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934B1 -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 Google Patents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934B1
KR101899934B1 KR1020180053842A KR20180053842A KR101899934B1 KR 101899934 B1 KR101899934 B1 KR 101899934B1 KR 1020180053842 A KR1020180053842 A KR 1020180053842A KR 20180053842 A KR20180053842 A KR 20180053842A KR 101899934 B1 KR101899934 B1 KR 10189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afety rope
fence
veranda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05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9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9Wire cables or the like fill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anda fence of an apartment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randa fence of an apartment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used as a safe guardrail of the veranda in general and converted into an emergency rescue wire in case of emergency to enable emergency evacuation so that the same can be used for lifesaving. Moreover, the veranda fence can prevent a safe rope from being detached from a gripping piece so that a stabl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Description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0001]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0002]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 기술 분야 중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난간 안전대로 사용되다 비상시에는 긴급 구난용 와이어 로프로 전환되어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구조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파지편으로부터 안전로프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for a veranda of a residential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in a residential building construction technology field. Mor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e emergency rescue wire rope is used as an emergency escape rou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a departure of a safety rope from a grasping piece and maintaining a stable combined state.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Generally,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family house, a stairway exit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flames and smoke can pass, making it virtually impossible to escape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다.As a result, the only shelter in the case of a house fire is a window or porch.

하지만, 창가 또는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However, windows or verandas are not exposed to escape routes except for the escort for escape, so they are exposed to flames and toxic gases which are almost defenseless until the rescue ladder arrives.

이를 위해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장착하여 비상시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역으로 강도의 침입 경로를 제공하므로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For this purpose, a ladder is installed on a porch railing to provide an escape route in an emergency. However, in this case, the intruder may be exposed to various crimes by providing an intrusion path of the strength.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94419호(2012.10.25.)에는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4419 (Oct. 25, 2012) discloses a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family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베란다용 펜스는 외력 등에 의해 파지편으로부터 안전로프가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randa fen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because the safety rope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gripping piece due to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94419호(2012.10.25.)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94419 (2012.10.25.) 'Veranda fence for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난간 안전대로 사용되다 비상시에는 긴급 구난용 와이어 로프로 전환되어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구조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파지편으로부터 안전로프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rescue wire rop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a deviation of a safety rope from a grasping piece and maintaining a stable state of engagemen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란다 바닥콘크리트(C)에 세워 고정된 다수의 고정폴(100); 상기 고정폴(100)에 끼워지고, 고정폴(100)의 내부 바닥에 하단이 고정된 압축스프링(120); 상기 고정폴(100)에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120)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로드(130); 상기 유동로드(130)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100)의 상단에 걸림되는 구형상의 장식겸 파지봉(140); 상기 고정폴(1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작동공(150); 상기 작동공(15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로프끼움홈(170); 상기 작동공(150)을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드(130)에 고정된 'ㄱ'형상의 파지편(160);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17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편(16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고정폴(100)에 고정되고, 양단은 고정링(210)을 통해 각각 좌,우 최외측 고정폴(100)에 고정되며, 장력이 유지되게 라인 형태로 배열되어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안전로프(200); 상기 안전로프(200)의 길이 일부에 끼워지고, 상기 파지편(160) 상면에 거치되는 디센더(500); 상기 고정폴(10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디센더(500)에 결속되어 피난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Y밴드(400), 결속용 카라비너(410)를 포함한 안전장구들이 보관되는 수납박스(300); 및 상기 수납박스(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100)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속되는 탄성고정편(320);으로 구성되는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160)으로부터 상기 안전로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상기 파지편(1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폴(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610); 상기 안전로프(200)와 접하는 가압판(620);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압판(6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부가 상기 가압판(620)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610)을 통과하는 지지바(631);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을 상기 안전로프(200)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632); 및 상기 지지바(631)의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캡(633)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캡(633)은, 인위적인 파지에 따른 하방향으로의 당김에 따라 상기 스프링(632)이 수축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안전로프(200)에 대한 상기 파지편(160)으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스프링(632)이 이완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v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ed pawls (100) fixed on a veranda floor concrete (C); A compression spring 120 fitted in the fixed pole 100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n inner bottom of the fixed pole 100; A flow rod (130) fitted in the fixed pole (100)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20); A spherical decorating and gripping rod (140)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low rod (130) and engaged with an upper end of the fixed pole (100); A plurality of actuating holes 15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pole 100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pe-fitting groove 170 formed at a lower side with an interval from the operation hole 150; A '' shaped grip piece 160 which passes through the actuating hole 150 and is fixed to the flow rod 130;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xed to the fixed pole 100 in a state of being gripped by the gripping piece 160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rope fitting groove 170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most sides A safety rope 200 fixed to the fixed pole 100 and arranged in a line shape so as to maintain a tension to constitute a safety fence; A descender 500 fitted to a part of the length of the safety rope 200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ing piece 160; A Y band 400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evacuator and a carabiners 410 for binding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300); And a resilient fixing piece (320)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box (300) and is elastically fitted and bound to the fixing pole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 -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600 for preventing the safety rope 200 from separating from the gripping piece 160.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600 is disposed below the gripping piece 160 A support plate 6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xed pole 100; A pressure plate 620 in contact with the safety rope 200; And a support means 630 for supporting the pressure plate 620 from the support plate 610. The support means 630 has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620 and a lower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610 A support bar 631; The pressing plate 620 is pressed by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pressing plate 620 contacts the safety rope 2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bar 63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plate 610. [ A spring 632 that shrinks or slackens as the pressure plate 620 is lifted or lowered to buffer shocks; And an adjusting cap 63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bar 631. The adjusting cap 633 is retracted in a downward direction due to an artificial grip and the spring 632 contracts, The safety rope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safety rope 200 can be smooth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gripping piece 160 while the spring 632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safety rope 200. [003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family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용 펜스로 사용되는 안전수단을 비상시 대피용 혹은 탈출용으로 간단히 전환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이며, 무엇보다도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쉬워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the safety means used as a housing fence for escape or escape in an emergency, thereby reducing personal injury, and moreover, i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have.

