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698B1 -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 Google Patents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98B1
KR101898698B1 KR1020170092233A KR20170092233A KR101898698B1 KR 101898698 B1 KR101898698 B1 KR 101898698B1 KR 1020170092233 A KR1020170092233 A KR 1020170092233A KR 20170092233 A KR20170092233 A KR 20170092233A KR 101898698 B1 KR101898698 B1 KR 10189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frame body
manur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국립공원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공원관리공단 filed Critical 국립공원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7009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3/00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toilet, which comprises: a frame main body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an excrement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a blocking door unit installed in the frame main body and allowing the excrement discharge hole to be opened and closed; and an operation scaffold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main body, opening the blocking door unit while descending when a user boards the frame main body, and closing the blocking door unit by ascending when the user leaves the frame main body.

Description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및, 재래식 화장실{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OILET}

본 발명은 위생성을 개선시킨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및, 재래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improved sanitary properties and a conventional toilet.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재래식 화장실의 경우, 수세식 변기의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물을 사용하지 않는 재래식 변기를 사용할 경우 변기의 분뇨배출구를 통하여 하부 분뇨가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시각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혐오감을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oilet, a user familiar with the use of a flush toilet may experience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may be disgusted by visually exposing the storage tank in which the lower manure is stored through the toilet outlet of the toilet when using a conventional toilet without water .

물론, 분뇨배출구를 덮는 목재 등의 덮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물을 쓰지 않는 화장실은 물을 쓰는 화장실에 비해 위생상태가 좋지 않다는 사용자 인식으로 인해 화장실에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기피하여 사용 후에 개방된 분뇨배출구를 덮개로 닫지 않고 화장실을 떠나게 되면서 악취 및, 해충의 유출입되면서 화장실의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a lid such as a wood covering the manure outlet may be used. However, the toilet which does not use water avoids the body contact with the toilet due to the recognition that the sanitary condition is poor compared to the toilet using water, And the sanitary property of the toilet is deteriorated due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odor and pest.

또한, 산악지 등의 고산지에 설치된 재래식 화장실은 상시 개방된 분뇨배출구에 등산객 등의 사용자가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분뇨배출구를 통해 무단 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분뇨수거시 인력으로 쓰레기 등을 분리수거하게 되어 상당액의 분뇨수거비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toilets installed in mountainous areas such as mountainous areas have a problem that a user such as a climber is allowed to urge foreign matter such as trash through the outlet of the manure to the manure outlet which is open at all time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manure collection cost is caused.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분뇨배출구가 개방되고, 미사용시 분뇨배출구를 닫도록 구성하여 분뇨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 및, 파리 등의 해충의 유출입 및, 시각적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s one aspect, a disinfectio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disinfestant discharge port when a user uses the disinfection discharge port and closing the disinfection discharge port when not in use,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toilet is provided.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분뇨가 저장된 이동식카트리지의 처리가 용이한 재래식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ventional toilet which is easy to dispose of a removable cartridge in which manure is sto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화장실의 분뇨배출구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뇨배출구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도어부;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프레임본체에 승강시 하강하면서 상기 차단도어부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본체에서 이탈시 상승하면서 상기 차단도어부를 패쇄하는 작동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발판부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가압에 의해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의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발판부; 및, 상기 링크발판부 및, 상기 차단도어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횡방향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과 교차되는 제2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개폐구동부;를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comprising: a frame body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waste outlet of a toilet; A shut-off door provided in the frame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manure; And an operation pedal installed on the frame body to open and close the blocking door when the user descends and descends on the frame body and closes the blocking door part while the user is lifted off the frame body, The operation pedal part includes a link pedal part for convert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nto the first lateral movement while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s varie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frame body;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connecting the link pedal part and the blocking door part and converting the first lateral direction movement into a second lateral direction movement intersecting with the first lateral direction movement, Thereby providing an opening / closing device.

바람직하게, 프레임본체는, 분뇨배출구와 연통 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 가능한 상판프레임; 및, 상기 상판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프레임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상판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rame body includes: a lower frame in which an openabl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manure discharge port is formed; A top plate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bottom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op plat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top frame and the bottom frame to push up the top frame.

바람직하게, 차단도어부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격벽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도어; 및, 상기 프레임본체 및, 상기 슬라이드도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가 닫히도록 가압하는 도어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locking door portion includes a pair of slide doors movab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slide partition wall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frame body; And a door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rame body and the slide door and pressing the slide door to close the slide door.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링크발판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본체의 상판프레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다축링크부재; 상기 다축링크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크고정부재; 및, 상기 다축링크부재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공간에서 활주하는 링크휠;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nk ped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via a joint member, and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s changed by pressing the upper frame of the frame body, A multiaxial link member for switching to motion; A link fixing member rotatably fixing one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inside the frame body; And a link whee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and slid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body.

바람직하게, 다축링크부재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상판프레임의 저면과 접촉되는 접촉링크부재; 및, 상기 접촉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 운동을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가변링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ultiaxial link member includes: a contact link member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frame of the frame body; And a variable link member hinged to the contact link member to chang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to the lateral movement while varying the angle of engagement.

바람직하게, 개폐구동부는, 상기 차단도어부의 슬라이드도어와 상기 링크발판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형부재; 및,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방향 운동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가이드하는 풀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ning and closing guide portion includes: a linear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slide door of the blocking door portion and the link foot portion; And a pulley member installed inside the frame body and guiding the linear member to be switch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in a first directional movement.

바람직하게, 차단도어부가 오픈시 분뇨배출구를 통해 확산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device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malodor that diffuses through the outlet of the manure when the blocking door is opened.

