" 신호가 검출되면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비교기(177)의 출력이 "Low" 신호인 경우 이어폰 장치(200)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된 이어폰 장치(200)의 오디오 출력 기능 및 오디오 수집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이어폰 장치(200) 장착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재생 중인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을 위하여 오디오 수집 기능을 요청받으면 이어폰 마이크 단자(M)로부터 수집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부 또는 통신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 시스템(10)은 단말기(100)에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는 경우 이어폰 장치(200)의 일정 부위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별도 마련된 장치 인식 소자(Rs)를 인식함으로써 이어폰 장치(200)의 인식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이어폰 헤드(210), 제어 모듈(250),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포함하며, 각 구성들을 연결하는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헤드(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전단부가 이어폰 좌측 단자(L), 이어폰 우측 단자(R), 이어폰 접지 단자(G) 및 이어폰 마이크 단자(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 헤드(210)의 후단부는 각 단자들에 대응하는 전극들이 마련되며, 해당 전극들은 각각 제어 모듈(250)을 통하여 이어폰 장치(200)의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각 전극들 중 중심부에 배치된 전극 211은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연결되며, 전극 211과 인접된 전극 212는 이어폰 우측 단자(R), 전극 213은 이어폰 접지 단자(G) 및 전극 214는 이어폰 마이크 단자(M)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의 이어폰 헤드(210)는 4극 이어폰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 3극 이어폰 기준인 경우 이어폰 마이크 단자(M)에 해당하는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 저항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2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제어 모듈(250)을 통하여 이어폰 헤드(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헤드(210)와 이어폰 출력부(230, 240)를 잇는 사이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추가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헤드(210)가 삽입되는 환경에서 이어폰 출력부(230, 240)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적인 연결 관계를 가지지 않더라도 단말기(100)가 이어폰 장치(200) 인식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장치 인식 소자(Rs)가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와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모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220) 구성과, 마이크(220) 하부에 배치되는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라인들은 각각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연결되는 이어폰 좌측 신호 라인(SPK L), 이어폰 우측 단자(R)와 연결되는 이어폰 우측 신호 라인(SPK R), 이어폰 접지 단자(G)와 연결되는 접지 신호 라인(GND)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1), 저항(R1), 커패시터(C1, C2) 및 기타 소자들과 음성 신호 수집을 위한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이어폰 헤드(210)가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면 이어폰 좌측 단자(L)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의 인식 접촉부(175)와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이어폰 좌측 단자(L), 이어폰 좌측 신호 라인(SPK L), 장치 인식 소자(Rs) 및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의 인식 접촉부(17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인식 소자(Rs) 및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의 합산 저항은 분배 저항(Rd)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된다. 병렬로 연결되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장치 인식 소자(Rs)는 수k 옴 예를 들면 100k옴 정도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100k옴의 장치 인식 소자(Rs)와 32옴의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의 병렬 저항 값인 24.24옴이 분배 저항(Rd)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분배 저항(Rd)은 수 M 옴 예를 들어 대략 1M옴 정도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기(177)의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은 풀업 전압(Vf)을 24옴과 분배 저항(Rd)의 저항 값으로 분배한 전압에 해당하며, 이 분배 전압은 풀업 전압(Vf)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전압을 가지고 비교기(177)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177)는 참조 전압(Vref)보다 낮은 전압이 공급되면 "High"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High" 신호는 제어부(160)의 검출 포트(Detect)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장치 인식 소자(Rs)의 저항을 100K옴 정도의 저항 값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장치 인식 소자(Rs)는 풀업 전압(Vf)을 전압 분배하여 비교기(177)의 입력 전압으로 제공할 경우 역상의 비교기(177)가 "High"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특정 저항 값을 가지는 소자로 결정될 수 있다. 장치 인식 소자(Rs)가 일정 크기 이상의 저항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누설 전류 소모가 크며, 저항 값을 작게 가지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져 실장 공간에 제약을 받거나 저하 소자의 재료비 증가로 생산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인식 소자(Rs)는 배치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실장 공간 및 생산비 등을 고려하여 일정 크기 이상을 가지면서도 누설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도로 상술한 100K옴 또는 이외의 특정 저항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는 이어폰 헤드(210), 제어 모듈(250),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포함하며,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에 내장 배치된 장치 인식 소자(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장치(200)는 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좌측 단자가 이어폰 접속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우측 단자를 장치 인식을 위해 사용되도록 설계된 경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장치 인식 소자(Rs)가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에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어폰 장치(200)의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각각에 내장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경우 그 형태가 제어 모듈(250)로부터 연장된 신호 라인의 끝단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 등에 장착되거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 유동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이어폰 출력부(230, 240) 중 귀에 장착되지 않거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은 구성은 주변 사물 등에 쉽게 부딪혀 충격을 받기 쉽다. 