또한, 파지편으로부터 안전로프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afety rope is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gripping piece, so that a stable engagement stat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서 고정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요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전용구 중 하나로 각각 디센더 및 카라비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서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ing a veranda fence in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ed pole in a veranda fence of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main part in FIG. 1;
FIGS.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decanters and carabiners, respectively, as one of safety 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tachment prevention part is provided in a veranda fence of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는 고정폴(100)을 포함한다.1 to 3, a veranda fence of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onary pole 100.

상기 고정폴(100)은 원통형상의 강체로서,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어 물이나 습기와 접촉되더라도 녹이 슬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ixed pole 100 is preferably a cylindrical rigid body made of stainless steel so that it does not rust even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or moisture.

상기 고정폴(100)은 베란다의 바닥콘크리트(C)에 매립설치되어 견고히 고정되며, 베란다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pawls 100 may be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C of the veranda and fixed firmly, and a plurality of the fixing pawls 100 may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veranda.

상기 고정폴(100)에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도 1과 같은 형태로 안전로프(200)가 설치된다.1, a safety rope 200 is installed on the fixed pole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즉, 상기 안전로프(200)는 상기 고정폴(100)의 일측면에 덧대어진 형태로 배치 되게 되는데, 거실쪽을 향한 면 상에 거치된다.That is, the safety rope 2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xed pole 100, and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living room.

이 경우, 상기 안전로드(200)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고정폴(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단부 상에 고정링(210)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링(210)은 상기 고정폴(100)중 어느 하나에 끼워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stationary ring 2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afety rod 200, preferably, the end of the stationary pole 10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안전로프(20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폴(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In order to fix the safety rope 200, the stationary pole 100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폴(100)의 하단에는 바닥고정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고정부(110)에는 압축스프링(120)의 일단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a bottom fixing part 11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pole 100, and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20 is fixed to the bottom fixing part 110.