바람직하게, 환기장치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높이방향 상측영역에 설치되고, 분뇨배출구의 주변에 복수 개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환기챔버; 상기 환기챔버와 연결된 배출관을 매개로 환기챔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환기팬; 상기 링크발판부의 일측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링크발판부에 의해 차단도어부가 오픈시 상기 환기팬을 구동시키는 환기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entil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ventilating chamber installed in a region above the frame body in the height direction, the ventilating chamber forming a plurality of outlets around the outlet of the manure; A ventilation fan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ventilation chamber via a vent pip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chamber; And a ventilation switch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nk pedestal portion and driving the ventilation fan when the blocking door portion is opened by the link pedestal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및, 상기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하측에 배치되고, 화장실바닥판 하측의 카트리지 격납고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재래식 화장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toilet, And at least one or more removable cartridges disposed under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nd movably received in the cartridge hangers below the toilet floor plate to store manure.

바람직하게, 이동식카트리지는, 하측에 차륜이 설치된 카트리지프레임; 상기 카트리지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vable cartridge includes: a cartridge frame on which a wheel is installed on a lower side; And a storage tank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manure in the cartridge frame.

바람직하게, 분뇨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분뇨를 상기 이동식카트리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guide chute may guide the manure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ort to the mobile cartridg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뇨배출구에 연계되어 설치되되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개방되고, 미사용시 분뇨배출구를 닫도록 구성하여 분뇨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 및, 파리 등의 해충의 유출입 및, 시각적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odor and the insect pests, such as flies and the like, which ar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outlet of the manure outlet but are opened only when the user uses the applian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low and outflow and visual unpleasantness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뇨가 저장된 이동식카트리지의 처리가 용이한 재래식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tional toilet which is easy to dispose of a movable cartridge in which manure is 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전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상판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판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작동 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래식 화장실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래식 화장실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래식 화장실의 이동식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opera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frame of FIG. 1 is removed. FIG.
2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A.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fter oper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frame of FIG. 3 is remov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pera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of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after operation. FIG.
Figure 9 is a top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cartridge of a conventional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는 프레임본체(100), 차단도어부(200) 및, 작동발판부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환기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11,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100, a blocking door unit 200, and an operating footrest, 500).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는 화장실의 분뇨배출구(G)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프레임본체(1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설치되고, 상기 분뇨배출구(G)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도어부(200) 및,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프레임본체(100)에 승강시 하강하면서 상기 차단도어부(200)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본체(100)에서 이탈시 상승하면서 상기 차단도어부(200)를 패쇄하는 작동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A,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for a toilet comprises a frame body 100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a manure outlet G of a toilet, a frame body 100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00, A shutoff door 200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G and a shutoff door 200 installed in the frame 100 to open the shutoff door 200 while the user descends on the frame body 100 And an operation pedal part for closing the blocking door part 200 while the user is lifted from the frame body 100.

본 발명의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는 화장실의 분뇨배출구(G)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of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bove the manure outlet G of the toilet.

이때, 차단도어부(200)가 오픈시 분뇨배출구(G)의 상측영역이 개방되면서 사용자에게서 배출된 분뇨가 분뇨배출구(G)를 통과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저장탱크(23)에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locking door unit 200 is opened, the upper area of the manure outlet G is opened, and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23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through the manure outlet G .

본 발명의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는 작동발판부의 상하방향 운동을 차단도어부(200)의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시에만 분뇨배출구(G)를 오픈하고, 사용자가 화장실을 미사용시 분뇨배출구(G)를 폐쇄할 수 있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footrest portion to the lateral movement of the blocking door portion 200 so that the user opens the manure outlet port G only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close the outlet G of the manure.

이에 따라, 분뇨저장조에 저장되는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분뇨배출구(G)를 통해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dor generated in the manure stored in the manure storage tank from diffusing into the inside space of the toilet through the manure outlet G.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프레임본체(100)는, 분뇨배출구(G)와 연통 가능한 개방부(131)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30)과, 상기 하부프레임(13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 가능한 상판프레임(110) 및, 상기 상판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프레임(11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상판스프링(150)을 구비할 수 있다.1 and 2A, the frame body 100 includes a lower frame 130 on which an opening 131 communicating with the manure outlet G is formed, and a lower frame 130 on the lower frame 130, A top plate frame 110 slidab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frame 110 and capable of placing a user's feet thereon and a top plate spring 110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frame 110 and the bottom frame 130 to push up the top plate frame 110 15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프레임(130)의 중앙에는 분뇨배출구(G)와 연통 가능한 개방부(131)가 형성되고, 개방부(131)의 좌우 방향에는 각각 작동발판부가 수용될 수 있다.3 and 4, an opening 13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130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G of the manure, and an operating footrest is recei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ning 131, respectively. .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방부(131)의 전후 방향에는 슬라이드격벽(133)이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격벽(133)에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가 이동하면서 하부프레임(130)의 개방부(131)를 개폐할 수 있다.4 and 5, the slide partition wall 133 may be prov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ning 131 and the slide door 210 of the shutoff door unit 200 may be moved The opening 131 of the lower frame 130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때, 하부프레임(130)은 중앙에 개방부(131)가 형성된 사각형의 평면을 가질 수 있고, 하부프레임(130)은 개방부(131)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frame 130 may have a quadrilateral plane having an opening 131 at the center, and the lower frame 130 may have a spring receiving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opening 131 interposed therebetween .

하부프레임(130)의 개방부(131)와 스프링수용부의 사이에 슬라이드격벽(133)이 배치될 수 있다.The slide partition 1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131 of the lower frame 130 and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스프링수용부는 장방향의 수용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방형의 수용공간의 양단부에 상판스프링(150)이 배치되면서, 4개의 상판스프링(150)이 하부프레임(130)의 내부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spring 150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ectangular receiving space and the four upper plate springs 150 are positioned at the corner of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frame 130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판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3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부분이다.1 and 3, the upper frame 11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3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 part where a user's feet are stuck.

상판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판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홀(111)이 형성되고, 장공홀(111)의 하단에 하부프레임(130)과 상판프레임(110)을 고정하는 고정핀부재(113)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frame 110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frame 130. The upper plate frame 110 has an elongated hole 1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lower frame And a fixing pin member 113 for fixing the upper plate frame 110 and the upper plate frame 110 can be installed.