이러한 충격은 궁극적으로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내부 구성에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구성 중 증폭기와 증폭기 회로 등 오디오 신호 출력과 관련된 구성에 이상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상 발생은 이어폰 출력부(230, 240)가 정상적인 고유 저항 값으로 인식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가해지는 충격은 이어폰 출력부(230, 240)가 설계된 고유 저항 값으로 인식되지 못하도록 장치에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장치 인식 소자(Rs)를 특정 이어폰 출력부(230, 240)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되도록 배치하여 이어폰 출력부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이어폰 출력부에 배치된 장치 인식 소자(Rs)의 저항 값이 단말기(100)의 장치 접속 인식에 이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이어폰 장치(200)의 경우 제어 모듈(250)에 장치 인식 소자(Rs)가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제어 모듈(250)의 경우 이어폰 장치(200) 설계자의 의도나 다양한 목적 등에 따라 그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 모듈(250) 내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배치할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경우 다양한 목적 예를 들면 출력 신호에 대한 하울링 처리 등을 위하여 충분한 배경 공간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 모듈(2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실장 공간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는 장치 인식 소자(Rs)를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내장함으로써 장치 인식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배치하는 형태는 3극 이어폰 타입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3극 이어폰의 경우 별도 외장 마이크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220) 및 제어 모듈(250)의 구성이 장치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라인의 끝단에 배치되며, 신호 라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연결점이 다른 지점들에 비하여 충격에 약할 수 있다. 즉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단선 등의 이상 발생은 신호 라인과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연결점에 발생할 확률이 다른 지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인식 소자(Rs)를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내장 배치하되 신호 라인과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연결점에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연결점에서 이어폰 출력부(230, 240)가 신호 라인으로부터 단선되더라도 장치 인식 소자(Rs)를 기반으로 이어폰 장치(200)의 삽입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의 구성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헤드(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 헤드(210)는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금속 재질의 이어폰 헤드(210) 전면부와, 이어폰 헤드(210)의 각 단자들을 이어폰 장치(200)의 다른 구성들 즉 제어 모듈(250)과, 이어폰 출력부(230, 240) 등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헤드(210) 후면부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때 이어폰 헤드(210)의 전면부의 경우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형성된 접촉부들과 전기적인 접촉을 지원하기 위하여 외부적으로 노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이어폰 헤드(210)의 후면부는 사용자의 파지 등을 고려하여 비전도성 재질 예를 들면 에폭시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는 이어폰 헤드(210)의 후면부 즉 이어폰 헤드(210)의 에폭시 코팅 부분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내장함으로써 이어폰 장치(200)의 고장 여부에 관계없이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삽입되면 단말기(100)가 이어폰 장치(200) 삽입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어폰 헤드(210)의 후면부의 경우 에폭시 등의 강성 재질로 코팅되기 때문에 이어폰 장치(200)의 다른 구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충격에 강한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이어폰 헤드(210)의 후면부 내측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제어 모듈(250) 및 이어폰 출력부(230, 240) 등의 고장 여부나 단선 여부에 관계없이 이어폰 장치(200)의 단말기(100) 삽입 인식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사이의 전극 211과 이어폰 접지 단자(G)와 연결되는 전극 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우측 단자(R)와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사이의 전극 212와 이어폰 접지 단자(G)에 연결되는 전극 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좌측 단자(L) 및 이어폰 우측 단자(R) 그리고 이어폰 접지 단자(G) 및 이어폰 마이크 단자(M)들에 연결된 전극들 211, 212, 213 및 214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또는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인식 소자(Rs)의 배치는 이어폰 장치(200)를 인식하는 단말기(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어폰 장치(200)의 인식을 위해 장치 인식 소자(Rs)가 이어폰 장치(200)에 배치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장치 인식 소자(Rs)가 단말기(100)에 배치되는 사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제어부(160) 및 오디오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을 위하여 저장부와 통신부, 입력부와 표시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서 이어폰 장치(200) 인식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인식 소자(Rs)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헤드(210)의 3개 또는 4개의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는 단자 접촉부들을 포함하며, 이어폰 장치(200) 접속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접촉부(175) 및 장치 인식 소자(Rs)와 이어폰 헤드(210)의 접촉을 위한 소자 접촉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 접촉부들(172, 173, 174)은 3개의 접촉부들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자 접촉부들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단자 접촉부들(172, 173, 174), 인식 접촉부(175) 및 소자 접촉부(176)는 각각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 접촉부들(172, 173, 174), 인식 접촉부(175) 및 소자 접촉부(176)는 이어폰 헤드(21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동안 이어폰 헤드(210)의 각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인식 접촉부(175)와 소자 접촉부(176)는 동일 단자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 헤드(21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면 인식 접촉부(175)와 소자 접촉부(176)가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자 접촉부(176)에 연결 배치된 장치 인식 소자(Rs)는 인식 접촉부(175)에 연결 배치된 분배 저항(Rd)과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풀업 전압(Vf)은 장치 인식 소자(Rs)와 분배 저항(Rd)에 의하여 분배되고 분배된 전압은 비교기(177)의 입력 단에 전달될 수 있다.