상기 압축스프링(120)은 고정폴(100) 내부에 위치되고, 고정폴(100)에는 유동로드(130)가 끼워지며, 유동로드(130)의 하단에는 걸림구(132)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20)의 타단, 즉 상단이 걸림 고정된다.The compression spring 120 is located inside the fixed pole 100. The fixed pole 100 is fitted with the floating rod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floating rod 130 is formed with the locking hole 132, The other en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20 is engaged and fixed.

상기 유동로드(13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장식겸 파지볼(140)이 고정된다.The decorative rod / fingernail 14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pole 1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rod 130.

상기 유동로드(130)는 상기 장식겸 파지볼(140)이 고정폴(100)의 상단에 걸려 있기 때문에 압축스프링(120)이 약간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압축스프링(120)은 압축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유동로드(130)는 항상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어 견고히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compression spring 120 is held in a slightly tensioned state since the decorative rod 130 is hung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awl 100 and the compression spring 120 is compressed The flow rod 130 is always subjected to a force to be pulled, so that the flow rod 130 is firmly fixed.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로드(130)에는 수직하게 'ㄱ' 형상의 파지편(160)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3, a grasping piece 160 of 'a' shape is vertically fixed to the flow rod 130.

그리고, 상기 파지편(160)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폴(100)의 외주면에는 작동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편(160)은 상기 작동공(15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구비된다.An operation hole 15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pole 100 so that the grip piece 160 can move. The grip piece 160 passes through the operation hole 15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Respectively.

상기 작동공(15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로프끼움홈(170)이 형성되며, 안전로프(200)의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170)에 걸친 채 상기 파지편(160)에 의해 가려지면서 걸리게 되므로 상기 안전로프(200)가 1차적으로 위치고정되게 되며, 그 상태에서 안전로프(200)의 양단이 당겨져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안전로프(200)는 최종적으로 견실하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rope 200 is covered by the gripping piece 160 while covering the rope fitting groove 170, The safety rope 200 is primarily fixed in position. 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safety rope 200 are pulled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and finally, the safety rope 200 is firmly fixed and fixed do.

상기 안전로프(200)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좌,우 가장 마지막 고정폴(100)에서는 고정폴(100)을 한바퀴 감은 후 안전로프(200)의 수평부를 누르면서 하향 이동한 후 다음 단 로프끼움홈(170)에 끼워지는 형태로 다단 배열된다.In order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safety rope 200, the stationary pawl 100 is wound around the stationary pawl 100 in the left and rightmost stationary pawls 100 and then moved down while pressing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afety rope 200 And are arranged in a multi-stage manner in such a manner as to be fitted in the next rope fitting groove 170.

즉, 좌,우 가장 마지막 고정폴(100)에서 대략 'S' 꼬기 방식으로 한번 꼬인 후 다음 단으로 배치됨으로써 충분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펜스로서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leftmost and rightmost fixed pawls 100 are twisted in a substantially 'S' twist manner and disposed at the next stage, so that sufficient tension can be maintained, thereby achieving a sufficient function as a safety fence.

무엇보다도, 비상시 기존에는 주로 안전펜스가 철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통해 탈출하고 싶어도 쉽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안전장구를 착용한 상태로 안전로프(200)를 걷어 내게 되면 안전펜스가 열리면서 탈출하기 쉽도록 탈출로를 구축하게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과 용이성이 확보된다.It is not easy to escape through that part because the safety fence is made mainly of steel structure in the case of an emergenc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afety rope 200 is worn while wearing the safety gear described later, Since the escape route is constructed so that it is easy to escape while being opened, convenience and ease of use are ensured.