고정핀부재(113)가 장공홀(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판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30 can be slidably engaged while the fixing pin member 113 moves along the long hole 111.

상판프레임(110)은 상판부와, 상판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측면판을 구비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frame 110 may include an upper plate portion and a top plate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상판프레임(110)은 사각링 형상의 상판부와, 상판부의 외측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4개의 상판측면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장공홀(111)은 상판측면판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frame 110 may be composed of a rectangular ring-shaped upper plate portion and four upper plate side plat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e elongated holes 111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side plate have.

장공홀(111)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판측면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elongated holes 111 may be formed in the front plate side plat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그리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각각의 상판측면판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장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two elongated holes 111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side plates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프레임(130)은 사각링 형상의 하판부와, 하판부의 외측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4개의 하부측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nd FIG. 4, the lower frame 130 may include a lower plate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ring shape and four lower side plates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상판측면판의 장공홀(111)에 설치된 고정핀부재(113)는 하부측면판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in member 113 provided in the elongated hole 111 of the upper plate side plate may be fixed to the lower side plate.

상판프레임(110)은 하부프레임(130)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판프레임(110)의 상판측면판은 소정의 공차를 두고 하부프레임(130)의 하부측면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frame 110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lower frame 130 so that the upper plate side plate of the upper plate frame 110 can be disposed outside the lower side plate of the lower frame 130 with a predetermined tolerance.

프레임본체(100)는 상판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바라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tether member 170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10 and is foldably installed.

자바라부재(170)는 상판프레임(110)에서 차단도어부(200)까지 연장 설치되어 상판프레임(110)과 차단도어부(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The bellows member 170 may extend from the upper frame 110 to the blocking door 200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110 and the blocking door 200.

자바라부재(170)는 상판프레임(110)이 승강된 상태일 경우 펼쳐진 상태에서 상판프레임(110)과 차단도어부(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고, 상판프레임(110)이 하강된 상태에는 접철된 상태에서 상판프레임(110)과 차단도어부(2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The bellows member 170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110 and the blocking door 200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110 is lifted and lowered while the upper frame 110 is lowere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110 and the blocking door 200 can be blocked.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도어부(200)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격벽(133)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도어(210) 및, 상기 프레임본체(100) 및, 상기 슬라이드도어(2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210)가 닫히도록 가압하는 도어스프링(230)을 구비할 수 있다.4 and 5, the blocking door unit 200 includes a pair of slide doors (not shown) movab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slide partition walls 133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frame body 100 And a door spring 230 installed between the frame body 100 and the slide door 210 and pressing the slide door 210 to close the door.

도 2a를 참조하면, 차단도어부(200)는 도어스프링(2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도어(210)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shut-off door part 200 i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spring 230, one side is fixed to the frame body 100, the other side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e door 210, And may further include guide rods 250 that are coupled together.

가이드봉(250)의 일측은 프레임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고, 가이드봉(250)의 타측은 슬라이드도어(210)의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guide rod 25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body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od 250 can be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slide door 210.

이때, 가이드봉(250)은 슬라이드도어(210)의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홀을 통해 슬라이드도어(210)의 내부로 진입되고, 슬라이드도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봉(250)의 선단부에는 가이드봉(250)의 직경에 비해 확경된 형상의 스토퍼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rod 250 enters the inside of the slide door 210 through the slide hol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 door 210, and the guide rod 250,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lide door 210, A stopper member having an enlarged diameter relative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rod 250 can be formed.

이에 따라, 슬라이드도어(210)가 분뇨배출구(G)를 가이드봉(250)이 슬라이드도어(2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us, the slide door 210 can be prevented from detaching the guide rod 250 from the slide door 210 from the manure outlet G.

본 발명의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는 산악지대 등의 고산지에 위치하는 재래식 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10 of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toilet located in a high mountain area such as a mountainous area.

이 경우, 고산지의 특성상 동절기(겨울)에 재래식 화장실이 설치된 고산지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서 배출된 분뇨가 동결되면서 피라미드처럼 올라오게 된다.In this case, due to the nature of the highland, the temperature of the highland where the conventional toilet is installed falls below freezing in winter (winter), and the discharged manure is frozen and comes up like a pyramid.

종래의 경우에, 화장실의 분뇨배출구(G)를 닫는 힌지타입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예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a hinge-typ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closing the manure outlet G of the toilet is installed.

하지만, 종래의 힌지타입의 개폐장치의 경우는 회동하는 힌지타입의 개폐장치의 도어가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오픈시, 동결된 분뇨탑과 간섭되면서 분뇨배출구(G)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inge-type opening / closing apparatus, the door of the turning hinge-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s rotated downward, interfering with the frozen manure hood when opening,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nure outlet G is not easy .

본 발명의 경우는,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뇨배출구(G)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절기의 동결된 분뇨탑과 슬라이드도어(210)가 간섭될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분뇨배출구(G)를 보다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door 210 of the shut-off door part 20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manure discharge port G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rozen manure body of the winter season and the slide door 210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that the manure outlet G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reliably.

도 2a,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작동발판부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가압에 의해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의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발판부(300) 및, 상기 링크발판부(300) 및, 상기 차단도어부(200)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횡방향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과 교차되는 제2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개폐구동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2B, and 4, the operation pedal portion is configured to switch the vertical motion to the first lateral motion while varying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by pressing the frame body 100 And the linkage foot part (300), the linkage foot part (300) and the blocking door part (200), and connecting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to a second transverse direction (Not shown).

이때, 제1 횡방향 운동은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제2 횡방향 운동은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lateral movement is se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of the link pedal 300 is moved, and the second lateral movement is se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door of the shut- .