비교기(177)는 입력 단에 전달된 전압이 분배 전압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참조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High" 신호를 제어부(160)의 검출 포트(Detect)에 전달한다. 한편 비교기(177)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지 않음에 따라 인식 접촉부(175)와 소자 접촉부(176)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경우 분배 저항(Rd)을 통해 입력 단에 입력되는 풀업 전압(Vf)에 의하여 "Low" 신호를 제어부(160) 검출 포트(Detect)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교기(177)의 참조 전압(Vref)은 풀업 전압(Vf) 보다는 낮은 전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자 접촉부(176)와 인식 접촉부(175)가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좌측 단자(L)의 삽입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서 소자 접촉부(176)와 인식 접촉부(175)의 위치는 이어폰 헤드(210)의 삽입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 헤드(210)의 분리에 따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자 접촉부(176) 및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헤드(21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이어폰 우측 단자(R)와 공통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이어폰 헤드(210)가 삽입되는 경우 소자 접촉부(176)와 인식 접촉부(175)는 마이크 단자가 배치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의 최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부분에서는 소자 접촉부(176)가 인식 접촉부(175)에 비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의 개구된 방향으로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소자 접촉부(176) 및 인식 접촉부(175)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동일한 원주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형의 이어폰 헤드(21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면 소자 접촉부(176) 및 인식 접촉부(175)는 동일한 원주의 다른 위치의 특정 단자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소자 접촉부(176)에 연결된 장치 인식 소자(Rs)는 특정 단자 및 인식 접촉부(175)를 거쳐 분배 저항(Rd)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 인식을 위하여 장치 인식 소자(Rs)를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일측에 마련함으로써 찌그러지거나 이물질이 없는 정상적인 형태의 이어폰 헤드(210)를 가지는 이어폰 장치(200)의 삽입만으로도 이어폰 장치(200)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이어폰 장치(200)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면 이어폰 장치(200) 삽입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기능 지원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어폰 장치(200)에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표시부에 출력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에 재생 중인 또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어폰 장치(200) 및 단말기(100)에 각각 장치 인식 소자(Rs)가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장치 인식 소자(Rs)는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헤드, 제어 모듈, 이어폰 출력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 장치(200)와 단말기(100)에 장치 인식 소자(Rs)가 동시 형성된다 하더라도 이어폰 장치(200)의 단말기(100) 삽입에 따라 복수개의 장치 인식 소자(Rs)가 병렬로 연결되어 저항 값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은 결과적으로 분배 저항(Rd)의 크기보다 작아 이어폰 장치(200) 삽입 시 비교기(177)의 출력이 정상적으로 High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 및 이에 접속되는 이어폰 장치(200)를 포함하는 이어폰 시스템(10)은 이어폰 장치(200) 접속을 위한 특정 구성들 예를 들면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 또는 파손되더라도 단말기(100)가 이어폰 장치(200)의 접속을 정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정상 운용되는 특정 출력부를 통한 오디오 출력 및 마이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어폰 시스템(10)은 이어폰 장치(200)에 부분적인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라디오 청취 기능, 재생 음악 청취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라디오 기능의 경우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안테나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이어폰 출력부(230, 240)에 연결된 신호 라인을 안테나로 정상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해당 이어폰 장치(200)를 기반으로 라디오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장치 인식 소자(Rs)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장 공간 등의 디자인 문제 및 장치 인식 소자(Rs)의 크기나 형태 재질 등을 보다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이어폰 장치(200)에 장치 인식 소자(Rs)를 배치하는 경우 TDMA 노이즈 등에 민감한 제어 모듈의 구현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장치 인식 소자(Rs) 배치에 따라 노이즈 저감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이어폰 시스템 100 : 단말기
130 : 오디오 처리부 170 : 이어폰 인터페이스
200 : 이어폰 210 : 이어폰 헤드
220 : 마이크 230 : 이어폰 좌측 출력부
240 : 이어폰 우측 출력부 250 : 제어 모듈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이어폰 장치가 삽입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장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장치의 기능 지원을 수행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어폰 장치의 헤드와 접촉되는 단자 접촉부들;
    상기 이어폰 장치의 헤드 삽입에 따라 상기 이어폰 장치의 헤드의 특정 단자에 접속되는 소자 접촉부 및 상기 소자 접촉부에 연결되는 장치 인식 소자;
    이어폰 장치 접속 인식을 위해 상기 소자 접촉부가 접촉한 특정 단자에 접촉되는 인식 접촉부 및 상기 인식 접촉부에 연결되는 풀업 전압 및 분배 저항;
    상기 분배 저항에 연결되는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 접촉부 및 상기 인식 접촉부는
    이어폰 좌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및 이어폰 우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중 하나에 동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지원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촉부들은
    이어폰 헤드에 마련된 상기 이어폰 좌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상기 이어폰 우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이어폰 접지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거나,