상기 안전로프(200)의 길이 일부에는 도 4와 같은 공지된 디센더(Decender)(500)가 상시 설치된다.A known descender 500 as shown in FIG. 4 is always installed in a part of the length of the safety rope 200.

상기 디센더(500)는 상기 파지편(160) 상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상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벨크로파스너를 갖춘 밴드로 묶어 두면 좋다.Preferably, the descender 500 is mounted on the grip piece 160, and the descender 500 may be bundled with a band having a Velcro fastener.

상기 디센더(500)는 등산용구중 하나로서, 도 4와 같은 레버를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디센더(500)가 안전로프(200)로부터 미끄러지거나 혹은 고정되게 되는 공지된 안전장비이다.The descender 500 is one of the climbing gears and is a known safety device in which the descender 500 is slid or fixed from the safety rope 200 by raising or lowering the lever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센더(500)가 미리 안전로프(200)에 끼워진 상태로 상시 대기 중이므로 비상시 디센더(500)를 설치하기 위해 시간을 불필요하게 낭비할 필요가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scender 500 is always in the state of being pinched by the safety rope 200 in advance, there is no need to waste time for installing the descender 500 in an emergency.

또한, 상기 고정폴(100)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납박스(300)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box 300 is fixed to one of the stationary pawls 100.

상기 수납박스(300)는 개폐가능한 수납도어(310)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는 안전장구, 즉 카라비너(Karabiner)(410)가 장착된 Y밴드(400)를 포함한 다수의 보조장구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라비너(410)도 도 5와 같은 공지된 등산용구 중 하나이다.The storage box 300 is provided with a door 3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equipment including a Y band 400 having a safety device such as a carabiner 410 can be stored therein have. In this case, the carabiner 410 is also one of the known climbing tools as shown in Fig.

상기 Y밴드(400)는 비상시 대피자가 Y밴드(400)를 가랑이 사이로 넣은 후 몸통 쪽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3개의 카라비너(410)를 모두 디센더(500)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Y band 400 is guided to escape safely by fitting the three carabiners 410 into the descender 500 while the escaping person in the emergency state puts the Y band 400 into the crotch and then lifts the band 400 toward the body do.

이때, 상기 수납박스(300)는 일측면에 탄성고정편(320)이 고정되어 있어 이를 고정폴(100)의 외경에 끼워 넣기만 하면 간단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box 3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box 300 and can be easily and easily fixed simply by inserting it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ed pole 100.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follows.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대피자는 먼저, 수납박스(300)를 열고 Y밴드(400)를 꺼낸 후 디센더(500)에 장착한다.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the evacuator first opens the storage box 300, takes out the Y-band 400, and mounts the Y-band 400 on the descender 500.

장식겸 파지봉(140)을 상부로 잡아 당기게 되면 파지편(160)이 상승되면서 안전로프(200)를 고정하던 외력이 제거되므로 안전로드(200)는 고정폴(10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The safety rod 20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ed pole 100 because the external force that fixed the safety rope 200 is removed while the gripping piece 160 is lifted.

안전로드(200)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 한 후 안전로프(200)를 지상을 향해 던져 배열하고, 이후 디센더(500)와 Y밴드(400)를 이용하여 탈출하면 된다.After confirming that the safety rod 200 is firmly fixed, the safety rope 200 may be thrown toward the ground and then escaped using the descender 500 and the Y band 400.