링크발판부(300)는 프레임본체(100)의 상하방향 운동을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되,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의 길이에 비해 훨씬 긴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차단도어부(200)를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inkage foot part 300 switch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rame body 100 to the lateral motion, and the coupling angle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s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sher 200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easily.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링크발판부(300)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하부가 제거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상판프레임(11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횡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link footrest 300 is install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joint member and the bottom thereof is removed, The height of the link pedestal 300 can be vari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ink pedestal 300 and the lateral length of the link pedestal 300 can be varied.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링크발판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상판프레임(1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다축링크부재(310)와, 상기 다축링크부재(310)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크고정부재(330) 및, 상기 다축링크부재(3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활주하는 링크휠(350)을 구비할 수 있다.
5 and 6, the link footrest 300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s via a joint member, and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ressing the upper frame 110 of the frame body 100 A multifunctional link member 310 for convert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nto a first lateral movement while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link members is variable, And a link wheel 35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and slidable in an inner space of the frame body 100. [

다축링크부재(310)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높이의 변화가 횡방향의 길이의 변화로 전환할 수 있다.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ha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joint member and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s changed by the pressing of the frame body 100, You can switch to change.

다축링크부재(310)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하부가 제거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다축링크부재(310)는 하부가 제거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may be install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joint member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removed. In particular,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may be installed in an isosceles trapezoidal shape with its lower portion removed.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축링크부재(310)는 개폐구동부(400)의 선형부재(410) 및, 풀리부재(430)를 매개로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의 후단에 결합되고, 슬라이드도어(210)가 오픈시 압축된 도어스프링(230)이 이완되면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도어(210)가 개방부(13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s connected to the slide door 210 of the shutoff door unit 200 via the linear member 4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400 and the pulley member 430, The slide door 21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131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when the door spring 230 compressed when the slide door 210 is opened is loosened.

이때, 다축링크부재(310)는 슬라이드도어(210)의 후단에 결합된 개폐구동부(400)의 선형부재(410) 및 풀리부재(430)를 매개로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s connected to the multi-axial link member (not shown) of the link pedal 300 through the linear member 4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40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door 210 and the pulley member 430 310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압축된 도어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다축링크부재(310)의 높이가 상승되는 힘과, 압축된 상판스프링(150)이 이완되면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는 힘 에 의해 상판프레임(110)이 상승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the force of the elevation of the height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door spring 230 and the force of eleva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generated while the compressed upper plate spring 150 is loosened, (110) can rise.

링크고정부재(330)는 다축링크부재(310)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nk fixing member 330 may be configured to pivotally fix one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nside the frame body 100.

링크휠(350)은 다축링크부재(310)의 타단에 설치되어, 프레임본체(100)의 하부프레임(130) 내부공간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nk wheel 35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and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an inner space of the lower frame 130 of the frame body 10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링크발판부(300)는 하부프레임(13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링크휠(350)이 슬라이드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링크레일(370)을 구비할 수 있다.5 and 6, the link pedestal 3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130 and may include a link rail 370 for guid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ink wheel 350 slides .

링크레일(370)은 링크휠(350)이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nk rail 370 serves to guide the link wheel 350 to slid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다축링크부재(310)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상판프레임(110)의 저면과 접촉되는 접촉링크부재(311) 및, 상기 접촉링크부재(311)와 힌지 결합되어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 운동을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가변링크부재(313)를 구비할 수 있다.6 and 6,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ncludes a contact link member 31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frame 110 of the frame body 100, And a variable link member 313 that is hingedly coupled to the link member 313 to chang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to the lateral movement while varying the coupling angle.

도 5를 참조하면, 접촉링크부재(311)는 프레임본체(100)의 상판프레임(110)의 저면과 접촉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act link member 31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of the frame body 100.

도 6를 참조하면, 접촉링크부재(311)는 상판프레임(110)의 저면에 의해 가압되면 접촉링크부재(311)와 가변링크부재(313)간의 결합각도가 커지면서 다축링크부재(31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6, when the contact link member 311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the engagement angle between the contact link member 311 and the variable link member 313 increases, Can be lowered.

그리고, 상판프레임(110)에서 사용자가 이탈시, 도 5를 참조하면 접촉링크부재(311)와 가변링크부재(313)간의 결합각도가 작아지면서 다축링크부재(310)의 높이가 다시 높아질 수 있다.5, when the user leaves the upper frame 110,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contact link member 311 and the variable link member 313 decreases, and the height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may be increased again .

도 2a,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촉링크부재(311)의 양측 단부가 각각 가변링크부재(313)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접촉링크부재(311)를 사이에 두고 2개의 가변링크부재(313)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2B, and 4, the flexible link members 313 can be hinged to opposite ends of the contact link member 311, respectively. That is, two variable link members 313 can be connected with one contact link member 311 therebetween.

그리고, 접촉링크부재(311)는 상판프레임(110)의 저면과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가변링크부재(313)를 사이에 두고 2개의 바형상의 부재가 힌지 결합되면서 상판프레임(110)의 저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tab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frame 110, the contact link member 311 is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rame 110 while hinging the two bar-shaped members with the variable link member 31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an be configured to widen the contact area.

가변링크부재(313)는 일단은 링크고정부재(33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접촉링크부재(311)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가변링크부재(313)와, 일단은 접촉링크부재(311)와 힌지 결합되면서 고정단으로 구성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가변링크부재(313)를 구비할 수 있다.The variable link member 313 includes a first variable link member 313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link fixing member 330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contact link member 311, And a second flexible link member 313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311 and is fixed at one end and is slid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thereof.