    상기 이어폰 헤드에 마련된 상기 이어폰 좌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상기 이어폰 우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상기 이어폰 접지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이어폰 마이크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지원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접촉부 및 상기 인식 접촉부는
    상기 이어폰 좌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상기 이어폰 우측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및 상기 이어폰 마이크 단자에 접촉되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동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지원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이어폰 장치 삽입에 따라 상기 소자 접촉부에 연결된 장치 인식 소자와 상기 분배 저항에 의한 상기 풀업 전압의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수신하고, 수신 입력에 대응하여 "High"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이어폰 장치 분리에 따라 상기 분배 저항을 통한 풀업 전압을 입력으로 수신하고 수신 입력에 대응하여 "Low"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지원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좌측 출력부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는 수 옴의 고유 저항 값을 가지며,
    상기 장치 인식 소자는 수 k옴의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분배 저항은 수 M옴의 저항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지원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78127A 2012-07-18 2012-07-18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KR10190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27A KR101900680B1 (ko) 2012-07-18 2012-07-18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US13/943,040 US9426557B2 (en) 2012-07-18 2013-07-16 Earphone system, earphon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27A KR101900680B1 (ko) 2012-07-18 2012-07-18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617A KR20140011617A (ko) 2014-01-29
KR101900680B1 true KR101900680B1 (ko) 2018-11-08

Family

ID=4994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127A KR101900680B1 (ko) 2012-07-18 2012-07-18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26557B2 (ko)
KR (1) KR101900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47A1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226A (ja)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CN105100989B (zh) * 2014-05-20 2018-11-09 杭州纳雄科技有限公司 音频传输装置
CN105848030A (zh) * 2016-03-31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时间获取方法、装置、移动终端及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718A1 (en) * 2002-03-20 2005-05-19 Sennheiser Communications A/S Active audio compressing in telecommunication
US20050201568A1 (en) * 2004-03-11 2005-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dset Detector in a Device Generating Audio Signals
US20090175456A1 (en) * 2008-01-03 2009-07-09 Apple Inc. Detecting stereo and mono headset devices
US20120051554A1 (en) * 2010-08-31 2012-03-01 Yash Modi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bias impedances and adjustable bias voltages for accessor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718A1 (en) * 2002-03-20 2005-05-19 Sennheiser Communications A/S Active audio compressing in telecommunication
US20050201568A1 (en) * 2004-03-11 2005-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dset Detector in a Device Generating Audio Signals
US20090175456A1 (en) * 2008-01-03 2009-07-09 Apple Inc. Detecting stereo and mono headset devices
US20120051554A1 (en) * 2010-08-31 2012-03-01 Yash Modi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bias impedances and adjustable bias voltages for accessor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47A1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617A (ko) 2014-01-29
US20140023202A1 (en) 2014-01-23
US9426557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86B1 (ko)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어폰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820730B1 (ko)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0659874B2 (en) Audio I 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KR101937839B1 (ko)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운용 방법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KR101607899B1 (ko) 감소된 크로스토크 잡음을 가진 집적 헤드셋 스위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41509B1 (ko) 이어잭 오인식 방지 장치 및 방법
US7961895B2 (en) Audio interface device and method
CN104010071A (zh) 移动终端应用控制方法和设备、耳机装置及应用控制系统
TWI522902B (zh) 電子裝置及耳機感測方法
US9538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input path
JP2013066149A (ja) 携帯端末、イヤホン識別プログラムおよびイヤホン識別方法
KR101900680B1 (ko) 이어폰 시스템 및 이어폰 장치와 단말기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JP2002152365A (ja) 移動端末装置及びヘッドセット
KR1015683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채널 간 크로스 톡 개선 장치 및 방법
US20130259257A1 (en) Corded audio device with wireless data exchange
US9502831B2 (en) Electronic device
US20220386050A1 (en) State detection device for use in an audio interface
US11525703B2 (en) Integrated capacitor and antenna
CN112887868A (zh) 音频电路、电子设备、无线耳机系统及音频系统
CN117336643A (zh) 具有环境音感知功能的耳机、音频系统及相关的方法
TW201218787A (en) Audio switch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