이 경우, 상기 안전로프(200)는 최소한 아파트 5층 높이의 길이를 갖도록 하면 탈출시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safety rope 200 has a height of at least five floors, the safety of the safety rope 200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편(160)으로부터 상기 안전로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0)를 더 포함한다.The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unit house having an emergency evacu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part 600 for preventing the safety rope 200 from separating from the gripping piece 160, as shown in FIG. 6 .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장력 저하나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안전로프(200)가 상기 로프끼움홈(170)과 상기 파지편(16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는 한편,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전을 보호받을 수 있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600 prevents a safety accident or the like which may be caused by the separation of the safety rope 200 from the rope fitting groove 170 and the gripping piece 160 due to tension reduction or external force, , So that the stable state of engagement is maintain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safety can be protected is continuously maintained.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상기 파지편(1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폴(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610), 상기 안전로프(200)와 접하는 가압판(620) 및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압판(6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한다.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600 includes a support plate 6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tationary pole 100 to be positioned below the gripping piece 160, a pressure plate 620 contacting the safety rope 200, And a support means 630 for supporting the pressure plate 620 from the support plate 610.

상기 지지판(610)은 일단부가 상기 파지편(1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폴(1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폴(10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610 is fixed to the fixed pole 100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610 is positioned below the gripping piece 16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610 extends forward of the fixed pole 100.

여기서, 상기 고정폴(100)의 전방은 상기 파지편(160)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front of the fixed pole 100 may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gripping piece 160 is formed.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상기 가압판(62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압착패드(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6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ad 64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620.

상기 압착패드(640)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전로프(200)와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ressing pad 640 may be made of silicon or rubber so that the contact pad 640 can be stably contacted with the safety rope 200 without slip.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부가 상기 가압판(620)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610)을 통과하는 지지바(631),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을 상기 안전로프(200)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632) 및 상기 지지바(631)의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캡(633)을 포함한다.The supporting means 630 includes a supporting bar 631 whos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late 620 and whose low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supporting plate 610, The pressure plate 620 is pressed by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contacts the safety rope 200 while the pressure plate 620 is contracted, A spring 632 for buffering an impact while being relaxed, and an adjustment cap 63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631.

상기 지지바(631)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상기 가압판(6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610)을 통과한다.The support bar 631 is formed of a circular rod,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620,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passed through the support plate 610.

상기 스프링(632)은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압판(6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The spring 632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63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plate 610 and stably supports the pressure plate 620 from the support plate 610.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620)은 상기 스프링(632)에 의해 상기 지지판(6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ure plate 620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610 by the spring 632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can be raised and lowered.

즉, 상기 스프링(632)은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을 상기 안전로프(200)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That is, the spring 632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631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610 and presses the pressure plate 620 to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The safety rope 200 is contacted with the pressure plate 620 while the pressure plate 620 is contracted and relaxed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pressure plate 620 to buffer the impact.

상기 조절캡(633)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바(631)의 하부로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justment cap 633 may be made of silicone or rub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djustment cap 633 may be opened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631.

상기 조절캡(633)은 인위적인 파지에 따른 하방향으로의 당김에 따라 상기 지지바(631)의 하강과 함께 상기 스프링(632)이 수축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안전로프(200)에 대한 상기 파지편(160)으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adjustment cap 633 is retracted in a downward direction due to an artificial grip and the spring 632 contracts with the lowering of the support bar 631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is separated from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safety rope 200 can be smooth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gripping piece 160.

또한, 상기 조절캡(633)은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스프링(632)의 이완과 함께 상기 지지바(631)가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The adjustment cap 633 is configured to allow the support bar 631 to be lifted and lowered with the release of the spring 632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safety rope 200 do.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스프링(632)의 가압에 의해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함에 따라 상기 파지편(160)으로부터 상기 안전로프(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ans 630 prevents the safety rope 200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gripping piece 160 as the pressing plate 620 contacts the safety rope 200 by the urging of the spring 632 .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스프링(63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부재(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ans 63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ity adjusting member 634 for adjusting elasticity of the spring 632.

상기 지지바(6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력조절부재(63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6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1)에 나사결합된다.The supporting bar 631 is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elastic force adjusting member 634 is screwed to the supporting bar 631 such that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ing plate 610.