제2 가변링크부재(313)에는 링크휠(350)이 설치될 수 있고, 제2 가변링크부재(313)의 하측부분에는 개폐구동부(400)의 선형부재(410)가 고정될 수 있다.A link wheel 350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flexible link member 313 and a linear member 4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400 may b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ariable link member 313. [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는 프레임본체(100)의 상하방향 운동을 링크발판부(300)의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되, 제1 접촉링크부재(311)와 접촉링크부재(311) 결합각도가 가변되고, 제2 접촉링크부재(311)와 접촉링크부재(311)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변화된 상하방향의 길이에 비해 훨씬 긴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여 차단도어부(200)를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ultifocal link member 310 of the linkage foot part 300 switch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rame body 100 to the lateral movement of the linkage foot part 300, The angle of engagement of the second contact link member 311 and the contact link member 311 is varied and the transverse movement is changed to a much longer transverse direction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easily.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링크발판부(300)는,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하부가 제거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상판프레임(11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횡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link footrest 300 is install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joint member and the bottom thereof is removed, The height of the link pedestal 300 can be vari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ink pedestal 300 and the lateral length of the link pedestal 300 can be varied.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구동부(400)는, 상기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와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형부재(410) 및,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방향 운동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선형부재(410)를 가이드하는 풀리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4 and 5,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400 includes a linear member 410 connecting between the slide door 210 of the shut-off door unit 200 and the link pedal 300, And a pulley member 430 installed inside the frame body 100 and guiding the linear member 410 to be switch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n a first direction.

선형부재(410)는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와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의 사이를 연결하는 강선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near member 410 may be provided as a wire wire connecting the slide door 210 of the shut-off door unit 200 and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of the link pedestal 300.

풀리부재(430)는 링크발판부(300)가 이동하는 횡방향 운동인 제1 방향 운동을 차단도어부(200)가 이동하는 횡방향 운동방향인 제2 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선형부재(410)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pulley member 430 is connected to the linear member 410 so as to switch the first directional movement in which the link pedal 300 is moved to the second directional movement in which the blocking door unit 200 moves, Can be guided.

풀리부재(430)는 선형부재(41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높이차를 두고 이격배치되는 복수 개의 풀리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ulley member 4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lley members 4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height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linear member 410 moves.

도 2a, 도 2b 및, 도 5를 참조하면, 풀리부재(430)는 링크발판부(300)와 연결되는 선형부재(410)의 경로를 전환하는 제1 풀리부재(431)와 제2 풀리부재(433)를 구비할 수 있다.5A and 5B, the pulley member 430 includes a first pulley member 431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linear member 410 connected to the linkage foot portion 300, (433).

선형부재(410)는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풀리부재(431)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풀리부재(431)와 제2 풀리부재(433)를 거치면서 제2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 후단 중앙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The linear member 41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of the linkage foot part 300 and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first pulley member 431 and may include a first pulley member 431, The sliding door 210 of the shutting door unit 200 can be coupled to the rear end center portion of the shutting door unit 200 while being turned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lley member 433.

도 2a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축링크부재(310)에서 제1 풀리부재(431)로 인입되는 선형부재(410)의 높이와, 제1 풀리부재(431)를 거쳐서 제2 풀리부재(433)에서 슬라이드도어(210) 방향으로 인출되는 선형부재(410)의 높이는 일정한 높이차가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linear member 410 which is drawn into the first pulley member 431 in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pulley member 431 through the first pulley member 431, The height of the linear member 410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slide door 21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제1 풀리부재(431), 제2 풀리부재(433)가 선형부재(41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선형부재(410)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pulley member 431 and the second pulley member 433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linear members 410 in the course of form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linear member 410 moves.

즉, 선형부재(410)는 평면상으로 교차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평면상으로 선형부재(410)가 교차하는 지점에서의 선형부재(410)간에 높이차가 존재하여 선형부재(410) 간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That is, the linear member 410 may appear to intersect in a plane, but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inear members 410 at the point where the linear members 410 intersect in a plane, so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inear members 410 Does not occur.

도 5를 참조하면, 선형부재(410)는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제1 풀리부재(431)를 거치면서 제2 풀리부재(433) 쪽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5, the linear member 41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of the linkage foot part 300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pulley member 431, The direction can be switched to the direction 433.

그리고, 선형부재(410)는 다시 제2 풀리부재(433)를 거치면서 제2 방향으로 다시 방향이 전화되면서 슬라이드도어(2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linear member 410 can be coupled to the slide door 210 while being again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lley member 433.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풀리부재(430)를 배치하는 이유는 차단도어부(200)의 슬라이드도어(210)의 후면 중앙부분에 연결된 선형부재(410)가 슬라이드도어(210)의 슬라이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슬라이드도어(210)를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disposing the plurality of pulley members 430 in this way is that the linear member 410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slide door 210 of the shutting door unit 200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lide direction of the slide door 210 So that the slide door 210 can be easily moved.

물론, 하나의 풀리부재(430)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하나의 풀리부재(430)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각(일례로 90도)을 모두 부담하면서 차단도어부(200)와 개폐구동부(400)의 부드러운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one pulley member 430 may be configured to switch from a first direction to a second direction, but in this case, one pulley member 430 may have a transition angle (e.g., 90 degrees), the smooth operation of the shutoff door unit 200 and the opening / closing drive unit 400 may not be performed.

이 경우, 복수 개의 풀리부재(430)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각을 분산하여 부담시켜 차단도어부(200)와 개폐구동부(400)가 보다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load the switching angle at which the plurality of pulley members 430 are switched from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blocking door unit 200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driving unit 400 can be more smoothly driven hav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는 차단도어부(200)가 오픈시 분뇨배출구(G)를 통해 확산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환기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or 500 for sucking and discharging odor, which is diffused through a manure outlet G, ).

작동발판부에 의해 상기 차단도어부(200)가 오픈시, 프레임본체(100)에 설치된 환기장치(500)가 가동될 수 있고, 차단도어부(200)가 닫힐 경우, 프레임본체(100)에 설치된 환기장치(500)가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device 500 installed on the frame body 100 can be operated when the blocking door portion 200 is opened by the operation footrest portion and the ventilation device 200 can be operated on the frame body 100 when the blocking door portion 200 is closed The installed ventilator 500 may be shut down.

환기장치(500)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높이방향 상측영역에 설치되고, 분뇨배출구(G)의 주변에 복수 개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환기챔버(510)와, 상기 환기챔버(510)와 연결된 배출관(530)을 매개로 환기챔버(51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환기팬(550) 및, 상기 링크발판부(300)의 일측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링크발판부(300)에 의해 차단도어부(200)가 오픈시 상기 환기팬(550)을 구동시키는 환기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ventilator 500 includes a ventilating chamber 510 install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frame body 100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around the ventilator outlet G, A ventilation fan 550 for supplying a suction force to the ventilation chamber 510 through a connected outlet pipe 530 and a ventilation fan 550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one side of the linkage footing part 300, And a ventilation switch (not shown) for driving the ventilation fan 550 when the door unit 200 is opened.

환기챔버(510)는 프레임본체(100)의 상측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chamber 510 may be installed in an upper region of the frame body 100.

구체적으로, 환기챔버(510)를 상판프레임(110)의 상측영역에 설치되고, 차단도어부(200)의 높이방향 상측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ntilation chamber 51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plate frame 110, and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barrier gate 200 in the height direction.

환기챔버(510)는 상판프레임(110)의 상측영역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판프레임(110)이 사용자가 승강시 상판프레임(110)과 함께 하강하면서 차단도어부(200)가 오픈된 분뇨배출구(G)의 주변에 복수 개의 배출구가 배치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chamber 510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frame 110 so that the upper frame 110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110 when the user moves up and down, A plurality of outlets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y of the gates G.

이때, 차단도어부(200)가 오픈시 환기스위치(미도시)에 연결된 환기팬(550)이 작동하면서 분뇨배출구(G) 주면의 복수 개의 배출구를 통해 분뇨배출구(G)를 통해 확산되는 분뇨의 악취를 배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ventilation fan 550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switch (not shown) is operated when the ventilation door unit 200 is opened, the ventilation fan 550 is operated so that the manure outlet Odor can be discharged.

환기팬(550)은 환기챔버(510)와 연결된 배출관(530)을 매개로 환기챔버(51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fan 550 may provide a suction force to the ventilation chamber 510 through a vent pipe 530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chamber 510.

배출관(530)이 환기챔버(510)와 연결되는 부분은 신축 가능한 자바라형으로 구성되어 환기챔버(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530 connected to the ventilating chamber 510 may be of a telescopic bellows type and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entilating chamber 510.

환기팬(550)은 환기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fan 550 can be driven or not by the operation of a ventilation switch (not shown).

환기스위치(미도시)는 링크발판부(300)의 다축링크부재(310)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switch (not shown) may be constituted by a limit switch (not shown)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of the link pedal 300.

도 5를 참조하면, 다축링크부재(310)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다축링크부재(310)의 횡방향 길이가 줄어들면, 다축링크부재(310)의 후단이 리미트스위치(미도시)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서 환기팬(550)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차단도어부(200)는 닫힌 상태이다.5, when the height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s increased and the lateral length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s reduced, the rear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is in contact with the limit switch (not shown)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550 can be stopped. At this time, the blocking door portion 200 is in a closed state.

도 6를 참조하면, 다축링크부재(310)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다축링크부재(310)의 횡방향 길이가 길어지면, 다축링크부재(310)의 후단이 리미트스위치(미도시)에 접촉되면서 환기팬(550)이 가동될 수 있다. 이때, 차단도어부(200)는 오픈된 상태이다.
6, when the length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becomes longer as the height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decreases, the rear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310 contacts the limit switch (not shown) The fan 550 can be operated. At this time, the blocking door unit 200 is in an open state.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재래식 화장실은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 및, 이동식카트리지(20)를 포함할 수 있다.9-11, a conventional toilet may include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of a toilet and a movable cartridge 20. [

재래식 화장실은 앞서 설명한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 및, 상기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화장실바닥판(F) 하측의 카트리지 격납고(3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카트리지(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toilet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of the toilet and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hanger 33 at the lower side of the toilet floor plate F, At least one removable cartridge 20 for storing the cartridg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식 카트리지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지지프레임(31)에 설치된 화장실바닥판(F)의 하측에 형성된 카트리지 격납고(3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할 수 있다.9 and 10, the movable cartridg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10 of the toilet, and is mounted on the cartridge hangers 3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ilet bottom plate F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frame 31 So that the manure can be stored.

하부지지프레임(31)의 상측에는 화장실바닥판(F)이 형성되고, 화장실바닥판(F)에는 분뇨배출구(G)가 형성될 수 있다.A toilet floor plate F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and a manure outlet G can be formed on the toilet floor plate F. [

재래식 화장실은 하부지지프레임(31)의 상측 및, 화장실바닥판(F)의 하측에 이동식카트리지(20)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격납고(33)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toilet can be formed with a cartridge hanger 33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toilet bottom plate F in which the movable cartridge 20 is received.

하부지지프레임(31)은 재래식 화장실이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공간을 확보하면서 하측에 카트리지 격납고(33)가 형성되고, 하부지지프레임(31)에는 사용자가 화장실바닥판(F)까지 올라갈 수 있는 계단(35)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frame 31 is provided with a cartridge hanger 33 on the lower side while securing a spac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where the conventional toilet is installed, And a step 35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이동식카트리지(20)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지지프레임(31)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분뇨가 저장되는 부분이다.The movable cartridge 20 is disposed below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of the toilet and is movably housed below the lower support frame 31 to store manure.

이동식카트리지(20)에는 분뇨가 저장될 수 있고, 분뇨가 가득찰 경우 이동식카트리지(20)를 카트리지 격납고(33)에서 반출하고, 새로운 이동식카트리지(20)를 배치할 수 있다.The movable cartridge 20 can store the manure, and when the manure is full, the movable cartridge 20 can be taken out of the cartridge hangers 33 and the new movable cartridge 20 can be placed.

하부지지프레임(31)의 하측 바닥에 설치된 내입형의 이동레일(미도시) 상으로 이동식카트리지(20)가 이동될 수 있다.The movable type cartridge 20 can be moved onto an inner type movable rail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floor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

미리 설정된 이동레일(미도시)을 따라 차륜이 이동하면서 이동식카트리지(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movable cartridge 20 can be fixed while the wheel moves along a preset movable rail (not shown).