상기 탄성력조절부재(634)는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631)가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가압판(620)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스프링(632)의 탄성력을 조절한다.The elastic force adjusting member 634 adjust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32 while vary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late 610 and the pressing plate 620 by rotating the support bar 63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부가 상기 가압판(62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610)을 통과하면서 상기 탄성력조절부재(6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63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6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ing means 630 is fixed to the pressing plate 620 and the low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supporting plate 610 so that the supporting bar 631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lastic force adjusting member 634, And a guide bar 635 for guiding the guide bar.

상기 가이드바(635)는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탄성력조절부재(634)의 회전시, 상기 가압판(620)이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guide bar 635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pressure plate 620 to guide the pressure plate 620 up and down while the elastic force adjusting member 634 is rotated, (620) are not rotated together.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재(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ans 63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 lowering adjusting member 636 for adjusting the lifting / lowering degree of the pressing plate 620.

상기 가이드바(63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조절부재(63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635)에 나사결합된다.The guide bar 635 is screwed to the guide bar 635 such that the guide bar 635 is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610.

상기 승강조절부재(636)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635)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지지판(610)과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한다.The elevating and lowering adjusting member 636 is moved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635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d adjusts the degre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pressing plate 620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orting plate 610 .

예를 들면, 상기 승강조절부재(636)는 상기 지지판(610)에 접하는 경우, 상기 가압판(620)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지지판(610)과 일정높이로 이격되는 경우, 이격되는 높이 정도에서 상기 지지판(610)이 승,하강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lift adjusting member 636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610, the pressing plate 620 is not lowered, and when the lift plate 636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610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support plate 610 is moved up and down.

이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상기 안전로프(200)가 상기 로프끼움홈(170)과 상기 파지편(16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전을 보호받을 수 있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is prevents the safety rope 200 from being easily dislodged from the rope fitting groove 170 and the gripping piece 160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r the like,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where the safety can be protected while the stable coupling state is maintain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고정폴 110 : 바닥고정부
120 : 압축스프링 130 : 유동로드
140 : 장식겸 파지봉 150 : 작동홈
160 : 파지편 170 : 로프끼움홈
200 : 안전로프 210 : 고정링
300 : 수납박스 310 : 수납도어
320 : 탄성고정편 400 : Y밴드
410 : 카라비너 500 : 디센더
600 : 이탈방지부 610 : 파지편
620 : 가압판 630 : 지지수단
631 : 지지바 632 : 스프링
633 : 조절캡 634 : 탄성력조절부재
635 : 가이드바 636 : 승강조절부재
100: fixed pole 110: bottom fixed portion
120: compression spring 130:
140: Decoration and padding 150: Working groove
160: gripping piece 170: rope-fitting groove
200: safety rope 210: retaining ring
300: storage box 310: storage door
320: elastic fixing member 400: Y band
410: Carabiner 500: Defender
600: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610:
620: pressure plate 630: support means
631: support bar 632: spring
633: Adjusting cap 634: Elastic force adjusting member
635: guide bar 636:

Claims (1)