재래식 화장실은 이동레일의 설치방향과 교차되게 설치되어 이동식카트리지(20)의 진퇴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toile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frame (not shown) which is installed so as to intersec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rail and fixes the movable carriage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본 발명의 재래식 화장실은 산악지대 등의 고산지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high mountains such as mountain areas.

이 경우, 반출된 이동식카트리지(20)의 저장탱크(23)는 헬기 등에 의해 분뇨처리장으로 이송되거나, 바이오매스 설비에 의해 분뇨를 발효시켜 발생된 메탄가스를 추출하여 산악지대의 대피소 등의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tank 23 of the taken-out portable cartridge 20 is transferred to a manure treatment plant by a helicopter or the like, or methane gas generated by fermenting manure by a biomass facility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a shelter .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식카트리지(20)는, 하측에 차륜이 설치된 카트리지프레임(21)과, 상기 카트리지프레임(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3)를 구비할 수 있다.9 and 11, the movable cartridge 20 includes a cartridge frame 21 on which a wheel is installed at a lower side thereof, a storage tank 23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manure in the cartridge frame 21, ).

이와 같이, 이동식카트리지(20)는 차륜이 설치된 카트리지프레임(21)을 실외로 이동시켜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 배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혐기성 중온발효 온도조건(35 ℃ 정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사광선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vable cartridge 20 can be disposed in a sunny environment by moving the cartridge frame 21, in which the wheels are installed, outdoors, so as to maintain the anaerobic temperature fermentation temperature condition (about 35 ° C) Can be sufficiently received.

저장탱크(23)는 직사광선의 반투과되어 저장탱크(23) 내부의 온도 상승이 용이하도록 PE(폴리에틸렌)재질로 구성되면서 혐기성 발효가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Anaerobic fermentation can easily occur while the storage tank 23 is made of PE (polyethylen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storage tank 23 can easily rise due to the semi-permeation of direct sunlight.

물론, 저장탱크(23)는 분뇨에서 발생된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측에 커버부재가 설치되어 저장탱크(23)의 외부로 악취가 배출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Of course, the storage tank 23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offensive odor generated in the manure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do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23.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식카트리지(20)는 상기 분뇨배출구(G)와 상기 이동식카트리지(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분뇨배출구(G)를 통해 배출된 분뇨를 상기 이동식카트리지(2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슈트(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0, the movable cartridge 20 is installed between the manure discharge port G and the movable cartridge 20, and discharges the manure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ort G to the movable cartridge 20 And a guide chute 25 guiding the guide chute 25.

가이드슈트(25)는 분뇨배출구(G)와 상기 이동식카트리지(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측이 확경된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분뇨배출구(G)를 통해 배출된 분뇨를 상기 이동식카트리지(20)의 저장탱크(23)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chute 25 is provided between the manure discharge port G and the movable cartridge 20 and is provided in a funnel shape with the upper side being enlarged so that the manure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ort G can be guided to the movable cartridge 20, To the storage tank 23 of the storage tank 23.

가이드슈트(25)는 상측은 분뇨배출구(G)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하측은 이동식카트리지(20)의 저장탱크(23)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guide chute 25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connection with the manure discharge port G and the lower side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23 of the movable cartridge 20. [

가이드슈트(25)는 굴곡 가능한 소재인 내식방수천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chute 25 may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cloth, which is a bendable material.

굴곡 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가이드슈트(25)가 승하강되면서 카트리지 격납고(33)로 이동식카트리지(20)가 진입할 수 있다.
The movable cartridges 20 can enter the cartridge hangers 33 while the guide chute 25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raised and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재래식 화장실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various embodiments of the automatic toilet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 having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재래식 화장실에서 활용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의 세부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Therefore, the details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for a toilet used in a conventional toile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 for a toilet, a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20: 이동식카트리지
21: 카트리지프레임 23: 저장탱크
25: 가이드슈트 31: 하부지지프레임
33: 카트리지 격납고 35: 계단
100: 프레임본체
110: 상판프레임 111: 장공홀
113: 고정핀부재 130: 하부프레임
131: 개방부 133: 슬라이드격벽
150: 상판스프링 170: 자바라부재
200: 차단도어부 210: 슬라이드도어
230: 도어스프링 250: 가이드봉
300: 링크발판부 310: 다축링크부재
311: 접촉링크부재 313: 가변링크부재
330: 링크고정부재 350: 링크휠
370: 링크레일 400: 개폐구동부
410: 선형부재 430: 풀리부재
431: 제1 풀리부재 433: 제2 풀리부재
500: 환기장치 510: 환기챔버
530: 배출관 550: 환기팬
F: 화장실바닥판 G: 분뇨배출구
10: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oilet 20: Portable cartridge
21: Cartridge frame 23: Storage tank
25: Guide chute 31: Lower support frame
33: cartridge hangers 35: stairs
100: frame body
110: upper plate frame 111: elongated hole
113: fixing pin member 130: lower frame
131: opening part 133: slide partition wall
150: upper plate spring 170: bellows member
200: blocking door portion 210: slide door
230: door spring 250: guide rod
300: link pedal part 310: multi-axial link member
311: contact link member 313: variable link member
330: Link fixing member 350: Link wheel
370: Link rail 400:
410: linear member 430: pulley member
431: first pulley member 433: second pulley member
500: ventilation device 510: ventilation chamber
530: Exhaust pipe 550: Ventilation fan
F: toilet floor plate G: outlet of manure

Claims (12)