베란다 바닥콘크리트(C)에 세워 고정된 다수의 고정폴(100);
상기 고정폴(100)의 내부 바닥에 하단이 고정된 압축스프링(120);
상기 고정폴(100)에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120)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로드(130);
상기 고정폴(1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작동공(150);
상기 작동공(15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로프끼움홈(170);
상기 작동공(150)을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드(130)에 고정된 'ㄱ'형상의 파지편(160); 및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17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편(16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고정폴(100)에 고정되고, 양단은 고정링(210)을 통해 각각 좌,우 최외측 고정폴(100)에 고정되며, 장력이 유지되게 라인 형태로 배열되어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안전로프(200);를 포함하는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160)으로부터 상기 안전로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상기 파지편(16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폴(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610);
상기 안전로프(200)와 접하는 가압판(620);
상기 지지판(610)으로부터 상기 가압판(6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부가 상기 가압판(620)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610)을 통과하는 지지바(631);
상기 지지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을 상기 안전로프(200)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압판(62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632); 및
상기 지지바(631)의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캡(633)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캡(633)은,
인위적인 파지에 따른 하방향으로의 당김에 따라 상기 스프링(632)이 수축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안전로프(200)에 대한 상기 파지편(160)으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스프링(632)이 이완되면서 상기 가압판(620)이 상기 안전로프(200)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A plurality of stationary pawls 100 fixed upright on the veranda floor concrete C;
A compression spring 120 whose lower end is fixed to an inner bottom of the fixed pole 100;
A flow rod (130) fitted in the fixed pole (100)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20);
A plurality of actuating holes 15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pole 100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pe-fitting groove 170 formed at a lower side with an interval from the operation hole 150;
A '' shaped grip piece 160 which passes through the actuating hole 150 and is fixed to the flow rod 130; A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xed to the fixed pole 100 in a state of being gripped by the gripping piece 160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rope fitting groove 170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most sides A safety fence (200) fixed to a fixed pole (100) and arranged in a line shape so as to maintain a tension to constitute a safety f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ence for a veranda of a multi-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600) for preventing the safety rope (200) from separating from the gripping piece (160)
The departure-avoiding portion 60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6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tationary pole 100 to be positioned below the grip piece 160;
A pressure plate 620 in contact with the safety rope 200;
And support means (630) for supporting the pressure plate (620) from the support plate (610)
The support means (630)
A support bar 631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620 and a lower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610;
The pressing plate 620 is pressed by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pressing plate 620 contacts the safety rope 2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bar 63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plate 610. [ A spring 632 that shrinks or slackens as the pressure plate 620 is lifted or lowered to buffer shocks; And
And an adjusting cap 63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bar 631,
The adjustable cap 633,
The spring 632 is re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artificial gripping of the safety rope 200 so that the pressure plate 620 can be separated from the safety rope 200, And the spring 632 is loosen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ase of the pulling force so that the pressing plate 62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safety rope 200. [ A veranda fence for multi-family homes with function.
KR1020180053842A 2018-05-10 2018-05-10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KR101899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42A KR101899934B1 (en) 2018-05-10 2018-05-10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42A KR101899934B1 (en) 2018-05-10 2018-05-10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934B1 true KR101899934B1 (en) 2018-09-19

Family

ID=6371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42A KR101899934B1 (en) 2018-05-10 2018-05-10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9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063A (en) * 2021-08-04 2021-11-02 江苏柏芸金属科技有限公司 Glass guardrail mounting equipment with lateral screw locking mechanis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419B1 (en) 2012-05-23 2012-10-25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419B1 (en) 2012-05-23 2012-10-25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063A (en) * 2021-08-04 2021-11-02 江苏柏芸金属科技有限公司 Glass guardrail mounting equipment with lateral screw lock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en)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KR200450338Y1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storied building
US20160175622A1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KR100937336B1 (en) A safety balustrade including a means for emergency escaping
KR100923639B1 (en)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KR101899934B1 (en)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CN104667441B (en) Folding escape box for storied building
US6994182B2 (en) Escape device for building
KR101194419B1 (en) 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KR101548010B1 (en) Fence apparatus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KR20090089943A (en) Descending device and emergency escap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143606A (en) Escape ladder for emergency
CN201410235Y (en) High-rise building escaping anti-dazzle slow-lowering protection device
KR101337090B1 (en) Fall-proof safety device attached railings
KR101024097B1 (en) Obstinate uses the wire
CN205391496U (en) Formula anti -falling device can be shirked in pole operation
KR200464759Y1 (en) Slip down type refuge tool
KR20040076853A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CN203001712U (en) Escape system of building
KR101197519B1 (en) A descending device for escape
CN203001720U (en) Building
KR20110090411A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0340975Y1 (en) A Slow descent device for emergency escape installing on rope
KR100690584B1 (en) The porch railing which served as an apartment house emergency ladder
KR20100137716A (en) Descending life line for emergency e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