화장실의 분뇨배출구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뇨배출구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도어부;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프레임본체에 승강시 하강하면서 상기 차단도어부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본체에서 이탈시 상승하면서 상기 차단도어부를 패쇄하는 작동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발판부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가압에 의해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의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발판부; 및,
상기 링크발판부 및, 상기 차단도어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횡방향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과 교차되는 제2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개폐구동부;를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A frame body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waste outlet of the toilet;
A shut-off door provided in the frame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manure; And
And an operating foot mounted on the frame body to open and close the blocking door when the user descends on the frame body while the user lifts off the frame body to close the blocking door,
Wherein the operating footrest portion comprises:
A link pedal part for convert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nto the first lateral movement while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s changed by the pressing of the frame body; And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connecting between the link footrest and the blocking door unit and converting the first lateral movement into a second lateral movement that intersects with the first lateral movemen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본체는,
분뇨배출구와 연통 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 가능한 상판프레임; 및,
상기 상판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프레임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상판스프링;을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The frame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frame in which an openable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waste outlet is formed;
A top plate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bottom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n upper plat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for pushing up the upp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도어부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격벽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도어; 및,
상기 프레임본체 및, 상기 슬라이드도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가 닫히도록 가압하는 도어스프링;을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lide doors movab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slide partition wall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frame body; And
And a door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rame main body and the slide door and pressing the slide door to close the slide do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발판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가 관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본체의 상판프레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링크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 운동을 제1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다축링크부재;
상기 다축링크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크고정부재; 및,
상기 다축링크부재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공간에서 활주하는 링크휠;을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joint member and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s varied by pressing the upper frame frame of the frame body so as to conver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nto a first lateral movement, ;
A link fixing member rotatably fixing one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inside the frame body; And
And a link whee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ultiaxial link member and sliding in an internal space of the fram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링크부재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상판프레임의 저면과 접촉되는 접촉링크부재; 및,
상기 접촉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결합각도가 가변되면서 상하방향 운동을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가변링크부재;를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6. The multi-axis link member according to claim 5,
A contact link member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frame of the frame body; And
And a variable link member hinged to the contact link member to change a vertical movement to a lateral movement while a coupling angle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차단도어부의 슬라이드도어와 상기 링크발판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형부재; 및,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방향 운동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가이드하는 풀리부재;를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 linear member connecting the slide door of the blocking door portion and the link pedestal portion; And
And a pulley member installed inside the frame body and guiding the linear member to be switch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in a first direction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도어부가 오픈시 분뇨배출구를 통해 확산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entilator for sucking and discharging odor which is diffused through the outlet of the manure when the blocking door is open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높이방향 상측영역에 설치되고, 분뇨배출구의 주변에 복수 개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환기챔버;
상기 환기챔버와 연결된 배출관을 매개로 환기챔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환기팬;
상기 링크발판부의 일측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링크발판부에 의해 차단도어부가 오픈시 상기 환기팬을 구동시키는 환기스위치;를 구비하는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9. The ventilator according to claim 8,
A ventilation chamber installed in a region above a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body and forming a plurality of outlets around a manure outlet;
A ventilation fan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ventilation chamber via a vent pip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chamber;
And a ventilation switch which is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link pedestal portion and drives the ventilation fan when the blocking door portion is opened by the link pedestal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 및,
상기 화장실의 자동개폐장치의 하측에 배치되고, 화장실바닥판 하측의 카트리지 격납고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재래식 화장실.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toilet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to 9; And
And at least one removable cartridge disposed below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and movably received in a cartridge hangar below the toilet floor plate to store man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카트리지는,
하측에 차륜이 설치된 카트리지프레임;
상기 카트리지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재래식 화장실.
11. The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0,
A cartridge frame provided with a wheel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 storage tank for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anure in the cartridge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분뇨를 상기 이동식카트리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슈트;를 더 포함하는 재래식 화장실.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guide chute for guiding the manure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ort to the mobile cartridge.
KR1020170092233A 2017-07-20 2017-07-20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KR101898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33A KR101898698B1 (en) 2017-07-20 2017-07-20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33A KR101898698B1 (en) 2017-07-20 2017-07-20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98B1 true KR101898698B1 (en) 2018-09-13

Family

ID=6359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33A KR101898698B1 (en) 2017-07-20 2017-07-20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271U (en) * 2010-09-01 2011-07-20 대우산업 주식회사 A mobile simple toilet
KR20160081874A (en) * 2016-06-20 2016-07-08 주식회사 21세기 환경 the fermentation removing traditional toi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271U (en) * 2010-09-01 2011-07-20 대우산업 주식회사 A mobile simple toilet
KR20160081874A (en) * 2016-06-20 2016-07-08 주식회사 21세기 환경 the fermentation removing traditional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739B2 (en) Remote-controlled vehicle for transporting bio-waste
US20040099586A1 (en) Catch basin attachment
US20170007082A1 (en) Waterless Composting Toilet
KR101216320B1 (en) Wastebasket comprising an upper compartment and a lower compartment
KR101071209B1 (en) Soundproof tunnel with ventilation door
EP0760618A1 (en) A device in separation-type toilet systems
JPS58202105A (en) Refuge hatch device combining ventilation
KR101898698B1 (en) Automatic openning and closing apparatrus for toilet
KR101385845B1 (en) Structure for cattle shed
CA2403055A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sauna
US4768670A (en) Combinational dump containers
NO325244B1 (en) Three-part urine separating dry toilet
US20050210573A1 (en) Train-operated biowaste removal system
CN107761893A (en) A kind of compost type closestool
CN210853889U (en) Stamping and cover opening garbage can
KR20130034160A (en) Ready-mixed concrete discharging chute of a ready-mixed concrete truck
KR101105823B1 (en) Garbage gathering apparatus
CN107692915A (en) A kind of solar energy compost type lavatory
KR100354527B1 (en) Toilet bowl of Water closet
KR102035340B1 (en) Apparatus for supply residual water
KR100858209B1 (en) Waste input apparatus
CN113089788A (en) Liquid level intelligent following type adjusting closestool
CA2189083C (en) Flush pot assembly for user requiring care-taking
CN220617026U (en) Pedal turnover structure for garbage room
KR200372410Y1 (en) Water saving toilet fl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